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415A -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 Google Patents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415A
KR20230006415A KR1020220168972A KR20220168972A KR20230006415A KR 20230006415 A KR20230006415 A KR 20230006415A KR 1020220168972 A KR1020220168972 A KR 1020220168972A KR 20220168972 A KR20220168972 A KR 20220168972A KR 20230006415 A KR20230006415 A KR 20230006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foreign object
vacuum
cha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김경순
Original Assignee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김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김경순 filed Critical 안중근
Priority to KR102022016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6415A/ko
Publication of KR2023000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블렌더의 작동시 음식 미세물 또는 습기가 역류하여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는,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는,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챔버부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일단이 상기 진공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부재의 챔버부에 삽입 배치되는 진공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에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수용되는 이물받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의 하부에는 흡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의 내부는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과 연통되며,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은 상기 챔버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믹싱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 흡입공, 이물받이부, 진공호스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 VACUUM BLENDER }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블렌더의 작동시 음식 미세물 또는 습기가 역류하여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블렌더(믹서기)는 오늘날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기제품 중 하나로서, 믹서용기의 내부에 과일, 야채, 곡물 등의 음식물을 넣고, 저자용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칼날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저장 용기 내에 분쇄 대상인 음식물을 넣은 후에 뚜껑을 닫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회전칼날을 회전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분쇄 용기 내의 공기와 분쇄된 음식물 알갱이가 고속으로 혼합되면서 많은 거품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바나나, 토마토와 같은 과일을 블렌더에 넣고 분쇄시키면, 과일 주스의 상부에 많은 양의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과일 주스를 마실 때에 맛과 식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과일섬유질이 분쇄 과정에서 이미 산화가 이루어져 영양소가 상당 부분 파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음식물을 분쇄한 후에 바로 섭취하지 아니하고 보관해야 하는 경우,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산화 과정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어 섬유질 및 영양소의 파괴가 가속화되고, 색깔이 변색되어 신선도가 떨어지며, 공기와 음식물 사이의 층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이처럼 블렌더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은 곧바로 먹지 아니하면 장기간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구조의 진공 블렌더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진공 블렌더는 분쇄용기의 내부에 액상의 음식물을 넣고 분쇄할 경우, 음식 미세물이 진공흡입력 등에 의해 진공펌프로 유입되어 진공펌프와 압력센서가 고장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제품들은 압력센서 없이 분쇄용기 내부 압력을 미리 계산하여 시간으로 제어를 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의 양에 관계없이 진공시간이 일률적으로 동일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진공블렌더는 위와 같은 문제점 등에 의해 분쇄용기의 내부에 음식물(액체 등)을 가득 채우지 못하고, 분쇄용기 크기의 약 40%정도만 음식물을 넣고 분쇄하도록 되어 있어, 진공 블렌더의 효율성이 떨어졌다.
미세물의 유입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공개특허 10-2019-0019690 등에서는 용기커버의 하부에 역류방지수단(이물받이부 등)을 장착하여 음식 미세물이 역류하여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용기커버의 하부에 역류방지수단을 장착할 경우에는, 크기에 한계가 있어 미세물을 수용하는 양이 적고,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내용물(미세물)이 역류하면 일반 가정에서는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시 진공호스 안쪽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위생상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외부의 진공용기를 진공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호스를 진공펌프에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했고, 진공용기를 진공시키지 않을 때에는 호스와 연결된 부분을 다시 폐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9-001969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받이부를 용기커버의 하부가 아닌 분쇄용기의 외부에 장착하여 조립 및/또는 청소가 용이하고, 이물받이부를 크게 제작할 수 있으며,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호스를 이용하여 분쇄용기 및 외부의 진공용기를 용이하게 진공시킬 수 있고 진공용기를 진공하지 않을 때에도 진공호스를 별도로 폐쇄시킬 필요가 없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는,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챔버부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일단이 상기 진공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부재의 챔버부에 삽입 배치되는 진공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에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수용되는 이물받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에는 흡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의 내부는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과 연통되며,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은 상기 챔버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믹싱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 흡입공, 이물받이부, 진공호스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받이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에 형성된 상기 흡입공은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에는 제1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과 연통되며,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은 상기 챔버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믹싱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 흡입공, 수용부, 제1통로, 진공호스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로 이동된다.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챔버부가 형성된 하부커버부재와; 일단이 상기 본체 또는 하부커버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챔버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커버부재가 상기 하부커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챔버부에 배치된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은 상기 제1통로와 연통된다.
