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332A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332A
KR20230014332A KR1020210095563A KR20210095563A KR20230014332A KR 20230014332 A KR20230014332 A KR 20230014332A KR 1020210095563 A KR1020210095563 A KR 1020210095563A KR 20210095563 A KR20210095563 A KR 20210095563A KR 20230014332 A KR20230014332 A KR 20230014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ttery case
support member
loading are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혁
이종욱
손인국
김윤호
김현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5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332A/ko
Priority to US17/867,003 priority patent/US20230027629A1/en
Publication of KR20230014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8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nterchangeable parts, e.g. new part adapting to old 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1Electric energy storages
    • B60Y2400/112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이 적재되기 위한 적재 영역이 구획되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트레일링 암 멀티링크 구조를 가진 차체 형상에 대응하도록 굴곡부를 포함하는 측벽 프레임 및 상기 적재 영역의 구획을 위해 상기 본체에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Battery case for 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후륜 서스펜션 타입에 포함된 트레일링암의 구조를 고려하여 굴곡형 케이스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구조적인 표준화가 가능하게 하며, 그 내부에 배터리 모듈이 최적의 레이아웃으로 적재되도록 하여 배터리 모듈의 최대 적재가 가능하게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전기 자동차 그리고 친환경 자동차들은 모두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전기모터에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팩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고전압 배터리팩은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갖춘 배터리 케이스, 상기 배터리 케이스 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 구성으로, 고전압 배터리팩을 차량에 탑재하는 방안에는 크게 2가지 타입이 있는 바, 제1탑재 방안은 통상 용량과 사이즈가 큰 배터리 모듈이 배터리 케이스 내에 보관된 상태로 시트의 아래쪽에서 언더 플로어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그런데, 용량과 사이즈가 큰 배터리 모듈을 시트의 하부에 설치할 때에는, 설치공간의 확보를 위해 언더 플로어패널이 상향 조정될 수밖에 없는 바, 이로 인해 후석 레그룸이 축소됨에 따라 후석 승객의 거주성이 불편해지는 단점이 있고, 특히 언더 플로어패널의 상향에 따른 실내공간 보상을 위해 루프패널을 상향시키게 됨으로써, 차량의 전고가 높아지며 이로 인해 공력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전압 배터리팩의 제1탑재 방안은 통상 5 도어를 구비한 해치백 차량이나, CUV(Crossover Utility Vehicle) 또는 MPV(Multi-Purpose Vehicle) 등에 주로 채택되고 있다.
또한, 고급감 및 승차감을 중요시하는 세단형 승용차는 제2탑재 방안이 주로 채택되고 있는 바, 즉 용량 및 사이즈가 작은 하나의 고전압 배터리팩은 후석 시트의 하부인 언더 플로어패널에 설치하고, 상기의 고전압 배터리팩 보다 용량 및 사이즈가 큰 다른 하나의 고전압 배터리팩은 러기지룸에 설치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제2탑재 방안은 용량 및 사이즈가 작은 고전압 배터리팩을 후석 시트의 하부인 언더 플로어패널에 설치함에 따라 언더 플로어패널)의 상향 조정을 할 필요가 없고, 또한 언더 플로어패널의 상향 조정에 따른 단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세단형 승용차에 적용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전압 배터리팩이 용량 및 사이즈에 따라 2 개로 분리 구성되며, 각각의 배터리팩이 2 개로 분리된 공간(언더 플로어패널의 하부공간과 러기지룸)에 나누어져서 설치됨에 따라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쿨링 시스템을 각각 구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러기지룸의 축소로 인해 상품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CUV 또는 MPV, 세단형 승용차 등과 같은 차량의 모든 라인업을 고려한 고전압 배터리팩의 배터리 케이스 형상을 표준화하여, 고전압 배터리팩이 최적 레이아웃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파생된 전기자동차의 후륜 서스펜션 타입에 포함된 트레일링암의 구조를 고려하여 굴곡형 케이스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파생 전기자동차에 대한 구조적 표준화가 가능하게 하며, 복수의 종방향 지지부재 및 횡방향 지지부재의 배치를 통해 적재 영역의 구획 및 차체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강성 및 충동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배터리 모듈이 최적의 레이아웃으로 적재되게 하여 배터리 모듈의 최대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이 적재되기 위한 적재 영역이 구획되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트레일링 암 멀티링크 구조를 가진 차체 형상에 대응하도록 굴곡부를 포함하는 측벽 프레임 및 상기 적재 영역의 구획을 위해 상기 본체에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적재 영역은 상기 본체의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으로 구획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의해 구획된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이 폭 방향을 따라 구획되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제2지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서 복수로 구획된다.
