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891A -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 Google Patents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891A
KR20230007891A KR1020210088765A KR20210088765A KR20230007891A KR 20230007891 A KR20230007891 A KR 20230007891A KR 1020210088765 A KR1020210088765 A KR 1020210088765A KR 20210088765 A KR20210088765 A KR 20210088765A KR 20230007891 A KR20230007891 A KR 20230007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patient
seat
fall prevention
reduced mo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호
박우정
Original Assignee
박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호 filed Critical 박찬호
Priority to KR1020210088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7891A/ko
Publication of KR2023000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3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the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7Wheelchairs having brakes manipulated by assisting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7Camber- or toe-adjusting means for the driv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2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로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과, 상기 바퀴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는 휠체어 이동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등받이와 팔걸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의자부; 상기 휠체어 이동부의 바퀴 프레임과 상기 휠체어 의자부의 시트 하부에 연결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아 있는 상기 휠체어 의자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 및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로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과, 상기 바퀴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퀴 프레임의 4개의 바퀴 중 전단의 바퀴 양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락 연결부와, 상기 브레이크 락 연결부의 일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페달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는 휠체어 이동부; 및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변기 홀이 형성된 좌석과 등받이와 팔걸이와 한 쌍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의자부를 포함하되, 상기 휠체어는, 상기 휠체어 이동부의 바퀴 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 각각에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구조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의 고정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과, 바퀴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는 휠체어 이동부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등받이와 팔걸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의자부와, 휠체어 이동부의 바퀴 프레임과 상기 휠체어 의자부의 시트 하부에 연결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아 있는 휠체어 의자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스스로 화장실을 이용할 때 화장실 변기에 직접 앉지 않고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화장실 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가족이나 돌봄 제공자에 대한 용변 처리에 대한 수치심이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에 따르면,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변기나 휠체어에 앉거나 일어설 때, 전동으로 앉게 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의 낙상이 예방됨은 물론, 장애인 화장실이 없어도 일반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에 따르면, 낙상사고 없이 편리하게 용변을 스스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상 예방의 안전성과,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화장실을 이용하는 자주성과, 화장실 변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자존감과, 전동을 통한 높낮이 조절로 안전하고 편안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A FALL PREVENTION TOILET SEAT WHEELCHAIR}
본 발명은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스스로 화장실을 이용할 때 화장실 변기에 직접 앉지 않고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화장실 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용변 처리에 대한 수치심이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낙상사고 없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는 스스로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기가 어려운 처지에 있다. 이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는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면, 기저귀 교체 시 수치심이 드러나 삶의 의욕을 포기하게 되고, 가족 간의 돌봄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또한, 오물이 피부에 접촉하여 암모니아 피부염, 냅킨 피부염, 기저귀 피부염 등 피부가 빨갛게 변하고, 심하면 피부가 벗겨지면서 짓무르기도 하는 접촉성 피부질환이 발생한다.
또한, 누워서 용변을 보아야 하므로 쾌변이 불가능하고, 기저귀의 교체가 늦어져 감염으로 인한 욕창 발생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가족 또는 돌봄 제공자에게 미치는 영향으로는, 냄새가 심하여 자존감이 상하고, 의욕이 꺾이고 있으며, 기저귀의 채우기, 벗기기, 씻기기 모두 돌봄 제공자가 하여야 하므로 과로와 부상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또한, 국가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끊임없이 발생하는 의료폐기물, 소각 시 환경파괴 문제가 심각하게 된다.
