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274A -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274A
KR20230006274A KR1020210087294A KR20210087294A KR20230006274A KR 20230006274 A KR20230006274 A KR 20230006274A KR 1020210087294 A KR1020210087294 A KR 1020210087294A KR 20210087294 A KR20210087294 A KR 20210087294A KR 20230006274 A KR20230006274 A KR 20230006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
management server
operation management
business process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주)파워젠
이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젠, 이정규 filed Critical (주)파워젠
Priority to KR102021008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6274A/ko
Publication of KR2023000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5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8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mprising a plurality of manip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스케줄관리서버로부터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이 다수의 봇(BOT)으로 전송되는 단계; (b) 상기 봇(BOT)에서 상기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라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과정 중에 상기 봇(BOT)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업무프로세스 실행화면을 캡쳐한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운영관리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운영관리서버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캡쳐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A monitoring method of the running of RPA}
본 발명은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실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라 다수의 봇(BOT)에서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과정 중 실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을 정도로 봇(BOT)의 메모리 등의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가 운영자 입장에서 쉽게 인식될 수 있으며, 나아가 봇(BOT)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에 따른 로그정보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업무프로세스를 변경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는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로서, 비니지스 업무를 실행함에 있어서 반복적이고 단순한 업무프로세스의 경우에 소프트웨어를 적용해 업무를 자동화하는 것을 말한다.
RPA실행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스케줄관리서버에서 다수의 봇(BOT)에 각각의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을 전송하고, 이에 각각의 봇(BOT)에서 전송받은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라 주어진 업무프로세스별로 업무가 실행된다.
봇(BOT)에서 실행될 수 있는 업무프로세스에는 사람이 수행하는 많은 업무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다. 가령, 봇(BOT)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고, 파일 및 폴더를 이동하며, 데이터를 복사 및 붙여 넣고, 양식을 작성하며, 문서에서 정형 및 반정형 데이터를 추출하고, 브라우저를 스크레이핑(scraping) 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이러한 RPA를 통해 많은 업무프로세스가 처리될 경우 조직의 작업 속도(workflow)가 혁신되고 효율화될 뿐만 아니라 특정 요구 사항에 맞춤화된 빠른 대응을 통해 확장성과 유연성을 배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RPA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각각의 봇(BOT)에 업무프로세스가 기설정된 상태에서, 스케줄관리서버의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라 업무가 실행되는 과정 중 다양한 형태의 오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류로 인하여 해당 봇(BOT)에서의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소수의 봇(BOT)으로 소수의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경우, 운영자가 실시간으로 업무가 실행되고 있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나, 많은 수의 봇(BOT)에서 각각의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경우, 어느 한 봇(BOT)에서의 오류가 발생되어 업무프로세스 실행이 중단되는 경우 운영자가 이를 곧바로 파악하지 못하여 곧바로 오류를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전체 업무프로세스 실행에 차질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나아가, 봇(BOT)에 일단 업무프로세스가 기설정된 상태라도, 이후의 업무 환경이 변경됨에 따라 봇(BOT)의 업무프로세스가 변경되거나 개선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변경이나 개선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봇(BOT)의 업무프로세스의 효율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더욱이 그 변경이나 개선에 필요한 데이터가 한눈에 쉽게 파악될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지 않아, 그 변경이나 개선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 10-2190459 B
(특허문헌 2) KR 10-2261793 B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봇(BOT)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는 모니터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나아가, 기설정된 봇(BOT)의 업무프로세스의 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한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모니터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은, (a) 스케줄관리서버(200)로부터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이 다수의 봇(BOT)(300)으로 전송되는 단계; (b) 상기 봇(BOT)(300)에서 상기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라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과정 중에 상기 봇(BOT)(300)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업무프로세스 실행화면을 캡쳐한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상기 캡쳐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봇(BOT)(300)의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봇(BOT)(300)에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업무프로세스 실행화면을 일정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캡쳐한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일정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고,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상기 캡쳐이미지가 일정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며,
