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576A - 원격 제어기로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기로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576A
KR20230006576A KR1020227042591A KR20227042591A KR20230006576A KR 20230006576 A KR20230006576 A KR 20230006576A KR 1020227042591 A KR1020227042591 A KR 1020227042591A KR 20227042591 A KR20227042591 A KR 20227042591A KR 20230006576 A KR20230006576 A KR 20230006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receivers
frame structure
smart board
transmit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랏 캔단
오누르 아크데미르
Original Assignee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3000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7Multimedia 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보드(10)와 원격 제어기(2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보드(10)는 프레임 구조체(11)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는 프레임 구조체(11)에 배열되고 프레임 구조체(11)에 의해 정의된 평면 내의 무선 신호(40)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스마트 보드(10)는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제어기 유닛(12)을 더 포함한다. 원격 제어기(20)는 무선 제어 신호(30)를 프레임 구조체(11)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어기 유닛(12)은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제어 신호(30)를 수신했다는 검출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드(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기로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보드와 원격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스마트 보드는 대화형(interactive) 디지털 화이트보드로 구성된다. 그것들은 컴퓨터 및/또는 비머(beamer)에 연결되어 원격 제어기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기기를 제어하도록 원격 제어기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수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적외선 수신기 모듈이 제공된다.
적외선 수신기 모듈은 기기의 전면에 위치하거나 별도의 모듈로 외부에 설치된다. 수신기 모듈의 위치로 인해 이러한 기기의 제어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검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신기 모듈의 생산은 예를 들어 장인 정신, 조립, 재고, 재료 공급, 설계 및 제조업체의 비용 증가와 같이 스마트 기기 생산의 여러 단계에서 비용이 많이 든다. 게다가 이러한 모듈들은 스마트 보드의 전력 소비를 증가시켜 추가 비용을 초래한다.
스마트 보드는 종종 교육에 사용되며 다음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첫 번째는 글을 쓰고, 두 번째는 모든 학생이 볼 수 있는 컴퓨터 화면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보드가 컴퓨터와 비머에 연결되면, 컴퓨터 화면이 비머에 의해 스마트 보드에 투사될 수 있다. 원격 제어기를 사용하여 스마트 보드를 켜고 끌 수 있으며, "쓰기" 모드와 "컴퓨터 화면" 모드 사이를 전환할 수 있고, "컴퓨터 화면" 모드에서는 동영상 시청 시 볼륨이나 원격 제어기의 버튼을 눌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과 같이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시스템의 빠르고 효율적인 기능은 지속적인 학습과 관련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예시적인 스마트 보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downloadcenter.samsung.com/content/UM/201708/20170811103554754/DME-BR_65-75-82_DME-BM_82_EU_WebManual_Eng-04_20170616.0.pdf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기로 스마트보드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 및 원격 제어기로 스마트보드를 제어하는 방법은 당업계의 적어도 일부 문제를 극복하는 데 유리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 보드와 원격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제어기로 스마트 보드를 제어하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양태, 이점 및 특징은 청구범위,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
본 개시내용의 독립적인 양태에 따르면, 스마트 보드 및 스마트 보드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시된다. 스마트 보드는 프레임 구조체 - 복수 개의 송신기 및 수신기는 프레임 구조체에 배열되고 프레임 구조체에 의해 정의된 평면 내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됨 - ; 및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송신기 및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제어기 유닛을 포함하고, 원격 제어기는 무선 제어 신호를 프레임 구조체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 유닛은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송신기 및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했다는 검출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독립적인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스마트 보드 및 상기 스마트 보드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보드는 프레임 구조체 - 복수 개의 송신기 및 수신기는 프레임 구조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의해 정의된 평면 내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됨 - ; 및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송신기 및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제어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원격 제어기에 의해 프레임 구조체에 무선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송신기 및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했다는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에 의해 스마트 보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또한 개시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설명된 방법 양태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 양태들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 적절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둘의 임의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또한 설명된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스마트 보드 제어 시스템의 모든 기능을 원격 제어기로 수행하는 방법 양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용된 특징의 방식이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상기 간략하게 요약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다음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기로 스마트 보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원격 제어기로 스마트 보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특히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 유닛의 개략적인 기능을 도시한다.