이러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굴곡부가 형성된 제4영역에서 선택적으로 삭제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영역은 한 쌍의 상기 제2지지부재가 배치되어, 중심부의 PRA(Power Relay Assembly) 영역과, 상기 PRA 영역의 양측의 제1적재 영역 및 제2적재 영역으로 구획되되, 상기 제1적재 영역 및 상기 제2적재 영역은, 후방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이 적재된 상태에서, 차체의 발 공간을 고려하여 전방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제3영역과 제4영역으로 구획함에 있어, 차체의 킥업부의 위치와 매칭되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며 배치된다.
한편, 상기 측벽 프레임은 차체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굴곡부가 포함된 상기 본체의 일단부가 축소되도록 상기 본체의 측벽 테두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파생된 전기자동차의 후륜 서스펜션 타입에 포함된 트레일링암의 구조를 고려하여 굴곡형 케이스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파생 전기자동차에 대한 구조적 표준화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종방향 지지부재 및 횡방향 지지부재의 배치를 통해 적재 영역의 구획 및 차체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강성 및 충동 안정성을 확보함과 함께, 그 내부에 배터리 모듈이 최적의 레이아웃으로 적재되게 하여 배터리 모듈의 최대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굴곡형 케이스 형상의 내부에서 강성 확보를 위해 마련된 종방향 지지부재에 대한 삭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해당되는 위치에 적재되는 배터리 모듈이 최대로 적재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1 열의 발공간을 고려, 상대적으로 해당 위치의 높이를 낮게 설정하여 제작되게 함으로써, 1 열의 발공간 확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대한 차체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대한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대한 도 3 의 A-A'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대한 도 3 의 B-B'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대한 측벽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대한 차체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대한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대한 도 3 의 A-A'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대한 도 3 의 B-B'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6a 및 6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대한 측벽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10)는 본체(100)와, 측벽 프레임(200)과, 제1지지부재(300) 및 제2지지부재(4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차체(1)에 장착되며, 복수의 배터리 모듈(20)이 적재되기 위한 적재 영역이 구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 프레임(200)은 본체(100)의 측벽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측벽 프레임(200)은 트레일링 암 멀티링크(3)의 구조를 가진 차체(1) 형상에 대응하도록 굴곡부(210)를 포함한다.
즉, 현재 전륜 구동 베이스에 적용되는 플랫폼은 후륜 서스펜션 타입을 크게 CTBA(coupled torsion beam axle) 및 판형의 트레일링 암 멀티링크 2가지로 운영하고 있고, 내연기관에서 파생된 전기자동차의 경우, 전용 플랫폼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기본적으로 내/외장 및 다수의 부분을 내연기간을 가진 기본차와 공용화하기 위해 기존 서스펜션 타입을 유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므로, 판형의 트레일링암 멀티링크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내연기관에서 파생된 전기자동차의 경우, 기존 전륜 구동 베이스에 적용되는 구조를 고려하여 기존 서스펜션 타입, 다시 말해 후륜 서스펜션 타입으로 판형의 트레일링암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본체(100) 및 측벽 프레임(200)을 이에 대응하는 형상 및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더 자세하게는, 공간 확보의 측면에서 비교하면, 제4영역(A4)이 제2영역(A4) 내지 제3영역(B)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배터리 모듈(20)에 대한 적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도 2 참조), 전술된 바와 같이 판형의 트레일링암 멀티링크 구조에 있어서는, 트레일링암 멀티링크(3)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제4영역(A4)에서의 적용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도 1 참조), 결국 파생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배터리 케이스(10)의 표준화 위하여 본체(100) 및 측벽 프레임(200)의 일측이 굴곡부(21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판형의 트레일링암 멀티링크(3)가 적용됨에 따른 구조적인 제약을 방지하면서도, 최적 레이아웃으로 배터리 모듈(20)이 적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300) 및 제2지지부재(400)는 적재 영역의 구획을 위하여 본체(100)에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적재 영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영역(A1), 제2영역(A2), 제3영역(A3), 제4영역(B)으로 구획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300) 및 이와 같이 제1지지부재(300)에 의해 구획된 제1영역(A1) 내지 제4영역(A4)이 다시 폭 방향을 따라 구획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400)를 통해 본체(100)에서 복수로 구획 형성된다.
