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612A -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 - Google Patents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612A
KR20230016612A KR1020227022088A KR20227022088A KR20230016612A KR 20230016612 A KR20230016612 A KR 20230016612A KR 1020227022088 A KR1020227022088 A KR 1020227022088A KR 20227022088 A KR20227022088 A KR 20227022088A KR 20230016612 A KR20230016612 A KR 20230016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bt
transmission
directional
channel
listen bef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링 양
리 티안
야준 자오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1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감지 빔과 송신 빔 사이의 미스매치를 방지하기 위한 리슨 비포 토크(LBT) 규칙을 포함하는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은, 통신 노드에 의해,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에너지 검출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유휴 채널을 검출하는 것, 및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유휴 채널의 검출시, 유휴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빔을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
본 특허 문서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은 점점 더 연결되고 네트워크화된 사회를 향해 세상을 이동시키고 있다. 이동 통신의 급속한 성장 및 기술에서의 발전은 용량 및 연결성에 대한 더 큰 수요로 이어졌다. 다양한 통신 시나리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는 에너지 소비, 디바이스 비용, 스펙트럼 효율성, 및 레이턴시와 같은 다른 양태도 또한 중요하다. 더 높은 서비스 품질, 더 긴 배터리 수명, 및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이 특허 문서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감지 빔과 송신 빔 사이의 미스매치를 방지하기 위한 리슨 비포 토크(listen-before-talk; LBT) 규칙을 포함하는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 특허 문서는 또한 상이한 빔 방향과 관련되는 다수의 송신을 위한 채널 점유 규칙, 송신 규칙, 및 LBT 규칙, 및 지향성 빔의 송신시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COT) 공유에 대한 LBT 규칙을 설명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은, 통신 노드에 의해,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에너지 검출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유휴 채널(idle channel)을 검출하는 것, 및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유휴 채널의 검출시, 유휴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빔을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은, 복수의 빔 방향에서 송신 이전에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 및 채널 점유 시간 동안 복수의 빔 방향 각각을 통해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은 하나 이상의 빔 방향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송신 채널을 통해 하나 이상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은, 통신 노드에 의해, 리슨 비포 토크 동작 정보를 획득하는 것, 하나 이상의 빔 방향에 대해 하나 이상의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 및 하나 이상의 빔 방향에 대한 하나 이상의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은 채널 점유 시간 내에 다운링크 송신과 업링크 송신 사이의 스위칭 윈도우를 결정하는 것, 및 스위칭 윈도우가 사전 결정된 시간 지속 기간보다 더 길거나 또는 동일하다는 결정시, 스위칭 윈도우 내의 시간에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은 송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송신 이전에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 및 수신 또는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이 실패했다는 결정시, 리슨 비포 토크 메커니즘, 리슨 비포 토크 모드, 리슨 비포 토크 프로시져를 위한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의 변경을 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지향성 빔 모드(directional beam mode), 넓은 지향성 빔 모드(wide directional beam mode), 및 무지향성 빔(omni directional beam)을 포함하는 상이한 빔 모드를 도시한다.
도 2는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 <= Thr_7 및 수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 > Thr_7의 경우에서의 노드 문제를 도시한다.
도 3은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 > Thr_7 및 수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 <= Thr_7의 경우에서의 노드 문제를 도시한다.
도 4는 모든 빔 방향에 의해 공유되는 공통 채널 점유 시간을 도시한다.
도 5는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되는 채널 점유 시간을 도시한다.
도 6은, 채널 점유 시간이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되고,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이 빔 방향에 대응하는 송신 시간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7은 몇몇 빔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되는 채널 점유 시간을 도시한다.
도 8은,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한 링크 방향 스위칭이 발생할 때까지 빔 방향을 갖는 송신이 빔 방향에 대응하는 채널을 계속 점유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9는, 이전 송신에 대한 빔 방향이 후속하는 송신에 대한 모든 빔 방향을 포함하도록 다수의 빔 방향으로 송신이 수행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은 제1, 제2, 제3, 제4 리소스에서 B#0, B#1, B#2, 및 B#3을 각각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각각의 리소스 기회마다 단일의 빔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는 시간 간격의 종료 포인트에 대해 적용되는 추가적인 LBT를 도시한다.
도 13은 DCI 시그널링 트리거에 기초하여 적용되는 추가적인 LBT를 도시한다.
도 14는 COT 공유 사례에 대한 스위칭 포인트를 도시한다.
도 15는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적용될 수 있는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국(radio station)의 일부의 블록도 표현이다.
개시된 기술은 몇몇 실시형태에서 송신 빔에서 미스매치를 검출하기 위해 그리고 그러한 미스매치 검출과 관련되는 리슨 비포 토크(LBT) 규칙 설계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또한,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이한 빔 방향과 관련되는 다수의 송신을 위한 채널 점유 규칙, 송신 규칙 및 LBT 규칙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기술은, 송신이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때 채널 점유 시간(COT) 공유에 대한 LBT 규칙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또한 몇몇 실시형태에서 LBT 실패를 핸들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5세대(5G) 뉴 라디오(new radio; NR) 네트워크의 출현으로, NR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될 폭발적인 새로운 유저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이 다가올 것이다. 유저 데이터의 이러한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스펙트럼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스펙트럼의 요건을 완화하기 위해, 전 세계에 걸친 기기 제조사 및 오퍼레이터는 리소스가 풍부하고 무료의 비허가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에 초점을 맞추고, 일련의 관련된 기술 연구 및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게다가, RAN #86 총회에서, 52.6 GHz에서부터 71 GHz까지의 NR을 지원하는 것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새로운 SI(연구 아이템)가 승인되었다. 높은 주파수 대역폭에서의 송신에서, 높은 전파 손실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거대한 안테나 엘리먼트를 사용하는 미세한 빔포밍이 필요하다. 고주파 송신에 대해서도 무지향성(omni-directional) LBT가 또한 사용되면, LBT와 송신 사이에서 방향 미스매칭이 발생한다. 이것은 노출된 노드 문제 및 은닉된 노드 문제를 종종 야기할 것이다. 따라서, 지향성 LBT를 도입될 필요가 있을 것이지만, 그러나, 지원된다면, 감지 빔과 송신 빔 사이에서 미스매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은, 몇몇 실시형태에서, 감지 빔과 송신 빔 사이의 매치를 달성하기 위한 어떤 규칙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빔포밍 송신 모드 때문에, 소정의 범위에서 서빙 UE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예를 들면, gNB)은 상이한 방향을 향해 상이한 빔을 송신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시간 단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gNB는 다중 DL 송신의 시작시 한 번만 지향성 LBT를 수행하며, MCOT 내의 몇몇 빔은 점유되지 않은 채널을 경험할 수도 있고 다른 빔은 다른 공존 노드로부터 더 높은 간섭을 갖는 채널을 조우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은,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송신을 위한 새로운 LBT 규칙 및 송신 규칙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COT 공유 사례의 경우, gNB 및 UE 둘 모두는 LBT 및 데이터 송신을 위해 좁은 빔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상이한 빔 폭 및 빔 방향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한 피쳐를 위해, COT 공유에 대한 몇몇 규칙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통신 노드(예를 들면, 기지국 또는 유저 기기(user equipment; UE))가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를 사용하여 채널에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 그러면, 다음 번 송신 기회 이전에 채널 액세스를 구현하는 방법이 시급한 문제가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개시된 기술은, 몇몇 실시형태에서,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는 완화하기 위한 몇몇 실현 가능하고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특허 문서의 맥락에서, 용어 "노드" 또는 "통신 노드"는 유저 기기(UE)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gNB와 같은 기지국(base station; BS)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특허 문서의 몇몇 구현예에서, LBT 모드는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지향성 LBT, 무지향성 LBT, 넓은 빔 기반의 LBT, 다중 빔 기반의 LBT. 여기서, LBT 모드는 또한 무지향성 LBT, 단일 빔 지향성 LBT, 다중 빔 지향성 LBT, 넓은 빔 지향성 LBT,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특허 문서의 몇몇 구현예에서, LBT 타입은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LBT 없음(No LBT), Cat2 LBT, Cat3 LBT, Cat4 LBT, 다중 Cat2 LBT. 몇몇 구현예에서, Cat2 LBT는 시간 도메인의 상이한 지속 기간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지속 기간은 0.5 ㎲, 1 ㎲, 2 ㎲, 3 ㎲, 4 ㎲, 5 ㎲, 6 ㎲, 7 ㎲, 8 ㎲, 언급된 값의 임의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실시형태 1
이 실시형태는 CCA(Clear Channel Assessment; 클리어 채널 평가)의 에너지 검출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CCA 에너지 검출은 다음의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대안예 1: CCA 에너지 검출은 송신 빔(들)에 기초한다.
대안예 2: CCA 에너지 검출은 수신된 빔(들)에 기초한다.
대안예 1 및 대안예 2의 경우, 하나 이상의 노드가 송신을 전송하기 이전에 송신/수신 빔(들)에서 채널(들)을 유휴 상태로서 검출하면, 그러면, 하나 이상의 노드는 송신 빔(들)에서 하나 이상의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하나 이상의 노드가 송신/수신 빔(들)에서 채널(들)을 사용 중으로 검출하는 경우, 하기에서 논의되는 실시형태 9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송신/수신 빔 모드는 상이한 CCA 검출 임계치에 관련되거나, 또는 하기의 실시형태 2에서 논의될 바와 같이 정상 CCA 검출 임계치에 추가하여 새로운 CCA 검출 임계치가 도입될 수 있다.
대안예 3: CCA 에너지 검출은 송신 빔 및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다. 게다가, 노드(들)가 송신 빔 상에서 송신을 전송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하기의 실시형태 3에서 논의될 바와 같은 몇몇 규칙에 의존할 수도 있다. CCA 에너지 검출의 모드는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RRC 시그널링, 물리 계층 DCI 시그널링, 사전 정의됨.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의 대안예 1 또는 대안예 2에 기초하여, 이 실시형태는 더욱 상세한 설계 및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사례 1: 상이한 송신/수신 빔 모드는 상이한 CCA 검출 임계치에 관련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CCA 검출 임계치는 빔 각도 및/또는 빔 폭의 함수일 수 있다.
