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818A - 책상 - Google Patents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818A
KR20230012818A KR1020210093552A KR20210093552A KR20230012818A KR 20230012818 A KR20230012818 A KR 20230012818A KR 1020210093552 A KR1020210093552 A KR 1020210093552A KR 20210093552 A KR20210093552 A KR 20210093552A KR 20230012818 A KR20230012818 A KR 20230012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unit
transfer
sawtoot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992B1 (ko
Inventor
문성혁
문시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9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4Elastic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 상판부; 상기 책상상판부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며, 상기 책상상판부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책상다리부; 상기 책상다리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책상다리부의 하단에서 출몰되도록 구비된 이송바퀴부를 포함하는 책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에 의하면, 책상상판부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책상다리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책상다리부의 하단에서 출몰되도록 이송바퀴부가 설치됨으로써, 책상을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 필요한 경우에 맞추어 바퀴를 꺼내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책상에 의하면 학업을 하거나 책상 사용 시에 필요에 맞게 이동 및 고정에 맞추어 사용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게 한다.

Description

책상{Desk}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학교나 사무실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도록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책상은 금속프레임 혹은 목재용 합판으로 형성되며 필요한 학용품이나 사용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책상 운반 시에는 책상을 들고서 운반하거나 책상에 달린 바퀴를 이용하여 운반을 하고 있다.
최근 회의실이나 교실에서 그룹 토의나 수업의 양상에 따라 배열을 바꿀때가 자주 있는데 바퀴가 달린 책상은 지속적인 일을 하거나 학업을 하기에 흔들림이 자주 발생하게 되며 사용중에도 바퀴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형디자인 측면에서도 좋지 않게 된다.
이에 따른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바퀴가 없는 고정용 책상을 교실이나 회의실에서 사용하고 있지만 책상의 배열을 바꿀 경우에는 책상을 들고서 운반하고자 할 때에 많은 힘이 요구되고 책상 운반 시 사고를 유발하게 되어 여전히 책상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1799호 (고안의 명칭 : 이동용 바퀴를 갖는 책상)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책상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고 무리한 힘이 요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책상 사용 시에 필요에 맞게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며 디자인이 개선된 책상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책상 상판부; 상기 책상상판부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며, 상기 책상상판부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책상다리부; 상기 책상다리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책상다리부의 하단에서 출몰되도록 구비된 이송바퀴부를 포함하는 책상을 제공한다.
상기 이송바퀴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책상 상판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어본체와, 상기 제어본체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바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바퀴부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는, 상기 제어본체와 일단이 결합되는 제1로드와, 상기 제1로드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책상다리부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이송바퀴부와 결합되는 제2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본체 내부에 상기 로드의 일단이 이동하는 곡면 형상을 구비하는 안내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간은,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어본체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어본체 회전중심과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바퀴부는, 상기 제2로드가 결합되는 제1이송본체와, 상기 제1이송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바퀴부재와, 상기 제1바퀴부재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바퀴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바퀴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책상 상판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어본체와, 상기 제어본체의 외면에 일단이 권취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바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바퀴부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내부에 나사산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다리부의 하단 외주면에 다수개로 각각 결합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바퀴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책상상판부의 하면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톱니부재와, 상기 제1톱니부재로부터 상기 책상 상판부의 하면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책상다리부의 상단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바퀴부와 결합되도록 구비된 제2톱니부재와, 상기 제1톱니부재와 상기 제2톱니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톱니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제2톱니부재로 전달 하는 구동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전달부재는, 상기 