여기서, 제2지지부재(400)는 굴곡부(210)가 형성된 제4영역(A4)에서 선택적으로 삭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영역(A)을 폭 방향으로 구획하기 위한 제2지지부재(400)는 전방 충돌 시 구조적인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도 3의 점선 부분 참조), 굴곡부(210)가 형성됨에 의해 제2영역(A2) 내지 제3영역(A3)과 비교하여 배터리 모듈(20)이 적재되기 위한 적재 영역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4영역(A4)의 제2지지부재(400)를 삭제함으로써, 굴곡부(210)가 포함된 제4영역(A4)에서의 배터리 모듈(20)에 대한 레이아웃을 최대 확보할 수 있는 적재 영역이 구획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A1)은 한 쌍의 제2지지부재(400)가 배치되어, 통상적으로 전기 차량 및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배터리로부터 PCU(Power Control Unit)를 거쳐 모터로 연결되는 전원을 연결하고 차단하기 위하여 중심부에 마련된 PRA(Power Relay Assembly) 영역(B)과, 이러한 PRA 영역(B) 양측의 제1적재 영역(A1-1) 및 제2적재 영역(A1-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적재 영역(A1-1) 및 제2적재 영역(A1-2)은 제1적재 영역(A1-1) 및 제2적재 영역(A1-2)의 후방으로 배터리 모듈(20)이 적재된 상태에서(도 3 참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공간(C)을 고려하여 1적재 영역(A1-1) 및 제2적재 영역(A1-2)의 전방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적재 영역(A1-1) 및 제2적재 영역(A1-2)에서 배터리 모듈이(20)이 적재된 후방은 그 상부에 차체(1)의 시트가 안착될 수 있는 영역이므로, 본체(100)를 차폐하는 케이스부(110)가 플랫하게 형성되지만, 전방은 착석자의 발 공간에 해당하기 때문에, 케이스부(110)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전방을 향해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착석자의 발 공간(C)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의 내부를 복수의 제1지지부재(300)를 통해 적재 영역을 제3영역(A3) 및 제4영역(A4)으로 구획함에 있어, 해당되는 제1지지부재(300)가 차체(1)의 킥업부(2) 위치와 매치되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재(400)는 굴곡부(210)가 형성된 제4영역(A4)에서 선택적으로 삭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강성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나, 구조적인 측면에서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 도면 상에 직접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지지부재(300)가 차체(1)의 킥업부(2)에 복수의 체결부재(미도시)을 통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강성 및 충돌 안정성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프레임(200)은 차체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곡부(210)가 포함된 본체(100)의 일단부, 더 자세하게는 적재 영역 중 제4영역(A4)이 축소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측벽 테두리를 형성한다.
이는, 내연기관에서 파생된 전기자동차는 세그먼트 마다 차체의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복수의 세그먼트에 적용되는 배터리 케이스(10)가 서로 다른 구조 및 크기를 가지도록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10)가 세그먼트에 따라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C 세그먼트 또는 SUV 세그먼트에 적용되는 차체(1)에 대해서는 전술된 배터리 케이스(10)와 동일한 크기 및 구조를 가지도록 하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세그먼트, 예를 들어 경차의 경우 차체(1)의 크기에 맞게 제1영역(A1) 내지 제3영역(A3)은 유지한 상태에서, 제4영역(A4)이 축소(삭제)될 수 있게 함으로써, 표준화된 배터리 케이스(10)가 다양한 세그먼트에 대응하며 효과적으로 적용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프레임(200)은 세그먼트에 따라 제4영역(A4)이 축소(삭제)되게 할 뿐만 아니라, 제1영역(A1) 내지 제3영역(A3)의 폭 길이 또한 축소 적용되게 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B, C 세그먼트 또는 SUV 세그먼트에 적용되는 차체(1)에 대해서는 PRA가 배치된 전방에서 순차적으로, 예를 들어 4-8-8-7 의 개수로 배터리 모듈(20)이 배치되지만(도 6a 참조), A 세그먼트에 적용되는 차체(1)의 경우 그 길이 및 폭이 상대적으로 축소되기 때문에, 제1영역(A1) 내지 제3영역(A3)에서 B, C 세그먼트 또는 SUV 세그먼트에서와 동일한 배터리 모듈(20)의 배치 레이아웃을 따르며 PRA가 배치된 전방에서 순차적으로, 예를 들어 3-7-7 의 개수로 배터리 모듈(20)이 배치될 수 있다(도 6b 참조).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모듈(20)의 배치 레이아웃의 변경 없이, B, C 세그먼트 또는 SUV 세그먼트에 적용되는 표준의 배터리 케이스(10)의 구조에 있어서, 폭 방향 및 제4영역(A4)의 선택적인 축소만을 통하여, 세그먼트 별 다양한 차체(1)의 크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세그먼트에 따라 서로 다른 배터리 케이스(10)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에 따른 작업 공수 및 재료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파생된 전기자동차의 후륜 서스펜션 타입에 포함된 트레일링암의 구조를 고려하여 굴곡형 케이스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파생 전기자동차에 대한 구조적 표준화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종방향 지지부재 및 횡방향 지지부재의 배치를 통해 적재 영역의 구획 및 차체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강성 및 충동 안정성을 확보함과 함께, 그 내부에 배터리 모듈이 최적의 레이아웃으로 적재되게 하여 배터리 모듈의 최대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굴곡형 케이스 형상의 내부에서 강성 확보를 위해 마련된 종방향 지지부재에 대한 삭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해당되는 위치에 적재되는 배터리 모듈이 최대로 적재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1 열의 발공간을 고려, 상대적으로 해당 위치의 높이를 낮게 설정하여 제작되게 함으로써, 1 열의 발공간 확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차체 2 : 킥업부