(d) 일정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된 다수의 상기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에 따른 캡쳐이미지에서, 어느 한 제1캡쳐이미지와 상기 어느 한 제1캡쳐이미지가 전송된 시간에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전송된 제2캡쳐이미지의 픽셀의 구성을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상기 제1캡쳐이미지와 제2캡쳐이미지 간의 픽셀의 구성에 변동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에서 알람메세지가 생성되어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1)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봇(BOT)(300)에서 상기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라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른 상기 봇(BOT)(300)의 로그정보가 상기 스케줄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케줄관리서버(200)와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는 실시간으로 양방향 유무선 통신되며,
상기 봇(BOT)(300)에서 상기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른 업무프로세스 실행이 중단되어 실행실패로그정보가 상기 스케줄관리서버(200)를 통하여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상기 실행실패로그정보가 인식됨에 따라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에서 알람메세지가 생성되어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봇(BOT)(300)에는 에이전트(330)가 장착되며, 상기 에이전트(330)는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와 유무선 통신하며,
상기 캡쳐이미지, 상기 봇(BOT)(300)의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에이전트(330)에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며,
상기 봇(BOT)(300)에서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른 상기 봇(BOT)(300)의 로그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봇(BOT)(300)의 실행화면에 대한 상기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상기 봇(BOT)(300)에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며,
상기 스케줄관리서버(200)를 통하여 전송된 상기 봇(BOT)(300)의 로그정보별로 이와 매칭된 상기 캡쳐이미지가 매칭되어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된 상기 봇(BOT)(300)의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에 대한 정보에 따른 상기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이 일정 이상이라고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판단된 경우,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에서 알람메세지가 생성되어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일정한 주기로, 실시간으로 또는 로그정보별로 봇(BOT)에서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는 실행화면이 운영관리서버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봇(BOT)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에서의 오류 여부가 운영관리서버의 디스플레이부나 소정의 단말기를 통해 파악될 수 있어, 봇(BOT)의 업무프로세스의 실행에서의 오류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RPA실행 효율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운영관리서버의 디스플레이부에서는 각각의 봇(BOT)의 로그정보를 취합하여 업무프로세스를 통계적으로 살펴볼 수 있고, 또한 로그정보별로 실행화면에 대한 캡쳐이미지가 매칭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봇(BOT)의 업무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거나 변경을 검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이 운영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이 운영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한다.
각각의 봇(BOT)(300)에서 실행되는 업무프로세스 실행화면의 캡쳐이미지가 각각의 봇(BOT)(300)에 장착된 에이전트(330)를 통해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고,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봇(BOT)에 장착된 에이전트(330)를 통해 전송된 각각의 봇(BOT)의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이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운영관리서버(100)는 다수의 봇(BOT)(300)의 에이전트(33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에이전트(330)에서 취득한 봇(BOT)(300)의 실행화면 캡쳐이미지,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330)에서 상술한 각각의 봇(BOT)(300)의 실행화면에 대한 캡쳐이미지 등이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봇(BOT)(300)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에서 오류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알람메세시가 생성되어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되고, 나아가 운영자의 소정의 단말기로 이러한 알람메세지가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봇(BOT)(300)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에서의 오류가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판단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어느 한 봇(BOT)(300)에서 어느 한 시점에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는 실행화면에 대한 제1캡쳐이미지와 그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는 실행화면에 대한 제2캡쳐이미지의 비교에서, 제1캡쳐이미지의 픽셀 구성과 제2캡쳐이미지의 픽셀구성에 변경에 없는 경우에 오류가 판단될 수 있다.
