KR20230017136A -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136A
KR20230017136A KR1020220087251A KR20220087251A KR20230017136A KR 20230017136 A KR20230017136 A KR 20230017136A KR 1020220087251 A KR1020220087251 A KR 1020220087251A KR 20220087251 A KR20220087251 A KR 20220087251A KR 20230017136 A KR20230017136 A KR 20230017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ion
formula
group
prevent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옥남
Original Assignee
(주)메디헬프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헬프라인 filed Critical (주)메디헬프라인
Priority to EP22846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74866A1/en
Priority to PCT/KR2022/010422 priority patent/WO2023003292A1/ko
Publication of KR2023001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9Polygalaceae (Milk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에 발생한 일반적인 상처 및 염증뿐만 아니라, 당뇨병성 족부궤양 및 욕창 등 만성상처와 아토피성 피부염 및 건선 등 만성염증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상처 또는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Skin Wound or Inflammation}
본 발명은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화학적, 기계적, 생물학적 자극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인체를 보호하는 방어막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 흔히 피부에 발생하는 생활성 손상은 표피층이나 진피층 상부에 상처를 입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그러나 지혈, 염증 및 재생단계의 상처 치유과정에 관련된 세포의 생리학적 기능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피부질환의 악화뿐만 아니라 노화를 촉진시켜 피부에서의 미용적·병리적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상처 치유는 일반적으로, 염증(inflammation), 증식(proliferation) 및 재형성(remodelling)의 3가지 단계를 수반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첫 번째 단계는 지혈(haemostasis)을 달성하기 위한 응고(clotting), 그리고 세균 및 괴사 조직을 파괴하기 위한 호중구의 보충, 그 이후에 대식세포의 보충을 수반한다. 두 번째 단계 동안, 혈관신생(angiogenesis)이 발생하고, 이때 내피세포가 상처 부위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섬유아세포가 상처 부위로 이동하여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생산하는데 도움을 준다. 육아 조직의 형성은 재상피화(reepithelialisation)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최종 단계 동안, 콜라겐 생산과 파괴의 수준이 균등해지고, 치유된 상처는 최대 강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천천히 변경된다. 상처 치유는 상기 과정 중에서 한가지라도 시기 적절하게 제대로 기능하지 않을 때, 지연되거나 손상되므로 만성적인 상태까지 달할 수 있다.
만성창상(chronic wound)은 8주 이상의 치료가 요구되는 피부가 열린 상처(open wound)로 정의되며, 손상된 치유 과정은 종종 당뇨병 합병증과 연관될 수 있는데 높은 사지 절단율과 심지어 사망 등의 심각한 결과에 이를 수 있다. 대략, 15%의 당뇨병 환자들이 치유되지 않는 만성창상으로 고통받고 있다. 따라서, 상처는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이슈이며, 초기에 조속히 치료해야 2차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효과적인 상처 치료는 세포외 매트릭스(extra-cellular matrix, ECM) 증착, 세포 증식/이동을 포함하는 복잡한 분자생물학적 이벤트를 통한 매우 조직화된 통합 조정을 필요로 한다. 만성창상의 발생과 관련된 주요 인자 중 하나는 로컬 섬유아세포(local fibroblasts) 및 염증 세포(inflammatory cells)에 의해 분비되는 사이토카인 분비 계통의 손상이며, 이는 혈관형성(angiogenesis)의 감소를 유발시킨다.
피부에서의 염증반응(inflammatory response)은 물리적 자극이나 화학 물질, 세균 등에 의해 피부손상이 유발될 때 이를 방어하기 위한 작용으로서 시작되며, 다양한 면역세포와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이 관여한다. TNF-α(tumor m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IL-6(interleukin-6), IL-8(interleukin-8) 등이 대표적인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이다. 또한, 활성화된 대식세포(macrophage)는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뿐만 아니라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나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E2(PGE2)를 과도하게 생성하여 염증 과정을 더욱 활성화시킨다.
