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617A -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617A
KR20230011617A KR1020210092073A KR20210092073A KR20230011617A KR 20230011617 A KR20230011617 A KR 20230011617A KR 1020210092073 A KR1020210092073 A KR 1020210092073A KR 20210092073 A KR20210092073 A KR 20210092073A KR 20230011617 A KR20230011617 A KR 20230011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anure
coupler
waste
wast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224B1 (ko
Inventor
서승일
김정국
남성원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92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2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5/00Sanitation
    • B61D35/005Toilet facilities
    • B61D35/007Toilet facilities comprising toilet waste receiving, treatment, storage, disposal or remov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4Toilet fac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물탱크를 철도차량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오물 수거 시 탱크를 탈거하고, 새로운 탱크를 연결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오물수거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철도차량의 운행 이후 차량 정비시 오물수거를 위해 소요되는 차량 위생 정비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대형 오물수거 시설 불필요에 따른 비용 절감되며, 철도차량을 오물수거를 위해 차량기지에 입고할 필요가 없어 정비 효율 역시 개선 가능한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Removable waste tank for rail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물탱크를 철도차량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하여 오물 수거 시 기 설치된 오물탱크를 탈거하고 새로운 오물탱크를 연결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오물수거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로를 주행하는 철도차량(또는 열차)은 많은 승객이 탑승하여 장시간동안 이용하게 되므로, 열차 객실내에서 소변 및 대변을 해결하여야 되고, 이에 따라 열차의 각 객실 끝단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장시간 동안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불편함이 없이 용변을 볼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더불어 화장실의 일측에 세면대가 설치되어 있어 손을 깨끗이 씻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승객이 열차의 실내에서 대소변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된 화장실에는 양변기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분뇨 저장실이 마련된다.
한편, 최근의 고속 열차는 화장실의 내부 구조가 모듈화되어 있으며, 모듈화된 내부 공간에는 양변기와 함께 세면기가 설치되고 그 하측에 오물을 저장하는 분뇨 저장실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열차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양변기 및 세면대는 철로위를 달리는 열차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인해 수도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없어 사용자가 바닥 일측에 갖추어져 있는 누름레버를 밟아주게 되면 공압 또는 유압의 압력에 의해 멤브레인 물통에 담수되어 있는 물을 강제로 밀어내어 세면대에 갖추어져 있는 토수관을 통해 토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열차의 화장실에 연계 구비되는 분뇨 저장실의 분뇨를 수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561442호(참고문헌 1)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철도차량기지에서의 차량 분뇨 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된 각각의 화장실에서 각각 외부로 연통되게 구비되며 분뇨저장실 및 급수탱크와 연결된 라인을 갖는 개폐구; 차량 외부에서 상기 개폐구의 라인에 선택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것이며, 각각 분뇨이송라인과 급수세척라인 및 압축공기라인으로 분리 구성되는 복수의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이루는 분뇨이송라인과 급수세척라인 및 압축공기라인에 각각 설치되어 신호값에 따라 해당 라인을 개폐하게 되는 개폐밸브; 상기 연결관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값에 따라 상기 분뇨이송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분뇨 및 폐수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탱크, 상기 급수세척라인을 통해 화장실에 물을 공급하는 물 저장탱크, 상기 급수세척라인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분뇨 저장실에 저장되는 분뇨는 열차가 차량 기지에 도착하게 되면 분뇨 저장탱크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진공 펌프식의 오물배출 장치는 오물 수거를 위해 호스, 진공 흡입 펌프 등과 같은 대형 설비가 필요하며, 오물 수거를 위해 장시간이 소요되어 차량 정비 효율의 저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156144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화장실과 연계되어 화장실 이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물이 수거되는 오물탱크를 철도차량에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하여 오물 수거 시 오물탱크를 탈거하고 새로운 오물탱크를 연결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오물수거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운행 이후 차량 정비시 오물수거를 위해 소요되는 정비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정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화장실 분뇨를 이송하기 위한 분뇨이송라인이 연결되는 배수관이 구비되는 오물탱크로 