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822A -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822A
KR20230007822A KR1020210088607A KR20210088607A KR20230007822A KR 20230007822 A KR20230007822 A KR 20230007822A KR 1020210088607 A KR1020210088607 A KR 1020210088607A KR 20210088607 A KR20210088607 A KR 20210088607A KR 20230007822 A KR20230007822 A KR 20230007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elivery
servic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안승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8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7822A/ko
Publication of KR2023000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설비와 배송품 보관설비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전기차의 충전 서비스와 배송품 배송 서비스가 결합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충전 스테이션,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사용자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목적지의 배송품을 할당하고, 상기 사용자의 배송품 배송 실적에 따라 지급되는 배송비용으로 상기 전기차의 충전비용을 차감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MART CHARGING SERVICE}
본 발명은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 배송 서비스가 결합된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면서, 도심, 고속도로 및 외곽지역 등에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Charging Station) 인프라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미래의 충전 스테이션은 동네의 편의점이나 주유소와 같이 접근성이 용이해지고, 충전 인프라 확충에 따른 사용자(고객)는 주행거리에 부담없이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충전 스테이션에서의 충전 시간과 충전 비용에 대한 고객의 부담은 충전 인프라가 확충되는 속도만큼 빨리 줄어들기가 어려울 것이다.
예컨대, 도 1은 종래의 전기차 충전 및 물품 배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고객은 전기차의 충전시간 동안 충전 스테이션에 체류해야 하며, 상기 충전시간 동안 주변 편의시설 혹은 차량 엔터테인먼트를 이용하며 시간을 소비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차량을 충전하기 위한 사용자의 대기시간(예; 약20분)에 대한 기회 비용은 따로 보상받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물품 배송 시 판매자가 배송 신청을 하면 물류 이송과정에서 중간을 거쳐 목적지로 이송 후 고객에게 대면으로 배송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전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대유행 하는 팬데믹 상황에서 감염 예방을 위한 물류 배송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택배회사의 인력 부족 및 열악한 노동환경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와 물품 배송 서비스를 연계하여 사용자가 전기차를 충전하는 시간동안 동일하거나 유사한 목적지의 배송품을 싣고 배송을 완료하면 충전비용을 배송비용으로 보상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설비와 배송품 보관설비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전기차의 충전 서비스와 배송품 배송 서비스가 결합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충전 스테이션;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사용자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목적지의 배송품을 할당하고, 상기 사용자의 배송품 배송 실적에 따라 지급되는 배송비용으로 상기 전기차의 충전비용을 차감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되어 상기 충전 스테이션 및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통합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앱(AP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지는 물류의 중간 거점역할을 하는 다른 지역의 충전 스테이션이거나 최종 배송 고객의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자신의 고유영역에 주차된 전기차를 인식하고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충전하는 충전기; 전기차로부터 상기 배송품을 언로딩(Unloading)하여 물품 보관부로 이송하거나 상기 물품 보관부에 보관되어 있던 배송품을 픽업하여 상기 전기차에 로딩(Loading)하는 물품 이송부; 및 상기 전기차의 충전 대기시간동안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배송품 할당 정보에 따라 상기 배송품의 언로딩 혹은 로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보관부는 상기 배송품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보관 랙에 상기 배송품의 태그(Tag)를 매칭하여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고객정보를 송수신하여 전기차를 인식하고 카페이 또는 스마트폰 태그,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정보는 사용자 인증정보, 전기차 등록정보, 탑재 가능한 물품공간, 무게 정보 및 통합 서비스 이용 실적정보 및 인센티브 누적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딩 및 언로딩에 따라 상기 물품 보관부에서 관리 중인 배송품 정보 및 충전 서비스 제공에 따른 상태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를 통해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SoC(State of Charge)에 따른 충전시간을 예측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충전완료 시의 충전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지역적으로 분산된 상기 충전 스테이션 및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통합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앱(APP)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및 전기차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등록하고 그 인증정보를 관리하는 고객 관리부;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집된 상태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 인증정보, 전기차 충전시간 예측정보 및 충전비용을 파악하는 충전 관리부; 상기 사용자의 배송 서비스 요청에 따라 접수된 배송품 정보를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업데이트된 상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배송품의 이동위치를 추적하는 배송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합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와 출발지와 목적지가 상호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품을 선정하고 해당 충전 스테이션을 경유하는 최적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최적경로 선택에 따른 서비스 옵션을 수신하면, 선택된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 해당 