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077A - 자일란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 - Google Patents

자일란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077A
KR20230007077A KR1020210087871A KR20210087871A KR20230007077A KR 20230007077 A KR20230007077 A KR 20230007077A KR 1020210087871 A KR1020210087871 A KR 1020210087871A KR 20210087871 A KR20210087871 A KR 20210087871A KR 20230007077 A KR20230007077 A KR 2023000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strain
present
xylan
cryptoc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094B1 (ko
Inventor
지원재
김순옥
김다솜
전미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Priority to KR102021008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09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2Di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일란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Cryptocline arctostaphyli) RN2 및 이를 이용한 다당류 분해 방법, 다당류 분해용 조성물, 이당류 제조 방법 및 이당류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일란을 포함한 다양한 다당류를 생물학적인 방법을 통해 매우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으며, 특히 자일란으로부터 이당류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일란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Novel strain Cryptocline arctostaphyli RN2 having xylan degrading activity}
본 발명은 자일란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 및 이를 이용한 다당류 분해 방법, 다당류 분해용 조성물, 이당류 제조 방법 및 이당류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일란(xylan)은 육상 식물체 세포벽의 약 20 내지 40%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성분의 하나인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로서 아라비노실기(arabinosyl), 아세틸기(acetyl), 글루쿠로노실기(glucuronosyl) 등으로 치환된 β-1,4-연결 자일로오스(β-1,4-linked xylose) 단위체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자일라나아제(xylanase)에 의해서 가수분해될 수 있다.
자일라나아제는 펄프의 헤미셀룰로오스를 제거하기 위한 펄프-표백전 과정, 가축사료의 소화 촉진, 식품 및 제빵 첨가물, 과일 및 채소 가공 과정, 에탄올 및 자일리톨 생산, 제지 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는데, 각 분야에 적합한 자일라나아제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자일라나아제에 의해 생산되는 자일란 가수분해산물인 자일로올리고당(XOS)은 항균, 항산화, 항염증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식-의약 산업, 농-축산업, 화장품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에서 언급한 자일라나아제와 같은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한 분해법은 선택적이고 특이적으로 다당류를 가수분해하여 목적으로 하는 올리고당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미생물 효소에 의한 식물 바이오매스의 가수분해법은 유해 부산물을 생성하는 화학적 분해법에 대한 대안으로서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연구자들이 좀 더 적합한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의 분리를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일란의 생물학적 분해(효소적 분해) 및 자일란으로부터 특정한 분해산물을 생산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미생물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Christakopoulos P, Katapodis P, Kalogeris E, Kekos D, Macris BJ, Stamatis H, Skaltsa H. Antimicrobial activity of acidic xylo-oligosaccharides produced by family 10 and 11 endoxylanases. Int J Biol Macromol. 2003 Jan 15;31(4-5):171-5.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자일란의 생물학적 분해 및 자일란으로부터 특정한 분해산물을 생산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미생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을 활용한 물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탁번호 KACC 93360P로 기탁된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Cryptocline arctostaphyli) RN2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다당류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당류 분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당류 분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자일란, 아라비노자일란 또는 아밀로오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포함하는 다당류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당류 분해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자일란, 아라비노자일란 또는 아밀로오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자일란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당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포함하는 이당류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일란을 포함한 다양한 다당류를 생물학적인 방법을 통해 매우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으며, 특히 자일란으로부터 이당류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균주의 ITS-D1D2 서열을 토대로 분석한 NJ(Neighbor-Joining) 계통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고체배지 상에서 성장한 본 발명 균주의 균체를 현미경을 통해 촬영한 사진(좌측)과 고체배지 상에 형성된 본 발명 균주의 콜로니를 촬영한 사진(우측)을 나타낸 것이다. 우측의 콜로니 촬영 사진에서 좌측('(위)'로 표시)은 배지의 상면(top)을 촬영한 것이고, 우측('(아래)'로 표시)은 배지의 바닥면(bottom)을 촬영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균주의 다당체 분해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A), 아밀로오스 분해 활성 실험결과; (B), 자일란 분해 활성 실험결과; (C), 아라비노자일란 분해 활성 실험결과.