상기 하부커버부재에는 상기 이물받이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부재가 상기 하부커버부재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상부커버부재는 상기 챔버부의 상부 및 상기 이물받이부의 상부도 함께 덮는다.
상기 하부커버부재에는 상기 이물받이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재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의 상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장착공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커버부재가 상기 챔버부의 상부를 덮고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장착공 및 안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의 상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상부커버부재가 상기 챔버부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는 독립적으로 상기 장착공 및 안착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챔버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진공해제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에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진공해제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커버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의 하부에는 중공형상의 제1밀폐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의 하부는 상기 관통공은 관통하고, 상기 제1밀폐부재는 하면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단에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상기 하부커버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부재의 하면과 상기 용기커버의 상단 사이에는 중공형상의 제2밀폐부재가 배치되되, 상기 제2밀폐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공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배출공이 배치되며,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공은 상기 관통공 및 제2밀폐부재를 통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에는 회전방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는 독립적으로 회전이 저지된다.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챔버부가 형성된 하부커버부재와; 일단이 상기 본체 또는 하부커버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챔버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는 상기 하부커버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은 상기 이물받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하부커버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의 내부는 상기 챔버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진공 및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미세물이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미세물이 포집된 이물받이부를 쉽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며, 챔버부에 배치된 진공호스를 이용하여 외부의 진공용기도 진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가 용기커버의 하부가 아닌 분쇄용기의 외부에서 커버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및 청소가 용이하고, 이물받이부를 크게 제작할 수 있어 미세물을 많이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호스를 이용하여 분쇄용기 및 외부의 진공용기를 모두 용이하게 진공시킬 수 있고, 진공용기를 진공하지 않을 때에도 진공호스를 폐쇄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 및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에서 진공호스로 진공용기를 진공시키는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에서 진공호스로 진공용기를 진공시키는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진공 블렌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분쇄용기(20)와, 용기커버(30)와, 커버부재(40)와, 진공호스(50)와, 이물받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에는 모터(11)와 진공펌프(1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분쇄용기(2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쇄용기(20)의 내부에 장착된 칼날은 상기 모터(11)의 회전시 회전하면서 믹싱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게 된다.
상기 용기커버(30)는 상기 분쇄용기(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31)에는 체크밸브(32)가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상기 체크밸브(32)가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 커버부재(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쇄용기(20)의 내부를 진공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4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며, 그 외 공지된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40)의 내부에는 챔버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40)는, 하부커버부재(41)와 상부커버부재(4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커버부재(41)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챔버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에 상기 챔버부(43)를 형성하는 것이라면, 상기 커버부재(4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부재(42)는 일단이 상기 본체(10) 또는 하부커버부재(4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챔버부(43)의 상부를 개폐한다.
이러한 상기 상부커버부재(42)가 상기 하부커버부재(41)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챔버부(43)는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 둘레에 가스켓이 장착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며, 가스켓 소재는 실리콘, 고무 등 탄성이 있는 공지된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부재(42)가 상기 하부커버부재(41)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상부커버부재(42)와 하부커버부재(41)는 별도의 공지된 다양한 락킹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진공호스(50)는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40) 및 본체(10)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1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부재(40)의 챔버부(43)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진공호스(50)는 여러개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진공호스(50)는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부재(42)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챔버부(43)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진공호스(50)의 타단을 외부로 인출하여 외부에 배치된 별도의 진공용기(80)에 결합하여 진공용기(80)를 진공시킬 수도 있다.
