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823A - 업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업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823A
KR20230008823A KR1020227043015A KR20227043015A KR20230008823A KR 20230008823 A KR20230008823 A KR 20230008823A KR 1020227043015 A KR1020227043015 A KR 1020227043015A KR 20227043015 A KR20227043015 A KR 20227043015A KR 20230008823 A KR20230008823 A KR 20230008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message
access network
information element
in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 왕
잉지에 유
수 후앙
잉하오 구오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1Determining conditions which influence positioning, e.g. radio environment, state of motion or energy consumption
    • G01S5/012Identifying whether indoors or outdo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단말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액세스 매개변수는 액세스 빈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에 따르면, 적절한 주파수 대역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전송이 구현되고 통신 간섭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업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20년 5월 22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업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라는 제목의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010442109.6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여기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측위(positioning)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통신 및 전송을 위해 3.5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기지국과 단말 간의 전송 전력 차이, 비대칭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커버리지, 부족한 상향링크 커버리지를 고려하여, NR R15는 상향링크가 커버리지가 더 좋은 저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슈퍼 상향링크(Supplement Uplink, SUL) 기술을 제안하고, 이는 업링크 전송을 위해 3.5GHz와 함께 사용된다. SUL은 저주파 대역의 일부 주파수를 사용한다. 주파수와 3.5GHz는 모두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동시에 송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는 없다. 현재 SUL 2.1GHz는 상용화되었으며, 향후 서비스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도에 더 적합한 SUL 주파수 대역을 모색하고 있다. 2.3GHz는 SUL의 다음 목표 주파수 대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군용 레이더에 간섭하지 않도록 위해 스펙트럼 규정에 따라 업링크 연결 시 실내 단말만 2.3GHz로 접속 수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실내 또는 실외 위치 인식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확보해야 한다.
또한, 핫스팟 지역에 신설된 실내 사이트의 계획 및 위치 선택, 취약한 커버리지 분석, 실내 사이트에서의 서비스 수용 능력 추정 등 네트워크 계획 및 최적화에 있어서 단말의 실내 또는 실외 위치 인식이 집중적으로 요구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적절한 주파수 대역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전송을 구현하고 통신 간섭을 줄이기 위한 실내-실외 결정 기반 업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액세스 매개변수는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주파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 요소는 실내 인식 결과 및/또는 실외 인식 결과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실내 인식 결과는 제1 식별 결과에 대응하고, 실외 인식 결과는 제2 식별 결과에 대응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실내 인식 결과는 디폴트 식별 결과에 대응하고 실외 인식 결과는 제3 식별 결과에 대응하거나, 또는 실내 인식 결과가 제4 식별 결과에 대응하고 실외 인식 결과는 디폴트 식별 결과에 대응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 요소는 인식 신뢰도를 나타내며, 인식 신뢰도의 백분율 또는 값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요청 메시지를 단말 또는 측위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실내-실외 결정 기반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기 전에,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기 전에, 방법은
측위 디바이스로부터 제2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요청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제2 요청 메시지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됨 - 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된 측위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가시 위성의 수량을 획득하고, 가시 위성의 수량이 제1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센서 매개변수 값을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이며, 측정 보고 메시지,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 RRC 재개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설정 완료 메시지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메시지이고, RRC 재구성 메시지, 로그된 측정 구성 메시지 또는 UE 정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매개변수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매개변수는 단말 디바이스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개시할 때 사용되는 액세스 주파수를 나타냄 - 를 더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측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측위 디바이스가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유닛(AMF)을 사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냄 - .
가능한 설계에서, 측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측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측위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측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측위 디바이스가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유닛(AMF)을 사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측위 디바이스가 의해 AMF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하여 AMF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 - 제2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AMF가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방법은,
측위 디바이스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요청 메시지를 AMF를 사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 제3 요청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측위 디바이스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송신한 제3 요청 메시지를 AMF를 사용하여 수신하는 단계는, 측위 디바이스가 AMF에 의해 송신된 제4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AMF가 상기제4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함 - 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메시지 또는 제3 요청 메시지는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NGAP) 메시지이고, 제2 메시지 및 제4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 위치 관리 유닛(Nlmf) 메시지이다.
제4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수신 모듈 및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며,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표시한다.
프로세싱 모듈은 제1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액세스 매개변수는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빈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프로세싱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모듈은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가능한 설계에서, 통신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수신 모듈은,
측위 디바이스로부터 제2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2 요청은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제2 요청 메시지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프로세싱 모듈은, 수신된 측위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거나, 또는 가시 위성의 수량을 획득하고, 가시 위성의 수량이 제1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거나, 또는 센서 매개변수 값을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수신 모듈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매개변수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제1 매개변수는 단말 디바이스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개시할 때 사용되는 액세스 주파수를 나타낸다.