도 1은 기존에 사용되는 기저귀 대체용 간이 변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 대체용 간이 변기는, 누워서 용변을 보아야 하므로 쾌변이 불가능한 구조이고, 용변 보는 동안 냄새가 심하고, 소변이 샐 우려도 있으며, 오물통의 용변을 버리고 씻어 다시 사용하므로 돌봄 제공자에게 번거로움과 함께 많은 노동력이 부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저귀 대체용으로 변기의자가 있으나, 이는 다리의 근육 또는 무릎이 약한 환자는 변기의자에 앉을 때 주저앉는 문제가 발생되고, 무게중심을 잘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 낙상 발생 위험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 또한 간이 변기와 마찬가지로 오물을 버리고 씻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저귀 대체용으로 흡입형 용변 처리가 있으나, 이러한 흡입형 용변 처리기의 경우, 환자에게는 착용 시 옷을 완전히 벗겨야 하므로 수치스러움이 심히 드러나고, 준비 시간이 많이 걸려 용변 타이밍을 놓치기 쉬운 한계가 있다. 의사소통이 잘 안 되는 환자에게 24시간 착용하도록 하면 신체가 구속되어 불편하게 된다. 또한, 부품이 많아 복잡하고, 오물 배관, 오물통 등을 청결하게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과, 바퀴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는 휠체어 이동부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등받이와 팔걸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의자부와, 휠체어 이동부의 바퀴 프레임과 상기 휠체어 의자부의 시트 하부에 연결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아 있는 휠체어 의자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스스로 화장실을 이용할 때 화장실 변기에 직접 앉지 않고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화장실 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가족이나 돌봄 제공자에 대한 용변 처리에 대한 수치심이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변기나 휠체어에 앉거나 일어설 때, 전동으로 앉게 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의 낙상이 예방됨은 물론, 장애인 화장실이 없어도 일반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낙상사고 없이 편리하게 용변을 스스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상예방의 안전성과,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화장실을 이용하는 자주성과, 화장실 변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자존감과, 전동을 통한 높낮이 조절로 안전하고 편안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로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과, 상기 바퀴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는 휠체어 이동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등받이와 팔걸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의자부;
상기 휠체어 이동부의 바퀴 프레임과 상기 휠체어 의자부의 시트 하부에 연결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아 있는 상기 휠체어 의자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 및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바퀴 프레임의 전후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바퀴 중 전단의 바퀴 양단에 체결하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아서 걸어갈 때 발뒤꿈치가 걸리지 않도록 ‘ㄷ’자 형태로 체결 구성되는 브레이크 락 연결부; 및
상기 브레이크 락 연결부의 일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페달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앞뒤로 밟음에 따라 블레이크 락 연결부의 브레이크 잠금 또는 브레이크 해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휠체어 의자부는,
상기 등받이의 후면으로 보호자가 잡고 휠체어를 밀어줄 때 잡을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휠체어 의자부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휠체어의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화장실의 용무를 직접 볼 수 있도록 변기에 매칭 하여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좌석에 변기 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휠체어 이동부의 바퀴 프레임의 전단에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구조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구조에 일단이 연결되는 이중 수평 프레임과, 상기 이중 수평 프레임의 타단이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을 구비하는 가변 프레임; 및
상기 휠체어 이동부의 바퀴 프레임)의 후단과 상기 휠체어 의자부의 등받이 후면에 체결되어 승하강되는 구동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부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휠체어 의자부의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리모컨; 및
상기 리모컨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높낮이 조절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로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과, 상기 바퀴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퀴 프레임의 4개의 바퀴 중 전단의 바퀴 양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락 연결부와, 상기 브레이크 락 연결부의 일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페달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는 휠체어 이동부; 및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변기 홀이 형성된 좌석과 등받이와 팔걸이와 한 쌍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의자부를 포함하되,
상기 휠체어는,
상기 휠체어 이동부의 바퀴 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 각각에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구조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의 고정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과, 바퀴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는 휠체어 이동부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등받이와 팔걸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의자부와, 휠체어 이동부의 바퀴 프레임과 상기 휠체어 의자부의 시트 하부에 연결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아 있는 휠체어 의자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스스로 화장실을 이용할 때 화장실 변기에 직접 앉지 않고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화장실 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가족이나 돌봄 제공자에 대한 용변 처리에 대한 수치심이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에 따르면,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변기나 휠체어에 앉거나 일어설 때, 전동으로 앉게 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의 낙상이 예방됨은 물론, 장애인 화장실이 없어도 일반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에 따르면, 낙상사고 없이 편리하게 용변을 스스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상 예방의 안전성과,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화장실을 이용하는 자주성과, 화장실 변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자존감과, 전동을 통한 높낮이 조절로 안전하고 편안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에 사용되는 기저귀 대체용 간이 변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휠체어 이동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휠체어 