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857A -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857A
KR20230012857A KR1020210093634A KR20210093634A KR20230012857A KR 20230012857 A KR20230012857 A KR 20230012857A KR 1020210093634 A KR1020210093634 A KR 1020210093634A KR 20210093634 A KR20210093634 A KR 20210093634A KR 20230012857 A KR20230012857 A KR 20230012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tate
active noise
vehicle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알이
Priority to KR1020210093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2857A/ko
Publication of KR2023001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5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 G10K11/17853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of the filt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5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 G10K11/17853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of the filter
    • G10K11/17854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of the filter the filter being an adaptive filt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7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9Vibration, e.g. instead of, or in addition to, acoustic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3Estimation of noise, e.g. on error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8Filtering, e.g. Kalman filters or special analogue or digital fil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35Models, e.g. of the acoustic system
    • G10K2210/30351Identification of the environment for applying appropriate mode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소음 상태에 영향을 주는 차량 상태 정보로부터 차량 소음 상태를 분류하고, 각 소음 상태에 따른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소음 상태별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를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차량 상태 정보로부터 가장 적합한 현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소음 상태에 대한 2차경로, 튜닝 파라미터 및 능동소음제어 필터 선택을 통해 능동소음제어 알고리즘으로 변경함으로써, 최적의 능동소음제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noise cancelling based on multiple state decision}
본 발명은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소음 상태에 영향을 주는 차량 상태 정보로부터 차량 소음 상태를 분류하고, 각 소음 상태에 따른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량에서의 능동소음제어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시스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정음영역(quiet zone)이 사람의 귀가 위치한 영역으로서 이 영역에 들리는 소음을, 제어음, 즉, 역위상 소음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능동적으로 상쇄시키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그러나 차속, 온도, 습도, 노면 등 차량 소음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변화될 때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제어음과 정음 영역신호간 시스템)가 변경될 수 있고, 가상 마이크(virtual microphone) 기법을 사용할 경우 e(n) 신호를 추정하는 데 필요한 스피커와 마이크들 간의 전파경로 시스템의 특성도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태 변화시 소음제어의 성능이 떨어지거나 불안정해지는 문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9-0139618 A
Active noise control at a moving virtual microphone using the SOTDF moving virtual sensing method (Proceedings of ACOUSTICS 2009, 23-25 November 2009, Adelaide, Australia)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 소음 상태별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를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차량 상태 정보로부터 가장 적합한 현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2차경로, 튜닝 파라미터 및 능동소음제어 필터 선택을 통해 능동소음제어 알고리즘으로 변경함으로써, 최적의 능동소음제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는, 차량 상태 정보에 따라 가장 적합한 현재의 차량 소음 상태를 결정하는 상태 판단부;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 전달함수 및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ancelling) 필터를 포함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태 판단부가 결정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택부; 상기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 및 소음감지용 마이크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결정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정음영역의 마이크 에러신호를 추정하는 에러신호 추정부; 및, 상기 에러신호 추정부에서 추정된 마이크 에러신호 및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입력으로하여, 소음제거된 신호를 능동소음제어 필터에 의해 출력하는 능동소음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능동소음제어부는, 상기 능동소음제어 필터를 업데이트하는 능동소음제어 필터 업데이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차량 소음 상태별로, 소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가 더 저장되고,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택부가 선택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에는, 상기 튜닝 파라미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는, 