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584B1 - cabinet device - Google Patents
cabine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9584B1 KR102619584B1 KR1020210093005A KR20210093005A KR102619584B1 KR 102619584 B1 KR102619584 B1 KR 102619584B1 KR 1020210093005 A KR1020210093005 A KR 1020210093005A KR 20210093005 A KR20210093005 A KR 20210093005A KR 102619584 B1 KR102619584 B1 KR 1026195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bracket
- rear frame
- front panel
-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94 ferro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7—Furniture panels consisting of a frame with interchangeable insertable pane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8—Decorative panels for household applian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11—Door leaves with easily replaceable or interchangeabl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넷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보관 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조립체(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조립체(400)에는 상기 도어조립체(400)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패널(410)과,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프레임(43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패널(410)에는 제1브라켓(450) 및 제2브라켓(470)이 결합되고, 상기 후면프레임(430) 및 상기 제2브라켓(470)에는 장착홀더(490)가 끼워져 상기 제2브라켓(470)을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제2위치에 고정시켜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탈착되는 장착홀더(490)를 이용하여 고정되므로 전면패널(410)의 고정과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abinet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body providing a storage space, and a door assembly 400 coupled to the case body to shield the storage space. In addition, the door assembly 400 is provided with a front panel 410 that constitutes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400, and a rear frame 430 disposed behind the front panel 410. A first bracket 450 and a second bracket 470 are coupled to the front panel 410, and a mounting holder 490 is inserted into the rear frame 430 and the second bracket 470 to secure the second bracket. (470) can be fixed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rear frame (430).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anel 410 can be easily fixed and separated because it is fixed using the detachable mounting holder 490.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물품의 저장을 위한 기기 혹은, 여타 가전 제품의 외관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캐비넷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toring various items or a cabinet device provided to form the appearance of other home appliances.
일반적으로 캐비넷 장치는 내부의 저장 공간에 물건이나 식품 혹은, 제품을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기구이다.In general, a cabinet device is a device provided to store objects, food, or products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상기 캐비넷 장치는 서랍장이나 협탁, 금고 혹은, 보관함과 같이 내부에 저장 공간을 가지면서 독립 사용이 가능한 기구나 가구일 수도 있고, 냉장고나 세탁기와 같이 내부에 저장 공간을 가지는 가전 제품의 외관을 구성할 수도 있다.The cabinet device may be an appliance or furniture that has an internal storage space and can be used independently, such as a chest of drawers, a side table, a safe, or a storage box, or may form the exterior of a home appliance that has an internal storage space, such as a refrigerator or washing machine. It may be possible.
최근에는 상기 캐비넷 장치나 냉장고 등 가전제품의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외관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변경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캐비넷 장치나 냉장고 등의 설치환경 또는 주위의 가구/가전 제품과의 조화를 위해서 전면의 색상이나 디자인을 다양하게 하는 구조들이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as consumer interest in the design of home appliances such as cabinets and refrigerators has increased, various products whose appearance can be changed to suit the user's preference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structures that vary the color or design of the front surface are being developed to harmonize with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cabinet devices, refrigerators, etc., or with surrounding furniture/home appliances.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11-0042786호(선행문헌1)와 등록특허 제10-2147123호(선행문헌2) 및 미국특허 제8789900호(선행문헌3) 등에서와 같이 냉장고의 외관 중 도어의 전면을 유리패널로 형성하거나 장식패널로 구성하는 기술들이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Publication Patent No. 10-2011-0042786 (Prior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No. 10-2147123 (Prior Document 2), and U.S. Patent No. 8789900 (Prior Document 3), the front of the door among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There are techniques to form glass panels or construct them into decorative panels.
여기서, 선행문헌1은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장식패널을 부착하여 냉장고의 미감을 높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고, 선행문헌2는 데코패널을 교체하여 냉장고 도어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3은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패널이 장착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커버패널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Here, Prior Document 1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enhances the aesthetics of a refrigerator by attaching a decorative panel to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Prior Document 2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allows the design of the refrigerator door to be changed in various ways by replacing the decorative panel. Prior Literature 3 relates to a technology in which a cover panel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front door of a refrigerator is mounted, and the cover panel is detachably configured to create an exterior appearance of the front door that suits the user's preference.
하지만, 선행문헌1은 도어의 디자인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임의로 바꿀 수 없고, 선행문헌2는 단순한 후크구조를 이용하여 데코패널을 냉장고 프레임에 고정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특히 무거운 유리패널을 적용할 경우에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데코패널이 분리될 위험이 높다. 선행문헌3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도어 외관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 데코패널 전체를 분리 후 교체하여야 하므로 교체가 매우 불편하고, 분리 및 장착을 위한 부품수가 많아져 생산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데코패널의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Prior Document 1, the door design cannot be arbitrarily changed to suit the user's preference, and in Prior Document 2, since the decorative panel is fixed to the refrigerator frame using a simple hook structure, not only is stability low, but especially the heavy glass panel is used. When applied, there is a high risk of the decorative panel being separated during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the case of Prior Document 3, if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appearance of the door, the entire decoration panel must be separated and replaced, making replacement very inconvenient. The number of parts for separation and installation increases, which not only increases production costs but also requires assembly of the decoration panel. There is a problem of lack of gende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는 캐비넷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inet product in which the design or color of the door can be select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전면패널이 도어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동시에 전면패널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front panel of a door is firmly fixed to the frame of the door,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panel can be easily separ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프레임은 고정된 상태로 전면패널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only the front panel to be replaced while the door frame is fix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보관 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조립체에는 상기 도어조립체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프레임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패널에는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후면프레임 및 상기 제2브라켓에는 장착홀더가 끼워져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후면프레임의 제2위치에 고정시켜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탈착되는 장착홀더를 이용하여 고정되므로 전면패널의 고정과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body that provides a storage space, and a door assembly that is coupled to the case body and shields the storage space. Additionally, the door assembly is provided with a front panel constituting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and a rear frame disposed behind the front panel.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are coupled to the front panel, and a mounting holder is inserted into the rear frame and the second bracket to fix the second bracket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rear frame.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fixed using a detachable mounting holder, the front panel can be easily fixed and separated.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전면패널의 상부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전면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은 두 개의 브라켓을 통해 후면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bracket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dge of the front panel, and the second bracket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dge of the front panel. The front panel can be firmly fixed to the rear frame through two brackets.
또한, 상기 전면패널은 유리재질이고,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조립체를 구성하는 후면프레임은 도어조립체에 고정된 상태로, 전면패널만 교체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ront panel is made of glass, and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can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front panel. Therefore, the rear frame constituting the door assembly is fixed to the door assembly, and only the front panel can be replaced.