제1톱니부재에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톱니부재와 연동회전하는 제3톱니부재와, 상기 제3톱니부재로부터 상기 책상 상판부의 하면 외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톱니부재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톱니부재와 연동회전하는 제4톱니부재와, 상기 제3톱니부재 및 상기 제4톱니부재를 감싸고, 상기 제3톱니부재가 회동 시 상기 제4톱니부재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된 밸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바퀴부는, 상기 제2톱니부재에 결합되는 제2이송본체와, 상기 제2이송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바퀴부재와, 상기 제2바퀴부재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바퀴부는, 상기 제2이송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스크롤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책상다리부는, 상기 이송바퀴부가 상하로 회전 시 내측면에 상기 스크롤돌기와 맞물리는 나사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바퀴부는, 상기 제2이송본체부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2톱니부재와 맞물리도록 구비된 기어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에 의하면, 책상상판부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책상다리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책상다리부의 하단에서 출몰되도록 이송바퀴부가 설치됨으로써, 책상을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 필요한 경우에 맞추어 바퀴를 꺼내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책상에 의하면 학업을 하거나 책상 사용 시에 필요에 맞게 이동 및 고정에 맞추어 사용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책상다리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높이조절부가 설치된 책상다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부에 연결되는 안내부재가 구비된 제1,2로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어부에 책상다리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구비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2바퀴부와 제4바퀴부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이송바퀴부가 구비된 책상다리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이송바퀴부가 구비된 책상다리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100)은 책상상판부(110), 책상다리부(120), 이송바퀴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책상상판부(110)는 금속프레임 혹은 목재용 합판으로 형성되며 필요한 학용품이나 사용물품을 올려놓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책상다리부(120)는 상기 책상상판부(110)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며, 상기 책상상판부(110)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책상다리부(120)는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상기 이송바퀴부(130)는 상기 책상다리부(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책상다리부(120)의 하단에서 출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이송바퀴부(130)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책상상판부(110)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어본체(141)와, 상기 제어본체(141)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바퀴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본체(1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바퀴부(13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로드(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본체(141)의 테두리부에는 각 모서리부에 대응한 위치에 4개의 안내공간(143)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간(143)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어본체(141)의 회전 중심(O)과의 거리(R)가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어본체(141)의 회전 중심(O)과의 거리(r)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간(143)의 내부에는 상기 안내공간(14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안내부재(144)가 배치된다. 상기 안내부재(144)는 상기 로드(142)의 일단과 결합된다.
상기 로드(142)는, 상기 안내부재(144)와 일단이 결합되는 제1로드(142a)와, 상기 제1로드(142a)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책상다리부(120)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이송바퀴부(130)와 결합되는 제2로드(142b)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로드(142a)와 상기 제2로드(142b)는 플렉시블한 연결부재(142c)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하부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100)에서 상기 이송바퀴부(130)가 필요에 맞게 상승 및 하강 되도록 하는 상기 제어부(140)의 작동 형상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본체(14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안내부재(144)에 의해 상기 제1로드(142a)의 일단이 상기 안내공간(143)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이동되기에 상기 제1로드(142a)를 상기 제어본체(141)의 중심(O)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로드(142a)와 연결된 상기 제2로드(142b)를 상기 책상다리부(120)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2로드(142b)의 하단에 결합된 상기 이송바퀴부(130)를 상기 책상다리부(120) 내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어본체(1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안내부재(144)에 의해 상기 제1로드(142a)의 일단이 상기 안내공간(143)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로드(142a)는 상기 제어본체(141)의 중심(O)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로드(142a)와 연결되는 상기 제2로드(142b)는 상기 책상다리부(120) 내부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바퀴부(130)가 상기 책상다리부(12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바퀴부(130)는 상기 제2로드(142b)가 결합되는 제1이송본체(131)와, 