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258A - cabinet device - Google Patents

cabine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258A
KR20230012258A KR1020210092814A KR20210092814A KR20230012258A KR 20230012258 A KR20230012258 A KR 20230012258A KR 1020210092814 A KR1020210092814 A KR 1020210092814A KR 20210092814 A KR20210092814 A KR 20210092814A KR 20230012258 A KR20230012258 A KR 20230012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abinet device
assembly
bottom frame
upp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대현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2258A/en
Priority to PCT/KR2022/008371 priority patent/WO2023287027A1/en
Publication of KR2023001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2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7Furniture panels consisting of a frame with interchangeable insertable pan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8Decorative panels for household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device formed of an upper surface assembly provided separately from an outer case, and a bottom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an inner case. Accordingly, an exterior design of the cabinet device can be freely and easily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needs.

Description

캐비넷 장치{cabinet device}cabinet device {cabinet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물품의 저장을 위한 기기 혹은, 여타 가전 제품의 외관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캐비넷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inet device provided to form the appearance of a device for storing various items or other household appliances.

일반적으로 캐비넷 장치는 내부의 저장 공간에 물건이나 식품 혹은, 제품을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기구이다.In general, a cabinet device is a device provided to store objects, foods, or products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상기 캐비넷 장치는 서랍장이나 협탁, 금고 혹은, 보관함과 같이 내부에 저장 공간을 가지면서 독립 사용이 가능한 기구나 가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냉장고나 세탁기와 같이 내부에 저장 공간을 가지는 가전 제품의 외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binet device may be formed of an appliance or furniture that has an internal storage space and can be used independently, such as a chest of drawers, a bedside table, a safe, or a storage box, or may be used as an exterior of a home appliance that has an internal storage space, such as a refrigerator or a washing machine. may be formed.

최근에는 상기 캐비넷 장치의 외관을 다양한 디자인이나 색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도어의 외표면은 사용자가 요구하는데로 색상이나 디자인을 변경하여 제공되고 있다.Recently, the exterior of the cabinet device is formed in various designs or colors, and in particular,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is provided with a changed color or design as required by the user.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07-0003397호(선행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3-0135485호(선행문헌 2), 공개특허 제10-2014-0102808호(선행문헌 3) 등에서와 같이 냉장고의 외관 중 도어의 전면을 유리패널로 형성하거나 혹은, 특정 색상이나 광택을 가지는 패널을 제공하고 있다.For example, a refrigerator as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03397 (Prior Documen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35485 (Prior Document 2),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02808 (Prior Document 3), etc. Among the exterior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is formed with a glass panel, or a panel having a specific color or gloss is provided.

여기서, 선행문헌 1의 경우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한 쌍의 유리패널로 형성되는 장식패널을 구비하고, 이 장식패널의 중공부에 염료가 혼합된 물 등의 장식재를 주입하여 도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Here, in the case of Prior Document 1, a decorative panel formed of a pair of glass panels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a decorative material such as water mixed with dye is inject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decorative panel to form the exterior of the door. that made it possible

선행문헌 2의 경우 도어의 외면에 장식패널을 구비하면서도 아웃 도어와 장식 패널 간의 틈새로 오물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case of Prior Document 2, while providing a decorative pane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dirt from entering into the gap between the outdoor door and the decorative panel.

선행문헌 3의 경우 다수의 홀을 가지는 금속 패널의 후측에 특정 색상을 가진 배면 패널을 배치하여 도어의 디자인이 변화되는 것처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case of Prior Document 3, a rear panel having a specific color is placed on the rear side of a metal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as if the design of the door is changed.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각 선행문헌들은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장식패널이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일 뿐 캐비넷 장치의 상부벽이나 측벽에 대한 디자인 변경을 하지는 않았다.However, each of the prior art documents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a decorative panel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door is fixed to the door and does not change the design of the upper wall or the side wall of the cabinet device.

즉, 종래에는 캐비넷 장치의 상부벽이 양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캐비넷 장치의 도어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던 것이다.That is, conventionally, since the upper wall of the cabinet device is integrally formed with both side walls, only the door of the cabinet device can be changed.

또한, 캐비넷 장치 중 서랍장이나 협탁의 경우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해당 캐비넷 장치의 상부벽은 사용자의 시야에 쉽게 노출된다. 그러나, 상기 상부벽의 디자인은 양 측벽 디자인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캐비넷 장치의 외관에 대한 디자인의 다양화를 이룰 수 없었다.Also, in the case of a chest of drawers or a bedside table among cabinet devices, the height may be low. Because of this, the upper wall of the cabinet device is easily exposed to the user's field of view. However, since the design of the upper wall had to be identical to the design of both side walls, it was not possible to diversify the design of the exterior of the cabinet device.

특히, 최근에는 높이가 낮은 캐비넷 장치의 경우도 주변의 가구나 가전제품이 마련된 실내 환경에 맞춰 외관이 디자인되고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even in the case of a cabinet device having a low height, the exterior is designed to fit the indoor environment in which surrounding furniture or home appliances are provided.

그러나, 상기 높이가 낮은 캐비넷 장치는 소형의 제품이기 때문에 외관(상부벽과 양 측벽)을 서로 교체형으로 구성하기 보다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외관의 색상을 다양하게 디자인한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abinet device with a low height is a compact product, it is sold in a state in which the exterior (upper wall and both side walls) is integrally formed rather than interchangeable, and the exterior color is designed in various ways.

즉, 캐비넷 장치의 외관 디자인은 소비자(혹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색상이나 디자인의 조합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판매자(혹은, 제조자)의 선택에 따른 색상이나 디자인 조랍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That is, the exterior design of the cabinet device is not necessarily a combination of colors or designs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sumer (or user), but a combination of colors or designs selected by the seller (or manufacturer).

또한, 종래의 캐비넷 장치는 외관을 금속 재질이나 목재 혹은, 합성 수지로 형성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cabinet devices have limitations in implementing various designs as the exterior is formed of metal, wood, or synthetic resin.

물론, 캐비넷 장치의 외관을 유리재질로 형성할 경우 더욱 고급화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exterior of the cabinet device is made of glass, a more sophisticated design can be provided.

하지만, 캐비넷 장치의 외관을 유리재질로 형성한다면 사용의 부주의로 어느 한 부위가 파손되더라도 외관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exterior of the cabinet device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ntire exterior must be replaced even if one part is damaged due to negligence in use.

이와 함께, 상부벽과 양 측벽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캐비넷 장치의 경우 외관을 유리재질로 형성하기에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abinet device in which an upper wall and both side walls are integrally formed, there is a manufacturing difficulty in forming an exterior made of a glass material.