도 4는 본 발명 균주의 배양 시간에 따른 자일라나아제 활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균주의 조효소액과 자일란의 반응물을 TLC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G, 글루코오스; X2, 자일로바이오스(xylobiose); X4, 자일로테트라오스(xylotetraose); X6, 자일로헥사오스(xylohexaose); R, 반응물.
도 6은 본 발명 균주의 미생물 수탁증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 균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Cryptocline arctostaphyli) RN2는 장미꽃에서 단리되어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은행(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 수탁번호 KACC 93360P로 기탁되어 있다.
본 발명의 균주는 서열번호 1의 ITS 서열 및 서열번호 2의 D1D2 서열을 갖는다. ITS 서열 및 D1D2 서열은 균류를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대표적인 서열로, 본 발명 균주의 ITS 서열 및 D1D2 서열은 기존에 알려진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의 ITS 서열 및 D1D2 서열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균주는 다당류인 자일란, 아라비노자일란 및 아밀로오스를 분해할 수 있으며, 특히 자일란을 분해하여 이당류, 즉 단당류 분자 2개로 이루어진 이량체(dimer)(DP2)를 주요 산물로 생산할 수 있다.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는 1984년 스위스에서 곰들쭉(Arctostaphylos uva-ursi)의 식물내생생물(endophyte)로 분리되어 그 존재가 알려졌으나, 최근까지 이 균주를 이용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균주 분리 및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없는 국내 미기록종이다.
본 발명의 균주는 세포 외에서 상기와 같은 다당류의 분해 활성 및 자일란으로부터 이당류를 생산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균체 제거 배양액을 사용한 다당류(자일란 포함)의 분해 활성 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된 것으로, 이러한 활성과 관련된 효소, 예를 들어 자일라나아제를 세포 외부로 분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발명의 균주는 균류(fungus), 특히 크립토클라인(Cryptocline) 속의 균류, 특히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Cryptocline arctostaphyli) 종의 균류를 배양하는 통상의 배양 방법에 따라 배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지로 고체배양의 경우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 액체배양의 경우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를 사용하여, 20 내지 40℃의 온도 조건으로 배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균주의 특징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다당류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당류 분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은 위에서 설명한 배양 방법에 따라 본 발명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은 PDB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은 PDB 배지에서 28 내지 32℃로 2일 내지 4일 동안 배양하여 수득되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9 내지 31℃로 60시간 내지 84시간 동안 배양하여 수득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보다 높은 다당류 분해 활성을 갖는 배양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은 바람직하게는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것이다. 이는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하는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원심분리, 여과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양물의 정제물은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의 정제 과정을 통해 수득되는 것으로, 미생물, 특히 균류, 특히 크립토클라인 속의 균류, 특히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종의 균류의 배양물로부터 세포 외부로 분비되는 단백질, 특히 효소, 특히 당분해 효소를 정제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정제 과정을 통해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을 10KDa 컷-오프 필터로 필터링하여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당류 분해 방법에서 다당류와 접촉시키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자일란, 아라비노자일란 또는 아밀로오스와 접촉시키는 단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일란과 접촉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과 다당류의 접촉은 상기 배양물 또는 정제물에 다당류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완충액 중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액에 상기 배양물 또는 정제물과 다당류를 첨가하는 방법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접촉은 예를 들어 30 내지 40℃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39℃에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균주의 특징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포함하는 다당류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당류 분해용 조성물에서 배양물 및 정제물에 관한 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당류 분해용 조성물은 상기 배양물 또는 정제물 이외에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양물 