즉, 지속적으로 업무프로세스가 진행됨에 따라 캡쳐된 실행화면이 달라질 수밖에 없는데, 실행화면이 시간이 지나도 그 상태의 실행화면이라면 실행이 중단된 것으로 보고 오류라 판단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봇(BOT)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에 따른 실시간 로그정보가 스케줄관리서버(200)를 통해 운영관리서버(100)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데, 봇(BOT)에서 업무프로세스 실행이 실패된 경우, 실행실패로그정보가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이러한 실행실패로그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해당 봇(BOT)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에서의 오류라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된 봇(BOT)의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에 대한 정보에 따른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이 일정 이상이라고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 판단되는 경우에도 해당 봇(BOT)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에서의 오류라 판단될 수 있다.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오류라 판단되어 알람메세지가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디스플레이되거나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된 경우, 운영자는 이러한 오류를 인식하고 전체 업무프로세스의 실행에 차질이 없도록 별도의 신속한 조치를 취하여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봇(BOT)의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라 생성된 로그정보가 스케줄관리서버(200)로 일정한 주기로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스케줄관리서버(200)와 실시간으로 유무선 통신하는 운영관리서버(100)로 스케줄관리서버(200)에서 취합된 각각의 봇(BOT)(300)의 로그정보가 실시간으로, 일정한 주기로 또는 업무프로세스가 종료된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된 각각의 봇(BOT)의 로그정보가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각각의 봇(BOT)에서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른 로그정보별로 이와 매칭되는 실행화면에 대한 캡쳐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봇(BOT)(300)의 로그정보별 캡쳐이미지가 용이하게 파악되고, 이에 따라 봇(BOT)(300)의 업무프로세스를 변경하거나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지 쉽게 검토할 수 있다.
스케줄관리서버(200)에서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이 다수의 봇(BOT)(300)으로 전송된다. 스케줄관리서버(200)는 각각의 봇(BOT)(300)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을 명령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봇(BOT)(300)에서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른 봇(BOT)(300)의 로그정보가 스케줄관리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나아가, 스케줄관리서버(200)와 운영관리서버(100)는 실시간으로 양방향 유무선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스케줄관리서버(200)로 전송된 각각의 봇(BOT)(300)의 로그정보가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스케줄관리서버(200)에서 봇(BOT)(300)으로 전송되는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이 운영관리서버(100)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운영관리서버(100)에서 이루어진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은 스케줄관리서버(200)를 통하여 봇(BOT)(300)으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타 스케줄관리서버(200)와 봇(BOT)(300)의 유무선 통신관계는 종래의 RPA의 유무선 통신관계에 따른다.
봇(BOT)(300)에서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른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이러한 봇(BOT)(300)은 PC일 수 있거나,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봇(BOT)(300)에는 에이전트(33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이전트(330)는 운영관리서버(100)와 유무선 통신될 수 있다.
에이전트(330)에서는,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라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과정 중, 봇(BOT)(30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업무프로세스 실행화면을 캡쳐한 캡쳐이미지, 봇(BOT)(300)의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 등이 취득될 수 있다. 에이전트(330)에 의해 취득된 캡쳐이미지 등에 대한 정보가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S100: 스케줄관리서버(200)에서 봇(BOT)(300)으로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이 전송되는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관리서버(200)에서 다수의 봇(BOT) 각각에 해당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도록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이 전송된다. 이러한 각각의 봇(BOT)의 업무프로세스는 RPA 설계시 기설정될 수 있으며, 스케줄관리서버(200)에서는 다수의 봇(BOT)(300)의 업무프로세스 실행 스케줄 또는 각각의 봇(BOT)(300) 업무프로세스 스케줄을 관리한다.
S200: 봇(300)에서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단계
스케줄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된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라 각각의 봇(BOT)(300)에서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된다.
S300: 봇(BOT)(300)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에 따른 봇(BOT)(300)의 로그정보가 봇(BOT)(300)에서 스케줄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단계
봇(BOT)(300)에서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라 개별적인 업무에 따른 로그정보가 생성되고, 이러한 로그정보가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한 주기로 스케줄관리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관리서버(200)와 운영관리서버(100)는 실시간으로 양방향 유무선 통신 가능한 바, 스케줄관리서버(200)로 전송된 각각의 봇(BOT)(300)의 로그정보가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S420: 봇(BOT)(300)의 업무프로세스 실행화면을 캡쳐한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는 단계
각각의 봇(BOT)(300)에 장착된 에이전트(330)에서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취득될 수 있다. 즉, 봇(BOT)(300)에서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라 봇(BOT)(300)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실행화면이 실시간으로, 또는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로그정보별로 실행화면이 캡쳐될 수 있다.
