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756A -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756A
KR20230013756A KR1020210094579A KR20210094579A KR20230013756A KR 20230013756 A KR20230013756 A KR 20230013756A KR 1020210094579 A KR1020210094579 A KR 1020210094579A KR 20210094579 A KR20210094579 A KR 20210094579A KR 20230013756 A KR20230013756 A KR 20230013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value
engine
ship
battery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문호
강지윤
정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4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3756A/ko
Publication of KR2023001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1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fossil origin, e.g. diesel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을 제공한다.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은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엔진의 가동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상기 엔진이 목표부하값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엔진제어관리부; 및 상기 엔진의 상태에 관한 엔진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에너지관리부 포함하되,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엔진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의 부하값이 저효율구간에 또는 효율구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부하값이 상기 저효율구간에 속하는 저효율부하값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을 통해, 상기 저효율부하값을 상기 효율구간에 속하는 효율부하값으로 제어하여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Battery operating system for the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 엔진(Diesel, Gas 엔진 등)은 약 60~85% 범위 구간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운전되며, 이러한 범위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는 저효율로 작동할 수 있다. 엔진 효율을 높이기 위한 운용최적화를 하고 있지만, 엔진 단독 운전의 경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힘든 리스크가 있어 단독으로 효율 구간운전이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효율 구간운전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발전기와 배터리 등을 직접 설정해줘야 한다. 아울러, 선박의 배터리 설정은 전력시스템의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배터리를 탑재시키는 경우 충전을 통한 배터리 일정한 수준 유지는 후순위로 밀려나게 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725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효율 구간에서 효율적인 배터리 활용을 통해 엔진의 부하가 효율구간으로 속하도록 제어하여 연비를 높일 수 있는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엔진 연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부하의 low load 구간에서는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며, 부하의 high load 구간에서는 배터리 방전을 통해 엔진의 부하를 보조하여 엔진의 운전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엔진의 상태 정보는 직접적으로 획득하는 방식과 함께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통해 정보를 받는 방식을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는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은,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엔진의 가동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상기 엔진이 목표부하값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엔진제어관리부; 및 상기 엔진의 상태에 관한 엔진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에너지관리부 포함하되,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엔진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의 부하값이 저효율구간에 또는 효율구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부하값이 상기 저효율구간에 속하는 저효율부하값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을 통해, 상기 저효율부하값을 상기 효율구간에 속하는 효율부하값으로 제어하여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저효율부하값이 상기 효율부하값 보다 낮은 로우부하값에 속하면, 상기 로우부하값이 상기 효율부하값에 속하도록 상기 로우부하값에 부하값상승분을 반영하여, 상기 배터리가 상기 부하값상승분에 기반하는 전력으로 충전되도록 하며, 상기 저효율부하값이 상기 효율부하값 보다 높은 하이부하값에 속하면, 상기 하이부하값이 상기 효율부하값에 속하도록 상기 하이부하값에 부하값저감분을 반영하여, 상기 배터리가 상기 부하값저감분에 상응하는 전력으로 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제어관리부로부터 수신된 엔진연료공급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엔진에 구비되는 레벨센서와, 상기 엔진제어관리부와, 상기 연료공급관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서 수신된 연료공급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엔진을 모니터링하여 RPM(revolution per minute)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부하값과, 상기 연료공급량정보와, 상기 RPM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 상기 발전기, 상기 선박의 선내부하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선박의 전력상태정보와, 상기 선내부하의 동작상태정보와, 상기 발전기의 발전기상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니터링정보를 획득하는 합제어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수신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보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배터리가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엔진상태정보와, 