또는 정제물에 의한 다당류의 분해 활성을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성분으로, 당분해 효소의 안정적인 작용을 위한 완충제, 희석제, 부형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당류 분해용 조성물은 상기 배양물 또는 정제물을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0%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균주의 특징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자일란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당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본 발명의 균주가 자일란을 분해하여 이당류를 주요 산물로 생산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활성이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에서 발휘될 수 있다는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당류 제조 방법에서 배양물 및 정제물에 관한 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과 자일란의 접촉에 관한 사항은 상기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과 다당류의 접촉에 관해 설명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당류 제조 방법은 상기 자일란과 접촉시키는 단계 이후 생성된 이당류를 정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제에 관한 사항은 다당류의 효소 반응 이후 반응혼합물로부터 특정 반응생성물을 정제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균주의 특징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포함하는 이당류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당류 제조용 조성물에서 배양물 및 정제물에 관한 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당류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 배양물 또는 정제물 이외에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양물 또는 정제물에 의한 자일란의 분해 활성을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성분으로, 당분해 효소의 안정적인 작용을 위한 완충제, 희석제, 부형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당류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 배양물 또는 정제물을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0%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방법
1-1. 균주 분리
인천시 서구 일대에서 채집된 장미꽃 1송이를 80% 에탄올 200㎖에 담가 10초간 살균하고 멸균수 500㎖에 4회 세척하였다. 물기가 제거된 시료에 멸균수 50㎖를 가하여 막자사발에서 완전히 으깬 후 상등액 200㎕를 MRS 고체배지에 도말하고 25℃에서 2일간 배양하여 생성된 콜로니를 얻었다. 총 8개의 콜로니를 얻었으며, 형태적으로 8개의 콜로니 모두 진균(효모로 추정)으로 구분되었다.
8개의 콜로니를 0.2% AZCL(Azurine-crosslinked)-자일란(xylan)이 포함된 PDA 고체배지에 옮긴 후 25℃에서 5일간 배양하여 푸른색을 띄는 것으로부터 분해 활성을 확인하여 활성이 강한 1개의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균주를 RN2로 명명하였다.
1-2. 균주 동정
RN2를 동정하기 위해, ITS1F(5'-CTTGGTCATTTAGAGGAAGTAA-3') 및 ITS4(5'-TCCTCCGCTTATTGATATGC-3')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NL1(5'-GCATATCAATAAGCGGAGGAAAAG-3') 및 NL4(5'-GGTCCGTGTTTCAAGACGG-3')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D1D2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ITS 영역 및 D1D2 영역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의 Blast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GenBank 데이터베이스 정보로부터 염기서열의 상동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통수 분석을 위해서, 상동성을 보이는 균주들의 ITS-D1D2 서열을 확보하고 Mega X 프로그램으로 NJ(Neighbor-Joining) 계통수를 제작하여 계통발생적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1-3. 형태적 및 생리적 특성 분석
RN2를 PDA 배지에서 배양하여 배지 상에서 생장하면서 변하는 콜로니의 형태를 관찰하였고, 배양 7일째에 Axio Imager Z2 현미경(Zeiss)을 사용하여 균사를 관찰하였다.
생리학적 특성은 API 20NE, API 20E, API ZYM 키트(Biomerieux, France)를 사용하여 제시된 방법에 따라 조사하였다. 균체 시료는 RN2를 PDA 배지에서 2일간 배양하여 수득하였다.
1-4. 다당체 분해 활성 분석
RN2의 다당체 분해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RN2를 0.2% AZCL-자일란, -아밀로오스(amylose), -아라비노자일란(arabinoxylan), -셀룰로오스(cellulose), -풀루란(pullulan)이 각각 함유된 PDA 배지에 도말접종한 후 25℃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콜로니 주변으로 AZCL 기질이 분해되어 푸른색을 띄는 것을 관찰하였다.
RN2를 200㎖의 PDB 액체배지에 접종하고 30℃에서 10일간 배양하면서 3일 간격으로 배양액을 5㎖씩 샘플링하고, 15,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상등액 만을 취하였다. 준비된 상등액을 0.22㎛ 시린지 필터로 필터링하여 효소액으로 사용하였으며, 자일라나아제(xylanase) 활성을 DNS(dinitrosalicylic acid) 방법[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으로 확인하였고, 흡광도 540㎚에서 효소 반응으로 유리되는 환원당의 양을 측정하였다.
1-5. TLC 분석
RN2가 자일란을 분해하여 생산하는 가수분해산물을 분석하기 위해, 균의 생장 시기별 효소활성도 측정 결과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3일째의 시료를 Amicon 초원심분리 필터(ultracentrifugal filter)(10KDa 컷-오프, Millipore, 미국)로 농축하여 10배 농축된 조효소액을 준비하였다.