피부의 염증반응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유전자들에 의해 조절되며 주요한 유전자로 cyclooxygenase-2(COX-2)와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s (iNOS)가 알려져 있으며, 그 중 COX-2는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세포성장인자, 암세포촉진인자,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등에 의한 PGE2 생성과 건선, 마름버짐, 홍반성 낭창과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염증 유발 인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들이 피부염증 개선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에 사용되는 합성원료에 대한 여러 유해한 영향들, 예를 들어, 피부 자극, 홍조 등의 부작용이 알려지면서, 화장품에 적용될 수 있는 천연원료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피부 기능성을 나타내는 식물 유래 추출물의 조합 및 유래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는 식물 유래 추출물 조합 내지 유래 소재를 밝혀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한 예는 극히 드물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피부상처 및 염증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0-0112012호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화학식 2]
Figure pat00004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
본 발명의 일 양상은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화학식 2]
Figure pat00008
.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3',6-디시나포일 수크로오스(disinapoyl sucrose)이고, 본 발명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시납산(Sinapic acid)이고, 이들 화합물은 원지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고본, 원지 및 용안육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을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고, 적당한 양의 용매를 첨가하여 완전히 침지되도록 하며, 이때, 식물은 건조된 상태 그대로 사용하거나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통상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b)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c) 아세톤, (d) 에틸 아세테이트, (e) 클로로포름, (f) 1,3-부틸렌글리콜, (g) 헥산, (h) 디에틸에테르, (i) 부틸아세테이트 (j) 클로로포름-메탄올 또는 (k)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추출시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써,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2th ed., 2013)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에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상처 또는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치료 및/또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 기제 및/또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 내지 1000㎎/k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시 다양한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환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등의 고형제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분말, 과립, 정제 또는 캅셀 형태로 제형화할 경우, 이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예를 들어,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기네이트, 젤라틴, 인산칼슘, 규산칼슘,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광물유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제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조제될 수 있으며, 상기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탈크 같은 윤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시 다양한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및 동결건조제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치료제의 효능 증진을 위해 칼슘이나 비타민 D3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단위-용량(1회분) 또는 다중-용량(수 회분) 용기, 예를 들어, 밀봉된 앰플 및 바이알에 제시될 수 있고, 사용 직전에 멸균성 액상 담체, 예를 들어, 주사용 수의 부가만을 요구하는 동결-건조 조건하에 저장될 수 있다. 즉석의 사용제 및 현탁제는 멸균성 산제, 과립제 및 정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에멀젼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용제, 현탁제, 팩(pack), 패치제(patch) 및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층을 포함하는 드레싱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물층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10~20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약물층은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외에 추가적으로 종래에 의약품으로서 알려져 있는 물질은 물론,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점도조절제나 상처치유 보조제 등 상처 치료를 직접, 간접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드레싱제의 목적에 따라 당업자에 의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처부위에 사용하는 드레싱제의 목적상 특히 잡균의 감염 및 증식을 방지하기 위한 항균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항균제는 예를 들어, 설파디아민은, 포비돈 요오드, 요오드, 요오드화물 이온염, 황산플라디오마이신, 아크리놀, 클로로헥시딘,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젠토늄, 후시딘산나트륨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물층은 피부상처 치료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외에도 보습제 및 또는 상처치유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약물층은 용매, 부형제, 점도조절제를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로써 선택된 약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매는 탈이온수(DIW), 에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부형제로는 예들 들어 글리세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점도조절제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소듐알지네이트, 카라기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염증은 피부염증 또는 관절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염증은 만성 피부염증, 알레르기성 피부염증, 아토피성 피부염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상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 또는 욕창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9
[화학식 2]
Figure pat00010
.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 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 기제 및/또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바디 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젤, 패치, 수중유(oil-in-water, O/W)형, 유중수(water-in-oil, W/O)형 등의 기초 화장료, 립스틱, 메이크업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료, 헤어토닉, 젤 또는 무스 등의 정발제(hair fixatives),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써,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써,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써,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 있다. 상기 비누는 예를 들어,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일 수 있고,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일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염증은 만성 피부염증, 알레르기성 피부염증, 아토피성 피부염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상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 또는 욕창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1
[화학식 2]
Figure pat00012
.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인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또는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거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식품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정제, 캡슐제, 분말, 과립, 액상, 환,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또는 점적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비타민 A 아세테이트, 비타민 E,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 C, 비오틴, 니코틴산 아마이드, 엽산, 판토텐산 칼슘으로 이루어진 비타민 혼합물, 및 황산 제1철, 산화아연, 탄산마그네슘, 제1 인산칼륨, 제2 인산칼륨, 구연산칼륨, 탄산칼슘 및 염화마그네슘 등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붕해제는 녹말, 메틸 셀룰로오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양한 제형의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음료나 환, 분말 등과 같은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염증은 만성 피부염증, 알레르기성 피부염증, 아토피성 피부염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상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 또는 욕창일 수 있다.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따르면, 피부에 발생한 일반적인 상처 및 염증뿐만 아니라, 당뇨병성 족부궤양 및 욕창 등 만성상처와 아토피성 피부염 및 건선 등 만성염증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상처 또는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고본, 원지 및/또는 용안육, 3',6-디시나포일 수크로오스, 또는 시납산의 상처치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ell scratch test 방법으로 Cell migration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고본, 원지 및/또는 용안육, 3',6-디시나포일 수크로오스, 또는 시납산의 상처치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NF-α(A) 및 IL-6(B)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Real time RT-PCR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고본 추출물의 제조
건조 상태의 고본(부영약업사) 20g을 깨끗이 세척하고 잘게 절단한 후, 6배 부피(v/w)의 20%(v/v) 에탄올/물 용매를 가하여 옹기 약탕기에서 90±5℃에서 3시간 환류추출한 후 여과(10㎛ 이하)하고 남은 고형분에 다시 4배 부피(v/w)의 20% (v/v) 에탄올/물 용매를 추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 따라 2차 추출한 후 여과(10㎛ 이하)하였다. 추출 후, 감압농축(16~21 brix)한 다음 농축액을 살균(80~90℃) 후에 동결건조하였다.