제6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프로세싱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모듈은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은 AMF를 사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요소는 상기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가능한 설계에서, 프로세싱 모듈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측위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측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이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송신 모듈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AMF를 트리거하도록 제2 메시지를 AMF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제2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요청 메시지를 상기AMF를 사용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3 요청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수신 모듈은, AMF에 의해 송신된 제4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AMF가 제4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한다.
제7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여 통신 장치로 하여금 제1 측면에 따른 방법, 제2 측면에 따른 방법, 또는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포함된 칩일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의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단말 디바이스에 포함된 칩일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의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장치는 측위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측위 디바이스에 포함된 칩일 수 있다. 통신 장치의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제8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 시스템을 제공한다. 프로세서가 메모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칩 시스템은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또는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또는 제3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제3 측면의 가능한 구현을 실현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선택적으로, 칩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회로를 더 포함하고, 인터페이스 회로는 프로세서에 코드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칩 시스템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로직 회로, 집적 회로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코드를 읽어서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칩 시스템에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있을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통합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와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비일시적 메모리, 예를 들어 읽기 전용 메모리 ROM일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동일한 칩에 통합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칩에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메모리의 종류와 메모리 및 프로세서의 배치 방식은 본 출원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9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또는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또는 제3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제3 측면의 가능한 구현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제10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읽고 실행할 때, 컴퓨터는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또는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또는 제3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제3 측면의 가능한 구현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제11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측위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측위 방법이 적용된 측위 시스템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측위 방법이 적용된 측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c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 방법이 적용된 다른 측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d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또는 실외 상태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솔루션이 설명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솔루션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5세대(5th generation, 5G) 시스템, 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6G와 같은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의 5G 이동통신 시스템은 넌-스탠드얼론(non-standalone, NSA) 5G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스탠드얼론(standalone, SA) 5G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기술 솔루션은 미래의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6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대안적으로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to-device, D2D) 통신 시스템, 머신 대 머신(machine to machine, M2M) 통신 시스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차량 인터넷 통신 시스템, 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측위 방법이 적용된 측위 시스템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위 시스템은 단말,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도 1a에서는 하나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예시를 위한 예로서 사용됨) 및 측위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단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측위 디바이스는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고, 다른 장치에 의한 포워딩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이는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측위 시스템은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측위 디바이스는 위치 관리 기능(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MF) 네트워크 요소 또는 위치 관리 컴포넌트(location management component, LMC)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는 로컬 위치 관리 기능(local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LMF)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측위 시스템은 전술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5G 이동통신 시스템을 예로 든다. 도 1a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 또는 엔티티는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ext-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 또는 엔티티는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b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측위 방법이 적용된 측위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위 시스템에서 단말은 LTE-Uu를 이용하여 차세대 진화 노드 B(next-generation evolution NodeB, ng-eNB)를 통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NR-Uu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차세대 노드 B(next-generation node B, gNB)를 통해 연결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AMF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NG-C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NG-RAN은 하나 이상의 ng-eNB를 포함하거나(하나의 ng-eNB는 도 1b에서 예시를 위한 예로 사용됨), NG-RAN은 하나 이상의 gNB를 포함할 수 있거나(하나의 gNB는 도 1b에서 예시를 위한 예로 사용됨), NG-RAN은 하나 이상의 ng-eNB와 하나 이상의 gNB를 포함할 수 있다. ng-eNB는 5G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LTE 기지국이고, gNB는 5G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5G 기지국이다. 코어 네트워크는 AMF 네트워크 요소와 LMF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AMF 네트워크 요소는 액세스 관리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LMF 네트워크 요소는 측위 또는 측위 지원과 같은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AMF 네트워크 요소와 LMF 네트워크 요소는 NL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c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 방법을 적용한 다른 측위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 및 도 1b의 측위 시스템 아키텍처 사이의 차이는, 도 1b의 위치 관리 기능을 갖는 장치 또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LMF 네트워크 요소)가 코어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반면, 도 1c의 위치 관리 기능을 갖는 장치 또는 컴포넌트(예를 들어, LMC 네트워크 요소)가 NG-RAN 디바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gNB는 LMC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LMC 네트워크 요소는 LMF 네트워크 요소의 부분적 기능 구성요소이며, NG-RAN 디바이스의 gNB에 통합될 수 있다.