그리고, 상기 장착홀더는 서로 연결된 상기 후면프레임의 홀더장착홀과 상기 제2브라켓의 홀더걸림홈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홀더의 일부는 상기 홀더장착홀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걸림홈에 삽입되며, 상기 장착홀더의 다른 일부는 상기 홀더장착홀의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mounting holder may be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hole of the rear frame and the holder locking groove of the second bracket, respectively,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a part of the mounting holder may pass through the holder mounting hole and be inserted into the holder engaging groove, and another part of the mounting holder may be caught and fixed to an edge of the holder mounting hole.
또한, 상기 장착홀더에는 상기 홀더장착홀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한 쌍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더에서 상기 한 쌍의 체결홈 사이에는 탄성변형부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체결홈 사이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착홀더를 탄성변형시켜 전면패널을 쉽게 탈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holder is formed with a pair of fastening grooves that engage the edge of the holder mounting hole, and an elastic deformation part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grooves in the mounting hold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grooves is variable. It can be.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detach the front panel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mounting holder.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전면패널의 제2위치에서 상기 제2전면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기 홀더걸림홈은 상기 제1브라켓의 반대방향을 향해 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후면프레임의 제1위치에 건 상태로, 제2위치에서는 장착홀더를 이용하여 전면패널을 고정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bracket is coupled along an edge of the second front panel at a second position of the front panel, and the holder engaging groove may have an opening open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bracket. Accordingly, the front panel can be hung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rear frame and fixed at the second position using a mounting holder.
또한, 상기 후면프레임의 제1위치에는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위치에서는 제1브라켓을 통해 전면패널이 간단하게 후면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fix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at a first position of the rear frame, and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bracket. Therefore, in the first position, the front panel can be simply fixed to the rear frame through the first bracket.
그리고, 상기 후면프레임의 제1위치에는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과 상기 제1브라켓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후면프레임의 제2위치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fix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rear frame, and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inser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back of the front panel and the first bracket. 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may protrude toward the second position of the rear frame.
또한, 상기 장착홀더는 탄성변형부가 형성된 홀더바디와, 상기 탄성변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바디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변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바디의 양쪽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데, 상기 손잡이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변형부를 좁히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바디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한 쌍의 체결홈 사이의 거리가 상기 홀더장착홀의 폭 보다 짧아져 장착홀더를 장착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mounting holder may include a holder body on which an elastic deformable portion is formed, and a pair of fasten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with the elastic deformabl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handl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with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in between, and the handles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handl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holder body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narrowing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grooves become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holder mounting hole, allowing the mounting holder to be mounted.
그리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장착홀더가 상기 홀더장착홀 및 상기 홀더걸림홈에 끼워지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홀더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holder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unting holder is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hole and the holder engaging groove.
또한 상기 탄성변형부는 제1변형부와, 상기 제1변형부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바디의 하부로 개방되는 제2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변형부는 상기 제2변형부 보다 좌우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may include a first deformation part and a second deforma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deformation part and open to the lower part of the holder body. At this time, the first deformable part may have a left-right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deformable part.
그리고, 상기 장착홀더의 좌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장착홀더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Also, based on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mounting holder,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mounting holder.
또한, 상기 장착홀더의 손잡이에는 상기 손잡이의 면적을 넓히는 방향으로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프레임에는 상기 파지부가 안착되는 회피홈이 함몰될 수 있다. In addition, a grip part is formed on the handle of the mounting holder in a direction to expand the area of the handle, and an avoidance groove in which the grip part is seated may be recessed in the rear frame.
그리고, 상기 후면프레임에는 상기 홀더장착홀의 사이에 두고 상기 장착홀더의 후면과 마주보는 상기 후면프레임의 일면과 이격된 위치에 유동방지부가 돌출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flow prevention portion may be protruded from the rear fram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rear frame facing the rear of the mounting holder and positioned between the holder mounting holes.
또한, 상기 장착홀더의 후면과 마주보는 상기 후면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장착홀더의 후면을 향해 지지턱이 돌출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support protrusion may protrude toward the rear of the mounting holder on one surface of the rear frame facing the rear of the mounting holder.
그리고, 상기 지지턱에는 지지홈이 함몰되고, 상기 지지홈에는 상기 장착홀더의 후면에서 돌출된 지지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Also, a support groove is recessed in the support jaw, and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mounting holder can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또한, 상기 후면프레임의 후방에는 도어라이너가 결합되고, 상기 도어라이너와 상기 후면프레임은 상기 도어조립체의 도어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door liner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rear frame, and the door liner and the rear frame may be fixed to the door frame of the door assembly.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 또는 상기 후면프레임의 전면 중 어느 한쪽에는 고정자석이 설치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상기 고정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성부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xed magnet may be installed on either the back of the front panel or the front of the rear frame, and a magnetic part that generates attractive force with the fixed magnet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ed magnet.
또한, 상기 후면프레임의 중심부에는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을 향해 패널밀착부가 돌출되고, 상기 후면프레임의 가장자리와 상기 패널밀착부의 사이에는 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고정자석 또는 자성부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anel adhesion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rear of the front panel at the center of the rear frame, an installat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rear frame and the panel adhesion portion, and the fixed magnet or magnetic portion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You can.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의 둘레면은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의 둘레면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anel may protrude further outward than the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캐비넷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도어조립체 중 외부로의 노출되는 전면패널을 도어조립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의 전면패널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넷 장치의 미감이 향상될 뿐 아니라 디자인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In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ane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assembly can be separated from the door assembly, and the user can replace the front panel with a front panel of various designs and colors desired. Accordingly, not only can the aesthetics of the cabinet device be improved, but the range of design choices can be expand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면패널은 두 개의 브라켓을 통해 후면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될 뿐 아니라, 탈착되는 장착홀더를 이용하여 고정되므로 전면패널의 분리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패널의 교체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anel is not only firmly fixed to the rear frame through two brackets, but also is fixed using a detachable mounting holder, so the front panel can be easily removed.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replacing the front panel is improved.
특히, 도어조립체가 가구 뿐 아니라, 냉장고, 스타일러, 식기세척기 등과 같이 도어가 반복적으로 여닫히는 제품에 적용되더라도, 두 개의 브라켓이 전면패널을 후면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고 있으므로 도어가 여닫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면패널의 진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particular, even if the door assembly is applied not only to furniture but also to products where the door is repeatedly opened and closed, such as refrigerators, stylers, and dishwashers, the two brackets stably fix the front panel to the rear frame, so that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dur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rocess. It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vibration of the front panel.