소음을 감지하기 위한 소음감지용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는, 상기 능동소음제어부로 입력되는 레퍼런스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레퍼런스 감지용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소음 상태별 2차경로 전달함수를 측정하여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정부는, 각 차량 소음 상태별로, 소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를 선정하여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는, 상기 능동소음제어부로부터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a) 차량 상태 정보에 따라 가장 적합한 현재의 차량 소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판단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 전달함수 및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ancelling) 필터를 포함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 및 소음감지용 마이크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판단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정음영역의 마이크 에러신호를 추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추정된 마이크 에러신호 및 상기 단계(b)에서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소음제거된 신호를 능동소음제거 필터에 의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c)와 단계(d) 사이에, (c1) 상기 능동소음제거 필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b)에서 선택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에는, 각 차량 소음 상태별로, 소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계(d)의 입력에는, 레퍼런스 입력 신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계(a) 이전에, (a01) 상기 차량 소음 상태별 2차경로 전달함수를 측정하여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a) 이전에, (a02) 각 차량 소음 상태별로, 소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를 선정하여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하여, (a) 차량 상태 정보에 따라 가장 적합한 현재의 차량 소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판단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 전달함수 및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ancelling) 필터를 포함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 및 소음감지용 마이크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결정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정음영역의 마이크 에러신호를 추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추정된 마이크 에러신호 및 상기 단계(b)에서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소음제거된 신호를 능동소음제거 필터에 의해 출력하는 단계가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소음 상태별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를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차량 상태 정보로부터 가장 적합한 현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2차경로, 튜닝 파라미터 및 능동소음제어 필터 선택을 통해 능동소음제어 알고리즘으로 변경함으로써, 최적의 능동소음제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에서의 능동소음제어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기존의 피드포워드 능동소음제어 시스템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능동소음제어 필터에서의 이음 방지 보간 연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기존의 피드포워드(feedforward) 능동소음제어 시스템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블록도에서 각 신호와 필터의 의미는 다음와 같다.
x(n) : reference 입력 신호(가속도계/마이크 센서의 신호에 해당)
fx(n) : filtered-x 신호 (x 신호를 C(z)로 필터링한 신호)
y(n) : 제어 출력 신호 (스피커로 출력되는 신호)
d(n) : 원소음 신호 (ref 신호와 관련된 소음신호)
e(n) : 제어지점에 설치된 마이크의 제어 후 소음신호
Plant(z) : Primary Path (x로부터 d까지의 전달 시스템)
S(z) : Secondary Path (y로부터 e까지의 전달 시스템)
C(z) :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S(z)의 모델
W(z) : 피드포워드 제어기의 Main Filter
입력 : 가속도 신호 xr(n), 마이크 신호 em(n)
출력: 제어출력 신호 yk(n)
Filtered-x Signal :
Figure pat00001
Weight update :
Figure pat00002
Control output :
Figure pat00003
도 2에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피드포워드 능동소음제어 블럭(200)은,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100)에서도 능동소음제어부(110)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능동소음제어 필터에서의 이음 방지 보간 연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도 1과 같은 차량 내 설치되는 능동소음제어 시스템에서는, 차속, 온도, 습도, 노면 등 차량 소음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변화될 때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제어음과 정음 영역신호간 시스템)가 변경될 수 있고, 가상 마이크(virtual microphone) 기법을 사용할 경우 e(n) 신호를 추정하는 데 필요한 스피커와 마이크들 간의 전파경로 시스템의 특성도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태 변화시 소음제어의 성능이 떨어지거나 불안정해지는 문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량 소음 상태에 영향을 주는 차량 상태 정보로부터 차량 소음 상태를 분류하고, 각 소음 상태에 따른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한다.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100)는 상기 차량 소음 상태별 2차경로 전달함수를 측정하여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정부(101)와,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 전달함수 및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ancelling) 필터를 포함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를 포함한다.