제조예 2. 원지 추출물의 제조
건조 상태의 원지(부영약업사) 20g을 깨끗이 세척하고 잘게 절단한 후, 6배 부피(v/w)의 20%(v/v) 에탄올/물 용매를 가하여 옹기 약탕기에서 90±5℃에서 3시간 환류추출한 후 여과(10㎛ 이하)하고 남은 고형분에 다시 4배 부피(v/w)의 20% (v/v) 에탄올/물 용매를 추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 따라 2차 추출한 후 여과(10㎛ 이하)하였다. 추출 후, 감압농축(16~21 brix)한 다음 농축액을 살균(80~90℃) 후에 동결건조하였다.
제조예 3. 용안육 추출물의 제조
건조 상태의 용안육(부영약업사) 20g을 깨끗이 세척하고 잘게 절단한 후, 6배 부피(v/w)의 20%(v/v) 에탄올/물 용매를 가하여 옹기 약탕기에서 90±5℃에서 3시간 환류추출한 후 여과(10㎛ 이하)하고 남은 고형분에 다시 4배 부피(v/w)의 20% (v/v) 에탄올/물 용매를 추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 따라 2차 추출한 후 여과(10㎛ 이하)하였다. 추출 후, 감압농축(16~21 brix)한 다음 농축액을 살균(80~90℃) 후에 동결건조하였다.
제조예 4. 고본, 원지 추출물의 제조
건조 상태의 고본(부영약업사) 10g, 원지(부영약업사) 10g을 깨끗이 세척하고 잘게 절단한 후, 6배 부피(v/w)의 20%(v/v) 에탄올/물 용매를 가하여 옹기 약탕기에서 90±5℃에서 3시간 환류추출한 후 여과(10㎛ 이하)하고 남은 고형분에 다시 4배 부피(v/w)의 20% (v/v) 에탄올/물 용매를 추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 따라 2차 추출한 후 여과(10㎛ 이하)하였다. 추출 후, 감압농축(16~21 brix)한 다음 농축액을 살균(80~90℃) 후에 동결건조하였다.
제조예 5. 고본, 용안육 추출물의 제조
건조 상태의 고본(부영약업사) 10g, 용안육(부영약업사) 10g을 깨끗이 세척하고 잘게 절단한 후, 6배 부피(v/w)의 20%(v/v) 에탄올/물 용매를 가하여 옹기 약탕기에서 90±5℃에서 3시간 환류추출한 후 여과(10㎛ 이하)하고 남은 고형분에 다시 4배 부피(v/w)의 20% (v/v) 에탄올/물 용매를 추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 따라 2차 추출한 후 여과(10㎛ 이하)하였다. 추출 후, 감압농축(16~21 brix)한 다음 농축액을 살균(80~90℃) 후에 동결건조하였다.
제조예 6. 원지, 용안육 추출물의 제조
건조 상태의 원지(부영약업사) 10g, 용안육(부영약업사) 10g을 깨끗이 세척하고 잘게 절단한 후, 6배 부피(v/w)의 20%(v/v) 에탄올/물 용매를 가하여 옹기 약탕기에서 90±5℃에서 3시간 환류추출한 후 여과(10㎛ 이하)하고 남은 고형분에 다시 4배 부피(v/w)의 20% (v/v) 에탄올/물 용매를 추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 따라 2차 추출한 후 여과(10㎛ 이하)하였다. 추출 후, 감압농축(16~21 brix)한 다음 농축액을 살균(80~90℃) 후에 동결건조하였다.