도 1b 또는 도 1c의 측위 시스템에 포함된 디바이스 또는 기능 노드가 단지 설명을 위한 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도 1b 또는 도 1c의 측위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된 디바이스 또는 기능 노드와 상호작용 관계를 갖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 또는 디바이스 또는 기능 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여기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국, 이동 콘솔, 중계국,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단말(terminal),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휴대폰, 무선 전화기 세트,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핸드헬드 장치, 무선 모뎀에 연결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기타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미래 5G 네트워크의 단말, 미래 진화 PLMN의 단말, 미래 차량 인터넷의 단말 등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제한이 아닌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무선 송수신기 기능을 가진 컴퓨터, 가상 현실 단말, 증강 현실 단말, 산업 제어의 무선 단말, 자율 주행의 무선 단말, 원격 수술의 무선 단말, 스마트 그리드의 무선 단말, 교통 보안의 무선 단말, 스마트 시티의 무선 단말 또는 스마트 홈의 무선 단말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기술을 적용하여 일상복을 지능적으로 디자인하여 개발된, 안경, 장갑, 시계, 옷, 신발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총칭인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하거나 옷이나 악세서리와 일체화되는 휴대용 장치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단순한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아니라 소프트웨어 지원, 데이터 인터랙션, 클라우드 인터랙션을 통해 강력한 기능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넓은 의미에서 웨어러블 지능형 장치는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글래스와 같이 스마트폰에 의존하지 않고 전체 또는 일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능 및 대형 디바이스와, 한 가지 유형의 응용 기능에만 집중하고 물리적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장치와 함께 작동하는, 다양한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 주얼리와 같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대안적으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스템의 단말일 수 있다. IoT는 미래 정보기술 발전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IoT의 주요 기술적 특징은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객체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인간과 컴퓨터가 상호연결되고 사물이 상호연결되는 지능형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IoT 기술은 예를 들어 협대역(narrow band, NB) 기술을 사용하여 대량 연결, 깊은 커버리지 및 단말 절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지능형 프린터, 열차 감지기 및 주유소와 같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요 기능은 데이터 수집(일부 단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정보 및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전자파를 송신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송수신기 기능을 갖는 임의의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진화 노드 B(evolved node B, eNB), 베이스밴드 유닛(baseband unit, BBU), 무선 피델리티(wireless fidelity, Wi-Fi)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무선 릴레이 노드, 무선 백홀 노드, 전송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 전송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ive point, TRP)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5G 시스템에서 gNB, TRP, TP일 수도 있고, 5G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패널 또는 안테나 패널 그룹(복수의 안테나 패널 포함)일 수도 있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gNB 또는 TP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BBU 또는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일 수 있다.
일부 배치에서, gNB는 중앙 집중식 유닛(centralized unit, CU) 및 D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NB는 액티브 안테나 유닛(active antenna unit, AAU)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U는 gNB의 일부 기능을 구현하고, DU는 gNB의 일부 기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CU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및 패킷 데이터 융합 프로토콜(pa, 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 계층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비실시간 프로토콜 및 서비스 처리를 담당한다. DU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물리 계층(physical layer, PHY)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물리 계층 프로토콜과 실시간 서비스의 처리를 담당한다. AAU는 일부 물리 계층 처리 기능, 무선 주파수 처리 및 능동 안테나 관련 기능을 구현한다. RRC 계층의 정보는 결국 PHY 계층의 정보가 되거나 PHY 계층의 정보에서 변환된다. 따라서 아키텍처에서 RRC 계층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도 DU에 의해 송신되거나 DU 및 AAU에 의해 송신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CU 노드, DU 노드 및 AAU 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의 통신은 면허 스펙트럼, 또는 비면허 스펙트럼, 또는 면허 스펙트럼과 비면허 스펙트럼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의 통신은 6기가헤르츠(gigahertz, GHz) 미만의 스펙트럼, 또는 6GHz 이상의 스펙트럼, 또는 6GHz 미만의 스펙트럼과 6GHz 이상의 스펙트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101) 사이에 사용되는 스펙트럼 자원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는 실내, 실외, 핸드헬드 또는 차량 내 형태를 포함하여 육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물 표면에 배치되거나 비행기, 풍선 또는 공중의 인공위성에 배치될 수 있다. 단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의 응용 시나리오는 이 응용 프로그램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계층, 하드웨어 계층 위에서 실행되는 운영체제 계층, 및 운영체제 계층 위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계층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메모리 관리 장치(memory management unit, MMU), 메모리(메인 메모리라고도 함)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운영체제는 프로세스(process)를 통해 서비스 처리를 구현하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눅스 운영체제, 유닉스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iOS 운영체제 또는 윈도우즈 운영체제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에는 브라우저, 주소록, 워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및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실행 바디의 특정 구조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코드를 기록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른 통신을 수행될 수 있는 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단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 또는 기능 모듈(이는 단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할 수 있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의 관련 기능은 하나의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복수의 디바이스에 의해 공동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능은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요소이거나 전용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기능이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이거나 플랫폼(예: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인스턴스화된 가상화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의 관련 기능은 도 1d의 통신 장치(400)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d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40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통신 장치(4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1), 통신 라인(402)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도 1d의 통신 인터페이스(404) 및 하나의 프로세서(401)를 포함함)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40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401)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본 출원의의 솔루션 중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통신 라인(402)은 상이한 구성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404)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더넷, RAN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 모듈은 송수신기 또는 송수신기 머신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404)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의 신호 입력 및 신호 출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401)에 위치한 송수신기 회로일 수 있다.