또한, 본 발명에서는 후면프레임이 도어조립체의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전면패널만 후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어조립체의 디자인을 변경하고자 할 때 후면프레임까지 모두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어 디자인의 변경구조가 간단해질 뿐 아니라, 교체를 위한 비용도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frame is fixed to the door frame of the door assembly, and only the front panel can be separated from the rear frame. When changing the design of the door assembly,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entire rear frame, which not only simplifies the structure of changing the door design, but also reduces the cost of replacement.
그리고, 전면패널을 후면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홀더는 탄성변형을 통해 후면프레임과 브라켓에 각각 끼워질 수 있고, 반대로 탄성변형을 통해 분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공구 없이도 전면패널을 후면프레임으로부터 쉽게 탈거할 수 있고, 이는 사용편의성을 높여준다. In addition, the mounting holder for fixing the front panel to the rear frame can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rear frame and bracket through elastic deformation, and conversely, it can be separated through elastic deformation. Therefore, users can easily remove the front panel from the rear frame without any additional tools, which increases convenience of use.
또한, 전면패널에 결합된 브라켓은 후면프레임의 가장자리에 걸려 있으므로, 장착홀더를 분리하더라도 전면패널이 곧바로 후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낙하하지 않고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무거운 유리소재의 전면패널이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되더라도, 전면패널의 교체편의성과 안전성이 높은 장점도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bracket coupled to the front panel hangs on the edge of the rear frame, even if the mounting holder is removed, the front panel does not immediately separate or fall from the rear frame and can remain in a pre-assembled state. Therefore, even if the heavy glass front panel is installed in the upright direction,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high safety and convenience of replacing the front panel.
그리고, 도어조립체 중 외부로의 노출되는 전면패널 부위가 유리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캐비넷 장치의 전면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front panel portion of the door assembly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is made of glass, the aesthetics of the front of the cabinet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도어조립체를 구성하는 전면패널과 후면프레임에는 자석과 자성체가 각각 구비되어, 전면패널을 후면프레임에 자력으로 고정해줄 수 있다. 자석과 자성체는 두 개의 브라켓이 손상되더라도 전면패널의 장착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고, 따라서 도어조립체의 설치내구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panel and rear frame that make up the door assembly are each provided with a magnet and a magnetic material, so that the front panel can be magnetically fixed to the rear frame. The magnet and magnetic material can maintain the installed state of the front panel even if the two brackets are damaged, thereby improving the installation du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doo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캐비넷 장치의 일실시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의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 중 전면패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의 부품 중 후면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X1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X1에 해당하는 부분을 아래에서 보인 저면도.
도 8은 도 4의 VIII-V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도 4의 IX-IX'선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X-X'선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도 4의 XI-X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의 부품 중 전면패널과 제1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의 부품 중 전면패널과 제2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브라켓과 전면패널이 후면프레임에 결합된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브라켓의 구성을 도 16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브라켓과 전면패널이 후면프레임에 결합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장착홀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장착홀더의 구성을 도 20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장착홀더가 후면프레임 및 제2브라켓에 각각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장착홀더가 후면프레임 및 제2브라켓에 각각 결합된 모습을 아래쪽에서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장착홀더가 후면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장착홀더가 후면프레임 및 제2브라켓에 각각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xample of a cabin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ts of the do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panel of a do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r frame among the door part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X1 of Figure 5.
Figure 7 is a bottom view of the part corresponding to X1 in Figure 5 from below.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in Figure 4.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ure 4.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ure 4.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XI' of FIG. 4.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ront panel and the first bracket among the door par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ront panel and the second bracket among the door par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bracke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bracket and a front pane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a rear frame.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bracke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bracke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ure 16.
Figure 18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bracke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bracket and a front pane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a rear frame.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unting hold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unting hold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ure 20.
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hold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rear frame and the second bracket, respectively.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showing the mounting hold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rear frame and the second bracket, respectively.
Figure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hold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rear frame.
Figure 2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hold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rear frame and the second bracket,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캐비넷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비넷 장치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조립체(40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전면조립체(400)는 캐비넷 장치의 보관 공간을 차폐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와 달리 상기 전면조립체(400)는 상기 캐비넷 장치에 고정되고, 보관 공간을 여닫는 기능은 캐비넷 장치의 측면, 후면 또는 상면 등이 담당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면조립체(400)는 단순히 캐비넷 장치의 전면을 구성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이하에서는 상기 전면조립체(400)가 도어 기능을 하는 도어조립체(400)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inet device, and particularly includes a
한편,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물건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함이나 가구일 수 있고, 또는 냉장고, 냉동고, 김치냉장고, 식물재배장치, 스타일러, 세탁기 등 가전기기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가 냉장고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torage box or furniture for storing items, or may be a home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freezer, kimchi refrigerator, plant cultivation device, styler, or washing machine. Hereinafter, the cabi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refrigerator as an example.