공개특허 제10-2007-0003397호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03397 공개특허 제10-2013-0135485호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35485 공개특허 제10-2014-0102808호Publication No. 10-2014-0102808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각종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object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고급화된 디자인 혹은, 색상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는 아웃케이스를 가지는 캐비넷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inet product having a high-class design or an outer case in which the color can be select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리와 같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패널이 상면조립체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하면서도 상부패널의 깨짐 발생시 혹은, 사용자가 원할 경우 해당 상부패널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n upper panel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assembly and to easily replace only the corresponding upper panel when the upper panel is broken or when the user desir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면조립체의 둘레 부위에 대한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두 측부벽 내에 매립 구조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심미감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aesthetics by installing a buried structure in two side walls so as to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캐비넷 장치는 상면이 아웃케이스와는 별개로 제공되는 상면조립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면조립체의 바닥은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캐비넷 장치의 외관 디자인을 자유롭고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A cabinet devic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f an upper surface assembly provided separately from an outer case, and a bottom of the upper assembly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an inner case. Accordingly, the exterior design of the cabinet device can be freely and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가 두 측부벽의 상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면조립체를 전방 혹은, 후방으로 당기거나 미는 조작으로 상기 상면조립체가 이너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면조립체의 양 측면에 대한 마감 처리가 필요치 않는다. Further,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assembly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two side walls. Accordingly, the upper assembly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by pulling or pushing the upper assembly forward or backward. In addition, finishing treatment on both sides of the top assembly is not required.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가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패널은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캐비넷 장치의 상부벽에 대한 디자인을 고급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op assembly includes an upper panel forming the upper surface. The upper panel may be formed of a glass materi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design of the upper wall of the cabine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바닥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ttom fram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while forming a bottom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부패널과 바닥프레임을 결합하는 홀더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브라켓은 상기 상부패널의 바닥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브라켓은 상기 바닥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lder bracket coupling the top panel and the bottom frame. The holder bracket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The holder bracke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frame.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부패널의 바닥은 불투명한 색상의 도료가 프린팅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aque color paint may be print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anel.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부패널의 바닥에는 불투명한 색상의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aque color film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anel.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홀더브라켓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각 홀더브라켓은 상부패널의 바닥면 중 적어도 두 둘레벽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Also,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der brackets may be provided. Each of the holder brackets may be attached to at least two circumferential wall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각 홀더브라켓은 상부패널의 서로 대칭되는 두 둘레벽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holder bracket may be attached to two symmetrical circumferential walls of the upper panel.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각 홀더브라켓과 상부패널 간의 대향면은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pposite surfaces between each holder bracket and the upper panel may be bonded with an adhesive.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각 홀더브라켓에는 부착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부착홈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부착할 수 있어서 접착제가 외부로 누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ment grooves may be recessed in each holder bracket. As a result, since the adhesive can be applied or attached to the attachment groove, leakage of the adhesive to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의 상면 중 선단 및 후단에는 둘레벽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ircumferential walls may be formed at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frame,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의 어느 한 둘레벽 내면에는 받침턱이 형성되고, 홀더브라켓에는 받침턱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ing jaw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of the circumferential walls of the bottom frame, and an accommodation groove in which the supporting jaw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 the holder bracket.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의 다른 한 둘레벽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홀더브라켓에는 상기 걸림턱에 구속되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바닥프레임에 상부패널을 얹을 경우 상부패널은 상부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locking jaw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th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bottom frame, and a hook bound to the locking jaw may be formed on the holder bracket. Accordingly, when the upper panel is placed on the bottom frame, the upper panel may be prevented from moving upward.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의 바닥에는 도구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걸림턱에 걸린 후크의 구속 해제를 위해 손이나 도구가 삽입될 수 있어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ol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frame. As a result, a hand or a tool can be inserted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hook caught on the hook, so that work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의 상면에는 다른 한 둘레벽와 이격되게 위치된 이격벽이 형성되고, 이격벽에는 장착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장착홀더를 상기 장착공에 관통 결합할 수 있다.Further,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tion wall spaced apart from the other circumferential wall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and a mounting hole may be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As a result, the mounting holder can be penetra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홀더브라켓에는 홀더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이격벽의 장착공을 관통한 장착홀더의 일부가 수용되어 구속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der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holder bracket. As a result, a part of the mounting holder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hole of the separation wall can be accommodated and restrained.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에는 조작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장착홀더를 이격벽의 장착공을 관통하여 홀더브라켓의 홀더걸림홈에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ng hole may be formed through the bottom frame. Accordingly, an operation of coupling the mounting holder to the holder locking groove of the holder bracket by penetrating the mounting hole of the separation wall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의 이격벽에는 유동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장착홀더의 일부가 조작공을 관통하여 설치될 경우 상기 장착홀더의 일부가 장착홀더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 barriers may be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of the bottom frame. Accordingly, when a part of the mounting holder is installed through the manipulation hole, a part of the mounting holder preven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unting holder.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강도 보강용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바닥프레임이 뒤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trength reinforcing rib may be formed on the bottom frame. This can prevent the bottom frame from being twisted.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아웃케이스의 두 측부벽이 상면조립체의 상부패널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두 측부벽을 금속의 판재로 형성할 수 있어서 재료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Also,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side walls of the outer cas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upper panel of the upper assembly. As a result, the two side walls can be formed of a metal plate,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이너케이스의 상면에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면조립체의 바닥면에는 조립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면조립체가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ssembly groov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an assembly holder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assembl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조립홈 및 조립홀더가 각각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상면조립체가 비틀리도록 설치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r more assembly grooves and assembly holders may be provided. In this way, a problem that the upper face assembly is twisted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조립홈은 이너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고, 이너케이스의 상면 바닥에는 조립홈을 덮는 보호캡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이너케이스의 상면을 판재로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이너케이스 내부로 조립홀더가 노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groove may be formed as a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a protective cap covering the assembly groove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ccordingly,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may be formed of a plate material, exposure of the assembly holder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may be prevent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아래의 각종 효과를 가진다.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various effects.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 중 외부로의 노출 부위가 유리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캐비넷 장치의 상면에 대한 디자인의 고급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부패널이 유리재질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홀더브라켓에 의해 바닥프레임에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xternally expos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is made of glass, it is possible to upgrade the desig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device. In particular, even though the upper panel is made of glas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to the bottom frame by the holder bracket.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유리재질의 상부패널에 어느 한 색상이 페인팅되거나 혹은, 색상 필름이 부착되기 때문에 색상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a certain color is painted or a color film is attached to the upper panel made of glass,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ersified in color.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가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면조립체와 이너케이스의 상면 간 틈새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p between the upper assembl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can be prevented or minimized because the upper assembly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it.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가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얹혀 고정된 상태에서 양 측면이 아웃케이스의 두 측부벽으로 가려진다. 이로써 상면조립체의 양 측면에 대한 마감 처리가 필요치 않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서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면조립체는 아웃케이스에 매립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최대한 심미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 surfaces are covered by two side walls of the outer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assembly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is fixed.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finishing treatment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and can simplify the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outer case in a buri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in aesthetics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각 홀더브라켓과 바닥프레임 간의 조립 구조가 간단하여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패널의 깨짐이 발생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assembly structure between each holder bracket and the bottom frame, so that even if the upper panel made of glass is broken, it can be easily repla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외관 중 두 측벽부로부터 상부조립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외관 중 두 측벽부로부터 상부조립체가 분리된 상태의 이너케이스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이너케이스의 상면측 구조를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이너케이스의 조립홈을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이너케이스의 조립홈을 저부에서 본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이너케이스의 조립홈 저부에 보호캡이 설치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이너케이스의 상면측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의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의 상부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의 바닥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의 바닥프레임을 나타낸 저면도
도 16는 도 14의 “B”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의 걸림턱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8은 도 14의 “C”부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1홀더브라켓의 상면측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1홀더브라켓의 설치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2홀더브라켓의 상면측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2홀더브라켓의 저면측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2홀더브라켓의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2홀더브라켓의 설치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상면조립체의 상부패널을 바닥프레임에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바닥프레임의 제2이격벽에 장착공 및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요부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바닥프레임의 제2이격벽에 장착공 및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상태의 요부 평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바닥프레임의 제2이격벽에 장착공 및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상태를 전방에서 본 상태도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장착홀더의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바닥프레임의 제2이격벽에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홀더장착부에 장착홀더가 장착된 상태를 제2이격벽의 후단측에서 본 요부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홀더장착부에 장착홀더가 장착된 상태를 제2이격벽의 전단측에서 본 요부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2홀더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장착홀더에 의한 제2홀더브라켓의 조립 상태에 대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 upp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wo side wall portions of an exterior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an inner case in a state in which an upp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wo side wall portions of an exterior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away structure of an upper surface side of an inner case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cutaway view showing an assembly groove of an inner case among cabinet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of an assembly groove of an inner cas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in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cap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an assembly groove of an inner case among cabinet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side structure of the inner case of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9
11 is a bottom view of an upper assembly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urface assembly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panel of an upper surface assembly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showing a bottom frame of an upper surface assembly in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ottom view showing a bottom frame of an upper assembly in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14
17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ructure of a hooking jaw of an upper surface assembly in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nlarged view of section “C” of FIG. 14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side of a first holder bracket among cabinet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a cabinet device in an installed state of a first holder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side of a second holder bracket among cabinet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bottom side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holder bracket among cabinet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side view of a second holder bracket among cabinet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a cabinet device in an installed state of a second holder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and 26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panel of an upper surface assembly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bottom frame;
27 and 28 are perspective views of main parts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in a state in which a mounting hole and a flow barrier are formed in a second separation wall of a floor frame;
29 is a plan view of a main part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mounting hole and a flow barrier are formed in a second separation wall of a bottom frame
30 is a state view of a state in which a mounting hole and a flow barrier are formed in a second separation wall of a floor frame, viewed from the front, among cabinet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and 32 are perspective views of a mounting holder among cabinet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in a state in which a flow barrier is formed on a second separation wall of a floor frame among cabinet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separation wall, in a state in which a mounting holder is mounted on a holder mounting portion;
3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separation wall,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holder is mounted o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3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holder bracket among cabinet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ssembled state of the second holder bracket by the mounting holder among the cabinet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6 attached.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외관 중 두 측벽부로부터 상부조립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pp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wo side wall parts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exampl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는 이너케이스(100)와 아웃케이스(200)와 상면조립체(300)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조립체(300)는 외부로의 노출 부위가 유리재질로 형성되면서도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case 100, an outer case 200, and a top assembly 300, and the top assembly 300 is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being formed of a glass material, it can be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이로써,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조립체(300)에 대한 디자인의 고급화가 가능하고, 파손 발생시 손쉽게 교환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upgrade the design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forming the upper surface, and it can be easily replaced when damage occurs.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는 이너케이스(100)가 포함될 수 있다.First,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inner case 100 .

