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028A -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 - Google Patents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028A
KR20230007028A KR1020210087765A KR20210087765A KR20230007028A KR 20230007028 A KR20230007028 A KR 20230007028A KR 1020210087765 A KR1020210087765 A KR 1020210087765A KR 20210087765 A KR20210087765 A KR 20210087765A KR 20230007028 A KR20230007028 A KR 20230007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uide plate
facility
light guide
position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487B1 (ko
Inventor
박경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텔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텔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텔레텍
Priority to KR102021008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4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4Information to display
    • G09F2013/1854Light diffusing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에 설치되는 시설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함체 형태로 형성된 본체;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발생시키는 태양광 패널; 소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 모듈; 및 하측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부딪혀 난반사 또는 산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문자나 도형 등이 식별되도록 표시부가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주간에 충전된 전원으로 야간에 도광판을 밝혀 시설물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Device signing the position of the outside facility}
본 발명은 실외에 설치되는 소화전, 구난장비 등 시설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업, 공업, 주택 시설이 밀집된 지역에는 옥외 소화전이나 구난장비 등 여러 시설물이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시설물은 밤에 쉽게 식별되지 않기 때문에 위급한 상황에서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업 밀집지역에는 골목 등에 옥외 소화전이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옥외 소화전은 바닥에 설치되어 있어서 정차된 차량이나 물건 등에 의해 쉽게 가려지기 때문에 쉽게 찾기 어려운 점이 있고, 이렇게 허비되는 단 1~2분 사이에도 화재는 급속히 확산될 수 있어서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가져온다. 특히, 주변 지역에 정전이 발생할 경우에는 옥외 소화전을 찾는 것이 더욱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57402호는 '소화전 위치 표시장치'가 게재되어 있는 바, 『다수의 LED가 '소화기' 문자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기판; 정전시 충전된 전압을 각 구성요소의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밧데리; 및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밧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제1634131호는 '비상 알림 경고장치'가 게재되어 있는 바, 『교통사고 발생시 사용자가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스위치; 다수의 LED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등이나 점멸에 의해 교통사고를 알리는 경고표시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에너지를 정전압 처리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술들을 통해 살펴보면 실외에 설치되는 위치 표시기로서 LED 표시부; 및 낮에 전원을 충전하였다가 저녁에 LED 표시수단을 점등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발전부;의 구성이 예측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외 위치 표시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다수의 LED로 구성된 표시부를 직접적인 표시수단으로 사용하게 되면 많은 전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보통은 낮에 태양광발전부에 의해 충전된 전원만으로 밤새 LED 표시부를 밝히기 어렵고, 충전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만큼 태양광 패널이나 충전지의 용량이 커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별도로 연결된 상용전원이 주전원이 되고 태양광 패널에 의해 얻어지는 전원은 보조전원으로 쓰이게 된다. 물론, 위 특허 제1634131호와 같이 일시적인 사용만 요구되는 경우에는 태양광 패널에 의해 충전된 전원만으로 구동이 가능하나, 지속적인 사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다. 또한, 일반 전구를 사용하는 경우 수명이 짧기 때문에 LED 사용이 선호된다.
둘째, 위 특허 제1634131호와 같이 보통은 태양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태양광 패널을 표시부의 상측에 설치하는 것은 물론이고, 태양의 움직임 방향을 고려하여 일정각도 기울게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상업 밀집지역에 설치되는 옥외 소화전은 높이가 낮기 때문에 표시부가 태양광 패널에 의해 가려지면서 식별이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태양광 패널을 경사지게 설치하더라도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의해 태양광의 흡수율이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하여 사용 수명을 높이면서도 최소한의 LED 사용을 통해 표시부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부가 태양광 패널의 상측에서 형성되도록 하여 식별력을 높이는 한편, 어느 방향으로 설치하더라도 태양광 패널이 태양광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표시부에 의해 태양광 패널이 가려지지 않도록 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외에 설치되는 시설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에 설치하도록 함체 형태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단면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발생시키는 태양광 패널;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내측에 설치되고, 상측을 향해 발광하는 소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 모듈; 및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체 형성하되, 투명 패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는 하측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부딪혀 난반사 또는 산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문자나 도형 등이 식별되도록 표시부가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실외에 설치되는 시설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에 설치하도록 함체 형태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단면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발생시키는 태양광 패널;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내측에 설치되고, 상측을 향해 발광하는 소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 모듈; 및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형성하되, 투명 패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는 하측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부딪혀 