실험예 1. 상처치유 효과, 항염증 효과 및 항균 효과 실험 준비
1-1. 세포주의 준비
고본, 원지 및/또는 용안육, 3',6-디시나포일 수크로오스(disinapoyl sucrose), 또는 시납산(Sinapic acid)의 상처치유 효과, 항염증 효과 실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HaCat 세포를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HaCat 세포는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에 10% Fetal Bovine Serum(FBS),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혼합 후 사용하며 75-cm2 flask에서 37℃, 95% air, 5% CO2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배양된 HaCat 세포는 일주일에 2~3회 Refeeding하고 PBS로 세척한 후 0.05% Trypsin-0.02 % EDTA(Invitrogen™)로 부착된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를 원심분리(5분, 125×g)하여 집적된 세포에 배지를 넣고 피펫으로 세포가 골고루 분산되도록 잘 혼합하여 계대배양 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1-2. 실험군 구성
고본, 원지 및/또는 용안육, 3',6-디시나포일 수크로오스, 또는 시납산의 상처치유 효과(표 1) 및 항염증 효과(표 2) 확인을 위한 실험군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고본, 원지, 용안육, 고본+원지, 고본+용안육, 원지+용안육은 각각 제조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처리물질 처리농도 세포 수(Cells) 비고
G1 - - 2.5×10^5 cells/well (Migation) N=3
G2 고본 1㎍/㎖
G3 원지 1㎍/㎖
G4 용안육 1㎍/㎖
G5 고본+원지 1㎍/㎖
G6 고본+용안육 1㎍/㎖
G7 원지+용안육 1㎍/㎖
G8 3'.6-Disinapolysucrose 1㎍/㎖
G9 Sinapic acid 1㎍/㎖
처리물질 처리농도 LPS 처리 유무 세포 수(Cells) 비고
G1 - - - 5×10^5 cells/well N=3
G2 - - 10㎍/㎖
G3 고본 1㎍/㎖
G4 원지 1㎍/㎖
G5 용안육 1㎍/㎖
G6 고본+원지 1㎍/㎖
G7 고본+용안육 1㎍/㎖
G8 원지+용안육 1㎍/㎖
G9 3'.6-Disinapolysucrose 1㎍/㎖
G10 Sinapic acid 1㎍/㎖
1-3. 통계처리
본 실험의 결과에 대하여 모수적인 다중비교(Parametric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s)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정규성을 가정하고, 모수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검정하며, 그 결과가 유의할 경우, 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시험군간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Prism 7.04(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험예 2. 고본, 원지 및/또는 용안육, 3',6-디시나포일 수크로오스, 또는 시납산의 상처치유 효과 확인
고본, 원지 및/또는 용안육, 3',6-디시나포일 수크로오스, 또는 시납산의 상처치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ell scratch test 방법으로 Cell migration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6 well plate에 실험예 1-1에서 준비한 HaCat 세포를 DMEM complete 배양 배지를 이용하여 2.5×105 cells/well의 농도로 seeding하여 24시간 동안 37 ℃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24 시간 뒤, serum free media로 배양 배지를 교체하고, SPLScar scratcher를 이용하여 cell scratch를 수행하였다. 그 후, 1×PBS로 세척하여 floating cell을 제거하고, 실험예 1-3의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시험물질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여 시험물질을 처리하였다. 이후 37℃ CO2 세포 배양기에서 세포를 배양하였으며, 시험물질 처리 0, 24 및 48시간 뒤,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 사이의 gap을 측정하여 상처의 간격 정도를 도식화하였다. Cell migration은 다음의 수식으로 계산하였다.
Cell migration = 100 - ((각 time point 세포 간격/0 시간 세포간격)×100)
시험 물질 투여 24시간 후 세포 간극 복구를 확인한 결과(도 1B). 정상대조군(G1) 대비 모든 시험물질 범용 투여군(G5, G6 및 G7)에서 세포 간격 복구율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및 p<0.001). 또한 시험군 G8 및 G9에서 정상대조군(G1) 대비 세포 간격 복구율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물질 단독 처리군 G2와 범용 투여군 G5 및 G6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범용투여군 G5 및 G6에서 G2 대비 세포 간극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및 p<0.01). 시험물질 단독 처리군 G3와 범용 투여군 G5 및 G7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범용투여군 G7에서 G3 대비 세포 간극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p<0.001). 또한, 시험물질 단독 처리군 G4와 범용 투여군 G6 및 G7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범용투여군 G6 및 G7에서 G4 대비 세포 간극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및 p<0.001).