상기 이너케이스(100)는 캐비넷 장치의 내부 몸체를 형성한다.The inner case 100 forms an inner body of the cabinet device.

상기 이너케이스(100)는 전면이 개방되고 양 측면과 상하면 및 배면을 가지는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내부는 보관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너케이스(100)에 의해 보관 공간이 제공된다.The inner case 100 is formed as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open front surface and having both side surfaces,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rear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100 can be used as a storage space. That is, a storage space is provided by the inner case 100 .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너케이스(100) 내의 보관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이나 격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torage space in the inner case 1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by at least one shelf or partition wall.

상기 이너케이스(100)는 금속 판재나, 합성수지 혹은, 여타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ase 100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synthetic resin, or other various materials.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보관 공간은 도어(110)로 개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of the inner case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door 110 .

여기서, 상기 도어(110)는 서랍식의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110)는 회전식의 도어나 미닫이식의 도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door 110 may be configured as a drawer-type door.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door 110 may be configured as a rotary door or a sliding door.

한편, 첨부된 도 4 내지 도 1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상면조립체(300)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형성된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Meanwhile, attached FIGS. 4 to 10 show an embodiment in which a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

이들 도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는 조립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홈(120)은 후술될 상면조립체(300)와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se drawings, an assembly groove 1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 The assembly groove 120 is formed for coupling with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조립홈(120)은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립홈(120)은 이너케이스(100)의 상면 중 전방 양측 및 후방의 어느 한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면조립체(300)가 좌 혹은, 우측으로 비틀리거나 회전되어 정확히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The assembly groove 12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two or more. For example, the assembly grooves 120 may be formed on either front side or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 respectively. As a result, problems in which the top assembly 300 is twisted or rotated to the left or righ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ccurately installed.

특히, 상기 각 조립홈(120)은 이너케이스(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 및 좌우 대칭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상면조립체(300)의 각 조립홀더(350)는 상면조립체(3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 및 좌우 대칭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의 구조에 의해 상면조립체(300)의 전후 방향에 상관없이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each of the assembly grooves 120 may be formed in front-back and left-right symmetrical parts based on the center of the inner case 100, and each assembly holder 350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is It may be formed in an area that is symmetrical in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based on the center of. Due to this structure, assembly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

이와 함께, 상기 조립홈(12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연속된 구멍(121,12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구멍(121)에 조립홀더(350)를 삽입한 후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구멍(12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조립홀더(350)가 원치않게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립홀더(350)는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홀더(350)의 하단 직경과 상기 조립홈(120)의 작은 구멍(122)의 직경은 서로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y groove 120 may be formed as a series of holes 121 and 122 having different diameters. That is, by inserting the assembly holder 350 into the relatively large-diameter hole 121 and then moving it to the relatively small-diameter hole 122, the assembly holder 3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unintentionally separated. will be. At this time, the assembly holder 350 may have a top diameter smaller than a bottom diameter, and the bottom diameter of the assembly holder 350 and the diameter of the small hole 122 of the assembly groove 120 are formed to match each other. It can be.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 중 각 조립홈(120)이 형성된 부위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면조립체(300)의 바닥과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은 서로 접촉 혹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where each assembly groove 120 is formed may be recessed. Accordingly, the bottom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may contact each other or b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은 판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조립홈(12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조립홈(120)을 통과하는 조립홀더(350)가 이너케이스(100) 내의 보관 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 바닥에는 조립홈(120)을 덮는 보호캡(13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the assembly groove 120 may be formed as a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 In this case, since the assembly holder 350 passing through the assembly groove 120 can be exposed to the storage space within the inner case 100, the botto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has a protective cap covering the assembly groove 120. (130) may be provid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는 아웃케이스(200)가 포함될 수 있다.Next,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outer case 200 .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캐비넷 장치의 외부 몸체로 제공된다.The outer case 200 is provided as an outer body of the cabinet device.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양 측면을 형성하는 두 측부벽(210) 및 바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3 and 4 , the outer case 200 may include two side walls 210 and a bottom part 220 forming both sides.

이러한 아웃케이스(200)는 상면조립체(300)의 상부패널(310)이나 도어(110)의 전면과는 달리 고급화된 디자인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이 성형의 용이함을 위해 금속 판재로 형성되거나 혹은, 사출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각종 부딪힘이 발생될 우려가 많음을 고려할 때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금속의 판재를 다단으로 절곡함으로써 두 측부벽(210)과 바닥부(220)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진 아웃케이스(200)가 형성될 수 있다.Unlike the upper panel 310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or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10, the outer case 200 does not need to be formed in a high-class design, and is formed of a metal plate for ease of molding or an injection molding material. can be formed as Preferably, the outer case 2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prevent damage considering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various collisions. That is, the outer case 200 in which the two side walls 210 and the bottom portion 220 are integrally formed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metal plate material in multiple stages.

한편, 상기 아웃케이스(200)의 개방된 후면은 후면프레임(230)으로 폐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후면프레임(230)은 상기 두 측부벽(2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ned rear surface of the outer case 200 may be closed with a rear frame 230 . Although not shown, the rear frame 23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s of the two side walls 21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300)가 포함될 수 있다.Next,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top assembly 300 .

상기 상면조립체(300)는 캐비넷 장치의 상면으로 제공된다.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is provided as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device.

상기 상면조립체(300)는 두 측부벽(210)의 상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top assembly 3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two side walls 210 .

이와 함께,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와의 결합을 위한 조립홀더(3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홀더(350)는 상하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조립홀더(350)는 조립홈(120)의 큰 구멍(121)으로 삽입되어 작은 구멍(12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홀더(350)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바닥면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addition, an assembly holder 350 for coupling with the inner case 10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frame 320 . At this time, the assembly holder 35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at the top and bottom, whereby the assembly holder 350 is inserted into the large hole 121 of the assembly groove 120 and moved to the small hole 122. It can be. The assembly holder 35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fixed by being screw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frame 320 . This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 11.

따라서, 상면조립체(300)를 전방 혹은, 후방으로 당기거나 미는 조작으로 상기 상면조립체(300)가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손쉽게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op assembly 3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or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by pulling or pushing the top assembly 300 forward or backward.