기존 상기 엔진의 상태에 관하여 프로파일링된 프로파일링정보와의 대비 판단을 기반으로, 상기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이 위치되는 선박위치정보, 상기 선박의 운항에 관한 운항시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선박운항정보를 생성하는 선박운항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선박운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시퀸스로직(Sequence logic)방식, 수동제어방식, 데이터패턴분석방식, 인공지능제어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의 방식으로 상기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연료를 사용하는 선박 엔진의 느린 반응 속도를 배터리 활용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동작을 엔진의 동작과 연계시켜서 효율적으로 선박의 전력량을 달성할 수 있는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전기 부하가 목표값에 도착했더라도 엔진 부하를 조금 더 큰 상태로 유지한 채, 배터리는 충전 되도록하여 배터리의 안정적인 용량을 유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제어를 전력관리시스템에 의해서만 종속적으로 제어하지 능동적인 관리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 엔진의 느린 부하를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이 탑재되는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의 엔진의 효율구간과 저효율구간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아울러, 도면의 구성은 편의상 일부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 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1)이 탑재되는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1)이 탑재되는 선박은 가스연료(LNG, 메탄올, 암모니아 등)엔진과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선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1)은 저장탱크(120), 배터리(130), 발전기(140), 엔진(145), 엔진제어관리부(150), 선내부하, 통합제어관리부(160), 연료공급관리부(170), 에너지관리부(180) 및 선박운항관리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120)는 연료가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 탱크(20)에는 가스엔진의 연료 또는 디젤엔진의 연료가 저장될 수 있다. 가스엔진의 연료일 경우 연료는 LNG(Liquefied Natural Gas), LPG(Liquefied Petroleum Gas), DME(Dimethyl ether) 및 에탄(Ethane), 암모니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배터리(130)는 전력망(110)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각각의 수요처로 배터리(130)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엔진제어관리부(150)는 엔진(145)이 목표부하값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관리부(180)는, 엔진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엔진(145)의 부하값이 저효율구간에 또는 효율구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엔진제어관리부(150)는 부하값이 저효율구간에 속하는 저효율부하값이면, 배터리(130)의 충전과 방전을 통해, 저효율부하값을 효율구간에 속하는 효율부하값으로 제어하여 보정할 수 있다.
에너지관리부(180)는, 저효율부하값이 효율부하값 보다 낮은 로우부하값에 속하면, 로우부하값이 효율부하값에 속하도록 로우부하값에 부하값상승분을 반영할 수 있다.
로우부하값에 부하값상승분을 반영에 기반하여 배터리(130)가 부하값상승분에 기반하는 전력으로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에너지관리부(180)는 저효율부하값이 효율부하값 보다 높은 하이부하값에 속하면, 하이부하값이 효율부하값에 속하도록 하이부하값에 부하값저감분을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부하값에 부하값저감분을 반영에 기반하여 배터리(130)가 부하값저감분에 상응하는 전력으로 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저효율 구간에서의 배터리를 활용을 통해 연비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료공급관리부(170)는 엔진제어관리부(150)로부터 수신된 엔진연료공급신호를 기반으로, 엔진(145)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에너지관리부(180)는, 엔진(145)에 구비되는 레벨센서(미도시)와, 엔진제어관리부(150)와, 연료공급관리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서 수신된 연료공급량정보를 기반으로 엔진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에너지관리부(180)는, 엔진(145)을 모니터링하여 RPM(revolution per minute])정보를 획득하며, 부하값과, 연료공급량정보와, RPM정보를 기반으로 엔진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합제어관리부(160)는 엔진(145), 발전기(140), 선박의 선내부하(30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제어관리부(160)는 선박(S)의 전력상태정보와, 선내부하(300)의 동작상태정보와, 발전기(140)의 발전기상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니터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에너지관리부(180)는, 수신된 모니터링정보를 기반으로 보정을 수행하도록, 배터리(130)가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관리부(180)는, 엔진상태정보와, 기존 엔진(145)의 상태에 관하여 프로파일링된 프로파일링정보와의 대비 판단을 기반으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관리부(130)는 패턴분석과 인공지능은 다양한 알고리즘을 사용 가능 하며 이전의 데이터를 통한 사전 학습을 통해서 효율구간과 저효율구간 상의 배터리 운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관리부(130) 또는 통합제어관리부(160)는 엔진(145)의 상태값(명령값, 피드백), 선박종류에 따른 항차별 전력프로파일, 선박 위치, 운항 경과 시간, 장비들의 동작상태(모터, 펌프, 검프레셔, 익스팬서 등), 발전기 등의 회전기기, Switchboards 연결 상태, 연료 탱크 상태(압력, Level, 온도), 화물 상태(온도, 압력, 수량) 등을 이용하여 효율구간과 저효율구간 상의 배터리 운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너지관리부(130) 또는 통합제어관리부(160)는 항차 별 전력 profile을 분석하여 대표 패턴을 생성하고 현재 운항 선박의 운항과 비교하여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선박의 위치와 운항 경과 시간을 바탕으로 선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장비들의 동작 상태를 바탕으로 선박 상태 판단할 수 있다.