상기 진공호스(50)의 타단이 상기 챔버부(43)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12)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챔버부(43)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진공호스(50) 및 진공펌프(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부(43)에 배치된 상기 진공호스(50)의 타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60)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이물받이부(60)는 상기 커버부재(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액체(습기), 분체 등의 미세물이 수용되는 수용부(61)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60)의 하부에는 흡입공(62)이 형성되어 상기 이물받이부(60)가 상기 커버부재(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공(62)은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된다.
이때, 상기 흡입공(62)의 위치는 상기 이물받입부(60)의 하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부재(41)에는 상기 이물받이부(60)가 안착되는 안착부(41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부재(41)에서 상기 안착부(41a)의 하부에는 관통공(4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60)의 하부에는 상기 흡입공(62)의 둘레에 중공형상의 제1밀폐부재(6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60)가 상기 커버부재(40)의 안착부(4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60)의 하부는 상기 관통공(41c)은 관통하고, 상기 흡입공(62)의 둘레에 형성된 상기 제1밀폐부재(64)는 하면이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단에 접하여 상기 배출공(31)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게 된다.
즉, 상기 이물받이부(60)를 상기 안착부(41a)에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이물받이부(60)의 하부는 상기 안착부(41a)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41c)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이때 상기 이물받이부(60)의 하부에 장착된 상기 제1밀폐부재(64)는 상기 관통공(41c)을 관통한 후 상기 배출공(31)의 둘레에서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단에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용기커버(30)에 형성된 배출공(31)과 상기 이물받이부(6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흡입공(62)은 각각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밀폐부재(64)의 하부와 상부에 배치되면, 외부로부터 밀폐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쇄용기(20)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12)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배출공(31), 제1밀폐부재(64) 및 흡입공(62)을 통해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수용부(61)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물받이부(60)와 상기 안착부(41a)는 사이에는 외부 공기의 유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가스켓이 존재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60)에는 제1통로(63)가 형성되어 상기 이물받이부(60)가 상기 커버부재(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통로(63)는 상기 진공호스(50)의 타단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통로(63)는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부(41a)에는 상기 제1통로(63)와 연통되는 제2통로(4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통로(63)와 제2통로(41b)의 연통에 의해 상기 수용부(61)는 상기 챔버부(43)와 연통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안착부(41a)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상기 제2통로(41b) 없이 상기 제1통로(63)가 상기 챔버부(43)와 바로 연통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60)의 내부 즉 상기 수용부(61)는 상기 제1통로(63)와 제2통로(41b)를 통해 상기 챔버부(43)와 연통되게 되고, 이는 상기 챔버부(43)에 배치된 상기 진공호스(50)의 타단과 연통되게 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통로(63)와 제2통로(41b)는 상기 커버부재(40)의 회전 힌지점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4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수용부(61)에 수용되어 있는 미세물이 상기 제1통로(63) 및 제2통로(41b)를 통해 상기 수용부(61)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60)에는 회전방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물받이부(60)가 상기 커버부재(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60)는 독립적으로 회전이 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외주면에 등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이물받이부(60)가 원통형이 아닌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각진부분이 상기 회전방지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물받이부(60)가 상기 안착부(41a)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부재(42)가 상기 하부커버부재(41)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상부커버부재(42)는 상기 챔버부(43)의 상부 및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상부도 함께 덮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커버부재(42)가 상기 하부커버부재(41)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부(43)가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챔버부(43)에 배치된 상기 진공호스(50)의 타단은 상기 제1통로(63) 및 제2통로(41b)를 통해 상기 이물받이부(60)의 내부와 연통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0)에는 상기 챔버부(4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진공해제밸브(70)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챔버부(43)의 진공을 해제시킬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진공해제밸브(70)는 상기 커버부재(40)가 아닌 다른 곳에 장착되어, 상기 챔버부(43)의 진공을 해제시킬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믹싱공간에 음식물이 내부에 배치된 상기 분쇄용기(20)를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안착한다.