상기 제1이송본체(13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바퀴부재(132)와, 상기 제1바퀴부재(132)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133)와, 상기 제1바퀴부재(13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3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본체(1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로드(142b)가 상승으로 작동 시 상기 탄성부재(134)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압축이 되어 상기 제1바퀴부재(132)가 상승이 되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제어본체(1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로드(142b)가 하강으로 작동 시에는 압축되었던 상기 탄성부재(134)가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바퀴부재(132)가 하강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140)를 작동 시 상기 책상다리부(120)로부터 필요에 맞게 상기 이송바퀴부(130)를 꺼내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부가적으로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로드부(142)가 아닌 상기 제어본체(141)의 외면에 일단이 권취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바퀴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본체(1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바퀴부(13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와이어(145)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100)은 내부에 나사산(151)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상기 책상다리부(120)의 하단 외주면에 다수개로 각각 결합되는 높이조절부(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책상다리부(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높이조절부(150)의 상기 나사산(151)과 결합되는 결합나사산(15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150)를 회전시키게 되는 경우 상기 높이조절부(150)는 상기 책상다리부(120)의 외주면의 상기 결합나사산(152)을 따라 승하강하며 책상다리부(12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상기 책상다리부(120)의 상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경사진 장소에서도 본 발명의 책상(100)이 수평을 유지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2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후술되는 제2톱니부재(242)와 제4톱니부재(245)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부터는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200)에서 이송바퀴부(230)가 필요에 맞게 상승 및 하강 되도록 하는 제어부(240)의 작동 형상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책상상판부(210)의 하면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톱니부재(241)와, 상기 제1톱니부재(241)로부터 상기 책상상판부(210)의 하면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책상다리부(220)의 상단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바퀴부(230)와 결합되도록 구비된 제2톱니부재(242)와, 상기 제1톱니부재(241)와 상기 제2톱니부재(24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톱니부재(241)의 구동력을 상기 제2톱니부재(242)로 전달 하는 구동전달부재(243)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톱니부재(241)는 상기 제1톱니부재(241)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가 결합되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 기어드모터(GEARED MOTOR), 유니버셜모터(UNIVERSAL MOTO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구동전달부재(243)는, 상기 제1톱니부재(241)에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톱니부재(241)와 연동회전하는 제3톱니부재(244)와, 상기 제3톱니부재(244)로부터 상기 책상상판부(210)의 하면 외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톱니부재(242)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톱니부재(242)와 연동회전하는 제4톱니부재(245)와, 상기 제3톱니부재 (244) 및 상기 제4톱니부재(245)를 감싸고, 상기 제3톱니부재(244)가 회동 시 상기 제4톱니부재(245)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된 밸트부재(24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밸트부재(246)는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천연고무(Natural Rubber),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 스틸렌부타디엔 고무(Stylrene Butadiene Rubber)의 재질 또는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체인 형상으로 구비가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톱니부재(241)를 구동 시에 상기 제3톱니부재(244)와 상기 제4톱니부재(245)를 통해 상기 제2톱니부재(242)와 상기 이송바퀴부(230)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송바퀴부(230)는 상기 제2톱니부재(242)에 결합되는 제2이송본체(231)와, 상기 제2이송본체(23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바퀴부재(232)와, 상기 제2바퀴부재(232)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지지부재(2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송바퀴부(230)는 상기 제2이송본체(231)의 외측면에 스크롤돌기(235)가 돌출 형성되고 한편, 상기 책상다리부(220)는 상기 이송바퀴부(230)가 상하로 회전 시 내측면에 상기 스크롤돌기(235)와 맞물리는 나사돌기(236)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톱니부재(241)로부터 상기 구동전달부재(243)를 통해 상기 제2톱니부재(242)로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상기 제2톱니부재(242)가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시 상기 스크롤돌기(235)와 상기 나사돌기(236)의 맞물림으로 상기 이송바퀴부(230)가 상승 또는 하강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톱니부재(242)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이송바퀴부(230)가 상기 책상다리부(120)의 내부에 상승 또는 하강이 되도록 하여 학업을 하거나 책상 운반 시에 상기 제2바퀴부재(232)를 필요에 맞게 이동 및 고정에 맞추어 사용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게 한다.
