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969A -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969A
KR20230005969A KR1020227042226A KR20227042226A KR20230005969A KR 20230005969 A KR20230005969 A KR 20230005969A KR 1020227042226 A KR1020227042226 A KR 1020227042226A KR 20227042226 A KR20227042226 A KR 20227042226A KR 20230005969 A KR20230005969 A KR 20230005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ld
link
bitmap
ti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잔 치트라카르
레이 후앙
요시오 우라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23000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통신 장치는, AP 멀티 링크 디바이스(MLD)에 속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 중의 AP이며, 복수의 AP의 각각이, AP MLD의 대응하는 링크에서 동작하고 있고, AP는, 이하의 구성 요소, 즉, 동작 시에,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이며, TIM 요소가, AP 또는 AP MLD에 관련지어지는 비AP STA 또는 비AP MLD 중 일방을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유닛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분 가상 비트맵(PVM)을 포함하고, 존재 비트맵이, 비AP STA 또는 비AP MLD 중 일방을 대상으로 하는 프레임에,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회로와, 동작 시에, 프레임을 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실시형태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디바이스는, 유선의 컴퓨팅 디바이스와 동일한 기능을 와이어리스로 동작시킬 것이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자신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스트리밍되는 고해상도의 영화를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로써,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과제와, 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과제가 발생하고 있다.
미국 전기 전자 학회(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그룹은, 이들 과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최근 들어 802.11 태스크 그룹(TG)을 결성했다. 이와 같은 통신을 위한 후보 기술로서, 2.4GHz, 5GHz 및 6GHz의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멀티 링크 동작이 인식되고 있다. 복수의 링크에 걸친 멀티 채널 애그리게이션은, 통신 데이터의 스루풋을 수 배로 증가시키기 위한 자연스러운 방법이다.
액세스 포인트(AP) 멀티 링크 디바이스(MLD)와 비AP MLD의 사이의 멀티 링크 동작에서는, 파워 세이브(PS)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관련된 비AP STA를 위한 버퍼링된 트래픽(BU: buffered traffic)을 나타내기 위하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traffic indication map) 요소가 비콘 프레임 또는 TIM 프레임 등에 있어서 전달된다. 멀티 링크 동작에서는, 싱글 링크 동작과는 달리, TIM 요소 내의 BU 지시만으로는, BU를 취득하기 위한 추천되는 링크, 또는 BU에 관련지어지는 TID 등, BU에 관한 추가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 링크 매핑, 링크 추천을 포함하는 링크 세트 지시, TID(트래픽 식별자: traffic identifier) 등, 버퍼링된 BU에 관한 추가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비AP MLD가 링크/TID 정보 세트 내의 자신의 위치를 올바르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되는 방법에 관계없이, TIM 요소에 있어서 1로 설정된 각 비트에 대하여 추가의 비트맵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MLD를 포함하는 WLAN 네트워크에 있어서 버퍼링된 BU에 관한 추가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필요한 오버헤드를 줄일 목적으로,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특징 및 특성은, 첨부한 도면 및 본 개시의 배경 기술의 섹션과 함께 고려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청구항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비한정적이며 또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의 제공을 용이하게 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개시는, AP 멀티 링크 디바이스(MLD)에 속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 중의 AP로서, 복수의 AP의 각각이, AP MLD의 대응하는 링크에서 동작하고 있고, AP가, 이하의 구성 요소, 즉, 동작 시에,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이며, TIM 요소가, AP 또는 AP MLD에 관련지어지는 비AP STA 또는 비AP MLD 중 일방을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유닛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분 가상 비트맵(PVM)을 포함하고, 존재 비트맵이, 비AP STA 또는 비AP MLD 중 일방을 대상으로 하는 프레임에,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회로와, 동작 시에, 프레임을 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AP)를 제공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개시는, AP MLD에 관련지어지는 비액세스 포인트(비AP) 멀티 링크 디바이스(MLD)에 속하는 복수의 스테이션(STA) 중의 STA으로서, 복수의 STA의 각각이, 비AP MLD의 대응하는 링크에서 동작하고 있고, STA가, 이하의 구성 요소, 즉, 동작 시에, 링크에 있어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기이며, 프레임이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포함하고, TIM 요소가, 비AP MLD를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유닛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분 가상 비트맵(PVM)을 포함하며, 존재 비트맵이, 비AP MLD를 대상으로 하는 프레임에,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수신기와, 동작 시에, 프레임을 처리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이션(STA)을 제공한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개시는, 통신 방법으로서,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스텝이며, TIM 요소가, AP 또는 AP MLD에 관련지어지는 비AP STA 또는 비AP MLD 중 일방을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유닛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분 