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196A - 올레안드린을 함유한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올레안드린을 함유한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196A
KR20230016196A KR1020227044789A KR20227044789A KR20230016196A KR 20230016196 A KR20230016196 A KR 20230016196A KR 1020227044789 A KR1020227044789 A KR 1020227044789A KR 20227044789 A KR20227044789 A KR 20227044789A KR 20230016196 A KR20230016196 A KR 20230016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andrin
extract
extraction
acid
organic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제이. 오비소
로버트 에이. 뉴먼
오티스 씨. 애딩턴
Original Assignee
피닉스 바이오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895,920 external-priority patent/US10729735B1/en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20/042009 external-priority patent/WO2021201903A1/en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21/022800 external-priority patent/WO2021202103A2/en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 바이오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닉스 바이오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1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4Apocynaceae (Dogbane family), e.g. plumeria or periwinkl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Vir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올레안드린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의 생산을 위한 아임계 액체 추출 공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에 비해 개선 사항을 제공한다. 올레안드린 또는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물, 약학 조성물, 제형 및 기능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올레안드린에 치료적으로 반응성인 질병,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올레안드린을 함유한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올레안드린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개선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2종의 상이한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개선된 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기능식품 조성물이 또한 제공된다. 강심 배당체-반응성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치료를 위한 사용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올레안드린을 제조하기 위한 적절한 대규모 화학 합성 공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것은 주로 식물 재료에서 추출하여 생산되며, 선택적으로 추출물의 다른 성분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정제한다.
네리움(Nerium) 종의 일원인 네리움 올리앤더(Nerium oleander)는 아열대 아시아, 미국 남서부 및 지중해에 널리 분포된 관상용 식물이다. 그것의 의학적 및 독성학적 특성은 주로 올레안드린 때문에 오랫동안 인식되어 왔는데, 이는 예를 들어, 치질, 궤양, 나병, 뱀 물림, 신경 장애, 암, 종양, 과도한 세포 증식, 신경 퇴화,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뇌졸중, 신경 장애, 헌팅턴 병, 염증 및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도록 제안되어 왔다. 올레안드린의 신경보호 활성은 WO 2011085307 A1, US 8481086 B2, US 9220778 B2, US 9358293 B2, US 9877979 B2 및 US 10383886 B2에 개시되어 있다. 항암(항-과도한 세포 증식) 활성 올레안드린은 WO 2007016176A2, WO 2009064657 A1, US 7402325 B2, US 8187644 B2, US 8394434 B2, US 8367363 B2, US 9494589 B2, 및 US 9846156 B2에 개시되어 있다. 올레안드린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US 10596186, WO 2018/053123A1, 및 WO2019/055119A1에 개시되어 있다. Zibbu et al.(J. Chem. Pharm. Res.(2010), 2(6), 351-358)은 네리움 올레안더의 화학 및 약리학적 활성에 대한 간략한 검토를 제공한다.
네리움 종의 식물로부터 성분의 추출은 전통적으로 끓는 물, 초임계 유체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되어 왔다.
ANVIRZEL™(Ozel의 미국 특허 제 5,135,745 호)은 네리움 올레안더의 열수(hot-water) 추출물의 농축 형태 또는 분말 형태를 함유한다. Muller et al.(Pharmazie.(1991) Sept. 46(9), 657-663)은 네리움 올레안더의 물 추출물 분석에 관한 결과를 개시한다. 네리움 올레안더 식물의 추출은 잎을 얇게 썰고, 얇게 썬 잎과 식물의 줄기를 물에 2-3시간 동안 끓이고 잔류물을 여과하는 것을 포함한다. 혼합물을 다시 가열한다. 수성 추출물은 2KD에서 30KD까지 다양한 분자량을 갖는 여러 다당류, 올레안드린 및 올레안드리게닌, 오도로사이드 및 네리탈로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존재하는 다당류가 주로 갈락투론산이라고 보고된다. 다른 당류들에는 람노오스, 아라비노오스 및 갈락토스가 포함된다. 네리움 올레안더의 열수 추출물 내의 다당류 함량 및 다당류의 개별 당 조성은 또한 Newman et al.(J. Herbal Pharmacotherapy,(2001) vol 1, pp.1-16)에 의해 보고된 바 있다. 열수 추출물인 ANVIRZEL™의 조성 분석은 Newman et al.(Anal. Chem.(2000), 72(15), 3547-3552)에 기재되어 있다. Selvaraj et al.의 미국 특허 제 5,869,060 호는 네리움 종의 추출물 및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출물을 준비하기 위해 식물 재료를 물에 넣고 끓인다. 그 다음, 조(crude) 추출물을 식물 재료로부터 분리하고, 여과에 의해 멸균시켰다. 이어서, 생성된 추출물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6,565,897 호(Selvaraj et al.의 미국 특허전 공개 제 20020114852 호 및 PCT 국제 공개 제 WO 2000/016793 호)는 실질적으로 멸균된 물 추출물의 제조를 위한 열수 추출 공정을 개시한다. Ishikawa et al.(J. Nutr. Sci. Vitaminol.(2007), 53, 166-173)은 클로로포름, 메탄올 및 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네리움 올레안더의 열수 추출물 및 이의 분획을 개시한다. 그들은 또한 네리움 올레안더(N. oleander)잎 추출물이 제 2 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었다고 보고한다. Panyosan에 의해 2006 년 8 월 24 일에 공개된 US20060188585는 네리움 올레안더의 열수 추출물을 개시한다. Smothers에 의해 2019 년 6 월 18 일 발행된 US 10323055는 알로에와 강심 배당체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제공하기 위해 알로에와 물로 식물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Rashan et al.에 의해 2007 년 7 월 5 일에 공개된 US20070154573은 네리움 올레안더의 냉수 추출물 및 그 용도를 개시한다. 따라서, 식물 재료로부터 올레안드린의 상대적 함량을 높이는 방법이 필요하다. 네리움 올레안더의 열수 추출물은 올레안드린 및 관련 강심 배당체를 상대적으로 낮은 수율로 제공할 수 있지만, 올레안드린을 포함하는 농축된 형태의 강심 배당체를 얻기 위한 개선된 방법이 필요하다.
Erdemoglu et al.(J. Ethnopharmacol.(2003) Nov. 89(1), 123-129)는 항-통각 및 항-염증 활성에 기초하여, 네리움 올레안더를 포함하는 식물의 수성(aqueous) 및 에탄올 추출물의 비교 결과를 개시한다. Fartyal et al.(J. Sci. Innov. Res.(2014), 3(4), 426-432)는 항균 활성을 기준으로 네리움 올레안더의 메탄올, 수성 및 석유 에테르 추출물을 비교한 결과를 개시한다.
네리움 올레안더의 유기 용매 추출물은 또한 Adome et al.(Afr. Health Sci.(2003) Aug. 3(2), 77-86; 에탄올 추출물), el-Shazly et al.(J. Egypt Soc. Parasitol.(1996), Aug. 26(2), 461-473; 에탄올 추출물), Begum et al.(Phytochemistry(1999) Feb. 50(3), 435-438; 메탄올 추출물), Zia et al.(J. Ethnolpharmacol.(1995) Nov. 49(1), 33-39; 메탄올 추출물) 및 Vlasenko et al.(Farmatsiia.(1972) Sept.-Oct.21(5), 46-47; 알콜성 추출물)에 의해 개시된다. Turkmen et al.(J. Planar Chroma.(2013), 26(3), 279-283)은 네리움 올레안더 잎과 줄기의 수성 에탄올 추출물을 개시한다. Yamauchi에 의해 1974 년 9 월 3 일에 발행된 US 3833472는 네리움 오도롬(Nerium odorum) SOL(Nerium oleander Linn) 잎을 물,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잎은 60℃-170℃로 가열된 다음 추출되고,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에테르 또는 클로로포름이다.
네리움 종의 초임계 유체(SCF) 추출물이 공지되어 있다[(PBI-05204; 본원 및 Addington의 US 8187644 B2(2012년 5월 29일 발행됨), US 7402325 B2(2008년 7월 22일 발행됨), Addington et al.의 US 8394434 B2(2013년 3월 12일 발행됨), 이들 전체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 SCF 추출물은 일부 신경계 장애(US 8481086, US 9220778, US 9358293, US 20160243143A1, US 9877979, US 10383886), US 10383886, US 10383886), 일부 세포 증식 장애(US 8367363, US 9494589, US 9846156), 및 일부 바이러스 감염(US 10596186, WO 2018053123A1, WO2019055119A1)을 치료하는 데 효능을 나타냈다. Addington et al. (US 9011937, US 20150283191 A1)는 신경계 질환의 치료를 위한 트리테르펜-함유 분획(PBI-04711)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PBI-05204는 강심 배당체(oleandrin, OL) 및 트리테르펜(올레아놀산(OA), 우르솔산(UA) 및 베툴린산(BA))을 주요 약리학적 활성 성분으로 포함한다. PBI-05204에서의 OA:UA:BA의 몰비는 약 7.8:7.4:1이다. PBI-04711은 PBI-05204의 일부이지만, OL을 포함하지 않는다. PBI-04711에서의 OA:UA:BA의 몰비는 약 3:2.2:1이다.
올레안드린은 또한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변형 칼리(Agrobacterium tumefaciens-transformed calli) 및 아그로박테리움 추출물(Ibrahim et al., "Stimulation of oleandrin production by combination Agrobacterium tumefaciens mediated transformation and fungal elicitation in Nerium oleander cell cultures"in Enz. Microbial Techno (2007), 41(3), 331-336)로부터 유래된 현탁액 배양물의 추출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올레안드린은 또한 시험관내 네리움 올레안더 미세배양의 추출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싹 배양은 네리움 올레안더 재배 품종, 예컨대 스플렌덴스 기간티움(Splendens Giganteum), 레반체(Revanche) 또는 알사스(Alsace), 또는 기타 품종의 묘목 및/또는 생장점(shoot apices)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Vila et al., "Micropropagation of Oleander(Nerium oleander L.)" in HortScience(2010), 45(1), 98-102).
네리움 종의 추출물은 강심 배당체, 글리코콘, 아글리콘, 스테로이드, 트리테르펜, 다당류, 당류, 알칼로이드, 지방, 단백질 등 다양한 부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정 화합물은 올레안드린, 네리탈로사이드, 오도로사이드,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올레안드리게닌, 올레아사이드 A, 베툴린(urs-12-ene-3β,28-diol), 28-norurs-12-en-3β-ol, urs-12-en-3β-ol, 3β,3β-하이드록시-12-올레아넨-28-오익산(oic acid), 3β,20α-디하이드록시우르스-21-en-28-오익산, 3β,27-디하이드록시-12-ursen-28-오익산, 3β,13β-디하이드록시우르스-11-en-28-오익산, 3β,12α-디하이드록시올레아난-28,13β-올라이드(olide), 3β,27-디하이드록시-12-올레아난-28-오익산, 호모폴리갈락투로난, 아라비노갈라투로난, 클로로겐산, 카페산, L-퀸산, 4-쿠마로일(coumaroyl)-CoA, 3-O-카페오일퀸산, 5-O-카페오일퀸산, 카르데놀라이드 B-1, 카르데놀라이드 B-2, 올레아게닌, 네리디지노사이드, 네리조사이드, 오도로사이드-H, 3-베타-O-(D-디지노실)-5-베타, 람노즈,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갈락토스 및 갈락투론산으로 구성된 14 베타-디하이드록시-카드-20(22)-에놀라이드 펙틱 다당류, 17000-120000 D 범위의 MW 또는 약 35000 D, 약 3000 D, 약 5500 D 또는 약 12000 D의 MW를 갖는 다당류, 카르데놀라이드 모노글리코사이드, 카르데놀라이드 N-1, 카르데놀라이드 N-2, 카르데놀라이드 N-3, 카르데놀라이드 N-4, 프레그난, 4,6-디엔(diene)-3,12,20-트리온, 20R-하이드록시프레그나-4,6-디엔-3,12-디온(dione), 16 베타,7 베타-에폭시-12베타-하이드록시프레그나-4,6-디엔-3,20-디온, 12베타-하이드록시프레그나-4,6,16-트리엔-3,20-디온(네리디에논 A), 20S,21-디하이드록시프레그나-4,6-디엔-3,12-디온(네리디에논 B), 네리우코우마릭산(neriucoumaric acid), 이소네리우코우마릭산, 올레안데로익산(oleanderoic acid), 올레안데렌(oleanderen), 8알파-메톡실랍단-18-오익산, 12-우르센(ursene), 칸네로사이드, 네리우모사이드, 3β-O-(D-디지노실)-2α-하이드록시-8,14β-에폭시-5β-카르다(carda)-16:17, 20:22-디에놀라이드, 3β-O-(D-디지노실)-2α,14β-디하이드록시-5β-카르다-16:17,20:22-디에놀라이드, 3β,27-디하이드록시-urs-18-en-13,28-올라이드, 3β,22α,28-트리하이드록시-25-nor-lup-1(10),20(29)-디엔-2-온(one), cis-카레닌(karenin)(3β-하이드록시-28-Z-p-쿠마로일옥시-urs-12-en-27-오익산), trans-카레닌(karenin)(3-β-하이드록시-28-E-p-쿠마로일옥시-urs-12-en-27-오익산), 3베타-하이드록시-5알파-카르다-14(15),20(22)-디에놀라이드(베타-안하이드로에피디기톡시게닌(anhydroepidigitoxigenin), 3베타-O-(D-디지털로실)-21-하이드록시-5베타-카르다-8,14,16,20(22)-테트라에놀라이드(네리우모게닌-A-3베타-D-디지털로사이드), 프로세라게닌, 네리디엔온 A, 3베타,27-디하이드록시-12-ursen-28-오익산, 3베타,13베타-디하이드록시우르스-11-en-28-오익산, 3베타-하이드록시우르스-12-en-28-알데히드, 28-orurs-12-en-3베타-올, urs-12-en-3베타-올, urs-12-ene-3베타,28-디올, 3beta,27-디하이드록시-12-올레아넨-28-오익산, (20S,24R)-에폭시담마란-3베타,25-디올, 20베타,28-에폭시-28알파-메톡시타락사스테란-3베타-올, 20베타,28-에폭시타락사스터-21-en-3베타-올, 28-노르(nor)-urs-12-ene-3베타, 17베타-디올, 3베타-하이드록시우르스-12-en-28-알데히드, 알파-네리우르세이트(neriursate), 베타-네리우르세이트, 3알파-아세토페녹시-urs-12-en-28-오익산, 3베타-아세토페녹시-12-en-28-오익산, 올레안데로익산, 칸네로디온(Kanerodione), 3β-p-하이드록시페녹시-11α-메톡시-12α-하이드록시-20-ursen-28-oic acid, 28-하이드록시-20(29)-루펜(lupen)-3,7-디온, 카네로신(kanerocin)(3α-하이드록시-urs-18,20-dien-28-oic acid), 3알파-하이드록시-urs-18,20-dien-28-oic acid, D-사르멘토스, D-디지노스, 네리디지노사이드, 네리조사이드, 이소리시노레익산(isoricinoleic acid), 젠티오비오실네리고사이드(gentiobiosylnerigoside), 젠티오비오실베오몬토사이드(gentiobiosylbeaumontoside), 젠티오비오실올리엔드린(gentiobiosyloleandrin), 폴리네린(folinerin), 12β-하이드록시-5β-carda-8,14,16,20(22)-테트라에놀라이드(tetraenolide), 8β-하이드록시-디지톡시게닌(digitoxigenin), Δ16-8β-하이드록시-디지톡시게닌, Δ16-네리아게닌(neriagenin), 우바올(uvaol), 우르솔릭 알데히드(ursolic aldehyde), 27(p-쿠마로일옥시)우르솔산, 올레안데롤(oleanderol), 16-안하이드로(anhydro)-데액틸(deacteyl)-네리고사이드, 9-D-하이드록시-cis-12-옥타데카노익산, 아디고사이드, 아디네린, 알파-아미린,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캄페스트롤(campestrol), 천연고무(caoutchouc), 카프릭산, 카프릴산, 콜린, 코네린(cornerin), 코르테네린(cortenerin), 데아세틸올레안드린(deacetyloleandrin), 디아세틸-네리고사이드(diacetyl-nerigoside), 폴리안드린(foliandrin), 슈도쿠라민(pseudocuramine), 퀘르세틴(quercetin), 퀘르세틴-3-람노글루코사이드(rhamnoglucoside), 퀘르시트린(quercitrin), 로사기닌(rosaginin), 루틴(rutin),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스트로스페사이드(strospeside), 우레히톡신(urehitoxin) 및 우자리게닌(uzarigenin)을 포함한다. 추출물에 존재할 수 있는 추가 성분은 Gupta et al.(IJPSR(2010), 1(3), 21-27, 이들 전체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추출물의 각각의 조성 프로파일은 사용되는 추출 방법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뜨거운 메탄올, 뜨거운 에탄올, 뜨거운 물, 찬물, 뜨거운 물 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얻은 네리움 식물 재료의 추출물은 특히 각각의 HPLC 크로마토그램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이한 조성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따라서, 새로운 유형의 공정으로 제조된 추출물의 조성 프로파일을 선험적으로 예측할 수 없다.
이러한 추출물의 치료 활성 프로파일은 또한 총 중량 대 총 중량 기준으로 비교할 때, 추출물의 조성 프로파일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냉수 추출물의 1mg은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1mg과 상이한 치료 활성 프로필을 나타낸다. 또한, SCF 추출물은 일부 병태를 치료할 때, 올레안드린 단독 및 심지어 열수 추출물보다 개선된 효능을 입증하였다.
올레안드린, 및 올레안드린 및 네리움 식물의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의 중요한 치료 특성을 감안할 때, 올레안드린을 함유하는 개선된 약학 조성물, 및 올레안드린 및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당해 기술에 내재된 단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극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의 개선된 생산 방법, 및 올레안드린의 개선된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 및 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출물(또는 조성물) 및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를 포함하는 설하 또는 협측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올레안드린 또는 본원에 기재된 추출물(들)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제형, 화장품, 및 기능식품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개선된 공정(들)은 a) 초임계 유체(SCF) 추출(SCFE) 기반 공정과 비교하여 식물 바이오매스 kg당 올레안드린의 더 높은 수율; b) SCFE 공정과 비교하여 다른 성분에 대한 올레안드린의 비율이 더 높은 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c) 유기 용매 추출물 및 아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중 추출물 조성물; d) SCFE 공정과 비교하여 동일한 양의 식물 재료로부터 수득된 더 높은 함량의 올레안드린을 갖는 유기 용매 추출물; e) SCF 추출물과 비교하여 동일한 용매(들) 및 동일한 양의 식물 재료를 사용하여 수득된 더 높은 함량의 올레안드린을 갖는 아임계 CO2 추출물을 제공한다.