이와 함께, 상기 상면조립체(300)의 양 측면은 상기 두 측부벽(21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됨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상면조립체(300)의 양 측면에 대한 마감 처리가 필요치 않아서 조립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ar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two side walls 210, finishing treatment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is not required, thereby reducing assembly cost. can

첨부된 도 12 내지 도 23은 상면조립체의 설명을 위한 각 상태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면조립체(300)의 각 구성요소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12 to 23 are examples of each state for explanation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Each component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첨부된 도 12와 같이 상기 상면조립체(300)는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310)과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320) 및 상부패널(310)과 바닥프레임(320)을 결합하는 홀더브라켓(330,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2, the top assembly 300 includes an upper panel 310 forming the upper surface, a bottom frame 320 forming the bottom surface, and a holder bracket combining the upper panel 310 and the bottom frame 32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330, 340).

여기서, 상기 상부패널(310)은 캐비넷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며, 디자인의 고급화를 위해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upper panel 3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device and may be formed of a glass material to enhance the design.

첨부된 도 13과 같이 상기 상부패널(310)에는 색상을 가지는 필름(311)이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색상 필름(311)의 부착으로써 상부패널(310)이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색상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필름(311)은 통상의 색상이나 문양을 가지는 필름으로 형성되거나 불투명한 시트지로 형성됨으로써 상면조립체(310) 내의 구조물이나 형상이 투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필름(311)은 색상만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문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attached FIG. 13 , a colored film 311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anel 310 . That is, by attaching the color film 311, the upper panel 310 can have various colors, thereby satisfying the user's demand for various colors. At this time, the film 311 may be formed of a film having a normal color or pattern or formed of an opaque sheet so that structures or shapes in the upper surface assembly 310 are not transparent. In addition, the film 311 is not formed to have only color,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types of patterns.

상기 필름(311)은 상기 상부패널(310)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필름(311)이 원치않게 벗겨지거나 외부 노출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film 311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310 . As a result, the film 311 may be prevented from being undesirably peeled off or from being damaged due to external exposure.

물론, 상부패널(310)은 그 자체로 색상을 가지는 유리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패널(310)의 바닥면에 어느 한 색상의 도료가 도포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upper panel 310 itself may be formed of glass having a color, or a paint of any color may b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310 .

상기 상부패널(310)의 전면과 배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리 재질의 상부패널(310)에 의한 사용자의 베임과 같은 상처 발생이나 깨짐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panel 310 may be formed to be round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such as injury or breakage caused by a user's cut by the upper panel 310 made of glass.

그리고, 상기 바닥프레임(320)은 상기 상면조립체(300)의 몸체로 제공될 수 있다.And, the bottom frame 320 may be provided as a body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

이러한 바닥프레임(320)은 비노출 부위이기 때문에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bottom frame 320 is a non-exposed part, it may be formed as an injection molding material.

첨부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상면 혹은, 바닥면에는 상기 사출물로의 성형시 야기되는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강도 보강용리브(321)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상면 혹은, 바닥면이 복수의 요철 부위를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a plurality of strength reinforcing ribs 321 are formed on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frame 320 to prevent distortion caused during molding into the injection molding product. It can be. Of course, the upper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frame 3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상면 중 선단 및 후단에는 둘레벽(322,32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Circumferential walls 322 and 323 may be formed at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320, respectively.

첨부된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둘레벽(322)과 제2둘레벽(323) 중 어느 한 둘레벽 내면에는 받침턱(32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둘레벽(322)의 내면으로부터 받침턱(322a)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4 and 16 , a supporting protrusion 322a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either one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wall 322 and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23 . For example, the supporting jaw 322a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wall 322 to the rear.

이러한 받침턱(322a)은 제1둘레벽(322)의 내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후술될 제1홀더브라켓(330)의 수용홈(331)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턱(322a)과 수용홈(331)의 구조에 의해 바닥프레임(320)에 상부패널(310)을 얹을 경우 상부패널(310)의 선단측이 상부로 유동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턱(322a)은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The supporting jaw 322a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wall 322 in a vertical direction and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331 of the first holder bracket 33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when the upper panel 310 is placed on the bottom frame 320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322a and the receiving groove 33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ont end of the upper panel 310 from moving upward. At this time, the supporting jaw 322a may be provided in one or two or more plural.

첨부된 도 14와 도 15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다른 한 둘레벽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323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둘레벽(323)의 내면에는 걸림턱(323a)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14, 15, 17 and 18, at least one locking step 323a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bottom frame 320. For example, a locking jaw 323a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23 .

이러한 걸림턱(323a)은 상기 제2둘레벽(323)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하부로 갈수록 점차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 또는, 라운드 구조로 형성되면서 후술될 제2홀더브라켓(340)의 후크(341)가 걸려 구속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턱(323a)과 후크(341)의 구조에 의해 바닥프레임(320)에 상부패널(310)을 얹을 경우 상부패널(310)의 후단측이 상부로 유동됨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cking jaw 323a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23 and is formed in an inclined or round structure that gradually protrudes forward as it goes downward, and the hook of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to be described later) ( 341) can be caught and restrained. That is, when the upper panel 310 is placed on the bottom frame 320 due to the structure of the hook 323a and the hook 34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ar end of the upper panel 310 from moving upward.

첨부된 도 17과 도 18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바닥에는 도구 삽입공(3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구 삽입공(324)은 도구(D)의 삽입을 위한 구멍으로써 상기 걸림턱(323a)의 직하방에 위치되면서 바닥프레임(320)의 바닥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걸림턱(323a)에 걸린 후크(341)의 구속 해제를 위해 도구(예컨대, 일자 드라이버 등)가 삽입될 수 있어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구 삽입공(324)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17, 18 and 24, a tool insertion hole 324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frame 320. The tool insertion hole 324 is a hole for inserting the tool D, and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bottom of the bottom frame 320 vertically while being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locking jaw 323a. As a result, a tool (eg, a slotted screwdriver, etc.) can be inserted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hook 341 caught on the hook 323a, so that work convenience can be improved. Of course, the tool insertion hole 324 may be formed to a size large enough to insert a user's finger.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상면에는 제2둘레벽(323)과 이격되게 위치된 이격벽(3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벽(326)은 제2둘레벽(323)과의 사이에 제2홀더브라켓(340)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A separation wall 326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23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320 . At this time, the separation wall 326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23 by a distance enough to allow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to be inserted.

또한, 상기 상면조립체(300)는 홀더브라켓(330,340)이 포함될 수 있다.Also,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may includ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

상기 홀더브라켓(330,340)은 상부패널(310)을 바닥프레임(320)에 결합하도록 제공된다. Th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are provided to couple the upper panel 310 to the bottom frame 320 .

상부패널(310)의 경우 유리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결합 구조(예컨대, 단턱이나 구멍 혹은, 후크 등)를 형성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파손의 우려가 야기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홀더브라켓(330,340)의 추가 제공으로 상기 상부패널(310)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도 상부패널(310)이 바닥프레임(320)에 정확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Since the upper panel 310 is made of glass, it is difficult to form various coupling structures (eg, steps, holes, hooks, etc.) and may cause damage. Considering this, the additional provision of th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allows the upper panel 310 to be accurately coupled to the bottom frame 320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upper panel 310 .

이러한 홀더브라켓(330,340)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부패널(310)이 복수의 부위에서 바닥프레임(320)에 구속되도록 하여 상부패널(310)과 바닥프레임(32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at is, the top panel 310 is bound to the bottom frame 320 at a plurality of locations so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op panel 310 and the bottom frame 320 can be improved.

물론, 홀더브라켓(330,340)을 과도히 많이 제공한다면 조립 작업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홀더브라켓(330,340)은 두 개로 제공되면서 각각이 상기 상부패널(310)의 바닥면 중 적어도 두 테두리 부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f too many holder brackets 330 and 340 are provided,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assembling.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are provided in two and each is provided on at least two edge portion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310 .

예컨대, 상부패널(310)의 바닥면 중 선단측 테두리에 제1홀더브라켓(330)이 위치되고 후단측 테두리에는 제2홀더브라켓(340)이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holder bracket 330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310 and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edge.

