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849A - 바이노럴 비트에 의해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차량 - Google Patents

바이노럴 비트에 의해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849A
KR20230015849A KR1020220089279A KR20220089279A KR20230015849A KR 20230015849 A KR20230015849 A KR 20230015849A KR 1020220089279 A KR1020220089279 A KR 1020220089279A KR 20220089279 A KR20220089279 A KR 20220089279A KR 20230015849 A KR20230015849 A KR 20230015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onal state
vehicle
sound
vehicle occupant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야민 베르나르드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01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8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for vehicle drivers or machine op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06F16/636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by using biological or physiolog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40Rhythm
    • G10H1/42Rhythm comprising tone forming 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2Synthesis of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 A61B2503/22Motor vehicles operators, e.g. drivers, pilots, capt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M2230/06Heartbeat rate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18Rapid eye-movements [R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30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50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1Physiology, e.g. weight, heartbeat, health or special nee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71Vital parameter control, i.e. musical instrument control based on body signals, e.g. brainwaves, pulsation, temperature, perspiration; biometric inform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75Musical metadata derived from musical analysis or for use i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085Mood, i.e. generation, detection or selection of a particular emotional content or atmosphere in a musical pie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 음향 설계를 이용해서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음원을 가진 사운드 출력 장치(2)를 제어하기 위한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을 구비하고,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바이노럴 비트를 차량 탑승자가 인지하는 방식으로 사운드 출력 장치(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이 경우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는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차량 탑승자의 현재 정서 상태 및/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장치(3)를 구비하며,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현재의 그리고/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에 의존해서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바이노럴 비트에 의해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차량{VEHICLE WITH A DEVICE FOR STIMULATING A STATE OF MIND OF A VEHICLE OCCUPANT BY MEANS OF BINAURAL BEATS}
본 발명은 능동 음향 설계를 이용해서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차량, 특히 전기 작동식 또는 부분 전기 작동식 차량 및 이러한 차량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일반적으로 차량 탑승자를 수송하는 데 이용되며, 이 경우 일반적으로 수송 목적 또는 목적지가 공지된다. 차량에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음향 콘텐츠, 특히 음악 또는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장비 또는 일반적으로 음원을 가진 음향 출력 장치가 있다.
사람의 정서 상태가 소리, 음악 또는 기타 소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에 영향을 주기 위해 이러한 점을 이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차량 운전자는 긴장 완화 유도를 위해 예컨대 클래식 음악과 같은 특정 음악을 선택할 수 있다.
DE 10 2017 111 443 A1호에 공지되어 있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 장치를 가진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며, 이 오디오 시스템은 콘텐츠 선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장치 및/또는 사운드 설정을 설정하기 위한 사운드 설정 장치의 조작에 의해 콘텐츠 선택을 자동 선택하고 그리고/또는 사운드 설정을 자동 설정하기 위해 AI 유닛을 구비한 자동 조작 장치를 포함한다. US 2020 324 697 A1호, DE 10 2019 201 695 A1호 및 DE 10 2018 217 634 A1호로부터 추가로 각각 차량 내 음향 설계에 관한 선행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특히 효율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능동 음향 설계를 이용해서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정서 상태를 특히 효율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능동 음향 설계를 이용해서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및 특허 청구항 제10항의 특징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차량은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이 경우 능동 음향 설계를 이용해서 자극이 수행된다. 여기서 능동 음향 설계란, 차량 탑승자가 인지할 수 있는 음향을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음원을 가진 사운드 출력 장치가 능동적으로 제어되고, 사운드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음원을 가진 사운드 출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운드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차량 내에 고정 설치된 사운드 출력 장치, 예를 들어 2개의 스피커를 가진 사운드 출력 장치일 수 있다. 물론 사운드 출력 장치가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헤드폰인 경우도 전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운드 출력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음원을 가진 외부 사운드 출력 장치, 특히 차량 탑승자의 헤드셋 또는 헤드폰일 수도 있다. 사운드 제어 시스템은, 차량 탑승자가 바이노럴 웨이브(binaural wave)라고도 하는 소위 바이노럴 비트를 인지하는 방식으로 사운드 출력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바이노럴 비트는 차량 탑승자의 주관적 감각 인상(subjective sensory impression)으로서 생성됨에 따라 제3자에게는 비가청 지각(inaudible perception)이고, 이러한 지각은 차량 탑승자에게 비트와 유사하게 느껴진다. 이러한 바이노럴 비트는 예를 들어, 차량 탑승자의 두 귀에 서로 약간 상이한 주파수를 갖는 소리가 직접 전달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 귀에는 440Hz의 주파수가 전달되고, 오른쪽 귀에 430Hz의 주파수가 전달된다. 이 경우, 바이노럴 비트는 10Hz의 주파수로 인지된다. 바이노럴 비트에 의해 사람의 정서 상태를 자극할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는 사실이다.
