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993A - 누액 방지용 용기 - Google Patents

누액 방지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993A
KR20230007993A KR1020220183462A KR20220183462A KR20230007993A KR 20230007993 A KR20230007993 A KR 20230007993A KR 1020220183462 A KR1020220183462 A KR 1020220183462A KR 20220183462 A KR20220183462 A KR 20220183462A KR 20230007993 A KR20230007993 A KR 20230007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discharge
pressing
content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7213B1 (ko
Inventor
박해윤
윤재관
위진영
임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식회사 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7387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39924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식회사 진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3000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6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the contracting forces inherent in the bag or a sleeve fitting snugly around the ba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6Integral drip catchers or drip-pre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formed by a rigid spout outlet and an overcap, the spout outlet being either pushed into alignment with, or pushed through an opening in the overcap, upon rotation of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액 방지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며 일측에 배출부를 갖는 용기몸체; 및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가압 시 내용물을 상기 배출부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은, 가압 시 상기 용기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향해 탄성 변형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몸체와 상기 누름버튼 사이를 밀폐하는 누액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액 방지부는, 상기 누름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과 맞물리는 단턱과, 상기 인입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단에 걸림되는 지지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액 방지용 용기{Vessel for prevention liquid leakage}
본 발명은, 누액 방지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부정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화장품, 안약 등과 같은 액체 상태를 포함하는 보관 대상체인 내용물이 소분되어 쉽게 휴대할 수 있는 내용물 보관 용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휴대성을 증대시킨 내용물 보관 용기는 휴대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콤팩트하게 마련되므로, 일정하게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못하여,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중력에 의해 내용물을 자연 토출시키는 방식을 통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휴대성을 증대시킨 내용물 보관 용기에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토출구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자연 토출시키는 방식의 경우 내용물을 일정하게 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내용물을 쉽게 토출 시키기 위하여 용기 외부를 가압하여 내용물에 외압을 전달하고, 내용물에 전달된 외압을 통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경우 내용물이 과다 토출되는 내용물 과토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을 일정하게 토출시킬 수 있으면서 내용물의 외부로 부정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과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 보관용 용기의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03537호 (㈜하진), 20190718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관 대상체인 내용물을 일정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내용물이 부정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며 일측에 배출부를 갖는 용기몸체; 및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가압 시 내용물을 상기 배출부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은, 가압 시 상기 용기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향해 탄성 변형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몸체와 상기 누름버튼 사이를 밀폐하는 누액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액 방지부는, 상기 누름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과 맞물리는 단턱과, 상기 인입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단에 걸림되는 지지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액 방지부는, 상기 인입부의 내면에 연장되어 상기 누름부와 연결되는 연결 돌기; 및 상기 인입부에서 연결 돌기가 연장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버튼을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에 고정하는 누름측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외측을 향해 볼록한 돔 형상을 갖고, 상기 누액 방지부는, 상기 인입부의 내면과 상기 누름부 사이에서 상기 연결 돌기의 외측에 상기 누름측 캡이 안착되는 결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측 캡은, 상기 지지 날개를 커버하면서 상기 용기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 홈에 인입되는 누액 방지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측 캡은, 상기 누름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누름부의 외측에 제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의 가압을 제한하는 작동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연결 돌기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되 상기 토출구로 갈수록 횡단면이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모음구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배출측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측 캡은, 상기 용기몸체에 결합 시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는 삽입단 및 상기 토출구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통해 보관 대상체인 내용물을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보관하면서도, 내용물을 일정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내용물이 부정 누액되거나 과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분해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분해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100)는, 용기몸체(110), 누름버튼(120), 누름측 캡(130), 배출측 캡(140)을 포함한다.