유기 용매 추출물 또는 유기 용매 추출의 각 실시예에서, 유기 용매는 a)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또는 b) 물 및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추출물을 포함한다. 물은 하나 이상의 염, 하나 이상의 완충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올레안드린을 추출하고 추출 환경(milieu)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이산화탄소 및 선택적으로 유기 용매(개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아임계 액체(SbCL)를 사용하여, 올레안드린-함유 바이오매스를 아임계 액체 추출(SbCLE)에 적용하는(subjecting) 단계;
상기 추출 환경으로부터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리하여, 올레안드린-함유 SbCL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올레안드린-함유 SbCL로부터 SbCL을 제거하여, 올레안드린-함유(OC) 추출물(OCE)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올레안드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올레안드린을 추출하고 추출 환경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이산화탄소 및 선택적으로 유기 용매(개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아임계 액체(SbCL)를 사용하여, 올레안드린-함유 바이오매스를 아임계 액체 추출(SbCLE)에 적용하는 단계;
상기 추출 환경으로부터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리하여, 올레안드린-함유 SbCL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올레안드린-함유 SbCL로부터 SbCL을 제거하여, 올레안드린-함유(OC) 추출물(OCE)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로부터 올레안드린을 단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올레안드린-함유 제1 바이오매스를 유기 용매 추출에 적용하여, 올레안드린-함유 유기 용매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올레안드린-함유 제2 바이오매스를 아임계 액체(SbCL) 추출(SbCLE)에 적용하여, 올레안드린-함유 SbCL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올레안드린-함유 유기 용매 추출물 및 상기 올레안드린-함유 SbCL 추출물을 합하여, 상기 복합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합 조성물은 적어도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카네로신, 카네로디온, 올레안드리게닌, 네리움 F, 네리탈로사이드, 오도로사이드(A 및 H), 아디네린, 오도로사이드-G-아세테이트, 및 지톡시게닌을 포함한다. 복합 조성물은 네리인, 폴리네린, 및 지톡시게닌, 디지톡시게닌, 네리고사이드, 루틴, 우르손산, 네리디에논 A, 아디네리게닌, 데아세틸올레안드린, 오도로사이드 G 아세테이트, 및/또는 케르세틴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또는 추출물)은 폴리페놀(들), 탄수화물(들), 플라보노이드(들), 아미노산(들), 가용성 단백질(들), 셀룰로오스, 전분, 알칼로이드(들), 사포닌(들), 탄닌(들) 및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아미노산은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아스파라긴, 세린, 글루타민, 글리신, 히스티딘, 아르기닌, 트레오닌, 알라닌, 프롤린, 티로신, 발린, 메티오닌, 시스테인, 이소류신, 류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및 리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미노는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트레오닌, 알라닌, 프롤린, 티로신, 발린, 이소류신, 류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및 리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올레안드린, 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올레안드린-함유 복합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들)을 포함하는 화장 제품(화장품) 또는 기능식품 제품을 제공한다.
화장품은 하나 이상의 화장품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은 클렌저, 샴푸, 컨디셔너, 바디 워시, 페이스 클렌저, 스킨 토너, 세럼, 모이스처라이저, 밤, 메이크업, 로션, 크림, 젤, 하이드로겔, 연고, 유성 용액, 현탁액, 분말, 스프레이, 파운데이션, 프라이머, 하이라이터, 아이섀도, 기초, 블러쉬, 티슈(towelette), 탈취제, 목욕 오일, 거품 목욕, 목욕 염, 바디 버터, 립스틱, 립글로스, 립 라이너, 컨실러, 루즈, 페이셜 마스크 트리트먼트 또는 기타 유형의 화장품일 수 있다.
기능식품은 USFDA 또는 기타 규제 기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식이 성분, 식이 보충제, 생물의약품, 또는 식품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식품 제품은 하나 이상의 기능식품 또는 식이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능식품은 액체, 고체, 분말, 크림, 용액, 현탁액, 제형, 겔, 캡슐, 정제, 알약, 프리바이오틱, 프로바이오틱, 기능성 식품, 식사 보충제, 식사 대용제 또는 기타 그러한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올레안드린-함유 유기 용매 추출물의 일부 및 올레안드린-함유 SbCL 추출물의 일부를 포함하는 개선된 올레안드린-함유 복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a) 2개의 추출물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portion)이 복합 조성물에 존재하고; b) 상기 조합에서 유기 용매 추출물의 함량이 SbCL 추출물의 함량보다 많고; 또는 c) 상기 조합에서 SbCL 추출물의 함량이 유기 용매 추출물의 함량보다 많다. 각각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은 또한 실질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유기 용매 추출물 및 아임계 액체 추출물과 비교하여, 복합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식물 재료로부터 추출가능한 올레안드린 외에 더 넓은 범위의 파이토케미칼 및 기타 성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른 성분 중 하나 이상은 또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약리학적으로 활성인) 성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a)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은 바이오매스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올레안드린 및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b)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에서, 바이오매스로부터 추출된 올레안드린 대 다른 성분의 몰 비는 상기 아임계 액체 추출물에서의 상기 몰 비보다 크고; c) 상기 SbCL 추출물은 바이오매스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올레안드린 및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d)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에서의 올레안드린의 함량은 상기 아임계 액체 추출물에서의 올레안드린의 함량보다 많고; e)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에서의 추출된 비-올레안드린 성분의 함량은 상기 아임계 액체 추출물에서의 상기 성분의 함량보다 많고; f)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에서의 추출된 휘발성 및 반(semi)-휘발성 성분의 조성 프로파일은 상기 아임계 액체 추출물에서의 상기 성분의 조성 프로파일과 상이하고; 및/또는 g) 올레안드린 함량에 비해, 상기 아임계 액체 추출물은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보다 더 큰 비율의 추출된 휘발성 및 반-휘발성 성분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바이오매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유기 용매로 추출된 제1 바이오매스는 제2 바이오매스로 사용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제1 바이오매스는 유기 용매로 추출되고, 상이한 제2 바이오매스는 아임계 액체로 추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임계 액체 추출 공정이 하기 단계들: a) 추출 환경을 필터링함으로써 추출 환경으로부터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리하는 단계; b) 이산화탄소 또는 추출 환경에 개질제를 첨가하는 단계; c) 아임계 액상 추출 환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추출 환경을 함유하는 용기의 내부를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 d) 상기 SbCL을 휘발시켜 상기 올레안드린-함유 SbCL로부터 상기 SbCL을 제거하여, 로(raw) SbCL 추출물(SbCLE)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로 SbCL 추출물을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로 희석하는 단계; f) 희석된 로(raw) 또는 조(crude) SbCL 추출물을 1회 이상 필터링하는 단계; g) 상기 희석된 로 또는 조 SbCL 추출물을 활성탄으로 처리하는 단계; h) 희석된 로 추출물로부터 대부분의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또는 i) 로 또는 조 추출물을 멸균 여과하여 SbCL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한다. SbCL 추출물은 선택적으로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로 추가로 희석된다. 유기 용매 추출물은 선택적으로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로 추가로 희석된다. SbCL 추출물은 추출물 1 mL당 0.1 mg 내지 1 mg 또는 0.5 내지 0.8 mg의 올리드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산화탄소(존재하는 경우 임의의 개질제와 함께)가 추출 기간의 약 50% 이상, 즉 "적용(subjecting)" 단계 동안 약 50% 이상의 총 시간 동안, 아임계 액체 상으로 존재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임계 액체 상의 추출 유체(이산화탄소, 존재하는 경우 임의의 개질제와 함께) 및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추출 환경이 추출 기간의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9% 동안 액체 형태로 유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출 환경이 추출 기간 내내 액체 형태로 유지될 것이다.
따라서, SbCLE는 추출 환경(바이오매스 및 CO2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유기 용매(개질제)를 추가로 포함함)이 다음 조건 하에 있도록 수행되는데, CO2의 상태도와 관련하여, 약 50% 이상의 추출 기간 동안, SbCLE는 a) 임계 압력(pc) 이하, 삼중점(고체-액체-기체) 온도(ttp) 이상, 임계 온도(tc) 이하, 및 액체-기체상 상 라인 위; b) tc 이하, ttp 이상, pc 이하, 액상-기체 상 라인 위 c) pc 이상, tc 이하, ttp 이상, 액체-기체 상 라인 위, 및 고체-액체 상 라인 아래; 또는 d) 고체-액체 상 라인, 액체-기체 상 라인, 액체-초임계 상 라인, 삼중점(고체-액체-기체) 온도(ttp), 삼중점 압력(ptp), 임계점(액체-기체-초임계) 온도(tcp) 및 임계점 압력(pcp)에 의해 한정되는(bounded) 액체 영역 내에 속하는 온도 및 압력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SbCLE가 약 0℃ 내지 약 31℃의 온도 및 약 5.2 bar 내지 약 3000 bar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SbCLE가 약 0℃ 내지 약 31℃의 온도 및 약 5.2 bar 내지 약 1000 bar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SbCLE는 약 2℃ 내지 약 16℃의 온도 및 약 115bar 내지 약 135bar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SbCLE는 약 5-10℃의 온도 및 약 120-130bar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SbCLE는 약 5℃ 내지 약 15℃ 범위의 온도 및 약 50bar 내지 70bar 범위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SbCL이 하나 이상의 개질제, 예를 들어 유기 용매(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개질제가 존재할 때, 이산화탄소 대 개질제의 중량비는 약 100:약 0.01-20, 약 100:약 0.01-15, 약 100:약 0.01-10, 또는 약 100:약 0.01-5이다.
하나 이상의 개질제(유기 용매)는 각각의 경우에, 알코올, 유기 용매, 알킬 케톤, 알킬 에스테르, 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개질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글리콜(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또는 N-메틸피롤리돈(NMP)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a) 상기 유기 용매 추출이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로 수행되고; b)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상기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는 알코올을 포함하고; c)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 상기 유기 용매 추출은 상기 올레안드린-함유 바이오매스를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로 1회 이상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e)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상기 수성 유기 용매는 최대 약 20% w/w, 약 5% w/w 내지 약 15% w/w, 또는 약 10% w/w의 물을 포함하고; f)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은 약 0℃ 내지 약 75℃, 약 5℃ 내지 약 70℃, 약 10℃ 내지 약 60℃, 약 10℃ 내지 약 50℃, 약 10℃ 내지 약 45℃, 또는 약 20℃ 내지 약 40℃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g) 유기 용매(또는 수성 유기 용매) 대 바이오매스의 v/w 비율은 약 50-1:약 1, 약 40-1:약 1, 약 30-1:약 1, 약 20-1: 약 1, 약 20-5: 약 1, 또는 약 10: 약 1인 실시예를 포함한다. 건조되지 않거나 탈수되지 않거나 동결 건조되지 않은 바이오매스가 추출에 사용되는 경우,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수분 함량은 바이오매스에 대한 수성 유기 용매의 v/w 비율(건조 중량 기준)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기 용매 추출이 a) 조 추출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추출 환경을 여과시킴으로써 추출 환경으로부터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리하는 단계; b) 유기 용매 또는 추출 환경에 수성 액체를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조 추출물로부터 유기 용매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단계; d) 상기 조 추출물을 활성탄으로 처리하는 단계; e) 상기 조 추출물을 1회 이상 필터링하는 단계; f) 상기 조 추출물에 추가의 유기 용매를 첨가하는 단계; g)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을 멸균 여과하는 단계; 및/또는 h) 상기 조 추출물에 물을 첨가하고, 수성 조 추출물을 유기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한다. 유기 용매 추출물은 선택적으로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로 추가로 희석된다. 유기 용매 추출물은 0.1 내지 10 mg/mL, 0.5 내지 8 mg/mL, 1 내지 8 mg/mL, 1.5 내지 8 mg/mL, 또는 1.5 내지 5 mg/mL(추출물 mL당 올레안드린 mg)를 포함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올레안드린-함유 바이오매스가 네리움 종(Nerium sp.), 네리움 올레안더(Nerium oleander), 네리움 올레안더 L(Nerium oleander L(올레안더과, Apocynaceae)), 네리움 오도우룸(Nerium odourum), 화이트 올레안더, 핑크 올레안더, 테베티아 종(Thevetia sp.), 테베티아 페루비아나(Thevetia peruviana), 옐로 올레안더,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이오매스는 잎, 줄기, 꽃, 나무 껍질, 열매, 종자, 수액, 배양된 세포 덩어리 및/또는 꼬투리(po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a)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추출 이전에 바이오매스가 탈수, 제습, 동결-건조 및/또는 건조되고; b)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추출 이전에 바이오매스가 건조되고; c)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추출 이전에 바이오매스가 탈수되지 않고; d)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추출 이전에 바이오매스가 건조되지 않고; 또는 e) 각 경우에 독립적인 것을 포함한다. 바이오매스 중 수분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추출 이전에, 약 20wt% 이하, 약 15wt% 이하, 약 10wt% 이하, 약 8wt% 이하, 약 5wt% 이하, 약 2.5wt% 이하, 또는 약 1wt% 이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추출 이전에, 바이오매스를 탈수, 건조 또는 건조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a) 추출 이전에, 바이오매스가 약 1" 미만, 약 0.75" 미만, 약 0.5" 미만, 약 0.4" 미만, 약 0.3" 미만, 약 0.2" 미만, 약 0.1" 미만, 약 0.05" 미만, 또는 약 0.01" 미만의 입자 크기(d0.5)를 갖고, 상기 입자는 ASTM 체 메쉬 개구 크기에 대한 것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a) 상기 추출물 중 올레안드린의 함량이 약 0.01wt% 이상, 약 0.05wt% 이상, 약 0.1wt% 이상, 약 0.2wt% 이상, 약 0.5%wt% 이상, 약 1wt% 이상, 약 2.5wt% 이상, 약 5wt% 이상, 약 10wt% 이상, 약 20wt% 이상, 약 30wt% 이상, 약 40wt% % 이상, 약 50wt% 이상, 약 60wt% 이상, 약 70wt% 이상, 약 80wt% 이상, 또는 약 90wt% 이상이고; b) 상기 추출물 중 올레안드린의 함량이 약 99wt% 이하, 약 95wt% 이하, 약 90wt% 이하, 약 80wt% 이하, 약 70wt% 이하, 약 60wt% 이하, 약 50wt% 이하, 약 40wt% 이하, 약 30wt% 이하, 약 20wt% 이하, 약 10wt% 이하, 약 5wt% 이하, 약 2.5wt% 이하, 약 1wt% 이하, 또는 약 0.5wt% 이하이고; 또는 c) c) 항목 a)의 모든 제한과 항목 b)의 모든 제한의 조합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정이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a) 상기 추출물로부터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을 제거(또는 양을 감소)시키는 단계; b) 상기 추출물로부터 반-휘발성 유기 화합물(SVOC)을 제거(또는 양을 감소)시키는 단계; c) 상기 추출물을 필터링하는 단계; d) 상기 분리는 여과, 원심분리, 경사분리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단리가 크로마토그래피, 액체-액체 추출, 액체-고체 추출, 결정화, 침전, 분별 침전, 분별 결정화, 속슬렛 추출, 분쇄, 동결건조(동결-건조),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임의의 방법의 개별 단계는 별도의 시설에서 또는 동일한 시설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유일한 활성 성분으로서 올레안드린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바이오매스로부터 수득된 올레안드린 및 복수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활성 성분으로서 올레안드린 및 복수의 트리테르펜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이의 유리산, 염, 유도체 또는 전구약물), 우르솔산(이의 유리산, 염, 유도체 또는 전구약물), 및 베툴린산(유리산, 염, 유도체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한다. 화합물의 몰비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트리테르펜은 유리산 형태, 염 형태, 중수소화 형태 및 유도체 형태로부터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올레안드린 외에, 추출물은 추출 과정 동안 바이오매스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약리학적으로 활성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은 둘 모두를 받는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올레안드린의 치료 효능에 기여할 수도 있고 기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은 강심 배당체, 강심 배당체의 하나 이상의 글리코 구성성분(예를 들어, 글루코사이드, 프룩토사이드 및/또는 글루쿠로나이드), 하나 이상의 아글리콘, 하나 이상의 글리코사이드 전구체(예를 들어, 카르데놀라이드, 카다디에놀라이드 및 카다트리에놀라이드로서), 하나 이상의 스테로이드, 하나 이상의 트리테르펜, 하나 이상의 당류, 하나 이상의 다당류, 하나 이상의 알칼로이드, 하나 이상의 단백질, 지방, 하나 이상의 기타 비-강심 배당체 치료 유효 제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올레안드린, 및 a) 2개 또는 3개의 트리테르펜; b) 2개 또는 3개의 트리테르펜 유도체; c) 2개 또는 3개의 트리테르펜 염; 또는 d)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일반 용어 트리테르펜 및 강심 배당체는 또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유리 형태, 염 형태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리테르펜은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및 그의 염 또는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기 추출물은 올레안드린, 및 a) 하나 이상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b) 하나 이상의 반-휘발성 유기 화합물; c)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유기 화합물; 또는 d)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출물은 추출 동안 수득된 약리학적 활성 다당류(및/또는 당류)를 제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출물은 올레안드린 및 추출 동안 수득된 하나 이상의 약리학적 활성 다당류(및/또는 당류)를 포함한다. 약리학적 활성 다당류는 산성 호모폴리갈락투로난 또는 아라비노갈라투로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출물은 적어도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카네로신, 카네로디온, 올레안드리게닌, 네리움 F, 네리탈로사이드, 오도로사이드(A 및 H), 아디네린, 오도로사이드-G-아세테이트, 및 기톡시게닌을 포함한다. 복합 조성물은 네리인, 폴리네린, 기톡시게닌, 디지톡시게닌, 네리고사이드, 루틴, 우르손산, 네리디에논 A, 아디네리게닌, 데아세틸올레안드린, 오도로사이드 G 아세테이트, 및/또는 케르세틴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들),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들), 하나 이상의 플라보노이드(들),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들), 하나 이상의 가용성 단백질(들), 하나 이상의 셀룰로오스(들), 하나 이상의 전분(들), 하나 이상의 알칼로이드(들), 하나 이상의 사포닌(들), 하나 이상의 탄닌(들),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아미노산은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아스파라긴, 세린, 글루타민, 글리신, 히스티딘, 아르기닌, 트레오닌, 알라닌, 프롤린, 티로신, 발린, 메티오닌, 시스테인, 이소류신, 류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및 리신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미노는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트레오닌, 알라닌, 프롤린, 티로신, 발린, 이소류신, 류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및 리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출물의 다른 성분이 올레안드린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존재할 수 있지만, 올레안드린은 특정 질병, 장애 또는 병태와 관련하여 주된 치료 효과적인 화합물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약학 조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 및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올레안드린,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은 강심 배당체(올레안드린, 디곡신, 디지톡신, 우아바인(ouabain), 부팔린, 시노부파탈린, 시노부파긴, 레시부포게닌, 라나토시드 C, 또는 기타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강심 배당체)를 사용한 치료, 특히 올레안드린을 사용한 치료에 치료적으로 반응성이며, 또는 강심 배당체의 투여, 특히 올레안드린의 투여에 의해 예방될 수 있는 병태, 질병 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에 치료적으로 반응성인 병태, 질병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병태, 질병 또는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대상체의 면역학적 반응을 개선 또는 부스팅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올레안드린-함유 복합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을 대상체의 면역학적 반응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1회 이상의 투여량은 약학 조성물, 기능식품 조성물, 및/또는 코스메슈티컬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급성, 만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상기 병태, 질병 또는 장애의 개시 전 및/또는 후에 일어날 수 있다. 투여는 상기 병태, 질병 또는 장애를 갖거나 걸릴 위험이 있는 대상체에게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레안드린,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 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복합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임의의 약학 조성물, 기능식품 조성물, 코스메슈티컬 조성물, 또는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레안드린,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은 국부적으로, 전신적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투여 방식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올레안드린은 제약 조성물에서 치료 활성을 주로 담당하는 성분을 의미하는, 주요 치료 성분으로서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에서 강심 배당체에 치료적으로 반응성인 병태, 질병 또는 장애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약제의 제조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의 투여량을 약제학적 제형으로 포함하는 단계; 및 약제학적 제형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조는 PCT 국제출원 제PCT/US06/2906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의 전체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제조는 또한 다음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 단계: 포장된 제형을 벤더(소매업자, 도매업자 및/또는 공급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판매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포장된 제형을 바이러스 감염된 대상체에게 제공하는 단계; 약물과 함께 라벨, 및 패키지 삽입물(이는 제형의 사용, 투약 요법, 투여, 제형의 함량 및 독성 프로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함)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료는 대상체가 강심 배당체, 예를 들어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 디곡신, 우아바인, 부팔린, 시노부파탈린, 시노부파긴, 레시부포게닌, 또는 기타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강심 배당체에 치료적으로 반응성인 병태, 질병 또는 장애를 갖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투여 요법에 따라 대상체에 대한 약제학적 제형의 투여를 지시하는 단계; 대상체에게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제형을 투여하는 단계로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제형은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은 수용성(혼화성) 공-용매, 수불용성(비혼화성) 공-용매,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킬레이트제, 및 흡수 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용화제는 적어도 단일 계면활성제이지만, a) 계면활성제 및 물 혼화성 용매; b) 계면활성제 및 물 불혼화성 용매; c)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d)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및 물 혼화성 용매; e)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및 물 불혼화성 용매; f) 계면활성제, 물 혼화성 용매 및 물 불혼화성 용매; 또는 g)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물 혼화성 용매 및 물 불혼화성 용매의 조합과 같이 재료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선택적으로, a) 하나 이상의 액체 담체; b) 하나 이상의 유화제; c) 하나 이상의 가용화제; d) 하나 이상의 분산제; e) 하나 이상의 다른 부형제; 또는 f)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 혼화성 용매는 저분자량(6000 미만) PEG, 글리콜, 또는 알코올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작용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는 페길화된 계면활성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임의의 추출물(들), 및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를 포함하는 협측 또는 설하 제형을 제공한다. 상기 제형은 추출물의 성분을 구강 점막으로 전달하기에 적합하다. 적합한 제형은 정제, 웨이퍼, 패치, 스프레이, 드롭, 액체, 용액, 페이스트, 겔, 필름, 생체접착제 조성물, 구미 또는 분말을 포함한다.