나아가, 봇(BOT)의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이 실시간으로, 일정한 주기로 또는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는 업무별로 에이전트(330)에서 취득될 수 있다.
이러한 실행화면이 캡쳐된 캡쳐이미지 또는 메모리 사용량 등에 대한 정보가 봇(BOT)(300)의 에이전트(330)에서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S440: 봇(BOT)(300)의 로그정보가 스케줄관리서버(200)에서 운영관리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봇(BOT)(300)에서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라 생성된 로그정보가 스케줄관리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단계는 S420 단계와 일정한 시간 차이를 두고 진행되거나 동시에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520: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된 캡쳐이미지가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봇(BOT)(300)의 에이전트(120)에서 운영관리서버(100)로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고, 이에 따라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각각의 봇(BOT)(300)의 업무프로세스 실행화면에 대한 캡쳐이미지가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한 주기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업무프로세스 실행에 따른 봇(BOT)(300)의 로그정보가 스케줄관리서버(200)에서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고, 나아가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된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에 따른 캡쳐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데, 업무프로세스 실행에 따른 로그정보별 실행화면이 캡쳐된 캡쳐이미지가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로그정보와 로그정보별 캡쳐이미지가 매칭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영자는, 봇(BOT)의 업무프로세스를 변경하거나 개선하고자 하는 경우, 로그정보별 캡쳐이미지가 쉽게 파악되는 바 봇(BOT)(300) 업무프로세스의 효율성을 용이하게 검토할 수 있고 향후 발생될 수 있는 오류 등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예측으로 오류의 발생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봇(BOT)(300)의 업무프로세스를 변경하거나 개선할 수 있다.
S540: 전후 캡쳐이미지에 변동이 없는 경우, 봇(BOT)(300)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알람메세지가 생성되는 단계
업무프로세스 실행화면을 일정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캡쳐한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일정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고,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캡쳐이미지가 일정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일정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된 다수의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에 따른 캡쳐이미지에서, 어느 한 제1캡쳐이미지와 어느 한 제1캡쳐이미지가 전송된 시간에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전송된 제2캡쳐이미지의 픽셀의 구성을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비교한다.
이때,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제1캡쳐이미지와 제2캡쳐이미지 간의 픽셀의 구성에 변동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운영관리서버(100)에서 알람메세지가 생성되어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봇(BOT)(300)에서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라, 봇(BOT)(300)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실행화면이 계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제1캡쳐이미지와 제2캡쳐이미지 간의 픽셀 구성이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실행이 중단된 상태의 한 실행화면만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오류로 판단될 수 있다.
이렇게 오류로 판단되는 경우, 운영관리서버(100)에서 해당 봇(BOT)(300)에 대한 알람메세지가 생성되어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운영자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된 오류를 인식하거나 전송된 알람 메시지로 오류를 인식하고 곧바로 오류를 제거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S560: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된 로그정보 중 실행실패로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봇(BOT)(300)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알람메세지가 생성되는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관리서버(200)로 봇(BOT)의 로그정보가 전송되고, 이러한 로그정보가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이러한 실행실패로그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봇(BOT)(300)의 업무프로세스 실행에서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운영관리서버(100)에서 알람메세지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생성된 알람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나아가, 봇(BOT)(300)의 에이전트(330)에서 취득한 봇(BOT)의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고, 이러한 사용량이 일정 이상이라고 운영관리서버(100)에서 판단되는 경우, 사용량 초과로 업무프로세스 실행이 중단될 수 있는 바, 오류로 판단될 수 있다.