용기몸체(110)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1)을 구비한다. 이때 내용물은 화장품, 액상약, 식용 액상물 등과 같이 보관의 대상이 되면서 액체 상태인 액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내용물은 액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누름버튼(120)의 작동에 의하여 압력을 받아 배출될 수 있는 모든 조성,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몸체(110)는 일측으로 내용물이 배출되며, 타측은 후술할 누름버튼(120)이 마련된다. 타측에 구비된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동에 의해 수용공간(111) 내의 내용물은 일측으로 토출된다. 누름버튼(120)의 가압 등을 위해 용기몸체(110)는 중공의 형태를 갖는다.
용기몸체(110)의 일측에는 배출부(112)가 마련된다. 배출부(112)는 용기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며 배출측 캡(140)이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다. 배출부(112)는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112a)와, 토출구(112a)에 연결되는 모음구(112b)를 구비한다.
토출구(112a)는 내용물의 제형이나 조성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본 실시예는 내용물을 점적 배출하기 위해 미세한 크기(약 1mm 내외)의 토출구(112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112a)는 배출부(112)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토출구(112a)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배출측 캡(140)에는 토출구(112a)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단(144) 및 토출구(112a)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단(145)이 마련되어, 토출구(112a) 부분을 2중으로 밀폐해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
모음구(112b)는 토출구(112a)에 연결되되 토출구(112a)로 갈수록 횡단면이 잠차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된다. 모음구(112b)는 단면의 반경 대비 높이가 낮은 원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누름버튼(120)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경우 내용물이 토출구(112a)를 향해 집중되도록 하여,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112)는 용기몸체(110)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주둥이(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부(112)를 이루는 주둥이의 외면에는 배출측 캡(140)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12c)이나 요철 구조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주둥이는 용기몸체(110)에서 수용공간(111)의 중심 대비 직경이 감소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주둥이에서 토출구(112a)로부터 먼 기단 측에는 환테(112d)가 마련되어 배출측 캡(140)의 결합 시 실링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주둥이에 구비되는 나사산(112c) 또는 환테(112d)에는 쐐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후술할 배출측 캡(140)이 체결될 때 스토퍼(143)와 맞물려 배출측 캡(140)의 부정 개방을 제한할 수 있다.
용기몸체(110)의 타측에는 조작부(113)가 구비된다. 즉 용기몸체(110)는 수용공간(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출부(112)가 구비되고 타측에 조작부(113)가 구비되며, 조작부(113)에 마련되는 누름버튼(120)의 작동에 의해 배출부(112)를 통해 내용물이 토출된다.
조작부(113)는 누름버튼(120)에 의한 압력을 수용공간(111) 내부로 전달하기 위해 중공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13)는 누름측 캡(130)이 결합되며, 다만 누름측 캡(130)이 결합되더라도 조작부(113)는 완전히 커버되지 않고 일부가 노출되어 누름버튼(12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누름버튼(12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사용자가 가압하면, 누름버튼(120)은 수용공간(111)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수용공간(111) 내의 내용물에 압력을 가하여 배출부(112)로 내용물을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조작부(113)는 배출부(112)와 유사하게 누름측 캡(130)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13a)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13)에는 쐐기(113b)가 구비되어, 누름측 캡(130)이 조작부(113)에 결합된 후 부정하게 풀리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조작부(113)에 대한 누름측 캡(130)의 결합은, 배출부(112)에 대한 배출측 캡(140)의 결합과 달리 내용물의 일반적인 토출 과정에서 개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누름측 캡(130)의 결합을 위한 조작부(113)의 나사산(113a) 및 쐐기(113b)는, 배출부(112) 대비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조작부(113)의 나사산(113a)은 배출부(112) 대비 촘촘하게 마련될 수 있고, 조작부(113)의 쐐기(113b)는 배출부(112) 대비 돌출 높이 등이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용기몸체(110)는 배출부(112)의 단면이 조작부(113)의 단면 대비 축소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위해 용기몸체(110)의 내부는 배출부(112)의 기단에서 단면이 축소되도록 단차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작부(113)에서의 압력이 배출부(112)에 위치한 내용물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용기몸체(110)는 제한되지 않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에서 확인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누름버튼(120)은, 용기몸체(110)의 타측에 구비된 조작부(113)에 마련된다. 누름버튼(120)은 가압 시 내용물을 배출부(112)의 토출구(112a)로 토출시킬 수 있다. 누름버튼(120)은 용기몸체(110)에 끼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어, 본 실시예는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조를 통해 용기몸체(110)에 대한 누름버튼(120)의 탈착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용기몸체(110)에 대한 누름버튼(120)의 밀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누름버튼(120)은, 용기몸체(110)에 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부정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누름버튼(120)을 가압하는 경우 내용물을 일정하게 외부로 정상 토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누름버튼(120)은, 누름부(121)와 누액 방지부(122)를 포함한다. 누름부(121)는 가압 시 용기몸체(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향해 탄성 변형하여, 내용물에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누름부(121)는 원활한 가압 등을 위해 외측을 향해 볼록한 돔 형상의 가압판(121a)으로 마련될 수 있다.