메모리(403)는 저장 기능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03)는 정적 정보 및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다른 유형의 정적 저장 디바이스이거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정보와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동적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컴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 장치, 광 디스크 저장 장치(컴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Blu-ray 디스크 등 포함),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예상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하거나 저장하는 데 사용할 수 있고 컴퓨터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기타 매체일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통신 라인(402)을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또는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403)는 본 출원에서 솔루션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401)는 실행을 제어한다. 프로세서(401)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측위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01)는 본 출원의 다음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측위 방법에서 처리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404)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이는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로 지칭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구현 동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01)는 도 1d의 CPU 0 및 CPU 1과 같은 하나 이상의 CPU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 동안,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도 1d의 복수의 프로세서(40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single-CPU) 프로세서 또는 멀티 코어(multi-CPU) 프로세서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데이터(예: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코어일 수 있다.
특정 구현 동안,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400)는 출력 디바이스(405) 및 입력 디바이스(4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405)는 프로세서(401)와 통신하고, 복수의 방식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범용 장치 또는 전용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400)는 데스크탑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네트워크 서버, 팜탑 컴퓨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무선 단말, 임베디드 디바이스 또는 도 1d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의 유형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 측위 방법은 도 1d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2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501.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502. 단말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고,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503.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메시지의 제1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매개변수를 결정하며, 액세스 매개변수는 액세스 주파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실내 및 실외를 구별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군용 레이더는 실외에서 표적 탐지를 수행한다. 군용 레이더에 대한 산업 통신으로 인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만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군용 레이더가 표적 탐지를 수행할 수 있는 위치는 모두 실외로 정의하고 다른 위치는 실내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실내(indoors)는 공동 주거지나 상업 주거지의 내부, 대형 공연장의 내부, 자연동굴의 내부를 포함하여 건물 내부를 나타낼 수 있다. 아웃도어는 건물 밖의 빈 공간이나 덮개가 없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된 측위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며; 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가시 위성의 수량을 획득하고, 가시 위성의 수량이 제1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센서 매개변수 값을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된 위성 측위 신호에 기초하여 실내-실외 결정을 대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위성 신호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Galileo, Beidou 등에서 올 수 있다. GPS를 예로 들면, 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단말 디바이스 GPS 측위를 통해, 경도 및 위도, 높이 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 여부를 디지털 맵을 참조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결정한다. 도 2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 상태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가 위치 1인 것으로 결정되고, 디지털 맵를 참조하여 위치 1이 건물의 경도 및 위도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위성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 1이 높이 매개변수를 더 포함하는 경우, 높이 매개변수는 디지털 맵 상의 위치 1에서의 건물의 높이와 비교된다. 위치 1의 높이 매개변수가 건물의 높이보다 작은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가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비행 물체 내부에 있는 것으로 검출되면,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도 결정한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도착 시간차(Downlink Observation Arrival Time Difference, DL-TDOA)를 포함하는 3GPP Release-16 UE 기반 측위 기술, 다운링크 각도 출발각(Downlink Angle of Departure, DL-AoD) 측위 기술, 다중 왕복 시간(Multi-Round-Trip-Time, Multi-RTT) 측위 기술 등을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대안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각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보내는 측위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를 측정하고, 기준 신호 시차(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와 같은 획득한 측정량이 측위 계산에 사용될 수 있다. 측위 계산은 단말 디바이스에서 수행된다. 측위 프로세스에서, 위치 관리 기능(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MF) 네트워크 요소는 각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PRS 구성,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 보조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보내야 한다. 마찬가지로, 단말 디바이스가 획득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맵을 참조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 또는 실외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획득한 가시 위성의 양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 또는 실외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가시 위성의 수는 카메라 촬영을 기반으로 획득되거나 수신된 위성 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가시 위성의 양이 획득된 후, 가시 위성의 양이 제1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단말 디바이스가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그렇지 않으면 디바이스가 실외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센서 매개변수 값을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관성 항법 센서, 광 센서, 온도 센서, 만보기, 기압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복수의 센서가 단말 디바이스에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는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센서는 광도를 감지한다. 실내 조명은 상대적으로 약하고 실외 조명은 상대적으로 강하므로, 조도 임계값을 설정하여 단말의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를 결정한다. 또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공동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지자기 센서는 단말 디바이스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고, 온도 센서는 단말 디바이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높고,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실내에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결정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1 메시지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정보 요소는 실내 또는 실외 인식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인식 결과는 "in"으로 표시되고, 실외 인식 결과는 "out"으로 표시된다. 대안적으로 실내 인식 결과를 "1"로 표시하고 실외 인식 결과를 "0"으로 표시한다. 대안적으로 실내 인식 결과는 "0"으로 표시하고, 실외 인식 결과는 "1"로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대안적으로, 실내 인식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디폴트 값이 사용될 수 있고, 실외 인식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다른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실외 인식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디폴트 값을 사용하고 실내 인식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다른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에 대한 인식에 대한 정보가 완전히 정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실내 또는 실외 인식 결과의 신뢰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다는 인식의 신뢰도 값은 70%이고, 실외에 있다는 인식의 신뢰도 값은 30%이다. 그 후, 인식 결과의 신뢰도 값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요구 사항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어떤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밤이나 다른 높은 경보 상태에서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한다는 높은 신뢰도 값이 요구된다. 실내에 위치한다는 신뢰도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일부 다른 경우, 예를 들어 주간 또는 다른 낮은 경보 상태에서는, 실내에 위치하는 것이 되는데 필요한 신뢰도 값이 낮다. 신뢰도 값이 제2 임계값 이상이면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제1 임계값은 제2 임계값보다 크다. 예를 들어, 제1 임계값이 90%이면,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한다는 신뢰도 값이 70%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한다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 즉 단말 디바이스가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제2 임계값이 60%이면,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한다는 신뢰도 값이 70%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한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 즉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신뢰도가 30%에 불과하면, 이 경우 인식 정확도가 높지 않음을 나타낸다. 신뢰도가 95%이면 인식이 정확함을 나타낸다.