특히, 상기 각 홀더브라켓(330,340)은 상기 상부패널(310)에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홀더브라켓(330,340)이나 바닥프레임(320)은 사출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패널(310)에 접착제(301)로 부착하더라도 안정적인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particular, each of th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may be configured to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panel 310 . That is, since each of th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or the bottom frame 320 is formed of an injection-molded material, a stable fixed stat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attached to the upper panel 310 with the adhesive 301 .

이를 위해, 첨부된 도 19 및 도 21과 같이 상기 각 홀더브라켓(330,340)의 바닥면에는 부착홈(332,342)이 형성되고, 첨부된 도 20 및 도 24와 같이 상기 접착제(301)는 상기 부착홈(332,342) 내에 도포 혹은,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접착제(301)의 두께는 상기 부착홈(332,342)의 깊이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19 and 21, attachment grooves 332 and 342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and as shown in FIGS. 20 and 24, the adhesive 301 is applied to the attachment grooves. (332, 342) may be configured to be applied or adhered within. Of cours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301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depth of the attachment grooves 332 and 342 .

한편, 상기 제1홀더브라켓(330)과 제2홀더브라켓(340)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holder bracket 330 and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만일, 상기 두 홀더브라켓(330,340)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상부패널(310)을 바닥프레임(320)에 조립하는데의 어려움 혹은, 제조 단가의 상승이 야기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어느 한 홀더브라켓은 바닥프레임(320)에 단순히 걸리도록 구성되고, 다른 한 홀더브라켓은 바닥프레임(320)에 구속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If the two holder brackets 330 and 340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difficulty in assembling the upper panel 310 to the bottom frame 320 or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may occur. Considering this, it may be preferable that one holder bracket is configured to simply be caught on the bottom frame 320, and the other holder bracket is configured to be constrained to the bottom frame 320.

예컨대, 첨부된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제1홀더브라켓(330)에는 제1둘레벽(322)의 받침턱(322a)이 수용되도록 수용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홈(331)은 제1홀더브라켓(330)의 후단이 상부패널(310)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 혹은,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용홈(331)은 제1홀더브라켓(330)의 배면 중 일부를 전방으로 요입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9 and 20, an accommodation groove 331 may be formed in the first holder bracket 330 so that the supporting protrusion 322a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wall 322 is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receiving groove 331 may be formed bent or stepp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first holder bracket 33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nel 310 .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receiving groove 331 may be formed by concave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lder bracket 330 forward.

예컨대, 첨부된 도 21 내지 도 24와 같이 제2홀더브라켓(340)에는 제2둘레벽(323)의 걸림턱(323a)에 걸릴 수 있도록 후크(3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341)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홀더브라켓(340)의 후단으로부터 각각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1 to 24 , a hook 34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so as to be caught on the hook 323a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23 . At this time, the hook 341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respectively.

다음은,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상면조립체(300)에 대한 조립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assembly process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of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상부패널(310)의 바닥면 둘레 중 선단에는 제1홀더브라켓(330)을 부착하고, 후단에는 제2홀더브라켓(340)을 부착한다.First, the first holder bracket 330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310, and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is attached to the rear end.

이때, 상기 각 홀더브라켓(330,340)은 상부패널(310)과의 대향면에 형성된 부착홈(332,342) 내에 접착제(301)를 도포 또는, 부착한 후 상기 상부패널(310)에 각각 부착한다.At this time, each of th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is attached to the upper panel 310 after applying or attaching the adhesive 301 in the attachment grooves 332 and 342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upper panel 310.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310)에 부착된 제1홀더브라켓(330)은 바닥프레임(320)의 제1둘레벽(322)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제2홀더브라켓(340)은 제2둘레벽(323)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In addition, the first holder bracket 330 attached to the upper panel 310 is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circumferential wall 322 of the bottom frame 320, and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is placed on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 323) to face.

이의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브라켓(330)의 수용홈(331)에 제1둘레벽(322)의 받침턱(322a)을 삽입한 다음 상부패널(310)의 후단측을 하향 이동시켜 제2홀더브라켓(340)의 후크(341)를 제2둘레벽(323)의 걸림턱(323a)에 구속되도록 한다. 즉, 제1홀더브라켓(330)을 바닥프레임(320)의 제1둘레벽(322)에 걸어놓은 상태에서 상부패널(310)의 기울임 조작을 통해 제2홀더브라켓(340)이 바닥프레임(320)의 제2둘레벽(323)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25 및 도 26과 같다.In this state, the supporting jaw 322a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wall 32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31 of the first holder bracket 330, and then the rear end of the upper panel 310 is moved downward to secure the second holder The hook 341 of the bracket 340 is constrained to the hook 323a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23 .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first holder bracket 330 is hung on the first circumferential wall 322 of the bottom frame 320,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is moved to the bottom frame 320 by tilting the upper panel 310. ) to be coupled to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23. This is the same as the attached FIGS. 25 and 26.

이로써 상부패널(310)은 각 홀더브라켓(330,340)에 의해 바닥프레임(320)에 고정된다.Thus, the upper panel 310 is fixed to the bottom frame 320 by the respectiv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

계속해서,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바닥면에 각 조립홀더(350)를 조립함으로써 상면조립체(300)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조립홀더(350)는 끼워맞춤식의 결합이나 압입 결합,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바닥프레임(32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Subsequently, by assembling each assembly holder 35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frame 320, the upper assembly 300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assembly holder 350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frame 320 in various ways such as a fit-type coupling, a press-fit coupling, or a screw coupling.

다음은,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상면조립체(300)를 이너케이스(100)와 아웃케이스(200)에 조립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assembling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of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inner case 100 and the outer cas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아웃케이스(200) 내에 이너케이스(100)를 설치한다.First, the inner case 100 is installed in the outer case 200 .

이때, 상기 아웃케이스(220)의 양 측부벽(210) 상단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upper ends of both side walls 210 of the outer case 220 are install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

이의 상태에서 상면조립체(300)를 준비한 후 상기 아웃케이스(200)와 이너케이스(10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상면조립체(300)는 양 측면과 전후면의 방향을 주의하여 위치시킨다.After preparing the top assembly 300 in this state, it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ase 200 and the inner case 100.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is placed with care in the directions of both side surfaces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그리고, 상기 상면조립체(300)의 조립홀더(350)를 상기 이너케이스(100) 상면의 각 조립홈(120)에 일치시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 조립홀더(350)는 각 조립홈(120) 중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구멍(121)에 삽입된다. 이로써 상기 상면조립체(300)의 바닥면(바닥프레임의 바닥면)은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얹힌 상태를 이룬다.Then, the assembly holder 350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is aligned with each assembly groove 1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to be inserted. At this time, each assembly holder 350 is inserted into a hole 121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mong each assembly groove 120 . Thus, the bottom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frame) of the top surface assembly 300 rests on the top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

그리고, 상기 상면조립체(30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조립홀더(350)의 상단은 각 조립홈(120) 중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구멍(122)에 위치되고, 이로써 상면조립체(300)가 이너케이스(100)의 상부로 분리됨이 방지된다.Then,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is slid forward. Accordingly, the upper end of each assembly holder 350 is located in the hole 122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n each assembly groove 120, thereby preventing the upper assembly 3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ase 100. do.

이후, 도어(110)와 후면프레임(230)을 각각 결합함으로써 캐비넷 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Thereafter, assembly of the cabinet device is completed by combining the door 110 and the rear frame 230, respectively.