누름부(121)는, 후술할 누액 방지부(122)의 연결 돌기(122c) 등과 대비할 때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고, 탄성부재로 마련되어 가압 시 내용물로 외압을 전달하여 내용물을 용기몸체(110)로부터 외부로 일정한 양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일례로 누름부(121)는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Elastomer, T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누름부(121)의 재질은 위로 한정되지 않으며, 반복적인 탄성 변형이 가능한 모든 재질이 선택 가능하다.
누액 방지부(122)는, 누름부(121)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몸체(110)와 누름버튼(120) 사이를 밀폐한다. 누액 방지부(122)는 인입부(122a), 단턱(122b), 연결 돌기(122c), 내측 돌기(122d), 지지 날개(122e), 결합 홈(122f)을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122a)는, 누름부(121)의 둘레에 구비되어 용기몸체(11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때 인입부(122a)는 용기몸체(110)의 내측에 삽입되나 용기몸체(110)의 내면과 실링을 구현할 정도로 밀착되진 않을 수 있으며, 용기몸체(110)의 내면과의 실링은 후술할 단턱(122b)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인입부(122a)는 용기몸체(110)의 조작부(1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형 형상 등으로 마련되어 조작부(113)의 내측으로 인입 가능하게 마련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인입부(122a)는 조작부(113)의 형상이 다각형 형상 등으로 마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조작부(113)에 인입 가능하게 다각형 형상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턱(122b)은, 인입부(122a)의 외면에 돌출되어 용기몸체(110)의 내면과 맞물린다. 단턱(122b)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부(122a)의 일측 말단에 단턱(122b)지게 돌출 형성되어 누액을 방지한다.
이때 단턱(122b)은 후술할 지지 날개(122e) 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어, 끼움 결합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단턱(122b)은 반원 등의 형상을 갖는 환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단턱(122b)은 인입부(122a)와 용기몸체(110) 사이에 위치하여 누름버튼(120)과 용기몸체(110) 간의 1차 실링을 구현한다.
연결 돌기(122c)는, 인입부(122a)의 내면에 연장되어 누름부(121)와 연결된다. 연결돌기가 인입부(122a)와 누름부(121)를 연결함에 따라, 누름부(121)는 둘레가 용기몸체(1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누름부(121)는 외압을 받더라도 누름버튼(120) 대비 강성 재질인 용기몸체(110)에 의해 눌리는 일 없이, 연결 돌기(122c)를 통하여 누액 방지부(122)에 의해 지지될 것이어서, 반복적인 탄성 변형에도 찢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없다.
누름부(121)의 외면은 인입부(122a)의 내면 대비 작게 이루어질 수 있고, 누름부(121)의 외측둘레와 인입부(122a)의 내측둘레는 연결 돌기(122c)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연결 돌기(122c)의 외측에는 누름측 캡(130)이 안착되는 결합 홈(122f)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돌기(122d)는, 인입부(122a)에서 연결 돌기(122c) 대비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내측 돌기(122d)는 인입부(122a)에서 연결 돌기(122c)가 연장되는 지점으로부터 용기몸체(11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다.