복합 조성물은 임의의 유형의 약제학적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것들은 고체 제형, 액체 제형, 비경구 제형, 귀 제형, 안과 제형, 비강 제형, 흡입성 제형, 협측 제형, 설하 제형, 장 제형, 국소 제형, 경구 제형, 경구내(peroral) 제형, 주사 제형, 정제, 캡슐, 알약, 캐플릿, 트로키, 사시(sache), 용액, 현탁액, 분산액, 바이알, 백, 병, 주사 가능한 액체, i.v. (정맥 주사), i.m. (근육 내) 또는 i.p. (복강 내) 투여 가능한 액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형은 속방성, 즉시 방출, 제어 방출, 지속 방출, 지연 방출, 연장 방출, 버스트 방출, 연속 방출, 서방성 또는 펄스 방출 제형일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유형의 방출 중 2가지 이상을 나타내는 제형일 수 있다. 수성 환경에 놓였을 때 또는 대상체에 투여한 후, 제형은 0차, 유사-0차, 1차, 유사-1차 또는 S자형 방출 프로파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물 방출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형은 a) 0.5 내지 1시간 이하의 기간 내에 조성물의 투여량(charge)을 방출하고; b) 장용 코팅되어, 공장(空腸, jejunum), 회장(ileum), 소장 및/또는 대장(결장)과 같은 위의 하류에서 조성물의 투여량을 방출하고; 또는 c) 장용 코팅되어, 경구 투여 후 1-10시간 이내에 전신 순환계로 조성물의 투여량을 방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흡입성, 협측 또는 설하 제형은 하나 이상의 쓴맛 길항제(쓴맛 수용체 차단제로도 지칭됨)를 추가로 포함한다. 쓴맛 길항제는 강심 배당체와 같은 쓴맛 화합물에 의해 야기되는 미각 수용체 활성화를 억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쓴맛 길항제는 G 단백질-결합 수용체의 hTAS2R 패밀리의 수용체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를 억제한다. 본원에 사용된 쓴맛 길항제는 맛-차폐제(들)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쓴맛 길항제는 GIV3757(4-(2,2,3-트리메틸시클로펜틸)부탄산),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 6-메톡시-플라바논, 4'-플루오로-6-메톡시플라바논, 6,3'-디메톡시플라바논, 6-메톡시플라바논, 앱시스산, (-)-하드위키산(2-(피트란-3-일)에틸)-트리메틸-헥사히드로나프탈렌-카르복실산), 펜콘, 보르네올, 이소보르네올, 아네톨, 멘토푸란, 글리시리진산일나트륨, 풀루란(α-1,4-;α-1,6-글루칸), 향미제 또는 감미료를 포함한다. 적합한 향미료는 민트, 페퍼민트, 멘톨, 유칼립투스, 유칼립톨, 초콜릿, 스피어민트, 귤, 오렌지, 포도, 자몽, 마시멜로, 커피, 바나나 크림, 카라멜, 풍선껌, 체리, 레몬, 라임, 딸기, 단풍나무, 라즈베리 및/또는 사과를 포함한다. 적합한 감미료(들)는 마그나스위트(110 또는 135), 수크랄로스, 스테비올 배당체(들), 스테비아, 글리세린, 아세설팜 칼륨, PCCA 감미 증진제, PCCA 비터스톱, 디-d-프럭토푸라노스 1,2': 2,3' 디-무수물, 아스파탐, 네오헤스페리딘 디히드로칼콘 및 헤스페리딘 디히드로칼콘 4'-β-d 글루코시드, d-소르비톨, 사카린나트륨, 글루콘산나트륨 및/또는 글루타민산나트륨을 포함한다. 흡입 가능한 협측 또는 설하 제형은 고정 오일(예를 들어, 아몬드, 땅콩, 참깨, 올리브, 아보카도 또는 옥수수) 또는 수소화 오일과 같은 오일-기반 부형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흡입 가능한 협측 또는 설하 제형은 또한 중합체 코팅에 의한 테이스트 마스킹; 전통적인 과립화에 의한 테이스트 마스킹;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테이스트 마스킹; 지질과의 스프레이 응고에 의한 테이스트 마스킹; 시클로덱스트린과의 개재(inclusion) 복합체 형성에 의한 테이스트 마스킹; 동결 건조 공정에 의한 테이스트 마스킹; 다중 에멀젼 제조에 의한 테이스트 마스킹; 젤라틴, 젤라틴화된 전분, 리포솜, 레시틴 또는 레시틴 유사 물질, 계면활성제, 염 또는 고분자막에 의한 테이스트 마스킹으로 맛 차단(taste-masked)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흡입성, 협측 또는 설하 제형은 강심 배당체(들)와 같은 화합물의 점막 투과성 및 흡수를 개선하는 하나 이상의 투과 증진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적합한 투과 증진제(들)는 계면활성제, 담즙산염, 지방산, 시클로덱스트린 및 킬레이트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측면, 실시예 및 하위 실시예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음의 도면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한다. 당업자는 이들 도면 및 본 명세서의 설명에 비추어 과도한 실험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삼중점 및 임계점 온도 및 압력뿐만 아니라 고체, 액체, 기체 및 초임계 상을 나타내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상태도를 도시한다. 고체 상과 액체 상은 고체-액체 상 라인에 의해 분리된다. 액체 상 및 기체 상은 액체-기체 상 라인에 의해 분리된다. 초임계 유체 상와 액체 상은 초임계 유체-액 상 라인에 의해 분리된다. 따라서, 액체 영역은 액체-기체 상 라인, 고체-액체 상 라인, 초임계 유체-액체 상 라인, 삼중점(온도 및 압력) 및 임계점(온도 및 압력)에 의해 제한된다(bounded).
도 2는 초임계 영역 및 2개의 아임계 영역: 아임계 액체 영역 및 아임계 기체 영역을 나타내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에탄올 추출물(위), 아임계 CO2 추출물(중간), 및 실시예 18에 따라 결정된 선행 기술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PBI-05204(아래)의 GC-질량 분석 분석으로부터의 크로마토그램을 총 이온 전류(TIC) 검출과 함께 도시한다. 데이터는 추출물의 휘발성 및 반-휘발성 성분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올레안드린이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및 베툴린산으로부터 분리되는 PBI-05204(종래 기술)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올레안드린-함유 아임계 추출물, 올레안드린-함유 유기 용매 추출물, 및 상기 아임계 추출물 및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부형제 및 상기 추출물(들) 또는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강심 배당체 반응성, 특히 올레안드린 반응성 질환(들), 병태(들), 또는 장애(들)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상기 약학 조성물, 상기 추출물(들), 및/또는 상기 복합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추출물(들) 및 조성물(들)을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추출물(들) 및 조성물(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중(dual) 추출물 조성물이 임의의 단일 추출물 조성물과 상이한 조성 프로파일을 유리하게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에탄올(또는 수성 에탄올) 추출물과 아임계 CO2(개질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음)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이중 추출물 조성물)의 조성 프로필은 상기 에탄올 추출물, 상기 아임계 CO2 추출물, 열수 추출물, 냉수 추출물 또는 초임계 CO2 추출물을 포함하는 단일 추출물 조성물의 조성 프로필과 상이하고, 더 우수하다. 주요 이점은 복합 조성물이 올레안드린 함량 및 바이오매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다른 성분의 함량에 관해, 상기 다른 성분은 더 적게 포함하지만, 상기 추출물에서 원하는 표적 약리학적 활성 물질인 상당한 양의 올레안드린을 여전하기 포함한다는 점이다. 더욱이, 복합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임의의 개별 추출물보다 더 많은 비-올레안드린 성분을 포함하고, 이러한 비-올레안드린 성분 중 일부는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된 "식물 재료"는 식물 또는 식물 부분(예를 들어, 나무 껍질, 나무, 잎, 가지, 줄기, 뿌리, 새싹, 꽃, 과일, 종자, 장과(漿果) 또는 기타 식물 부분)뿐만 아니라 삼출물(exudates)로도 정의되며, 이는 2000년 8월 미국 보건복지부, 식품의약국 의약품 평가 및 연구 센터에 대한 산업 식물 의약품 초안 지침에서의 "식물 원료"의 정의에 해당하는 재료를 포함한다. 배양된 세포 덩어리(mass)도 식물 재료(바이오매스)로 사용될 수 있다. 식물 재료는 바이오매스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식물 재료는 잎, 새싹 및/또는 줄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올레안드린-함유 바이오매스(식물 재료)가 네리움 종(Nerium sp.), 네리움 올레안더(Nerium oleander)또는 네리움 올레안더 L(협죽도과)(Nerium oleander L (Apocynaceae)), 네리움 오도우럼(Nerium odourum), 네리움 인디쿰(Nerium indicum), 화이트 올레안더, 핑크 올레안더, 테베티아 종(Thevetia sp.), 옐로 올레안더,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Ibrahim et al., "네리움 올레안더 세포 배양에서 결합된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 매개 형질전환 및 진균 유발에 의한 올레안드린 생산의 자극(Stimulation of oleandrin production by combined Agrobacterium tumefaciens mediated transformation and fungal elicitation in Nerium oleander cell cultures)" in Enz. Microbial Technol. (2007), 41(3), 331-336, 이러한 전체 개시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 네리움 종의 세포 배양물(Ibrahim et al., "배지 조성과 기질 공급을 최적화하여 네리움 올레안더의 현탁 배양물에서 올레안드린 생산 향상(Enhancement of oleandrin production in suspension cultures of Nerium oleander by combined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and substrate feeding)" in J. Plant Biosys. (2009), 143(1), 97-103, 이러한 전체 개시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 테베티아 종의 세포 배양물,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포함한다. 네리움 올레안더는 시험관내 미세배양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새싹 배양은 네리움 올레안더 품종 플렌덴스 기간테움(Splendens Giganteum), 레반체(Revanche) 또는 알사세(Alsace) 또는 기타 품종의 묘목 및/또는 새싹 생장섬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Vila et al., "올레안더(네리움 올레안더 L.)의 미세 증식(Micropropagation of Oleander(Nerium oleander L.))", HortScience (2010), 45(1), 98-102, 전체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 네리움 올레안더 식물 재료는 예를 들어, Aldridge Nursery, Atascosa, Texas와 같은 상업적 식물 공급업체로부터 얻을 수 있다. 네리움 올레안더의 적합한 품종에는 알붐(Album)(흰색), 페티 살몬(Petit Salmon)(핑크), 트루 페일(True Pale), 핑크 뷰티(Pink Beauty), 칼립소(Calypso)(다크 핑크) 또는 레드 하디(Red Hardy)가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올레안드린"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공지된 형태의 올레안드린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올레안드린은 라세미형,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 광학적으로 풍부한 형태 또는 입체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반-휘발성 유기 화합물(SVOC)은 1x10-5 내지 3x10-7 atm*m3/mol* 범위의 헨리 법칙 상수(H)(*H 범위는 액체로부터 공기로의 휘발성으로 정의됨)를 갖는 유기 화합물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10-14 내지 10-4 atm의 낮은 증기압을 갖는 물보다 높은 끓는점을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은 101.3kPa의 표준 대기압에서 측정된, 250℃ 이하의 초기 비등점을 갖는 임의의 유기 화합물이다.
유기 용매 추출물 및 아임계 액체 추출물은 적어도 올레안드린, VOC 및 SVOC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추출물로 형성된 각각의 복합 조성물은 또한 이러한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a)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개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아임계 액체(SbCL) 추출(SbCLE); b) 선택적으로 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유기 용매를 사용한 추출(OSE); 또는 c) ScCLE와 OSE의 조합에 의해 올레안드린-함유 바이오매스로부터 올레안드린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출은 동일한 바이오매스 또는 다른 배치의 바이오매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고체, 액체, 기체 및 초임계 유체 상을 나타내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상태도를 도시한다. SbCLE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초임계 유체 상 영역(상태도에서) 외부의 액체 상 영역에서 수행된다. 액체 상 영역은 고체-액체 상 라인, 액체-기체 상 라인, 액체-초임계 상 라인, 초임계 유체-액체 상 라인, 삼중점(고체-액체-기체) 및 임계점(액체-기체-초임계)에 의해 한정된다(bounded). CO2에 대한 대략적인 임계점 온도와 압력은 각각 tcp = 약 31-31.1 ℃ 및 pcp = 약 73.7-73.8 bar이다. CO2에 대한 대략적인 삼중점 온도 및 압력은 각각 ttp = 약 -56.4-56.5 ℃ 및 ptp = 약 5.1-5.2 bar이다.
아임계 추출 액체는 주로 CO2를 포함하고; 따라서 아임계 조건의 결정은 이산화탄소에 대한 공지된 상태도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아임계 조건은 추출 용기에서 하기 조건[a) 약 -56.4℃ 내지 약 31.1℃ 또는 그 이하 범위의 온도; b) 5.1 bar 이상의 압력; 및/또는 c) 추출 매질이 고체, 기체 또는 초임계 유체 상이 아닌 액체 상이 되도록, 이산화탄소에 대한 아임계 온도 및/또는 아임계 압력에서] 하에서 추출을 수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SbCLE는 추출 매질(주로 이산화탄소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개질제를 포함함)이 기체 상, 고체 상 또는 초임계 유체 상이 아닌 아임계 액체 상으로 유지되는 압력 및 온도 조건하에 수행된다.
바람직한 추출 조건은 아임계 액체가 임계 압력 이상, 삼중점 온도 초과, 임계점 온도 미만, 및 고체-액체 상 라인 아래에 있는 조건이다. 상태도를 참조하면, 이러한 조건에 의해 경계지워지는(한정되는) 영역은 더 높은 밀도의 아임계 액체를 제공하고, 그 결과 추출 효율이 더 높아진다.
추출 기간은 추출 액체와 바이오매스가 접촉하는 동안의 기간이다. SbCLE의 경우, 각 추출 사이클에 대한 추출 기간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24시간, 0.5 내지 12시간, 또는 0.5 내지 6시간 범위이다. 유기 용매 추출의 경우, 각 추출 사이클에 대한 추출 기간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24시간, 0.5 내지 12시간, 또는 0.5 내지 6시간 범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임계 액체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임계 액체는 이산화탄소 및 적어도 하나의 개질제를 포함한다. 개질제는 알코올, 유기 용매, 알킬 케톤, 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특히 적합한 개질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글리콜(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또는 N-메틸피롤리돈(NMP)을 포함한다.
바이오매스에 대한 아임계 액체의 중량비는 또한 추출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이오매스에 대한 아임계 액체(개질제가 있거나 없는)의 중량비는 용매 및 원료 둘 다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0:1 내지 약 100:1, 약 30:1 내지 약 75:1, 약 50:1, 약 45:1 내지 60:1, 또는 약 40:1 내지 약 45:1이다.
SbCL 추출 기간의 주요 부분(약 50% 이상) 동안, 추출 유체는 (추출 환경에서) 아임계 액체 형태일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출 액체는 추출 기간의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적어도 95%, 또는 적어도 99% 동안 아임계 액체 형태일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출 액체는 추출 기간 내내 아임계 액체 형태일 것이다.
장비 성능으로 인해, 바이오매스의 이산화탄소 추출이 짧은 기간 동안 초임계 상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추출 기간의 대부분(약 50% 이상) 동안, 추출은 아임계 조건에서 일어날 것이다.