차량 소음 상태에 영향을 주는 차량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차속, 온도, 습도, 엔진 RPM, 기어비, 타이어 공기압, 노면정보, 브레이크 페달 압력, 창문열림 정도, 탑승자 좌석 정보 등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상태 정보로부터 차량 소음 상태를 분류한다.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정부(101)는, 분류된 차량 소음 상태별로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 전달함수를 측정하여,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하고, 또한 각 소음 상태별 소음저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의 튜닝 파라미터도 함께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온도 0도, 20도, 40도 상황을 고려하면, 이러한 3가지 온도 상태에 대해 각각 2차경로 전달함수와 튜닝 파라미터를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103)는 전술한 차량 상태 정보에 따라 가장 적합한 현재의 차량 소음 상태를 결정한다. 즉, 차량의 각 센서 등이 감지한 차량 상태 정보로부터, 가장 적합한 현 차량 소음 상태를 결정하되,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에 이미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는 차량 소음 상태 중 하나로 결정한다.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택부(104)는, 이와 같이 결정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2차경로 전달함수, 능동소음제어 필터 및, 튜닝 파라미터 등의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에서 선택하고, 이를 능동소음제어부(106)에 전달하여 능동소음제어 알고리즘을 변경한다.
일 실시예로서, 온도에 다라 음속이 다르므로 온도에 따른 2차경로 전달함수 모델과 튜닝 파라미터를 구성하여 넓은 온도구간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능동소음제어 알고리즘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친환경차에서 저속(30km/h 이하)의 경우 가상엔진음인 VESS 음을 발생하는데, 이때 레퍼런스 신호로 VESS 음을 추가로 입력하여 능동소음제어기가 차량에 유입되는 VESS 소음을 저감하도록 구동할 수도 있다.
한편, 결정된 소음 상태에 대한 2차경로 전달함수, 튜닝 파라미터를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로부터 불러와 이를 능동소음제어 알고리즘에 사용하는 방법에서, 상태정보를 세분화하기 위해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의 2차경로 전달함수 및 튜닝 파라미터를 가져와 보간(interpolation)하여 새로이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온도 0도, 10도 두 상태의 정보가 DB에 있을 경우 5도인 경우 0도, 10에 대한 DB 값의 1/2보간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간값은, 산술적 보간의 의미 뿐 아니라 시스템 모델의 경우 주파수 영역에서의 위상(phase), 이득(gain)의 보간 의미로도 확장할 수 있다.
에러신호 추정부(105)는, 이와 같이 선택한 2차경로 전달함수 C(z) 및, P(z), G(z)과 소음감지용 마이크(109) 신호로부터, 선택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정음영역의 마이크 에러신호 e(n)을 추정하고, 마이크 에러신호 e(n)은 능동소음제어부(106)로 입력되어, 능동소음제어부(106)에서 소음 제거된 신호 y(n)이 제어 스피커(108)를 통하여 출력되게 된다.
이때 능동소음제어부(106)의 능동소음제어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마이크 에러신호 e(n)은 정음영역의 소음감지용 마이크(110) 신호이어야 하나, 귀 주변에 마이크(110)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귀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설치된 소음감지용 마이크(109)를 사용하여 정음영역의 마이크(110) 신호를 추정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에러 신호 추정부(105)가 그러한 정음영역의 마이크 에러 신호 추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마이크 에러 신호를 추정하는 가상 마이크로폰(virtual microphon) 기법은 이미 공지된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능동소음제어부(106)로는 또한 추정된 마이크 에러신호 e(n) 외에 레퍼런스 감지용 센서(107)의 출력인 레퍼런스 입력 신호 x(n)이 입력되고, x(n)은 능동소음제어부(106) 내부에서, 2차경로 전달함수 C(z)에 의해 filtered-x 신호가 되어 능동소음제어 필터(W, 106.1)의 소음제어 알고리즘에 사용된다.