도 1과 도 2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는 이너케이스(도시되지 않음)와 아웃케이스(200) 및 상면조립체(300)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케이스(200)의 전방에는 도어조립체(400)가 설치된다. 이와 달리, 캐비넷 장치는 이너케이스와 아웃케이스(200)가 독립적으로 구성되지 않고, 하나의 케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1 and 2,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case (not shown), an
상기 이너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되고 양 측면과 상하면 및 배면을 가지는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케이스의 내부는 보관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너케이스에 의해 보관 공간이 제공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너케이스 내의 보관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이나 격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The inner case is formed as a cylindrical body with an open front and two sides, a top, a bottom, and a back, and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can be used as a storage space. In other words, storage space is provided by the inner case. Although not shown, the storage space within the inner cas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by at least one shelf or partition.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양 측면을 형성하는 두 측부벽(210) 및 바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200)의 개방된 후면은 후면플레이트(230)로 폐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후면플레이트(230)는 상기 두 측부벽(2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아웃케이스(200)의 전방에는 도어조립체(400)가 설치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조립체(400)는 상기 아웃케이스(2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도어조립체(400)는 상기 보관 공간을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도어조립체(400)는 상기 아웃케이스(2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A
상기 도어조립체(400)의 전면은 유리소재의 전면패널(4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410)이 유리소재이므로 미감을 높일 수 있으나, 무겁기 때문에 안정적인 장착과 용이한 교체를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면패널(410)의 교체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front of the
도 3을 보면, 본 실시례에 의한 도어조립체(400)를 구성하는 각 부품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도어조립체(400)는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전면패널(410)과 후방에 배치된 후면프레임(4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410)을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브라켓(450,470)이 전면패널(410)과 후면프레임(4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each part constituting the
이때, 상기 후면프레임(430)은 상기 아웃케이스(2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전면패널(410)만 상기 후면프레임(43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후면프레임(430)은 직접 상기 아웃케이스(200)에 힌지고정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도어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되고, 도어프레임이 아웃케이스(200)에 힌지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후방에는 도어라이너가 구비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상기 전면패널(410)에는 색상을 가지는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색상 필름의 부착으로써 전면패널(410)이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색상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필름은 통상의 색상이나 문양을 가지는 필름으로 형성되거나 불투명한 시트지로 형성됨으로써 전면패널(410) 안쪽의 구조물이나 형상이 투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필름은 색상만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문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 colored film may be attached to the
상기 필름은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름이 원치않게 벗겨지거나 외부 노출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전면패널(410)은 그 자체로 색상을 가지는 유리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에 어느 한 색상의 도료가 도포될 수도 있다.The film may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패널(410)의 둘레면(415)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패널(410)의 가장자리인 둘레면이 각진 구조가 아니라 라운드진 구조가 되면, 유리 재질의 전면패널(410)에 의한 사용자의 베임과 부상이나 깨짐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둘레면은 상기 전면패널(410)의 가장자리를 둘러 위치한 테두리면인 외둘레면을 의미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다음으로 상기 후면프레임(430)을 살펴보면, 상기 후면프레임(430)은 상기 도어조립체(400)의 몸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프레임(430)은 비노출 부위이기 때문에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Next, looking at the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후면프레임(430)은 대략 사각판 형상이고, 가장자리를 둘러 테두리부가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전후방향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테두리부는 상면테두리(431), 측면테두리(432) 및 하면테두리(433)를 포함한다. 이중에서 상기 상면테두리(43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돌기(436)가 구비되고, 상기 하면테두리(433)에는 장착홀더(490)가 고정되는 홀더장착부(440)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5, the
상기 후면프레임(430)에서 상기 상면테두리(431), 측면테두리(432) 및 하면테두리(433)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부분에는 패널밀착부(435)가 구비된다. 상기 패널밀착부(435)는 상기 전면패널(410) 방향, 즉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패널밀착부(435)는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전면과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 사이를 좁히거나, 이들이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A
상기 패널밀착부(435)에는 보강리브(435')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435')는 상기 사출물로의 성형시 발생되는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서 보듯이 대략 격자형상이 될 수 있다.The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가장자리와 상기 패널밀착부(435)의 사이에는 설치부(435a)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435a)는 상기 상면테두리(431), 측면테두리(432) 및 하면테두리(433)와 상기 패널밀착부(435) 사이에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함몰된 공간이 된다. 상기 설치부(435a)는 상기 패널밀착부(435)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될 수 있다. An
상기 설치부(435a)에는 고정자석(도시되지 않음) 또는 강자성체인 금속으로 만들어진 자성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435a)와 마주보는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에는 자성부 또는 고정자석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410)은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될 제1브라켓(450) 및 제2브라켓(470)에 의해 상기 전면패널(410)이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고정되지만, 상기 고정자석과 자성부는 이중으로 전면패널(410)을 고정해줄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자석과 자성부는 일종의 안정장치로 볼 수 있고, 도어조립체(400)의 안정성을 높인다. A fixed magnet (not shown) or a magnetic part (not shown) made of ferromagnetic metal may be installed in the
상기 상면테두리(431)에는 고정돌기(436)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436)는 상기 상면테두리(431)에서 상기 하면테두리(433)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고정돌기(436)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브라켓(450)의 고정홈(451)에 끼워진다. 상기 제1브라켓(450)의 고정홈(451)에 상기 고정돌기(436)가 끼워지면, 상기 제1브라켓(450)이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제1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The
여기서 제1위치란, 상기 제1브라켓(450)이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고정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2위치란 후술할 제2브라켓(470)이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고정되는 위치를 의미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위치는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상부 가장자리이고, 제2위치는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하부 가장자리가 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는 각각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좌우의 가장자리가 될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position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상기 고정돌기(436)는 상기 상면테두리(431)를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돌기(436)는 상기 하면테두리(433)를 향해 돌출된 길이 보다 좌우길이가 더 길다. 상기 전면패널(410)이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돌기(436)는 상기 제1브라켓(450)의 고정홈(451)에 자연스럽게 끼워질 수 있다. The fixing
상기 후면프레임(430)에는 라이너체결홀(438)이 형성된다. 상기 라이너체결홀(438)은 상기 후면프레임(430)을 관통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라이너체결홀(438)은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어라이너(미도시)와 상기 후면프레임(430) 사이의 조립을 위한 것이다. 상기 라이너체결홀(438)은 상기 설치부(435a)에 배치되는데, 상기 설치부(435a)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A