네리움 바이오매스의 SbCLE은 실시예 3에 따라 수행되었다. 건조된 바이오매스는 알코올(에탄올, 각각 약 10-5 wt%)을 함유하는 아임계 액체 CO2(약 90-95 wt%)로 추출하였다. 추출 기간 완료 후, 추출 환경 바이오매스를 여과에 의해 아임계 액체로부터 분리하여, 올레안드린-함유 아임계 액체(이는 또한 다른 추출된 성분을 포함함)를 제공하였다. CO2를 배출하여 조 추출물을 제공하고, 이를 에탄올로 희석한 다음, 동결시키고, 해동하고, 여과하고, 이어서 진공에서 농축하고, 다시 한번 50% v/v 수성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실시예 15에 따라 유기 용매 추출을 수행하였다. 건조 및 분말화된 네리움 바이오매스를 수성 에탄올(10% v/v의 물 함유)로 3회(3회 추출 사이클)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 사이클에 대해, 추출 환경은 추출 기간이 완료된 후 필터링되었다. 각각의 3개의 상청액을 합하고 진공에서 원래 부피의 약 20%로 농축하여, 농축물을 형성하고, 이를 멸균 여과하여 조 에탄올 추출물을 형성한 다음, 이를 50% v/v/수성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SbCL 추출물의 조성(일부 공지된 성분의 함량을 기준으로 함)을 네리움 올레안더의 종래 기술 초임계 유체(SCF) 추출물(PBI-05204, 위에 기술됨), 종래 기술 열수 추출물(ANVIRZEL™), 및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유기 용매 추출물의 조성과 비교하였다. 동일한 양의 식물 재료에 기초하여, a) 관찰된 올레안드린의 수율(식물 재료의 Kg당 올레안드린 mg)은 에탄올 추출물 > 아임계 추출물 > 초임계 추출물이었고; b) 관찰된 VOC 및 SVOC의 수율(식물 재료의 Kg당 VOC+SVOC mg)은 초임계 추출물 > 에탄올 추출물 > 아임계 추출물이었다. 개별 성분의 함량은 표시된 값에 대해 ±25%, ±20%, ±15%, ±10% 또는 ±5%만큼 상이할 수 있다. 올레안드린,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및 이들의 유도체의 표준물질은 Sigma-Aldrich(www.sigmaaldrich.com; St. Louis, MO, USA)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
추출물의 부분 조성은 JEOL AccuTOF-DART 질량 분석기(JEOL USA, Peabody, MA, USA)에서 DART TOF-MS(실시간 비행 질량 분석의 직접 분석(Direct Analysis in Real Time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출물은 강심 배당체(들), 글리콘(들), 아글리콘(들), 스테로이드(들), 트리테르펜(들), 다당류(들), 당류(들), 알칼로이드(들), 지방, 단백질(들), 또는 이들의 조합를 포함한다. 특정 화합물은 올레안드린을 포함하며, 존재할 수 있는 다른 화합물은 네리탈로사이드, 오도로사이드,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올레안드리게닌, 올레아사이드 A, 베툴린(urs-12-ene-3β,28-diol), 28-norurs-12-en-3β-ol, urs-12-en-3β-ol, 3β,3β-하이드록시-12-올레아넨-28-오익산(oic acid), 3β,20α-디하이드록시우르스-21-en-28-오익산, 3β,27-디하이드록시-12-ursen-28-오익산, 3β,13β-디하이드록시우르스-11-en-28-오익산, 3β,12α-디하이드록시올레아난-28,13β-올라이드(olide), 3β,27-디하이드록시-12-올레아난-28-오익산, 호모폴리갈락투로난, 아라비노갈라투로난, 클로로겐산, 카페산, L-퀸산, 4-쿠마로일(coumaroyl)-CoA, 3-O-카페오일퀸산, 5-O-카페오일퀸산, 카르데놀라이드 B-1, 카르데놀라이드 B-2, 올레아게닌, 네리디지노사이드, 네리조사이드, 오도로사이드-H, 3-베타-O-(D-디지노실)-5-베타, 람노즈,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갈락토스 및 갈락투론산으로 구성된 14 베타-디하이드록시-카드-20(22)-에놀라이드 펙틱 다당류, 17000-120000 D 범위의 MW 또는 약 35000 D, 약 3000 D, 약 5500 D 또는 약 12000 D의 MW를 갖는 다당류, 카르데놀라이드 모노글리코사이드, 카르데놀라이드 N-1, 카르데놀라이드 N-2, 카르데놀라이드 N-3, 카르데놀라이드 N-4, 프레그난, 4,6-디엔(diene)-3,12,20-트리온, 20R-하이드록시프레그나-4,6-디엔-3,12-디온(dione), 16 베타,7 베타-에폭시-12베타-하이드록시프레그나-4,6-디엔-3,20-디온, 12베타-하이드록시프레그나-4,6,16-트리엔-3,20-디온(네리디에논 A), 20S,21-디하이드록시프레그나-4,6-디엔-3,12-디온(네리디에논 B), 네리우코우마릭산(neriucoumaric acid), 이소네리우코우마릭산, 올레안데로익산(oleanderoic acid), 올레안데렌(oleanderen), 8알파-메톡실랍단-18-오익산, 12-우르센(ursene), 칸네로사이드, 네리우모사이드, 3β-O-(D-디지노실)-2α-하이드록시-8,14β-에폭시-5β-카르다(carda)-16:17, 20:22-디에놀라이드, 3β-O-(D-디지노실)-2α,14β-디하이드록시-5β-카르다-16:17,20:22-디에놀라이드, 3β,27-디하이드록시-urs-18-en-13,28-올라이드, 3β,22α,28-트리하이드록시-25-nor-lup-1(10),20(29)-디엔-2-온(one), cis-카레닌(karenin)(3β-하이드록시-28-Z-p-쿠마로일옥시-urs-12-en-27-오익산), trans-카레닌(karenin)(3-β-하이드록시-28-E-p-쿠마로일옥시-urs-12-en-27-오익산), 3베타-하이드록시-5알파-카르다-14(15),20(22)-디에놀라이드(베타-안하이드로에피디기톡시게닌(anhydroepidigitoxigenin), 3베타-O-(D-디지털로실)-21-하이드록시-5베타-카르다-8,14,16,20(22)-테트라에놀라이드(네리우모게닌-A-3베타-D-디지털로사이드), 프로세라게닌, 네리디엔온 A, 3베타,27-디하이드록시-12-ursen-28-오익산, 3베타,13베타-디하이드록시우르스-11-en-28-오익산, 3베타-하이드록시우르스-12-en-28-알데히드, 28-orurs-12-en-3베타-올, urs-12-en-3베타-올, urs-12-ene-3베타,28-디올, 3beta,27-디하이드록시-12-올레아넨-28-오익산, (20S,24R)-에폭시담마란-3베타,25-디올, 20베타,28-에폭시-28알파-메톡시타락사스테란-3베타-올, 20베타,28-에폭시타락사스터-21-en-3베타-올, 28-노르(nor)-urs-12-ene-3베타, 17베타-디올, 3베타-하이드록시우르스-12-en-28-알데히드, 알파-네리우르세이트(neriursate), 베타-네리우르세이트, 3알파-아세토페녹시-urs-12-en-28-오익산, 3베타-아세토페녹시-12-en-28-오익산, 올레안데로익산, 칸네로디온(Kanerodione), 3β-p-하이드록시페녹시-11α-메톡시-12α-하이드록시-20-ursen-28-oic acid, 28-하이드록시-20(29)-루펜(lupen)-3,7-디온, 카네로신(kanerocin)(3α-하이드록시-urs-18,20-dien-28-오익산), 3알파-하이드록시-urs-18,20-dien-28-oic acid, D-사르멘토스, D-디지노스, 네리디지노사이드, 네리조사이드, 이소리시노레익산(isoricinoleic acid), 젠티오비오실네리고사이드(gentiobiosylnerigoside), 젠티오비오실베오몬토사이드(gentiobiosylbeaumontoside), 젠티오비오실올리엔드린(gentiobiosyloleandrin), 폴리네린(folinerin), 12β-하이드록시-5β-carda-8,14,16,20(22)-테트라에놀라이드(tetraenolide), 8β-하이드록시-디지톡시게닌(digitoxigenin), Δ16-8β-하이드록시-디지톡시게닌, Δ16-네리아게닌(neriagenin), 우바올(uvaol), 우르솔릭 알데히드(ursolic aldehyde), 27(p-쿠마로일옥시)우르솔산, 올레안데롤(oleanderol), 16-안하이드로(anhydro)-데액틸(deacteyl)-네리고사이드, 9-D-하이드록시-cis-12-옥타데카노익산, 아디고사이드, 아디네린, 알파-아미린,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캄페스트롤(campestrol), 천연고무(caoutchouc), 카프릭산, 카프릴산, 콜린, 코네린(cornerin), 코르테네린(cortenerin), 데아세틸올레안드린(deacetyloleandrin), 디아세틸-네리고사이드(diacetyl-nerigoside), 폴리안드린(foliandrin), 슈도쿠라민(pseudocuramine), 퀘르세틴(quercetin), 퀘르세틴-3-람노글루코사이드(rhamnoglucoside), 퀘르시트린(quercitrin), 로사기닌(rosaginin), 루틴(rutin),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스트로스페사이드(strospeside), 우레히톡신(urehitoxin) 및 우자리게닌(uzarigenin)을 포함한다. 추출물에 존재할 수 있는 추가 성분은 Gupta et al.(IJPSR(2010), 1(3), 21-27, 이들 전체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유기 용매 추출물 및 아임계 추출물에 존재하는 일부 휘발성 및 반-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정체(identity)는 실시예 18에 따른 GS 질량 분광분석법에 의해 결정되었다. 에탄올 및/또는 아임계 추출물에서 발견되는 휘발성 및 반-휘발성 화합물은 잠정적으로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 스쿠알렌, 2-(데카노일옥시)프로판-1,3-디일디옥타노에이트, 알파토코페롤, 스티그마스테롤, 감마-시토스테롤, 데칸산, 1,2,3-프로판트리일 에스테르, 우르솔산 알데하이드, 카테콜, 5-히드록시메틸푸랄, (E)-4-(3-히드록시프로프-1-엔-1-일)-2-메톡시페놀, n-헥사데센산, 비스(2-에틸헥실)프탈레이트, 1,4-벤젠디카르복실산, 비스(2-에틸헥실)에스테르 및 디데실 프탈레이트로 확인되었다. 미-확인된 휘발성 및 반-휘발성 화합물이 추가로 관찰되었다.
도 3의 GC 크로마토그램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에탄올 추출물(위), 아임계 CO2 추출물(중간) 및 PBI-05204의 조성 프로파일은 상이하다. 에탄올 추출물은 아임계 추출물보다 VOC와 SVOC가 더 적고, 아임계 추출물은 초임계 유체 추출물인 PBI-05204보다 VOC와 SVOC가 더 적다. 따라서, 에탄올 추출물 및 아임계 유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은 PBI-05204보다 VOC와 SVOC가 더 적다.
유기 용매 추출물, 아임계 액체 추출물, 복합 조성물, 및 PBI-05204의 조성 프로파일은 또한 실시예 10에 따른 탠덤 질량 분석 검출 및/또는 UV/VIS 검출과 함께, HPLC에 의해 결정된다. HPLC 크로마토그램은 복합 조성물이 동일한 비율의 에탄올 추출물과 SbCL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예측될 수 있는 조성 프로파일을 갖고, PBI-05204의 조성 프로파일과 상이한 조성 프로파일을 가짐을 나타낸다. 각 추출물에서 올레안드린의 함량이 정량화되고, 이에 의해 에탄올 추출물이 동일한 중량 기준으로, SbCL 추출물보다 훨씬 더 많은 올레안드린 상대 함량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네리움 올레안더 추출물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성분에 대한 내부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성분들에 대한 올레안드린의 함량이 3 가지 추출물 사이에서 상이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유기 용매 추출물 및 SbCL 추출물의 조성은 그 안의 개별 성분의 상대적 함량에 따라 상이하다. 추출물의 식물화학적 분석에 기초하여, 개별 추출물의 조성은 그 안의 성분 클래스(유형)의 상대적 함량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에탄올 추출로 제조된 추출물: 총 유리 아미노산 > 총 당 > 총 셀룰로오스 > 총 알칼로이드 > 총 폴리페놀 ~ 총 플라보노이드 > 총 전분 > 총 조 단백질
● 수성 에탄올 추출로 제조된 추출물: 총 유리 아미노산 > 총 셀룰로오스 > 총 알칼로이드 > 총 당 > 총 폴리페놀 ~ 총 플라보노이드 > 총 전분 > 총 조 단백질
● SbCL 추출로 제조된 추출물: 총 유리 아미노산 > 총 전분 > 총 알칼로이드 > 총 셀룰로오스 > 총 플라보노이드 > 총 당 > 총 폴리페놀 > 총 조 단백질
이들의 조성은 테르페노이드, 강심 배당체 및 다른 성분의 상대적 함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추가로 상이한다:
● 에탄올 추출로 제조된 추출물: 카네로신 > 카네로디온 > 올레아놀산 > 우르솔산 ~ 올레안드린 ~ 베툴린산 > 올레안드리게닌 ~ 네리움 F, 오도로사이드(A 및 H) ~ 아디네린 ~ 오도로사이드-G-아세테이트 > 기톡시게닌.
● SbCL 추출로 제조된 추출물: 올레아놀산 > 우르솔산 ~ 올레안드린 ~ 베툴린산 > 올레안드리게닌 ~ 네리움 F > 오도로사이드(A 및 H) ~ 아디네린 ~ 오도로사이드-G-아세테이트 > 카네로신.
복합 조성물은 바이오매스 추출 동안 수득된 하기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네리탈로사이드, 네리인, 폴리네린, 기톡시게닌, 디지톡시게닌, 네리고사이드, 루틴, 우르소닉산, 네리디에논 A, 아디네리게닌, 데아세틸올레안드린, 오도로사이드 G 아세테이트, 및/또는 케르세틴.
본 발명에 따른 SbCL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또는 복합 조성물로 치료된 대상체는 치료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치료적 반응"은 대상체가 치료의 결과로서 하기 임상적 이점(증상의 중증도 감소, 증상 발생의 감소, 부분적 또는 완전한 차도(remission), 및/또는 치유) 중 적어도 하나를 향유할 것임을 의미한다. 치료 반응은 전체 또는 부분 치료 반응일 수 있다.
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식이 성분 및 식품 물질은 U.S.F.D.A. (https://www.fda.gov/food/new-dietary-ingredients-ndi-notification-process/new-dietary-ingredients-dietary-supplements-background-industry, https://www.accessdata.fda.gov/scripts/fdcc/?set=FoodSubstances, and https://www.accessdata.fda.gov/scripts/fdcc/?cat=foodingredpkg, 이들 전체 개시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에 나열되어 있다. 식이 성분 또는 식품 물질의 예시적인 부류는 비타민, 미네랄, 허브, 식물, 아미노산, 단백질, 지방, 폴리뉴클레오티드, 다당류, 탄수화물, 지질, VOC, SVOC, 항산화제, 페놀 화합물, 향미제, 에센스, 방향족 화합물, 물, 감미료, 팽창제, 향미증진제, 착색제, 유화제, 방부제, 고화방지제, 소금, 완충제, 기름, 곡물, 효소, 호르몬, 레시틴, 멜라닌, 고분자, 생체고분자, 섬유, 전분, 지방산, 임의의 식품에서 발견된 모든 물질, 이의 농축물, 이의 대사 산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불활성 성분은 U.S.F.D.A. (https://www.fda.gov/drugs/drug-approvals-and-databases/inactive-ingredients-database-download, 이들 전체 개시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에 나열되어 있다.
투여 요법은 투여 스케줄에 따라 투여되는 (추출물 또는 조성물 중) 올레안드린의 치료학적으로 적절한 투여량(또는 유효 투여량)을 포함한다. 따라서, 치료학적으로 적절한 투여량은 치료 반응이 관찰되고 대상체가 과도한 양의 원치 않거나 유해한 부작용 없이 올레안드린을 투여받을 수 있는 치료적 투여량이다. 치료학적으로 적절한 투여량은 비록 그것이 환자에게 약간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더라도, 대상체에게 치명적이지 않다. 이는 올레안드린이 투여되는 대상체에 대한 임상적 이점의 수준이 올레안드린 투여로 인해 대상체가 경험하는 유해한 부작용의 수준을 초과하는 투여량이다.
화장(화장품) 조성물은 U.S.F.D.A.(https://www.fda.gov/cosmetics/cosmetic-products-ingredients/cosmetic-ingredients)에 의해 승인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화장품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코스메슈티컬은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카이 오일, 알파-리포산, 녹차 추출물, 레티놀, 코엔자임 Q10(CoQ10), 카페인, 알파-하이드록시산(AHA), 히알루론산, 글리세린, 소르비톨,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 화이트 미네랄 오일(석유 탄화수소 오일),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비타민 E, 시트르산, 프로필 갈레이트, 기타 공지된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형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하며, 기능식품적으로 및/또는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형은 산성제, 알칼리제, 완충제, 등장성 개질제, 삼투압제, 수용성 중합체, 수팽윤성 중합체, 증점제(thickening agent), 착화제, 킬레이트제, 침투 강화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각각 발생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는 U.S.F.D.A.의 "비활성 성분 데이터베이스(다음 웹사이트에서 이용 가능: https://www.fda.gov/Drugs/InformationOnDrugs/ucm113978.html; Oct. 2018)"에 나열된 것과 같은 비경구 또는 경구 제형(투여 형태)에 사용하도록 승인된 U.S.F.D.A. 비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그 전체 개시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치료학적으로 관련된 투여량은 다양한 확립된 약리학적, 약력학적 및 약동학적 원리에 따라 대상체마다 다를 것이다. 그러나, 치료학적으로 적절한 투여량(예를 들어, 올레안드린과 관하여)은 일반적으로 하루에 약 1μg 이상, 하루에 약 5μg 이상, 하루에 약 10μg 이상, 하루에 약 20μg 이상, 하루에 약 25μg 이상, 하루에 약 50μg 이상, 하루에 약 75μg 이상, 하루에 약 100μg 이상, 하루에 약 200μg 이상, 하루에 약 250μg 이상, 하루에 약 500μg 또는 그 이상, 또는 하루에 최대 약 750μg의 올레안드린일 수 있고, 또는 투여량 당 약 1 내지 약 750μg 범위의 올레안드린일 수 있거나, 또는 하루에 약 25μg, 약 100μg, 약 250μg, 약 500μg, 또는 약 750μg의 올레안드린을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대상체에서 목표 치료 결과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올레안드린의 실제 양은 약학의 기본 원칙에 따라 대상체마다 상이할 수 있다. 임의의 환자에 대한 특정 투여량 수준은 치료되는 증상, 증상의 중증도, 환자 건강, 연령, 성별, 체중, 식이, 약리학적 반응, 사용되는 특정 제형, 및 기타 그러한 요인을 포함하여, 다양한 요인에 따라 상이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상체는 하루에 140μg 내지 315μg의 올레안드린을 투여받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투여량은 5μg 내지 750μg, 12μg 내지 300μg, 또는 12μg 내지 120μg의 올레안드린을 포함한다. 올레안드린의 권장 일일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1일 2회 약 0.25 내지 약 60μg, 1일 2회 약 5 내지 약 60μg, 1일 2회 약 5 내지 30μg이다. 투여량은 약 0.5 내지 약 100μg/일, 약 1 내지 약 80μg/일, 약 1.5 내지 약 60μg/일, 약 1.8 내지 약 60μg/일, 약 5 내지 약 60μg/일일 수 있다. 최소 유효 투여량은 약 0.5μg/일, 약 1μg/일, 약 1.5μg/일, 약 1.8μg/일, 약 2μg/일, 또는 약 5μg/일일 수 있다. 올레안드린을 포함하는 적합한 투여량은 약 0.05-0.5 mg/kg/일, 약 0.05-0.35 mg/kg/일, 약 0.05-0.22 mg/kg/일, 약 0.05-0.4 mg/kg/일, 약 0.05-0.3 mg/kg/일, 약 0.05-0.5 μg/kg/일, 약 0.05-0.35 μg/kg/일, 약 0.05-0.22 μg/kg/일, 약 0.05-0.4 μg/kg/일, 또는 약 0.05-0.3 μg/kg/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올레안드린의 투여량은 약 1 mg 내지 약 0.05 mg, 약 0.9 mg 내지 약 0.07 mg, 약 0.7 mg 내지 약 0.1 mg, 약 0.5 mg 내지 약 0.1 mg, 약 0.4 mg 내지 약 0.1 mg, 0.3 mg 내지 약 0.1 mg, 약 0.2 mg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투여량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추출물에 존재하는 올레안드린의 권장되는 1일 투여량은 1일 2회 약 0.1μg 내지 약 4.5μg/kg 체중일 수 있다. 올레안드린의 투여량은 약 0.1 내지 약 1 μg/체중 kg/일, 약 0.5 내지 약 1.0 μg/체중 kg/일, 약 0.75 내지 약 1.5 μg/체중 kg/일, 약 1.5 내지 약 2.52 μg/체중 kg/일, 약 2.5 내지 약 3.0 μg/체중 kg/일, 약 3.0 내지 4.0 μg/체중 kg/일 또는 약 3.5 내지 4.5 μg/체중 kg/일일 수 있다.
올레안드린은 약 20 μg 내지 약 100 μg, 약 12 μg 내지 약 300 μg, 또는 약 12 μg 내지 약 120 μg의 올레안드린의 초기 투여량을 대상체에게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제형로 존재할 수 있다. 제형은 올레안드린 약 1μg 내지 약 100μg, 약 0.01μg 내지 약 100mg 또는 약 0.01μg 내지 약 100μg의 올레안드린, 올레안드린 추출물 또는 올레안드린을 함유하는 네리움 올레안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료 대상체의 혈장 중 올레안드린의 농도는 약 10μg/mL 이하, 약 5μg/mL 이하, 약 2.5μg/mL 이하, 약 2μg/mL 이하, 또는 약 1 μg/mL 이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료 대상체의 혈장 중 올레안드린의 농도는 약 0.0001μg/mL 이상, 약 0.0005μg/mL 이상, 약 0.001μg/mL 이상, 약 0.0015μg/mL 이상, 약 0.01 μg/mL 이상, 약 0.015μg/mL 이상, 약 0.1μg/mL 이상, 약 0.15μg/mL 이상, 약 0.05μg/mL 이상, 또는 약 0.075μg/mL 이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료 대상체의 혈장 중 올레안드린의 농도는 약 10μg/mL 내지 약 0.0001μg/mL, 약 5μg/mL 내지 약 0.0005μg/mL, 약 1μg/mL 내지 약 0.001μg/mL, 약 0.5μg/mL 내지 약 0.001μg/mL, 약 0.1μg/mL 내지 약 0.001μg/mL, 약 0.05μg/mL 내지 약 0.001μg/mL, 약 0.01μg/mL 내지 약 0.001μg/mL, 약 0.005μg/mL 내지 약 0.001μg/mL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혈장 농도 범위의 모든 조합 및 선택을 포함한다.
