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969A -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969A
KR20230013969A KR1020210095100A KR20210095100A KR20230013969A KR 20230013969 A KR20230013969 A KR 20230013969A KR 1020210095100 A KR1020210095100 A KR 1020210095100A KR 20210095100 A KR20210095100 A KR 20210095100A KR 20230013969 A KR20230013969 A KR 20230013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nufacturing
frame
shadow mask
alignment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호
이찬종
이윤경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9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3969A/ko
Publication of KR20230013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H01L51/001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 영역과 주변 영역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와; 증착 공정시 증착 물질을 선별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마스크 패턴과, 증착 공정시 증착 대상 기판과의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 마크를 구비하는 마스크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 패턴 및 상기 얼라인 마크가 상기 관통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마스크 시트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shadow mask}
본 발명은 마이크로 단위의 초소형 마스크 패턴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 발광 현상을 이용하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에 빛을 가하기 위한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이고 박형의 평판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층인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등이 유기 박막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유기 박막은 진공 증착법 등에 의해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진공 증착법은 진공 챔버 내에 기판을 배치하고, 일정 패턴이 형성된 섀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기판에 정렬시킨 후, 증착 재료가 담겨 있는 증발원에 열을 가하여 증발원에서 증발되는 증착 재료를 기판 상에 증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진공 증착법을 이용하여 유기 박막을 증착하는 증착 장치는, 진공 챔버의 상측에 피처리 기판을 장착하고, 진공 챔버의 하부에 증착 물질이 수용된 증발원이 설치한 구조로서, 진공챔버의 내부를 일정한 진공을 유지시킨 후, 진공챔버의 하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증발원으로부터 증착 물질을 증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근 유기발광소자(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가 고해상도로 발전하면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섀도우 마스크의 마스크 패턴도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초소형으로 가공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최근에는 실리콘 웨이퍼에 대해 반도체 공정을 통해 미세 패턴을 형성하여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섀도우 마스크를 제조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0526호 (2004.08.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이크로 단위의 초소형 마스크 패턴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제조용 섀도우 마스크를 단순하고 간소화된 방법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제조 효율성이 향상된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영역과 주변 영역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와; 증착 공정시 증착 물질을 선별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마스크 패턴과, 증착 공정시 증착 대상 기판과의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 마크를 구비하는 마스크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 패턴 및 상기 얼라인 마크가 상기 관통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마스크 시트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관통 영역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라인 마크는 비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라인 마크는 마스크 시트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마스크 시트 상에 형성된 키 홀 상에 충전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마스크 시트를 관통하는 키 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시트는 인바, 금속,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투광성 또는 비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이 비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얼라인 마크보다 큰 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단위의 초소형 마스크 패턴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제조용 섀도우 마스크를 단순하고 간소화된 방법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조 공정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에서 투광성 재질의 프레임을 사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조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조 공정도.
도 7는 도 6의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섀도우 마스크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조 공정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도 2의 (a)와 같이 관통 영역(11)과 주변 영역(12)을 구비하는 프레임(10)을 준비한다(S11). 프레임(10)은 마스크 시트(3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금속, 합성 수지, 유리, 실리콘, 석영(Quartz)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은 얼라인 장치의 광원에서 나온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비투광성 재질, 얼라인 장치의 광원에서 나온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성 재질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비투광성 재질의 프레임(10)을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1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 영역(11)이 구비되는데, 관통 영역(11)의 외주에 주변 영역(1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넛 형태의 평면을 갖는 프레임(10)이 예시되어 있으며, 프레임(10)의 형태는 그 밖에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관통 영역(11)은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프레임(10)을 기계 가공, 에칭(습식 또는 건식 식각), 레이저 가공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가공하여 형성 가능하며, 가공 방식은 프레임(10)의 재질에 따라 결정 가능하다. 아울러 몰딩을 통해 관통 영역(11)이 구비된 형태의 프레임(10)을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2의 (b)와 같이 마스크 패턴(21)과 얼라인 마크(22)를 구비하는 마스크 시트(20)를 준비한다.
마스크 패턴(21)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조를 위한 증착 공정시 증착 물질을 선별적으로 통과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를 통해 마스크 패턴(21)에 대응되는 패턴이 증착 대상 기판에 증착되게 된다. 마스크 시트(20)는 도전성 시트 상에 마스크로 사용될 물질을 마스크 패턴(21)에 대응되는 형태로 도금하여 제작될 수 있다. 마스크 시트(20)로 사용되는 물질은 투광성 물질, 비투광성 물질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마스크 시트(20)의 재질로서, 인바(invar), 금속(metal), 폴리머(polymer) 등을 들 수 있다.