가상 비트맵(PVM)을 포함하고, 존재 비트맵이, 비AP STA 또는 비AP MLD 중 일방을 대상으로 하는 프레임에,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스텝과, 프레임을 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의 추가 혜택 및 이점은, 본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들 혜택 및/또는 이점은, 본 명세서 및 도면의 다양한 실시형태 및 특징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얻을 수 있고, 그와 같은 혜택 및/또는 이점 중 1개 이상을 얻기 위하여, 실시형태 및 특징의 전부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첨부한 도면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에 도입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해하고,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다양한 원리 및 이점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별개의 도면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참조 숫자는 동일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TIM 요소와, TIM 요소의 비트맵 제어(Bitmap Control) 필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멀티 링크 전력 관리 및 트래픽 지시를 위한, AP MLD와 비AP MLD의 사이의 통신을 도해한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TIM 비트맵과, 링크 매핑 비트맵(LMB: Link mapping bitmap) 세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TIM 비트맵 및 링크 추천(LR: link recommendation)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TIM 요소에 있어서의 TIM 비트맵 500, 멀티 링크(ML)-TIM 요소, 및 LR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TIM 비트맵과, 트래픽 식별자(TID) 비트맵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TIM 비트맵과, TID 지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의한 통신 장치(8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해한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의한 멀티 링크 트래픽 맵에 대응하는 통신 방법을 도해한 플로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관련 식별자(AID: associated identifier)의 할당과, 3개의 링크에 있어서 AP-MLD에 의하여 각각 송신되는 3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예시적인 LMB 존재 비트맵, 및 예시적인 LMB 세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예시적인 LR 존재 비트맵, 및 예시적인 LR 비트맵 세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예시적인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 예시적인 링크 세트 비트맵 세트, 및 예시적인 LR 비트맵 세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예시적인 TID 정보 존재 비트맵, 및 예시적인 TID 정보 비트맵 세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예시적인 AC 정보 존재 비트맵, 및 예시적인 AC 정보 비트맵 세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예시적인 AID의 할당과, AP MLD로부터 3개의 링크에 있어서 각각 송신되는 3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예시적인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및 예시적인 LMB 세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은 다른 예시적인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1은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예시적인 TID 정보 존재 비트맵, 및 예시적인 TID 정보 비트맵 세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AP MLD로부터 링크에 있어서 송신되는 예시적인 TIM 비트맵과 AC 정보 존재 비트맵 및 AC 정보 비트맵 세트의 예시적인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도 23은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에 있어서의 TIM 비트맵,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304, 및 TID 정보 비트맵 세트의 예시적인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는 멀티 링크 TIM(Multi-link TIM) 요소의 예시적인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도 25는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예시적인 멀티 링크 TIM 비트맵, 예시적인 AC 정보 존재 비트맵, 및 예시적인 AC 정보 비트맵 세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26은 멀티 링크 TIM 비트맵을 포함하는 멀티 링크 TIM(Multi-link TIM) 요소의 예시적인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도 27은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에 속하는 3개의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AP MLD로서 실시되고 있으며, 속하는 통신 장치의 각각은, 본 개시에 의한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AP로서 실시할 수 있다.
도 28은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에 속하는 3개의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비AP MLD로서 실시되고 있으며, 속하는 통신 장치의 각각은, 본 개시에 의한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STA로서 실시할 수 있다.
도면 중의 요소는, 간결 및 명료를 목적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반드시 바른 축척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아님이,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도해, 블록도, 또는 플로 차트에 있어서의 몇 개의 요소의 치수는, 본 실시형태의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른 요소에 대하여 과장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형태 또는 실시형태의 적용 및 용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의 배경 기술 또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섹션에 제시되어 있는 이론에 구속되도록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서는, 첨부한 도면 및 본 개시의 배경과 함께 고려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청구항으로부터, 다른 바람직한 특징 및 특성이 명확해질 것이다.