의자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높낮이 조절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제어 장치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개략적인 전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개략적인 후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개략적인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높낮이 기능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다른 일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의 다른 일례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휠체어 이동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휠체어 의자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높낮이 조절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제어 장치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10)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10)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111)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110)과, 바퀴 프레임(110)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111)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수단(120)을 구비하는 휠체어 이동부(100)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210)과 등받이(220)와 팔걸이(230)를 구비하는 휠체어 의자부(200)와, 휠체어 이동부(100)의 바퀴 프레임(110)과 휠체어 의자부(200)의 시트 하부에 연결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아 있는 휠체어 의자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300)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높낮이 조절부(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개략적인 전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개략적인 후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개략적인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높낮이 기능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휠체어 이동부(100)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10)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111)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110)과, 바퀴 프레임(110)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111)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수단(120)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휠체어 이동부(100)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 스스로가 화장실로 이동하여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바퀴 프레임(110)은 휠체어(10)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111)가 양 끝단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H 프레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휠체어 이동부(100)의 브레이크 수단(120)은 바퀴 프레임(110)의 전후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바퀴(111) 중 전단의 바퀴(111) 양단에 체결하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아서 걸어갈 때 발뒤꿈치가 걸리지 않도록 ‘ㄷ’자 형태로 체결 구성되는 브레이크 락 연결부(121)와, 브레이크 락 연결부(121)의 일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페달(12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 페달(120)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좌석(210)에 앉은 상태에서 앞뒤로 밟음에 따라 블레이크 락 연결부(121)의 브레이크 잠금 또는 브레이크 해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120)은 전단의 바퀴(111) 양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락 연결부(121)를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의 일 측 발아래에 위치되는 브레이크 페달(120)의 전단을 밟으면 블레이크 되고, 후단을 밟으면 블레이크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휠체어 의자부(200)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210)과 등받이(220)와 팔걸이(23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휠체어 의자부(200)는 등받이(220)의 후면으로 보호자가 잡고 휠체어(10)를 밀어줄 때 잡을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 의자부(200)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휠체어(10)의 좌석(210)에 앉은 상태에서 화장실의 용무를 직접 볼 수 있도록 변기에 매칭 하여 대응될 수 있도록 좌석(210)에 변기 홀(2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휠체어 의자부(200)의 좌석(210)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부(300)의 구동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기울어질 때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의 허벅지가 걸리는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전단이 하향 절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휠체어 의자부(200)는 좌석(210)과 등받이(220)가 ‘역 ㄴ’자 형태로 연결되고, 팔걸이(230)는 좌석(210)의 후단에 ‘ㄱ’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팔걸이(230) 중 하나에는 리모컨(41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리모컨(410)은 하나의 팔걸이(230)에 고정된 형태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형태로 배치 구성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부(300)는, 휠체어 이동부(100)의 바퀴 프레임(110)과 휠체어 의자부(200)의 시트 하부에 연결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아 있는 휠체어 의자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높낮이 조절부(300)는 휠체어 이동부(100)의 바퀴 프레임(110)의 전단에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구조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310)과, 고정 프레임(310)의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구조에 일단이 연결되는 이중 수평 프레임(321)과, 이중 수평 프레임(321)의 타단이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322)을 구비하는 가변 프레임(320)과, 휠체어 이동부의 바퀴 프레임(110)의 후단과 휠체어 의자부(200)의 등받이(220) 후면에 체결되어 승하강 되는 구동 실린더(3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프레임(322)은 좌석(210)의 양단을 절곡하여 접은 기둥의 일체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직 프레임(322)은 체결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310)과 달리 좌석(210)의 연장되는 양단을 접어서 기둥을 만드는 형태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변 프레임(320)은 고정 프레임(310)의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구조에 일단이 연결되는 이중 수평 프레임(321)의 타단이 수직 프레임(322)에 연결되고, 수직 프레임(322)의 상단은 휠체어 의자부(200)의 좌석(210) 하부에 연결 고정되고, 수직 프레임(322)의 하단은 고정되는 않은 형태로 휠체어 이동부(100)의 바퀴 프레임(110) 상에 배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가변 프레임(320)의 수직 프레임(322) 하단은 높낮이 조절부(300)의 상승 작동 시 상부로 들려질 수 있다.