이루어지되, 상기 오물탱크의 배수관은 철도차량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어 분뇨가 이동하는 분뇨이송라인에 제1 커플러에 의해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커플러는 철도차량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는 분뇨이송라인의 일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상부 커플러와, 상기 오물탱크의 배수관 외측에 배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하부 커플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뇨이송라인에는 제1 상부 커플러가 지지되는 제1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분뇨이송라인의 단부 외주면에는 제1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 커플러의 내주면에는 제1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1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뇨이송라인의 단부와 배수관의 단부 사이에는 제1 실링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 커플러의 단부와 제1 하부 커플러의 단부 사이에는 제2 실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물탱크에는 상기 철도차량의 화장실 분뇨를 이송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공기라인이 연결되는 공기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오물탱크의 공기관은 철도차량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어 분뇨를 이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압축공기라인에 제2 커플러에 의해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커플러는 철도차량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는 압축공기라인의 일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제2 상부 커플러와, 상기 오물탱크의 공기관 외측에 공기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하부 커플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의 단부에는 착탈식 마개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오물탱크의 상부 일측에는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개폐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물탱크는 철도차량의 일측에 구비되는 탱크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오물탱크의 하부에는 상기 탱크설치공간의 바닥에 출입구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물탱크를 철도차량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오물 수거 시 탱크를 탈거하고, 새로운 탱크를 연결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오물수거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오물탱크의 신속한 교체가 가능해 철도차량의 운행 이후 차량 정비시 오물수거를 위해 소요되는 차량 위생 정비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대형 오물수거 시설 불필요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철도차량을 오물수거를 위해 차량기지에 입고할 필요가 없어 정비 효율 역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가 설치되는 철도차량의 일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를 분뇨이송라인 및 압축공기라인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를 분뇨이송라인 및 압축공기라인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를 철도차량의 일측에 구비되는 탱크설치공간에서 교체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의 배수관을 분뇨이송라인에 결합 및 분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의 배수관 및 공기관의 단부를 마감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100)는 철도차량(1)으로부터 착탈가능한 구조를 채용하여 오물 수거 시 기존 오물탱크(100)를 탈거하고, 새로운 오물탱크를 연결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오물수거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철도차량(1)에는 화장실의 분뇨를 처리하기 위해 오물탱크(100) 이외에도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저장탱크(미도시됨)와, 분뇨 및 세척수를 오물탱크(100)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분뇨이송라인(10) 및 압축공기라인(20) 등이 더 구비된다.
이에 상기 화장싱의 세척수 공급 및 분뇨 배출은 압축공기라인(20)의 압축 공기를 통해 압송 형태로 처리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100)는 철도차량(1)의 객실 일측에 위치한 화장실과 연결되어 분뇨를 이송하기 위한 분뇨이송라인(10)과 압축공기라인(20)이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배수관(110) 및 공기관(120)이 상부 일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오물탱크(100)의 배수관(110) 및 공기관(120)은 철도차량(1)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는 분뇨이송라인(10) 및 압축공기라인(20)과 제1 및 제2 커플러(130,140)에 의해 연결되어 신속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오물탱크(100)는 화장실에서 분뇨이송라인(10)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 분뇨 등의 오물이 수거되는 오물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구조로서, 상측에 상기 배수관(110) 및 공기관(120)이 일체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배수관(110) 및 공기관(120)은 상기 오물탱크(100)의 상측에 조립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오물탱크(100)의 상부 일측에는 오물을 청소하기 위해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50)가 형성되어 통상의 뚜껑 구조를 갖는 개폐구(152)가 장착된다. 