또한 능동소음제어부(106)는, 능동소음제어 필터(106.1)를 업데이트하는 능동소음제어 필터 업데이트부(106.2)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은 추정된 정음영역 마이크 에러신호, 레퍼런스 입력신호,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에서 선택된 차량 소음 상태별 2차경로 전달함수, 튜닝 파라미터 및 능동소음제어 필터(W)를 이용하여 능동소음제어 필터(106.1)를 업데이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차량 소음 상태별 능동소음제어 필터(W)를 독립적으로 관리한다. 즉, 차량 소음 상태 1에서 차량 소음 상태 2로 변경되면 차량 소음 상태 1에 대한 능동소음제어 필터 W1을 사용하다가 W1은 보관하고, 기 저장되었던 차량 소음 상태 2에 대한 능동소음제어 필터 W2를 불러와 사용하는 것이다. 즉, 이 경우 W1 및 W2는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에 각각 차량 소음 상태별 데이터 중 하나인 능동소음제어 필터로서 저장되어 있고, 차량 소음 상태의 변화에 따라 어느 하나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소음 상태의 변화에 따라 능동소음제어 필터 W를 변경할 경우, 변경 순간에 이상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른 2개의 차량 소음 상태의 능동소음제어 필터 출력 간 보간법(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이음 발생을 막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능동소음제어 필터 W1에서 능동소음제어 필터 W2로 변경될 경우 일정 시간 동안 a값을 0에서 부터 1로 증가시킴으로써 출력에서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이상 소음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이미 도 3을 참조하여,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100)를 통해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그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단계별로 간단히 정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 상태 정보로부터 차량의 소음 상태를 분류한다(S501). 차량 상태 정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속, 온도, 습도, 엔진 RPM, 기어비, 타이어 공기압, 노면정보, 브레이크 페달 압력, 창문열림 정도, 탑승자 좌석 정보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정보가 더 있을 수 있다.
차량 소음 상태별 2차경로 전달함수를 측정하여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하며, 이 외에도 차량 소음 상태별 튜닝 파라미터, 차량 소음 상태별 능동소음제어 필터(W)를 저장할 수 있다(S502).
이와 같이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를 구축한 이후, 차량의 각종 센서 등에 의하여 수집된 다양한 차량 상태 정보에 따라, 가장 적합한 현재의 차량 소음 상태를 결정한다(S503). 이렇게 결정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 전달함수 및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ancelling) 필터를 포함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데(S504), 이렇게 선택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에는 전술한 튜닝 파라미터도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 및 소음감지용 마이크(109)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결정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정음영역에서의 마이크 에러신호를 추정한다(S505).
이와 같이 추정된 정음영역 마이크 에러신호와 레퍼런스 입력신호, 그리고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102)에서 선택된, 소음상태별 2차경로 전달함수, 튜닝 파라미터 및 능동소음제어 필터를 이용하여, 능동소음제거 필터를 업데이트한다(S506). 업데이트된 능동소음제어 필터(106.1)에서는 소음제거 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507).
100: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
101: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정부
102: 소음상태별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103: 상태 판단부
104: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택부
105: 에러신호 추정부
106. 능동소음제어부
106.1: 능동소음제어 필터
106.2: 능동소음제어 필터 업데이트부
107: 레퍼런스 감지용 센서
108: 제어 스피커
109: 소음감지용 마이크
110: 정음영역 소음감지용 마이크

Claims (16)

  1.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로서,
    차량 상태 정보에 따라 가장 적합한 현재의 차량 소음 상태를 결정하는 상태 판단부;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 전달함수 및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ancelling) 필터를 포함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태 판단부가 결정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택부;
    상기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 및 소음감지용 마이크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결정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정음영역의 마이크 에러신호를 추정하는 에러신호 추정부; 및,
    상기 에러신호 추정부에서 추정된 마이크 에러신호 및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입력으로하여, 소음제거된 신호를 능동소음제어 필터에 의해 출력하는 능동소음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능동소음제어부는,
    상기 능동소음제어 필터를 업데이트하는 능동소음제어 필터 업데이트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능동소음제어 필터 업데이트부에서, 차량 소음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능동소음제어 필터를 교체하여 업데이트하는 경우,
    능동소음제어 필터 교체시의 이상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경 전 능동소음제어 필터 출력과 변경 후 능동소음제어 필터 출력 간에 보간법(interpolation)을 적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차량 소음 상태별로, 소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가 더 저장되고,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택부가 선택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에는,
    상기 튜닝 파라미터가 더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음을 감지하기 위한 소음감지용 마이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능동소음제어부로 입력되는 레퍼런스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레퍼런스 감지용 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소음 상태별 2차경로 전달함수를 측정하여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 선정부는,
    각 차량 소음 상태별로, 소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를 선정하여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능동소음제어부로부터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장치.