도 1은 지향성 빔 모드, 넓은 지향성 빔 모드 및 무지향성 빔을 포함하는 상이한 빔 모드를 도시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송신/수신 빔 모드는 지향성 빔(또는 좁은 지향성 빔), 또는 넓은 지향성 빔, 또는 무지향성 빔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지향성 빔(Thr_1) 및 넓은 지향성 빔(Thr_2)에 대한 CCA 검출 임계치는 빔 각도 및/또는 빔 폭의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향성 빔은 Thr_1로 마킹되는 지향성 빔 기반의 CCA 검출 임계치에 대응한다; 넓은 지향성 빔은 Thr_2로 마킹되는 넓은 지향성 빔 기반의 CCA 검출 임계치에 대응한다; 무지향성 빔은 Thr_3으로 마킹되는 무지향성 빔 기반의 CCA 검출 임계치에 대응한다.
송신/수신 빔이 지향성 빔 모드에 있는 경우, 노드는, 송신 빔 상에서 송신을 전송하기 이전에 지향성 빔 기반의 CCA 검출 임계치(Thr_1)에 기초하여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를 수행한다. 송신/수신 빔 내의 검출된 에너지가 지향성 빔 기반의 CCA 검출 임계치(Thr_1)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채널은 유휴 상태로 결정되고(즉, 이용 가능함) 노드는 송신 빔 상에서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송신/수신 빔 내의 검출된 에너지가 지향성 빔 기반의 CCA 검출 임계치(Thr_1)보다 더 큰 경우, 채널은 사용 중으로 결정되고(즉, 이용 가능하지 않음) 노드는 송신 빔 상에서 송신을 전송할 수 없다.
수신된 빔에 대한 넓은 지향성 빔 모드 또는 무지향성 빔 모드에 동일한 또는 유사한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사례 2: 새로운 CCA 검출 임계치를 도입한다. 이 새로운 임계치는 에너지 검출 빔과 송신 빔 사이에서 미스매치가 있는 경우를 위해 정의된다.
어떤 수신 빔 모드가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노드는, 이 새로운 CCA 검출 임계치에 의해 현재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의 여부만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수신된 빔 내의 검출된 에너지가 새로운 CCA 검출 임계치(Thr_4로 마킹됨)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채널은 유휴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노드는 송신 빔 상에서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수신된 빔 내의 검출된 에너지가 새로운 CCA 검출 임계치(Thr_4)보다 더 큰 경우, 채널은 사용 중인 것으로 결정되고 노드는 송신 빔 상에서 송신을 전송할 수 없다.
사례 3: 정상 CCA 검출 임계치 및 새로 도입된 CCA 검출 임계치의 조합.
예를 들면, 수신된 빔 내의 검출된 에너지가 정상 CCA 검출 임계치(Thr_5)보다 더 큰 경우, 그것은 송신 빔에 대응하는 현재 채널이 이용 가능하지 않은지의 여부를 바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된 빔 내의 검출된 에너지가 새로운 CCA 검출 임계치(Thr_6)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지의 여부를 계속 평가한다. 이 조건을 충족하면, 노드는 채널을 유휴 상태로 결정할 수 있고 송신 빔 상에서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의 대안예 3에 기초하여, 이 실시형태는 더 상세한 설계 및 설명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들 스킴(scheme)의 핵심 아이디어는, 송신 빔 및 수신 빔에 대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 빔 상의 현재 채널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몇몇 규칙을 설계하는 것이다. 즉, 노드는 송신 빔 상에서 송신을 전송하기 이전에 송신 빔과 수신 빔에 대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한다. 하기에서 논의될 바와 같이, CCA 성공 결정 또는 송신 빔의 채널을 유휴 상태로 결정하는 것에 대한 특정한 규칙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1: 하기의 테이블 1의 행 1-4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나의 CCA 검출 임계치만을 설정한다. 핵심 아이디어는, 송신 빔 및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마킹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한, 그러면, 송신 빔 상의 채널은 유휴 상태 또는 이용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고 노드는 송신 빔 상에서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송신 빔 및 수신 빔 둘 모두에서 검출된 에너지가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큰 경우, 송신 빔 상의 현재 채널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면, 하기에서 논의될 바와 같이 규칙 1-8이 적용될 수 있다.
규칙 1: 노드가 송신 빔 및 수신 빔에 대해 채널 액세스 동작을 수행할 때,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하고, 그리고 수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이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송신 빔 상의 채널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유휴 상태(이용 가능함)로서 간주될 수 있다.
규칙 2: 노드가 송신 빔 및 수신 빔에 대해 채널 액세스 동작을 수행할 때,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하지만, 그러나 수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큰 경우, 그러면, 송신 빔 상의 채널은 유휴 상태(이용 가능함)로서 식별될 수 있다.
몇몇 상황에서, 이 방법은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노출된 노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고, 따라서, CCA 평가는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에 기초한다. 게다가, 노출된 노드 문제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송신 빔 및 수신 빔 방법에서 CCA 검출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는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 <= Thr_7 및 수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 > Thr_7의 경우에서의 노드 문제를 도시한다.
규칙 3: 노드가 송신 빔 및 수신 빔에 대해 채널 액세스 동작을 수행할 때,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크지만, 그러나 수신 빔에서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그러면, 송신 빔 상의 채널은 유휴 상태(이용 가능함)로서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은, 송신 빔 내에 있고 수신 빔 외부에 있는 영역에서 간섭이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송신 빔 상의 채널의 이용 가능성이 수신 빔에서 검출되는 에너지에 의해서만 평가될 때 은닉된 노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이중 CCA 검출 임계치의 설정 또는 수신 노드 지원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도 3은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 > Thr_7 및 수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 <= Thr_7의 경우에서의 노드 문제를 도시한다.
규칙 4: 노드가 송신 빔 및 수신 빔에 대해 채널 액세스 동작을 수행할 때,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크고, 수신 빔에서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큰 경우, 그러면, 송신 빔 상의 채널은 사용 중(이용 불가능함)으로서 식별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이 경우에 대해, 이중 CCA 검출 임계치가 고려/사용될 수 있다.
방법 2: 하기의 테이블 1의 행 5 내지 8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중 CCA 검출 임계치를 설정한다.
규칙 5: 노드가 송신 빔 및 수신 빔에 대해 채널 액세스 동작을 수행할 때,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하고, 수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큰 경우. 게다가, 송신 빔 및 수신 빔에서 검출되는 에너지의 차이가 Thr_8로 라벨링되는 추가적인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그러면, 송신 빔 상의 채널은 유휴 상태(이용 가능함)로서 식별될 수 있다.
규칙 6: 노드가 송신 빔 및 수신 빔에 대해 채널 액세스 동작을 수행할 때,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하고, 수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큰 경우. 게다가, 송신 빔 및 수신 빔에서 검출되는 에너지의 차이가 Thr_8로 라벨링되는 추가적인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큰 경우, 그러면, 송신 빔 상의 채널은 사용 중(이용 불가능함)으로서 식별될 수 있다.
규칙 7: 노드가 송신 빔 및 수신 빔에 대해 채널 액세스 동작을 수행할 때,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크고, 수신 빔에서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게다가, 송신 빔 및 수신 빔에서 검출되는 에너지의 차이가 Thr_8로 라벨링되는 추가적인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그러면, 송신 빔 상의 채널은 유휴 상태(이용 가능함)로서 식별될 수 있다.
규칙 8: 노드가 송신 빔 및 수신 빔에 대해 채널 액세스 동작을 수행할 때, 송신 빔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크고, 수신 빔에서 검출된 에너지가 Thr_7로 라벨링되는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게다가, 송신 빔 및 수신 빔에서 검출되는 에너지의 차이가 Thr_8로 라벨링되는 추가적인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큰 경우, 그러면, 송신 빔 상의 채널은 사용 중(이용 불가능함)으로서 식별될 수 있다.
상기의 추가적인 CCA 검출 임계치는 또한 CCA 검출 임계치(Thr_7)에 대한 새로운 임계치로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송신 빔에서 검출되는 에너지 및 수신 빔에서 검출되는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가 새로운 검출 임계치(Thr_8)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그러면, 송신 빔 상의 채널은, 테이블 1의 행 9 내지 14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유휴 상태(이용 가능함)로서 식별될 수 있다.
테이블 1: CCA 검출에 대한 규칙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실시형태 4
지향성 LBT 구성의 사례의 경우, 노드가 성공적인 LBT를 수행하면, 그러면, 대응하는 빔 방향에서 채널 점유 시간이 개시될 수 있다. 빔 스위칭 사례의 경우, 이 문제는, 노드가 또한 스위칭된 빔 방향에서 점유 시간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 스위칭된 빔 방향에 어떤 타입의 LBT 메커니즘이 사용되어야 하는지, 각각의 빔 방향에 대응하는 채널 점유(들)가 공통 채널 점유 시간을 가져야 하는지 또는 채널 점유 시간을 각각 가져야 하는지의 여부, 및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한 채널 점유 시간이 얼마나 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의 해결책을 제공한다.
상이한 빔 방향 사례의 경우, 채널 점유 시간은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대안예 1: 공통 채널 점유 시간.