결국,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300)는 외부로의 노출 부위가 유리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캐비넷 장치의 상면에 대한 디자인의 고급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부패널(310)이 유리재질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홀더브라켓(330,340)에 의해 바닥프레임(320)에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of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glass material, it is possible to upgrade the desig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device. In particular, although the upper panel 310 is made of glass, it can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to the bottom frame 320 by th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유리재질의 상부패널(310)에 어느 한 색상이 페인팅되거나 혹은, 색상 필름이 부착되기 때문에 색상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ersified in color because one color is painted or a color film is attached to the upper panel 310 made of glass.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300)가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면조립체(300)와 이너케이스(100)의 상면 간 틈새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or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because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it. can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300)가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얹혀 고정된 상태에서 양 측면이 아웃케이스(200)의 두 측부벽(210)으로 가려진다. 이로써 상면조립체(300)의 양 측면에 대한 마감 처리가 필요치 않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서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면조립체(300)는 아웃케이스(200)에 매립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최대한 심미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 surfaces are covered by the two side walls 210 of the outer case 20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and is fixed.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finishing treatment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ssembly 300 and can simplify the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since the top assembly 300 is installed in the outer case 200 in a buri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in aesthetics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각 홀더브라켓(330,340)과 바닥프레임(320) 간의 조립 구조가 간단하여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패널(310)의 깨짐이 발생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assembly structure between th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and the bottom frame 320, so that even if the upper panel 310 made of glass is broken, it can be easily replaced.

한편,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300)의 각 홀더브라켓(330,340)과 바닥프레임(320) 간의 결합 구조 중 구속을 위한 구조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와 달리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mong the coupling structures between th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of the upper assembly 300 and the bottom frame 320 of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restraint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홀더브라켓(330,340)은 장착홀더(490)를 이용하여 바닥프레임(320)에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frame 320 using the mounting holder 490.

이를 첨부된 도 27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27 to 36 .

첨부된 도 27 및 도 28은 바닥프레임의 제2이격벽에 장착공 및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상태이고, 도 29 및 도 30은 제2이격벽에 장착공 및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상태이다.Attached FIGS. 27 and 28 show a state in which a mounting hole and a flow barrier are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of the bottom frame, and FIGS. 29 and 30 show a state in which a mounting hole and a flow barrier are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상기 장착홀더(490)의 적용을 위해 상기 바닥프레임(320)에는 홀더장착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To apply the mounting holder 490, a holder mounting portion 44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frame 320.

상기 홀더장착부(440)에는 회피부(441)가 구비된다. 상기 회피부(441)는 상기 홀더장착부(440)에서 상부로 돌출되고, 반대쪽에는 회피홈(441a)이 마련된다.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회피홈(441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홀더(490)의 파지부(492')가 안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회피홈(441a)은 상기 파지부(492')가 상기 제2이격벽(326)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n avoidance part 441 is provided on the holder mounting part 440 . The avoidance portion 441 protrudes upward from the holder mounting portion 440, and an avoidance groove 441a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Referring to FIG. 34, a gripping portion 492' of a mounting holder 490 to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in the avoidance groove 441a. In other words, the avoidance groove 441a can prevent the gripping part 492' from interfering with the second separation wall 326.

상기 홀더장착부(440)에는 지지턱(442)이 돌출된다. 상기 지지턱(442)은 상기 장착홀더(490)의 후면과 마주보는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일면에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지지턱(442)은 상기 제2이격벽(326)과 바닥프레임(320)의 상면 간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지지턱(442)은 상기 장착홀더(490)의 후면을 향해 돌출되어서, 상기 장착홀더(49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장착홀더(49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A support jaw 442 protrudes from the holder mounting portion 440 . The supporting jaw 442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ottom frame 320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holder 490 . More precisely, it can be seen that the support jaw 442 is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separation wall 326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3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upporting jaw 442 protrude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holder 490, serves to support the mounting holder 490, and prevents the mounting holder 490 from being shake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지지턱(442)에는 지지홈(443)이 함몰된다. 상기 지지홈(443)은 상기 지지턱(442)의 아래쪽에 함몰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지홈(443)은 대략 삼각형상이고, 여기에는 장착홀더(490)의 후면에 구비된 지지돌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지지홈(443)에 끼워지면,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되는 과정에서 장착홀더(49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A support groove 443 is recessed in the support jaw 442 . The support groove 443 may be made of a structure that is recessed under the support jaw 442 .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groove 443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and a support protrusion (not shown)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holder 490 may be inserted therein. When the support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443, the mounting holder 490 may not be shaken from side to side while the mounting holder 490 is elastically deformed.

상기 홀더장착부(440)에는 홀더장착홀(445)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장착홀(445)은 상기 홀더장착부(44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홀더장착홀(445)은 상기 제2이격벽(32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장착홀(445)에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일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일부는 제2홀더브라켓(340)의 홀더걸림홈(343)(첨부된 도 35 및 도 36 참조)에 끼워진다. 즉, 상기 장착홀더(490)의 일부가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걸림홈(343)에 끼워지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홀더브라켓(340)은 제2위치에서 상기 바닥프레임(320)에 고정될 수 있다. A holder mounting hole 445 is formed in the holder mounting portion 440 .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holder mounting portion 440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eparation wall 326 . A portion of the mounting holder 49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and the inserte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der holding groove 343 (see attached FIGS. 35 and 36) of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lose That is, a part of the mounting holder 490 passes through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and is inserted into the holder holding groove 343 . In this case,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may be fixed to the bottom frame 320 at the second position.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턱(442)의 반대편에는 유동방지부(447)가 돌출된다. 상기 유동방지부(447)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전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부(447)는 상기 지지턱(442)과 함께 상기 전더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부(447)는 파손방지를 위해 상기 지지턱(442)과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A flow prevention part 447 protrudes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jaw 442 centered on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 The flow prevention part 447 faces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holder 490 . The flow prevention part 447 can prevent the electric shock from shak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jaw 442 . The flow prevention part 447 may have a height equal to or lower than that of the support jaw 442 to prevent breakage.

도 31 및 도 32에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구조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홀더(49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장착홀더(490)는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제2홀더브라켓(340)의 홀더걸림홈(343)에 각각 끼워지고, 끼워진 후에는 원형으로 복원되어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더(490)는 분리될 때도 역시 탄성변형될 수 있다.31 and 32 show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holder 490 in detail. Referring to this, the mounting holder 49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a metal material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The mounting holder 49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of the bottom frame 320 and the holder holding groove 343 of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respectively, and after being inserted into a circular shape. It can be restored to maintain the jammed state. Also, when the mounting holder 490 is separated, it can also be elastically deformed.

상기 장착홀더(490)의 골격은 홀더바디(491)가 구성한다. 상기 홀더바디(491)는 상하높이와 좌우폭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다. 이때, 상기 홀더바디(491)에는 탄성변형부(495)가 구비되어서 상기 홀더바디(491)의 좌우폭이 가변될 수 있다. The skeleton of the mounting holder 490 is constituted by the holder body 491. The holder body 491 has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upper and lower heights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At this time, the holder body 491 is provided with an elastic deformation part 495 so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holder body 491 can be varied.

상기 홀더바디(491)의 하부에는 손잡이(492)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492)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홀더바디(491)를 탄성변형시키게 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손잡이(492)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A handle 492 is provided below the holder body 491 . The handle 492 is a part that elastically deforms the holder body 491 by being gripped by the user.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492 is configured as a pair.

상기 한 쌍의 손잡이(492)는 상기 탄성변형부(495)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바디(491)의 양쪽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492)를 동시에 파지하고 이들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상기 탄성변형부(495)의 폭이 좁아지면서 한 쌍의 체결홈(493a, 493b) 사이의 거리도 가까워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손잡이(492)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쪽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The pair of handles 492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491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with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495 therebetween. The user can grip the pair of handles 492 at the same time and apply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come closer.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495 narrows and the gap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grooves 493a and 493b may also be closer. Alternatively, the handle 492 may be provided only on either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상기 손잡이(492)에는 파지부(49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492')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손잡이(492)에서 상기 손잡이(492)의 면적을 넓히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파지부(492')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면적을 넓혀준다. 상기 파지부(492')는 위쪽으로도 돌출되는데, 도 34에서 보듯이, 이 부분은 앞서 설명한 상기 홀더장착부(440)의 회피홈(441a)에 안착될 수 있다. A gripping part 492'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handle 492. The gripping portion 492' extends from the handle 492 of the mounting holder 490 in a direction to widen the area of the handle 492. The gripping portion 492' expands an area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The gripping part 492' also protrudes upward, and as shown in FIG. 34, this part can be seated in the avoidance groove 441a of the holder mounting part 440 described above.