상기 후면프레임(430)에는 홀더장착부(440)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장착부(440)는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제2위치에 배치되고, 장착홀더(49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홀더장착부(440)에는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470)이 배치되고, 장착홀더(490)가 상기 홀더장착부(440)에 끼워지면 상기 제2브라켓(470)이 상기 홀더장착부(44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홀더장착부(44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홀더장착부(440)는 상기 하면테두리(433)에 구비된다. 상기 홀더장착부(440)는 상기 하면테두리(433)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홀더장착부(440)는 상기 하면테두리(433)에서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중심부 방향, 즉 상기 상면테두리(431)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장착부(440)는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는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홀더장착부(440)에는 회피부(441)가 구비된다. 상기 회피부(441)는 제2브라켓(470)이 삽입되는 홀더장착홀(445)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다. 상기 회피부(441)는 상기 홀더장착부(440)에서 상부로 돌출되고, 반대쪽에는 회피홈(441a)이 마련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회피홈(441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홀더(490)의 파지부(492')가 안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회피홈(441a)은 상기 파지부(492')가 상기 하면테두리(433)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홀더장착부(440)에는 지지턱(442)이 돌출된다. 상기 지지턱(442)은 상기 장착홀더(490)의 후면과 마주보는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일면에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지지턱(442)은 상기 후면테두리와 상기 설치부(435a)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지지턱(442)은 상기 장착홀더(490)의 후면을 향해 돌출되어서, 상기 장착홀더(49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장착홀더(49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A
상기 지지턱(442)에는 지지홈(443)이 함몰된다. 상기 지지홈(443)은 상기 지지턱(442)의 아래쪽에 함몰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지홈(443)은 대략 삼각형상이고, 여기에는 장착홀더(490)의 후면에 구비된 지지돌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지지홈(443)에 끼워지면,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되는 과정에서 장착홀더(49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A
상기 홀더장착부(440)에는 홀더장착홀(445)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장착홀(445)은 상기 홀더장착부(44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홀더장착홀(445)은 상기 하면테두리(433)에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홀더장착홀(445)에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일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일부는 제2브라켓(470)의 홀더걸림홈(473)에 끼워진다. 즉, 상기 장착홀더(490)의 일부가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걸림홈(473)에 끼워지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브라켓(470)은 제2위치에서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고정될 수 있다. A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턱(442)의 반대편에는 유동방지부(447)가 돌출된다. 상기 유동방지부(447)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전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부(447)는 상기 지지턱(442)과 함께 상기 전더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부(447)는 파손방지를 위해 상기 지지턱(442)과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A
다음으로 상기 제1브라켓(450)을 보면, 상기 제1브라켓(450)은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에 결합되고, 제1위치에서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전면패널(410)은 상기 제1브라켓(45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고정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브라켓(450)은 상기 전면패널(410)의 상부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Next, looking at the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브라켓(45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합성수지소재 또는 금속속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450)의 상부에는 돌출몸체(452)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몸체(452)의 일부가 함몰되어 고정홈(45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451)은 상기 전면패널(410)과 접착되는 상기 제1브라켓(45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과 상기 제1브라켓(450)의 사이에 상기 고정홈(451)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도 12를 보면, 상기 제1브라켓(450)과 상기 전면패널(410)의 사이에 상기 고정홈(451)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고정홈(451)은 상부, 즉 상기 전면패널(410)의 둘레면(415)을 향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410)과 상기 제1브라켓(450)의 조립체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고정돌기(436)가 상기 고정홈(451)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5에 잘 도시되어 있다. Looking at Figure 12, it can be seen that the fixing
상기 제1브라켓(450)의 전면은 접착면이 되어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5에는 상기 제1브라켓(450)의 전면과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 사이에 구비된 접착부(K)가 도시되어 있다.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제1브라켓(450)의 전면은 연속된 동일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ont of the
다시 도 14를 보면, 상기 고정홈(451)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455)들이 구비되고, 유동방지돌기(459)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방지돌기(459)는 제1브라켓(450)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걸렸을 때, 제1브라켓(450)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유동방지돌기(459)는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전면에 구비된 유동방지리브(439)와 간섭되어, 상기 제1브라켓(450)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Looking again at FIG. 14, the fixing
상기 전면패널(410)에서 상기 제1브라켓(450)과 이격된 위치에는 제2브라켓(470)이 결합된다. 상기 제2브라켓(45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합성수지소재 또는 금속속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470)은 상기 제1브라켓(45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전면패널(410)을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브라켓(470)은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 중 하부에 결합되고,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브라켓(470)은 상기 제1브라켓(45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브라켓(470)은 상기 전면패널(410)을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제2위치에 고정시킨다. A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브라켓(450)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고정돌기(436)와 상기 고정홈(451)에 의해 고정되지만, 상기 제2브라켓(470)은 장착홀더(490)에 의해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홀더(490)가 상기 제2브라켓(470)에 끼워지기 전에는 상기 제2브라켓(470)은 상기 후면프레임(4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도 16 내지 도 18을 보면, 상기 제2브라켓(470)에는 브라켓몸체(471)가 좌우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브라켓몸체(471)에는 홀더걸림부(472)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걸림부(472)는 상기 장착홀더(49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홀더걸림부(472)에는 홀더걸림홈(473)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걸림홈(473)은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이를 통해 장착홀더(490)의 일부가 끼워진다. 도 16에 도시된 상기 브라켓몸체(471)의 전면은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에 접착되는 부분이다. 16 to 18, the
상기 홀더걸림홈(473)은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홀더장착홀(445)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홀더걸림부(472)는 상기 홀더장착부(440)와 같은 위치에 같은 개수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홀더(490)는 서로 연결된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제2브라켓(470)의 홀더걸림홈(473)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일부는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걸림홈(473)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더(490)의 다른 일부인 손잡이(492)는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가장자리에 걸려 삽입정도가 제한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브라켓(470)가 상기 전면패널(410)의 제2위치에서 상기 제2전면패널(4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면, 상기 홀더걸림홈(473)은 상기 제1브라켓(450)의 반대방향을 향해 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 상기 홀더걸림홈(473)은 아래쪽으로 개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서 도면부호 K는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과 상기 제2브라켓(470)의 전면이 서로 접착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When the