또한, 시험 물질 투여 48시간 후 세포 간극 복구를 확인한 결과(도 1C). 시험물질 단독 처리군 중 G4 및 모든 시험물질 범용 투여군(G5, G6 및 G7)에서 세포 간격 복구율이 정상대조군(G1) 대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및 p<0.001). 시험물질 단독 처리군 G2와 범용 투여군 G5 및 G6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범용투여군 G5 및 G6에서 G2 대비 세포 간극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시험물질 단독 처리군 G3와 범용 투여군 G5 및 G7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범용투여군 G5 및 G7에서 G3 대비 세포 간극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시험물질 단독 처리군 G4와 범용 투여군 G6 및 G7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범용투여군 G6 및 G7에서 G4 대비 세포 간극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및 p<0.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고본, 원지, 용안육은 단독 사용 대비, 고본 및 원지, 원지 및 용안육, 고본 및 용안육과 같이 2종 복합 사용될 경우 상처치유에 대해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3',6-디시나포일 수크로오스 및 시납산은 단독으로 상처치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고본, 원지 및/또는 용안육, 3',6-디시나포일 수크로오스, 또는 시납산의 항염증 효과 확인
고본, 원지 및/또는 용안육, 3',6-디시나포일 수크로오스, 또는 시납산의 상처치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NF-α 및 IL-6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Real time RT-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6 well plate에 실험예 1-1에서 준비한 HaCat 세포를 DMEM + 10% fetal bovine serum + 1% Penicillin-Streptomycin의 배양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의 농도로 24 시간 동안 37℃ 조건으로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배양 24 시간 후, serum free media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LPS(10㎍/㎖)를 처리하고, 37℃ 조건으로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 후, Serum free media에 실험예 1-3의 표 2와 같은 조건으로 시험물질을 처리하고 37℃ 조건으로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 시간 후, 세포 상층액을 제거한 다음, 인산완충용액(PBS)을 이용하여 세포를 세척하였다.
세척된 세포로부터 Hybrid-R RNA purification KIT를 사용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RNA를 nanodrop(Take3 Multi-Volume plate, BioTeK, Instruments, VT, USA)을 이용하여 정량한 다음, 각 실험군별로 동일한 농도(100ng/㎕)로 희석하였다. 그 후, 동량으로 희석된 RNA를 PCR을 이용하여 cDNA로 합성하고, 합성된 cDNA를 표 3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eal time RT-PCR을 통해 TNF-α 및 IL-6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기 위한 Real time RT PCR(Bio-rad, CFX96 touch)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Denature reaction 95℃, 2분; ② 95℃ 5초; ③ 60℃, 20초 + Plate Read; ④ GOTO 2, 42회 반복; ⑥ Melt Curve 65℃ to 95℃, increment 0.2℃, 5초 + Plate Read; ⑦ End.
프라이머 프라이머 염기서열(5'→3') 서열번호
TNF-α forward GCCCAGGCAGTCAGATCATCT  서열번호 1
reverse TTGAGGGTTTGCTACAACATGG  서열번호 2
IL-6 forward AATTCGGTACATCCTCGACGG 서열번호 3
reverse GGTTGTTTTCTGCCAGTGCC  서열번호 4
그 결과, 시험 물질 투여 24시간 후 TNF-α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도 2A), 유발대조군(G2) 대비 정상대조군(G1)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유발대조군(G2) 대비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TNF-α의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시험물질 단독 처리군 G3와 범용 투여군 G6 및 G7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범용투여군 G6 및 G7에서 G3 대비 TNF-α의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p<0.05). 시험물질 단독 처리군 G4와 범용 투여군 G6 및 G8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범용투여군 G6 및 G8에서 G4 대비 TNF-α의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및 p<0.001). 시험물질 단독 처리군 G5와 범용 투여군 G7 및 G8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범용투여군 G8에서 G5 대비 TNF-α의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p<0.05).