상기 홀더바디(491)와 상기 손잡이(492) 사이에는 체결홈(493a, 493b)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93a, 493b)은 상기 탄성변형부(495)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바디(491)의 하부 양쪽에 각각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93a, 493b)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홈(493a, 493b)이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가장자리에 걸리면 상기 장착홀더(49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탄성변형부(495)를 좁히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바디(491)를 탄성변형시키면, 상기 한 쌍의 체결홈(493a, 493b) 사이의 거리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폭 보다 짧아지면서 상기 장착홀더(490)가 상기 홀더장착홀(445)에서 분리될 수 있다. Fastening grooves 493a and 493b are formed between the holder body 491 and the handle 492 . The fastening grooves 493a and 493b are formed in recessed shapes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ody 491 with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495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astening grooves 493a and 493b are portions caught on the edge of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 When the fastening grooves 493a and 493b are caught on the edge of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the mounting holder 490 may not fall in the direction of separation. When the user elastically deforms the holder body 491 in the direction of narrowing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495,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grooves 493a and 493b i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While holding, the mounting holder 49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

상기 홀더바디(491)에는 탄성변형부(495)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상기 장착홀더(490)가 상기 홀더장착홀(445) 및 상기 홀더걸림홈(343)에 끼워지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 즉 두께 방향으로 상기 홀더바디(49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전후방으로 상기 홀더바디(491)를 관통한 형상이 된다. An elastic deformation part 495 is formed in the holder body 491 .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495 moves the holder body 49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unting holder 49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and the holder holding groove 343, that is, in the thickness direction. formed through That is,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495 has a shape penetrating the holder body 491 forward and backward.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상기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32에서 보듯이,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제1변형부(495a)와 제2변형부(495b)가 포함된다. 상기 제1변형부(495a)는 상대적으로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변형부(495b)는 아래쪽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1변형부(495a)와 상기 제2변형부(495b)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연속된 공간으로 볼 수 있다.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495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mounting holder 49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s shown in FIG. 32 ,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495 includes a first deformation part 495a and a second deformation part 495b. The first deformable portion 495a is formed at a relatively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deformable portion 495b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 first deformable portion 495a and the second deformable portion 495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can be seen as a continuous space.

상기 제1변형부(495a)는 대략 원형상이고, 상기 제2변형부(495b)는 상기 제1변형부(495a) 보다 폭이 좁고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변형부(495b)는 상기 홀더바디(491)의 하부로 개방되어 상기 장착홀더(490)가 보다 쉽게 탄성변형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될 때, 상기 제1변형부(495a) 보다 상기 제2변형부(495b)의 변형량이 더 많고, 상기 제2변형부(495b)에 인접한 상기 한 쌍의 체결홈(493a, 493b) 사이의 거리가 충분하게 좁혀질 수 있다. The first deformable portion 495a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the second deformable portion 495b is narrower than the first deformable portion 495a and extends downward. The second deformable portion 495b is op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ody 491 so that the mounting holder 49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more easily. Accordingly, when the mounting holder 490 is elastically deformed,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second deformable portion 495b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deformable portion 495a, and the pair adjacent to the second deformable portion 495b. The distance between the fastening grooves 493a and 493b of the can be sufficiently narrowed.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장착홀더(490)의 좌우 중심부(도 32의 점선 참조)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좌측 손잡이(492) 보다 우측 손잡이(492)에 가깝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더(490)는 비대칭구조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우측 손잡이(492)를 좌측(도 32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상기 탄성변형부(495)의 폭이 좁아지고, 홀더바디(491)의 좌측부분은 우측 손잡이(492)를 지지해주는 부분이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495 is formed at a position out of the center of the mounting holder 490 based on the left and right center (see dotted line in FIG. 32 ) of the mounting holder 490 .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495 is formed closer to the right handle 492 than the left handle 492, so that the mounting holder 490 has an asymmetrical structure. Accordingly, when the user pushes the right handle 492 to the lef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32 ), the width of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495 narrows, and the left part of the holder body 491 supports the right handle 492. be a part of it

이때, 상기 홀더바디(491)의 표면에는 홀더리브(491a)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리브(491a)는 상기 홀더바디(49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변형부(495)가 없는 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리브(491a)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강도를 보강해주고, 상기 장착홀더(490)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내면 사이의 유격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older rib 491a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lder body 491 . The holder rib 491a may be provided on a side of the holder body 491 that does not have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495 based on the center of the holder body 491 . The holder rib 491a may serv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mounting holder 490 and reduce a gap between the mounting holder 49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

도 33에서 보듯이, 상기 장착홀더(490)의 일부는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걸림홈(343)에 삽입되며, 상기 장착홀더(490)의 다른 일부인 체결홈(493a, 493b) 부분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체결홈(493a, 493b)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홀더(490)의 상부는 상기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홀더걸림홈(343)에 동시에 끼워지고, 하부는 상기 하면테두리(433)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3, a part of the mounting holder 490 passes through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and is inserted into the holder holding groove 343, and another part of the mounting holder 490 is a fastening groove 493a, Part 493b) is caught and fixed to the edge of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Based on the fastening grooves 493a and 493b,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holder 490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and the holder holding groove 343, and the lower part is the lower part of the lower edge 433. will be located in

도 33, 도 34 및 도 36에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홀더바디(491) 중 일부가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걸림홈(343)에 삽입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홀더바디(491) 중 상부는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홀더걸림홈(343)에 동시에 끼워지고, 손잡이(492) 부분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하부에 걸려 장착홀더(490)의 삽입정도가 제한된다.33, 34 and 36 show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holder body 491 of the mounting holder 490 passes through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and is inserted into the holder holding groove 343. As can be seen, the upper part of the holder body 491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and the holder holding groove 343, and the handle 492 is hooked and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holder 490 is limited.

이렇게 되면, 상기 제2홀더브라켓(340)과 상기 상부패널(310)은 상기 바닥프레임(320)으로부터 멀어지는 전방으로 분리될 수 없고, 또한 좌우방향으로도 분리될 수 없다. 상기 제2홀더브라켓(340)과 상기 상부패널(310)은 위쪽 방향으로는 분리될 수 있지만, 제1위치에서 상기 제1홀더브라켓(330)이 상기 바닥프레임(320)에 걸려 있으므로 위쪽으로도 분리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패널(310) 및 상기 제2홀더브라켓(340)의 조립체는 모든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and the upper panel 310 cannot be separated in a forward direction away from the bottom frame 320, nor can they be separated in a left-right direction.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and the upper panel 310 can be separated upwards, but since the first holder bracket 330 is hung on the bottom frame 320 in the first position, they can also move upwards. cannot be separated As a result, the assembly of the upper panel 310 and the second holder bracket 340 can maintain a fixed state in all directions.

또한,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턱(442)의 반대편에는 유동방지부(447)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유동방지부(447)는 상기 지지턱(442)과 함께 상기 장착홀더(490)가 아래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그리고, 상기 지지턱(442)의 지지홈(443)에는 장착홀더(490)의 후면에 구비된 지지돌기(미도시)가 삽입되므로, 상기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되는 과정 및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홀더(49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low prevention part 447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jaw 442 with the holder mounting hole 445 as the center, the flow prevention part 447, together with the support jaw 442, holds the mounting holder (490) prevents it from shaking up and down. In addition, since a support protrusion (not shown)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holder 49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groove 443 of the supporting jaw 442, the mounting holder 49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mounted. In the mounting holder 490 may not be shaken from side to side.

한편,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바닥 중 상기 홀더장착부(440)의 선단측 부위에는 조작공(327)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manipulation hole 327 may be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holder mounting portion 440 on the bottom of the bottom frame 320 .