상기 제2브라켓(470)에는 상기 체결구삽입홈(47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삽입홈(475)은 상기 후면프레임(430)과 상기 도어라이너 사이의 조립을 위해서 체결되는 스크류의 일부가 상기 제2브라켓(47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삽입홈(475)은 상기 라이너체결홀(438)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브라켓(470)에는 브라켓보강부(476)가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보강부(476)는 상기 제2브라켓(470)의 후면, 즉 상기 전면패널(410)의 전면과 접착되는 제2브라켓(470)의 전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브라켓보강부(476)는 상기 제2브라켓(470)의 후면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브라켓보강부(476)는 제2브라켓(470)의 제조과정이나 상기 제2브라켓(470)과 상기 후면프레임(430) 사이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제2브라켓(470)의 휘어짐이나 손상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제2브라켓(470)에는 후크(47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477)는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걸림턱(미도시)에 걸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477)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브라켓(470)의 후단으로부터 각각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브라켓(470)과 상기 후면프레임(430) 사이는 장착홀더(490)에 의해 서로 고정되므로, 상기 후크(477)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제2브라켓(470)의 좌우 양단에는 차폐커버(47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커버(479)는 상기 제2브라켓(470)의 좌우양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브라켓(470)의 안쪽에 배치된 후크(477)나 상기 홀더걸림홈(473) 등을 가릴 수 있고, 제2브라켓(470)과 상기 후면프레임(430)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Shielding covers 479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한편, 도 8 내지 도 11을 보면, 상기 전면패널(410)의 둘레면(415)은 상기 제1브라켓(450) 및 제2브라켓(470)의 둘레면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된다. 도면부호 G는 상기 전면패널(410)의 둘레면(415)이 상기 제1브라켓(450) 및 제2브라켓(470)의 둘레면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된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410)이 전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많아질 수 있고, 전면패널(410)은 유리소재이므로 도어조립체(400)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Meanwhile, looking at FIGS. 8 to 11, the
상기 제2브라켓(470)은 장착홀더(490)에 의해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더(490)는 상기 후면프레임(430) 및 상기 제2브라켓(470)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2브라켓(470)을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제2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장착홀더(490)는 서로 연결된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제2브라켓(470)의 홀더걸림홈(473)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착홀더(490)는 상기 다수개의 홀더장착부(440)와 홀더걸림홈(473)마다 각각 끼워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장착홀더(490)가 상기 제2브라켓(470)과 상기 후면프레임(430) 사이를 조립해준다. The
도 20 내지 도 25에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구조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홀더(49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장착홀더(490)는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제2브라켓(470)의 홀더걸림홈(473)에 각각 끼워지고, 끼워진 후에는 원형으로 복원되어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더(490)는 분리될 때도 역시 탄성변형될 수 있다. 20 to 25 show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상기 장착홀더(490)의 골격은 홀더바디(491)가 구성한다. 상기 홀더바디(491)는 상하높이와 좌우폭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다. 이때, 상기 홀더바디(491)에는 탄성변형부(495)가 구비되어서 상기 홀더바디(491)의 좌우폭이 가변될 수 있다. The skeleton of the mounting
상기 홀더바디(491)의 하부에는 손잡이(492)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바디(491)와 상기 손잡이(492)의 사이에는 체결홈(493a, 493b)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492)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홀더바디(491)를 탄성변형시키게 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손잡이(492)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A
상기 한 쌍의 손잡이(492)는 상기 탄성변형부(495)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바디(491)의 양쪽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492)를 동시에 파지하고 이들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상기 탄성변형부(495)의 폭이 좁아지면서 상기 한 쌍의 체결홈(493a, 493b) 사이의 거리도 가까워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손잡이(492)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쪽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The pair of
상기 손잡이(492)에는 파지부(49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492')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손잡이(492)에서 상기 손잡이(492)의 면적을 넓히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파지부(492')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면적을 넓혀준다. 상기 파지부(492')는 위쪽으로도 돌출되는데, 도 23에서 보듯이, 이 부분은 앞서 설명한 상기 홀더장착부(440)의 회피홈(441a)에 안착될 수 있다. The
상기 홀더바디(491)와 상기 손잡이(492) 사이에는 체결홈(493a, 493b)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93a, 493b)은 상기 탄성변형부(495)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바디(491)의 하부 양쪽에 각각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93a, 493b)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홈(493a, 493b)이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가장자리에 걸리면 상기 장착홀더(49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탄성변형부(495)를 좁히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바디(491)를 탄성변형시키면, 상기 한 쌍의 체결홈(493a, 493b) 사이의 거리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폭 보다 짧아지면서 상기 장착홀더(490)가 상기 홀더장착홀(445)에서 분리될 수 있다. Fastening
상기 홀더바디(491)에는 탄성변형부(495)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상기 장착홀더(490)가 상기 홀더장착홀(445) 및 상기 홀더걸림홈(473)에 끼워지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 즉 두께 방향으로 상기 홀더바디(49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전후방으로 상기 홀더바디(491)를 관통한 형상이 된다. An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상기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21에서 보듯이,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제1변형부(495a)와 제2변형부(495b)가 포함된다. 상기 제1변형부(495a)는 상대적으로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변형부(495b)는 아래쪽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1변형부(495a)와 상기 제2변형부(495b)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연속된 공간으로 볼 수 있다. The
상기 제1변형부(495a)는 대략 원형상이고, 상기 제2변형부(495b)는 상기 제1변형부(495a) 보다 폭이 좁고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변형부(495b)는 상기 홀더바디(491)의 하부로 개방되어 상기 장착홀더(490)가 보다 쉽게 탄성변형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될 때, 상기 제1변형부(495a) 보다 상기 제2변형부(495b)의 변형량이 더 많고, 상기 제2변형부(495b)에 인접한 상기 한 쌍의 체결홈(493a, 493b) 사이의 거리가 충분하게 좁혀질 수 있다.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장착홀더(490)의 좌우 중심부(도 21의 점선 참조)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좌측 손잡이(492) 보다 우측 손잡이(492)에 가깝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더(490)는 비대칭구조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우측 손잡이(492)를 좌측(도 21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상기 탄성변형부(495)의 폭이 좁아지고, 홀더바디(491)의 좌측부분은 우측 손잡이(492)를 지지해주는 부분이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때, 상기 홀더바디(491)의 표면에는 홀더리브(491a)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리브(491a)는 상기 홀더바디(49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변형부(495)가 없는 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리브(491a)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강도를 보강해주고, 상기 장착홀더(490)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내면 사이의 유격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도 22와 도 23에서 보듯이, 상기 장착홀더(490)의 일부는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걸림홈(473)에 삽입되며, 상기 장착홀더(490)의 다른 일부인 체결홈(493a, 493b) 부분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체결홈(493a, 493b)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홀더(490)의 상부는 상기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홀더걸림홈(473)에 동시에 끼워지고, 하부는 상기 하면테두리(433)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s 22 and 23, a part of the mounting
도 25에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홀더바디(491) 중 일부가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걸림홈(473)에 삽입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홀더바디(491) 중 상부는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홀더걸림홈(473)에 동시에 끼워지고, 손잡이(492) 부분은 상기 홀더장착홀(44)의 하부에 걸려 장착홀더(490)의 삽입정도가 제한된다. Figure 25 shows a portion of the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브라켓(470)과 상기 전면패널(410)은 상기 후면프레임(430)으로부터 멀어지는 전방으로 분리될 수 없고, 또한 좌우방향으로도 분리될 수 없다. 상기 제2브라켓(470)과 상기 전면패널(410)은 위쪽인 상기 상면테두리(431) 방향으로는 분리될 수 있지만, 제1위치에서 상기 제1브라켓(450)이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걸려 있으므로 위쪽으로도 분리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면패널(410) 및 상기 제2브라켓(470)의 조립체는 모든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턱(442)의 반대편에는 유동방지부(447)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유동방지부(447)는 상기 지지턱(442)과 함께 상기 전더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그리고, 상기 지지턱(442)의 지지홈(443)에는 장착홀더(490)의 후면에 구비된 지지돌기(미도시)가 삽입되므로, 상기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되는 과정 및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홀더(49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캐비넷 장치의 도어조립체(400)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Next, we will look at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먼저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에는 상기 제1브라켓(450)과 제2브라켓(470)이 각각 접착된다. 상기 제1브라켓(450)과 상기 제2브라켓(470)은 각각 양면테잎 등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450)과 제2브라켓(47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데, 상기 제1브라켓(450)은 상기 전면패널(410)의 후면 중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브라켓(470)은 하부에 결합된다. First, the