구체적으로, 모든/각각의 빔 방향(들) 및/또는 모든/각각의 주파수 캐리어(들)/하위 대역(들)/RB 세트(들)/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은 공통 채널 점유 시간을 공유할 수 있다. 공통 채널 점유 시간은 제1 성공적인 LBT 동작에 관련되거나 또는 모든 캐리어(들)/하위 대역(들)/RB 세트(들)/대역폭 부분(BWP)에 대한 랜덤 선택 또는 채널 점유 시간 중 최대/최소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LBT는 "백오프(back-off)" LBT 메커니즘 또는 "백오프 없음" LBT 메커니즘, 예를 들면, Cat4 LBT, 향상된 Cat4 LBT, 하나의 또는 다중 Cat2 LBT, LBT 없음일 수 있다. LBT가 구성되는 경우 그러면, LBT와 채널 점유 시간 사이의 관계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LBT 동작은,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다중 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향상된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LBT에 대한 빔 방향, LBT에 대한 빔 폭, LBT에 대한 빔 패턴/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4는 모든 빔 방향에 의해 공유되는 공통 채널 점유 시간을 도시한다.
단일의 주파수 캐리어(들)/하위 대역(들)/RB 세트(들)/대역폭 부분(BWP)을 예로서 고려하면, 스위칭 빔의 경우, 스위칭 빔과 관련되는 채널 점유 시간은 개시된 공통 채널 점유의 빔에 대응하는 나머지 채널 점유 시간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통 채널 점유 시간은 모든 빔 방향에 의해 공유된다. 옵션 사항으로, 이 방법에서, 제1 빔에 대해, Cat4 LBT 또는 향상된 Cat4 LBT 또는 하나의 또는 다중 Cat2 LBT 또는 LBT 없음이 적용될 수 있다. 후속하는 빔의 경우, 몇몇 구현예에서, 하나의 또는 다중 Cat2 LBT 또는 LBT 없음이 적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LBT(예를 들면, 단일의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와 같은 Cat2 LBT, 또는 LBT 없음)가 구성되면, 그러면, LBT와 채널 점유 시간의 관계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되는 채널 점유 시간을 도시한다.
대안예 2: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채널 점유 시간은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된다.
이 방법에서, 채널 점유 시간은 LBT 동작에 관련된다. 여기서, LBT 동작은,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다중 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향상된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LBT에 대한 빔 방향, LBT에 대한 빔 폭, LBT에 대한 빔 패턴/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옵션 사항으로, 이 방법에서, 제1 빔에 대해, Cat4 LBT 또는 향상된 Cat4 LBT 또는 하나의 또는 다중 Cat2 LBT 또는 LBT 없음이 적용될 수 있다. 후속하는 빔의 경우, 몇몇 구현예에서, 하나의 또는 다중 Cat2 LBT 또는 LBT 없음이 적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LBT(예를 들면, 단일의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와 같은 Cat2 LBT, 또는 LBT 없음)가 구성되면, 그러면, LBT와 채널 점유 시간의 관계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상이한 LBT 메커니즘은 상이한 채널 점유 시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은, 채널 점유 시간이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되고,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이 빔 방향에 대응하는 송신 시간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대안예 3: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채널 점유 시간은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되며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은 빔 방향에 대응하는 송신 시간에 관련된다.
예를 들면, 노드는 리소스 #0에서 빔 #0을 사용하여 송신을 전송하고, 그 다음, 빔 #0에 대응하는 채널 점유 시간은 리소스 #0에 대응하는 시간 지속 기간이다.
제1 빔의 경우, Cat4 LBT 또는 향상된 Cat4 LBT 또는 하나의 또는 다중 Cat2 LBT 또는 LBT 없음이 적용될 수 있다. 후속하는 빔의 경우, 몇몇 구현예에서, 하나의 또는 다중 Cat2 LBT 또는 LBT 없음이 적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LBT(예를 들면, 단일의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와 같은 Cat2 LBT, 또는 LBT 없음)가 구성되면, 그러면, LBT와 채널 점유 시간 사이의 관계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다른 예로서, 테이블 2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DL 송신을 위해 3 개의 빔 인덱스가 각각 사용되며 각각의 빔 방향은 시간 도메인 기회를 점유할 수 있다.
테이블 2: 빔 및 시간 리소스 인덱스와 관련되는 빔 인덱스 및 채널 점유 시간 길이 사이의 관계
Figure pct00003
도 7은 몇몇 빔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되는 채널 점유 시간을 도시한다.
대안예 4: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채널 점유 시간은 몇몇 빔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되고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은 몇몇 빔 방향에 대응하는 송신 시간에 관련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채널 점유 시간은 사전 정의된 방식 또는 LBT 메커니즘과 점유 시간 사이의 관계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 방법의 경우, LBT를 수행하는 것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게다가, 공간 재사용을 지원하는 것에 대한 이점이 있다.
제1 그룹 빔의 경우, Cat4 LBT 또는 향상된 Cat4 LBT 또는 하나의 또는 다중 Cat2 LBT 또는 LBT 없음이 적용될 수 있다. 후속하는 빔의 경우, 몇몇 구현예에서, 하나의 또는 다중 Cat2 LBT 또는 LBT 없음이 적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LBT(예를 들면, 단일의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와 같은 Cat2 LBT, 또는 LBT 없음)가 구성되면, 그러면, LBT와 채널 점유 시간 사이의 관계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옵션 사항으로, 단일 또는 다중 빔 LBT 모드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방법은 하나의 또는 다수의 주파수 캐리어(들)/하위 대역(들)/RB 세트(들)/대역폭 부분(BWP) 사례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 5
개시된 기술은, 몇몇 실시형태에서, 채널 점유 시간 내에서 채널의 권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송신을 위해 상이한 빔 방향이 사용되는 경우, 노드는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대안예 1: 일단 노드가 하나 이상의 빔 방향을 가지고 송신을 전송하기 시작하면, 그러면, 이 빔 방향(들)은, 링크 방향 스위칭이 발생할 때까지, 또는 하나 이상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송신을 계속 전달할 것이다.
도 8은,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한 링크 방향 스위칭이 발생할 때까지 빔 방향을 갖는 송신이 빔 방향에 대응하는 채널을 계속 점유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BS)은 대안예 1의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예로서 고려되고, BS는 제1, 제2, 제3 및 제4 송신 기회에 B#0, B#1, B#2 및 B#3을 각각 송신한다는 것이 가정된다.
제1 송신 기회에, BS는, B#0 방향으로 채널이 점유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B#0에서만 송신을 전송하고, 그 다음, 제2 송신 기회에, BS는 B#0 및 B#1에서 동시에 송신을 전송한다. 유사하게, B#0 및 B#1에 대응하는 채널이 점유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 송신 기회에, BS는 B#0, B#1 및 B#3에서 동시에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후속하는 송신 기회에서도 동일한 방법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옵션 사항으로, DL 송신의 수신에 따라, UE는 수신 DL을 위한 최상의 수신 빔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채널 점유의 관점에서, 이 방법은 무지향성 LBT에 또한 기초할 수 있다.
옵션 사항으로, Cat4 LBT 또는 향상된 Cat4 LBT 또는 하나의 또는 다중 Cat2 LBT 또는 LBT 없음이 적용될 수 있다. 단일 빔 LBT 또는 다중 빔 LBT가 적용될 수 있다.
옵션 사항으로, 노드는, 소정의 빔 인덱스 이전에 추가적인 LBT를 도입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제2 리소스 기회에서, 노드는 빔 인덱스 #1에서 추가적인 LBT를 수행할 수도 있다.
대안예 2: 노드는 다수의 빔 방향을 사용하여 송신을 전송하고 송신을 위한 빔 방향은 현재의 송신 및 후속하는 송신에 대응하는 모든 빔 방향을 포함한다.
도 9는, 이전 송신에 대한 빔 방향이 후속하는 송신에 대한 모든 빔 방향을 포함하도록 다수의 빔 방향으로 송신이 수행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BS)은 대안예 2의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예로서 고려되고, BS는 제1, 제2, 제3 및 제4 리소스에서 B#0, B#1, B#2 및 B#3을 각각 송신한다는 것이 가정된다.
LBT를 수행하는 것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몇몇 송신 규칙이 고려될 수 있다.
제1 송신 기회에, BS는 B#0, B#1, B#2 및 B#3에서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송신 기회에, BS는 B#1, B#2 및 B#3에서 동시에 송신을 전송하기만 하면 된다. 유사하게, 제3 송신 기회에, BS는 B#2 및 B#3에서 동시에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후속하는 송신 기회에서도 동일한 방법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Cat4 LBT 또는 향상된 Cat4 LBT 또는 하나의 또는 다중 Cat2 LBT 또는 LBT 없음, 및/또는 단일 빔 LBT 또는 다중 빔 LBT가 송신의 시작 포인트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LBT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그러면, 후속하는 송신은 LBT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대안예 3: 처음 M 개의 빔 방향에 대해, 나머지 N - M 개의 빔 방향에 대해, 대안예 2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제2, 제3, 제4 리소스에서 B#0, B#1, B#2, 및 B#3을 각각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BS)은 대안예 3의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예로서 고려되고, BS는 제1, 제2, 제3 및 제4 리소스에서 B#0, B#1, B#2 및 B#3을 각각 송신한다는 것이 가정된다.
LBT를 수행하는 것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몇몇 송신 규칙이 고려될 수 있다.
처음 두 개의 송신 기회에 대해, BS는 제1 송신 기회에서 B#0, B#1을 사용하여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한편, 제2 송신 기회에서 B#1을 사용하여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나머지 두 개의 송신 기회에 대해, BS는 제3 송신 기회에서 B#2, B#3을 사용하여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한편, 제4 송신 기회에서 B#3을 사용하여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Cat4 LBT 또는 향상된 Cat4 LBT 또는 하나의 또는 다중 Cat2 LBT 또는 LBT 없음, 및/또는 단일 빔 LBT 또는 다중 빔 LBT가 처음 M 개의 송신의 시작 포인트에 대해, 나머지 N - M 개의 송신의 시작 포인트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LBT가 성공하면, 그러면, 나머지 송신은 처음 M 개의 송신, 나머지 N - M 개의 송신 내에서 LBT 없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각각의 리소스 기회마다 단일의 빔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대안예 4: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리소스 기회마다 단일의 빔이 송신된다. 개시된 기술은 하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몇몇 실시형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형태 6
이 실시형태는 하나의 또는 다수의 빔 방향을 갖는 다중 DL/UL 송신(들)을 위한 LBT 규칙을 제공할 것이다.