제1 정보 요소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메시지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 예를 들어 측정 보고(MeasurementReport) 메시지, 단말 디바이스 정보 응답(UEInformationResponse) 메시지, RRC 재개 완료(RRCResumeComplete) 메시지 또는 RRC 설정 완료(RRCSetupComplete) 메시지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 요소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정보 요소는 동일한 유형의 메시지에 실릴 수도 있고, 다른 메시지에 실릴 수도 있다.
전술한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능동적으로 획득하고, 상태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실내 또는 실외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한 액세스 빈도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실시간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어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주파수 조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정보 요소를 능동적으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대안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요청 메시지를 보낼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를 피드백한다. 즉, 단계 502 이전에, 방법은 단계 504를 더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기 위해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재구성(RRCReconfiguration) 메시지, 로그된 측정 구성(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메시지, 단말 디바이스 정보 요청(UEInformationRequest)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자발적으로 결정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보낸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실내 또는 실외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보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실내 또는 실외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낼 수 있다. 즉, 단계(504)는 단계(501)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단계(501)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둘의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따라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보고한 실내 또는 실외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한 액세스 주파수를 결정한다. 이 프로세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요구 사항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게 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주파수의 적응 확률을 향상시킨다.
일부 경우에, 대안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측위 디바이스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측위 디바이스는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요청 메시지를 보낸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즉, 단계 502 이전에, 방법은 단계 506을 더 포함한다: 측위 디바이스는 제1 프롬프트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1 프롬프트 메시지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정보 요소를 송신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프롬프트하는 데 사용된다.
측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제1 프롬프트 메시지는 LTE 측위 프로토콜(LTE Positioning Protocol, LPP) 메시지일 수 있거나, 능력 요청 메시지, 보조 데이터 제공 메시지,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 등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한 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의 표시에 기초하여 액세스 주파수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매개변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군용 레이더의 동작 주파수인 2.3GHz의 경우, 실외 시나리오에서 산업용 또는 상업용 단말 디바이스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도 2.3GHz 주파수에서 동작하면 군용 레이더 동작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가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결정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주파수는 2.1GHz와 같이 2.3GHz 이외의 다른 주파수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위치하여 군용 레이더 동작에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결정되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결정되는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주파수는 2.3GHz일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군사 통신 주파수, 우주 통신 주파수 또는 우선 순위가 높은 통신에 대응하는 다른 주파수에 대해,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은 통신에 대해 단말 디바이스의 통신이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작다고 결정되는 경우 이 주파수에서 통신하도록 허용된다.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은 통신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실내 시나리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의 통신은 우선 순위가 높은 통신에 대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실외 시나리오에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액세스 주파수를 결정한 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또한 액세스 주파수에서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액세스 주파수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제1 매개변수를 송신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개시하는 데 사용되는 액세스 주파수를 결정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보고하므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획득된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빈도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통신 주파수는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어, 단말 디바이스의 부적절한 통신 주파수가 실내 또는 실외 시나리오에서 다른 통신에 일으키는 간섭을 피하고, 실내 또는 실외 시나리오에 대한 단말 디바이스의 통신 적응을 향상시킨다.
일부 경우에, 대안적으로, 측위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601. 측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602. 측위 디바이스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유닛(AMF)을 사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603.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매개변수를 결정하며, 액세스 매개변수는 액세스 주파수를 포함한다.