난반사 또는 산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문자나 도형 등이 식별되도록 표시부가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태양광 패널과 도광판이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를 커버하기 위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하부 또는 전후좌우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시설물에 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에 의하면 LED를 이용하여 사용 수명을 높이면서도 최소한의 LED 사용을 통해 표시부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패널에 의해 충전된 전원만으로 밤새 표시부를 밝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에 의하면 표시부를 태양광 패널의 상측에서 형성하여 식별력을 높이는 한편, 어느 방향으로 설치하더라도 태양광 패널이 태양광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표시부가 태양광 패널을 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표시부에 의한 식별성을 높이면서도 설치방향에 제약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의 외형을 도시한 설명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의 분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의 단면 및 작용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의 고정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형태로 형성된 본체(100),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발생시키는 태양광 패널(200), 소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 모듈(300) 및 하측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부딪혀 난반사 또는 산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문자나 도형 등이 식별되도록 표시부가 형성된 도광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시설물에 설치하도록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100)는 시설물의 상측이나 전후좌우측면 중 어느 일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는 전원이 충전되는 충전지, LED모듈(300) 및 낮에는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밤에는 충전지에 저장된 전원으로 LED 모듈을 점등시키는 일련의 제어회로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외부에 설치되는 만큼 내부로 비나 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밀폐된 형태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는 상기 태양광 패널(200)이 안착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안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바닥에는 태양광 패널의 전선이 본체 내부로 인입되도록 인입구(120)를 형성한다. 상기 인입구는 안착홈에 결합된 태양광 패널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거나, 실링 작업에 의해 외부와 차단됨으로써 빗물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도 2,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을 켜고 끄기 위한 버튼(140)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140)은 본체(100)의 후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실링 작업을 통해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바닥은 앞서 설명한 충전지, LED모듈 및 제어회를 설치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체(100)는 2가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도광판(400)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다. 즉, 상기 본체(100)는 투명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기 도광판(400)과 함께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 경우 본체(100)로부터 도광판(400)의 분리 또는 분실의 염력가 없고, 빗물이나 습기 등의 침투로부터 더욱 안전한 장점이 있다.
다른 하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도광판(400)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본체(100)는 도광판(400)과 별도로 성형하고, 상기 본체와 도광판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각각 결합홈(130)과 결합돌기(430)를 형성함으로써 도광판(400)을 본체(1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결합 부분에는 구조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도광판(400)을 간편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고, 본체나 도광판 중 어느 하나에 파손이 발생하면 그 하나만 교체할 수 있어서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태양광 패널(200)은 상기 본체(100) 상단면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발생시킨다. 상기 태양광 패널(200)은 충전지(210)와 제어회로(2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즉, 흡수되는 빛의 양이나 설정된 시간에 따라 발전 및 충전 모드로써 충전지에 전원을 저장하거나, 전원공급 모드로써 발전을 중단하면서 동시에 충전지에 저장된 전원을 LED모듈로 공급하는 일련의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시설물의 설치 방향 등에 따라 표시부가 향하는 방향도 결정되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 설치되더라도 언제나 태양광 패널로 충분한 햇빛이 조사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 표시기는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의해 일정구간 햇빛이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태양광 패널(200)은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한 방향에서 햇빛의 흡수율이 높도록 기울기를 주는 것보다는 360도 어느 곳에서도 햇빛이 흡수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시설물의 목적이나 통상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서는 태양광 패널이 일정한 기울기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본체의 상단면은 일정한 기울기로서 그 표면에 안착홈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LED모듈(300)은 상기 본체(100)의 일측 선단 내측에 설치되고, 상측을 향해 발광하는 소수의 LED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LED모듈(300)은 도광판에 의한 문자나 기호의 식별이 가능한 정도로 최소한의 LED(문자나 기호의 수 에 따라 대략 1~5개 정도)를 구성함으로써 사용 전력을 최소화한다. 이 경우 전구에 비해 사용 수명은 크게 연장되면서 사용 전원은 최소화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광판(400)은 상기 본체(100)의 일측 선단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투명한 패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는 하측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부딪혀 난반사 또는 산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문자나 기호 등이 식별되도록 표시부(410)가 형성된다. 