그 후 상기 커버부재(40)가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회전 또는 하강시킨다.
그러면 상기 커버부재(40)의 내부에 미리 장착되어 있는 상기 이물받이부(60)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 배치되게 되고, 상기 제1밀폐부재(64)의 하부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면에 접하면서 상기 배출공(31)과 상기 이물받이부(60)의 흡입공(62)은 상기 제1밀폐부재(64)의 내부를 통해 상호 연통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11)를 작동시켜 상기 분쇄용기(20)에 장착된 칼날을 회전시키고 상기 진공펌프(12)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분쇄용기(20) 내부의 공기 및 미세물은 상기 배출공(31), 흡입공(62)을 통해 상기 이물받이부(60)의 내부 즉 수용부(61)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용부(61)로 이동된 미세물은 무게에 의해 상기 수용부(61)에 축적되게 되고, 공기는 상기 제1통로(63), 제2통로(41b)를 통해 상기 챔버부(43)로 이동한 후, 다시 상기 진공호스(50)의 타단과 진공펌프(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진공호스(50)의 타단은 상기 제1통로(63) 또는 제2통로(41b)에 접하여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로(63) 및 제2통로(41b)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챔버부(43)에 놓여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진공호스(50)의 타단을 상기 제1통로(63) 또는 제2통로(41b)에 직접 연결하게 되면, 상기 챔버부(43)를 진공시킬 필요가 없어 진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때에는 상기 이물받이부(60)에 진공해제밸브(70)가 장착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공호스(50)의 타단이 상기 제1통로(63) 및 제2통로(41b)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챔버부(43)에 놓여 있는 경우에는, 상기 챔버부(43)만큼의 공간을 진공시켜야 하지만, 상기 수용부(61)에서 상기 제1통로(63)와 제2통로(41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미세물이 상기 하부커버부재(41)의 챔버부(43)에 다시 한번 축적되도록 할 수 있어, 미세물이 상기 진공호스(50)를 통해 진공펌프(12)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진공펌프(12)와 모터(11)는 동시에 작동될 수도 있고, 시간차를 두고 작동될 수도 있다.
한편 진공 및 분쇄가 완료되면, 상기 진공해제밸브(70)를 개방하여 상기 챔버부(43)의 진공을 해제시킨다.
그 후 상기 상부커버부재(42)를 회전시켜 상기 챔버부(43)의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이물받이부(60)를 상기 안착부(41a)에서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커버부재(41)와 상부커버부재(42)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을 상기 이물받이부(60)와 연결되게 한 몸체로 만들어, 상기 이물받이부(60)를 상기 하부커버부재(41)에서 분리할 때 상기 하부커버부재(41)와 상부커버부재(42)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도 함께 분리되도록 하여, 분리 및 세척의 편의성 등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의 진공용기(80)를 진공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부재(42)를 회전시켜 상기 챔버부(43)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공호스(50)의 타단이 상기 진공용기(80)에 결합되도록 한 후, 진공펌프(12)를 작동시키면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 및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미세물이 진공펌프(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미세물이 포집된 이물받이부(60)를 쉽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며, 챔버부(43)에 배치된 진공호스(50)를 이용하여 외부의 진공용기(80)도 진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이물받이부(60)와 상기 용기커버(30) 상호간의 밀폐 구조 등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하부커버부재(41)에는 관통공(41c)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받이부(60)는 상기 안착부(41a)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41c)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관통공(41c)과 상기 흡입공(62)은 상호 연통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부재(41)의 하면과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단 사이에는 중공형상의 제2밀폐부재(44)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밀폐부재(44)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공(41c)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배출공(31)이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밀폐부재(44)는 상기 하부커버부재(41)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60)가 상기 커버부재(40)의 안착부(41a)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60)의 하부에 결합된 제1밀폐부재(64)는 상기 관통공(41c)의 둘레에 접하면서 상기 흡입공(62)은 상기 관통공(41c) 및 제2밀폐부재(44)를 통해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이물받이부(60)와 상기 상부커버부재(42)의 장착 구조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하부커버부재(41)에는 상기 이물받이부(60)가 안착되는 안착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커버부재(42)에는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상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장착공(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커버부재(42)가 상기 챔버부(43)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상부는 상기 장착공(42a)을 통해 상기 커버부재(40)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즉, 상기 이물받이부(60)가 상기 커버부재(40)의 장착공(42a)과 안착부(41a)에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상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커버부재(42)가 상기 챔버부(43)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60)는 상기 커버부재(4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이물받이부(60)를 독립적으로 상기 장착공(42a) 및 안착부(41a)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커버부재(42)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이물받이부(60)를 상기 커버부재(40)에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세척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진공해제밸브(70)는 상기 커버부재(40) 또는 이물받이부(6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진공해제밸브(70)가 상기 커버부재(40)에 장착되면 상기 진공해제밸브(70)는 상기 챔버부(4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진공해제밸브(70)가 상기 이물받이부(60)에 장착되면 상기 진공해제밸브(70)는 상기 수용부(6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다.