얼라인 마크(22)는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조를 위한 증착 공정시 증착 대상 기판과 섀도우 마스크 사이의 얼라인을 위해 사용된다. 얼라인 마크(22)는 빛이 투과하지 않는 비투광성 재질로서 마스크 시트(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얼라인 마크(20)로서 알루미늄(Al) 재질을 사용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얼라인 마크(22)는 마스크 패턴(21)이 형성된 위치의 외곽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곽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얼라인 마크(22)는 마스크 시트(20)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얼라인 마크(22)가 마스크 시트(20)의 하면에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얼라인 마크(22)를 마스크 시트(20)의 상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얼라인 마크(22)를 마스크 시트(20)의 하면에 형성하는 경우, 마스크 시트(20)는 얼라인 마크(22)까지 빛이 도달할 수 있도록 투광성 재질이 사용되어야 한다.
얼라인 마크(22)는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통해 마스크 시트(2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밖에 증착 공정이나 인쇄 공정 등을 통해서도 형성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비투광성의 프레임(10)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경우 프레임(10)의 주변 영역(12)에는 얼라인 마크(22)보다 큰 크기의 관통홀(13)이 형성될 수 있다. 증착 공정에서 사용되는 얼라인 장치는 섀도우 마스크(40)를 향해 빛을 조사한 후 얼라인 마크(22)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얼라인 마크(22)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얼라인 마크(22)를 그 외곽 부분과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관통홀(13)을 형성한다. 관통홀(13) 또한 기계 가공, 에칭 가공, 레이저 가공, 몰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2의 (c)와 같이 마스크 시트(20)를 프레임에 부착한다(S13). 이 때 마스크 패턴(21)과 얼라인 마크(22)가 관통 영역(11)과 주변 영역(12)에 각각 위치하도록 마스크 시트(20)를 부착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주변 영역(12)에 관통홀(13)이 형성된 경우 얼라인 마크(22)가 관통홀(13)의 내부 위치에 위치하도록 마스크 시트(20)를 부착한다. 마스크 시트(20)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공정을 통해 프레임(10) 상에 부착될 수 있으며, 얼라인 마크(22)와 관통홀(13) 사이의 얼라인 공정을 거친 후 부착 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스크 프레임(10) 상에 마스크 시트(20)가 지지된 형태의 섀도우 마스크(40)가 완성되게 된다.
증착 공정시 섀도우 마스크(40)의 일측에 위치한 얼라인 장치의 발광부에서 나온 빛은 섀도우 마스크(40)의 얼라인 마크(22)에서 반사되어 수광부로 수광되며, 증착 대상 기판의 얼라인 마크에서 반사된 빛을 함께 이용하여 증착 대상 기판과 섀도우 마스크(40)의 얼라인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조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의 섀도우 마스크 제조 방법 또한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3의 (a)와 같이 관통 영역(11)과 주변 영역(12)을 구비하는 프레임(10)을 준비하고, (b) 및 (c)와 같이 마스크 패턴(21)과 얼라인 마크(22)를 구비하는 마스크 시트(20)를 준비하고, (d)와 같이 마스크 시트(20)를 프레임(10)에 부착하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앞선 실시예와 달리, 얼라인 마크(22)가 마스크 시트(20) 상에 형성된 키 홀(23) 상에 충전되는 형태를 갖는다. 도 3의 (b)와 같이 키 홀(23)은 마스크 시트(20)에 마스크 패턴(21)을 형성하는 공정(예를 들어, 도금 공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의 (c)와 같이 비투광성 물질을 키 홀(23) 내에 충전하여 얼라인 마크(2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프레임(10)의 재질로서 비투광성 재질이 사용되었으며, 이 경우 앞선 실시예와 같이 얼라인 마크(22)의 위치에 그보다 큰 크기의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프레임(10)의 재질로 투광성 재질(예를 들어, 실리콘, 석영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에서 투광성 재질의 프레임을 사용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르면, 프레임(10)에 관통홀(13)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조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의 섀도우 마스크 제조 방법 또한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도 5의 (a)와 같이 관통 영역(11)과 주변 영역(12)을 구비하는 프레임(10)을 준비하고, (b)와 같이 마스크 패턴(21)과 얼라인 마크(22)를 구비하는 마스크 시트(20)를 준비하고, (c)와 같이 마스크 시트(20)를 프레임(10)에 부착하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앞선 실시예와 달리, 얼라인 마크(22)가 마스크 시트(20)를 관통하는 키 홀의 형태를 갖는다. 키 홀 형태의 얼라인 마크(22)는 마스크 시트(20)에 마스크 패턴(21)을 형성하는 공정(예를 들어, 도금 공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비투광성 재질의 프레임(10)이 사용되었으며, 이 경우 프레임(10)에는 키 홀 형태의 얼라인 마크(22)보다 큰 크기의 관통홀(13)이 얼라인 마크(22)의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0)의 형상 또한 앞선 실시예와 달리 사각형 평면을 갖는 구조가 사용되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 영역(11)을 에칭액을 이용한 에칭 가공으로 형성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며, 관통홀(13) 또한 관통 영역(11)의 에칭 가공시 동시에 에칭 가공 가능하다. 다만, 관통 영역(11)의 에칭 공정과 관통홀(13)의 에칭 공정을 별도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관통 영역(11)의 가공 방식과 관통홀(13)의 가공 방식을 달리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의 경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은 키 홀 형태의 얼라인 마크(22)와 관통홀(13)을 통과하고, 키 홀 주변부에서는 반사되어 수광부에 수광됨으로써 섀도우 마스크와 증착 대상 기판의 얼라인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조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의 섀도우 마스크 제조 방법 또한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도 6의 (a)와 같이 관통 영역(11)과 주변 영역(12)을 구비하는 프레임(10)을 준비하고, (b)와 같이 마스크 패턴(21)과 얼라인 마크(22)를 구비하는 마스크 시트(20)를 준비하고, (c)와 같이 마스크 시트(20)를 프레임(10)에 부착하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얼라인 마크(22)가 마스크 시트(20)의 가장자리 상면에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형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얼라인 마크(22)가 마스크 시트(20)의 상면에 형성된 경우 마스크 시트(20)의 재료는 투광성 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사용된 