인간 임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올레안드린의 투여량의 50% 내지 75%가 경구 생체이용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제형당, 약 10 내지 약 20μg, 약 20 내지 약 40μg, 약 30 내지 약 50μg, 약 40 내지 약 60μg, 약 50 내지 약 75μg, 약 75 내지 약 100μg의 올레안드린을 제공할 수 있다. 성인 인간의 평균 혈액량이 5리터라고 하면, 예상되는 올레안드린 혈장 농도는 약 0.05 내지 약 2ng/ml, 약 0.005 내지 약 10ng/mL, 약 0.005 내지 약 8ng/mL, 약 0.01 내지 약 7 ng/mL, 약 0.02 내지 약 7 ng/mL, 약 0.03 내지 약 6 ng/mL, 약 0.04 내지 약 5 ng/mL, 또는 약 0.05 내지 약 2.5 ng/mL의 범위일 것이다.
치료학적으로 적절한 투여량은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치료학적으로 적절한 투여량은 1일 1회, 2회, 3회 또는 그 이상 투여될 수 있다. 그것은 격일, 3일마다, 4일마다, 5일마다, 주2회마다, 매주, 격주로, 3주마다, 4주마다, 매월, 격월로, 월2회마다, 3개월마다, 4개월마다, 반년마다, 매년, 또는 적절한 투여 일정에 도달하기 위해 위의 임의의 조합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학적으로 적절한 투여량은 1주 이상 동안 매일 1회 이상(최고 투여량의 경우 1일 최대 10회) 투여될 수 있다. 1일 총 투여량은 또한 몇 시간에 걸쳐, 하루 중 일부 또는 12 내지 24시간 동안, 주입 또는 펌프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복수의 치료 유효량의 (본 발명의 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내) 올레안드린을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투여량은 주당 1일 이상, 선택적으로는 1개월에 1주 이상, 선택적으로는 1년에 1개월 이상 동안, 매일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이 원하는 임상 종점(들)까지 여러 날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이 원하는 임상 종점(들)까지 여러 날 및 여러 주 동안, 매일 투여된다. 하루에 한 번 이상 투여될 수 있다. 1일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또는 그 이상의 투여량이 투여될 수 있다.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은 만성적으로, 즉 매일, 격일로, 이틀마다, 3일마다, 4일마다, 5일마다, 6일마다, 매주, 격주로, 두 번째 주마다, 세 번째 주마다, 매월, 격월로, 반달마다, 월2회마다, 분기별로, 격분기로, 삼분기마다, 계절별로, 반년마다 및/또는 매년과 같이 반복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치료 기간은 1주 이상, 1개월 이상, 1분기 이상 및/또는 1년 이상일 수 있다.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의 유효 투여량은 하루에 한 번 이상 투여된다.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은 주당 2일 이상, 선택적으로는 한 달에 한 주 이상, 선택적으로는 연간 한 달 이상 동안, 하루에 한 번 이상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상체는 올레안드린 요법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평가된다.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의 투여가 표시된다. 추출물의 초기 투여량은 일정 기간(치료 기간) 동안 처방된 투여 요법에 따라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대상체의 임상 반응과 치료 반응 수준은 주기적으로 결정된다. 1회 투여량에서 치료 반응 수준이 너무 낮으면, 대상체에서 원하는 치료 반응 수준이 달성될 때까지, 미리 결정된 투여량 증량 스케줄에 따라 용량을 증량한다. 올레안드린으로 대상체를 치료하는 것은 필요에 따라 계속된다. 투여량 또는 투여 요법은 환자가 병태의 중단, 증상의 감소 및/또는 병태의 진행 감소와 같은 원하는 임상적 종점(들)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임상의가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의 조합으로 대상체를 치료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방법 발명은 올레안드린의 치료학적으로 적절한 투여량과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의 치료학적으로 적절한 투여량을 필요로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올레안드린은 제1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되고,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제2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투여 요법은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투여 요법은 상이하다.
올레안드린은 주된 요법, 보조 요법 또는 공동 요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올레안드린을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별도로 투여하거나 공동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올레안드린이 상기 다른 치료제의 투여 전, 투여 동안 또는 투여 후에 투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임상의가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투여량으로, 또는 임상의가 하위-치료학적으로(sub-therapeutically)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투여량으로,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올레안드린과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의 조합 투여에 의해 제공되는 임상적 이점 및/또는 치료 효과는 부가적이거나 상승적일 수 있으며, 이러한 이점 또는 효과의 수준은 조합의 투여와 개별 성분의 투여를 비교함으로써 결정된다.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식품의약국, 세계보건기구, 유럽의약품청(E.M.E.A.), 치료용품청(TGA, 호주), 범 아메리카 보건 기구(PAHO), 의약품 및 의료 기기 안전 당국(Medsafe, New Zealand) 또는 전 세계 여러 보건부에 의해 제안되거나 기재된 투여량으로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된다.
SbCL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복합 조성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실시예 7에 따라 확립되었으며, 여기서 WO 2018053123 A1, WO 2019055119 A1, US 10596186 B2, 및 관련 미국 및 외국 특허 및 출원[이들 전체 개시내용이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에서 제시된 시험관내 검정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입증하기 위해 이어진다.
치료 가능한 바이러스 감염은 아레나비리대 과, 아터비리대(Arterviridae) 과, 부니아비리대 과, 필로비리대 과, 플라비비리대 과(플라비바이러스 속), 오르토믹소비리대 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속), 파라믹소비리대 과, 랍도비리대 과, 레트로비리대 과(델타레트로바이러스 속), 코로나비리대 과, (+)-ss-envRNAV(포지티브 센스 단일 가닥 엔벨롭드 RNA 바이러스), (-)-ss-envRNAV(네거티브 센스 단일 가닥 엔벨롭드 RNA 바이러스), 또는 토가비리대 과의 바이러스, 및 이들의 알려진 임의의 속, 종, 및/또는 균주에 의해 야기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ss-envRNAV는 인간에게 병원성인 코로나바이러스이다. 치료할 수 있는 특정 바이러스는 적어도, 에볼라바이러스, 마르부르크바이러스, 알파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 황열병, 뎅기열, 일본뇌염,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지카바이러스, 베네수엘라 말 뇌척수염(뇌염)(VEE) 바이러스, 치쿤구니야 바이러스, 서부 말 뇌척수염(뇌염)(WEE) 바이러스, 동부 말 뇌척수염(뇌염)(EEE) 바이러스, 진드기 매개 뇌염, 키아사누르 삼림병, 알쿠르마 질병, 옴스크 출혈열, 헨드라 바이러스, 니파 바이러스, 델타레트로바이러스-1 바이러스, HTLV-1 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 MERS-CoV, COVID-19(SARS-CoV-2), CoV 229E, CoV NL63, CoV OC43, CoV HKU1, CoV HKU20, 오녕인(O'nyong'n)바이러스(ONNV), 포고스타(Pogosta) 질병 바이러스, 신드비스(Sindbis) 바이러스, 로스강 열병 바이러스(RRV) 및 셈리키(Semliki) 삼림 바이러스, 라사(Lassa) 바이러스, 무균성 뇌수막염, 구아나리토(Guanarito) 바이러스, 쥬닌(Junin) 바이러스, 루요(Lujo) 바이러스, 마추포(Machupo) 바이러스, 사비아(Sabia) 바이러스, 화이트워트 아로요(Whitewater Arroyo) 바이러스, 한타바이러스(Hantavirus), 크리민-콩고(Crimean-Congo) 출혈열 오르토나이로 바이러스, 볼거리 바이러스, 니파(Nipah) 바이러스, 헨드라(Hendra) 바이러스,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RSV), 인간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HPIV), NDV(뉴캐슬 질병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 내지 C), 이사바이러스(Isavirus), 토고토바이러스(Thogotovirus), 콰란자바이러스(Quaranjavirus), H1N1 바이러스, H2N2 바이러스, H3N2 바이러스, H1N2 바이러스,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 아시아 독감 바이러스, 홍콩 독감 바이러스, 러시아 독감 바이러스, 광견병 바이러스, 베시큘로 바이러스, 리사바이러스(Lyssavirus), 및 사이토랍도바이러스(Cytorhabdovirus)를 포함한다.
SbCL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복합 조성물의 신경보호 활성은 실시예 8에 따라 확립되었으며, 여기서 WO 2011085307 A1, US 8481086 B2, US 9220778 B2, US 9358293 B2, US 9877979 B2, US 10383886 B2, 및 관련 미국 및 외국 특허 및 출원[이들 전체 개시내용이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에서 제시된 시험관내 검정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신경보호 활성을 입증하기 위해 이어진다.
SbCL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복합 조성물의 항암(항-과도한 세포 증식) 활성은 실시예 11에 따라 확립되었으며, 여기서 WO 2007016176A2, WO 2009064657 A1, US 7402325 B2, US 8187644 B2, US 8394434 B2, US 8367363 B2, US 9494589 B2, US 9846156 B2, 및 관련 미국 및 외국 특허 및 출원[이들 전체 개시내용이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에서 제시된 시험관내 검정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암 활성을 입증하기 위해 이어진다.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에 치료적으로 반응성인 상기 병태, 질병 또는 장애는 암, 종양, 암종, 육종, 교모세포종, 선암종, 림프종, 흑색종, 뇌종양, 신경교종, 성상세포종(저등급 성상세포종(등급 I 털모양세포(pilocytic) 성상세포종 및 등급 II 확산(diffuse) 성상세포종), 역형성(anaplastic) 성상세포종(등급 III), 교모세포종 (등급 IV, GBM, 다형성 교모세포종이라고도 함) 포함), 뇌실막종, 희소돌기아교세포종, 과도한 세포 증식, 악성 신생물(neoplastic) 질환, 비암성 염증성 피부 질환, 광선각화증, 건선, 습진, 신경계 질환, 신경계 장애, 신경퇴행성 질환, 신경퇴행성 장애, 변경된 Na,K-ATPase 활성과 관련된 병인을 갖는 신경 질환 또는 장애,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뇌졸중, 치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소 해면상 뇌병증(광우병),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자폐증 및 청소년 신경세포 세로이드 지방융합증, 타우병증, 다운 증후군, 픽병(Pick's disease), 피질기저 퇴행, 프리온(prion) 질환의 일부 변이형, 진행성 핵상마비증, 전측두엽 치매, 치질, 궤양, 나병, 뱀 물림, 바이러스 감염을 이루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화합물(들)은 이들의 비변형된 형태, 염 형태, 유도체 형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도체"는 a) 제1 화학 물질과 구조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이론적으로 그것으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화학 물질 b) 유사한 제1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화합물, 또는 제1 화합물의 원자 하나가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으로 치환된 경우, 다른 제1 화합물로부터 발생한다고 상상할 수 있는 화합물; c) 모화합물로부터 유도되거나 얻어지고 모화합물의 필수 요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d)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유사한 구조의 제1 화합물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화학적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유도체는 중수소화된 형태, 산화된 형태, 탈수된 형태, 불포화된 형태, 중합체 접합된(conjugated) 또는 글리코실화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에스테르, 아미드, 락톤, 동족체, 에테르, 티오에테르, 시아노, 아미노, 알킬아미노, 설프히드릴, 헤테로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융합화, 중합화, 페길화, 벤질리데닐, 트리아졸릴, 피페라지닐 또는 이들의 중수소화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명명된 화합물은 각각의 경우 천연(native, 고유)(비변형, 유리산 또는 유리 염기) 형태, 염 형태, 유도체 형태, 전구약물 형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트리테르펜의 중수소화된 형태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사용 방법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제형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절한 유형의 제형은 에어로졸, 바, 비드, 캡슐, 세포 시트, 츄어블, 클로쓰(cloth), 농축액, 크림, 크리스탈, 디스크, 세척제(douche), 드레싱, 엘릭시르, 에멀젼, 관장제, 섬유, 필름, 폼, 젤, 소구, 과립, 고무(gum), 임플란트, 흡입 가능, 주사 가능, 주입, 인써트, 자궁 내 장치, 젤리, 키트, 도포제, 립스틱, 리포좀, 액체, 로션, 캔디(lozenge), 구강 청결제, 오일, 연고, 패스트, 향정(pastille), 패치, 펠릿, 플래스터, 찜질제, 분말, 동결 건조 분말, 링(ring), 린즈, 연고(salve), 샴푸, 비누, 용액, 스펀지, 스프레이, 스틱, 스트립(strip), 좌약, 면봉, 현탁액, 시럽, 정제, 탐폰, 테이프, 팅크, 트로키, 웨이퍼 또는 기타 약학 분야의 숙련가에게 알려진 제형을 포함한다.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조성물)은 경구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제형의 일부 실시예는 장용 코팅되지 않고 0.5 내지 1시간 또는 그 미만의 기간 내에 추출물의 투입량을 방출한다. 제형의 일부 실시예는 장용 코팅되고, 공장(空腸, jejunum), 회장(ileum), 소장 및/또는 대장(결장)과 같은 위의 하류에서 추출물의 투입량을 방출한다. 장용 코팅된 제형은 경구 투여 후 1-10시간 이내에 전신 순환계로 추출물을 방출한다.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조성물)은 속방성, 즉시 방출, 제어 방출, 지속 방출, 지연 방출, 연장 방출, 버스트 방출, 연속 방출, 서방성 또는 펄스 방출 제형 또는 이러한 유형의 방출 중 2개 이상을 나타내는 제형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제형로부터의 올레안드린의 방출 프로파일은 0차, 유사-0차, 1차, 유사-1차 또는 S자형 방출 프로파일일 수 있다. 올레안드린이 투여되는 대상체에서 올레안드린에 대한 혈장 농도 프로파일은 하나 이상의 최대치를 나타낼 수 있다.
적합한 제형은 또한 2012년 5월 29일 발행된 Addington의 US 8187644 B2, 2008년 7월 22일 발행된 Addington의 US 7402325 B2, 3월 29일 발행된 Addington 등의 US 8394434 B2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이들 전체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적합한 제형은 또한 실시예 4-6 및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또는 이를 포함하는 임의의 조성물)은 국소적으로, 전신적으로 또는 둘 다 투여될 수 있다. 적절한 투여 방식은 비경구, 협측, 결막, 각막, 피부, 치과, 자궁경부내, 내강내, 기관내, 장관내(enteral), 표피, 경막외, 양막외, 체외, 침윤, 간질내, 복강내, 양막내, 동맥내, 기관지내, 점액낭내, 심장내, 해면체내, 강내, 뇌내, 각막내, 근육내, 피부내, 디스크내, 십이지장내, 경막내, 표피내, 식도내, 위내, 회장내, 관내(intraluminal), 림프내, 수막내, 골수내, 안구내, 난소내, 심낭내, 복막내, 흉막내, 전립선내, 폐내, 비강내, 활막내, 고환내, 척추강내, 흉강내, 관내, 종양내, 자궁내, 혈관내, 정맥내, 심실내, 방광내, 유리체내, 관개(irrigation), 후두, 비강, 비위, 눈, 안구, 구강, 귀(심이), 구강인두(oropharyngeal), 비경구, 경피, 관절주위, 경막주위, 신경주위, 치주, 구강주위, 폐, 직장, 안구뒤, 지주막하, 결막하, 피부하, 피하, 설하, 점막하, 국소, 경피, 경점막, 경태반, 경기관, 경고막, 요관, 요도, 질, 또는 다른 알려진 투여 방식을 포함한다.
본원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제형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계면 활성제와 물 혼화성 용매 둘 모두로서, 또는 계면 활성제와 물 불혼화성 용매 둘 모두로서 작용할 수 있다.
액체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액체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담체는 수성, 비-수성, 극성, 비-극성 및/또는 유기 담체일 수 있다. 액체 담체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물 혼화성 용매, 물 불혼화성 용매, 물, 완충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수용성 용매"또는 "물 혼화성 용매"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물과 2 상 혼합물을 형성하지 않거나, 또는 물에 충분히 용해되어 액상의 분리없이 5 % 이상의 용매를 함유하는 수성 용매 혼합물을 제공하는 유기 액체를 지칭한다. 용매는 인간 또는 동물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하다. 예시적인 수용성 용매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PEG(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400(폴리(에틸렌 글리콜, 이는 약 400의 대략적인 분자량을 가짐), 에탄올, 아세톤, 알칸올, 알코올,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트리아세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PVP(폴리(비닐 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피리딘, 프로판올, N-메틸아세트아미드, 부탄올, 용해액(2-피롤리돈), 파마솔브(N-메틸-2-피롤리돈)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물 불용성 용매" 또는 "물 불혼화성 용매"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물과 2 상 혼합물을 형성하거나, 또는 물내의 용매의 농도가 5 %를 초과할 때 상 분리를 제공하는 유기 액체를 지칭한다. 용매는 인간 또는 동물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하다. 예시적인 물 불용성 용매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중간/긴 사슬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피마자유, 옥수수 유, 비타민 E, 비타민 E 유도체, 올레산, 지방산, 올리브 오일, 소프티잔(softisan) 645(디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스테아레이트/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 아디페이트), 미글리올, 캡텍스(Captex 350: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로레이트 트리글리세리드; Captex 355: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트리글리세리드; Captex 355 EP/NF: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한다.
적합한 용매는 "산업용 Q3C 불순물에 대한 인간 사용(ICH) 가이드용 약물 등록을 위한 기술 요구 사항의 조화에 관한 국제 회의 지침: 잔류 용매"(1997)["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s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ICH) guidance for industry Q3C Impurities: Residual Solvents" (1997)]에 열거되어 있으며, 이는 잔류 용매의 어느 정도의 양이 의약품에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는지를 권고한다. 예시적인 용매는 클래스 2 또는 클래스 3 용매로 열거된다. 클래스 3 용매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아세톤, 아니솔, 1-부탄올, 2-부탄올, 부틸 아세테이트, tert-부틸메틸 에테르, 쿠멘, 에탄올, 에틸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포르메이트, 포름산, 헵탄,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메틸-1-부탄올, 메틸에틸 케톤, 메틸이소부틸 케톤, 2-메틸-1-프로판올, 펜탄, 1-펜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또는 프로필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물 불혼화성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물질은 다음의 물질들, 즉 캡텍스 100: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캡텍스 200: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캡텍스 200 P: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로카프레이트; 캡텍스 300: 글리세릴 트리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캡텍스 300 EP/NF: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리드; 캡텍스 350: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라우레이트(Laurate); 캡텍스 355: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캡텍스 355 EP/NF: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리드; 캡텍스 500: 트리아세틴; 캡텍스 500 P: 트리아세틴(Pharmaceutical Grade); 캡텍스 800: 프로필렌 글리콜 디(2-에티텍사노에이트); 캡텍스 810 D: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리놀레에이트; 캡텍스 1000: 글리세릴 트리카프레이트; 캡텍스 CA: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리드; 캡텍스 MCT-170: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리드; 캡물(Capmul) GMO: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캡물 GMO-50 EP/NF: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캡물 MCM: 중간 사슬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 캡물 MCM C8: 글리세릴 모노카프릴레이트; 캡물 MCM C10: 글리세릴 모노카프레이트; 캡물 PG-8: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캡물 PG-12: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카프롤(Caprol) 10G10O: 데카글리세롤 데카올레에이트; 카프롤 3GO: 트리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카프롤 ET: 혼합 지방산의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카프롤 MPGO: 헥사 글리세롤 디올레에이트; 카프롤 PGE 860: 데카글리세롤 모노-, 디올레에이트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계면 활성제"는 극성 또는 하전 친수성 모이어티뿐만 아니라 비-극성 소수성(친유성)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즉, 계면 활성제는 양쪽 친매성이다. 계면 활성제라는 용어는 화합물의 하나 또는 혼합물을 지칭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가용화제, 유화제 또는 분산제일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일 수 있다.