이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450)이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상면테두리(431)를 향하도록 하면서 상기 전면패널(410)을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조립할 수 있다. 도 19에서 보듯이 상기 전면패널(410)을 기울인 상태로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조립하면, 그 과정에서 상기 제1브라켓(450)의 고정홈(451)에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고정돌기(436)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410)이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적층되도록 상기 전면패널(410)의 하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상기 제1브라켓(450)이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고정된 상태는 도 1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브라켓(450)의 고정홈(451)에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고정돌기(436)가 끼워지면, 상기 전면패널(410)은 제1위치에서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The state in which the
이때, 상기 전면패널(410)에 결합된 제2브라켓(470)은 후면프레임(430)의 가장자리인 하면테두리(433)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장착홀더(490)를 체결하기 전이라도 상기 전면패널(410)이 곧바로 후면프레임(43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낙하하지 않고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제2브라켓(470)의 홀더걸림홈(473)은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연결이란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제2브라켓(470)의 홀더걸림홈(473)이 서로 연속된 공간을 만든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더(490)는 서로 연결된 상기 후면프레임(430)의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제2브라켓(470)의 홀더걸림홈(473)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사용자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파지부(492')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탄성변형부(495)를 좁히는 방향으로 장착홀더(490)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우측 손잡이(492)를 좌측(도 21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상기 탄성변형부(495)의 폭이 좁아지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변형부(495)의 폭이 좁아지면서 상기 한 쌍의 체결홈(493a, 493b) 사이의 거리도 가까워질 수 있다. The user can elastically deform the mounting
상기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장착홀더(490)를 상기 홀더장착홀(445)에 삽입하면, 상기 장착홀더(490)의 상부 중 일부는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걸림홈(473)에 끼워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492')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장착홀더(490)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한 쌍의 체결홈(493a, 493b) 사이의 거리도 다시 복원된다. When the mounting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체결홈(493a, 493b)은 각각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가장자리에 끼워져 상기 장착홀더(490)가 다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동시에, 상기 회피홈(441a)에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파지부(492')가 안착되고, 상기 파지부(492')가 상기 하면테두리(433)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ir of
상기 장착홀더(490)가 조립되면, 상기 제2브라켓(470)과 상기 전면패널(410)은 상기 후면프레임(430)으로부터 멀어지는 전방으로 분리될 수 없고, 또한 좌우방향으로도 분리될 수 없다. 상기 제2브라켓(470)과 상기 전면패널(410)은 위쪽인 상기 상면테두리(431) 방향으로는 분리될 수 있지만, 제1위치에서 상기 제1브라켓(450)이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걸려 있으므로 위쪽으로도 분리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면패널(410) 및 상기 제2브라켓(470)의 조립체는 모든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mounting
또한, 상기 제1브라켓(450)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전면패널(410)은 상기 후면프레임(4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의 도어조립체(400)가 가구 뿐 아니라, 냉장고, 스타일러, 식기세척기 등과 같이 도어가 반복적으로 여닫히는 제품에 적용되더라도, 두 개의 브라켓(450,470)이 전면패널(410)을 후면프레임(43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줄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반대로, 상기 전면패널(410)을 교체하고자 할 때는, 상기 장착홀더(490)를 상기 홀더장착홀(445)에서 분리하여 상기 전면패널(410)을 제2위치에서 분리하고, 상기 고정돌기(436)에서 상기 고정홈(451)을 분리시키면 상기 전면패널(410)이 상기 후면프레임(4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410)은 두 개의 브라켓(450,470)을 통해 후면프레임(430)에 견고하게 고정될 뿐 아니라, 탈착되는 장착홀더(490)를 이용하여 고정되므로 전면패널(410)의 분리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Conversely, when replacing the
한편, 상기 후면프레임(430)에는 도어라이너가 조립되는데, 후면프레임(430)과 상기 도어라이너의 조립은 상기 전면패널(410)의 조립에 앞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프레임(430)과 상기 도어라이너 사이에는 단열부가 발포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단열부는 후면프레임(430)과 상기 도어라이너의 조립에 앞서, 상기 도어라이너 자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a door liner is assembled to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아웃케이스 210: 측부벽
220: 바닥부 230: 후면플레이트
300: 상면조립체 400: 도어조립체
410: 전면패널 430: 후면프레임
436: 고정돌기 440: 홀더장착부
445: 홀홀 450: 제1브라켓
451:고정홈 470: 제2브라켓
473: 홀홈 490: 장착홀더
491: 홀더바디 492: 손잡이
493a,493b: 체결홈 495: 탄성변형부200: Outcase 210: Side wall
220: Bottom 230: Rear plate
300: Top assembly 400: Door assembly
410: Front panel 430: Rear frame
436: Fixing protrusion 440: Holder mounting portion
445: hole hole 450: first bracket
451: Fixing groove 470: Second bracket
473: Hole groove 490: Mounting holder
491: Holder body 492: Handle
493a, 493b: Fastening groove 495: Elastic deformation portion
Claims (23)
상기 케이스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보관 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조립체는
상기 도어조립체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프레임;
상기 전면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후면프레임의 제1위치에 장착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이격되게 상기 전면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후면프레임의 제2위치에 배치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후면프레임 및 상기 제2브라켓에 끼워져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후면프레임의 제2위치에 고정시키는 장착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홀더는
탄성변형부가 형성된 홀더바디;
상기 탄성변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바디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홈;과
상기 탄성변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바디의 양쪽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변형부를 좁히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바디가 탄성변형되는 캐비넷 장치.
Case body that provides storage space; and
It includes a door assembly coupled to the case body to shield the storage space,
The door assembly is
A front panel constituting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a rear frame disposed behind the front panel;
a first bracket coupled to the front panel and mounted at a first position on the rear frame;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front panel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racket and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of the rear frame; and
It includes a mounting holder that is inserted into the rear frame and the second bracket and fixes the second bracket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rear frame,
The mounting holder is
A holder body having an elastic deformation portion formed thereon;
a pair of fasten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with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in between; and
A pair of handles each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with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in between,
A cabinet device in which the holder body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that narrows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racket is coupled to the upper edge of the front panel, and the second bracket is coupled to the lower edge of the front panel.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panel is made of glass, and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front panel.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holder is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hole of the rear frame and the holder locking groove of the second bracket, respectively,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portion of the mounting holder passes through the holder mounting hole and is inserted into the holder engaging groove, and another portion of the mounting holder is fixed to an edge of the holder mounting hol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mounting holder is formed with a pair of fastening grooves that engage the edge of the holder mounting hole, and an elastic deformation part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grooves in the mounting holder to provide a space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grooves. A cabinet device with variable distance.