즉, 도광판(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낮에 태양광 패널로 조사되는 햇빛을 가리지 않도록 하고, 밤에는 하부의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표시부(410)의 문자나 기호 등이 식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문자나 기호 등의 표시부(410)는 음각 가공에 의해 형성하거나, 인쇄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4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0)로부터 분리 결합되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태양광 패널(200)과 도광판(400)이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를 커버하기 위한 케이스(500) 및 상기 케이스 하부 또는 전후좌우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시설물에 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본체(100)를 접착이나 밴딩 또는 볼팅 등의 수단으로 시설물에 고정 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 케이스(500)를 이용하여 본체(100)를 보호하고, 상기 고정수단(600)을 이용하여 더욱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500)는 바닥에 하나 이상의 배수구(510)를 형성함으로써 바닥에 찬 빗물이 쉽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6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으로 형성된 것 외에 시설물의 형태와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며, 이와 같은 고정수단은 시설물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접착이나 밴딩 또는 볼팅 등의 수단으로 시설물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500)와 고정수단(6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축 결합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LED를 이용하여 사용수명을 높이면서도 최소한의 LED 사용을 통해 태양광발전에 의한 충전전원으로 밤새 도광판을 밝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상용전원이나 유지보수 없이 그 기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도광판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도광판을 태양광 패널의 상측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도광판이 태양광 패널으로 비치는 햇빛을 가리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식별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100: 본체
200: 태양광 패널
300: LED 모듈
400: 도광판
500: 케이스
600: 고정수단

Claims (3)

  1. 실외에 설치되는 시설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에 설치하도록 함체 형태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단면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발생시키는 태양광 패널;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내측에 설치되고, 상측을 향해 발광하는 소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 모듈; 및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체 형성하되, 투명 패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는 하측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부딪혀 난반사 또는 산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문자나 도형 등이 식별되도록 표시부가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
  2. 실외에 설치되는 시설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에 설치하도록 함체 형태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단면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발생시키는 태양광 패널;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내측에 설치되고, 상측을 향해 발광하는 소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 모듈; 및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형성하되, 투명 패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는 하측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부딪혀 난반사 또는 산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문자나 도형 등이 식별되도록 표시부가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과 도광판이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를 커버하기 위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하부 또는 전후좌우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시설물에 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
KR1020210087765A 2021-07-05 2021-07-05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 KR102524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765A KR102524487B1 (ko) 2021-07-05 2021-07-05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765A KR102524487B1 (ko) 2021-07-05 2021-07-05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028A true KR20230007028A (ko) 2023-01-12
KR102524487B1 KR102524487B1 (ko) 2023-04-21

Family

ID=8492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765A KR102524487B1 (ko) 2021-07-05 2021-07-05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4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47A (ko) * 1998-06-10 2000-01-25 우쓰미 야스시 도로표지장치
KR20030061166A (ko) * 2002-01-11 2003-07-18 남궁청수 태양전지와 발광다이오드 셀을 이용한 도로 표지판
KR100938977B1 (ko) * 2009-09-14 2010-01-26 주식회사 동방이엔텍 도로 표지 장치
KR20120097065A (ko) * 2011-02-24 2012-09-03 소홍수 도로용 펜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47A (ko) * 1998-06-10 2000-01-25 우쓰미 야스시 도로표지장치
KR20030061166A (ko) * 2002-01-11 2003-07-18 남궁청수 태양전지와 발광다이오드 셀을 이용한 도로 표지판
KR100938977B1 (ko) * 2009-09-14 2010-01-26 주식회사 동방이엔텍 도로 표지 장치
KR20120097065A (ko) * 2011-02-24 2012-09-03 소홍수 도로용 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487B1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8939B2 (en) Light-emitting block
JP4829574B2 (ja) 照明システム
WO2007018836A2 (en) Traffic control sign assembly
KR101032830B1 (ko) 태양발전 조명장치를 구비한 버스 승강장
KR100677726B1 (ko) 발광타일
JP4383360B2 (ja) 縁石ブロック装置
US20030133291A1 (en) Lighting apparatus
KR102524487B1 (ko) 실외 시설물용 위치 표시기
JP3218698U (ja) 交通警告ポール
JP2002015610A (ja) ソーラー電源街路灯
KR102505235B1 (ko) 비상소화장치용 위치 표시등
KR10091621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조명 제어시스템
GB2467726A (en) Barrier arrangement with integral lamp unit
CN207116956U (zh) 一种具有夜间警示效果的高低压配电柜
JP3154596U (ja) 仮囲い板
KR102281733B1 (ko) 소방용 위치 표시장치
CN211475753U (zh) 一种市政工程用应急照明装置
JP2011076962A (ja) 照明装置
CN218275911U (zh) 一种电缆保护槽
CN214459837U (zh) 一种led动态可变车道指示牌
JP7190678B2 (ja) 防災照明装置
JP2008280824A (ja) カラーコーン照明ラバーベース及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コーン照明システム
CN112805772A (zh) 发光的消防通道面板标识
CN205848801U (zh) 夜视鞋
WO2021038114A1 (es) Dispositivo de iluminación de emergencia de tecnología led o equivalente, base para la iluminación comú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