고객정보와 배송품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통합 서비스를 제공 후 업데이트되는 상기 배송품의 비대면 인수인계 처리 정보, 충전비용 정산결과와 정산 후 남은 누적금액을 상기 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배송 서비스 요청으로 발생되는 배송비용을 상기 누적금액으로 차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차의 충전 서비스와 배송품 배송 서비스가 결합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과 이를 관제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스마트 충전 서비스 방법은, a) 서비스 서버가 적어도 배송고객 단말기로부터 배송 서비스 요청에 따른 배송품을 접수하고, 충전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합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통합 서비스 요청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가 상호 매칭되는 상기 배송품을 선정하고 상기 배송품의 수령을 위한 충전 스테이션을 경유하는 이동경로와 서비스 옵션을 상기 충전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충전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경로 선택에 따른 서비스 옵션을 수신하면, 선택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으로 해당 고객정보와 배송품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충전 스테이션이 상기 고객정보와 배송품 할당 정보를 토대로 인식된 충전고객의 전기차를 충전하고, 충전 대기시간동안 상기 배송품을 로딩하여 상기 전기차에 탑재하며 배송비용으로 충전비용을 차감하는 충전비용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상기 전기차에 탑재 가능한 물품공간 및 무게의 매칭성을 고려하여 상기 배송품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옵션은 상기 배송품의 개수, 통합 서비스 소요시간, 충전비용 및 배송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우선순위에 따른 목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d-1) 충전기에 주차된 상기 전기차의 고객정보를 인증하여 상기 통합 서비스요청 고객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d-2) 상기 통합 서비스 요청 고객으로 판정되면, 상기 전기차를 충전하는 시간동안 물품 이송부를 통해 물품 보관부에 보관중인 상기 배송품을 픽업하여 상기 전기차로 로딩(Loading) 하는 단계; 및 d-3) 상기 배송품의 인수인계 처리 정보 및 충전비용 정산결과를 포함하는 상태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자신이 목적지로 지정된 상기 전기차의 충전 대기시간동안 상기 물품 이송부를 통해 상기 배송품을 언로딩하여 물품 보관부로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차를 충전하는 사용자에게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동일/유사한 목적지의 배송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충전 대기시간을 무료/할인 충전 서비스로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한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충전고객 및 배송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충전, 배송 및 보관이 통합된 플랫폼을 통한 신개념 서비스 수익 구조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로 출퇴근하거나 잦은 출장지로 이동하는 사용자가 통합 서비스를 통해 동일한 목적지로 배송품을 즉시 배송함으로써 물류 중간 거점에서의 불필요한 배송 대기 시간과 작업을 줄이고 신속하게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차 충전 및 물품 배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서비스와 연계된 스마트 충전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의 구현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통합 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오직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은, 문맥상 명시적으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작동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작동들, 구성요소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 중 하나 이상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음을 또한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연관되어 나열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차량" 또는 "차량의"와 같은 용어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는 철도 차량뿐만 아니라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ports utility vehicles; SUVs)를 포함하는 승용차들, 버스들, 트럭들, 다양한 상업용 차량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거나 '접속된다'고 언급되는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거나 '직접 접속된다'고 언급되는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아래의 방법들 또는 이들의 양상들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제어기"이라는 용어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특별히 프로그래밍된다. 제어기는,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유닛들, 모듈들, 부품들, 장치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방법들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함께 제어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본 개시의 제어기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들의 예들은 롬(ROM), 램(RAM), 컴팩트 디스크(CD) 롬, 자기 테이프들, 플로피 디스크들, 플래시 드라이브들, 스마트 카드들 및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분산되어 프로그램 명령들이,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서버(telematics server) 또는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와 같은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서비스와 연계된 스마트 충전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의 구현 예시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미래형 모빌리티 환경과 전기차 충전시간/비용, 비대면 물품 배송, 차량 공유 및 커넥티드 등의 복잡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Charging Station)에 대한 통합 서비스 플랫폼이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은 충전 스테이션에 체류하는 동안의 손실된 기회 비용을 고객에게 보상하고 스마트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충전 스테이션과 물품 배송 서비스를 연계하여 무료/할인으로 전기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개념 스마트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전기차는 순수 전기차(Electric Vehicle, 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을 포함한다. 또한,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차량'은 상기 '전기차'를 의미한다.