프레임(10)의 앞선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비투광성 재질의 프레임(10)이 사용된 경우 투광성 재질의 마스크 시트(20)가 사용되어야 하며, 프레임(10)에는 얼라인 마크(22)의 식별을 위한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7는 도 6의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섀도우 마스크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웨이퍼, 즉, 하나의 프레임(10)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마스크 패턴(21)을 제작한 형태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총 9개의 마스크 패턴(21)이 더미 영역(25, dummy area)에 의해 서로 분할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더미 영역(25)은, 각 마스크 패턴(21) 사이를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마스크 패턴(21) 사이에 격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의 외주를 따라 얼라인 마크(22)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개소에 서로 90도 간격으로 얼라인 마크(22)가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마스크 패턴(21)의 개수, 크기, 얼라인 마크(22)의 개수 및 형성 위치 등은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크 시트(20) 하면의 더미 영역(25)에도 마스크 프레임(15)을 형성하여 마스크 시트(3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관통 영역(11)을 만들기 위한 에칭 공정시 해당 부분을 남기고 에칭함으로써 제작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프레임 11: 관통 영역
12: 주변 영역 13: 관통홀
20: 마스크 시트 21: 마스크 패턴
22: 얼라인 마크 25: 더미 영역
40: 섀도우 마스크

Claims (9)

  1. 관통 영역과 주변 영역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증착 공정시 증착 물질을 선별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마스크 패턴과, 증착 공정시 증착 대상 기판과의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 마크를 구비하는 마스크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 패턴 및 상기 얼라인 마크가 상기 관통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마스크 시트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관통 영역의 외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비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마스크 시트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마스크 시트 상에 형성된 키 홀 상에 충전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마스크 시트를 관통하는 키 홀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시트는 인바, 금속,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투광성 또는 비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비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얼라인 마크보다 큰 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1020210095100A 2021-07-20 2021-07-20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20230013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100A KR20230013969A (ko) 2021-07-20 2021-07-20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100A KR20230013969A (ko) 2021-07-20 2021-07-20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969A true KR20230013969A (ko) 2023-01-27

Family

ID=8510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100A KR20230013969A (ko) 2021-07-20 2021-07-20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39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526A (ko) 2003-02-04 2004-08-11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웨이퍼를 이용한 새도우 마스크, 그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풀칼라 유기el 소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526A (ko) 2003-02-04 2004-08-11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웨이퍼를 이용한 새도우 마스크, 그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풀칼라 유기el 소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7764B2 (en) Mask for deposition and method for aligning the same
KR102237750B1 (ko) 증착 마스크, 증착 마스크 세트, 증착 시스템 및 위치 정렬 테스트 방법
US8646405B2 (en) Deposition mask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TWI656635B (zh) 用於沉積有機發光二極體顯示面板的掩膜
US20190280152A1 (en) Transfer template,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0034730A (ko) 유기 el 소자의 마스크용 프레임
JP2007173107A (ja) マスク、マスク固定装置、及びマスクを使用して製造する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CN109449314A (zh) 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
CN114086220B (zh) 金属遮罩的制作方法及电铸母板
KR20230013969A (ko)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20070014037A (ko) 마스크, 유기 el 소자의 제조방법 및 유기 el 프린터
JPWO2019171432A1 (ja) 蒸着マスク、その製造方法及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8149023A1 (zh) 发光器件及显示装置
KR20230013968A (ko)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JP2001295027A (ja) 蒸着源、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07689427A (zh) Oled器件及其制作方法
KR101593682B1 (ko) 증착두께 측정장치
CN109652759B (zh) 一种金属掩膜板的制作方法和金属掩膜板
JP2008108596A (ja) マスク蒸着法、およびマスク蒸着装置
TWI737795B (zh) 高精準度蔽蔭遮罩沉積系統及其方法
KR20230013970A (ko)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20190114077A (ko) 쉐도우 마스크 자가 정렬 시스템 및 방법
KR100670375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박막 증착 방법 및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230013967A (ko) 섀도우 마스크 제조용 지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섀도우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20210067887A (ko) 증착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