다중 DL 송신 사례의 경우, 상이한 빔 방향을 DL 송신의 횟수를 고려하면, 각각의 DL 송신 이전에 LBT가 적용되면, 그러면, LBT 동작을 수행하는 것의 오버헤드는 상당히 커질 것이다. 이것에 기초하여, 다음의 방법 중 하나가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인 방법: 빔을 스위칭하기 이전에, 지향성 LBT가, 구성되는 경우, 수행된다. 이 방법은 LBT의 과도한 오버헤드를 야기할 수도 있고 채널을 상실할 확률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방법 1: 제1 송신 이전에, 하나의 또는 다중 빔 기반의 LBT가, 구성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옵션 사항으로, LBT가 하나 이상의 빔 방향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그러면, 노드는 LBT 성공 빔 방향(들) 중 하나 이상에서 송신을 전송한다. LBT 성공 빔 방향(들)이 의도된 송신의 빔 방향(들)을 완전히 포괄하지 않는 경우, 그러면, 추가적인 LBT가 도입될 수 있다. 추가적인 LBT는 단일의 지향성 LBT, 또는 다중 빔 기반의 LBT, 또는 더 넓은 빔 기반의 LBT일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LBT를 수행하는 횟수는 송신 빔의 개수에 관련되고, 및/또는, LBT 결과는 LBT 모드, 및/또는 LBT 모드에 대응할 수도 있다.
옵션 사항으로, 노드는 지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 예를 들면, 이용 가능한/이용 가능하지 않은 빔 지시, 빔 방향에 대한 채널 점유 시간, 빔 스위칭 정보, 상기의 것의 조합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시간의 소정의 기간에 어떤 빔 방향이 점유되는지를 주변 노드에게 통지하기 위한 사전 보호 메커니즘과 동등한데, 이것은 공간 재사용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방법 2: 제1 송신 이전에, 더 넓은 빔 기반의 LBT가, 구성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옵션 사항으로, LBT 성공에 대응하는 더 넓은 빔 범위가 모든 송신 방향을 완전히 포괄하지 못하는 경우, 그러면, 추가적인 LBT가 도입될 수 있다. 추가적인 LBT는 단일의 지향성 LBT, 또는 다중 빔 기반의 LBT, 또는 더 넓은 빔 기반의 LBT일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LBT를 수행하는 횟수는 송신 빔의 개수에 관련되고, 및/또는, LBT 결과는 LBT 모드, 및/또는 LBT 모드에 대응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노드는 이 더 넓은 빔 정보를 이웃 노드에게 통지할 수 있다. 다른 시스템이 공존하는 경우, 노드는 현재의 미사용된/사용된 빔 방향으로 정보를 예약할 수 있거나 또는 송신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이점은 LBT를 수행하는 것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게다가, 노드는 시간 기회에 이용 가능한/이용 가능하지 않은 빔 정보를 또한 통지할 수 있다.
도 12는 시간 간격의 종료 포인트에 대해 적용되는 추가적인 LBT를 도시한다.
방법 3: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간 간격 또는 타이머를 정의한다. 옵션 사항으로, 그것은 LBT 모드, 및/또는 LBT 메커니즘 및/또는 RRC 시그널링 및/또는 DCI 시그널링 및/또는 사전 정의됨에 관련되거나, 또는 시간 간격의 길이는 간섭 상태 정보의 통계치에 관련될 수 있다.
시간 간격 또는 타이머 내에서, 노드는 LBT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시간 간격 또는 타이머의 외부에서/시작시, (추가적인) LBT 동작이 도입된다. 여기서, LBT 동작은,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다중 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향상된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LBT에 대한 빔 방향, LBT에 대한 빔 폭, LBT에 대한 빔 패턴/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시간 간격은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인에이블될 수 있다: RRC 시그널링, DCI 시그널링, 사전 정의됨. 예를 들면, 시간 간격은 RRC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되지만, 그러나 DCI 시그널링에 의해 인에이블된다; 또는 시간 간격은 RRC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되고 인에이블된다; 시간 간격은 RRC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되며, 시간 간격이 인에이블되는지의 여부는 LBT 모드 및/또는 LBT 메커니즘에 의존한다.
시간 간격의 세분성(granularity)은 심볼 레벨, 또는, 슬롯 레벨, 또는 서브프레임 레벨, 또는 미니 슬롯 레벨일 수 있다.
방법 4: LBT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노드는, 시그널링/이벤트 트리거를 수신하지 않는 한, 송신 동안 LBT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DCI 시그널링, 또는 타이머 만료가 임계치에 도달한다. 옵션 사항으로, 임계치는 빔 스위칭의 횟수일 수 있다. 또는 노드가 LBT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시그널링/이벤트 트리거를 수신하지 않는 한, 송신 이전에 LBT 없음이 적용된다.
다시 말하면, 일단 노드가 시그널링/이벤트 트리거를 수신하면, 그러면, 그것은 송신 이전에 추가적인 LBT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추가적인 LBT는 하나의 또는 K 개의 Cat2 LBT, 및/또는 지향성 LBT 또는 다중 빔 기반의 LBT일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수행될 K 개의 Cat2 LBT 각각은 동일한 방향 빔 또는 상이한 빔 방향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의 경우, 추가적인 LBT가 단일 빔 LBT이면, 그러면, 그것의 빔 방향은 다음 번 송신에 대응하는 빔 방향, 또는 후속하는 송신에 대응하는 빔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추가적인 LBT가 다중 빔 기반의 LBT인 경우, 그것의 빔 방향은 후속하는 송신에 대응하는 빔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추가적인 LBT가 넓은 빔 기반의 LBT인 경우, 그것의 빔 방향은 후속하는 송신의 방향을 적어도 포함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어떤 타입의 LBT 모드 및/또는 빔 방향이 사용되는지는 DCI 시그널링, 및/또는 디폴트 방법, 및/또는 나머지 채널 또는 빔 정보에 의존한다.
도 13은 DCI 시그널링 트리거에 기초하여 적용되는 추가적인 LBT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도 1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추가적인 LBT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DCI 트리거를 예시하기 위해 무지향성 LBT가 예로서 취해진다.
노드가 그러한 DCI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그러면, 노드는 추가적인 LBT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고, DCI 시그널링이 수신되지 않으면, 그러면 노드는 송신을 계속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추가적인 LBT에 대응하는 LBT 모드는 사전 정의된 구성, 또는 DCI 시그널링 지시일 수 있다. 게다가, DCI 시그널링은 LBT 모드, LBT 타입, LBT 동작을 위한 리소스, LBT를 위한 빔 모드, LBT를 위한 빔 방향/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형태 7
이 실시형태는, 주로, 채널 점유 시간 공유 사례에 대해 하나의 스위칭 포인트를 도입할 것이다.
도 14는 COT 공유 사례에 대한 스위칭 포인트를 도시한다.
도 1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DL과 UL, 또는 UL과 DL 사이의 스위칭 포인트에 대해, 노드(예를 들면, 기지국 또는 UE)는 DL 또는 UL 송신 이전에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LBT 동작은, LBT 모드, LBT 메커니즘, LBT 동작을 위한 빔 패턴/인덱스, 상기한 것과 등가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LBT 동작을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는 DL과 UL, 또는 UL과 DL 사이의 갭 길이에 관련되고, 및/또는, DCI 시그널링 또는 UCI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 및/또는 송신이 보호 시간 간격/COT 공유/빔 커버리지 범위에 위치하는지의 여부에 관련된다.
사례 1: LBT 동작은 DL과 UL, 또는 UL과 DL 사이의 갭 길이에 달려 있다.
DL과 UL, 또는 UL과 DL 사이의 갭이 제1 값까지이면, 그러면, 노드는 어떠한 LBT 동작도 수행하지 않으면서 UL 또는 DL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DL과 UL, 또는 UL과 DL 사이의 갭이 제1 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1 값보다 더 크고 제2 값보다 더 작거나, 또는 제2 값보다 더 크거나, 또는 제2 값과 동일하면, 그러면, 노드는 송신 이전에 지향성 LBT를 수행할 수 있다.
DL과 UL, 또는, UL과 DL 사이의 갭이 제1 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1 값보다 더 크고 제2 값보다 더 작거나, 또는 제2 값보다 더 크거나, 또는 제2 값과 동일하고, 어떤 추가적인 정보와 결합되는 경우, 그러면, 노드는 어떠한 LBT 동작도 수행하지 않고 UL 또는 DL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추가적인 정보는 측정 및/또는 보고 결과, 및/또는 DCI 지시 정보, 및/또는 교환 정보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값은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1 ㎲, 2 ㎲, 3 ㎲, 4 ㎲, 0.5, 상기한 값의 임의의 조합 값. 제2 값은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5 ㎲, 6 ㎲, 7 ㎲, 8 ㎲, 9 ㎲, 0.5 ㎲, 상기한 값의 임의의 조합 값.
사례 2: LBT 동작은 DCI 시그널링의 지시에 달려 있거나, 또는 UCI 정보에 기초한다.