충전 서비스 시스템(100)은 충전 스테이션(110), 서비스 서버(120)를 포함하며, 나아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10)에 탑재되는 클라이언트 앱(APP)을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클라이언트 앱(APP)을 웹사이트, 앱 스토어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배포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110)은 지역별로 분산 설치되며, 물류 설비를 포함하여 물품 배송 서비스가 통합된 전기차 충전 서비스(이하, 편의상 "통합 서비스"라 명명함)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배송'은 '탁송'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배송품을 최종 배송고객에게 배송하는 것뿐 아니라 지역거점의 중간 경유지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110)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사용자(고객)에게 동일한 경로이거나 유사한 목적지를 갖는 배송품을 할당하고, 상기 사용자의 배송품 배송 실적에 따라 지급되는 배송비용으로 상기 전기차의 충전비용을 차감한다. 즉, 충전 서비스 시스템(100)은 전기차를 충전하는 시간동안 사용자의 목적지와 유사한(혹은 동일한) 배송품을 싣고 지정된 목적지로 배송 시 충전비용을 배송비용으로 보상하여, 무료충전 혹은 할인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목적지는 물류의 중간 거점, 혹은 그 중간 거점 역할을 하는 다른 지역의 충전 스테이션(110), 혹은 최종 배송 고객의 주소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110) 및 서비스 서버(120)와 연동을 위한 클라이언트 앱(APP)을 탑재하고, 이를 통해 전기차 충전 사용자에게 상기 충전과 배송이 결합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형 정보통신 단말기 및 카페이(Car Pay)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 단말기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APP을 통해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하여 상기 통합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및 전기차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등록한다. 상기 고객정보는 사용자 인증정보(예; 스마트폰, PIN, 생체 인증 등), 차량등록정보, 탑재 가능한 물품공간, 무게 정보 및 통합 서비스 이용 실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고객정보, 현재위치(GPS) 및 출발/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통합 서비스 실행에 따른 배송품 할당 정보와 충전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제안된 최적의 배송품 이송경로를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통합 서비스 이용 실적에 따른 배송비용, 충전비용 및 비용차감 정산내역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110)은 충전기(111), 물품 이송부(112), 물품 보관부(113) 및 제어부(114)를 포함한다.
충전기(111)는 충전 스테이션(110) 내 복수로 배치되며 자신의 고유영역에 주차된 전기차를 인식하고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충전한다. 충전기(111)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고객정보를 송수신하여 전기차를 인식하거나 카페이 또는 스마트폰 태그, QR 코드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물품 이송부(112)는 전기차로부터 배송품을 언로딩(Unloading)하여 물품 보관부(113)로 이송하거나 물품 보관부(113)에 보관되어 있던 배송품을 픽업하여 전기차에 로딩(Loading)할 수 있다. 이러한 물품 이송부(120)는 배송품 이송 수단으로 컨베이어, 그리퍼, 승강 액추에이터, 로봇팔, 이동로봇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 보관부(113)는 배송품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보관 랙에 배송품의 태그(Tag)를 매칭하여 보관 및 관리한다. 상기 배송품의 태그(Tag)는 QR코드, 바코드 및 RFID 등을 포함한다.
물품 보관부(113)는 배송품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의 보관 랙을 구성하고, 각 보관 랙은 고유ID를 포함하여 배송품의 태그(Tag)와 매칭하여 관리될 수 있다.
제어부(1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110)의 운용을 위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 장치(PC)이며, 이를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통신장치 및 입출력장치를 포함한다.
제어부(114)는 기본적으로 충전기(111)를 통해 인식된 고객정보를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하고, 그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4)는 전기차의 충전을 위해 사용자가 충전 스테이션에 대기하는 시간동안 물품 이송부(112)를 통해 사전 연계된 배송품을 상기 전기차에 싣거나 내리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14)는 사용자의 통합 서비스 요청에 따라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배송품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즉, 자신의 해당 지점이 출발지이면), 물품 이송부(112)를 통해 물품 보관부(113)에 보관중인 상기 배송품을 픽업하여 상기 전기차에 로딩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배송품 태그가 인식되면 배송품의 인수인계가 이루어지고 배송품 위치추적 정보가 충전 스테이션(110)에서 다음 목적지로 이동중인 것으로 변경된다.