도 4a 및 4b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및 카메라의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5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 구조체 및 기능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 센서 및 서보 모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참조할 것이며, 그 중 하나 이상의 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다음 설명 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개별 실시예에 대한 차이점만이 설명된다. 각각의 예는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며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실시예의 일부로서 도시되거나 설명된 특징은 또 다른 실시예를 생성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와 함께 또는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은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반적인 스마트 보드는 원격 제어기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기는 종종 IR 표준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스마트 보드에는 원격 제어기를 통해 주어진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원격 제어기가 전송하는 IR 신호에 해당하는 모듈이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외부 모듈은 원격 제어기가 특정 각도에서 모듈을 향할 때만 원격 제어기가 전송하는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보드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더욱이 이러한 외부 설치 모듈은 생산 및 사용에 추가 비용을 초래하여 스마트 보드 사용의 매력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보드의 화면 어느 곳에서나 원격 제어기를 가리킬 수 있고, 외부에 설치된 모듈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원격 제어기가 송출하는 신호가 어느 곳에서나 인식될 수 있도록 다수의 송신기와 수신기를 구비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였다. 이에 따라 스마트 보드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응답 및 사용이 보장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기로 스마트 보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스마트 보드(10) 및 원격 제어기(20)를 포함하고, 여기서 스마트 보드(10)는 프레임 구조체(11)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는 프레임 구조체(11)에 배열되고, 프레임 구조체(11)에 의해 정의된 평면 내 무선 신호(40)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스마트 보드(10)는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제어기 유닛(12)을 더 포함한다. 원격 제어기(20)는 무선 제어 신호(30)를 프레임 구조체(11)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어기 유닛(12)은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제어 신호(30)를 수신했다는 검출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드(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원격 제어기(20)는 프레임 구조체(11)의 수신기(111)에 무선 제어 신호(30)를 제공한다. 이 구조적 요소는 직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원격 제어기(20)로 스마트 보드(10)를 제어한다는 것은 스마트 보드를 켜고 끄는 것과 같이 원격 제어기(20)가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프레임 구조체(1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구조적 요소는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영역에 걸쳐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11)에 위치하는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정해진 순서 없이 배열될 수도 있다.
프레임 구조체(12)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가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신호(40) 및 원격 제어기(2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제어 신호(30)는 예를 들어 IR 표준을 따른다. 이러한 신호는 전파 신호, 소리, 초음파 소리, 전송 주파수가 약 10kHz 인 유도 전송과도 호환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기(111)의 각각 또는 복수 개의 송신기(111) 모두는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LED(113)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기(112)의 각각 또는 복수 개의 수신기(112) 모두는 하나 이상의 LED(113)에 의해 방출된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광검출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LED(113) 및 광검출기(114)의 수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LED(113) 및 광검출기(114)는 하나 이상의 광검출기(114)가 하나의 LED(113)에 의해 방출된 광에 대응하거나 그 반대가 되도록 상이한 크기일 수 있다. 또한, LED(113)는 프레임의 일측에, 광검출기(114)는 반대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일정한 패턴에 따라 교대로 또는 랜덤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광검출기(114)는 LED(113)의 광을 투사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도 3은 원격 제어기(20)로 스마트 보드(10)를 제어하는 방법 및 특히 제어기 유닛(12)의 개략적인 기능을 도시한다.