상기 조작공(327)은 상부패널(310)이 각 홀더브라켓(330,340)에 의해 바닥프레임(320)에 임의조립(예컨대, 받침턱과 수용홈 간의 결합)된 상태에서 장착홀더(490)를 홀더장착부(440)에 장착할 경우 장착홀더(490)가 통과되는 구멍이다.The manipulation hole 327 holds the mounting holder 49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nel 310 is arbitrarily assembled to the bottom frame 320 by the respective holder brackets 330 and 340 (eg, coupling between the supporting jaw and the receiving groove) When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440, the mounting holder 490 passes through the hole.

이렇듯,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As such,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100. 이너케이스 110. 도어
120. 조립홈 121,122. 구멍
200. 아웃케이스 210. 측부벽
220. 바닥부 230. 후면프레임
300. 상면조립체 301. 접착제
310. 상부패널 311. 필름
320. 바닥프레임 321. 강도 보강용리브
322. 제1둘레벽 322a. 받침턱
323. 제2둘레벽 323a. 걸림턱
324. 도구 삽입공 325. 제1이격벽
326. 제2이격벽 326a. 장착공
326b. 유동 방지턱 327. 조작공
330. 제1홀더브라켓 331. 수용홈
332. 부착홈 340. 제2홀더브라켓
341. 후크 342. 부착홈
343. 홀더걸림홈 350. 조립홀더
440. 홀더장착부 490. 장착홀더
100. Inner case 110. Door
120. Assembly grooves 121,122. hole
200. Outcase 210. Side wall
220. Bottom 230. Rear frame
300. Top assembly 301. Adhesive
310. Top panel 311. Film
320. Bottom frame 321. Ribs for strength reinforcement
322. First circumferential wall 322a. jaw
323. Second circumferential wall 323a. snag
324. Tool insertion hole 325. First partition wall
326. Second separation bulkhead 326a. fitter
326b. Floating Bump 327. Manipulator
330. First holder bracket 331. Receiving groove
332. Attachment groove 340. Second holder bracket
341. Hook 342. Attachment groove
343. holder holding groove 350. assembly holder
440. Holder mounting part 490. Mounting holder

Claims (19)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의 양 측벽 외측에 설치되면서 양 측 벽면을 형성는 두 측부벽을 가지는 아웃케이스;
상기 아웃케이스의 두 측부벽 사이의 위치되는 상면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조립체는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과,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상부패널의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바닥프레임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Inner case providing storage space;
an outer case installed outside both side walls of the inner case and having two side walls forming both side walls;
It includes; an upper surface assembly positioned between the two side walls of the outer case;
The upper surface assembly
An upper panel forming an upper surface;
A bottom fram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while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 holder bracket attached and fix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유리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upper panel is made of gla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의 바닥에는 어느 한 색상의 도료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abin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int of one color is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의 바닥에는 어느 한 색상의 필름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abin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ilm of one color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상부패널의 바닥면 중 적어도 두 둘레벽에 각각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plurality of holder brackets are provided and attached to at least two circumferential wall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홀더브라켓은 상기 상부패널의 서로 대칭되는 두 둘레벽에 각각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5,
Each of the holder brackets is attached to two symmetrical circumferential walls of the upper panel,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홀더브라켓과 상부패널 간의 대향면은 접착제로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opposing surfaces between the holder brackets and the upper panel are bonded with an adhesi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홀더브라켓 중 상부패널과의 대향면에는 접착제의 도포 또는, 부착을 위한 부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n attachment groove for applying or attaching an adhesive is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upper panel of each holder brac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 중 선단 및 후단에는 둘레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어느 한 둘레벽 내면에는 받침턱이 형성되고,
상기 각 홀더브라켓 중 어느 한 홀더브라켓에는 상기 받침턱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
Circumferential walls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respectively,
A support jaw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of the circumferential walls of the bottom frame,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n accommodation groove in which the supporting jaw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one of the holder bracket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다른 한 둘레벽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각 홀더브라켓 중 다른 한 홀더브라켓에는 상기 바닥프레임에 상부패널을 얹을 경우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부로의 유동이 구속되는 후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9,
At least one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bottom frame,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hook is formed on the other holder bracket among the holder brackets to be caught on the chin and restrict upward flow when the upper panel is placed on the bottom fram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바닥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린 후크의 구속 해제를 위해 손이나 도구가 삽입되도록 도구 삽입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A tool insertion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frame to allow a hand or tool to be inserted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hook caught on the locking jaw.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에는 다른 한 둘레벽와 이격되게 위치된 이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벽에는 장착홀더가 관통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각 홀더브라켓 중 다른 한 홀더브라켓에는 상기 장착공을 관통한 장착홀더의 일부가 수용되어 구속되는 홀더걸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9,
A separation wall spaced apart from the other circumferential wall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At least one mounting hole through which a mounting holder is installed penetrates the separation wall,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holder locking groove is formed in another one of the holder brackets to receive and restrain a part of the mounting holder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ho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 중 상기 이격벽의 인접 부위에는 상기 장착홀더의 장착 혹은, 분리를 위한 조작공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n operating hole for attaching or detaching the mounting holder is formed through a portion of the bottom frame adjacent to the partition wal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이격벽에는 상기 장착홀더의 일부가 조작공을 관통하여 설치될 경우 상기 장착홀더의 일부가 상하 유동됨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flow barrier is formed on the separation wall of the bottom frame to prevent a portion of the mounting holder from moving up and down when a portion of the mounting holder is installed through the manipulation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강도 보강용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strength reinforcing rib is formed on the bottom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조립체는 상기 두 측부벽과는 별개로 형성되면서 양 측면이 상기 두 측부벽의 상단 사이에 수용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top assembly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two side walls and installed so that both side surfaces are accommodated between upper ends of the two side wal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에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조립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립홈에 장착되는 조립홀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assembly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n assembly holder mounted in the assembly recess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assembly body.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 및 조립홀더는 각각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assembly groove and the assembly holder are each provided in a plurality of at least two or mor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은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 바닥에는 상기 조립홈을 덮는 보호캡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assembly groove is formed as a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 cabin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rotective cap covering the assembly groove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KR1020210092814A 2021-07-15 2021-07-15 cabinet device KR2023001225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14A KR20230012258A (en) 2021-07-15 2021-07-15 cabinet device
PCT/KR2022/008371 WO2023287027A1 (en) 2021-07-15 2022-06-14 Cabine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14A KR20230012258A (en) 2021-07-15 2021-07-15 cabine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258A true KR20230012258A (en) 2023-01-26

Family

ID=8511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814A KR20230012258A (en) 2021-07-15 2021-07-15 cabine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2258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397A (en) 2005-07-01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door
KR20130135485A (en) 2012-06-01 201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Door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coration pane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e panel
KR20140102808A (en) 2013-02-15 2014-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Door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397A (en) 2005-07-01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door
KR20130135485A (en) 2012-06-01 201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Door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coration pane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e panel
KR20140102808A (en) 2013-02-15 2014-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Door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375B1 (en) A modular apparatus for realization of wardrobes provided with plastic structure
CA2677114C (en) Support systems and components for same
CN109154320B (en) Hidden engagement system with front actuation for bottom piece of furniture and household articles
KR20230012258A (en) cabinet device
KR102619584B1 (en) cabinet device
KR102562299B1 (en) Refrigerator
KR20070004356A (en) Tray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101124410B1 (en) The Assembly structure of refrigerator's front case
JP4208473B2 (en) Storage furniture
CN213191472U (en) Household disinfection cabinet capable of quickly installing hooks
JP5815659B2 (en) Fixtures
JP2532815B2 (en) Storage container
KR102091361B1 (en) Fixing device for shelf
JP4227937B2 (en) Storage cabinet for bathroom
JP3218382U (en) Rack frame having connecting structure
JP3127037U (en) Furniture handle
KR200491470Y1 (en) Toolbox
JP5624748B2 (en) Wiring cover, fixture
US2340274A (en) Fixture
CN209884064U (en) Control board box and dish washer
KR101325445B1 (en) Handle for refrigerator display
KR200425870Y1 (en) A wall tapestry type shelf
KR101396079B1 (en) a closet
KR960001279Y1 (en) Daily necessities cabinet
KR20170021128A (en) Door for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oor for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