반대로, 제어부(114)는 상기 전기차가 상기 배송품 할당 정보에 따른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즉, 자신의 해당 지점이 목적지이면) 물품 이송부(112)를 통해 배송품을 언로딩하여 물품 보관부(113)로 이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물품 이송부(112)를 통해 배송품 태그가 인식되면 배송품의 인수인계가 이루어지고 이동중인 배송품 위치추적 정보가 해당 충전 스테이션(110)으로 변경된다.
제어부(114)는 상기 로딩/업로딩에 따라 물품 보관부(113)에서 관리 중인 배송품 정보 및 충전 서비스 제공에 따른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서비스 서버(12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충전기(111)를 통해 전기차의 배터리 SoC(State of Charge)에 따른 충전시간을 예측하고, 충전완료 시의 충전비용을 산출하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지역적으로 분산 설치된 충전 스테이션(110)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합 관제하는 컴퓨팅 시스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20)는 통신부(121), 고객 관리부(122), 충전 관리부(123), 배송 관리부(124), 데이터베이스(125) 및 중앙 처리부(126)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120)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사업자 및 물류 배송(택배) 서비스 사업자를 제휴 파트너로 상호 연계된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단독으로 통합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지역적으로 분산된 충전 스테이션(110) 및 사용자 단말기(10)와 연결되어 통합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21)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통합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거나 배송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그 서비스 제공에 따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고객 관리부(122)는 사용자 단말기(10)의 APP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및 전기차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등록하고 그 사용자 인증정보를 관리한다.
충전 관리부(123)는 사용자의 통합 서비스 요청에 따른 고객정보를 확인하고,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수집된 상태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 인증정보, 전기차 충전시간 예측정보 및 충전비용을 파악할 수 있다.
배송 관리부(124)는 사용자의 배송 서비스 요청에 따라 접수된 배송품 정보를 파악하여 DB(125)에 저장하고,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업데이트된 상태 데이터를 토대로 그 배송품의 이동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배송품 정보는 출발/목적지, 배송품 크기(x, y, z), 무게 및 배송비용 등을 포함한다.
배송 관리부(124)는 총 배송비용에서 출발지, 적어도 하나의 중간거점 및 목적지까지의 구간별 배송비용을 나누어 산정하고, 사용자의 배송 구간에 해당하는 배송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20)의 운용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운용에 따라 수집, 업데이트 및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중앙 처리부(12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20)의 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중앙 처리부(126)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통합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와 출발지와 목적지가 상호 매칭되는 배송품을 선정하여 가까운 충전 스테이션(110)을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최적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즉, 중앙 처리부(126)는 전기차의 충전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목적지와 매칭되는 배송품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사용자의 배송 서비스 이행으로 발생하는 배송비용으로 전기차의 충전비용을 보상한다. 상기 배송비용은 사용자의 배송 서비스 이행 실적에 따라 지급되는 인센티브로써 상기 충전비용에서 차감하고 남은 비용은 해당 고객정보에 누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앙 처리부(126)는 사용자가 전기차를 무료충전 혹은 할인된 비용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아가 고객의 인센티브를 축적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전기차의 충전을 위해 충전 스테이션에 체류하는 시간 동안의 기회비용을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처리부(126)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통합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전기차 통합 서비스 방법은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중앙 처리부(126)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120)를 주체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서비스 요청 대상에 따라 충전고객 단말기(11)와 배송고객 단말기(12)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통합 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20)는 배송고객 단말기(12)로부터 수신된 배송 서비스 요청에 따른 배송정보를 접수한다(S1). 