이하부터는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책상(3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책상(300)은 책상상판부(310), 책상다리부(320), 이송바퀴부(330), 제어부(34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이송바퀴부(330)는 상기 제2톱니부재(342)에 결합되는 제2이송본체(331)와, 상기 제2이송본체(33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바퀴부재(332)와, 상기 제2바퀴부재(332)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지지부재(333)를 포함하는데 이와 관련된 제2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이송바퀴부(330)는 상기 제2이송본체(331)의 외측면에 스크롤돌기(335)가 돌출 형성되고 한편, 상기 책상다리부(320)는 상기 이송바퀴부(330)가 상하로 회전 시 내측면에 상기 스크롤돌기(335)와 맞물리는 나사돌기(336)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이송바퀴부(330)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책상상판부(310)의 하면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톱니부재(341)와, 상기 제1톱니부재(341)로부터 상기 책상상판부(310)의 하면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책상다리부(320)의 상단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바퀴부(330)와 결합되도록 구비된 제2톱니부재(342)와, 상기 제1톱니부재(341)와 상기 제2톱니부재(34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톱니부재(341)의 구동력을 상기 제2톱니부재(342)로 전달 하는 구동전달부재(34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전달부재(343)는 제1톱니부재(341)에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톱니부재(341)와 연동회전하는 제3톱니부재(344)와, 상기 제3톱니부재(344)로부터 상기 책상상판부(310)의 하면 외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톱니부재(342)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톱니부재(342)와 연동회전하는 제4톱니부재(345)와, 상기 제3톱니부재 (344) 및 상기 제4톱니부재(345)를 감싸고, 상기 제3톱니부재(344)가 회동 시 상기 제4톱니부재(345)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된 밸트부재(346)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톱니부재(341)는 상기 제1톱니부재(341)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가 결합되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송바퀴부(330)는, 상기 제2이송본체부(331)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2톱니부재(342)와 맞물리도록 구비된 기어돌기(34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바퀴부(330)는, 상기 제2톱니부재(342)가 상기 제1톱니부재(341)로부터 상기 구동력전달부재(343)를 통해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경우, 상기 기어돌기(347)가 상기 제2톱니부재(342)와 맞물리게 되며 상기 제2톱니부재(342)의 회동력은 상기 제2이송본체(331)로 전달되어 상기 제2이송본체(331)는 회동한다.
이때 상기 제2이송본체(331)가 회동하면, 상기 제2이송본체(331)의 외면에 형성된 스크롤돌기(335)는 상기 책상다리부(320) 내면의 나사돌기(336)를 따라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이송본체(331)는 상승 또는 하강한다.
즉, 상기 제2이송본체(331)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상기 제2이송본체(331)의 하측에 결합된 상기 이송바퀴부(330)도 연동하여 승하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책상(300)은, 상기 제2톱니부재(342)가 상하로 이동하지 않으면서 상기 이송바퀴부(330)가 상하로 구동되도록 하기에 상기 책상다리부(320) 내부에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100,200,300 : 책상 110,210,310 : 책상상판부
120,220,320 : 책상다리부 130,230,330 : 이송바퀴부

Claims (13)

  1. 책상 상판부;
    상기 책상상판부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며, 상기 책상상판부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책상다리부;
    상기 책상다리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책상다리부의 하단에서 출몰되도록 구비된 이송바퀴부를 포함하는 책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퀴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책상 상판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어본체와,
    상기 제어본체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바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바퀴부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로드를 포함하는 책상.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제어본체와 일단이 결합되는 제1로드와,
    상기 제1로드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책상다리부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이송바퀴부와 결합되는 제2로드를 포함하는 책상.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본체 내부에 상기 로드의 일단이 이동하는 곡면 형상을 구비하는 안내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간은,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어본체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어본체 회전중심과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책상.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책상.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퀴부는,
    상기 제2로드가 결합되는 제1이송본체와,
    상기 제1이송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바퀴부재와,
    상기 제1바퀴부재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바퀴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책상.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퀴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책상 상판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어본체와,
    상기 제어본체의 외면에 일단이 권취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바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바퀴부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책상.