제4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이물받이부(60)와 상기 상부커버부재(42)의 장착 구조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하부커버부재(41)에는 상기 이물받이부(60)가 안착되는 안착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커버부재(42)에는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상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장착공(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커버부재(42)가 상기 챔버부(43)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상부는 상기 장착공(42a)을 통해 상기 커버부재(40)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즉, 상기 이물받이부(60)가 상기 커버부재(40)의 장착공(42a)과 안착부(41a)에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상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커버부재(42)가 상기 챔버부(43)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60)는 상기 커버부재(4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이물받이부(60)를 독립적으로 상기 장착공(42a) 및 안착부(41a)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커버부재(42)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이물받이부(60)를 상기 커버부재(40)에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세척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물받이부(60)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진공해제밸브(70)는 상기 커버부재(40) 또는 이물받이부(6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진공해제밸브(70)가 상기 커버부재(40)에 장착되면 상기 진공해제밸브(70)는 상기 챔버부(4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진공해제밸브(70)가 상기 이물받이부(60)에 장착되면 상기 진공해제밸브(70)는 상기 수용부(6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2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다.
제5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이물받이부가 하부커버부재(4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5실시예에서는 이물받이부가 상기 하부커버부재(41)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하부커버부재(41)가 이물받이부의 역할도 함께 한다.
따라서, 도 6에서는 별도로 이물받이부에 대한 도면부호를 표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물받이부의 내부는 상기 하부커버부재(41)에 형성된 챔버부(43)가 되고, 상기 챔버부(43)의 내부에 미세물 등이 수용되게 된다.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는 흡입공(62)은 이물받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하부커버부재(4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2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모터, 12 : 진공펌프,
20 : 분쇄용기,
30 : 용기커버, 31 : 배출공, 32 : 체크밸브.
40 : 커버부재, 41 : 하부커버부재, 41a : 안착부, 41b : 제2통로, 41c : 관통공, 42 : 상부커버부재, 42a : 장착공, 43 : 챔버부, 44 : 제2밀폐부재,
50 : 진공호스,
60 : 이물받이부, 61 : 수용부, 62 : 흡입공, 63 : 제1통로, 64 : 제1밀폐부재,
70 : 진공해제밸브,
80 : 진공용기.