이러한 개폐구(152)는 나사식으로 배출구(150)에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물탱크(100)의 배수관(110)은 철도차량(1)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어 분뇨가 이동하는 분뇨이송라인(10)에 제1 커플러(130)에 의해 착탈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물탱크(100)의 공기관(120)은 철도차량(1)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어 분뇨를 이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압축공기라인(20)에 제2 커플러(140)에 의해 착탈식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커플러(130,140)는 사이즈만 달리할 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커플러(130)는 철도차량(1)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는 분뇨이송라인(10)의 일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상부 커플러(131)와, 상기 오물탱크(100)의 배수관(110) 외측에 배수관(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하부 커플러(1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뇨이송라인(10)에는 제1 지지턱(11)이 형성되어 제1 상부 커플러(131)가 끼워지면 더 이상 밀리지 않고 지지되며, 상기 분뇨이송라인(10)의 단부 외주면에는 제1 수나사산(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 커플러(132)의 내주면에는 제1 수나사산(12)에 나사결합되는 제1 암나사산(13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뇨이송라인(10)과 배수관(110)을 연결시 연결부위를 통해 오물이 누수될 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분뇨이송라인(10)의 단부와 배수관(110)의 단부 사이에는 제1 실링부(133)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 커플러(131)의 단부와 제1 하부 커플러(132)의 단부 사이에는 제2 실링부(1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실링부(13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배수관(11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그 단부에 밀착되는 고무패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링부(134)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상부 커플러(13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고무패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134)는 고무패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분뇨이송라인(10)에 제1 상부 커플러(131)를 끼우고 연속해서 고무패킹을 끼울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에서와 같이 상기 분뇨이송라인(10)과 오물탱크(100)의 배수관(110)의 단부를 일치시킨 후 상기 제1 하부 커플러(132)를 상기 분뇨이송라인(10)의 끝단으로 이동시킨 후 제1 하부 커플러(13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분뇨이송라인(10)의 제1 수나사산(12)과 제1 하부 커플러(132)의 제1 암나사산(132a)이 나사결합되며, 분뇨이송라인(10)과 배수관(110)을 통해 오물탱크(100)으로 오물이 이동시 제1 및 제2 실링부(133,134)에 의해 오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 5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하부 커플러(132)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분뇨이송라인(10)으로부터 배수관(110)이 분리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커플러(140)는 철도차량(1)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는 압축공기라인(20)의 일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제2 상부 커플러(141)와, 상기 오물탱크(100)의 공기관(120) 외측에 공기관(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하부 커플러(1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커플러(140)를 구성하는 제2 상부 커플러(141) 및 제2 하부 커플러(142)는 상기 분뇨이송라인(10)과 오물탱크(100)의 배수관(110)를 연결하는 제1 커플러(130)를 구성하는 제1 상부 커플러(131) 및 제1 하부 커플러(132)와 동일한 나사체결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공기라인(20)과 오물탱크(100)의 공기관(120)의 단부를 일치시킨 후 상기 제2 하부 커플러(142)를 상기 압축공기라인(20)의 끝단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2 하부 커플러(14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축공기라인(20)의 하단 외주면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하부 커플러(142)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축공기라인(20)으로부터 공기관(120)을 분리할 수 있다.
이상의 구조를 갖는 오물탱크(100)는 철도차량(1)의 일측에 구비되는 탱크설치공간(30)에 설치하며 오물을 비우고자 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40)를 이용해 기존 오물탱크(100)를 탈거하고, 새로운 오물탱크를 운반하여 연결 설치할 수 있다.
한편, 기존 오물탱크(100)를 탈거시 오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수관(110)의 단부에는 착탈식 마개(115)를 끼워 막게 된다. 이러한 착탈식 마개(115)는 하부에 상기 배수관(110)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지지부(115a)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재질은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기존 오물탱크(100)에서 오물의 유출 방지는 물론 악취의 주변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기관(120)에도 상기 착탈식 마개(115)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마개(미도시됨)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물탱크(100)의 하부에는 탱크설치공간(30)의 바닥에 출입구(3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31)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돌부(116)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오물탱크(100)를 이송시 안정적으로 탱크설치공간(30)으로 안내되며, 철도차량(1)이 운행중에는 오물탱크(100)가 철도차량(1)의 길이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억제하는데에도 도움을 준다.