DCI 또는 UCI가 LBT 메커니즘, LBT 모드, 빔 인덱스 또는 빔 패턴, 보호 시간 간격/COT 공유/빔 커버리지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경우, 그러면, 노드는 DCI 지시 또는 UCI 정보에 기초하여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송신이 보호 시간 간격/COT 공유/빔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DCI 또는 UCI가 나타내지 않는 경우, 그러면, 노드는 사전 정의된 방식 또는 DCI 시그널링 또는 UCI 지시에 기초하여 LBT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송신이 보호된 시간 간격 내에 있다는 것을 노드가 알고 있는 경우, 노드는 DCI 또는 UCI 정보에 기초한 또는 사전 정의되는 보호 시간 간격의 시작 포인트에서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노드는 송신 이전에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노드가 DCI 또는 UCI 정보에 따라 LBT 동작을 수행한다는 지시를 수신하면, 노드는 수신된 DCI 또는 UCI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UE 측의 경우, LBT 동작이 DCI 시그널링에 의해 UE에게 지시되거나 또는 디폴트 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UE는 지시된 방식 또는 디폴트 방식 사이에서 LBT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디폴트 방식은 UE 그 자체에 의해 결정되는 LBT 동작일 수 있거나 또는 디폴트 구성일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몇몇 구현예에서, LBT 메커니즘, LBT 모드, 빔 인덱스, 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개별적으로 인코딩될 수 있거나 또는 공동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LBT 메커니즘은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LBT 없음, 지속 기간(D1)을 갖는 Cat2 LBT, 지속 기간(D2)을 갖는 Cat2 LBT, 지속 기간(D1)을 갖는 다중 Cat2 LBT, 지속 기간(D2)을 갖는 다중 Cat2 LBT, Cat4 LBT, 향상된 Cat4 LBT. LBT 모드는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무지향성 LBT, 단일 빔 지향성 LBT, 다중 빔 지향성 LBT, 더 넓은 빔 기반의 LBT. 옵션 사항으로, Cat2 LBT를 수행하는 횟수는 DCI/UCI, 및/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사전 정의될 수 있다.
게다가, 빔 폭 및/또는 방향은 노드 그 자체 또는 기지국 구성 또는 구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실시형태 8
개시된 기술은 채널 점유 시간 공유 사례에 대한 다수의 스위칭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해 몇몇 실시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는 UE와의 COT 공유를 개시한 기지국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포인트의 경우, UE가 채널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그러면, 기지국에 의해 점유되는 현재의 COT는 소실되거나 또는 사전 종료될 것이다. 이것은 획득된 채널 점유 시간을 유지하는 데 그리고 리소스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제1 스위칭 포인트에서는, UL 송신 이전에 짧은 지속 기간 및 지향성 LBT를 갖는 Cat2 LBT 또는 LBT 없음이 적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빔 방향 및/또는 빔 폭은 제1 송신 또는 처음 M 개의 송신의 것과 동일하다.
예를 들면, UE1 및 UE2는 각각 상이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스케줄링되거나 또는 구성된다는 것이 가정된다(예를 들면, UE1이 UE2 앞에 있음). 채널을 소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UE1은 LBT 동작을 수행하는 것 및 송신을 전송하는 것을 할 수 없다. 게다가, DL과 UL 사이의 갭이 제1 값보다 더 작거나 또는 동일하면, 그러면, UE1에 대해 LBT 없음이 사용될 수 있다. UE2의 경우, 몇몇 구현예에서, UE2는 단순화된/향상된 지향성 LBT,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빔 방향 및 Cat2 LBT 메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UE2는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없거나 또는 "LBT 없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스위칭 포인트의 경우, 기지국 송신을 위해 어떤 타입의 LBT가 사용되어야 하는지가 결정된다. 기지국은 LBT 없음 또는 하나 이상의 Cat2 LBT 메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다. 이 Cat2 LBT는 단일 빔 지향성 Cat2 LBT, 또는 다중 빔 지향성 Cat2 LBT, 또는 넓은 빔 지향성 LBT일 수 있고, 그에 의해, 채널 액세스의 확률이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상기의 방법은, 만약 있다면, 다음 번 스위칭 포인트에 적용될 수 있고, UE는 기지국과 COT 공유를 개시하였다. 제1 스위칭 포인트의 경우, DL 송신 이전에, LBT 없음 또는 하나 이상의 단일 빔 지향성 Cat2 LBT 또는 다중 빔 지향성 Cat2 LBT 또는 넓은 빔 지향성 Cat2 LBT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스위칭 포인트, LBT 없음 또는 하나의 또는 다중 빔 지향성 Cat2 LBT는 UL 송신 이전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 9
이 실시형태는 송신 또는 LBT 실패에 대한 몇몇 핸들링 방법을 주로 제공한다.
타겟 노드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실패가 발생하기 이전에 노드가 채널에 액세스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노드에 대한 송신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재송신 또는 송신 실패 사례의 경우, 그러면, 다음의 방법 중 적어도 하나가 고려될 수 있다:
방법 1: 다음의 것: LBT 메커니즘, LBT 모드, LBT에 대한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거나, 또는 이전 송신과 동일한 LBT 동작을 사용한다. 변경은, 시그널링 정보 지시, 또는 타이머 만료 또는 시간 간격의 종료 포인트 및/또는 노드의 성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거나, 또는 이벤트 트리거링에 기초한다. 여기서, 이벤트 트리거링은, 소정의 시간에서의 통계 값, 또는 LBT 또는 송신 또는 수신에 대한 성공/실패 시간 및 등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송신 또는 재송신 이전에, 노드는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다중 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리슨 비포 토크 메커니즘은 LBT 없음, Cat4 LBT, 향상된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리슨 비포 토크 모드는 지향성 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또는 다중 지향성 L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또는 다수의 송신의 경우, 노드가 타겟 노드에 대해 수신 실패가 발생하거나 또는 채널 액세스에 실패하면, 그러면, 그것은 다음 번 송신 기회에서 송신을 시도하거나 또는 채널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LBT 동작은 이전 송신, 예를 들면, LBT 메커니즘, LBT 모드, 빔 방향과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그들과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드가 송신을 전송하기 위해 LBT 없음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가정한다. 노드가 시그널링/이벤트 트리거를 수신하는 경우, 그러면, 그것은 트리거링 시그널링/이벤트에 기초하여 동작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LBT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옵션 사항으로, LBT 동작은,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다중 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향상된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LBT에 대한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옵션 사항으로, 이벤트 트리거는, 소정의 시간에서의 통계 값, 또는 LBT 또는 송신 또는 수신에 대한 성공/실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전 송신에서, Cat4 LBT 메커니즘 및 지향성 LBT 또는 LBT 없음이 사용되었고 실패하였다. 그 다음, 다음 번 송신 기회에서, LBT 메커니즘, LBT 모드,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BT 메커니즘은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고, 다중 빔 지향성 LBT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LBT 메커니즘 및 LBT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고, 빔 방향은 변경된다. 이들 방법은 다음의 테이블에서 도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은 LBT 메커니즘, LBT 모드, 또는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조합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노드가 LBT 없음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다시 말하면, 평가 채널 상태 없이 송신을 직접적으로 송신하는 경우, 그리고 타겟 노드가 송신 노드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없거나 또는 송신 노드가 시그널링 정보 지시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타이머가 만료되는 때 또는 시간 간격의 종료 포인트 및/또는 노드의 성능을 수신하는 경우, 또는 이벤트 트리거링(예컨대, 소정의 시간에서의 통계 값, 또는 LBT 또는 송신 또는 수신에 대한 성공/실패 시간, 다른 사례, 및 등등)에 기초하여, 그 다음, 송신 노드는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다중 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향상된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LBT에 대한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향성 LBT, 또는 다중 빔 기반의 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를 수행한다. 몇몇 특별한 예가 하기의 테이블 3-11에서 나열되어 있다.
테이블 3
Figure pct00004
테이블 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테이블 5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테이블 6
Figure pct00009
테이블 7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테이블 8
Figure pct00012
테이블 9
Figure pct00013
테이블 10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테이블 11
Figure pct00016
방법 2: 송신 전력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노드가 현재 채널을 사용 중으로 평가하면, 그러면, 송신 전력을 P1으로부터 P2로 저하시킨 상태에서 송신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는 P1 > P2이다. P2는 공존을 위한 적절한 전력이다. 또는, P2는 오프셋에 의해 결정된다.
방법 3: CCA 검출 임계치를 업그레이드한다.
예를 들면, 노드가 현재 채널을 사용 중으로 평가하고, 수신 에너지가 소정의 CCA 임계치보다 더 낮은 경우, 그러면, 현재 채널은 유휴 상태로 간주될 수 있다.
다수의 송신(들)의 경우, 노드는 사전 정의된 방식, RRC 시그널링 구성 방식, DCI 시그널링 구성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LBT 정보에 따라 채널에 액세스하는 권한을 획득한 이후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LBT 정보는 LBT 모드, LBT 메커니즘, 빔 방향, 빔 폭, LBT 동작에 대응하는 시간 리소스, LBT 동작에 대응하는 주파수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10
이 실시형태에서, 다른 노드(들)와의 채널 점유 시간(COT) 공유의 사례에 대한 LBT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채널 점유 시간(COT)을 개시하는 노드는 유저 기기(UE) 또는 기지국(BS)일 수 있다. 다른 노드에 의해 개시되는 채널 점유 시간(COT)을 공유하는 노드도 또한 유저 기기(UE) 또는 기지국(BS)일 수 있다.
채널 점유 시간 공유 사례의 경우, 테이블 12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LBT 설계의 규칙은 다음의 것 중 하나를 따를 수 있다.
사례 1: 채널 점유 시간(COT) 윈도우를 벗어나거나 또는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포인트 이전인 경우, 노드는 무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COT 내부에 있을 때, 노드는 무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사례 2: 채널 점유 시간(COT) 윈도우를 벗어나거나 또는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포인트 이전인 경우, 노드는 무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COT 내부에 있을 때, 노드는 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사례 3: 채널 점유 시간(COT) 윈도우를 벗어나거나 또는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포인트 이전인 경우, 노드는 무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COT 내부에 있을 때, 노드는 LBT를 수행하지 않고(즉, LBT 없음) 송신을 전송한다.
사례 4: 채널 점유 시간(COT) 윈도우를 벗어나거나 또는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포인트 이전인 경우, 노드는 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COT 내부에 있을 때, 노드는 무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사례 5: 채널 점유 시간(COT) 윈도우를 벗어나거나 또는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포인트 이전인 경우, 노드는 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COT 내부에 있을 때, 노드는 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사례 6: 채널 점유 시간(COT) 윈도우를 벗어나거나 또는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포인트 이전인 경우, 노드는 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COT 내부에 있을 때, 노드는 LBT를 수행하지 않고(즉, LBT 없음) 송신을 전송한다.