친수성 계면 활성제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친수성 계면 활성제일 수 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지만, 비-이온성 친수성 계면 활성제가 여기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이들 비-이온성 친수성 계면 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약 10보다 큰 HLB 값을 가질 것이다. 친수성 계면 활성제의 혼합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유사하게, 소수성 계면 활성제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소수성 계면 활성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합한 소수성 계면 활성제는 약 10 미만의 HLB 값을 가질 것이다. 소수성 계면 활성제의 혼합물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추가의 적합한 가용화제의 예는 알코올 및 폴리올, 예컨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벤질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및 이의 이성질체,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트랜스큐톨, 디메틸 이소 소르비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다른 셀룰로오스 유도체, 시클로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평균 분자량이 약 200 내지 약 6000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에테르, 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알코올 PEG 에테르(글리코푸롤, 이는 BASF로부터 상표명 Tetraglycol로 시판됨) 또는 메톡시 PEG(Union Carbide); 아미드, 예컨대 2-피롤리돈, 2-피페리돈, 카프로락탐, N-알킬피롤리돈, N-하이드록시알킬피롤리돈, N-알킬피페리돈, N-알킬카프로락탐,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트리부틸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리에틸시트 레이트,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에틸시트레이트, 에틸 올레에이트, 에틸 카프릴레이트, 에틸 부티레이트, 트리아세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카프로락톤 및 이의 이성질체, 발레로락톤 및 이의 이성질체, 부티로락톤 및 이의 이성질체; 및 당 업계에 공지된 다른 가용화제, 예컨대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디메틸 이소소르비드(Arlasolve DMI(ICI)), N-메틸 피롤리돈(Pharmasolve(ISP)), 모노옥타노인, 디에틸렌 글리콜 노노에틸 에테르(이는 상품명 Transcutol로 Gattefosse로부터 구입 가능함), 및 물을 포함한다. 가용화제의 혼합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지시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원에 언급된 화합물은 표준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쉽게 입수할 수 있다.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조성물 또는 제형은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 하나 이상의 보존제,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 하나 이상의 흡착제, 하나 이상의 산성화제, 하나 이상의 알칼리화제, 하나 이상의 소포제, 하나 이상의 완충제, 하나 이상의 염색제, 하나 이상의 전해질, 하나 이상의 염,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 하나 이상의 장성(tonicity) 개질제, 하나 이상의 희석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고정 유, 땅콩 유, 참기름, 면실유, 옥수수 유 및 올리브유와 같은 오일; 올레산, 스테아르산 및 이소스테아르 산과 같은 지방산; 에틸 올레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지방산 글리세리드, 중간 사실 트리글리세리드 및 아세틸화된 지방산 글리세리드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또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헥사데실 알코올,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알코올; 2,2-디메틸-1,3-디옥솔란-4-메탄올과 같은 글리세롤 케탈; 폴리(에틸렌 글리콜) 450과 같은 에테르; 미네랄 오일 및 바셀린과 같은 석유 탄화수소; 물;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계면 활성제, 현탁제 또는 유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약 제형 분야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기능 또는 목적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명명된 화합물이 한 번만 언급되거나 본원에서 하나 이상의 용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그 목적 또는 기능은 단지 명명된 목적 또는 기능(들)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형의 하나 이상의 성분은 그의 유리 염기, 유리 산 또는 약제학적으로 또는 분석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약제학적으로 또는 분석학적으로 허용되는 허용되는 염"은 이온 결합된 쌍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이를 산과 반응시켜 개질된 화합물을 지칭한다. 허용되는 염의 예는 예를 들어, 비-독성 무기 또는 유기 산으로부터 형성된 종래의 비-독성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염의 목록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th(ed., Mack Publishing Company, PA, Easton, 1985, p. 1418)에서 찾을 수 있는데, 그 관련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이라는 문구는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다른 문제나 합병증없이 합리적인 이익/위험율에 비례하여, 인간 및 동물의 조직과의 접촉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 재료, 조성물 및/또는 제형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형은 제약 산업에 공지된 임의의 종래의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액체 제형은 용기에 하나 이상의 액체 담체 및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SbCL 추출물)을 제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부형제가 액체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고체 제형은 하나 이상의 고체 담체 및 올레안드린을 제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부형제가 고형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제형은 종래의 포장 장비 및 재료를 사용하여 포장될 수 있다. 제형은 팩, 병, 비아, 백(bag), 주사기, 엔벨로프, 패킷, 블리스터 팩, 박스, 앰플 또는 다른 용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제형은 고체 또는 액체 제형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적합한 제형은 정제, 캡슐, 알약, 캐플릿, 트로 키, 샤시(sache) 및 제약 과학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제형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 및 하기 실시 예에 비추어 볼 때, 당업자는 과도한 실험없이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실시를 위한 특정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는 하기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이들 예에 대한 모든 언급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 하기 실시 예는 배타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되는 많은 실시 예들 중 일부만을 예시할 뿐이다.
실시 예 1
분말 올레안더(oleander, 협죽도) 잎의 초임계 유체 추출
(비교 예)
방법 A. 이산화탄소와 함께
분말 올레안더 잎은 올레안더 잎 재료를 수확, 세척 및 건조시킨 후, 올레안더 잎 재료를 예컨대, 미국 특허 제 5,236,132 호, 제 5,598,979 호, 제 6,517,015 호 및 제 6,715,705 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분쇄 및 탈수 장치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준비하였다. 사용된 출발 물질의 중량은 3.94 kg이었다.
출발 물질을 추출기 장치에서 300 bar(30 MPa, 4351 psi)의 압력 및 50 ℃(122 ℉)의 온도에서, 순수한 CO2와 혼합하였다. 총 197 kg의 CO2를 사용하여, 용매 대 원료의 비가 50:1이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CO2와 원료의 혼합물을 분리기 장치에 통과시켜, 혼합물의 압력과 온도를 변경하고, 추출물을 이산화탄소로부터 분리하였다.
추출물(65 g)은 향이 좋은 갈색의 끈적 끈적한 점성 물질로서 수득되었다. 그러한 색상은 엽록소 및 기타 잔류 발색 화합물로 인해 초래되었을 수 있다. 정확한 수율 측정을 위해, 튜브 및 분리기를 아세톤으로 헹구고, 아세톤을 증발시켜, 추출물의 추가 9 g을 수득하였다. 총 추출량은 74g이었다. 출발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추출물의 수율은 1.88 %였다. 추출물 중의 올레안드린의 함량은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560.1 mg, 또는 0.76 %의 수율로 계산되었다.
방법 B.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의 혼합물과 함께
분말 올레안더 잎은 올레안더 잎 재료를 수확, 세척 및 건조시킨 후, 올레안더 잎 재료를 예컨대, 미국 특허 제 5,236,132 호, 제 5,598,979 호, 제 6,517,015 호 및 제 6,715,705 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분쇄 및 탈수 장치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준비하였다. 사용된 출발 물질의 중량은 3.85 kg이었다.
출발 물질을 추출기 장치에서 280 bar(28 MPa, 4061 psi)의 압력 및 50 ℃(122 ℉)의 온도에서, 순수한 CO2 및 개질제로서 5 %의 에탄올과 혼합하였다. 총 160kg의 CO2와 8kg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용매 대 원료의 비가 43.6 대 1이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CO2, 에탄올 및 원료의 혼합물을 분리기 장치를 통해 통과시켜, 혼합물의 압력과 온도를 변경하고, 추출물을 이산화탄소로부터 분리하였다.
추출물(207 g)은 에탄올을 제거한 후, 명백하게 약간의 엽록소를 함유하는 짙은 녹색의 끈적 끈적한 점성 덩어리로서 수득되었다. 출발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추출물의 수율은 5.38 %였다. 추출물 중의 올레안드린의 함량은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1.89 g, 또는 0.91 %의 수율로 계산되었다.
실시 예 2
분말 올레안더 잎의 열수(hot-water) 추출.
(비교 예)
열수 추출은 전형적으로 올레안더 잎으로부터 올레안드린 및 다른 활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열수 추출 공정의 예는 미국 특허 제 5,135,745 호 및 제 5,869,060 호에서 찾을 수 있다.
5 g의 분말 올레안더 잎을 사용하여 열수 추출을 수행하였다. 분말화된 올레안더 잎에, (올레안더 출발 물질의 중량 기준) 10 부피의 끓는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 시간 동안 일정하게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하고, 잎 잔류 물을 수집하고, 동일한 조건 하에서 다시 추출하였다. 여과액을 합하고 동결 건조시켰다. 추출물의 외관은 갈색이었다. 건조된 추출물 물질의 무게는 약 1.44g이었다. 추출 물질 34.21 mg을 물에 용해시키고,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올레안드린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올레안드린의 양은 3.68 mg으로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한 올레안드린 수율은 0.26 %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실시예 3
네리움 올레안더의 아임계 유체 추출물의 제조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의 개선된 제조 방법은 네리움 올레안더 바이오매스의 초임계 유체 추출보다 아임계 액체 추출을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건조되고 분말화된 바이오매스(실시예 14에 따라 제조됨)를 추출 챔버에 넣은 다음, 밀봉하였다. 이산화탄소(약 90-95% wt) 및 알코올(약 10-5% wt;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챔버에 주입하였다. 챔버의 내부 온도 및 압력은 추출 매질이 추출 기간의 대부분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추출 기간 동안, 초임계 유체 상보다는 아임계 액체 상으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약 2℃ 내지 약 16℃(약 7℃ 내지 약 8℃) 범위의 온도, 및 약 115 내지 약 135 bar(약 124 bar) 범위의 압력. 추출 기간은 약 4시간 내지 약 12시간(약 6 내지 약 10시간)이었다. 그 다음, 추출 환경을 여과하고, 상청액을 수집하였다. 상청액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생성된 조 추출물을 에탄올(약 9부분의 에탄올: 약 1부분의 추출물)로 희석하고, 약 -50℃에서 적어도 12시간 동안 동결시켰다. 용액을 해동하고, 여과하였다(100 마이크론 기공 크기 필터). 여과액을 원래 부피의 약 10%로 농축한 다음, 멸균 여과하였다(0.2 마이크론 기공 크기 필터). 조 추출물 내의 올레안드린 농도는 추출물 1mL당 약 0.25 내지 1mg(또는 0.5 내지 0.8mg)이다.
생성된 아임계 액체(SbCL) 추출물은 올레안드린 및 네리움 올레안더로부터 추출가능한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실시예 4
설하/협측 액체 제형
올레안드린을 포함하는 설하 제형은 올레안드린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예를 들어,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을 중쇄 트리글리세리드(MCT, 예를 들어 코코넛 오일)와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방법 A. 에탄올 희석된 SbCL 추출물(2 wt%)을 MCT(95 wt%) 및 향미제(3 wt%)와 혼합하였다.
방법 B. 에탄올 희석된 에탄올 추출물(2 wt%)을 MCT(95 wt%) 및 향미제(3 wt%)와 혼합하였다.
방법 C. 에탄올 희석된 SbCL 추출물(1 wt%)을 에탄올 희석된 에탄올 추출물(1 wt%), MCT(95 wt%), 및 향미제(3 wt%)와 혼합하였다.
설하 제형은 약 0.5mL 분취량으로 대상체에게 안전하게 투여되었다. 투여 후 최소 10분 동안 음료나 음식을 섭취하지 않았다. 약 7일 내지 약 1개월 동안 매일 1 내지 6회 투여하였다.
설하 투여를 위해 의도된 것이지만, 이러한 제형은 또한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실시예 5
약학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크레모포르(Cremophor)-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
하기 성분들이 표시된 양으로 제공된다.
Figure pct00001
부형제를 병에 분배하고 균질성을 보장하기 위해 60℃에서 24시간 동안 New Brunswick Scientific C24KC 냉장 인큐베이터 진탕기에서 진탕하였다. 그 다음, 샘플을 당겨서 가용화에 대해 육안으로 검사하였다. 부형제와 항바이러스 조성물 양자 모두는 24시간 후에 모든 제형에 대해 완전히 용해되었다.
방법 B. GMO/크레모포르-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
하기 성분들이 표시된 양으로 제공된다.
Figure pct00002
방법 A의 절차를 따른다.
방법 C. 라브라솔-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
하기 성분들이 표시된 양으로 제공된다.
Figure pct00003
방법 A의 절차를 따른다.
방법 D. 비타민 E-TPGS 기반 미셀 형성 시스템
하기 성분들이 표시된 양으로 제공된다.
Figure pct00004
방법 A의 절차를 따른다.
방법 E. 다-성분 약물 전달 시스템
하기 성분들이 표시된 양으로 제공된다.
Figure pct00005
방법 A의 절차를 따른다.
방법 F. 다-성분 약물 전달 시스템
하기 성분들이 캡슐에 포함된 표시된 양으로 제공된다.
Figure pct00006
방법 A의 절차를 따른다.
실시예 6
장용성(enteric) 코팅 캡슐의 제조
단계 I: 액체-충전 캡슐의 제조
경질 젤라틴 캡슐(50 개, 00 크기)을 실시예 3의 액체 조성물로 채웠다. 이러한 캡슐을 800mg의 제형으로 수동으로 채운 다음, 50% 에탄올/50% 수용액으로 손으로 밀봉하였다. 그 다음, 표시된 양의 다음 성분을 포함하는 22% 젤라틴 용액으로 캡슐을 손으로 밴딩하였다(banded).
Figure pct00007
젤라틴 용액을 철저히 혼합하고, 1-2시간 동안 팽윤되도록 두었다. 팽윤 기간이 지나면, 용액을 단단히 덮고, 55℃ 오븐에 넣고 액화시켰다. 전체 젤라틴 용액이 액체가 되면, 밴딩이 수행된다.
뾰족한 둥근 3/0 아티스트 브러시를 사용하여, 젤라틴 용액을 캡슐에 칠하였다. 시오노기(Shionogi)에서 제공하는 밴딩 키트를 사용하였다. 밴딩 후, 캡슐은 밴드가 경화될 수 있도록, 12시간 동안 주변 조건에서 유지된다.
단계 II: 액체-충전 캡슐의 코팅
코팅 분산액은 하기 표에 나열된 성분으로 제조된다.
Figure pct00008
단계 I에 따른 밴딩된 캡슐이 사용되는 경우, 분산액을 캡슐에 20.0 mg/cm2 코팅 수준으로 적용한다. 다음 조건이 캡슐을 코팅하는 데 사용된다.
Figure pct00009
* 스프레이 노즐은 노즐과 스프레이 경로가 모두 유입 공기의 흐름 경로 아래에 있도록 설정된다.
실시예 7
대상체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입증하기 위해, WO 2018053123 A1, WO 2019055119 A1, US 10596186 B2, 및 관련 미국 및 외국 특허 및 출원의 방법(이들 모두의 전체 개시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을 따랐다.
실시예 8
대상체에서 신경 장애의 치료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신경보호 활성을 입증하기 위해, WO 2011085307 A1, US 8481086 B2, US 9220778 B2, US 9358293 B2, US 9877979 B2, US 10383886 B2, 및 관련 미국 및 외국 특허 및 출원의 방법(이들 모두의 전체 개시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을 따랐다.
실시예 9
올레안드린 조성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3% 실로이드(Syloid) 244FP 및 97% 미세결정질 셀룰로스(MCC)의 초기 정제화 혼합물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기존 배치(batch)의 SbCL 추출물을 습식 과립법(wet granulation)을 통해 실로이드/MCC 혼합물에 혼입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은 아래 표에서 "초기 정제화(tabletting) 혼합물로 표시되어 있다. 추가적인 MCC가 압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과립으로 첨가된다. 초기 정제화 혼합물에 대한 이러한 첨가는 "추가-과립(extra-granular) 첨가"로 표시되어 있다. 추가-과립 첨가로부터 생성된 결과적인 혼합물은 "최종 정제화 혼합물"과 동일한 조성이었다.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실로이드 244FP는 그레이스 데이비슨(Grace Davison)에 의해 제조된 콜로이드 이산화 규소이다. 콜로이드 이산화 규소는 예컨대, 흡착제, 활택제(glidant) 및 정제 붕해제와 같은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실로이드 244FP는 오일에서 그 중량의 3 배를 흡착하는 능력 및 5.5 미크론 입자 크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실시예 10
올레안드린-함유 용액의 HPLC 분석
올리안드린 함량:
샘플(올레안드린 표준, SCF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아임계 액체 CO2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을 다음 조건(대칭 C18 컬럼(5.0 ㎛, 150 x 4.6 mm I.D.; 물); MeOH:물의 이동 상 = 54:46(v/v) 및 1.0 ml/min의 유속)을 사용하여 HPLC(물)에서 분석하였다.
검출 파장은 217 nm로 설정하였다. 샘플은 대략적인 목표 농도의 올레안드린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합물 또는 추출물을 고정된 양의 HPLC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되었다. 올레안드린의 머무른(retention) 시간은 내부 표준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올레안드린의 농도는 내부 표준을 사용하는 신호 반응 곡선을 개발/전개함으로써(developing), 결정/보정될 수 있다.
트리테르펜 함량:
추출물의 트리테르펜 성분은 Gemini C18 디페닐 컬럼을 사용하고 트리테르펜을 220nm의 검출 파장 및 0.6ml/min의 유속에서 0.1% 포름산과 함께 95% MeCN으로 구성된 등용매(isocratic) 이동 상으로 용리하는 HPLC에 의해 정량화된다. 표준 곡선이 개발되어,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및 베툴린산 화합물의 상대 몰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도 4는 PBI-05204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도시한다.
실시예 11
대상체에서 암 치료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암(항-과도한 세포 증식) 활성을 입증하기 위해, WO 2007016176A2, WO 2009064657 A1, US 7402325 B2, US 8187644 B2, US 8394434 B2, US 8367363 B2, US 9494589 B2, US 9846156 B2, 및 관련 미국 및 외국 특허 및 출원의 방법(이들 모두의 전체 개시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을 따랐다.
실시예 12
약학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기 방법 중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습식 또는 건식 조건하에서 혼합을 수행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조 동안 압축, 건조 또는 둘다 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방법 A.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가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SbCL 추출물과 혼합된다.
방법 B.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가 적어도 SbCL 추출물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활성제와 혼합된다.
방법 C.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가 올레안드린과 혼합된다.
방법 D.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가 본원에 개시된 올레안드린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리테르펜과 혼합된다.
방법 E.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가 본원에 개시된 올레안드린 및 적어도 2개의 트리테르펜과 혼합된다.
방법 D.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가 본원에 개시된 올레안드린 및 적어도 3개의 트리테르펜과 혼합된다.
공지된 양의 올레아놀산 및 우르솔산이 본원에 정의된 성분들의 미리 결정된 몰비에 따라 혼합된다. 성분들은 고체 형태로 혼합되거나 용매(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아세톤, 프로판올,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메틸피롤리돈(NMP),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혼합된다. 생성된 혼합물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상대 몰비의 성분들을 함유한다.
실시예 13
통계 분석
실험 데이터 세트의 통계적 유의성은 쌍을 이루지 않은 양측(two-tailed) 스튜던트 t-검정(알파 = 0.05)을 사용하여 결정하였고, Shapiro-Wilk 정규성 테스트 및 Graphpad Prism 7.03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P-값을 계산했다. P-값은 0.1234(ns), 0.0332(*), 0.0021(**), 0.0002(***), <0.0001(****)로 정의되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에러 바는 최소 3번의 독립적인 실험으로부터 얻은 SEM을 나타낸다.