또한, 시험 물질 투여 24시간 후 IL-6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도 2B), 유발대조군(G2) 대비 정상대조군(G1)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유발대조군(G2) 대비 시험물질 투여군 G5, G6, G7, G8, G9 및 G10에서 IL-6의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시험물질 단독 처리군 G3와 범용 투여군 G6 및 G7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범용투여군 G6 및 G7에서 G3 대비 IL-6의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고본, 원지, 용안육은 단독 사용 대비, 고본 및 원지, 원지 및 용안육, 고본 및 용안육과 같이 2종 복합 사용될 경우 항염증 효과에 대해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3',6-디시나포일 수크로오스 및 시납산은 단독으로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제예 1. 크림 조성물(1)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No. 원료명 중량부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
2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4 마이크로 스탈린 납 2.0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6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7 밀납 2.0
8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2.0
9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0
10 트리(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5.0
11 액상 리놀린 5.0
12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8.0
13 스쿠알란 8.0
14 농글리세린 5.0
15 1,3-부틸렌글리콜 5.0
16 알란토인 0.1
17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0.0
18 향료 미량
19 황색4호 미량
20 정제수 잔량
제제예 2. 크림 조성물(2)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No. 원료명 중량부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2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4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6 바셀린 3.5
7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3.5
8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1.8
9 유동 파라핀 35.0
10 트리(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3.0
11 옥틸도데칸올 5.0
12 스쿠알렌 2.0
13 농글리세린 5.0
14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0
15 히아루로닉애씨드추출물 1.0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제제예 3. 로션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No. 원료명 중량부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2 스테아린산 1.0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4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
5 바셀린 1.0
6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1.5
7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1.0
8 유동 파라핀 5.0
9 스쿠알렌 5.0
10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1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2 농글리세린 5.0
13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5.0
14 트리에탄올아민 0.5
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제제예 4. 스킨로션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No. 원료명 중량부
1 글리세린 2.0
2 1,3-부틸렌글리콜 2.0
3 구연산 0.01
4 에탄올 15.0
5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6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5.0
7 향류 미량
8 위치하젤추출물 1.0
9 정제수 잔량
제제예 5. 에센스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No. 원료명 중량부
1 농글리세린 15.0
2 1,3-부틸렌글리콜 5.0
3 알란토인 0.1
4 에탄올 7.0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6 트리에탄올아민 0.15
7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8 초산토코페롤 0.5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5
10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0.0
11 향료 미량
12 정제수 잔량
제제예 6. 팩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No. 원료명 중량부
1 폴리비닐알코올 15.0
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이스나트륨 0.3
3 농글리세린 3.0
4 알란토인 0.1
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1
6 폴리에틸렌글리콜 1.0
7 에탄올 6.0
8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9 타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05
10 디엘판테놀 0.1
11 폴리옥시에틸렌(12)노닐페닐에테르 0.5
12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5.0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3


    [화학식 2]
    Figure pat00014
    .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인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에멀젼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용제, 현탁제, 팩(pack), 패치제(patch) 및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인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피부염증 또는 관절염인 것인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증은 만성 피부염증, 알레르기성 피부염증, 아토피성 피부염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질환인 것인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 또는 욕창인 것인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5


    [화학식 2]
    Figure pat00016
    .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인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인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증은 만성 피부염증, 알레르기성 피부염증, 아토피성 피부염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질환인 것인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 또는 욕창인 것인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고본, 원지 및 용안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7


    [화학식 2]
    Figure pat00018
    .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인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증은 만성 피부염증, 알레르기성 피부염증, 아토피성 피부염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질환인 것인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 또는 욕창인 것인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20087251A 2021-07-19 2022-07-15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17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846162.0A EP4374866A1 (en) 2021-07-19 2022-07-18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skin wounds or inflammation
PCT/KR2022/010422 WO2023003292A1 (ko) 2021-07-19 2022-07-18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93882 2021-07-19
KR1020210093882 2021-07-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136A true KR20230017136A (ko) 2023-02-03

Family

ID=8522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251A KR20230017136A (ko) 2021-07-19 2022-07-15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71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012A (ko) 2019-03-20 2020-10-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R)-진세노사이드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012A (ko) 2019-03-20 2020-10-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R)-진세노사이드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172B1 (ko) 황백, 어성초, 선학초,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8069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과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21847A (ko) 백미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시나프산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백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56268A (ko) 구아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48776B1 (ko) 토란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04199A (ko) 올벚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516866B1 (ko) 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70789B1 (ko) 곰보배추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0675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30120619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2222919B1 (ko)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33073B1 (ko) 세리신, 사상자 추출물 및 겨우살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30017136A (ko) 피부상처 또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37486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skin wounds or inflammation
KR101906896B1 (ko) 티몰 및 미르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604738B (zh) 含有神曲提取物的用于伤口治疗的药学组合物
KR102652809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416652B1 (ko)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68927B1 (ko) 병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주름, 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00881A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20120010983A (ko) 골쇄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0169A (ko) 갈퀴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