차량에서,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사운드 제어 시스템이 설정되고,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은 차량 탑승자의 현재 정서 상태 및/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은, 현재 및/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에 따라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예를 들어 긴장 완화 상태, 수면 상태, 숙면 상태, 생각 및 문제 해결에 유익한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특히 높은 집중력(concentration ability) 및/또는 집중(focus) 및/또는 특히 높은 학습 능력에 해당하는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차량 탑승자가 인지하는 바이노럴 비트에 의해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바이노럴 비트에서 5개의 주파수 범위, 요컨대 0.1Hz 내지 4Hz의 델타 주파수 범위, 4Hz 내지 8Hz의 세타 주파수 범위, 8Hz 내지 13Hz의 알파 주파수 범위, 13Hz 내지 30Hz의 베타 주파수 범위 및 30Hz 이상의 감마 주파수 범위가 구별된다. 델타 주파수 범위는 숙면을 촉진하는 데 이용되고, 세타 주파수 범위는 수면 상태를 촉진하는 데 이용되고, 알파 주파수 범위는 긴장 완화에 이용되고, 베타 주파수는 범위는 인지와 논리를 촉진하는 데 이용되며, 감마 주파수 범위는 집중력을 촉진하는 데 이용된다.
결정 장치가 현재 정서 상태 및/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AI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이 현재의 그리고/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에 기반해서 사운드 출력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AI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 지능)의 사용은 이와 관련해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되는데, 왜냐하면 인공 지능은 자가 학습 시스템과 관련하여 특별한 장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히, 현재 정서 상태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어, 사운드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향과 이를 통해 차량 탑승자가 인지하는 바이노럴 비트가 차량 탑승자의 현재 정서 상태에 미치는 효과들이 등록되어 분석되고, 그 결과 자가 학습 시스템의 관점에서 상기 효과들이 항시 분석되며 제어, 특히 주파수가 재조정된다.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특히, 차량 탑승자의 생체 측정 데이터 및/또는 차량 탑승자의 생물학적 데이터 및/또는 차량 탑승자의 바이탈 신호 및/또는 차량 탑승자의 뇌 활성도 및/또는 뇌파가 기록된다. 이 경우, 차량 자체가 전술한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적합한 센서를 구비하는 점이 전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는 차량 탑승자 스스로 이러한 유형의 센서, 예를 들어 심박수 측정기 등을 휴대하는 점도 전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차량 탑승자의 생물학적 데이터를 검출하는 센서에 액세스하도록 결정 장치가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되며, 이러한 센서가 반드시 차량의 구성 부품인 센서일 필요는 없다.
차량의 구성 부품인 센서는 예를 들어 카메라일 수 있다. 또는 차량 탑승자가 이용하는 시트 영역에, 예를 들어 체온 및/또는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해당 센서들이 내장되는 점도 전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현재의 그리고 원하는 정서 상태에 의존해서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가 설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특히, 하나의 정서 상태로부터 다른 정서 상태로, 예를 들어 감마 주파수 범위의 정서 상태에 해당하는 정서 상태로부터 델타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정서 상태로의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 전환이 델타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바이노럴 비트로는 가능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지배적인 뇌 주파수가 바이노럴 비트에 의해 제공되는 완전히 다른 주파수 범위에 적응하기 어렵다는 점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정 주파수를 갖는 바이노럴 비트가 제공되면 뇌는 이러한 제공된 주파수에 근접하도록 유발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와 뇌 주파수의 이러한 동기화는 당연히, 인지된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가 지배적인 뇌 주파수에 가까울 때 더 잘 이루어진다. 따라서,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가 지배적인 뇌 주파수에 가까울수록 그리고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가 원하는 정서 상태에 해당하는 주파수에 서서히 접근할수록, 특정 정서 상태의 달성이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정서 상태를 고려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현재 정서 상태의 검출은, 뇌 활동이 제공된 바이노럴 주파수를 따르거나 이에 근접하는지의 여부와 관련해서 재조정 또는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모니터링되거나 고려되는 생물학적 데이터는 특히 심장 박동, 눈 깜박임, 체온, 발한, 안구 운동, 지배적인 뇌 주파수 및/또는 혈압이다.