실시예 14
분말 바이오매스의 제조
방법 A.
US 5236132, US 5598979, US 6517015, 또는 US 6715705(이들의 전체 개시내용은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확된 잎을 분쇄 및 가열 탈수 장치에 넣음으로써, US 7402325 B2(Addington)에 따라 분말 및 건조된 네리움 올레안더 바이오매스를 제조하였다.
방법 B.
가열된 제습기에서 수확한 잎을 탈수시킨 다음, 건조된 잎을 액체 질소로 반복적인 동결-해동 사이클을 적용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 동안 동결된 잎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약 8 wt% 미만의 수분 함량으로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분말 및 건조된 네리움 올레안더 바이오매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수성 유기 용매 추출물의 제조
네리움 올레안더의 에탄올 추출물은 건조된 분말 바이오매스를 수성 에탄올로 추출하여 제조되었다.
잎 분말의 각 그램에 대해, 10mL의 수성 에탄올(10% v/v 물)을 사용하여, 주위 온도 및 압력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분말을 추출하였다. 추출 상청액과 바이오매스를 분리하고, 추출 사이클을 2회 더 반복하여, 3회의 추출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상청액을 합하고 진공에서 원래 부피의 약 20%로 농축하여, 멸균 여과된 농축물을 형성하여(0.2 마이크론 필터) 조 추출물을 형성한 다음, 이를 50% 수성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조 추출물 내의 물, 에탄올 및 기타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조 추출물 내의 올레안드린 함량은 추출물에서 약 1-5 mg/mL이었다.
실시예 16
올레안더 추출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형의 제조
이 연구의 목적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수성 에탄올 추출물의 일부(1 wt%)를 실시예 3의 SbCL 추출물의 일부(1 wt%), 중쇄 트리글리세리드(95 wt%) 및 향미제(3 wt%)와 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 따라 제형을 제조하는 것과 동일하다. 제형 내의 올레안드린의 농도는 약 12.5 내지 약 25μg/mL이다.
실시예 17
COVID-19 바이러스에 대한 올레안드린의 생체 내 평가
이 연구의 목적은 이미 COVID-19 바이러스에 감염된 대상체를 치료하는 데 올레안드린 함유 추출물(OCE)의 효능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광범위한 인구 통계학적 분포를 나타내고 COVID-19 감염을 나타내는 30명 이상의 대상체를 평가하여, 실시 예 16의 제형에 따라 제조된 OCE의 설하, 협측 또는 구강 투여 전, 임상 상태를 결정하였다. 조성물은 대상체에게 안전하게 투여되었다. 투여 요법은 투여시 약 0.5mL 및 1일 4 회 투여(약 6 시간마다 1 회 투여)였으며, 이는 하루에 약 50-60μg의 올레안드린에 해당한다. 모든 대상체는 치료 시작 후 3 내지 10일 이내에 완전한 회복을 경험하였다.
실시예 18
추출물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유기 용매 추출물 및 아임계 추출물은 일부 휘발성 및 반-휘발성 유기 성분 을 확인하기 위해, 총 이온 전류(TIC) 검출과 함께 GC-질량 분석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샘플 추출물을 주입하고 GC-MS에 의해 분석하기 전에, 7개의 동위원소 표지된 반-휘발성 유기 화합물 내부 표준(SVOCIS)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샘플 추출물을 용해시켰다. NIST/EPA/NIH 질량 스펙트럼 라이브러리(NIST, 2014)와의 비교를 통해 각 샘플 추출물에서 가장 큰 10개의 피크를 잠정적으로 식별했으며, 각각의 매치 항목을 수동으로 확인하였다. 각각의 아이덴터티에 대한 라이브러리 점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할당되었으며, 여기서 매치 팩터(match factor) 100은 완벽한 매치를 나타낸다. 식별된 각 피크에 대한 상대 농도는 가장 가까운 용리 SVOCIS 표준 피크와의 피크 면적 비교를 통해 계산되었다. GC-MS 내 이온화 효율은 화합물마다 크게 다를 수 있다.
실시예 19
추출물 내의 화합물 식별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MS-DART TOF 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JEOL AccuTOF-DART 질량 분석기(Jeol U.S.A., Peobody, MA, U.S.A.)를 사용하였다.
JEOL AccuTOF-DART 질량 분석기(Jeol USA, Peabody, MA, USA)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DART-MS에 의해 생성된 M+H+ 이온에 대응하는 질량을 제공하는 양이온 모드(DART+)에서 수행되었다. 장비의 다양한 설정이 N. 올레안더 분석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DART+의 일반적은 설정은 다음과 같다: 바늘 전압 3500V; 오리피스 1- 2-20V; 링 렌즈 2-5V; 오리피스 2- 2-5V; 피크 전압은 1000V. 캘리브레이션은 PEG 600의 10% 용액을 사용하여 내부적으로 각 샘플에서 수행되는데, 이는 100-1000 질량 단위의 필요한 질량 범위 전체에 질량 마커를 제공한다. 다른 분석은 DART- 모드에서 수행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바늘 전압 3500V; 발열체 250℃; 전극 1- 150V; 전극 2- 250V; He 가스 유량 3.79LPM. 질량 분석기 설정은 다음과 같다: MCP 2600V; 오리피스 1- 15V; 링 렌즈- 5V, 오리피스 2- 5V; 피크 전압 1000V. 캘리브레이션은 과불화 카르복실산 용액을 사용하여 내부적으로 각 샘플에서 수행되는데, 이는 100-1000 질량 단위의 필요한 질량 범위 전체에 마커를 제공한다. N. 올레안더 샘플은 붕규산 유리 융점 튜브의 닫힌 단부를 사용하여 DART 헬륨 플라즈마에 순수하게 도입된다. 모세관은 분석당 약 3-5초 동안 He 플라즈마에 유지된다. 분자식은 JEOL AccuTOF DART-MS 기기와 함께 제공되는 원소 조성 및 동위원소 매칭 프로그램에 의해 확인된다. Herbal Science(Naples, FL, USA)에서 개발한 N. 올레안더 성분의 검색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0
기능식품 조성물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원하는 농도)은 PREMIER PROTEIN 쉐이크, SLIMFAST ADVANCED ENERGY 식사 대용 쉐이크, ORGAIN ORGANIC NUTRITION 쉐이크, VEGA 단백질 영양 쉐이크, LEAN BODY LABRADA 유청 단백질 식사 대용 쉐이크, ICONIC GRASS-FED 단백질 음료, PURE PROTEIN 쉐이크, MUSCLE MILK 오리지널 단백질 쉐이크, MET-RX 오리지널 유청 단백질 식사 대용 분말, OWYN 비건 식사 대용 쉐이크, SOYLENT 식사 대용 쉐이크 또는 APRES 식물성 비건 단백질 쉐이크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기능식품 부형제와 결합된다.
실시예 21
화장 로션 조성물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원하는 농도)은 NIVEA ESSENTIALLY ENRICHED 바디 로션(모이스처라이저 세럼 및 아몬드 오일 함유), EUCERIN ADVANCED REPAIR(세라마이드-3 함유), PALMER'S COCOA BUTTER FORMULA DAILY SKIN THERAPY 로션(코코아 버터와 비타민 E 함유), JERGEN'S ULTRA-HEALING 건성 피부 모이스처라이저(비타민 C, E, B5 함유), LUBRIDERM 데일리 모이스처 바디 로션(비타민 B5 함유), WELEDA SKIN FOOD 영양 크림(비타민 E, 금송화 추출물, 팬지 함유), AVEENO 데일리 보습 로션, HEMPZ 오리지널 허브 바디 모이스처라이저(햄프씨 오일 함유), CERAVE 데일리 보습 로션(히알루론산 함유), AQUAPHOR ADVANCED THERAPY 힐링 연고(바셀린 함유)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화장 로션 부형제와 결합된다.
실시예 22
제형
방법 A: 박막 제형
박막 제형은 Barnhart ("박막 경구 제형(Thin film oral dosage forms)" in Modified Release Drug Delivery Technology; 2nd Edition, 2013, CRC press; ISBN: 9780429145803); Joshua et al. ("신속 용해 경구 박막: 빠른 방출을 위한 효과적인 제형(Fast dissolving oral thin films: an effective dosage form for quick releases") in Int. J. Pharm. Sci. Rev. Res. (2016), 38(1), 282-289), Harsha et al. ("신속 용해 경구 박막 약물 전달 시스템 개론: 리뷰(An introduction to fast dissolving oral thin film drug delivery systems: a review)" in Drug. Deliv. (2013), 10(6), 667-684), and Nagaraju et al. ("경구 붕해 필름에 대한 종합적인 리뷰(Comprehensive review on oral disintegrating films)" in Drug Deliv. (2013), 10(1), 96-108)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방법 B: 생체접착성 제형
생체접착성 협측 제형은 Reddy et al. ("생체접착성 경구 약물 전달 시스템에 대한 리뷰: 제형 및 평가 방법의 현황(A review on bioadhesive buccal drug delivery systems: current status of formulation and evaluation methods)" in Daru (2011), 19(6), 385-403), Shojaei et al.("전신 약물 전달을 위한 경로로서의 협점막: 리뷰(Buccal mucosa as a route for systemic drug delivery: a review)" in J. Pharm. Pharmaceut. Sci. (1998), 1(1), 15-30), Prabhakar et al. ("경점막 약물 전달 시스템을 위한 생체접착성 고분자 플랫폼-리뷰(Bioadhesive polymeric platforms for transmucosal drug delivery systems-a review)" in Trop. J. Pharma. Res. (2010), 9(1), 91-104), Mathiowitz et al.(생체 접착 약물 전달 시스템-기본, 새로운 접근 방식 및 개발(Bioadhesive Drug Delivery Systems- fundamentals, novel approaches, and development); ed. E. Mathiowitz, et al.;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1999), ISBN 0-8247-1995-6)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방법 C: 구미 제형
구미(반고체, 연질, 씹을 수 있는) 제형은 Jacobs("반-고체 제형(Semi-solid formulations)" in Pediatric Form. (2014), 171-179), Cizauskaite et al.("생체내 질감분석 및 관능평가에 따라 설계된 천연성분 기반 구미 베어 조성물(Natural ingredients-based gummy bear composition designed according to textur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in vivo)" in Molecules (2019), 24(7), 1442), Bartkiene et al.("소 초유, 에센셜 오일, 프로바이오틱스를 첨가한 항균 구미 캔디 개발(Development of antimicrobial gummy candies with addition of bovine colostrum, essential oils, and probiotics)" in Int. J. Food Sci. Technol. (2018), 53(5), 1227-1235)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방법 D: 스프레이 제형
스프레이 제형은 Finlay("흡입된 제약 에어로졸의 역학-소개(The Mechanics of Inhaled Pharmaceutical Aerosols-An Introduction"); Ed. W.H. Finlay, Academic Press, London, UK; 2001), Hickey("미래로 돌아가다: 흡입 의약품(Back to the Future: Inhaled Drug Products)" in J. Pharm. Sci. (2013), 102(40\), 1165-1172), Malamatari et al.("고체 경구 투여 형태 및 흡입 가능한 건조 분말 생산을 위한 나노현탁액의 고형화(Solidification of nanosuspensions for the production of solid oral dosage forms and inhalable dry powders)" in Exp. Opin. Drug Deliv. (2016), 13(3), 435-450), 및 Hickey(제약 흡입 에어로졸 기술(Pharmaceutical Inhalation Aerosol Technology), 2nd ed.; Ed. A.J. Hickey, CRC Press, New York, NY, 2003)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23
유기 용매 추출물의 제조
네리움 올레안더의 에탄올 추출물은 건조된 분말 바이오매스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제조되었다.
잎 분말의 각 그램에 대해, 10mL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주위 온도 및 압력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분말을 추출하였다. 추출 상청액과 바이오매스를 분리하고, 추출 사이클을 2회 더 반복하여, 3회의 추출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상청액을 합하고 진공에서 원래 부피의 약 20%로 농축하여, 멸균 여과된 농축물을 형성하여(0.2 마이크론 필터) 조 추출물을 형성한 다음, 이를 50% 수성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조 추출물 내의 물, 에탄올 및 기타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조 추출물 내의 올레안드린 함량은 추출물에서 약 1-5 mg/mL이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지정된 값의 ±10%, ±5%, ±2.5% 또는 ±1%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실질적으로"는 "대부분" 또는 "적어도 다수" 또는 "50% 초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예시의 목적으로 여기에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 개시되고 청구된 모든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에 비추어 과도한 실험 없이 만들어지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49)

  1. 올레안드린-함유 바이오매스를 아임계 액체 이산화탄소로 추출하여 생성된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아임계 액체는 아임계 액체 이산화탄소 및 하나 이상의 개질제를 포함하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
  3. 올레안드린-함유 유기 용매 추출물의 일부 및 올레안드린-함유 SbCL 추출물의 일부를 포함하는 개선된 올레안드린-함유 복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추출물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portion)이 복합 조성물에 존재하는 복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a)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은 바이오매스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올레안드린 및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b)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에서, 바이오매스로부터 추출된 올레안드린 대 다른 성분의 몰 비는 아임계 액체 추출물에서의 상기 몰 비보다 크고; c) 상기 SbCL 추출물은 바이오매스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올레안드린 및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d)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올레안드린의 함량은 아임계 액체 추출물에서의 올레안드린의 함량보다 많고; e) 유기 용매 추출물에서의 추출된 비-올레안드린 성분의 함량은 상기 아임계 액체 추출물에서의 상기 성분의 함량보다 많고; f)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에서의 추출된 휘발성 및 반-휘발성 성분의 조성 프로파일은 상기 아임계 액체 추출물에서의 상기 성분의 조성 프로파일과 상이하고; 및/또는 g) 올레안드린 함량에 비해, 상기 아임계 액체 추출물은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보다 더 큰 비율의 추출된 휘발성 및 반-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추출물 중 올레안드린의 함량은 약 0.01wt% 이상, 약 0.05wt% 이상, 약 0.1wt% 이상, 약 0.2wt% 또는 약 0.5wt% 이상, 약 1wt% 이상, 약 2.5wt% 이상, 약 5wt% 이상, 약 10wt% 이상, 약 20wt% 이상, 약 30wt% 이상 약 40wt% 이상, 약 50wt% 이상, 약 60wt% 이상, 약 70wt% 이상, 약 80wt% 이상, 또는 약 90wt% 이상이고; b) 상기 추출물 중 올레안드린의 함량은 약 99wt% 이하, 약 95wt% 이하, 약 90wt% 이하, 약 80wt% 이하, 약 70wt% 이하, 약 60wt% 또는 약 50wt% 이하, 약 40wt% 이하, 약 30wt% 이하, 약 20wt% 이하, 약 10wt% 이하, 약 5wt% 이하, 약 2.5wt% 이하 , 약 1wt% 이하, 또는 약 0.5wt% 이하; 또는 c) 항목 a)의 제한과 항목 b)의 제한의 조합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올레안드린, 및 하나 이상의 강심 배당체, 강심 배당체의 하나 이상의 글리콘 구성성분(예를 들어, 글루코사이드, 프룩토사이드, 및/또는 글루쿠로나이드), 하나 이상의 아글리콘, 하나 이상의 글리코시드 전구체(예를 들어, 카르데놀라이드, 카다디에놀라이드 및 카다트리에놀라이드), 하나 이상의 스테로이드, 하나 이상의 트리테르펜, 하나 이상의 당류, 하나 이상의 다당류, 하나 이상의 알칼로이드, 하나 이상의 단백질, 지방, 하나 이상의 다른 비-강심 배당체 치료 유효 제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올레안드린, 및 네리탈로사이드, 오도로사이드,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베툴린산, 올레안드리게닌, 올레아사이드 A, 베툴린(urs-12-ene-3β,28-diol), 28-norurs-12-en-3β-ol, urs-12-en-3β-ol, 3β,3β-하이드록시-12-올레아넨-28-오익산(oic acid), 3β,20α-디하이드록시우르스-21-en-28-오익산, 3β,27-디하이드록시-12-ursen-28-오익산, 3β,13β-디하이드록시우르스-11-en-28-오익산, 3β,12α-디하이드록시올레아난-28,13β-올라이드(olide), 3β,27-디하이드록시-12-올레아난-28-오익산, 호모폴리갈락투로난, 아라비노갈라투로난, 클로로겐산, 카페산, L-퀸산, 4-쿠마로일(coumaroyl)-CoA, 3-O-카페오일퀸산, 5-O-카페오일퀸산, 카르데놀라이드 B-1, 카르데놀라이드 B-2, 올레아게닌, 네리디지노사이드, 네리조사이드, 오도로사이드-H, 3-베타-O-(D-디지노실)-5-베타, 17000-120000 D 범위의 MW 또는 약 35000 D, 약 3000 D, 약 5500 D 또는 약 12000 D의 MW를 갖는 갈락투론산, 람노즈,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및 갈락토스, 다당류로 구성된 14 베타-디하이드록시-카드-20(22)-에놀라이드 펙틱 다당류, 카르데놀라이드 모노글리코사이드, 카르데놀라이드 N-1, 카르데놀라이드 N-2, 카르데놀라이드 N-3, 카르데놀라이드 N-4, 프레그난, 4,6-디엔(diene)-3,12,20-트리온, 20R-하이드록시프레그나-4,6-디엔-3,12-디온(dione), 16 베타,7 베타-에폭시-12베타-하이드록시프레그나-4,6-디엔-3,20-디온, 12베타-하이드록시프레그나-4,6,16-트리엔-3,20-디온(네리디에논 A), 20S,21-디하이드록시프레그나-4,6-디엔-3,12-디온(네리디에논 B), 네리우코우마릭산(neriucoumaric acid), 이소네리우코우마릭산, 올레안데로익산(oleanderoic acid), 올레안데렌(oleanderen), 8알파-메톡실랍단-18-오익산, 12-우르센(ursene), 칸네로사이드, 네리우모사이드, 3β-O-(D-디지노실)-2α-하이드록시-8,14β-에폭시-5β-카르다(carda)-16:17, 20:22-디에놀라이드, 3β-O-(D-디지노실)-2α,14β-디하이드록시-5β-카르다-16:17,20:22-디에놀라이드, 3β,27-디하이드록시-urs-18-en-13,28-올라이드, 3β,22α,28-트리하이드록시-25-nor-lup-1(10),20(29)-디엔-2-온(one), cis-카레닌(karenin)(3β-하이드록시-28-Z-p-쿠마로일옥시-urs-12-en-27-오익산), trans-카레닌(karenin)(3-β-하이드록시-28-E-p-쿠마로일옥시-urs-12-en-27-오익산), 3베타-하이드록시-5알파-카르다-14(15),20(22)-디에놀라이드(베타-안하이드로에피디기톡시게닌(anhydroepidigitoxigenin), 3베타-O-(D-디지털로실)-21-하이드록시-5베타-카르다-8,14,16,20(22)-테트라에놀라이드(네리우모게닌-A-3베타-D-디지털로사이드), 프로세라게닌, 네리디엔온 A, 3베타,27-디하이드록시-12-ursen-28-오익산, 3베타,13베타-디하이드록시우르스-11-en-28-오익산, 3베타-하이드록시우르스-12-en-28-알데히드, 28-orurs-12-en-3베타-올, urs-12-en-3베타-올, urs-12-ene-3베타,28-디올, 3beta,27-디하이드록시-12-올레아넨-28-오익산, (20S,24R)-에폭시담마란-3베타,25-디올, 20베타,28-에폭시-28알파-메톡시타락사스테란-3베타-올, 20베타,28-에폭시타락사스터-21-en-3베타-올, 28-노르(nor)-urs-12-ene-3베타, 17베타-디올, 3베타-하이드록시우르스-12-en-28-알데히드, 알파-네리우르세이트(neriursate), 베타-네리우르세이트, 3알파-아세토페녹시-urs-12-en-28-오익산, 3베타-아세토페녹시-12-en-28-오익산, 올레안데로익산, 칸네로디온(Kanerodione), 3β-p-하이드록시페녹시-11α-메톡시-12α-하이드록시-20-ursen-28-oic acid, 28-하이드록시-20(29)-루펜(lupen)-3,7-디온, 카네로신(kanerocin)(3α-하이드록시-urs-18,20-dien-28-oic acid), 3알파-하이드록시-urs-18,20-dien-28-oic acid, D-사르멘토스, D-디지노스, 네리디지노사이드, 네리조사이드, 이소리시노레익산(isoricinoleic acid), 젠티오비오실네리고사이드(gentiobiosylnerigoside), 젠티오비오실베오몬토사이드(gentiobiosylbeaumontoside), 젠티오비오실올리엔드린(gentiobiosyloleandrin), 폴리네린(folinerin), 12β-하이드록시-5β-carda-8,14,16,20(22)-테트라에놀라이드(tetraenolide), 8β-하이드록시-디지톡시게닌(digitoxigenin), Δ16-8β-하이드록시-디지톡시게닌, Δ16-네리아게닌(neriagenin), 우바올(uvaol), 우르솔릭 알데히드(ursolic aldehyde), 27(p-쿠마로일옥시)우르솔산, 올레안데롤(oleanderol), 16-안하이드로(anhydro)-데액틸(deacteyl)-네리고사이드, 9-D-하이드록시-cis-12-옥타데카노익산, 아디고사이드, 아디네린, 알파-아미린,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캄페스트롤(campestrol), 천연고무(caoutchouc), 카프릭산, 카프릴산, 콜린, 코네린(cornerin), 코르테네린(cortenerin), 데아세틸올레안드린(deacetyloleandrin), 디아세틸-네리고사이드(diacetyl-nerigoside), 폴리안드린(foliandrin), 슈도쿠라민(pseudocuramine), 퀘르세틴(quercetin), 퀘르세틴-3-람노글루코사이드(rhamnoglucoside), 퀘르시트린(quercitrin), 로사기닌(rosaginin), 루틴(rutin),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스트로스페사이드(strospeside), 우레히톡신(urehitoxin) 및 우자리게닌(uzarigen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9.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부형제 및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0.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에 치료적으로 반응성인 병태, 질병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9항의 약학 조성물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병태, 질병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11.