제어 장치부(400)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상기 높낮이 조절부(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 장치부(400)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휠체어 의자부(200)의 좌석(210)에 앉은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부(300)를 구동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리모컨(410)과, 리모컨(410)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높낮이 조절부(300)가 작동되도록 하는 컨트롤 박스(4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부(400)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10)의 높낮이 조절부(300)의 구동 제어에 사용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부(400)의 리모컨(410)은 한 쌍의 팔걸이(230) 중 하나의 팔걸이(230)에 고정된 형태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형태로 배치 구성되고, 컨트롤 박스(420)는 휠체어 의자부(200)의 등받이(220) 후면의 일 측면에 부착 설치되며, 배터리(430)는 휠체어 의자부(200)의 등받이(220) 후면의 일 측면에 부착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420)의 일 측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 다른 일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의의 다른 일례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례의 구조를 갖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10)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10)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111)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110)과, 바퀴 프레임(110)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111)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바퀴 프레임(110)의 4개의 바퀴(111) 중 전단의 바퀴(111) 양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락 연결부(121)와, 브레이크 락 연결부(121)의 일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페달(122)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수단(120)을 구비하는 휠체어 이동부(100), 및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변기 홀(211)이 형성된 좌석(210)과 등받이(220)와 팔걸이(230)와 한 쌍의 손잡이(240)를 구비하는 휠체어 의자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휠체어(10)는 휠체어 이동부(100)의 바퀴 프레임(110)의 전단 및 후단 각각에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구조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310)의 고정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의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10)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휠체어(10)의 구성에서 높낮이 조절부(300)와 제어 장치부(400)의 구성을 제거하고, 높낮이가 고정된 구조에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 및 기능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의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10)는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AS 발생 가능성이 매우 적으며, 일반적인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과, 바퀴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는 휠체어 이동부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등받이와 팔걸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의자부와, 휠체어 이동부의 바퀴 프레임과 상기 휠체어 의자부의 시트 하부에 연결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아 있는 휠체어 의자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스스로 화장실을 이용할 때 화장실 변기에 직접 앉지 않고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화장실 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가족이나 돌봄 제공자에 대한 용변 처리에 대한 수치심이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변기나 휠체어에 앉거나 일어설 때, 전동으로 앉게 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의 낙상이 예방됨은 물론, 장애인 화장실이 없어도 일반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낙상사고 없이 편리하게 용변을 스스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상 예방의 안전성과,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화장실을 이용하는 자주성과, 화장실 변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자존감과, 전동을 통한 높낮이 조절로 안전하고 편안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100: 휠체어 이동부
110: 바퀴 프레임
111: 바퀴
120: 브레이크 수단
121: 브레이크 락 연결부
122: 브레이크 페달
200: 휠체어 의자부
210: 좌석
211: 변기 홀
220: 등받이
230: 팔걸이
240: 손잡이
300: 높낮이 조절부
310: 고정 프레임
320: 가변 프레임
321: 이중 수평 프레임
322: 수직 프레임
330: 구동 실린더
400: 제어 장치부
410: 리모컨
420: 컨트롤 박스
430: 배터리

Claims (8)

  1.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10)로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10)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111)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110)과, 상기 바퀴 프레임(110)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111)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수단(120)을 구비하는 휠체어 이동부(100);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210)과 등받이(220)와 팔걸이(230)를 구비하는 휠체어 의자부(200);
    상기 휠체어 이동부(100)의 바퀴 프레임(110)과 상기 휠체어 의자부(200)의 시트 하부에 연결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아 있는 상기 휠체어 의자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300); 및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상기 높낮이 조절부(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수단(120)은,