측위 디바이스는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포함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측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측위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측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측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 및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참여를 필요로 한다. 즉, DL-TDOA 측위 기술, DL-AoD 측위 기술, multi-RTT 측위 기술 등을 포함하는 3GPP Release-16 UE 기반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각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송신한 PRS를 측정하고, 획득한 DL RSTD와 같은 측정량을 측위 계산에 사용할 수 있다. 측정량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측위 디바이스는 각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PRS 구성,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보조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보낼 수 있다. 측위 계산은 단말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는 계산을 통해 획득한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측위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측위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를 송신할 수 있고, 측위 디바이스는 측위 계산을 수행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측위 디바이스는 디지털 맵을 참조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측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2a 및 도 2b에 대응하는 방법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단말 디바이스는 가시 위성의 수량을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거나, 센서에서 획득한 센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측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단말이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직접 획득한 다음 그 결과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결정한 후, 측위 디바이스는 AMF를 사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1 메시지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정보 요소는 실내 또는 실외 인식 결과일 수 있거나, 제1 정보 요소는 실내 또는 실외 인식 결과의 신뢰도 값일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a 및 2b의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측위 디바이스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통신 중에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달할 필요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3의 604 단계를 참조한다: 측위 디바이스는 AMF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하며, 제2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AMF는 제2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1 메시지의 생성을 트리거하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AMF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한다. 측위 디바이스가 AMF로 송신하는 제2 메시지는 네트워크 위치 관리 기능(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MF)의 Nlmf 메시지일 수 있고, AMF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제1 메시지는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Next Generation Application Protocol, NGAP) 메시지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위 디바이스는 AMF를 사용하여 제1 정보 요소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주기로 전송된 제1 정보 요소는 동일한 유형의 메시지에 실릴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메시지에 실릴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측위 디바이스는 AMF를 사용하여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거나, 동시에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측위 디바이스는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 콘텐츠를 기반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내에 위치한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1차적으로 송신하고, 2차적으로 실외에 위치한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측위 디바이스는 통신 시간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동시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간 범위 P 내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에 로그인한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스에서, 측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능동적으로 획득하고, 상태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한 액세스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실시간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어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주파수 조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측위 디바이스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일괄적으로 보고할 수 있으므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의 접속 주파수를 일괄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 단말 디바이스의 조정 주파수의 효율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측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 및 실외에 위치하는지 여부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 AMF를 사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정보 요소를 능동적으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대안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AMF를 사용하여 측위 디바이스에 요청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측위 디바이스는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를 피드백한다. 즉, 단계 602 전에, 본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한다:
605.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AMF에 제3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3 요청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606. AMF는 제3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측위 디바이스에 제4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4 요청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제3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AMF는 제3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AMF는 제3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4 요청 메시지의 생성을 트리거하고,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측위 디바이스에 제4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측위 디바이스는 제4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1 메시지(제1 정보 요소 포함)를 AMF로 송신한다. AMF는 제2 메시지(제1 정보 요소 포함)를 측위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AMF로 송신되는 제3 요청 메시지는 NGAP 메시지일 수 있고, AMF에 의해 측위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제4 요청 메시지는 Nlmf 메시지일 수 있다.
측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자발적으로 결정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송신한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측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해당 정보를 AMF를 사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즉, 단계 605 및 단계 606은 단계 601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단계 601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둘의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AMF를 사용하여 측위 디바이스에 제3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한 액세스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 프로세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요구 사항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게 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주파수의 적응 확률을 향상시킨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한 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의 표시에 기초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 중요한 통신에 대해 일부 주파수에서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의 통신으로 인해 발생하는 채널 간섭을 피하도록 액세스 주파수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매개 변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매개변수는 액세스 기간, 액세스 지속시간 등을 더 포함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이 다른 통신에 야기할 수 있는 간섭을 더 회피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측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를 보고하므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획득된 실내 또는 실외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빈도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통신 주파수는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어, 단말 디바이스의 부적절한 통신 주파수가 실내 또는 실외 시나리오에서 다른 통신에 일으키는 간섭을 피하고, 실내 또는 실외 시나리오에 대한 단말 디바이스의 통신 적응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700)를 도시하며, 이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특정 실시예에 적용되는 도 2a 및 도 2b 또는 도 3의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거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구성될 수 있는 칩일 수 있다. 장치는 수신 모듈(701) 및 프로세싱 모듈(702)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701)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프로세싱 모듈(702)은 제1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액세스 매개변수는 액세스 빈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장치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703)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702)은 칩, 인코더, 인코딩 회로, 또는 본 출원에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다른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701) 및 송신 모듈(703)은 인터페이스 회로 또는 송수신기일 수 있다. 