내측 돌기(122d)는 단턱(122b)과 달리, 인입부(122a)의 인입 시 용기몸체(110)의 내면에 밀착하진 않는 상태로 용기몸체(110) 내에 위치할 수 있고, 누름부(121)의 가압 시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용기몸체(110)의 내면에 밀착하게 될 수 있다.
인입부(122a) 및 내측 돌기(122d) 등의 외면에는, 단턱(122b)과 유사하게 용기몸체(110)의 내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둘레 돌기(122g)가 부가될 수 있다. 둘레 돌기(122g)는 용기몸체(110)에 누름버튼(120)의 안착 시 용기몸체(110)의 내면과 밀착되어 끼임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둘레 돌기(122g)는, 도 1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링으로 구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링으로 마련되거나 복수 개의 분절된 원호 등으로 마련되어 부정 누액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날개(122e)는, 인입부(122a)의 일단에 마련되어 용기몸체(110)의 타측단에 걸림된다. 지지 날개(122e)는 용기몸체(110)에서 조작부(113) 내주면의 직경보다 큰 외주면의 직경을 구비하여, 조작부(113)의 하방 측 말단에 걸림 지지되도록 단턱(122b)의 외측 말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날개(122e)가 용기몸체(110)에 걸림 지지되므로, 누름버튼(120)은 용기몸체(110)를 닫는 마개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누름버튼(120)이 용기몸체(110)의 조작부(113)에 끼워지더라도 지지 날개(122e)로 인해 누름버튼(120)은 용기몸체(11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적정한 위치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지지 날개(122e)는, 일면이 조작부(113)의 끝단에 걸리며 타면은 누름측 캡(130)에 맞닿으며 조작부(113)에 대해 견고히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날개(122e)는 누름버튼(120)에서 2차적인 실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누름버튼(120)은 단턱(122b)을 통해 누액을 1차로 방지하며, 지지 날개(122e)를 통해 누액을 2차로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둘레 돌기(122g)가 단턱(122b)에 의한 실링을 보충할 수 있다
결합 홈(122f)은, 인입부(122a)의 내면과 누름부(121) 사이에서 연결 돌기(122c)의 외측에 마련되며, 누름측 캡(130)이 안착된다. 결합 홈(122f)은 누름부(121)의 외측 둘레와 인입부(122a)의 내측 둘레가 상호 다른 크기로 마련됨에 따라 누름부(121)와 인입부(122a) 사이의 갭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결합 홈(122f)의 내측은 연결 돌기(122c)에 의해 막혀 있을 수 있다.
결합 홈(122f)은 누름부(121) 주변에 마련되며 인입부(122a) 및 지지 날개(122e)의 주면에서 용기몸체(110) 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 홈(122f)은 누름부(121)보다 용기몸체(110) 측으로 인입되게 마련되며, 누름측 캡(130)과 밀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누름측 캡(130)은, 누름버튼(120)을 용기몸체(110)의 타측인 조작부(113)에 고정한다. 누름측 캡(130)은 누름버튼(120)의 누름부(121)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누름측 캡 본체(131)를 갖는다.