상기 배송정보는 배송품의 태그(Tag) 인식을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출발/목적지, 배송품 크기, 무게 정보를 포함하여 충전 스테이션(110)에 위탁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120)는 충전고객 단말기(11)로부터 통합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S2), 차량등록정보 및 스마트폰 인증을 통해 고객정보를 확인하고 출발/목적지, 배송품 탑재공간 및 무게를 확인한다.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통합 서비스 요청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가 상호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품을 선정한다(S3). 이 때,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뿐만 아니라 차량에 탑재 가능한 물품공간 및 무게의 매칭성을 고려하여 상기 배송품을 선정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배송품의 수령을 위한 충전 스테이션(110)을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최적 이동경로와 서비스 옵션을 충전고객 단말기(11)로 제안한다(S4). 예컨대, 상기 서비스 옵션은 배송품의 개수, 통합 서비스 소요시간, 충전비용 및 배송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우선순위에 따른 목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충전고객 단말기(11)로부터 사용자의 최적 이동경로 선택에 따른 서비스 옵션을 수신하면(S5), 선택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110)으로 해당 고객정보와 배송품 할당 정보를 전송한다(S6). 이 때, 충전 스테이션(110)은 상기 고객정보와 배송품 할당 정보를 토대로 인식된 충전고객의 전기차를 충전하고, 할당된 배송품을 로딩하여 상기 전기차에 탑재하며, 배송비용으로 충전비용을 차감하는 충전/배송이 결합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도 7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후,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통합 서비스 제공 후 충전 스테이션(110) 및 충전고객 단말기(11)에서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토대로 배송품의 이동위치를 추적하고 배송 서비스 정보를 배송고객 단말기(12)로 전송한다(S7). 예컨대, 서비스 서버(120)는 충전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충전고객이 할당된 배송품을 수령하여 목적지로 출발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배송품의 이동위치 및 목적지 도착 예상시간을 포함하는 배송 서비스 정보를 배송고객 단말기(12)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120)는 충전고객 단말기(11)로부터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요청된 배송 서비스가 완료되었음을 배송고객 단말기(12)로 전송할 수 있다(S8).
한편, 도 7은 상기 S6 단계를 좀더 세분화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서비스 시스템(100)의 충전 스테이션(110)과 서비스 서버(120)가 연동하는 흐름으로 한다.
충전 스테이션(110)은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통합 서비스 요청에 따른 고객정보와 배송품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S61), 충전기(111)에 주차된 전기차의 고객정보를 인증하여 해당 통합 서비스 요청 고객 여부를 파악한다(S62).
충전 스테이션(110)은 상기 통합 서비스 요청 고객이 아니면(S63; 아니오), 충전 서비스만 제공하고 정상적으로 충전비용을 정산한다.
충전 스테이션(110)은 주차된 전기차의 고객정보가 상기 통합 서비스 요청 고객으로 판정되면(S63; 예), 상기 전기차를 충전하는 시간동안 물품 이송부(112)를 통해 물품 보관부(113)에 보관되어 있는 배송품을 픽업하여 상기 전기차로 로딩(Loading)한다. 이 때, 충전고객은 충전고객 단말기(11)를 통해 상기 배송품의 태그를 인식하여 할당된 배송품과 일치하면 정상적으로 인수인계를 수행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110)은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완료에 따른 충전비용을 배송비용으로 차감하여 충전비용을 정산한다(S65). 그리고, 상기 충전비용 정산이 완료된 충전고객의 전기차는 배송품을 탑재하고 목적지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비용 정산은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까지 사용자의 배송품 배송 실적에 따라 누적된 금액에서 상기 충전비용을 차감하고 남은 잔금을 산출하는 방식, 충전비용에서 배송비용을 할인하고 나머지를 지불하는 방식, 충전설정 시 당해 발생된 배송비용만큼만 무료 충전하는 방식 등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후, 충전 스테이션(110)은 상기 통합 서비스 제공 후 상기 배송품의 비대면 인수인계 처리 정보 및 충전비용 정산결과를 포함하는 상태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20)로 업데이트 한다(S66).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상태 데이터 업데이트에 따른 해당 충전고객의 통합 서비스 이용실적과 상기 정산결과 남은 누적금액을 DB(125)에 저장한다.
한편, 상술한 전기차 통합 서비스 방법은 통합 서비스를 요청한 충전고객이 충전 스테이션(110)에서 할당된 배송품을 수령하여 목적지로 이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이때의 목적지는 지역 거점인 다른 충전 스테이션(110)이 될 수 있다.