결정 장치가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되며, 상기 식별 장치는, 차량 탑승자를 식별하도록, 특히 생체 데이터를 근거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식별 장치는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특히 효율적으로 자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정서 상태의 자극, 특히 정서 상태의 자극을 위한 절차는 매우 개별화될 수 있으므로, 식별 장치를 이용해서 예를 들어 식별된 사람의 정서 상태의 자극에 특히 효율적인 자극의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AI 유닛이 동일한 사람의 과거의 자극에서 이러한 모델을 학습하고 저장함으로써, 이러한 자극 모델이 다시 호출되고 자극의 과정에서 자가 학습 시스템과 관련하여 최적화될 수 있는 점이 전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결정 장치는 특히, 차량 탑승자의 예정된 일정이 포함된 전자 캘린더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고, 나아가 예정된 다음 일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근거로 원하는 정서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결정 장치는 캘린더 항목에 기초해서 차량 탑승자가 집으로 가는 길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거나 인식하고, 원하는 정서 상태가 긴장 완화된 정서 상태임을 추론하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반면에, 다음 일정으로서 예를 들어 스포츠 이벤트가 캘린더에 입력되어 있다면, 결정 장치는 원하는 정서 상태가 집중된 정서 상태임을 추론한다. 다음 일정이 인터뷰, 회의 및/또는 예정된 시험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차량 탑승자가 사전에 캘린더 항목에 원하는 특정 정서 상태를 지정한 경우도 전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순수 바이노럴 비트를 불쾌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바이노럴 비트의 의식적인 인지를 약화시키기 위해, 바이노럴 비트를 생성하기 위한 주파수에 예를 들어 음악과 같은 추가 음향을 중첩시키는 점이 전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바이노럴 비트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 외에 차량 탑승자의 인지 시 바이노럴 비트에 중첩되는 추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사운드 제어 시스템이 구정되는 점을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 의해 바이노럴 비트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에 중첩되는 음향은 예를 들어 새소리, 물소리, 파도 소리 및/또는 클래식 음악일 수 있다.
차량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음상(sound image), 예를 들어 선택된 음악을, 차량 탑승자가 정서 상태의 자극을 위한 원하는 주파수를 갖는 바이노럴 비트를 인지하는 방식으로 조정하도록 사운드 제어 시스템이 구성되는 점도 전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는 바람직하게 0.1Hz 내지 50Hz이다. 바람직하게는 바이노럴 비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주파수는 50Hz 내지 1300Hz이다.
결정 장치가 원하는 정서 상태의 결정 시 현재의 그리고/또는 미래의 교통 상황 또는 교통 사정, 현재의 그리고/또는 미래의 기상 상황, 위험 경보, 수신 전화 및/또는 수신 메시지와 같은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와 관련해서, 결정 장치가 교통 리포트, 특히 라디오를 통해 차량에 전달되는 교통 리포트를 고려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차량 탑승자는 자동차의 운전자일 수 있다.
사운드 제어 시스템이 원하는 정서 상태의 능동 입력을 위한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점도 전적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 경우, 원하는 정서 상태의 자동 결정보다 원하는 정서 상태의 능동 입력이 우선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차량 실내의 음향 설계를 생성할 때 사운드 제어 시스템이 다른 요소, 예를 들어 현재 속도, 엔진 속도, 조향 동작, 외부 소음, 주행 상황(예를 들어 고속도로 주행, 도심 주행 또는 교외 주행) 및/또는 기상 상황을 고려하는 점이 전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요소들은 음향 생성 시 예를 들어 음량, 음색 및/또는 지배적인 주파수 범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주파수 범위가 차량 탑승자의 인지 시에만 생기는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와 동일시되어서는 안 된다.