사례 7: 채널 점유 시간(COT) 윈도우를 벗어나거나 또는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포인트 이전인 경우, 노드는 LBT를 수행하지 않고(즉, LBT 없음) 송신을 전송한다. COT 내부에 있을 때, 노드는 무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사례 8: 채널 점유 시간(COT) 윈도우를 벗어나거나 또는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포인트 이전인 경우, 노드는 LBT를 수행하지 않고(즉, LBT 없음) 송신을 전송한다. COT 내부에 있을 때, 노드는 지향성 LBT를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사례 9: 채널 점유 시간(COT) 윈도우를 벗어나거나 또는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포인트 이전인 경우, 노드는 LBT를 수행하지 않고(즉, LBT 없음) 송신을 전송한다. COT 내부에 있을 때, 노드는 LBT를 수행하지 않고(즉, LBT 없음) 송신을 전송한다.
테이블 12: 채널 점유 시간 공유 사례에 대한 LBT 설계의 규칙
Figure pct00017
이 특허 문서에서 논의되는 실시형태는 COT 공유 사례에서 LBT의 상기의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몇몇 구현예에서, CCA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ED)은 송신 빔 및 수신된 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CCA ED가 "송신 빔" 또는 "수신된 빔"에 기초하는 경우, 송신/수신 빔에 대한 상이한 송신/수신 빔 모드는 상이한 CCA 검출 임계치에 관련된다. 게다가, CCA 임계치는 빔 각도 및/또는 빔 폭의 함수이다. CCA 에너지 검출(ED) 빔과 송신 빔 사이에서 미스매치가 발생하면, 새로운 CCA 임계치가 정의되거나, 또는 이중 CCA 임계치가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정상 CCA 검출 임계치 및 새로 도입된 CCA 검출 임계치가 설정된다.
CCA ED가 "송신 빔" 및 "수신된 빔"에 기초하는 경우, 단지 하나의 CCA 검출 임계치만 설정되고, 몇몇 구현예에서, 채널 유휴 상태를 결정하는 원리는 송신 빔 및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CCA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를 포함한다.
이중 CCA 검출 임계치가 설정되고, 몇몇 구현예에서, 채널 유휴 상태를 결정하는 원리는, 송신 빔과 수신 빔 사이의 검출된 에너지의 차이가 제2 설정된 CCA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것; 또는 송신 빔 및 수신 빔에서 검출되는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설정된 CCA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것을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의 몇몇 구현예에서, 상이한 빔 방향 송신을 위한 채널 점유 시간(COT)의 유지는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공통 채널 점유 시간은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해 유지됨; 채널 점유 시간은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됨; 채널 점유 시간은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되고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은 빔 방향에 대응하는 송신 시간에 관련됨; 채널 점유 시간은 몇몇 빔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되고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은 몇몇 빔 방향에 대응하는 송신 시간에 관련됨.
개시된 기술의 몇몇 구현예에서, 지향성 빔을 사용한 다수의 송신을 위한 채널 점유의 방법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일단 노드가 빔 방향을 가지고 송신을 전송하기 시작하면, 그러면, 이 빔 방향은, 링크 방향 스위칭까지, 송신을 유지할 것임; 또는 노드가 다수의 빔 방향을 가지고 송신을 전송하고 이전 송신에 대한 빔 방향이 후속하는 송신에 대한 모든 빔 방향을 포함함; 처음 M 개의 빔 방향에 대해, 나머지 N - M 개의 빔 방향에 대해, 노드는 M 개의 또는 N - M 개의 빔 방향을 가지고 송신을 전송하고 이전 송신에 대한 빔 방향은 후속하는 송신에 대한 모든 빔 방향을 포함함.
개시된 기술의 몇몇 구현예에서, 지향성 빔을 사용한 다수의 송신(들)에 대한 LBT 규칙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1 송신 이전에, 다중 빔 기반의 LBT가, 구성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고, LBT가 성공하면, 노드는 지시 정보, 예를 들면, 이용 가능한/이용 가능하지 않은 빔 지시, 빔 방향에 대한 채널 점유 시간, 빔 스위칭 정보, 상기한 것의 조합을 전송할 수 있음; 제1 송신 이전에, 더 넓은 빔 기반의 LBT가, 구성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고, 옵션 사항으로, 성공적인 LBT에 대응하는 더 넓은 빔 범위가 모든 송신 방향을 완전히 커버하지 못하는 경우, 그러면, 추가적인 LBT가 도입될 수 있음; 시간 간격 또는 타이머가 정의되고, 시간 간격 또는 타이머 내에서, 노드는 LBT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음. 타이머 또는 시간 간격 밖에서, 추가적인 LBT가 도입된다;그리고 일단 LBT가 성공하면, 노드는, 시그널링/이벤트 트리거를 수신하지 않는 한, 송신 동안 LBT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개시된 기술의 몇몇 구현예에서, COT 공유를 위한 스위칭 포인트의 LBT 규칙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LBT 동작은 DL과 UL, 또는 UL과 DL 사이의 갭 길이에 달려 있음; LBT 동작은 DCI 시그널링의 지시에 달려 있거나, 또는 UCI 정보에 기초하고, UE 측의 경우, LBT 동작이 DCI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될 때, UE는 지시된 방식 또는 디폴트 방식 사이에서 LBT 동작을 선택할 수 있음. 여기서, 디폴트 방식은 UE 그 자체에 의해 결정되는 LBT 동작 또는 디폴트 구성일 수 있으며, LBT 없음 또는 짧은 지속 기간 및 지향성 LBT를 갖는 Cat2 LBT가 적용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몇몇 구현예에서, LBT 실패를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LBT 메커니즘, LBT 모드, LBT에 대한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 이전 송신과 동일한 LBT 동작을 사용하는 것; 및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 및 CCA 검출 임계치를 업데이트하는 것.
도 15는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개시된 기술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1500)은, 1510에서, 통신 노드에 의해,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에너지 검출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유휴 채널을 검출하는 것, 및 1520에서,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유휴 채널의 검출시, 유휴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빔을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6은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개시된 기술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1600)은, 1610에서, 복수의 빔 방향으로 송신 이전에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 및 1620에서, 채널 점유 시간 동안 복수의 빔 방향 각각을 통해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7은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개시된 기술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1700)은, 1710에서, 하나 이상의 빔 방향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송신 채널을 통해 하나 이상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8은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개시된 기술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1800)은, 1810에서, 통신 노드에 의해, 리슨 비포 토크 동작 정보를 획득하는 것, 1820에서, 하나 이상의 빔 방향에 대해 하나 이상의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 및 1830에서, 하나 이상의 빔 방향에 대한 하나 이상의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9는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개시된 기술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1900)은, 1910에서, 채널 점유 시간 내에 다운링크 송신과 업링크 송신 사이의 스위칭 윈도우를 결정하는 것, 및 1920에서, 스위칭 윈도우가 사전 결정된 시간 지속 기간보다 더 길거나 또는 동일하다는 결정시, 스위칭 윈도우 내의 시간에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0은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개시된 기술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2000)은, 2010에서, 송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송신 이전에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 및 2020에서, 수신 또는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이 실패했다는 결정시, 리슨 비포 토크 메커니즘, 리슨 비포 토크 모드, 리슨 비포 토크 프로시져를 위한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의 변경을 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1은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2100)의 예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2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BS)(2105a, 2105b),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2110a, 2110b, 2110c, 2110d), 및 코어 네트워크(21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2105a, 2105b)은 하나 이상의 무선 섹터 내의 무선 디바이스(2110a, 2110b, 2110c 및 2110d)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기지국(2105a, 2105b)은 상이한 섹터에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지향성 빔을 생성하기 위한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2125)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2105a, 2105b)과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2125)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유선 통신 시스템과의 연결성을 제공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가입된 무선 디바이스(2110a, 2110b, 2110c, 및 2110d)에 관련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가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기지국(2105a)은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에 기초하여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반면, 제2 기지국(2105b)은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에 기초하여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2105a 및 2105b)은 배치 시나리오에 따라 현장에서 함께 위치할 수도 있거나 또는 별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2110a, 2110b, 2110c, 및 2110d)는 다수의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 및 실시형태는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무선 디바이스의 기지국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2는 적용될 수 있는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국의 일부의 블록도 표현이다. 기지국 또는 무선 디바이스(또는 UE)와 같은 무선부(2205)는, 본 문서에서 제시되는 무선 기술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 전자기기(22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부(2205)는 안테나(22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 전자기기(2215)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부(2205)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부(2205)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프로세서 전자기기(2210)는 트랜시버 전자기기(221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기술, 모듈 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부(2205)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무선부(2205)는 이 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문서는,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멀티캐스트 세션을 확립 및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개시된 실시형태 및 다른 실시형태, 모듈 및 기능 동작은, 디지털 전자 회로부(circuitry)에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본 문서에 개시된 구조 및 그들의 구조적 등가물을 비롯한, 하드웨어로, 또는 그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 및 다른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해,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 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 머신 판독 가능 스토리지 기판, 메모리 디바이스, 머신 판독 가능 전파 신호에 영향을 끼치는 재료의 조성, 또는 그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는, 예로서,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를 비롯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모든 장치, 디바이스, 및 머신을 포괄한다. 장치는, 하드웨어 외에,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 예를 들면, 프로세서 펌웨어,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그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구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파된 신호는,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의 송신을 위해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해 생성되는 인공적으로 생성되는 신호, 예를 들면, 머신 생성의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적 신호이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 또한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식(compiled) 또는 인터프리트식(interpreted) 언어를 비롯한,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으며, 그것은,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다른 유닛으로서 배치되는 것을 비롯하여, 임의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반드시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예를 들면, 마크업 언어 문서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를 유지하는 파일의 부분에서, 해당 프로그램에 전용되는 단일의 파일에서, 또는 다수의 협력 파일(coordinated file)(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모듈, 서브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분을 저장하는 파일)에서,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또는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수의 사이트에 걸쳐 분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인터커넥트되는 다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 및 로직 플로우는, 입력 데이터를 조작하는 것 및 출력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기능을 수행할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 및 로직 플로우는 또한, 특수 목적 로직 회로부, 예를 들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주문형 집적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장치는 또한, 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절한 프로세서는,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 둘 모두,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리드 온리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모두로부터 명령어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필수 엘리먼트는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또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용량 스토리지 디바이스,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를 포함할 것이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또는 이들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또는 둘 모두를 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디바이스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면,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 예를 들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또는 착탈식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및 CD ROM 및 DVD-ROM 디스크를 비롯한, 모든 형태의 불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부에 의해 보충될 수 있거나, 또는 그에 통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조항 포맷으로 나열되는 다음의 솔루션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의 조항은 상기의 예에서 그리고 이 문서 전체에 걸쳐 지원되고 추가로 설명된다. 하기의 조항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은 유저 기기, 이동국, 또는 기지국과 같은 고정 노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무선 단말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차세대 노드 B(next generation Node B; gNB), 향상된 노드 B(enhanced Node B; eNB), 또는 기지국으로서 수행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리소스 범위는 시간-주파수 리소스 또는 블록의 범위를 지칭할 수도 있다.