누름측 캡 본체(131)는 지지 날개(122e)를 커버하면서 용기몸체(11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누름측 캡 본체(131)의 내면에는 용기몸체(110)의 조작부(113)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132)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누름측 캡(130)은 누름측 캡 본체(131)의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132)을 통해, 용기몸체(110)에 나사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누름측 캡 본체(131)는 용기몸체(110)의 조작부(11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누름버튼(120)과 용기몸체(110)의 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누름측 캡 본체(131)에는 나사산(132) 외에 스토퍼(133)가 부가될 수 있으며, 스토퍼(133)는 용기몸체(110)의 조작부(113)의 쐐기(113b)와 대응되도록, 용기몸체(110) 측 말단에 나사산(132)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용기몸체(110)와의 결합이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사용 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누름측 캡(130)은, 결합 홈(122f)에 인입되면서 밀착하여 내용물의 부정 누액을 방지할 수 있는 누액 방지벽(134)을 갖는다. 이때 누액 방지벽(134)은 결합 홈(122f)에 위치하면서 연결 돌기(122c)를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누름부(121)의 외측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누름측 캡 본체(131)에서 나사산(132)이 마련되는 외벽과, 누액 방지벽(134) 사이에는 지지 날개(122e) 및 인입부(122a)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외벽과 누액 방지벽(134) 사이는 저장공간(135)으로서 내용물이 누액될 때 누액된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누름버튼(120)의 단턱(122b)을 통한 1차 실링, 지지 날개(122e)를 통한 2차 실링, 누액 방지벽(134)과 연결 돌기(122c)의 맞물림을 통한 3차 실링 등을 구현할 수 있고, 위 저장공간(135)은 2차 실링과 3차 실링 사이에서 내용물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누름측 캡(130)은, 누름측 캡 본체(131)에서 누름부(121)를 노출시키기 위해 개방된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제한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제한부는 누름측 캡 본체(131)에서 누름부(121)의 외측에 구비되며,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면 누름측 캡 본체(131)로부터 분리되도록 임시 연결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작동 제한부는 누름부(121)를 임시로 가리도록 마련되면서, 누름부(121) 대비 강성 재질로 이루어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탄성 변형하지 않고, 또한 누름부(121)에 불필요하게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제한부는 사용 전까지만 누름측 캡 본체(131)에 연결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작동 제한부를 강제로 누름측 캡 본체(131)로부터 떼어내면서 제거될 수 있다. 작동 제한부가 제거되면 누름측 캡 본체(131)는 누름부(121)를 충분하게 노출시키게 된다.
배출측 캡(140)은, 용기몸체(110)에 결합 가능하게 용기몸체(110)를 사이에 두고 누름버튼(120)의 반대측에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측 캡(140)은 내용물이 토출구(112a) 상에서 과토출되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부정 가압으로 인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측 캡(140)은 용기몸체(110)의 배출부(112)에 마련되어 토출구(112a)를 개폐한다. 배출측 캡(140)은 용기몸체(110)의 배출부(112)에 결합되는 배출측 캡 본체(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측 캡 본체(141)의 내면에는 용기몸체(110)의 배출부(112)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42)이 마련될 수 있다. 나사산(142)은 후술할 둘레단(145)과 이격되도록 배출측 캡 본체(141)의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용기몸체(110)에 나사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출측 캡(140)에는 누름측 캡(130)과 마찬가지로 나사산(142)에 이격되게 스토퍼(143)가 마련되어, 배출측 캡(140)의 부정 풀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배출 시 누름측 캡(130)은 체결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배출측 캡(140)은 분리되어야 하므로, 배출측 캡(140)의 스토퍼(143)는 누름측 캡(130)과 달리 생략되거나 또는 비교적 쉽게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배출측 캡(140)은 토출구(112a)에 삽입되는 삽입단(144)과, 토출구(112a)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단(145)을 포함하며, 삽입단(144)과 둘레단(145)을 통해 토출구(112a)에 대해 적어도 2중으로 실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삽입단(144)은 용기몸체(110)의 배출부(112)에 배출측 캡(140)이 결합되면 토출구(112a)의 내측에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토출구(112a)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둘레단(145)은 용기몸체(110)에 배출측 캡(140)의 결합 시, 토출구(112a)의 둘레와 맞닿으면서 밀착하여 토출구(112a) 주변을 밀폐하여 내용물이 배출부(112)로부터 외부로 과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용기몸체(110)에 배출측 캡(140)의 결합 시 둘레단(145)은 토출구(112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내용물이 과토출되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부정 가압으로 인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누액 방지용 용기(100)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액 방지용 용기(100)는, 내용물을 용기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보관하되,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통해 액체 상태 등의 보관 대상체인 내용물을 쉽게 휴대할 수 있게 마련된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누름부(121)의 돔형 가압판(121a)을 가압하여 내용물을 일정한 양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내용물은 사용자가 누름부(121)를 가압하면, 배출부(112)에 마련된 토출구(112a)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내용물은 모음구(112b)에 경사진 경사로를 따라 토출구(112a)를 향해 모이게 되므로, 본 실시예는 소량의 내용물도 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누름버튼(120)에는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는 누액 방지부(122)가 마련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외부로 부정 누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용기몸체(110)의 내면에 밀착되는 단턱(122b)/둘레 돌기(122g)를 통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부정 누액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단턱(122b)은 지지 날개(122e) 측을 향하여 횡단면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어, 누액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용기몸체(110)에 착탈이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누름버튼(120)에 의해 1차 누액방지 효과가 확보된다.