자일란 분해산물을 분석하기 위해, 조효소액 100㎕를 0.4% 자일란이 함유된 1X 인산 완충 염수(PBS)에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효소반응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효소반응액을 샘플링하여 실리카겔 60 플레이트(Merck)에 20㎕씩 가하였다. 이때 자일로바이오스(xylobiose)와 자일로테트라오스(xylotetraose), 자일로헥사오스(xylohexaose)(Megazyme, 아일랜드)를 표준물로 사용하였다. 전개용매로 n-부탄올 : 아세트산 : 증류수(2:1:2)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발색시약은 에탄올 : 황산(9:1)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개 후 발색시약을 골고루 뿌리고 120℃에서 가열하여 확인하였다.
2. 결과
2-1. RN2의 분리 및 동정
RN2는 장미꽃 시료로부터 자일란 분해 효소 활성을 보이는 균주로서 최종 선발되었다.
RN2는 PDA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콜로니의 중앙부위가 검은색을 띄지만 전체적으로는 연한 분홍색을 띄었다. 가장자리는 균사 모양으로 자라나오며, 일반적인 곰팡이 배양속도에 비해 느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미경 관찰에서는 타원형 모양(일반적인 효모(yeast)의 형태와 비슷함)으로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RN2의 ITS-D1D2 서열을 분석하여 크립토클라인(Cryptocline) 속의 한 종으로 분류하였다. RN2는 NCBI Blast 상동성 분석 결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Cryptocline arctostaphyli)와 99.83%의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표 1). 또한 크립토클라인 속 균주를 포함하여 프링쉐이미아(Pringsheimia) 속 균주, 아우레오바시디움(Aureobasidium) 속 균주, 슈도사이도위아(Pseudosydowia) 속 균주, 사코테시움(Saccothecium) 속 균주 등의 ITS-D1D2 서열을 토대로 NJ(Neighbor-Joining) 계통수를 제작한 결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와 같은 계통 분기를 형성하여 같은 종으로 판단되었다(도 1). ITS-D1D2 서열 상동성 검색 결과와 NJ 계통수 제작 결과를 토대로 RN2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로 동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서 발굴된 균주 RN2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로 명명하였다.
RN2의 ITS-D1D2 염기서열 상동성 검색 결과
학명 분리주 ITS 서열 등록 번호 동일성(%) D1D2 서열 등록 번호 동일성(%)
Cryptocline arctostaphyli 19GCAS004 MW077685 98.77  MW077311 99.83
Cryptocline arctostaphyli 19GCAS003 MW077684 98.77 MW077310 99.83
Cryptocline arctostaphyli CBS 454.84 MH861759 98.07 MH873458 99.66
Saccothecium rubi MFLUCC 14-1171 NR_148096 96.32 NG_059644 96.62
Saccothecium sepincola CBS 749.71 MH860331 94.66 MH860331 -
Pringsheimia chamaecyparidis CBS 746.71 MH860328 95.81 MH872083 97.13
Pringsheimia smilacis CBS 873.71 AJ244257 96.41 FJ150970 93.02
Pseudosydowia eucalypti CPC:14028 GQ303296 93.35 GQ303327 97.29
Pseudosydowia eucalypti CPC:14927 GQ303297 93.15 GQ303328 97.44
Pseudosydowia eucalypti CBS 131832 MH865934 93.85 MH877368 96.95
Dothichiza pityophila CBS 215.50 AJ244242 95.43 FJ150968 92.18
Kabatiella microsticta CBS 342.66 EU167608 88.62 EU167608 96.46
Aureobasidium pullulans 7R-1-F03 KX958050 89.02  KX958050 96.46