조항 1. 다음의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것, 통신 노드에 의해,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에너지 검출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유휴 채널을 검출하는 것, 및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유휴 채널의 검출시, 유휴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빔을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조항 2. 조항 1의 방법으로서, 에너지 검출 동작은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조항 3. 조항 2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는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조항 4. 조항 1-3 중 임의의 것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는 빔 각도 및 빔 폭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이다.
조항 5. 조항 1-3 중 임의의 것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는, 클리어 채널 평가 에너지 검출 빔과 송신 빔 사이에 미스매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거나 또는 결정된다.
조항 6. 조항 1-3 중 임의의 것의 방법으로서, 모드는 지향성 빔 모드, 넓은 지향성 빔 모드, 또는 무지향성 빔 모드, 또는 다중 지향성 빔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7. 조항 1-6 중 임의의 것의 방법으로서, 검출되는 에너지가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하다는 것의 검출시, 대응하는 채널은 유휴 상태로 결정되고, 검출되는 에너지가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크다는 것의 검출시, 대응하는 채널은 사용 중으로 결정된다.
조항 8. 조항 2의 방법으로서, 에너지 검출 동작은, 송신 빔 및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검출된 에너지가 제1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송신 빔에 대응하는 채널은 유휴 상태로 결정되도록,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조항 9. 조항 2의 방법으로서, 에너지 검출 동작은, 송신 빔 및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에너지 검출 동작이 제1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고, 송신 빔과 수신 빔 사이의 검출된 에너지의 차이가 제2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송신 빔에 대응하는 채널이 유휴 상태로 결정되도록,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조항 10. 조항 2의 방법으로서, 에너지 검출 동작은, 송신 빔 및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에너지 검출 동작이 제1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크거나 또는 동일하고, 제2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송신 빔에 대응하는 채널은 유휴 상태로 결정되도록,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조항 11. 조항 1의 방법으로서,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 임의의 유휴 채널을 검출하지 못하면, 리슨 비포 토크 메커니즘, 리슨 비포 토크 모드, 리슨 비포 토크 프로시져를 위한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의 변경을 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조항 12. 다음의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복수의 빔 방향으로 송신 이전에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 및 채널 점유 시간 동안 복수의 빔 방향 각각을 통해 송신을 수행하는 것.
조항 13. 조항 12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빔 방향은 공통 채널 점유 시간을 갖는다.
조항 14. 조항 13의 방법으로서, 공통 채널 점유 시간은 성공적으로 수행된 제1 리슨 비포 토크 동작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조항 15. 조항 12 또는 14 중 임의의 것의 방법으로서,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은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다중 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16. 조항 12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빔 방향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유지되는 채널 점유 시간을 갖는다.
조항 17. 조항 16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빔 방향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은, 대응하는 빔 방향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조항 18. 조항 12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빔 방향은 복수의 빔 방향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각각의 빔 방향 그룹은 서로 독립적으로 유지되는 채널 점유 시간을 갖는다.
조항 19. 조항 18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빔 방향 그룹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은 대응하는 빔 방향 그룹의 빔 방향으로 채널을 통한 송신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조항 20. 다음의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하나 이상의 빔 방향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송신 채널을 통해 하나 이상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
조항 21. 조항 20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빔 방향은, 링크 방향 스위칭이 발생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송신이 완료되거나 또는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빔 방향이 현재의 송신 및 후속하는 송신에 대응하는 모든 빔 방향을 포함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송신에 의해 점유된 상태로 유지된다.
조항 22. 조항 20-21항 중 임의의 것의 방법으로서,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다중 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조항 23. 조항 20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총 N 개의 빔 방향 중 처음 M 개의 빔 방향 또는 N - M 개의 빔 방향에 대해, 현재의 빔 방향에 대한 빔 방향은, M 개의 빔 방향 또는 N - M 개의 빔 방향 내에서 현재의 송신에 대응하는 빔 및 후속하는 송신에 대응하는 빔을 포함한다.
조항 24. 조항 20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빔 방향 각각은 서로 상이한 채널 점유 시간을 점유한다.
조항 25. 다음의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통신 노드에 의해, 리슨 비포 토크 동작 정보를 획득하는 것; 하나 이상의 빔 방향에 대해 하나 이상의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 및 하나 이상의 빔 방향에 대한 하나 이상의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
조항 26. 조항 25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빔 방향의 이용 가능성 또는 비이용 가능성(unavailability), 빔 방향에 대한 채널 점유 시간, 또는 빔 스위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시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조항 27. 조항 25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은,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다중 지향성 LBT, 또는 넓은 지향성 빔 LBT, 무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Cat2 LBT, 다중 Cat2 L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28. 조항 25의 방법으로서, 추가적인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시간 간격 동안 하나 이상의 송신을 계속하기 위한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조항 29. 조항 28의 방법으로서, 시간 간격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사전 정의된다.
조항 30. 조항 28의 방법으로서, 시간 간격의 세분성은 심볼 레벨, 슬롯 레벨, 서브프레임 레벨, 또는 미니슬롯 레벨이다.
조항 31. 조항 25의 방법으로서, 시그널링 메시지의 수신시 또는 사전 결정된 이벤트의 발생시 또는 시간 간격의 종료 포인트에서 또는 타이머가 만료할 때 추가적인 리슨 비포 토크 프로시져를 더 포함한다.
조항 32. 다음의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채널 점유 시간 내에 다운링크 송신과 업링크 송신 사이의 스위칭 윈도우를 결정하는 것; 및 스위칭 윈도우가 사전 결정된 시간 지속 기간보다 더 길거나 또는 동일하다는 결정시, 스위칭 윈도우 내의 시간에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
조항 33. 조항 32의 방법으로서, 스위칭 윈도우가 사전 결정된 시간 지속 기간보다 더 짧다는 결정시,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조항 34. 조항 33의 방법으로서,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이루어지는 송신과 관련되는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정보는 채널 측정, 보고 결과, 업링크 제어 정보, 또는 교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35. 조항 32의 방법으로서,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의 지시에 기초하거나 또는 업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한다.
조항 36. 조항 35의 방법으로서, 지시는 리슨 비포 토크(LBT) 메커니즘, LBT 모드, 빔 인덱스, 빔 패턴, 보호 시간 간격, 채널 점유 시간 공유, 또는 빔 커버리지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37. 조항 32의 방법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디폴트 리슨 비포 토크 동작 또는 지시에 의해 표현되는 상이한 리슨 비포 토크 동작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의 지시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조항 38. 조항 35의 방법으로서, 스위칭 윈도우는 복수의 스위칭 포인트를 포함한다.
조항 39. 조항 38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스위칭 포인트 중 제1 스위칭 포인트에서, 업링크 송신 또는 다운링크 송신 중 적어도 하나는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행해지거나, 또는 백오프가 없는 리슨 비포 토크 동작 또는 업링크 송신 또는 다운링크 송신 중 적어도 하나 이전의 하나 이상의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조항 40. 조항 38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스위칭 포인트 중 제2 스위칭 포인트에서, 기지국 또는 유저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송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백오프가 없는 단일 빔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 동작 또는 백오프가 없는 다중 빔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한다.
조항 41. 다음의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송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송신 이전에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 및 수신 또는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이 실패했다는 결정시, 리슨 비포 토크 메커니즘, 리슨 비포 토크 모드, 리슨 비포 토크 프로시져를 위한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의 변경을 행하는 것.
조항 42. 조항 41의 방법으로서, 송신 신호의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조항 43. 조항 41의 방법으로서, 클리어 채널 평가의 에너지 검출 임계치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조항 44. 조항 41의 방법으로서,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은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다중 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45. 조항 41의 방법으로서, 리슨 비포 토크 메커니즘은 LBT 없음, Cat4 LBT, 향상된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46. 조항 41의 방법으로서, 리슨 비포 토크 모드는 지향성 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또는 다중 지향성 L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47.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코드를 판독하고 조항 1 내지 조항 46 중 임의의 것에서 언급되는 방법을 구현한다.
조항 48.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저장 매체로서,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조항 1 내지 46 중 임의의 것에서 기재되는 방법을 구현하게 한다.