IEEE 802.11(Wi-Fi) 기술의 문맥에서는, 스테이션(동의어로서 STA라고도 불린다)은, 802.1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능력을 갖는 통신 장치이다. IEEE 802.11-2020의 정의에 근거하면, STA는, IEEE 802.11 준거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및 무선 매체(WM)로의 물리층(PHY)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TA는,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WLAN) 환경에 있어서의 노트북 PC, 데스크톱 퍼스널 컴퓨터(PC), 휴대 정보 단말(PDA), 액세스 포인트, 또는 Wi-Fi 전화여도 된다. STA는 고정이어도 되고 이동 가능해도 된다. WLAN 환경에서는, 「STA」, 「무선 클라이언트」, 「유저」, 「유저 디바이스」, 및 「노드」라는 용어는, 종종 동의어로서 사용된다.
동일하게, AP(IEEE 802.11(Wi-Fi) 기술의 문맥에서는 동의어로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WAP: wireless access point)라고도 불린다)는, WLAN 내의 STA가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장치이다. AP는, 통상에서는 스탠드 얼론 디바이스로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라우터에 접속하지만, 라우터에 장착하거나, 또는 라우터에 있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WLAN 내의 STA는, 경우에 따라서는 AP로서 기능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 반대도 동일하다. 그 이유로서, IEEE 802.11(Wi-Fi) 기술의 문맥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는, STA 하드웨어 컴포넌트와 AP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양방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통신 장치는, 실제의 WLAN의 조건 및/또는 요건에 근거하여, STA 모드와 AP 모드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멀티 링크 디바이스(MLD)란, 2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 또는 링크(2.4GHz, 5GHz, 또는 6GHz)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가리킨다. MLD는, 2개 이상의 링크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고, 각 통신 장치가 특정의 주파수 대역 또는 링크에서 동작한다. 간결함을 위하여, 본 개시에 나타낸 MLD의 각 링크는, 그 MLD에 속하는 다수의 통신 장치의 1개에 관련되어 있고, 이들 통신 장치는, 특정 주파수 대역(2.4GHz, 5GHz, 또는 6GHz)에서 동작하며, 그 MLD에 속하지 않는 다른 통신 장치(그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신/수신하도록 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비MLD STA, 11n STA, 11ac STA, 또는 11ax STA는, 레거시(HE/VHT/HT) STA, 또는 MLD에 속하지 않는 EHT STA를 가리킨다. 동일하게, 비MLD AP는, MLD에 속하지 않는 EHT AP를 가리킨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분 가상 비트맵(PVM: partial virtual bitmap) 필드는, AP 또는 AP MLD에 의하여 링크상에서 송신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전달되는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요소의 비트맵을 가리키고, 용어 「PVM」 또는 「부분 가상 비트맵」은, TIM 비트맵의 동의어로서 사용되고 있다.
파워 세이브(PS) 모드로 동작하는 비AP STA를 위한 버퍼링된 트래픽(BU)을 나타내기 위하여, 비콘 프레임에 있어서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요소가 전달된다. 도 1은, TIM 요소와, TIM 요소 100의 비트맵 제어(Bitmap Control) 필드를 나타내고 있다. TIM 요소 100은, 요소 식별자(Element identifier)(ID) 필드, 길이(Length) 필드, 배신(配信) TIM(DTIM) 카운트(Delivery TIM (DTIM) Count) 필드, DTIM 기간(DTIM Period) 필드, 비트맵 제어(Bitmap Control) 필드 102, 및 부분 가상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PVB) 필드를 포함한다. 비트맵 제어(Bitmap Control) 필드 102는, 트래픽 인디케이터(Traffic Indicator) 필드 및 비트맵 오프셋(Bitmap Offset) 필드를 포함한다. 길이(Length) 필드는, (N1+N2)+4로 설정되고, 여기에서 N1은, 트래픽 인디케이션 가상 비트맵에 있어서의 번호 1~(N1×8)-1의 비트가 모두 0인 것 같은 최대의 짝수이며, N2는, 트래픽 인디케이션 가상 비트맵에 있어서의 번호 (N2+1)×8~2007까지의 비트가 모두 0인 것 같은 최소의 수이고, N1 및 N2는, AID 범위의 양단의 TIM 비트가 모두 0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PVB 필드에서 전달되는 TIM 비트맵의 실제의 범위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PVB 필드는, AID에 대하여 버퍼링된 BU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AID에 대하여 1로 설정된다. 트래픽 인디케이터는, 1개 또는 복수의 그룹 어드레싱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MSDU)/MAC 관리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MPDU)이 AP에 있어서 버퍼링되고 있을 때, DTIM 카운트(DTIM Count) 필드가 0으로 설정된 TIM 요소에 있어서 1로 설정된다. 1개 또는 복수의 그룹 어드레싱된 MSDU/MMPDU가 AP에 있어서 버퍼링되고 있을 때, DTIM 카운트(DTIM Count) 필드가 0으로 설정된 TIM 요소에 있어서 1로 설정된다. 비트맵 오프셋(Bitmap Offset) 필드는, 값 N1/2를 포함한다.