  8. 청구항 2에 있어서,
    내부에 나사산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다리부의 하단 외주면에 다수개로 각각 결합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책상.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퀴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책상상판부의 하면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톱니부재와,
    상기 제1톱니부재로부터 상기 책상 상판부의 하면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책상다리부의 상단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바퀴부와 결합되도록 구비된 제2톱니부재와,
    상기 제1톱니부재와 상기 제2톱니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톱니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제2톱니부재로 전달 하는 구동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책상.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달부재는,
    상기 제1톱니부재에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톱니부재와 연동회전하는 제3톱니부재와,
    상기 제3톱니부재로부터 상기 책상 상판부의 하면 외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톱니부재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톱니부재와 연동회전하는 제4톱니부재와,
    상기 제3톱니부재 및 상기 제4톱니부재를 감싸고 , 상기 제3톱니부재가 회동 시 상기 제4톱니부재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된 밸트부재를 포함하는 책상.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퀴부는,
    상기 제2톱니부재에 결합되는 제2이송본체와,
    상기 제2이송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바퀴부재와,
    상기 제2바퀴부재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책상.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퀴부는, 상기 제2이송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스크롤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책상다리부는, 상기 이송바퀴부가 상하로 회전 시 내측면에 상기 스크롤돌기와 맞물리는 나사돌기를 구비하는 책상.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퀴부는, 상기 제2이송본체부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2톱니부재와 맞물리도록 구비된 기어돌기를 더 포함하는 책상.
KR1020210093552A 2021-07-16 2021-07-16 책상 KR102550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552A KR102550992B1 (ko) 2021-07-16 2021-07-16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552A KR102550992B1 (ko) 2021-07-16 2021-07-16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818A true KR20230012818A (ko) 2023-01-26
KR102550992B1 KR102550992B1 (ko) 2023-07-05

Family

ID=8511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552A KR102550992B1 (ko) 2021-07-16 2021-07-16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9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799Y1 (ko) 2003-07-25 2003-11-01 주식회사 진성기업 이동용 바퀴를 갖는 책상
KR20090054651A (ko) * 2007-11-27 2009-06-01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바퀴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가구
KR20120081052A (ko) * 2012-06-03 2012-07-18 조기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의 구동장치 및 구성요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799Y1 (ko) 2003-07-25 2003-11-01 주식회사 진성기업 이동용 바퀴를 갖는 책상
KR20090054651A (ko) * 2007-11-27 2009-06-01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바퀴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가구
KR20120081052A (ko) * 2012-06-03 2012-07-18 조기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의 구동장치 및 구성요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992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635B1 (ko) 테이블용 디스플레이 승강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559936B1 (ko) 화이트보드의 승강장치
KR101126667B1 (ko) 컴퓨터 책상
JPH0614814A (ja) ワークステーション
TW200843499A (en) Elevation adjust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9017527A (ja) 昇降支持脚およびその駆動装置
KR102550992B1 (ko) 책상
KR20110027262A (ko) 이동식 화면부를 구비한 칠판
KR20170007493A (ko)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KR20090072786A (ko) 실험대의 높이조절 장치
JP2014151369A (ja) ロボット
KR200250276Y1 (ko) 자동 승하강 및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모니터의 스탠드장치
CN205547959U (zh) 一种智能课桌
KR20190089242A (ko) 높이조절책상
KR101696417B1 (ko)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KR100576264B1 (ko) 승강칠판의 최하점 위치결정장치
CN108903242A (zh) 一种升降桌
KR101511352B1 (ko) 전동력을 이용한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CN209862730U (zh) 一种用于学校教室的可升降讲桌
TWM579024U (zh) 帶有顯示器的病床
CN211211908U (zh) 一种组合式办公桌
EP1237442B1 (en) Computer furniture system and a method
JP6519644B2 (ja) 昇降天板付きデスクの配線ダクト装置
JP2013014104A (ja) ボード昇降機構
KR10242018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