선박운항관리부(190)는 선박(S)이 위치되는 선박위치정보, 선박(S)의 운항에 관한 운항시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선박운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관리부(180)는 선박운항정보를 기반으로 엔진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관리부(180)는 시퀸스로직(Sequence logic)방식, 수동제어방식, 데이터패턴분석방식, 인공지능제어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의 방식으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듯 엔진정보는 직접적으로 획득되는 방식과, 기 구비되는 연관된 구성요소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이 이용가능하며, 이러한 엔진정보의 획득방식은 택일적, 또는 복합적인 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종합적인 정보의 획득과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1)을 부연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1)은 전력망(110), 컨버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망(110)은 선체에 구비되고, 선내에 구비된 각종 전력 설비에 연결되어 전력 설비간 전력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130)는 전력망(110)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130)는 예컨데, 직류 전력을 충전하거나 방전할 수 있다. 컨버터(135)는 전력망(110)으로부터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터리(130)로 전달하거나, 배터리(130)로부터 수신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망(1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130) 및 컨버터(135)는 에너지 저장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배터리(130)는 전력을 충전하거나 방전하고, 컨버터(135)는 배터리(130)의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전력망(110)은 교류 전력망일 수 있다. 이에, 발전기(140)에서 생산된 전력은 직접적으로 전력망(110)으로 공급되고, 전력망(110)의 교류 전력은 A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와 같은 전력 변환기(210)에 의해 변환되어 전력 설비로 분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력망(110)은 교류 전력망에 한정되지 않고 직류 전력망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력 변환기(210)가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130)는 직류 전력을 충전하거나 방전할 수 있다. 컨버터(135)는 전력망(110)으로부터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터리(130)로 전달하거나, 배터리(130)로부터 수신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망(11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선내 부하(300)는 전력망(100)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내 부하(300)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기, 크레인, 화물 탱크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 증발 가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또는 압축된 증발 가스를 액화시키는 재액화기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1)의 엔진의 효율구간과 저효율구간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박의 엔진부하와 연료소비량과의 관계에 있어 E1 구간을 효율구간으로 볼 수 있다고 가정할 때, 이러한 E2 구간은 E1 구간 보다 엔진의 부하값이 낮은 로우부하값(Low load)의 저효율구간이다.
E3 구간은 E1 구간 보다 엔진의 부하값이 높은 하이부하값(High load)의 저효율 구간이다. 에너지관리부(180)는 이러한 저효율 구간에 속하는 E2 구간과 E3 구간의 부하값을 제어하여 효율구간인 E1 구간에 속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효율부하값이 효율부하값 보다 낮은 로우부하값에 속하면, 로우부하값이 효율부하값에 속하도록 로우부하값에 부하값상승분을 반영하여, 배터리(130)가 부하값상승분에 기반하는 전력으로 충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저효율부하값이 효율부하값 보다 높은 하이부하값에 속하면, 하이부하값이 효율부하값에 속하도록 하이부하값에 부하값저감분을 반영하여, 배터리(130)가 부하값저감분에 상응하는 전력으로 방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을 공유하되, 기술적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전기(140)는 축발전기(141)이며, 엔진(145)은 주기관엔진(145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발전기(140)와 이러한 발전기(140)의 엔진(145)에 대응하여, 축발전기(140)와 주기관엔진(145)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주기관엔진(145)은 발전을 위한 엔진이 아닌 선박의 추진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선박의 추진을 위한 주기관엔진(1451)와, 축발전기(141)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발전기(140)와 엔진(145)에 대응하도록 동작하며, 전반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되고 모니터링 될 수 있다. 따라서, 주기관엔진(1451)과 축발전기(141)의 저효율 구간에 운전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배터리 방전을 통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전력망 120: 저장탱크
130: 배터리 140: 발전기
141: 축발전기 1451: 주기관엔진
145: 엔진 150: 엔진제어관리부
160: 통합제어관리부 170: 연료공급관리부
180: 에너지관리부 210: 변환기
310: 스러스터

Claims (8)

  1.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엔진의 가동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상기 엔진이 목표부하값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엔진제어관리부; 및