  10.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차량 상태 정보에 따라 가장 적합한 현재의 차량 소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판단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 전달함수 및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ancelling) 필터를 포함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 및 소음감지용 마이크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결정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정음영역의 마이크 에러신호를 추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추정된 마이크 에러신호 및 상기 단계(b)에서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소음제거된 신호를 능동소음제거 필터에 의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계(c)와 단계(d) 사이에,
    (c1) 상기 능동소음제거 필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선택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에는,
    각 차량 소음 상태별로, 소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가 더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계(d)의 입력에는,
    레퍼런스 입력 신호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에,
    (a01) 상기 차량 소음 상태별 2차경로 전달함수를 측정하여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에,
    (a02) 각 차량 소음 상태별로, 소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를 선정하여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16.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하여,
    (a) 차량 상태 정보에 따라 가장 적합한 현재의 차량 소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판단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2차경로(Secondary path, S/path) 전달함수 및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ancelling) 필터를 포함하는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상기 소음상태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 및 소음감지용 마이크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결정된 차량 소음 상태에 대한 정음영역의 마이크 에러신호를 추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추정된 마이크 에러신호 및 상기 단계(b)에서 선택된 소음상태별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소음제거된 신호를 능동소음제거 필터에 의해 출력하는 단계
    가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93634A 2021-07-16 2021-07-16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30012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634A KR20230012857A (ko) 2021-07-16 2021-07-16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634A KR20230012857A (ko) 2021-07-16 2021-07-16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857A true KR20230012857A (ko) 2023-01-26

Family

ID=8511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634A KR20230012857A (ko) 2021-07-16 2021-07-16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28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618A (ko) 2018-06-08 2019-1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능동 소음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618A (ko) 2018-06-08 2019-1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능동 소음 제어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tive noise control at a moving virtual microphone using the SOTDF moving virtual sensing method (Proceedings of ACOUSTICS 2009, 23-25 November 2009, Adelaide, Australi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6540B2 (en) Active noise reduction device and active noise reduction method
US9646596B2 (en) Active noise reduction device, instrument using same, and active noise reduction method
US80686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noise cancellation
US79334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active noise cancellation
JPH05265468A (ja) 能動型騒音制御装置
WO2008029336A1 (en) Active noise redu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virtual microphone
JP2006213297A (ja) 能動騒音振動制御装置及び能動騒音振動制御方法
JP4765410B2 (ja) 能動振動騒音制御装置
JPH07248784A (ja) 能動型騒音制御装置
KR20230012857A (ko) 다중 상태 판단에 기초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및 장치
JP2940248B2 (ja) 能動型不快波制御装置
US107068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abling adaptation in an adaptive feedforward control system
JP6967714B2 (ja) 能動騒音低減装置、車両、及び、能動騒音低減方法
JP3328946B2 (ja) 能動型不快波制御装置
JP3178865B2 (ja) 能動型騒音制御装置
JPH07210175A (ja) 能動型騒音制御装置
KR102012679B1 (ko) 주파수 대역별 발산 억제에 의한 능동소음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14616619A (zh) 主动降噪装置、移动体装置以及主动降噪方法
CN114026635A (zh) 自动噪声控制
JPH06130970A (ja) 能動型騒音制御装置
CN111105775B (zh) 噪音控制装置、噪音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JP7346121B2 (ja) 騒音制御装置、騒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741926B2 (en) Echo cancelation
EP3994682B1 (en) Automatic noise control
CN111105775A (zh) 噪音控制装置、噪音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