능동 음향 설계를 이용해서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차량은 적어도 2개의 음원을 가진 사운드 출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운드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사운드 제어 시스템은,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특정 주파수를 갖는 바이노럴 비트를 차량 탑승자가 인지하는 방식으로 사운드 출력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은 차량 탑승자의 현재 정서 상태 및/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은,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가 현재의 그리고/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에 좌우되는 방식으로 사운드 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하기의 도면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토대로 더 상세히 설명되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1에는 능동 음향 설계를 이용해서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는 데 이용되는 차량의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음원을 가진 사운드 출력 장치(2)를 제어하기 위한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을 구비한다. 여기서 사운드 출력 장치(2)는 차실 스피커(cabin loudspeaker)이다.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바이노럴 비트를 차량 탑승자가 인지하는 방식으로 사운드 출력 장치(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는 변경될 수 있고,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차량 탑승자의 현재 정서 상태 및 원하는 정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장치(3)를 구비한다.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현재의 그리고 원하는 정서 상태에 의존해서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장치(3)는 현재의 정서 상태와 원하는 정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AI 유닛을 구비한다. 결정 장치(3)는, 예를 들어 차량 탑승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또는 차량 탑승자가 휴대한 전자 센서를 사용하여 차량 탑승자와 관련된 생체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현재 정서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차량 탑승자의 현재 정서 상태를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데이터와 관련된 결정 장치(3)를 위한 입력 데이터가 도 1에 참조부호 "4"로 표시되어 있다. 반면, 차량 탑승자의 원하는 심리 상태를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데이터와 관련된 결정 장치(3)를 위한 입력 데이터는 도 1에 참조부호 "5"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4, 5)는 결정 장치(3)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형성한다.
원하는 정서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 정서 상태 및 원하는 정서 상태에 기초해서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이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특히 자가 학습 시스템을 사용하여, 현재 정서 상태의 고려하에 원하는 정서 상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한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를 결정한다. 이렇게 결정된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는 사운드 출력 장치(2)의 제어 시 고려된다. 결정 장치(3)는 도 1에서 참조부호 "6"으로 표시된 해당 출력 신호를 전송한다.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와 관련된 출력 신호(6) 외에 또 다른 요소들(7)을 추가로 고려한다. 이러한 요소들(7)은 예를 들어 바이노럴 비트를 생성하기 위한 주파수에 중첩될 음향, 예를 들어 음악과 관련될 수 있다. 출력 신호(6)와 요소들(7)은 사운드 컨트롤러(8)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형성하고, 이 경우 상기 사운드 컨트롤러는 사운드 출력 장치(2)를 직접 제어한다. 사운드 컨트롤러(8)는 또한 다른 데이터, 특히 CAN 버스(Controller Area Network)의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서 고려할 수 있다. CAN 버스의 데이터는 도 1에 참조부호 "9"로 표시되어 있다.
1 사운드 제어 시스템
2 사운드 출력 장치
3 결정 장치
4 데이터
5 데이터
6 출력 신호
7 요소
8 사운드 컨트롤러
9 데이터

Claims (10)

  1. 능동 음향 설계를 이용해서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차량으로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음원을 가진 사운드 출력 장치(2)를 제어하기 위한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을 구비하고,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바이노럴 비트를 차량 탑승자가 인지하는 방식으로 사운드 출력 장치(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는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차량 탑승자의 현재 정서 상태 및/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장치(3)를 구비하며,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현재의 그리고/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에 따라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 장치(3)는 현재 정서 상태 및/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AI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현재의 그리고/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에 기초해서 사운드 출력 장치(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AI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결정 장치(3)는 식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식별 장치는 차량 탑승자를 식별하도록, 특히 생체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 장치(3)는 차량 탑승자의 생물학적 데이터를 근거로 현재 정서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생물학적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결정 장치는 차량 탑승자의 생물학적 데이터를 검출하는 센서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데이터는 심장 박동, 눈 깜박임, 체온, 발한, 안구 운동, 지배적인 뇌 주파수 및/또는 혈압인, 차량.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 장치(3)는, 차량 탑승자의 예정된 일정이 포함된 전자 캘린더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고, 예정된 다음 일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근거로 원하는 정서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차량 탑승자가 바이노럴 비트의 생성을 위한 음향 외에, 차량 탑승자의 인지 시 바이노럴 비트에 중첩되는 추가 음향을 인지하는 방식으로 사운드 출력 장치(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는 0.1Hz 내지 50Hz인, 차량.