Aureobasidium pullulans 7R-1-F01 KX958048 88.52  KX958048 96.46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는 API ZYM 키트를 이용하여 19종의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alkaline phosphatase), 에스터라제(esterase)(C4), 에스터라제 리파아제(esterase lipase)(C8), 리파아제(lipase)(C14), 루신 아릴아미다아제(leucine arylamidase), 발린 아릴아미다아제(valine arylamidase), 시스틴 아릴아미다아제(cystine arylamidase), 트립신(trypsin), 알파-카이모트립신(α-chymotrypsin), 산성 포스파타아제(acid phosphatase), 나프톨-AS-BI-포스포하이드롤라아제(Naphthol-AS-BI-phosphohydrolase), 알파-갈락토시다아제(α-galactosidase), 베타-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sidase), 베타-글루쿠로니다아제(β-glucuronidase),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베타-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 N-아세틸-베타-글루코사마니다아제(N-acetyl-β-glucosaminidase)의 활성에는 양성이었고 그 외 두 가지의 효소 활성은 음성이었다. API 20E 키트를 이용한 효소활성과 발효반응을 측정한 결과, 베타-갈락토시다아제, 우레아제(urease), 트립토판 디아미나아제(tryptophane deaminase) 효소 활성은 양성이었고 그 외 효소반응은 음성이었다. 그리고 당류에 대한 발효 테스트 결과, D-글루코오스(D-glucose), D-수크로오스(D-sucrose), D-멜리바이오스(D-melibiose), 아미그달린(amygdalin) 등에 양성이었고 나머지 5종의 당류에서는 발효가 관찰되지 않았다. API 20NE 키트 테스트에서 우레아제, 에스쿨린(esculin) 분해, 베타-갈락토시다아제 효소활성과 글루코오스 발효반응이 양성이었고, 탄소원으로서 D-글루코오스, L-아라비노오스(L-arabinose), D-만노오스(D-mannose), D-만니톨(D-mannitol), D-말토오스(D-maltose), 글루콘산 칼륨에는 양성 반응을 보였다. 그 외 효소 및 탄소원 사용에 관한 반응은 음성이었다.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의 API ZYM 키트 분석 결과
효소 반응
Alkaline phosphatase +
Esterase(C4) +
Esterase Lipase(C8) +
Lipase(C14) +
Leucine arylamidase +
Valine arylamidase +
Cystine arylamidase +
Trypsin +-
α-chymotrypsin +-
Acid phospatase +
Naphtol-AS-BI-phosphohydrolase +
α-galactosidase +
β-galactosidase +
β-glucuronidase +-
α-glucosidase +
β-glucosidase +
N-acetyl-D-β-glucosaminidase +
α-mannosidase -
α-fucosidase -
기호: +, 양성; +-, 약한 양성; -, 음성.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의 API 20E 키트 분석 결과
효소/기질 반응
효소 β-galactosidase +-
Arginine dihydrolase -
Lysine decarboxylase -
Ornithine decarboxylase -
Citrate utilization -
H₂S production -
Urease +
Tryptophane deaminase +
indole production -
acetoin production
(Vogesproskauer)
-
Gelatinase -
발효 D-glucose +
D-mannitol -
inositol -
D-sorbitol -
L-rhamnose -
D-sucrose +
D-melibiose +
amygdalin -+
L-arabinose -
기호: +, 양성; +-, 약한 양성; -, 음성.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의 API 20NE 키트 분석 결과
효소/기질 반응
효소 Nitrates to nitrites -
Indole production -
Arginine dihydrolase -
Urease +-
Esculin hydrolysis +
Gelatin hydrolysis -
Galactosidase +-
발효 Glucose +-
동화 D-glucose +
L-arabinose +
D-mannose +
D-mannitol +-
N-acetyl-glucosamine -
D-maltose +-
potassium gluconate +-
capric acid -
adipic acid -
malic acid -
trisodium citrate -
phenylacetic acid -
기호: +, 양성; +-, 약한 양성; -, 음성.
2-2. 다당체 분해 활성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는 균체 주변으로 비용해성 AZCL-아밀로오스, AZCL-아라비노자일란, AZCL-자일란을 분해하여 배지에 푸른색을 나타낸 것으로부터 분해 효소를 세포외부로 분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종의 효소 활성 중에서는 자일란 분해 활성이 가장 강하게 관찰되었고 다음으로 아라비노자일란 분해 활성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아밀로오스 분해 활성이 뒤따랐다(도 3).