수신 모듈(701) 및 송신 모듈(703)은 독립적인 모듈이거나 송수신기 모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통합될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은 수신 모듈(701) 및 송신 모듈(703)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회로 또는 송수신기일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방법 및 실시예를 설명하였고 장치(700)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하는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해당 실시예의 관련 부분을 참조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장치(700)는 저장 모듈(도면에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은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모듈은 프로세싱 모듈(702)에 결합될 수 있거나, 수신 모듈(701) 또는 송신 모듈(703)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모듈(702)은 저장 모듈에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키 획득 방법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800)를 도시하며, 이는 단말 디바이스 및 특정 실시예에 적용되는 도 2a 및 도 2b의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 상에 구성될 수 있는 칩일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800)는 송신 모듈(801) 및 프로세싱 모듈(802)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모듈(802)은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801)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803)을 더 포함하고,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803)은 측위 디바이스로부터 제2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제2 요청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제2 요청 메시지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수신된 측위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또는 가시 위성의 수량을 획득하고, 가시 위성의 수량이 제1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며; 또는 센서 매개변수 값을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802)은 칩, 인코더, 인코딩 회로, 또는 본 출원에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다른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803) 및 송신 모듈(801)은 인터페이스 회로 또는 송수신기일 수 있다. 수신 모듈(803) 및 송신 모듈(801)은 독립적인 모듈이거나 송수신기 모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통합될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은 수신 모듈(803) 및 송신 모듈(801)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회로 또는 송수신기일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방법 및 실시예를 설명하였고 장치(800)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해당 실시예의 관련 부분을 참조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장치(800)는 저장 모듈(도면에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은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모듈은 프로세싱 모듈(802)에 결합될 수 있거나, 수신 모듈(803) 또는 송신 모듈(80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모듈(802)은 저장 모듈에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키 획득 방법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900)를 도시하며, 이는 측위 디바이스 및 특정 실시예에 적용되는 도 3의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측위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 상에 구성될 수 있는 칩일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900)는 프로세싱 모듈(902) 및 송신 모듈(901)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모듈(902)은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901)은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유닛(AMF)을 사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902)은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측위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측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이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902)은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학습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신 모듈(901)은 제1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AMF를 트리거하기 위해 AMF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며, 제2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측위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요청 메시지를 AMF를 사용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903)을 더 포함하고, 제3 요청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903)은 구체적으로 AMF에 의해 송신된 제4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AMF가 제4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902)은 칩, 인코더, 인코딩 회로, 또는 본 출원에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다른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903) 및 송신 모듈(901)은 인터페이스 회로 또는 송수신기일 수 있다. 수신 모듈(903) 및 송신 모듈(901)은 독립적인 모듈일 수 있거나, 송수신기 모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통합될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은 수신 모듈(903) 및 송신 모듈(901)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회로 또는 송수신기일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방법 및 실시예를 설명하였고, 장치(900)는 측위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실내-실외 결정 기반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해당 실시예의 관련 부분을 참조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장치(900)는 저장 모듈(도면에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은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모듈은 프로세싱 모듈(902)에 결합될 수 있거나, 수신 모듈(903) 또는 송신 모듈(90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모듈(902)은 저장 모듈에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키 획득 방법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단말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7에 도시된 구조를 참조한다. 통신 디바이스(1000)는 프로세서(111) 및 송수신기(11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1) 및 송수신기(112)는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프로세서(111)는 메모리에서 일부 또는 모든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또는 모든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실행될 때,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송수신기(112)는 예를 들어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과 같이 다른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113)가 더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 113(Memory#1)은 장치에 위치하거나, 메모리 113(Memory#2)은 프로세서(111)와 통합되거나, 메모리 113(Memory#3)은 장치 외부에 위치한다.
도 7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1000)가 칩 또는 회로,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 또는 통신 디바이스에 배치될 수 있는 칩 또는 회로일 수 있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송수신기(112)는 대안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송수신기는 수신기와 송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1000)는 버스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 메모리(113) 및 송수신기(112)는 버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3)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고,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본 출원의 구현 방법에서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의 단계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13)는 프로세서(111)에 통합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111)와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현에서, 송수신기(112)의 기능은 송수신기 회로 또는 전용 송수신기 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전용 프로세싱 칩, 프로세싱 회로, 프로세서 또는 범용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etwork processor, NP) 또는 CPU와 NP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칩 또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칩은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PLD는 복합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일반 어레이 로직(generic array logic, GAL) 및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Erasable 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외부 캐시로 사용된다. 예시를 통해 하지만 비제한적으로 설명하면, 많은 형태의 RAM,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속도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싱크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다른 적절한 유형의 임의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술한 실시예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측위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말에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측위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전술한 프로세스의 시퀀스 번호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실행 시퀀스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의 실행 시퀀스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 실시예의 구현 프로세스에 대한 어떠한 제한을 구성해서는 안 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설명된 예와 조합하여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능이 하드웨어로 수행되는지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 여부는 기술 솔루션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르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응용에 대해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는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한다는 점을 당업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술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으로의 구분은 논리적인 기능 구분일 뿐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구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부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사이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도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되는 컴포넌트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아닐 수도 있고, 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은 실시예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기능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본질적인 기술 솔루션 또는 기존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일부 기술 솔루션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음)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의 단계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몇 가지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에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가 포함된다.
전술한 설명은 본 출원의 특정 구현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쉽게 파악된 변형 또는 교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따른다.