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에 치료적으로 반응성인 병태, 질병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병태, 질병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급성, 만성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13.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국소 투여, 전신 투여,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14. 제10항,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레안드린(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또는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에 치료적으로 반응성인 상기 병태, 질병 또는 장애는 암, 종양, 암종, 육종, 교모세포종, 선암종, 림프종, 흑색종, 뇌종양, 신경교종, 성상세포종(저등급 성상세포종(등급 I 털모양세포(pilocytic) 성상세포종 및 등급 II 확산(diffuse) 성상세포종), 역형성(anaplastic) 성상세포종(등급 III), 교모세포종 (등급 IV, GBM, 다형성 교모세포종이라고도 함) 포함), 뇌실막종, 희소돌기아교세포종, 과도한 세포 증식, 악성 신생물(neoplastic) 질환, 비암성 염증성 피부 질환, 광선각화증, 건선, 습진, 신경계 질환, 신경계 장애, 신경퇴행성 질환, 신경퇴행성 장애, 변경된 Na,K-ATPase 활성과 관련된 병인을 갖는 신경 질환 또는 장애,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뇌졸중, 치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소 해면상 뇌병증(광우병),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자폐증 및 청소년 신경세포 세로이드 지방융합증, 타우병증, 다운 증후군, 픽병(Pick's disease), 피질기저 퇴행, 프리온(prion) 질환의 일부 변이형, 진행성 핵상마비증, 전측두엽 치매, 치질, 궤양, 나병, 뱀 물림, 바이러스 감염을 이루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은 아레나비리대 과, 아터비리대(Arterviridae) 과, 부니아비리대 과, 필로비리대 과, 플라비비리대 과(플라비바이러스 속), 오르토믹소비리대 과, 파라믹소비리대 과, 랍도비리대 과, 레트로비리대 과(델타레트로바이러스 속), 코로나비리대 과, (+)-ss-envRNAV(포지티브 센스 단일 가닥 엔벨롭드 RNA 바이러스), (-)-ss-envRNAV(네거티브 센스 단일 가닥 엔벨롭드 RNA 바이러스), 또는 토가비리대 과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은 플라비바이러스, 황열병 바이러스, 뎅기열 바이러스, 일본 뇌염 바이러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지카 바이러스, 진드기 매개 뇌염 바이러스, 키아사누르 삼림병(Kyasanur Forest disease) 바이러스, 알쿠르마(Alkhurma) 질병 바이러스, 옴스크(Omsk) 출혈열 바이러스, 포와산 바이러스, 아르보바이러스(arborvirus), 동부 말 뇌척수염 바이러스(EEEV), 서부 말 뇌척수염 바이러스(WEEV), 베네수엘라 말 뇌척수염 바이러스(VEEV), 치쿤구니야 바이러스(CHIKV), 오녕인(O'nyong'n)바이러스(ONNV), 포고스타(Pogosta) 질병 바이러스, 신드비스(Sindbis) 바이러스, 로스강 열병 바이러스(RRV) 및 셈리키(Semliki) 삼림 바이러스, 라사(Lassa) 바이러스, 무균성 뇌수막염, 구아나리토(Guanarito) 바이러스, 쥬닌(Junin) 바이러스, 루요(Lujo) 바이러스, 마추포(Machupo) 바이러스, 사비아(Sabia) 바이러스 및 화이트워트 아로요(Whitewater Arroyo) 바이러스, 한타바이러스(Hantavirus), 크리민-콩고(Crimean-Congo) 출혈열 오르토나이로 바이러스, 볼거리 바이러스, 니파(Nipah) 바이러스, 헨드라(Hendra) 바이러스,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RSV), 인간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HPIV), NDV,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 내지 C), 이사바이러스(Isavirus), 토고토바이러스(Thogotovirus), 콰란자바이러스(Quaranjavirus), H1N1, H2N2, H3N2, H1N2, 스페인 독감, 아시아 독감, 홍콩 독감, 러시아 독감, 광견병 바이러스, 베시큘로 바이러스, 리사바이러스(Lyssavirus), 사이토랍도바이러스(Cytorhabdovirus), SARS-CoV, MERS-CoV, COVID-19(SARS-CoV-2), CoV 229E, CoV NL63, CoV OC43, CoV HKU1 및 CoV HKU2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7.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올레안드린을 추출하고 추출 환경(milieu)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아임계 액체(SbCL)를 사용하여, 올레안드린-함유 바이오매스를 아임계 액체 추출(SbCLE)에 적용하는 단계;
    올레안드린-함유 SbCL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추출 환경으로부터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리하는 단계; 및
    올레안드린-함유 SbCL로부터 SbCL을 제거하여,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올레안드린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올레안드린을 추출하고 추출 환경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아임계 액체(SbCL)를 사용하여, 올레안드린-함유 바이오매스를 아임계 액체 추출(SbCLE)에 적용하는 단계;
    올레안드린-함유 SbCL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추출 환경으로부터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리하는 단계;
    올레안드린-함유 SbCL로부터 SbCL을 제거하여,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로부터 올레안드린을 단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리는 크로마토그래피, 액체-액체 추출, 액체-고체 추출, 결정화, 침전, 분별 침전, 분별 결정화, 속슬렛(Soxhlet) 추출, 분쇄(trituration),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달성되는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들: a) 추출 환경을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추출 환경으로부터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리하는 단계; b) 이산화탄소 또는 추출 환경에 개질제를 첨가하는 단계; c) 아임계 액상 추출 환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추출 환경을 함유하는 용기의 내부를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 d) 상기 SbCL을 휘발시켜 상기 올레안드린-함유 SbCL로부터 상기 SbCL을 제거하여, 미가공(raw) SbCL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e) 미가공 SbCL 추출물을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로 희석하는 단계; f) 희석된 미가공 또는 조(crude) SbCL 추출물을 1회 이상 여과하는 단계; g) 희석된 미가공 또는 조 SbCL 추출물을 활성탄으로 처리하는 단계; h) 희석된 미가공 추출물로부터 대부분의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또는 i) 미가공 또는 조 추출물을 멸균 여과하여 SbCL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bCL은 이산화탄소 및 하나 이상의 개질제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개질제는 알코올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산화탄소(존재하는 경우, 임의의 개질제와 함께)는 추출 기간의 약 50% 이상 동안, 아임계 액체 상으로 존재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아임계 액체 상의 추출 유체(이산화탄소, 존재하는 경우 임의의 개질제와 함께) 및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추출 환경이 추출 기간의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9% 동안 액체 형태로 남아 있거나, 또는 추출 환경이 추출 기간 내내 액체 형태로 남아 있는 방법.
  25.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O2의 상태도와 관련하여, SbCLE는 a) 임계 압력(pc) 이하, 임계 온도(tc) 이하, 및 액체-기체 상 라인 위; b) tc 이하, pc 이하, 액체-기체 상 라인 위; c) pc 이상, tc 이하, 액체-기체 상 라인 위, 및 고체-액체 상 라인 아래; 또는 d) 고체-액체 상 라인, 액체-기체 상 라인, 액체-초임계 상 라인, 삼중점(고체-액체-기체) 온도(ttp), 삼중점 압력(ptp), 임계점(액체-기체-초임계) 온도(tcp) 및 임계점 압력(pcp)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액체 영역 내에 속하는 온도 및 압력에서 수행되는 방법.
  26.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bCLE는 a) 약 0℃ 내지 약 31℃의 온도 및 약 5.2 bar 내지 약 3000 bar의 압력; b) 약 0℃ 내지 약 31℃의 온도 및 약 5.2 bar 내지 약 1000 bar의 압력; c) 약 2℃ 내지 약 16℃의 온도 및 약 115bar 내지 약 135bar의 압력; d) 약 5 내지 약 10℃의 온도 및 약 120 내지 약 130bar의 압력; 또는 e) 약 5℃ 내지 약 15℃ 범위의 온도 및 약 50bar 내지 70bar 범위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방법.
  27. 제17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액체(이산화탄소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개질제를 추가로 포함함) 대 바이오매스의 중량비는 용매 및 원료(raw material) 둘 다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20:1 내지 약 100:1, 약 30:1 내지 약 75:1, 약 50:1, 약 45:1 내지 60:1, 또는 약 40:1 내지 약 45:1인 방법.
  28. 제17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대 개질제의 중량비는 약 100:약 0.01-20, 약 100:약 0.01-15, 약 100:약 0.01-10, 또는 약 100:약 0.01-5의 범위인 방법.
  29. 제17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추출 이전에 바이오매스가 탈수, 제습, 동결-건조 및/또는 건조되고; b)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추출 이전에 바이오매스가 건조되고; c)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추출 이전에 바이오매스가 탈수되지 않고; d)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바이오매스가 추출 이전에 건조되지 않고; 또는 e) 각 경우에 독립적인 방법.
  30. 올레안드린-함유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올레안드린-함유 제1 바이오매스를 유기 용매 추출에 적용하여, 올레안드린-함유 유기 용매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올레안드린-함유 제2 바이오매스를 아임계 액체(SbCL) 추출(SbCLE)에 적용하여, 올레안드린-함유 SbCL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올레안드린-함유 유기 용매 추출물 및 상기 올레안드린-함유 SbCL 추출물을 조합하여, 상기 복합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a) 상기 유기 용매 추출은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로 수행되고; b)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상기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는 알코올을 포함하고; c)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 상기 유기 용매 추출은 상기 올레안드린-함유 바이오매스를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로 1회 이상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e)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상기 수성 유기 용매는 약 20% w/w 이하, 약 5% w/w 내지 약 15% w/w, 또는 약 10% w/w의 물을 포함하고; f)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은 약 0℃ 내지 약 75℃, 약 5℃ 내지 약 70℃, 약 10℃ 내지 약 60℃, 약 10℃ 내지 약 50℃, 약 10℃ 내지 약 45℃, 또는 약 20℃ 내지 약 40℃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g) 유기 용매(또는 수성 유기 용매) 대 바이오매스의 v/w 비율은 약 50-1:약 1, 약 40-1:약 1, 약 30-1:약 1, 약 20-1:약 1, 약 20-5:약 1, 또는 약 10:약 1의 범위에 있는 방법.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 추출은 a) 추출 환경을 여과하여 추출 환경으로부터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리하여, 조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유기 용매 또는 추출 환경에 수성 액체를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조 추출물로부터 유기 용매의 함량6을 감소시키는 단계; d) 상기 조 추출물을 활성탄으로 처리하는 단계; e) 상기 조 추출물을 1회 이상 여과하는 단계; f) 상기 조 추출물에 추가의 유기 용매를 첨가하는 단계; g) 상기 유기 용매 추출물을 멸균 여과하는 단계; 및/또는 h) 상기 조 추출물에 물을 첨가하고, 유기 용매로 수성 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3. 제1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이전에, 바이오매스 중 물 함량은 약 20wt% 이하, 약 15wt% 이하, 약 10wt% 이하, 약 8wt% 또는 약 5wt% 이하, 약 2.5wt% 이하, 또는 약 1wt% 이하인 방법.
  34. 제1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추출 이전에, 바이오매스는 약 1" 미만, 약 0.75" 미만, 약 0.5" 미만, 약 0.4" 미만, 약 0.3" 미만, 약 0.2" 미만, 약 0.1" 미만, 약 0.05" 미만, 또는 약 0.01" 미만의 입자 크기(d0.5)를 갖고, 상기 입자는 ASTM 체 메쉬 개구 크기에 대한 것인 방법.
  35. 제1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레안드린-함유 바이오매스는 네리움 종(Nerium sp.), 네리움 올레안더(Nerium oleander), 네리움 올레안더 L(Nerium oleander L(올레안더과, Apocynaceae)), 네리움 오도우룸(Nerium odourum), 화이트 올레안더, 핑크 올레안더, 테베티아 종(Thevetia sp.), 테베티아 페루비아나(Thevetia peruviana), 옐로 올레안더, 테베티아 네리폴리아(Thevetia nerifolia), 네리움 종에서 형질전환 및 유도된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세포 배양물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36. 제17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올레안드린-함유 추출물.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SbCLE 동안 수득된 약리학적 활성 다당류(및/또는 당류)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
  38. 올레안드린 및 하나 이상의 식이 성분 및/또는 식품 첨가물을 포함하는 기능식품 조성물.
  39. 올레안드린 및 하나 이상의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40. 본원에 기재된 SbCL 추출물.
  41. 본원에 기재된 SbCL 추출물을 생산하는 방법.
  42. 본원에 기재된 약학 조성물.
  43. 본원에 기재된 제형.
  44. 본원에 기재된 올레안드린-함유 조성물.
  45. 본원에 기재된 복합 조성물.
  46. 본원에 기재된 이중 추출물 복합 조성물.
  47. 본원에 기술된 치료 방법.
  48. 본원에 기재된 기능식품 조성물.
  49. 본원에 기재된 화장 조성물.

KR1020227044789A 2020-05-24 2021-05-19 올레안드린을 함유한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161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29530P 2020-05-24 2020-05-24
US63/029,530 2020-05-24
US202063034800P 2020-06-04 2020-06-04
US63/034,800 2020-06-04
US16/895,920 US10729735B1 (en) 2016-09-14 2020-06-08 Method and compostitions f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US16/895,920 2020-06-08
US202063042656P 2020-06-23 2020-06-23
US63/042,656 2020-06-23
US202063051576P 2020-07-14 2020-07-14
PCT/US2020/042009 WO2021201903A1 (en) 2020-03-31 2020-07-14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USPCT/US2020/042009 2020-07-14
US63/051,576 2020-07-14
US202063057727P 2020-07-28 2020-07-28
US63/057,727 2020-07-28
US202063059776P 2020-07-31 2020-07-31
US63/059,776 2020-07-31
US202163159242P 2021-03-10 2021-03-10
US63/159,242 2021-03-10
USPCT/US2021/022800 2021-03-17
PCT/US2021/022800 WO2021202103A2 (en) 2020-03-31 2021-03-17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PCT/US2021/033176 WO2021242590A1 (en) 2020-05-24 2021-05-19 Extract containing oleandrin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196A true KR20230016196A (ko) 2023-02-01

Family

ID=7872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789A KR20230016196A (ko) 2020-05-24 2021-05-19 올레안드린을 함유한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4156947A1 (ko)
JP (1) JP2023527979A (ko)
KR (1) KR20230016196A (ko)
CN (1) CN116322339A (ko)
AU (1) AU2021282086A1 (ko)
CA (1) CA3180022A1 (ko)
MX (1) MX2022014731A (ko)
WO (1) WO2021242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8773B (zh) * 2022-04-08 2023-10-03 山东中医药大学 重楼提取物在抗克里米亚刚果出血热病毒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5679A1 (en) * 2004-10-22 2006-09-14 Azaya Therapeutics, Inc. Topical and oral formulations of cardiac glycosides for treating skin diseases
MX2012007977A (es) * 2010-01-11 2012-08-23 Phoenix Biotechnology Inc Metodo para tratar condiciones neurologicas con glicocidos cardiacos.
EP3475402B1 (en) * 2016-06-24 2023-08-02 Cool Clean Technologies, LLC Method of extraction of cannabinoids using liquid carbon dioxide
KR20180060726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올레안드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22339A (zh) 2023-06-23
CA3180022A1 (en) 2021-12-02
MX2022014731A (es) 2023-02-27
EP4156947A1 (en) 2023-04-05
WO2021242590A1 (en) 2021-12-02
AU2021282086A1 (en) 2023-01-05
JP2023527979A (ja)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Phytosome: drug delivery system for polyphenolic phytoconstituents
US2008016011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Zingiber Species
US10383886B2 (en) Method of treating neurological conditions with oleandrin
US11801278B2 (en) Method for obtaining an extract of a plant biomass
Kalita et al. Novel phytosome formulations in making herbal extracts more effective
EP3512524B1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viral infection
AU2020204236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viral infection
US10960037B2 (en) Method of treating neurological conditions with extract of Nerium species or Thevetia species
JP2009531316A (ja) ニワトコ種を含む抽出物および方法
CA2931066A1 (en) Use of ginsenoside rg3 in preparing medicine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dementia, and medicine for treating dementia
US20100112101A1 (en) Bio-availability/bio-efficacy enhancing activity of stevia rebaudiana and extracts and fractions and compounds thereof
Zhang et al. Bioavailability enhancement of osthole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Bushen Yizhi prescription extract to rats followed by Cnidium monnieri (L.) Cusson fruits extract in comparison to pure osthole at different doses
KR20230005130A (ko) 비-악성 호흡기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230016196A (ko) 올레안드린을 함유한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17363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US20230158093A1 (en) Extract containing oleandrin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Ubong-Isaac et al. Herbosomes in the delivery of phytotherapeutics and nutraceuticals: concepts, applications and future perspective
Sindhu et al. Nanodeliovery based Chinese medicine's bioactive compounds f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orders
KR20070091242A (ko) 한외여과에 의하여 홍삼으로부터 분리된 고비율의파낙사디올 계열 사포닌 분획물 함유 항염증용 약학조성물
US20240100113A1 (en) Terpene-containing compositions
Kanimozhi Life Science Archives (LSA)
KR20120121969A (ko) Rh1을 포함하는 아토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