시스템은 제어기 유닛(12)을 포함하고, 제어기 유닛(12)은 복수 개의 수신기(112) 중 제1 수신기(112a)를 결정하고, 그 제1 수신기(112a) 및 상이한 수신기(112b) 각각에서 수신된 무선 제어 신호(30)의 신호 품질에 따라 복수 개의 수신기(112) 중 상이한 수신기(112b)로 스위칭함으로써, 무선 제어 신호(30)를 수신한 복수 개의 수신기(112)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그렇게 하기 위해, 제어기 유닛(12)은 여러 수신기(112)에 결합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60) 및 카메라(60)의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프레임 구조체(11)에 카메라(60)를 포함하고, 카메라(60)는 원격 제어기(20)의 위치를 파악하고 원격 제어기(20)를 추적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카메라(60)는 광각 카메라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비디오 레코더일 수도 있다. 카메라(60)는 프레임 구조체(11)에 있다고 한다. 대안적으로 스마트 보드(10)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원격 제어기(20)의 추적은 객체 추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카메라(60)는 원격 제어기(20)에 설치된 GPS 송신기 또는 GSC(Ground Station Controller)를 따르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시각 인식 기술은 원격 제어기(20)를 추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기(20)는 초음파 검출기, 레이저 기반 검출기 및/또는 레이더 검출기에 의해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및 프레임 구조체(1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애플리케이션(50)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50)은 수신기(112)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50)은 추가 모듈일 수 있거나, 제어기 유닛(12)의 일부로서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보드(10)는 백그라운드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때 활성화된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 유닛(12)은 애플리케이션(5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카메라(60)는 원격 제어기(20)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애플리케이션(60) 및/또는 제어기 유닛(12)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정보의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처리될 수 있고, 원격 제어기(20)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처리할 프로세서는 카메라(60)나 외부 모듈의 일부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 센서(80)와 서보 모터(81)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시스템(100)은 스마트 보드(10)가 원격 제어기(20)에 대해 갖는 상대 위치를 결정하고 스마트 보드(10)를 원격 제어기(20) 쪽으로 향하도록 구성된 자이로 센서(80) 및 서보 모터(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마트 보드(10)는 프레임 구조체(11)에서 수신기(112) 및 송신기(111)가 원격 제어기(20)에 의해 전송된 무선 제어 신호(30)를 볼 수 있도록 항상 위치가 파악된다. 이 기능은 카메라(60)의 기능을 대체하거나 카메라(60)를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보드(10) 및 스마트 보드(1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2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며, 스마트 보드(10)는 다수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가 프레임 구조체(11)에 배열되고, 프레임 구조체(11)에 의해 정의된 평면 내에서 무선 신호(40)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구조체(11)를 포함한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제어기 유닛(12)을 더 포함한다. 원격 제어기(20)는 프레임 구조체(11)에 무선 제어 신호(30)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무선 제어 신호(30)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기 유닛(12)에 의해 스마트 보드(10)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Claims (13)

  1. 스마트 보드(10) 및 상기 스마트 보드(1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2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스마트 보드(10)는,
    프레임 구조체(11) - 복수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가 상기 프레임 구조체(11)에 배열되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11)에 의해 정의된 평면 내에서 무선 신호(40)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됨 -; 및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제어기 유닛(12)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기(20)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11)에 무선 제어 신호(30)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기 유닛(12)은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제어 신호(30)를 수신했다는 검출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드(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40) 및 상기 무선 제어 신호(30) 모두는 IR 표준을 따르는, 시스템(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 개의 송신기(111) 각각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송신기 모두는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LED(113)를 포함하는, 시스템(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기 각각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112) 모두는 상기 하나 이상의 LED(113)에 의해 방출된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광검출기(114)를 포함하는, 시스템(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유닛(12)은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112) 중 제1 수신기(112a)를 결정하고 그 제1 수신기(112a) 및 다른 수신기(112a)에서 각각 수신된 무선 제어 신호(30)의 신호 품질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112) 중 상기 다른 수신기(112b)로 스위칭함으로써 무선 제어 신호(30)를 수신한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112)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50)을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50)은 상기 수신기(112)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유닛(12)은 상기 애플리케이션(5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11)에 카메라(60)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원격 제어기(20)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60)는 상기 원격 제어기(20)를 추적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00).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60)는 상기 원격 제어기(20)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50) 및/또는 상기 제어기 유닛(12)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0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100)은,
    - 상기 원격 제어기(20)에 대해 상기 스마트 보드(10)가 갖는 상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80); 및
    - 상기 스마트 보드(10)를 상기 원격 제어기(20) 쪽으로 향하도록 구성된 서보 모터(81)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기(20)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구성된 초음파 검출기, 레이저 기반 검출기 및/또는 레이더 검출기를 포함하는, 시스템(100).