이 특허 문서가 많은 세부 사항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임의의 발명의 또는 청구될 수도 있는 것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고유할 수도 있는 피쳐의 설명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특허 문헌에서 별개의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소정의 피쳐는 단일의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의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피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피쳐가 소정의 조합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될 수도 있고 심지어 초기에 그와 같이 주장될 수도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피쳐는 몇몇 경우에 조합으로부터 제외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으로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동작이 도면에서 특정한 순서로 묘사되지만, 이것은,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그러한 동작이 도시되는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 또는 모든 예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이 특허 문헌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모든 실시형태에서 그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몇몇 구현예 및 예만이 설명되며, 다른 구현예, 개선예 및 변형예가 본 특허 문서에서 설명되고 예시되는 것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8)

  1.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통신 노드에 의해,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에너지 검출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유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빔 또는 상기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유휴 채널의 검출시, 상기 유휴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빔을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검출 동작은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는 상기 송신 빔 또는 상기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는 빔 각도 및 빔 폭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데이터 통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는, 클리어 채널 평가 에너지 검출 빔(clear channel assessment energy detection beam)과 상기 송신 빔 사이에 미스매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거나 또는 결정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지향성 빔 모드(directional beam mode), 넓은 지향성 빔 모드(wide directional beam mode), 또는 무지향성 빔 모드(omni directional beam mode), 또는 다중 지향성 빔 모드(multiple directional beam m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출되는 상기 에너지가 상기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하다는 것의 검출시, 상기 대응하는 채널은 유휴 상태로 결정되고, 검출되는 상기 에너지가 상기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크다는 것의 검출시, 상기 대응하는 채널은 사용 중으로 결정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검출 동작은, 상기 송신 빔 및 상기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검출된 에너지가 제1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상기 송신 빔에 대응하는 채널은 유휴 상태로 결정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검출 동작은, 상기 송신 빔 및 상기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에너지 검출 동작이 제1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고, 상기 송신 빔과 상기 수신 빔 사이의 검출된 에너지의 차이가 제2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상기 송신 빔에 대응하는 채널이 유휴 상태로 결정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검출 동작은, 상기 송신 빔 및 상기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에너지 검출 동작이 제1 검출 임계치보다 더 크거나 또는 동일하고, 제2 검출 임계치보다 더 낮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상기 송신 빔에 대응하는 채널이 유휴 상태로 결정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검출 임계치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빔 또는 상기 수신 빔 중 적어도 하나에서 임의의 유휴 채널을 검출하지 못하면, 리슨 비포 토크(listen-before-talk) 메커니즘, 리슨 비포 토크 모드, 리슨 비포 토크 프로시져를 위한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의 변경을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2.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복수의 빔 방향으로 송신 이전에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채널 점유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빔 방향 각각을 통해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 방향은 공통 채널 점유 시간을 갖는, 데이터 통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채널 점유 시간은 성공적으로 수행된 제1 리슨 비포 토크 동작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은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isten-before-talk; 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다중 지향성 LBT, LBT 없음(no LBT),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 방향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유지되는 채널 점유 시간을 갖는, 데이터 통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 방향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은, 대응하는 빔 방향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 방향은 복수의 빔 방향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각각의 빔 방향 그룹은 서로 독립적으로 유지되는 채널 점유 시간을 갖는, 데이터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 방향 그룹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은 대응하는 빔 방향 그룹의 빔 방향으로 채널을 통한 송신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0.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빔 방향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송신 채널을 통해 하나 이상의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빔 방향은, 링크 방향 스위칭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이 완료되거나 또는 송신을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빔 방향이 현재의 송신 및 후속하는 송신에 대응하는 모든 빔 방향을 포함할 때까지,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에 의해 점유된 상태로 유지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다중 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총 N 개의 빔 방향 중 처음 M 개의 빔 방향 또는 N - M 개의 빔 방향에 대해, 현재의 빔 방향에 대한 빔 방향은, 상기 M 개의 빔 방향 또는 상기 N - M 개의 빔 방향 내에서 현재의 송신에 대응하는 빔 및 후속하는 송신에 대응하는 빔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 방향 각각은 서로 상이한 채널 점유 시간을 점유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5.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통신 노드에 의해, 리슨 비포 토크 동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빔 방향에 대해 하나 이상의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빔 방향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빔 방향의 이용 가능성 또는 비이용 가능성(unavailability), 빔 방향에 대한 채널 점유 시간, 또는 빔 스위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시(indication)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은,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다중 지향성 LBT, 또는 넓은 지향성 빔 LBT, 무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Cat2 LBT, 다중 Cat2 L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시간 간격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을 계속하기 위한 상기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간격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사전 정의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간격의 세분성(granularity)은 심볼 레벨, 슬롯 레벨, 서브프레임 레벨, 또는 미니슬롯 레벨인, 데이터 통신 방법.
  31. 제25항에 있어서,
    시그널링 메시지의 수신시 또는 사전 결정된 이벤트의 발생시 또는 상기 시간 간격의 종료 포인트에서 또는 타이머가 만료할 때 추가적인 리슨 비포 토크 프로시져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2.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채널 점유 시간 내에 다운링크 송신과 업링크 송신 사이의 스위칭 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칭 윈도우가 사전 결정된 시간 지속 기간보다 더 길거나 또는 동일하다는 결정시, 상기 스위칭 윈도우 내의 시간에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윈도우가 사전 결정된 시간 지속 기간보다 더 짧다는 결정시, 상기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이루어지는 상기 송신과 관련되는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채널 측정, 보고 결과, 업링크 제어 정보, 또는 교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의 지시에 기초하거나 또는 업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는 리슨 비포 토크(LBT) 메커니즘, LBT 모드, 빔 인덱스, 빔 패턴, 보호 시간 간격, 채널 점유 시간 공유, 또는 빔 커버리지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7. 제32항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디폴트 리슨 비포 토크 동작 또는 지시에 의해 표현되는 상이한 리슨 비포 토크 동작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의 상기 지시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윈도우는 복수의 스위칭 포인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칭 포인트 중 제1 스위칭 포인트에서, 업링크 송신 또는 다운링크 송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행해지거나, 또는 백오프(back-off)가 없는 상기 리슨 비포 토크 동작 또는 업링크 송신 또는 다운링크 송신 중 적어도 하나 이전의 하나 이상의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데이터 통신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칭 포인트 중 제2 스위칭 포인트에서, 기지국 또는 유저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송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백오프가 없는 단일 빔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 동작 또는 백오프가 없는 다중 빔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1.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송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송신 이전에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수신 또는 상기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이 실패했다는 결정시, 리슨 비포 토크 메커니즘, 리슨 비포 토크 모드, 리슨 비포 토크 프로시져를 위한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의 변경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송신 신호의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클리어 채널 평가의 에너지 검출 임계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슨 비포 토크 동작은 지향성 리슨 비포 토크(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다중 지향성 LBT, LBT 없음,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슨 비포 토크 메커니즘은 LBT 없음, Cat4 LBT, 향상된 Cat4 LBT, Cat2 LBT, 또는 다중 Cat2 L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슨 비포 토크 모드는 지향성 LBT, 무지향성 LBT, 넓은 지향성 빔 LBT, 또는 다중 지향성 L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7.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코드를 판독하고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임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는, 무선 통신 장치.
  48.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저장 매체로서,
    상기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임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저장 매체.
KR1020227022088A 2020-08-07 2020-08-07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 KR202300166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07954 WO2022027647A1 (en) 2020-08-07 2020-08-07 Channel access proced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612A true KR20230016612A (ko) 2023-02-02

Family

ID=8011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088A KR20230016612A (ko) 2020-08-07 2020-08-07 채널 액세스 프로시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26765A1 (ko)
EP (1) EP4066581A4 (ko)
JP (1) JP2023531342A (ko)
KR (1) KR20230016612A (ko)
CN (1) CN116097697A (ko)
WO (1) WO2022027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18480B (zh) * 2023-05-26 2023-09-19 北京星河亮点技术股份有限公司 频谱感知方法、装置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4066B2 (en) * 2014-10-20 2018-08-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7888256B (zh) * 2016-09-30 2022-1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接收方法、装置、基站及终端
CN109219151A (zh) * 2017-06-29 2019-01-15 索尼公司 电子装置、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US10912128B2 (en) * 2018-01-23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sten-before-talk for wideband operations of NR unlicensed spectrum
MX2020008365A (es) 2018-02-14 2020-10-19 Idac Holdings Inc Métodos, aparato, y sistema que usan múltiples técnicas de antena para operaciones de nueva radio (nr) en bandas sin licencia.
CN116614895A (zh) * 2019-01-18 2023-08-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上行传输的发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213804B (zh) * 2019-06-12 2020-09-29 北京邮电大学 Nr非授权下行场景下的一种全向和方向lbt动态切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97697A (zh) 2023-05-09
EP4066581A4 (en) 2023-07-26
WO2022027647A1 (en) 2022-02-10
JP2023531342A (ja) 2023-07-24
EP4066581A1 (en) 2022-10-05
US20230126765A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0336A1 (en) Data transmission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and base station and terminal
KR20220082867A (ko) 전송 방법, 장치, 제1 통신 노드, 제2 통신 노드, 및 매체
WO2019214682A1 (zh) 通信方法及装置
US1042583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KR20220087542A (ko) 전송채널의 구성 방법 및 장치, 전송채널의 송신 방법 및 장치, 설비 및 저장매체
CN117279107A (zh) 信息的上报、接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581754B (zh) 一种请求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设备、装置
JP2020505826A (ja) 動作チャネルインジケータ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863997B2 (en) Frame based channe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CN114868420A (zh) 与组信息相关联的用于测量和报告的方法
CN110612709A (zh) 支持使用先说后听的多播/多用户传输的方法及相关网络节点
US20230126765A1 (en) Channel access procedure
WO2022027449A1 (en) Valuation for ue assistance information
CN109906649B (zh) 具有用于先说后听方案的协调信令的自包含通信
US20220330216A1 (en) Method for resource signaling design and configuration
CN110313191B (zh) 先说后听过程的重新配置
US20220337303A1 (en)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uci transmission
WO2022217420A1 (en) Switching between channel access procedures that include and exclude receiving before transmitting
EP3613234B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andom access in a beamformed communications system
CN115842598A (zh) 一种通信方法和设备
CN112166640A (zh) 用于定向波束传输的网络辅助的波束调度机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