이하, 배송품이 출발하는 지점을 제1 충전 스테이션(110-1), 배송품이 도착하는 목적지 지점을 제2 충전 스테이션(110-2)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 때, 제2 충전 스테이션(110-2)은 앞서 설명한 도 7과 유사하게 상기 충전고객의 전기차를 충전하는 시간동안 상기 배송품을 언로딩하고, 충전비용을 배송비용으로 차감하여 충전비용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충전 스테이션(110-2)에서의 충전/배송 통합 서비스 방법은 앞선 설명과 유사하여 충분히 도출 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1 충전 스테이션(110-1) 혹은 제2 스테이션(110-2)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전기차를 충전하는 것은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상태(SoC)를 고려한 충전고객의 선택에 따를 수 있다.
이밖에, 상기 제1 충전 스테이션(110-1) 혹은 제2 스테이션(110-2)은 전기차를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상태(SoC)를 체크하여 예상 충전시간을 충전고객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차를 충전하는 사용자에게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동일/유사한 목적지의 배송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충전대기시간을 무료/할인 충전 서비스로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한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충전고객 및 배송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충전, 배송 및 보관이 통합된 플랫폼을 통한 신개념 서비스 수익 구조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배송 서비스는 중간 거점에서 배송품을 하역 후 지역별로 재분배하는 작업 정해진 시간동안 모인 배송품을 일괄 배송하기 때문에 인력 및 대기 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차로 출퇴근하거나 잦은 출장지로 이동하는 사용자가 통합 서비스를 통해 동일한 목적지로 즉시 배송품을 배송함으로써 물류 중간 거점에서의 불필요한 배송 대기 시간과 작업을 줄이고 신속하게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추가가 가능하다.
예컨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통합 서비스 이행에 따른 배송비용으로 충전비용을 차감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의 배송품 배송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로 지급된 배송비용을 누적금액으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배송 서비스 요청 시 발생되는 배송비용을 상기 누적금액으로 차감할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물류/배달 서비스 사업자를 제휴 파트너로 연계하는 경우 배달비용을 상기 누적금액으로 차감할 수 있도록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기 100: 충전 서비스 시스템
110: 충전 스테이션 111: 충전기
112: 물품 이송부 113: 물품 보관부
114: 제어부 120: 서비스 서버
121: 통신부 122: 고객 관리부
123: 충전 관리부 124: 배송 관리부
125: 데이터베이스(DB)

Claims (18)

  1. 전기차 충전설비와 배송품 보관설비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전기차의 충전 서비스와 배송품 배송 서비스가 결합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충전 스테이션;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사용자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목적지의 배송품을 할당하고, 상기 사용자의 배송품 배송 실적에 따라 지급되는 배송비용으로 상기 전기차의 충전비용을 차감하는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되어 상기 충전 스테이션 및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통합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앱(APP)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는 물류의 중간 거점역할을 하는 다른 지역의 충전 스테이션이거나 최종 배송 고객의 주소인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자신의 고유영역에 주차된 전기차를 인식하고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충전하는 충전기;
    전기차로부터 상기 배송품을 언로딩(Unloading)하여 물품 보관부로 이송하거나 상기 물품 보관부에 보관되어 있던 배송품을 픽업하여 상기 전기차에 로딩(Loading)하는 물품 이송부; 및
    상기 전기차의 충전 대기시간동안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배송품 할당 정보에 따라 상기 배송품의 언로딩 혹은 로딩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부는
    상기 배송품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보관 랙에 상기 배송품의 태그(Tag)를 매칭하여 보관 및 관리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고객정보를 송수신하여 전기차를 인식하고 카페이 또는 스마트폰 태그,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는
    사용자 인증정보, 전기차 등록정보, 탑재 가능한 물품공간, 무게 정보 및 통합 서비스 이용 실적정보 및 인센티브 누적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딩 및 언로딩에 따라 상기 물품 보관부에서 관리 중인 배송품 정보 및 충전 서비스 제공에 따른 상태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업데이트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를 통해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SoC(State of Charge)에 따른 충전시간을 예측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충전완료 시의 충전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지역적으로 분산된 상기 충전 스테이션 및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통합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앱(APP)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및 전기차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등록하고 그 인증정보를 관리하는 고객 관리부;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집된 상태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 인증정보, 전기차 충전시간 예측정보 및 충전비용을 파악하는 충전 관리부;