  13. 시스템(100)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시스템은 스마트 보드(10) 및 상기 스마트 보드(1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20)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보드(10)는,
    프레임 구조체(11) - 상기 프레임 구조체(11)에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가 상기 프레임 구조체(11)에 배열되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11)에 의해 정의된 평면 내에서 무선 신호(40)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됨 - ; 및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제어기 유닛(12)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기(20)에 의해 무선 제어 신호(30)를 상기 프레임 구조체(11)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 유닛(12)에 의해,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 개의 송신기(111) 및 수신기(11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무선 제어 신호(30)를 수신했다는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드(10)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42591A 2020-06-08 2020-06-08 원격 제어기로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065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20/065791 WO2021249612A1 (en) 2020-06-08 2020-06-0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devices with a remote contro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576A true KR20230006576A (ko) 2023-01-10

Family

ID=7108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591A KR20230006576A (ko) 2020-06-08 2020-06-08 원격 제어기로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22895A1 (ko)
EP (1) EP4128185A1 (ko)
JP (1) JP2023529437A (ko)
KR (1) KR20230006576A (ko)
CN (1) CN115702448A (ko)
WO (1) WO20212496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6236A1 (en) * 2003-06-02 2004-12-09 Greensteel, Inc. Remote control for electronic whiteboard
JP4200939B2 (ja) * 2004-05-19 2008-12-2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と受信装置と受信方法
KR101107258B1 (ko) * 2005-10-11 2012-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기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80046928A (ko) * 2006-11-23 2008-05-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리모컨위치 탐지장치 및 방법
US20120287090A1 (en) * 2009-12-29 2012-11-15 Sanford, L.P. Interactive Whiteboard with Wireless Remote Control
CN201698393U (zh) * 2010-06-02 2011-01-05 卢永雄 一种集成电子白板及其电子笔
US9423485B2 (en) * 2011-12-16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an expected blockage of a signal path of an ultrasound signal
KR101984576B1 (ko) * 2012-06-28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컨트롤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443414B2 (en) * 2012-08-07 2016-09-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bject tracking
TWI486819B (zh) * 2012-11-05 2015-06-01 Phihong Technology Co Ltd 大型多點觸控顯示器
CN203336294U (zh) * 2013-06-28 2013-12-11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红外触摸屏的led灯结构
CN103702151B (zh) * 2013-11-25 2018-05-22 何文林 智能电视和触控屏人机交互遥控装置与方法
US20160062488A1 (en) * 2014-09-01 2016-03-03 Memsic, Inc. Three-dimensional air mouse and display used together therewith
US9825688B2 (en) * 2015-02-27 2017-11-21 Bos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antenna diversity switching
EP3435350A1 (en) * 2017-07-28 2019-01-30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Apparatus for mounting a display screen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523266B1 (ko) * 2018-01-16 202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230661B (zh) * 2018-02-09 2024-05-17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红外遥控系统、方法、红外电子白板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8185A1 (en) 2023-02-08
US20230222895A1 (en) 2023-07-13
WO2021249612A1 (en) 2021-12-16
JP2023529437A (ja) 2023-07-10
CN115702448A (zh)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8262B2 (en) Universal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62095B1 (ko) 모션감지센서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461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489811B1 (ko) 전원자동제어장치 및 전원자동제어방법
US73128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ositioning of camera
US20130278423A1 (en) Detec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1326488A (zh) 自动跟踪相机
TWI566605B (zh) Machine identification device and remote control system
KR20230006576A (ko) 원격 제어기로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00188250A1 (en) Remote controller transceiver
KR102476404B1 (ko) ToF 모듈 및 그 ToF 모듈을 이용한 피사체 인식장치
US20030020645A1 (en) Infrared remote control system having repeater type illumination unit
US20050190073A1 (en) Noise resistant remote control system
US2016033774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ttenuation of an audio signal
KR20080046928A (ko) 리모컨위치 탐지장치 및 방법
TR201613370A2 (tr) Çok açili ir alicisi üni̇tesi̇ne sahi̇p görüntüleme ci̇hazi
TR202008786A2 (tr) Akilli ci̇hazlari bi̇r uzaktan kumanda aygiti i̇le kontrol etmeye yöneli̇k si̇stem ve yöntem
KR101489810B1 (ko) 셋톱박스 리피터 및 이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시스템
CN102750014A (zh) 多点定位智能控制方法与装置
JP2017530468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に基づく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JP2008258751A (ja) リモコン
CN107950033B (zh) 远程装置和远程装置系统
JP2000321530A (ja) レーザーポインタおよび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CN110674657A (zh) 射频识别阅读器及其使用方法
KR0137517B1 (ko) 텔레비전의 유아위치경보장치(television with infant position alarm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