AZCL-자일로글루칸, -셀룰로오스, -풀루란에 대한 분해 활성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부터 자일로글루카나아제(xylogluc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풀루라나아제(pullulanase) 효소는 생산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PDB 배지에서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의 액체배양에 따른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3일째 시료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이 보이다가 5일째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도 4).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의 액체배양 3일째 시료로부터 준비된 조효소액을 이용하여 자일란을 기질로한 효소반응산물을 TLC로 분석하였을 때,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가 분비하는 자일라나아제는 비치우드(beechwood) 자일란을 분해하여 이량체(dimer)(DP2)를 주요 분해산물로 생산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5). 최종 분해산물인 이량체를 포함하여 6량체(DP6)보다 긴 구조의 올리고당이 생산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TLC 패턴은 일반적인 엔도-유형(endo-type) 자일라나아제의 가수분해 특성과 일치한다. 따라서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의 효소를 이용한다면, 자일란으로부터 이량체를 주요 산물로하는 자일로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3360P 20210615
<11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20> Novel strain Cryptocline arctostaphyli RN2 having xylan degrading activity <130> ALP21012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69 <212> DNA <213> Unknown <220> <223> Cryptocline arctostaphyli RN2 <400> 1 cggaaggatc attaaagaga aaggggctaa acaccccgac ctccaaccct ctgttgttaa 60 aactactttg ttgctttggc gggaccgttc ggtctccgag ccgcccaggc accttcacgg 120 gtgtccaggc gagtgcccgc cagagttaaa ccaaactctt gttatttaaa ccggtcgtct 180 gagtacaaat ttttgaatta aatcaaaact ttcaacaacg gatctcttgg ttctcgcatc 240 gatgaagaac gcagcgaaat gcgataagta atgtgaattg cagaattcag tgaatcatcg 300 aatctttgaa cgcacattgc gccccttggt attccgaggg gcatgcctgt tcgagcgtca 360 ttacaccact caagcatagc ttggtattgg gcaatcgccc ccgccagtcg gggacgcgcc 420 tcaaacacct cggcggagcc tcaccggctt tgggcgtagt agaatttcta ataacgtcct 480 ttaacggaga tggttccttt gccgacagaa gcctttaaat ttttctaggt tgacctcgga 540 tcaggtaggg atacccgctg aacttaagc 569 <210> 2 <211> 59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Cryptocline arctostaphyli RN2 <400> 2 aggaaaagaa accaacaggg attgccctag taacggcgag tgaagcggca acagctcaaa 60 tttgaaagct agccttcggg ttcgcattgt aatttgtaga ggatgctttg gggcagccgc 120 ctgtctaagt tccttggaac aggacgtcat agagggtgag aatcccgtat gtgacaggac 180 atggcaccct atgtaaagct ccttcgacga gtcgagttgt ttgggaatgc agctctaaat 240 gggaggtaaa tttcttctaa agctaaatac cggcgagaga ccgatagcgc acaagtagag 300 tgatcgaaag atgaaaagca ctttggaaag agagttaaaa agcacgtgaa attgttgaaa 360 gggaagcgct tgcaatcaga cttgtcttta actgttcggc cggtcttctg accggtttac 420 tcagtaatcg acaggccagc atcagtttcg gcggtcggat aaaggccctg ggaatgtggc 480 tctgccttcg ggtagagtgt tatagcccag ggtgtaatac ggccagccgg gactgaggtc 540 cgcgattcgt ctaggatgct ggcgtaatgg ttgtaagcga cccgtcttga a 591

Claims (7)

  1. 수탁번호 KACC 93360P로 기탁된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Cryptocline arctostaphyli) RN2 균주.
  2. 제1항의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다당류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당류 분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자일란, 아라비노자일란 또는 아밀로오스인, 다당류 분해 방법.
  4. 제1항의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포함하는 다당류 분해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자일란, 아라비노자일란 또는 아밀로오스인, 다당류 분해용 조성물.