    상기 사용자의 배송 서비스 요청에 따라 접수된 배송품 정보를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업데이트된 상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배송품의 이동위치를 추적하는 배송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합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와 출발지와 목적지가 상호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품을 선정하고 해당 충전 스테이션을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중앙 처리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이동경로 선택에 따른 서비스 옵션을 수신하면, 선택된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 해당 고객정보와 배송품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통합 서비스를 제공 후 업데이트되는 상기 배송품의 비대면 인수인계 처리 정보, 충전비용 정산결과와 정산 후 남은 누적금액을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배송 서비스 요청으로 발생되는 배송비용을 상기 누적금액으로 차감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14. 전기차의 충전 서비스와 배송품 배송 서비스가 결합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과 이를 관제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스마트 충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서비스 서버가 적어도 배송고객 단말기로부터 배송 서비스 요청에 따른 배송품을 접수하고, 충전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합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통합 서비스 요청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가 상호 매칭되는 상기 배송품을 선정하고 상기 배송품의 수령을 위한 충전 스테이션을 경유하는 이동경로와 서비스 옵션을 상기 충전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충전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경로 선택에 따른 서비스 옵션을 수신하면, 선택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으로 해당 고객정보와 배송품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충전 스테이션이 상기 고객정보와 배송품 할당 정보를 토대로 인식된 충전고객의 전기차를 충전하고, 충전 대기시간동안 상기 배송품을 로딩하여 상기 전기차에 탑재하며 배송비용으로 충전비용을 차감하는 충전비용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상기 전기차에 탑재 가능한 물품공간 및 무게의 매칭성을 고려하여 상기 배송품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옵션은
    상기 배송품의 개수, 통합 서비스 소요시간, 충전비용 및 배송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우선순위에 따른 목록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충전기에 주차된 상기 전기차의 고객정보를 인증하여 상기 통합 서비스요청 고객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d-2) 상기 통합 서비스 요청 고객으로 판정되면, 상기 전기차를 충전하는 시간동안 물품 이송부를 통해 물품 보관부에 보관중인 상기 배송품을 픽업하여 상기 전기차로 로딩(Loading) 하는 단계; 및
    d-3) 상기 배송품의 인수인계 처리 정보 및 충전비용 정산결과를 포함하는 상태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자신이 목적지로 지정된 상기 전기차의 충전 대기시간동안 물품 이송부를 통해 상기 배송품을 언로딩하여 물품 보관부로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충전 서비스 방법.
KR1020210088607A 2021-07-06 2021-07-06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07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607A KR20230007822A (ko) 2021-07-06 2021-07-06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607A KR20230007822A (ko) 2021-07-06 2021-07-06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822A true KR20230007822A (ko) 2023-01-13

Family

ID=8490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607A KR20230007822A (ko) 2021-07-06 2021-07-06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78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13141B (zh) 自主行驶车、行驶控制装置和方法及记录程序的记录介质
Ostermeier et al. Cost‐optimal truck‐and‐robot routing for last‐mile delivery
US10810658B2 (en) System for distributing merchandise to passengers of a taxi service
JP7386434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10142279A1 (en) Improved Logistical Management System
CN111626577B (zh) 一种车辆调度方法和装置
CN110182531B (zh) 服务器装置、车辆、服务提供系统和非暂态存储介质
US11367126B2 (en) Out-of-store purchase routing systems, methods, and media
KR20210008581A (ko) 멀티 인수 및 멀티 배송을 위한 물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553674B1 (ko)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JP2003006295A (ja) 車両共用システム
KR20200016314A (ko) 방문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07822A (ko) 스마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035151A (ja) 輸送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262838B1 (ko) 방문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Haider et al. Optimizing the relocation operations of free-floating electric vehicle sharing systems
KR101974463B1 (ko) 물류배송 서비스에서 수하물 운반을 위해 여객 운송수단의 승객과 수하물 정보를 매칭시키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JP2020187620A (ja) 物流管理システム、物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04886A1 (en) Heavyweight quoting and associating plane types with package sizes
US202200128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transit data to determine where a transit traveler's order is placed in an order queue
JP2002024349A (ja) 物流業務支援システム、物流業務支援方法、及び物流業務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22157359A (ja) 情報処理方法
US202203094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elivery
WO2019039604A1 (ja) 情報処理装置
KR20200074550A (ko) 코드 송장을 사용하는 방문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