  10. 능동 음향 설계를 이용해서, 특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을 사용하여,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차량은 적어도 2개의 음원을 가진 사운드 출력 장치(2)를 제어하기 위한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을 구비하고,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은,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특정 주파수의 바이노럴 비트를 차량 탑승자가 인지하는 방식으로 사운드 출력 장치(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차량 탑승자의 현재 정서 상태 및/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장치(3)를 구비하며, 상기 사운드 제어 시스템(1)은,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가 현재의 그리고/또는 원하는 정서 상태에 좌우되는 방식으로 사운드 출력 장치(2)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20089279A 2021-07-23 2022-07-20 바이노럴 비트에 의해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차량 KR202300158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19126.2A DE102021119126A1 (de) 2021-07-23 2021-07-23 Fahrzeug mit einer Einrichtung zur Stimulation eines Gemütszustands eines Fahrzeuginsassen mittels binauraler Beats
DE102021119126.2 2021-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849A true KR20230015849A (ko) 2023-01-31

Family

ID=8478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279A KR20230015849A (ko) 2021-07-23 2022-07-20 바이노럴 비트에 의해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016718A (ko)
KR (1) KR20230015849A (ko)
CN (1) CN115671490A (ko)
DE (1) DE1020211191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1443A1 (de) 2017-05-24 2018-11-29 Burmester Audiosysteme Gmbh Autiosystem und Verfahren zum Auswählen einer Inhaltsauswahl und/oder zum Einstellen einer Soundeinstellung
US10867218B2 (en) 2018-04-26 2020-12-15 Lear Corporation Biometric sensor fusion to classify vehicle passenger state
DE102018217634A1 (de) 2018-10-15 2019-11-14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zeugs sowie Fahrzeug
KR20200123503A (ko) 2019-04-15 2020-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운전자 성향 기반의 차량 엔진음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119126A1 (de) 2023-01-26
JP2023016718A (ja) 2023-02-02
CN115671490A (zh)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15445B (zh) 用于对车辆的驾驶员进行与人相关的辅助的方法和系统
JP6127163B2 (ja) 運転者の覚醒度を監視及び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9508771A (ja) 状態モニター装置を有する自動車両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運転者支援システム、及び自動車両
US11590313B2 (en) Smart relaxation mask
CN112867528A (zh) 用于预测和预防晕动病的系统和方法
US9361906B2 (en) Method of treating an auditory disorder of a user by adding a compensation delay to input sound
US113156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trainment of a user based on bio-rhythm of the user
KR101441820B1 (ko)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JP7183782B2 (ja) 感情推定装置、環境提供システム、車両、感情推定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563997B2 (en) Multisensory interface control method, multisensory interface control apparatus, and multisensory interface system
KR20230015849A (ko) 바이노럴 비트에 의해 차량 탑승자의 정서 상태를 자극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차량
JP2009137336A (ja) 車載警報装置
JP7436277B2 (ja) 乗員感情伝達装置
Merrikhi et al. Perceptual manifestations of auditory modulation during speech planning
KR102452213B1 (ko) 멀미 현상을 완화 시키기 위한 음향 주파수 주입장치 및 방법
KR101468116B1 (ko)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DK178288B1 (en) Attention feedback loop for sustaining conscious breathing inside a vehicle
Hahm et al. Drowsiness Driving Prevention System using Bone Conduction Device
EP4296987B1 (en) Driver attention system
KR20050096675A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맥동 잡음 발생장치 및 방법
WO2023248814A1 (ja) 情報処理装置
KR20200109673A (ko) 의자, 이를 위한 머리 받침대 및 음향 재생 장치
US202300580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 kinetosis effect in at least one passenger of an vehicle
JP2023120036A (ja) 車載システム
WO2020110781A1 (ja) 状態制御装置、状態制御システム、及び、状態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