  6. 제1항의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자일란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당류 제조 방법.
  7. 제1항의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정제물을 포함하는 이당류 제조용 조성물.
KR1020210087871A 2021-07-05 2021-07-05 자일란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 KR10261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871A KR102612094B1 (ko) 2021-07-05 2021-07-05 자일란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871A KR102612094B1 (ko) 2021-07-05 2021-07-05 자일란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077A true KR20230007077A (ko) 2023-01-12
KR102612094B1 KR102612094B1 (ko) 2023-12-12

Family

ID=8492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871A KR102612094B1 (ko) 2021-07-05 2021-07-05 자일란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0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432A (ko) * 2009-10-19 2011-04-2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일란아제를 생산하는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한 자일란아제의 생산 최적화 방법
KR20170042959A (ko) * 2015-10-12 2017-04-20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새로운 자일란 분해 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아트로비랜스 wj2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432A (ko) * 2009-10-19 2011-04-2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일란아제를 생산하는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한 자일란아제의 생산 최적화 방법
KR20170042959A (ko) * 2015-10-12 2017-04-20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새로운 자일란 분해 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아트로비랜스 wj2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ristakopoulos P, Katapodis P, Kalogeris E, Kekos D, Macris BJ, Stamatis H, Skaltsa H. Antimicrobial activity of acidic xylo-oligosaccharides produced by family 10 and 11 endoxylanases. Int J Biol Macromol. 2003 Jan 15;31(4-5):17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094B1 (ko)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jivkumar et al. Biosynthesi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β-1, 4-xylanase from a novel mangrove associated actinobacterium Streptomyces olivaceus (MSU3) and its applications
KR20120106774A (ko) 동시 당화 발효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KR20110119386A (ko) 바실러스 벨렌첸시스 a-68 유래 섬유소 분해효소 유전자 및 이를 도입하여 형질전환된 에셰리키아 콜리 a-68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섬유소 분해효소의 생산 방법
Chen et al. Purification and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two β-endoxylanases from Trichoderma sp. K9301 and their actions in xylooligosaccharide production
KR20170025408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인피섬유의 정련방법
JP5718899B2 (ja) 発酵条件による酵素バランスの変更
Jasim Isol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sation xylanase produced by sporolactobacilli
Ahmad et al. Effect of corn cobs concentration on xylanase biosynthesis by Aspergillus niger
KR102612094B1 (ko) 자일란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 크립토클라인 아르크토스타필리 rn2
Kamble et al. Xylanase production under solid state and submerged fermentation conditions by bacterial strains
Neagu et al. Trichoderma reesei cellulase produced by submerged versus solid state fermentations
KR102612093B1 (ko) 자일란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rg4
TW201420760A (zh) 枯草桿菌菌株Bacillus subtilis及其應用
Turaeva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with cellulolytic activity from the microflora of animal juice
CZ150093A3 (en) Xylanase, bacillus strains producing xylanase and their use
Parambath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xymethyl cellulase (CMCase) from P enicillium ochrochloron isolated from forest soil of Neyyar Wild Life Sanctuary, India
US6569646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enzyme preparation containing xylanase and carboxymethyl cellulase from termitomyces clypeatus having accession no 11CB-411
KR101098545B1 (ko) 자일란아제를 생산하는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한 자일란아제의 생산 최적화 방법
Rahmani et al. Endo-xylanase enzyme from marine actinomycetes and its potential for xylooligosaccharide production
KR101746398B1 (ko) 새로운 자일란 분해 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아트로비랜스 wj2
Bekkarevich et al. Cultivation of a novel cellulase/xylanase producer, Trichoderma longibrachiatum mutant TW 1-59-27: Production of the enzyme preparation and the study of its properties
KR101518200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종 cs624 균주 유래의 신규 자일란 분해 효소 및 농업부산물 분해에서의 응용
KR102038287B1 (ko) 신규한 당화효소 생산 셀룰로파가 속 미생물 및 이의 이용
KR100523528B1 (ko) 키티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한 셀룰로모나스 gm13 속 균주
KR101453389B1 (ko)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 분해능을 가지는 신규 미생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