3: 트레일링 암 멀티링크 10 : 배터리 케이스
20 : 배터리 모듈 100 : 본체
110 : 케이스부 200 : 측벽 프레임
210 : 굴곡부 300 : 제1지지부재
400 : 제2지지부재

Claims (6)

  1. 복수의 배터리 모듈이 적재되기 위한 적재 영역이 구획되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트레일링 암 멀티링크 구조를 가진 차체 형상에 대응하도록 굴곡부를 포함하는 측벽 프레임; 및
    상기 적재 영역의 구획을 위해 상기 본체에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영역은,
    상기 본체의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으로 구획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의해 구획된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이 폭 방향을 따라 구획되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제2지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서 복수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굴곡부가 형성된 제4영역에서 선택적으로 삭제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한 쌍의 상기 제2지지부재가 배치되어, 중심부의 PRA(Power Relay Assembly) 영역과, 상기 PRA 영역의 양측의 제1적재 영역 및 제2적재 영역으로 구획되되,
    상기 제1적재 영역 및 상기 제2적재 영역은, 후방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이 적재된 상태에서, 차체의 발 공간을 고려하여 전방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제3영역과 제4영역으로 구획함에 있어, 차체의 킥업부의 위치와 매칭되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프레임은,
    차체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굴곡부가 포함된 상기 본체의 일단부가 축소되도록 상기 본체의 측벽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KR1020210095563A 2021-07-21 2021-07-2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KR20230014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563A KR20230014332A (ko) 2021-07-21 2021-07-2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US17/867,003 US20230027629A1 (en) 2021-07-21 2022-07-18 Battery case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563A KR20230014332A (ko) 2021-07-21 2021-07-2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332A true KR20230014332A (ko) 2023-01-30

Family

ID=8497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563A KR20230014332A (ko) 2021-07-21 2021-07-2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27629A1 (ko)
KR (1) KR2023001433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27629A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3714B2 (en) Battery system for heavy duty vehicles
US11235670B2 (en) High voltage battery unit for vehicle and underbody of vehicle
US9988100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CN110303994A (zh) 底板下罩以及具备该底板下罩的电动车
US20080149410A1 (en) Arrangement structure of component parts for fuel cell vehicle
US11820220B2 (en) Vehicular battery unit and vehicular underbody including the same
US20210179192A1 (en) High voltage battery unit for vehicle and underbody of vehicle
CN212386582U (zh) 车辆和车辆电池支撑总成
US20230331323A1 (en) Group of Motor Vehicles
CN109927791B (zh) 前车身加强结构
CN110435774B (zh) 一种电动汽车前地板结构
WO2022006381A1 (en) Modular vehicle structure
JP2001097048A (ja)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US11117619B2 (en) Vehicle frame assembly
US20220332218A9 (en) Battery unit for vehicle and underbody of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240181862A1 (en) Battery unit for vehicle and underbody of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217994540U (zh) 车体转向组件和车辆
KR20230014332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US11541714B2 (en) Vehicle
CN114954683A (zh) 用于车辆的车身底部
US11634182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20230278640A1 (en) Dashboard panel vehicle-body structure with enhanced load path connectivity
US20220234655A1 (en) Vehicle
US20230339303A1 (en) High-Voltage Battery Pack for Vehicle
US20230406121A1 (en) Vehicle Body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