물론, 상기 오물탱크(100)의 하부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탱크설치공간(30)의 바닥에 출입구(32) 방향으로 가이드돌부를 형성함도 가능하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탱크설치공간(30)의 출입구(32)에는 출입구(32)를 개폐가능한 도어(33)가 구비되어 도어(33)를 개방하면 상기 탱크설치공간(30)에 설치된 오물탱크(100)가 노출되므로 교체 등을 수행할 수 있고, 철도차량(1)의 주행중에는 도어(33)를 닫아 탱크설치공간(30)에 설치된 오물탱크(10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의 설치 및 교체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오물탱크(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철도차량(1)의 일측에 구비되는 탱크설치공간(30)의 출입구(32)의 도어(33)를 개방하면 탱크설치공간(30)이 노출되며, 카트리지(40)를 이용해 오물탱크(100)를 탱크설치공간(30)으로 운반한다.
이후 탱크설치공간(30)에 위치하는 분뇨이송라인(10) 및 압축공기라인(20)의 단부를 오물탱크(100)의 배수관(110) 및 공기관(120)의 단부와 일치시킨 후 제1 및 제2 커플러(130,140)를 연결하고 출입구(32)의 도어(33)를 닫고 철도차량(1)을 운행한다.
이와 같이 철도차량(1)의 운행 후 오물탱크(10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출입구(32)의 도어(33)를 개방하고 제1 및 제2 커플러(130,140)를 분리한 상태에서 배수관(110)의 단부에 착탈식 마개(115)를 끼우게 된다.
이후 카트리지(40)를 이용해 기존 오물탱크(100)를 탱크설치공간(30)에서 분리시키고 새로운 오물탱크(100)를 탱크설치공간(30)에 이동 설치하고, 분뇨이송라인(10) 및 압축공기라인(20)의 단부를 오물탱크(100)의 배수관(110) 및 공기관(120)의 단부와 일치시킨 후 제1 및 제2 커플러(130,140)를 연결하고 출입구(32)의 도어(33)를 닫고 철도차량(1)을 운행한다.
이러한 오물탱크(100) 교체 방식은 철도차량(1)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는 분뇨이송라인(10) 및 압축공기라인(20)과 제1 및 제2 커플러(130,140)에 의해 연결되어 신속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철도차량 10: 분뇨이송라인
20: 압축공기라인 30: 탱크설치공간
33: 도어 40: 카트리지
100: 오물탱크 110: 배수관
115: 착탈식 마개 120: 공기관
130: 제1 커플러 131: 제1 상부 커플러
132: 제1 하부 커플러 133: 제1 실링부
134: 제2 실링부 140: 제2 커플러
141: 제2 상부 커플러 142: 제2 하부 커플러
150: 배출구 152: 개폐구

Claims (9)

  1. 철도차량의 화장실 분뇨를 이송하기 위한 분뇨이송라인이 연결되는 배수관이 구비되는 오물탱크로 이루어지되, 상기 오물탱크의 배수관은 철도차량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어 분뇨가 이동하는 분뇨이송라인에 제1 커플러에 의해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는 철도차량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는 분뇨이송라인의 일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상부 커플러와, 상기 오물탱크의 배수관 외측에 배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하부 커플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이송라인에는 제1 상부 커플러가 지지되는 제1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분뇨이송라인의 단부 외주면에는 제1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 커플러의 내주면에는 제1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1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이송라인의 단부와 배수관의 단부 사이에는 제1 실링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 커플러의 단부와 제1 하부 커플러의 단부 사이에는 제2 실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탱크에는 상기 철도차량의 화장실 분뇨를 이송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공기라인이 연결되는 공기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오물탱크의 공기관은 철도차량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어 분뇨를 이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압축공기라인에 제2 커플러에 의해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러는 철도차량의 화장실로부터 연결되는 압축공기라인의 일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제2 상부 커플러와, 상기 오물탱크의 공기관 외측에 공기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하부 커플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단부에는 착탈식 마개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탱크의 상부 일측에는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개폐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탱크는 철도차량의 일측에 구비되는 탱크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오물탱크의 하부에는 상기 탱크설치공간의 바닥에 출입구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KR1020210092073A 2021-07-14 2021-07-14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KR102635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073A KR102635224B1 (ko) 2021-07-14 2021-07-14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073A KR102635224B1 (ko) 2021-07-14 2021-07-14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617A true KR20230011617A (ko) 2023-01-25