또한 누름측 캡(130)은 누액 방지벽(134)과 저장공간(135)을 포함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부정 누액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누름측 캡(130)을 통하여 2차 누액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용기몸체(110)와 누름측 캡(130) 사이에 누름버튼(120)을 두고 누름측 캡(130)을 용기몸체(110)에 나사 결합하여 누름버튼(120)을 용기몸체(110)에 밀착시켜서, 누름버튼(120)에 의한 1차 누액 방지 효과를 효율적으로 증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배출측 캡(140)은 둘레단(145)이 토출구(112a)를 감싸도록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배출측 캡(140)이 용기몸체(110)에 결합된 경우, 부정 가압을 통한 토출구(112a)로의 내용물 누액을 방지할 수 있고, 과토출에 의한 누액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누액 방지용 용기 110: 용기몸체
111: 수용공간 112: 배출부
112a: 토출구 112b: 모음구
112c: 나사산 112d: 환테
113: 조작부 113a: 나사산
113b: 쐐기 120: 누름버튼
121: 누름부 121a: 가압판
122: 누액 방지부 122a: 인입부
122b: 단턱 122c: 연결 돌기
122d: 내측 돌기 122e: 지지 날개
122f: 결합 홈 122g: 둘레 돌기
130: 누름측 캡 131: 누름측 캡 본체
132: 나사산 133: 스토퍼
134: 누액 방지벽 135: 저장공간
140: 배출측 캡 141: 배출측 캡 본체
142: 나사산 143: 스토퍼
144: 삽입단 145: 둘레단

Claims (7)

  1.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며 일측에 배출부를 갖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가압 시 내용물을 상기 배출부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 및
    상기 누름버튼을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에 고정하는 누름측 캡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은,
    가압 시 상기 용기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향해 탄성 변형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몸체와 상기 누름버튼 사이를 밀폐하는 누액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액 방지부는,
    상기 누름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과 맞물리는 단턱과, 상기 인입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타측단에 걸림되는 지지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측 캡은,
    상기 인입부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지지 날개를 커버하는 누액 방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 방지부는,
    상기 인입부의 내면에 연장되어 상기 누름부와 연결되는 연결 돌기; 및
    상기 인입부에서 연결 돌기가 연장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외측을 향해 볼록한 돔 형상을 갖고,
    상기 누액 방지부는, 상기 인입부의 내면과 상기 누름부 사이에서 상기 연결 돌기의 외측에 상기 누름측 캡이 안착되는 결합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측 캡은,
    상기 누름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누름부의 외측에 제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의 가압을 제한하는 작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연결 돌기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되 상기 토출구로 갈수록 횡단면이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모음구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배출측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측 캡은,
    상기 용기몸체에 결합 시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는 삽입단 및 상기 토출구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용 용기.