The cabinet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bracket is coupled along an edge of the front panel at a second position of the front panel, and the holder engaging groove has an opening open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racket.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at a first position of the rear frame, and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first bracket.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rear frame, and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back of the front panel and the first bracket.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fixing protrusion protrudes toward the second position of the rear frame.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holder body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that narrows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grooves become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holder mounting hole formed in the rear frame.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the holder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unting holder is inserted into the holder mounting hole and the holder engaging groove.
상기 홀더바디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1변형부;와
상기 제1변형부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바디의 하부로 개방되는 제2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변형부는 상기 제2변형부 보다 좌우폭이 큰 캐비넷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A first deformed portion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and
A second deforma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deformation part and open to the lower part of the holder body,
A cabinet device wherein the first deformable part has a left and right width larger than the second deformed part.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mounting holder based on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mounting holder.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rip part is formed on the handle of the mounting holder in a direction to expand the area of the handle, and an avoidance groove in which the grip part is seated is recessed in the rear frame.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flow prevention portion protrudes from the rear fram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rear frame facing the rear of the mounting holder with the holder mounting hole in between.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upport protrusion protrudes toward the rear of the mounting holder on one surface of the rear frame facing the rear of the mounting holder.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a support groove is recessed in the support jaw, and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mounting holder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oor liner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rear frame, and the door liner and the rear frame are fixed to the door frame of the door assembly.
The cabin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xed magnet is installed on one of the back of the front panel or the front of the rear frame, and a magnetic part that generates attractive force with the fixed magne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ed magnet. Device.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a panel adhesion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rear of the front panel at the center of the rear frame, an installat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an edge of the rear frame and the panel adhesion portion, and the installation portion includes the fixed magnet or magnetic An additionally installed cabinet device.
The cabin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anel protrudes further outward than the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상기 케이스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조립체는
상기 전면조립체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프레임;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에 서로 위치를 달리하여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후면프레임에 각각 끼워지는 장착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홀더는
탄성변형부가 형성된 홀더바디;
상기 탄성변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바디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홈;과
상기 탄성변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바디의 양쪽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변형부를 좁히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바디가 탄성변형되는 캐비넷 장치.
Case body that provides storage space; and
It includes a front assembly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case body,
The front assembly is
A front panel constituting the front of the front assembly;
a rear frame disposed behind the front panel;
A pair of brackets resp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at different positions on the back of the front panel; and
At least one of the pair of brackets and a mounting holder fitted to the rear frame,
The mounting holder is
A holder body in which an elastic deformation portion is formed;
a pair of fasten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with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in between; and
A pair of handles each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with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in between,
A cabinet device in which the holder body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that narrows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3005A KR102619584B1 (en) | 2021-07-15 | 2021-07-15 | cabinet device |
US18/578,954 US20240324776A1 (en) | 2021-07-15 | 2022-06-14 | Cabinet device |
PCT/KR2022/008371 WO2023287027A1 (en) | 2021-07-15 | 2022-06-14 | Cabine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3005A KR102619584B1 (en) | 2021-07-15 | 2021-07-15 | cabinet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2318A KR20230012318A (en) | 2023-01-26 |
KR102619584B1 true KR102619584B1 (en) | 2024-01-02 |
Family
ID=8511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3005A KR102619584B1 (en) | 2021-07-15 | 2021-07-15 | cabine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1958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22024A (en) * | 2017-02-03 | 2018-08-09 | 河淳株式会社 | Storage furniture |
CN208042601U (en) | 2017-11-04 | 2018-11-02 |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 The top assembly and its pseudo-classic refrigerator of a kind of refrigerator |
US20200326119A1 (en) | 2019-04-15 | 2020-10-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KR102255088B1 (en) * | 2020-04-08 | 2021-05-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1015B1 (en) * | 2004-04-28 | 2007-08-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oor structure of refrigerator with a function of easily attaching exterior panel |
KR20110042786A (en) | 2009-10-20 | 2011-04-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KR102503852B1 (en) * | 2018-03-08 | 2023-0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102147123B1 (en) | 2019-12-30 | 2020-08-24 |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 Decoration panel |
-
2021
- 2021-07-15 KR KR1020210093005A patent/KR10261958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22024A (en) * | 2017-02-03 | 2018-08-09 | 河淳株式会社 | Storage furniture |
CN208042601U (en) | 2017-11-04 | 2018-11-02 |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 The top assembly and its pseudo-classic refrigerator of a kind of refrigerator |
US20200326119A1 (en) | 2019-04-15 | 2020-10-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KR102255088B1 (en) * | 2020-04-08 | 2021-05-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US11047613B1 (en) | 2020-04-08 | 2021-06-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2318A (en) | 2023-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287843A1 (en) | Door handle for refrigerator and combining structure for door handle | |
US6089685A (en) | Storage cabinet with selectively mounted independently supported shelves | |
US7293846B2 (en) |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 |
ITVA20100007U1 (en) | REFRIGERATOR WITH STORAGE CONTAINER | |
KR101155632B1 (en) | Assembling deposit box | |
CN102758572B (en) | Hinge fixing structure and concealed hinge and container | |
KR102619584B1 (en) | cabinet device | |
JP6480159B2 (en) | Storage member and cabinet provided with the storage member | |
JP6426671B2 (en) | System kitchen | |
JP5756323B2 (en) | Storage shelf door and storage shelf | |
KR200453305Y1 (en) | Bathroom cabinet with rounded corners | |
KR102562299B1 (en) | Refrigerator | |
US20240324776A1 (en) | Cabinet device | |
JP2008179945A (en) | Door | |
JP2009279204A (en) | Front plate and cabinet | |
KR102670443B1 (en) | cabinet device | |
KR101396079B1 (en) | a closet | |
KR20200118707A (en) | Storage box | |
KR20090065593A (en) | A spoon and chopsticks fixed meal plate | |
KR100767842B1 (en) | Deco-assembly for refrigerator | |
JP4227937B2 (en) | Storage cabinet for bathroom | |
JP2003164347A (en) | Storage device for kitchen furniture | |
KR101635584B1 (en) | Component module for kitchen goods | |
KR102238382B1 (en) | Gap cover device for sink shelf | |
CA2484872C (en) |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