    상기 바퀴 프레임(110)의 전후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바퀴(111) 중 전단의 바퀴(111) 양단에 체결하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아서 걸어갈 때 발뒤꿈치가 걸리지 않도록 ‘ㄷ’자 형태로 체결 구성되는 브레이크 락 연결부(121); 및
    상기 브레이크 락 연결부(121)의 일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페달(122)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120)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좌석(210)에 앉은 상태에서 앞뒤로 밟음에 따라 블레이크 락 연결부(121)의 브레이크 잠금 또는 브레이크 해제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의자부(200)는,
    상기 등받이(220)의 후면으로 보호자가 잡고 휠체어(10)를 밀어줄 때 잡을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의자부(200)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휠체어(10)의 좌석(210)에 앉은 상태에서 화장실의 용무를 직접 볼 수 있도록 변기에 매칭 하여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좌석(210)에 변기 홀(21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300)는,
    상기 휠체어 이동부(100)의 바퀴 프레임(110)의 전단에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구조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310);
    상기 고정 프레임(310)의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구조에 일단이 연결되는 이중 수평 프레임(321)과, 상기 이중 수평 프레임(321)의 타단이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322)을 구비하는 가변 프레임(320); 및
    상기 휠체어 이동부의 바퀴 프레임(110)의 후단과 상기 휠체어 의자부(200)의 등받이(220) 후면에 체결되어 승하강되는 구동 실린더(3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부(400)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휠체어 의자부(200)의 좌석(210)에 앉은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부(300)를 구동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리모컨(410); 및
    상기 리모컨(410)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높낮이 조절부(300)가 작동되도록 하는 컨트롤 박스(4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8. 낙상예방 변좌 휠되는 고정 프체어(10)로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사용하는 휠체어(10)의 이동을 위한 4개의 바퀴(111)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바퀴 프레임(110)과, 상기 바퀴 프레임(110)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4개의 바퀴(111) 중 앞바퀴 쪽에 설치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제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퀴 프레임(110)의 4개의 바퀴(111) 중 전단의 바퀴(111) 양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락 연결부(121)와, 상기 브레이크 락 연결부(121)의 일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페달(122)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수단(120)을 구비하는 휠체어 이동부(100); 및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변기 홀(211)이 형성된 좌석(210)과 등받이(220)와 팔걸이(230)와 한 쌍의 손잡이(240)를 구비하는 휠체어 의자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휠체어(10)는,
    상기 휠체어 이동부(100)의 바퀴 프레임(110)의 전단 및 후단 각각에 한 쌍의 수직 프레임 구조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310)의 고정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KR1020210088765A 2021-07-06 2021-07-06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KR20230007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765A KR20230007891A (ko) 2021-07-06 2021-07-06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765A KR20230007891A (ko) 2021-07-06 2021-07-06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891A true KR20230007891A (ko) 2023-01-13

Family

ID=8490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765A KR20230007891A (ko) 2021-07-06 2021-07-06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78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963B1 (ko) 환자용 침대 시스템
JP7475247B2 (ja) 多機能車椅子
US20130000040A1 (en) Reclining Mobility Chair And Method Of Use
EA019947B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е трус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пациентов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физически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KR20230007891A (ko) 낙상예방 변좌 휠체어
CN201049027Y (zh) 多功能轮椅
JP2012000421A (ja) 便槽つき自力排泄ベッド
CN202314031U (zh) 多功能感应护理床
CN212913602U (zh) 一种心内科护理用轮椅
KR102360916B1 (ko) 휠체어가 결합된 침대
CN107485498A (zh) 辅助行动不便的人脱裤子的装置及轮椅
US20120090086A1 (en) Toilet adaptable wheelchair and method of use
US20100011496A1 (en) Comfort seat and commode device for a wheel chair and the like
KR200359358Y1 (ko) 환자용 기능성 침대
KR100501101B1 (ko) 휠체어에 장착되는 배변배뇨 자동처리변기
SU921562A1 (ru) Кровать дл инвалидов
CN215020763U (zh) 一种老年人全智能代步坐椅车
CN211674970U (zh) 一种四肢损伤辅助恢复护理椅
CN212038161U (zh) 一种心脑血管康复训练椅
JP2811049B2 (ja) 安楽ベット
CN211633962U (zh) 一种便于清洁的轮椅
WO2023037148A1 (en) Two-part bedpan equipped with systems for patient cleansing, smell-collector, aroma-diffuser, seat massaging and seat warmer
KR0121580Y1 (ko) 환자용 간이좌변기가 설치된 휠체어
CN209464548U (zh) 简易型日常生活活动能力训练装置
JP6968485B2 (ja) トイレ付車いす及び前記車いす用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