    상기 엔진의 상태에 관한 엔진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에너지관리부 포함하되,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엔진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의 부하값이 저효율구간에 또는 효율구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부하값이 상기 저효율구간에 속하는 저효율부하값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을 통해, 상기 저효율부하값을 상기 효율구간에 속하는 효율부하값으로 제어하여 보정하는,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부하값이 상기 효율부하값 보다 낮은 로우부하값에 속하면,
    상기 로우부하값이 상기 효율부하값에 속하도록 상기 로우부하값에 부하값상승분을 반영하여, 상기 배터리가 상기 부하값상승분에 기반하는 전력으로 충전되도록 하며,
    상기 부하값이 상기 효율부하값 보다 높은 하이부하값에 속하면,
    상기 하이부하값이 상기 효율부하값에 속하도록 상기 하이부하값에 부하값저감분을 반영하여, 상기 배터리가 상기 부하값저감분에 상응하는 전력으로 방전되도록 하는,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관리부로부터 수신된 엔진연료공급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엔진에 구비되는 레벨센서와, 상기 엔진제어관리부와, 상기 연료공급관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서 수신된 연료공급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엔진을 모니터링하여 RPM(revolution per minute])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부하값과, 상기 연료공급량정보와, 상기 RPM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상기 발전기, 상기 선박의 선내부하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선박의 전력상태정보와, 상기 선내부하의 동작상태정보와, 상기 발전기의 발전기상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니터링정보를 획득하는 통합제어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수신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보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배터리가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하는,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엔진상태정보와, 기존 상기 엔진의 상태에 관하여 프로파일링된 프로파일링정보와의 대비 판단을 기반으로, 상기 보정을 수행하는,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이 위치되는 선박위치정보, 상기 선박의 운항에 관한 운항시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선박운항정보를 생성하는 선박운항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상기 선박운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관리부는 시퀸스로직(Sequence logic)방식, 수동제어방식, 데이터패턴분석방식, 인공지능제어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의 방식으로 상기 보정을 수행하는,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KR1020210094579A 2021-07-20 2021-07-20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KR20230013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579A KR20230013756A (ko) 2021-07-20 2021-07-20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579A KR20230013756A (ko) 2021-07-20 2021-07-20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756A true KR20230013756A (ko) 2023-01-27

Family

ID=8510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579A KR20230013756A (ko) 2021-07-20 2021-07-20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37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258A (ko) 2014-03-13 2015-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에너지 하베스팅을 적용한 선박의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258A (ko) 2014-03-13 2015-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에너지 하베스팅을 적용한 선박의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6928B (zh) 船舶及其电力运用方法
KR102461193B1 (ko) 선박 및 그 전력 운용 방법
KR101645703B1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선박
KR101680323B1 (ko) 선박, ess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11459B1 (ko) 선박 및 그 전력 운용 방법
KR20230013756A (ko)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KR101711467B1 (ko) 발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24224B1 (ko) 선박
KR102629109B1 (ko) 선박 및 상기 선박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160133707A (ko) 선박 및 그 전력 운용 방법
KR102351597B1 (ko) 부가 시스템 전원 공급을 위한 격리 샤프트 제너레이터 운용 방법
KR101680321B1 (ko) Ess 제어 장치
KR20220055785A (ko) 선박의 최적운항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20151309A (ko) 선박의 배터리 운용시스템
KR20220047038A (ko) 선박
KR20220055172A (ko) 선박
KR20210044015A (ko) 하이브리드 선박의 전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2426557B1 (ko) 축발전기를 포함하는 선박의 부하 분배 방법
KR20220055607A (ko) 선박
KR20210029467A (ko) 선박
KR101681044B1 (ko) 선박
KR20220055592A (ko) 선박
KR20220055595A (ko) 선박
KR20220047033A (ko) 선박
KR20220055596A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