오류로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해당 봇(300)의 메모리 사용량 등에 대한 알람메세지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되거나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운영관리서버
120: 디스플레이부
200: 스케줄관리서버
300: 봇(BOT)
320: 에이전트(330)

Claims (5)

  1. (a) 스케줄관리서버(200)로부터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이 다수의 봇(BOT)(300)으로 전송되는 단계;
    (b) 상기 봇(BOT)(300)에서 상기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라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과정 중에 상기 봇(BOT)(300)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업무프로세스 실행화면을 캡쳐한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상기 캡쳐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봇(BOT)(300)의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봇(BOT)(300)에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는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업무프로세스 실행화면을 일정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캡쳐한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일정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고,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상기 캡쳐이미지가 일정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며,
    (d) 일정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된 다수의 상기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에 따른 캡쳐이미지에서, 어느 한 제1캡쳐이미지와 상기 어느 한 제1캡쳐이미지가 전송된 시간에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전송된 제2캡쳐이미지의 픽셀의 구성을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상기 제1캡쳐이미지와 제2캡쳐이미지 간의 픽셀의 구성에 변동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에서 알람메세지가 생성되어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a-1)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봇(BOT)(300)에서 상기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라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른 상기 봇(BOT)(300)의 로그정보가 상기 스케줄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케줄관리서버(200)와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는 실시간으로 양방향 유무선 통신되며,
    상기 봇(BOT)(300)에서 상기 업무프로세스 실행명령에 따른 업무프로세스 실행이 중단되어 실행실패로그정보가 상기 스케줄관리서버(200)를 통하여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상기 실행실패로그정보가 인식됨에 따라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에서 알람메세지가 생성되어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봇(BOT)(300)에는 에이전트(330)가 장착되며,
    상기 에이전트(330)는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와 유무선 통신하며,
    상기 캡쳐이미지, 상기 봇(BOT)(300)의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에이전트(330)에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며,
    상기 봇(BOT)(300)에서 업무프로세스가 실행됨에 따른 상기 봇(BOT)(300)의 로그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봇(BOT)(300)의 실행화면에 대한 상기 캡쳐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상기 봇(BOT)(300)에서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되며,
    상기 스케줄관리서버(200)를 통하여 전송된 상기 봇(BOT)(300)의 로그정보별로 이와 매칭된 상기 캡쳐이미지가 매칭되어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운영관리서버(100)로 전송된 상기 봇(BOT)(300)의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에 대한 정보에 따른 상기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및 CPU 사용량이 일정 이상이라고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연산부에서 판단된 경우,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에서 알람메세지가 생성되어 상기 운영관리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
KR1020210087294A 2021-07-02 2021-07-02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 KR20230006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294A KR20230006274A (ko) 2021-07-02 2021-07-02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294A KR20230006274A (ko) 2021-07-02 2021-07-02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274A true KR20230006274A (ko) 2023-01-10

Family

ID=8489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294A KR20230006274A (ko) 2021-07-02 2021-07-02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62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1944B2 (en) Alerting, diagnosing, and transmitting computer issues to a technical resource in response to a dedicated physical button or trigger
CN100549975C (zh) 计算机维护帮助系统及分析服务器
US10809681B2 (en) Data collection for assistance in an industrial automation environment
JP2008193799A (ja) 電力系統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遠方監視制御装置
US11531612B2 (en) Methods for providing an enterprise synthetic monitoring framework
US10191844B2 (en) Automatic garbage collection thrashing monitoring
KR20230006274A (ko) Rpa실행 모니터링 방법
CN113826077B (zh) 数据处理装置、数据处理系统、数据处理方法及非暂时性记录介质
JP2006164182A (ja) Fa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fa情報管理方法
JP6833109B1 (ja) データ収集装置、データ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78697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79203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KR20180000614A (ko) 트랜잭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6790309B1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329564A (ja) ファイル送信端末
JP2007299270A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CN117112360A (zh) 一种终端设备的监控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2313707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032269A (ja) 分析装置システム用ログデータ収集システム
CN113870381A (zh) 一种增量式流程图转换方法、装置和设备
JP4985627B2 (ja) マンマシンシステム、及び操作ログ収集用計算機
JP2006053624A (ja) アプリケーション運用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5190422A (ja) 障害監視システム
JP2009265756A (ja) Webサーバ、障害通知システム、障害検出方法および障害検出プログラム
EP2006779A1 (en) A method for client server communication of data across a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