Claims (11)

  1.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챔버부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일단이 상기 진공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부재의 챔버부에 삽입 배치되는 진공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에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수용되는 이물받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에는 흡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의 내부는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과 연통되며,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은 상기 챔버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믹싱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 흡입공, 이물받이부, 진공호스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에 형성된 상기 흡입공은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에는 제1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과 연통되며,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은 상기 챔버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믹싱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 흡입공, 수용부, 제1통로, 진공호스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챔버부가 형성된 하부커버부재와;
    일단이 상기 본체 또는 하부커버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챔버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커버부재가 상기 하부커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챔버부에 배치된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은 상기 제1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부재에는 상기 이물받이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부재가 상기 하부커버부재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상부커버부재는 상기 챔버부의 상부 및 상기 이물받이부의 상부도 함께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5.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부재에는 상기 이물받이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재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의 상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장착공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커버부재가 상기 챔버부의 상부를 덮고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장착공 및 안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의 상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상부커버부재가 상기 챔버부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는 독립적으로 상기 장착공 및 안착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6. 청구항4 또는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챔버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진공해제밸브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7.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에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진공해제밸브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8. 청구항4 또는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의 하부에는 중공형상의 제1밀폐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의 하부는 상기 관통공은 관통하고, 상기 제1밀폐부재는 하면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단에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9. 청구항4 또는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부재의 하면과 상기 용기커버의 상단 사이에는 중공형상의 제2밀폐부재가 배치되되,
    상기 제2밀폐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공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배출공이 배치되며,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공은 상기 관통공 및 제2밀폐부재를 통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0.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에는 회전방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물받이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는 독립적으로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1.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챔버부가 형성된 하부커버부재와;
    일단이 상기 본체 또는 하부커버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챔버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는 상기 하부커버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은 상기 이물받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하부커버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의 내부는 상기 챔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1020220168972A 2021-06-28 2022-12-06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20230006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972A KR20230006415A (ko) 2021-06-28 2022-12-06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186A KR102489974B1 (ko) 2021-06-28 2021-06-28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1020220168972A KR20230006415A (ko) 2021-06-28 2022-12-06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186A Division KR102489974B1 (ko) 2021-06-28 2021-06-28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415A true KR20230006415A (ko) 2023-01-10

Family

ID=848937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186A KR102489974B1 (ko) 2021-06-28 2021-06-28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1020220168972A KR20230006415A (ko) 2021-06-28 2022-12-06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186A KR102489974B1 (ko) 2021-06-28 2021-06-28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99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690A (ko) 2017-08-18 2019-02-27 씨티엠(주)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729B1 (ko) * 2014-06-18 2016-05-09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KR101994943B1 (ko) * 2017-04-13 2019-07-01 안중근 텀블러를 구비한 믹서기
KR102102978B1 (ko) * 2018-09-05 2020-04-2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KR20200124631A (ko) * 2020-07-31 2020-11-03 안중근 진공블렌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690A (ko) 2017-08-18 2019-02-27 씨티엠(주)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974B1 (ko) 2023-01-18
KR20230001390A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50611B (zh) 具备防倒流功能的真空搅拌机用存储容器
KR101618729B1 (ko)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CN208491863U (zh) 搅拌机
US20220175192A1 (en) Vacuum blender
KR101943098B1 (ko) 진공 믹서기
KR101674164B1 (ko) 진공 믹서기
KR102635598B1 (ko)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CN110997150B (zh) 真空破壁机
KR101673246B1 (ko) 진공 믹서기
KR101695733B1 (ko) 진공 믹서기
KR102489974B1 (ko)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200482022Y1 (ko) 진공 믹서기용 보조용기
KR102489976B1 (ko) 진공블렌더
KR102082394B1 (ko) 식재료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
KR102275784B1 (ko) 진공블렌더
KR101908019B1 (ko) 소음저감형 진공블렌더
KR102165314B1 (ko) 외부 진공용기의 진공기능을 갖는 진공블렌더
KR101978810B1 (ko) 식재료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
KR102507566B1 (ko)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KR20190072281A (ko) 진공텀블러 및 이를 구비한 믹서기
KR102488655B1 (ko) 챔버가 손잡이에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20220133618A (ko) 작동시간 단축형 진공블렌더
KR102349993B1 (ko) 음식물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진공블렌더
KR20240010863A (ko) 회전교반유닛이 장착된 진공블렌더
KR20230152519A (ko) 진공효율을 향상시키는 뚜껑을 구비한 진공 블렌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