Claims (33)

  1.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으로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냄 - 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액세스 매개변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주파수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요소는 실내 인식 결과 및/또는 실외 인식 결과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인식 결과는 제1 식별 결과에 대응하고,
    상기 실외 인식 결과는 제2 식별 결과에 대응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인식 결과는 디폴트 식별 결과에 대응하고, 상기 실외 인식 결과는 제3 식별 결과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실내 인식 결과는 제4 식별 결과에 대응하고, 상기 실외 인식 결과는 디폴트 식별 결과에 대응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요소는 인식 신뢰도(recognition confidence)를 나타내며, 상기 인식 신뢰도의 백분율 또는 값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7.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요소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냄 -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측위 디바이스로부터 제2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측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가시 위성(visible satellite)의 수량을 획득하고, 상기 가시 위성의 수량이 제1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센서 매개변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이며, 측정 보고 메시지,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 RRC 재개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설정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메시지이고, RRC 재구성 메시지, 로그된 측정 구성 메시지(logged measurement configuration message) 또는 단말 디바이스 정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매개변수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매개변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개시할 때 사용되는 액세스 주파수를 나타냄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실내-실외 결정 기반 상향링크 전송 방법으로서,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유닛(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unit, AMF)을 사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요소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냄 -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측위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유닛(AMF)을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AMF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AMF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 -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MF가 상기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요청 메시지를 상기 AMF를 사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송신한 제3 요청 메시지를 상기 AMF를 사용하여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AMF에 의해 송신된 제4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3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AMF가 상기 제4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 또는 상기 제3 요청 메시지는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next generation application protocol, NGAP) 메시지이고, 상기 제2 메시지 및 상기 제4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 위치 관리 유닛(Nlmf) 메시지인,
    방법.
  20. 통신 장치로서,
    수신 모듈 및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수신 모듈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 요소는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제1 정보 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세스 매개변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빈도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 또는 측위 디바이스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22.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싱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요소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측위 디바이스로부터 제2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통신 장치.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수신된 측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거나, 또는
    가시 위성의 수량을 획득하고, 상기 가시 위성의 수량이 제1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거나, 또는
    센서 매개변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장치.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매개변수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매개변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개시할 때 사용되는 액세스 주파수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27.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싱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모듈은 AMF를 사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요소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측위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AMF를 트리거하기 위해 제2 메시지를 상기 AMF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제1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요청 메시지를 상기 AMF를 사용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정보 요소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AMF에 의해 송신된 제4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3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AMF가 상기 제4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통신 장치.
  32.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
  33.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단말 디바이스 및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20항 또는 제21항에 따른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 시스템은 측위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위 디바이스는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227043015A 2020-05-22 2021-05-21 업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300088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442109.6A CN113727270A (zh) 2020-05-22 2020-05-22 一种上行传输方法及装置
CN202010442109.6 2020-05-22
PCT/CN2021/095320 WO2021233443A1 (zh) 2020-05-22 2021-05-21 一种上行传输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823A true KR20230008823A (ko) 2023-01-16

Family

ID=7867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015A KR20230008823A (ko) 2020-05-22 2021-05-21 업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79177A1 (ko)
EP (1) EP4138420A4 (ko)
KR (1) KR20230008823A (ko)
CN (1) CN113727270A (ko)
WO (1) WO20212334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6327B (zh) * 2009-09-25 2013-06-26 杰脉通信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td-scdma中ue从室外基站向室内基站切换的方法
WO2012119435A1 (zh) * 2011-09-01 2012-09-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频点选择方法及装置
US9913239B2 (en) * 2012-03-09 2018-03-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ocation of mobile devices in a femtocell
CN103747522B (zh) * 2013-12-31 2019-03-08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位置信息采集方法和设备
US20170171835A1 (en) * 2015-08-10 2017-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etwork Node, a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EP3360369B1 (en) * 2015-10-06 2021-09-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ing transmission parameters for an indoor user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3443A1 (zh) 2021-11-25
US20230079177A1 (en) 2023-03-16
EP4138420A4 (en) 2023-03-08
EP4138420A1 (en) 2023-02-22
CN113727270A (zh)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93451A1 (en) Method for positioning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11523252B2 (en) Positioning method, terminal, and server
EP2878161B1 (en) Enhancing positioning in multi-plmn deployments
US10075934B2 (e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EP32531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ing positioning parameters
US1208852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munications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3923788B (zh) 数据传输方法、用户面网元和控制面网元
CN115104348A (zh) 一种定位信息上报的方法及通信装置
WO2022082535A1 (zh) 定位方法及相关装置
US20220286999A1 (en) User Equipment Locatio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EP43916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ensing channel, communication device, storage medium and system
CN115066925A (zh) 终端定位方法及装置
WO2022090315A1 (en) Dual asset tracking based on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CN114205864B (zh) 一种定位方法、装置、芯片及模组设备
KR20230008823A (ko) 업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10168593A1 (en) Method for obtaining identifier of terminal device, and network element
WO2014056159A1 (en) System and method of wsn-assisted location services
CN115997431A (zh) 用于定位确定的方法、装置、系统和产品
CN115604813A (zh) 一种定位方法及装置
CN116868531A (zh) 一种非周期定位参考信号的测量上报方法和装置
KR20220114657A (ko) 측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315948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nsing area identification
WO2024207485A1 (zh) 无线通信的方法及设备
US20240357541A1 (e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WO2024031294A1 (zh) 通信方法以及通信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