KR102635224B1 KR102635224B1 (ko) 2024-02-13

Family

ID=8510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073A KR102635224B1 (ko) 2021-07-14 2021-07-14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2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4166B2 (ja) * 1986-06-05 1997-07-23 セツトフオ−ド コ−ポレ−シヨン リクレーション用車両
US20130328301A1 (en) * 2007-12-19 2013-12-12 Oil States Energy Services, L.L.C. Threaded union for tubulars used in high-pressure fluid applications
KR101561442B1 (ko) 2015-04-08 2015-10-20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철도 차량기지에서의 차량 분뇨 수거 시스템
JP2016112371A (ja) * 2014-12-17 2016-06-23 久保 隆 完全密閉式汚水カートリッジ
KR20160126016A (ko) * 2014-02-28 2016-11-0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조인트 유닛
KR101997671B1 (ko) * 2019-01-02 2019-07-08 조용원 배관 커플링 구조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4166B2 (ja) * 1986-06-05 1997-07-23 セツトフオ−ド コ−ポレ−シヨン リクレーション用車両
US20130328301A1 (en) * 2007-12-19 2013-12-12 Oil States Energy Services, L.L.C. Threaded union for tubulars used in high-pressure fluid applications
KR20160126016A (ko) * 2014-02-28 2016-11-0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조인트 유닛
JP2016112371A (ja) * 2014-12-17 2016-06-23 久保 隆 完全密閉式汚水カートリッジ
KR101561442B1 (ko) 2015-04-08 2015-10-20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철도 차량기지에서의 차량 분뇨 수거 시스템
KR101997671B1 (ko) * 2019-01-02 2019-07-08 조용원 배관 커플링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224B1 (ko)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50168C2 (ru) Вакуумная туалетная система
EP0931720A2 (en) Galley vacuum waste disposal system
DK3129560T3 (en) PNEUMATIC COMPACT VACUUM TOILET
JP2009114838A (ja) 再循環水を使用する開閉可能な双子タンク型洗浄水容器
CN103221619A (zh) 用于卫生设备的技术单元
KR20120135256A (ko) 공압 재료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KR20230011617A (ko) 철도차량용 착탈식 오물탱크
RU2516916C2 (ru) Туалетный модуль
US11033160B2 (en) Flushing and cleaning system and flushing method for a toilet
CN207579871U (zh) 废水、污水、污物全收集系统
KR101561442B1 (ko) 철도 차량기지에서의 차량 분뇨 수거 시스템
CN109930669B (zh) 一种马桶
JP2006103587A (ja) 鉄道車両用の水・汚物タンク
RU2428338C1 (ru) Вакуумная туалетн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2427490C1 (ru) Вакуумная туалетная систем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US1155550A (en) Sewage system for railway-cars and the like.
RU96083U1 (ru) Вакуумная туалетн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462921Y1 (ko) 수세식 및 재래식 가변형 간이화장실
EP0752356B1 (en) Closure arrangement
MX2009012897A (es) Sistema sanitario con doble circuito independiente.
RU96082U1 (ru) Вакуумная туалетная систем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KR102662405B1 (ko) 오물 수거 시스템
RU2481984C2 (ru) Система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7847988B (zh) 排水管清洁装置和清洁方法
CN111169499A (zh) 一种轨道车辆用模块化真空中转式集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