KR1020220183462A 2019-10-02 2022-12-23 누액 방지용 용기 KR102587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22509 2019-10-02
KR1020190122509 2019-10-02
KR1020200073879A KR20210039924A (ko) 2019-10-02 2020-06-17 누액 방지용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879A Division KR20210039924A (ko) 2019-10-02 2020-06-17 누액 방지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993A true KR20230007993A (ko) 2023-01-13
KR102587213B1 KR102587213B1 (ko) 2023-10-24

Family

ID=7518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3462A KR102587213B1 (ko) 2019-10-02 2022-12-23 누액 방지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239092U (ko)
KR (1) KR102587213B1 (ko)
CN (1) CN112591296A (ko)
TW (1) TWM639074U (ko)
WO (1) WO202106630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37A (ko) 2001-06-26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속 및 급가속 시험모드에서의 배출가스 저감 방법
KR20120126200A (ko) * 2011-05-11 2012-11-21 이성식 휴대 가능한 호신용 스프레이
KR101401005B1 (ko) * 2014-01-22 2014-05-29 동아정밀공업(주) 기능성 첨가제가 내장된 식음료용 용기캡
KR20150019242A (ko) * 2013-08-13 2015-02-25 (주)연우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1928807B1 (ko) * 2017-05-29 2019-03-12 여수빈 간단한 구조를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2161B1 (de) * 1980-11-18 1985-03-13 Miklos Szabo Vorrichtung zum Ausgeben von gasförmigen, flüssigen oder pulverförmigen Stoffen
JPH07265781A (ja) * 1994-03-31 1995-10-17 Pentel Kk 塗布具
JPH10203574A (ja) * 1997-01-17 1998-08-04 Toshikazu Ishigaki 液体用滴下式容器
JP4091350B2 (ja) * 2001-10-01 2008-05-28 株式会社トーメー 液体滴下容器
JP5680908B2 (ja) * 2010-08-31 2015-03-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ノズル付き押出容器
BRPI1105664A2 (pt) * 2011-12-19 2013-11-26 Marcos Antonio Quimenton Processo para obtenção de aplicador conta-gotas com membrana montada e aplicador conta-gotas com membrana montada
TWM489549U (en) * 2014-06-11 2014-11-11 Libo Cosmetics Co Ltd Powder can structure
KR20180134504A (ko) * 2017-06-09 2018-12-19 여수빈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37A (ko) 2001-06-26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속 및 급가속 시험모드에서의 배출가스 저감 방법
KR20120126200A (ko) * 2011-05-11 2012-11-21 이성식 휴대 가능한 호신용 스프레이
KR20150019242A (ko) * 2013-08-13 2015-02-25 (주)연우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1401005B1 (ko) * 2014-01-22 2014-05-29 동아정밀공업(주) 기능성 첨가제가 내장된 식음료용 용기캡
KR101928807B1 (ko) * 2017-05-29 2019-03-12 여수빈 간단한 구조를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639074U (zh) 2023-03-21
JP3239092U (ja) 2022-09-14
KR102587213B1 (ko) 2023-10-24
WO2021066301A1 (ko) 2021-04-08
CN112591296A (zh)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0154B2 (ja) 粉末状サプリメントを分散させるためのボトルキャップ
EP2719635B1 (en) Dispensing container
US5379919A (en) Unit for dispensing at least one fluid product, in particular, a cosmetic or pharmaceutical product, having a pressure actuated, self-sealing closure outlet
US20140053942A1 (en) Inverted Dome to Supply Dose
US20080019762A1 (en) Cosmetics case
WO2014042338A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EP1916200B1 (en) Reagent closure
US9532634B2 (en) Nail polish bottle
JP2009541159A (ja) 突出する、小型排出端を有する分配弁を備える分配装置
NO312285B1 (no) Lukning til bruk på en beholder
CZ301127B6 (cs) Vypouštecí systém
MXPA02004324A (es) Estructura de distribucion con valvula que se abre a presion montada a presion.
KR20120136446A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JP2964167B2 (ja) 液体製品又はペースト状製品を入れる容器用の自動閉鎖分与装置
KR20210039924A (ko) 누액 방지용 용기
KR20230007993A (ko) 누액 방지용 용기
CN1953908B (zh) 流体产品分配头的罩件
KR102382964B1 (ko)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CZ9801713A3 (cs) Pouzdro na uchovávání tablet
KR200393324Y1 (ko) 화장품 용기
KR20190000803U (ko) 파우치형 화장품
JP7309254B2 (ja) 化粧品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KR101918475B1 (ko)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