멀티 링크 전력 관리에서는, 유효한 링크에서 동작하고 있는 비AP MLD의 각 STA는, 자신의 전력 관리 모드 및 전력 상태를 유지한다. 비AP MLD의 각 STA는, 자신의 전력 관리 모드 또는 전력 상태를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는, 멀티 링크 전력 관리 및 트래픽 지시를 위한 AP MLD(202)와 비AP MLD(204)의 사이의 통신을 도해한 개략도 200을 나타내고 있다. 유효한 링크상에서 동작하는 비AP MLD(204)의 STA(예를 들면 STA1, STA2)가 액티브 모드 또는 파워 세이브 모드 어웨이크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예를 들면 PM(전력 관리 모드) 필드의 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링크상에서의 프레임 교환은 가능하지만, AP MLD(202)가, 관련된 비AP MLD(204)의 소속 STA(예를 들면 STA1, STA2)를 위한 버퍼링된 트래픽(BU)을 갖는 경우(소속 STA는 파워 세이브 모드 도즈 상태(예를 들면 PM(전력 관리 모드) 필드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다)에서 동작하고 있다), AP MLD(202) 측의 대응하는 소속 AP(예를 들면 AP1, AP2)는, 비AP MLD(204)를 위한 버퍼링된 트래픽을 나타내기 위하여, 비콘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TIM 요소를 사용한다.
TID-링크 매핑은, 802.11be에서 도입된 새로운 메커니즘이며, 이 메커니즘에 의하여, AP MLD와, 멀티 링크 셋업을 실행한 비AP MLD는, 다운링크(DL)와 업링크(UL)에 있어서 어떻게 TID가 확립 완료 링크에 매핑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디폴트에서는, UL 및 DL의 양방에 있어서, 모든 TID가 모든 확립 완료 링크에 매핑된다. TID가 특정 방향(DL/UL)의 링크에 매핑되는 경우, 그 TID에 속하는 프레임의 송신은, 그 방향에 있어서 허가된다.
확립 완료 링크는, 적어도 1개의 TID가 그 링크에 매핑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효, TID가 그 링크에 매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무효로 정의된다. 어드미션 컨트롤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한, 임의의 시점에 있어서, TID는 항상 적어도 1개의 확립 완료 링크에 매핑되어 있다. 디폴트에서는, 모든 TID가 모든 확립 완료 링크에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확립 완료 링크가 유효하다.
TID가 UL에 있어서 비AP MLD의 유효한 링크의 세트에 매핑되어 있는 경우, 비AP MLD는, 이 유효한 링크의 세트 내의 임의의 링크를 사용하여, 그 TID를 갖는 MSDU 또는 A-MSDU(애그리게이션 MSDU)를 전달하는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TID가 DL에 있어서 비AP MLD의 유효한 링크의 세트에 매핑되어 있는 경우, 비AP MLD는, 이 유효한 링크의 세트 내의 임의의 링크에 있어서, 그 TID에 대응하는 버퍼링된 BU를 취득할 수 있고, 한편으로 AP MLD는, 그들 유효한 링크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송신에 관한 기존의 제한에 따르면서, 이 유효한 링크의 세트 내의 임의의 링크를 사용하여, 그 TID를 갖는 MSDU 또는 A-MSDU를 전달하는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종래, TIM 요소는 그대로 사용된다. 비AP MLD의 경우, 확립되어 있는 링크의 수에 관계없이, 비AP MLD마다 TIM 비트가 할당된다, 즉, 모든 링크에 걸쳐 비AP MLD에 1개의 AID가 할당된다. 비AP STA/MLD의 TIM 비트는, AP MLD가, 비AP STA/MLD에 송신하는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지 않는 경우는, 0으로 설정되고, AP MLD가, 사용되는 임의의 링크상에서 비AP STA/MLD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경우는, 1로 설정된다. IEEE 802.11-2020 사양에 의하면, 1~2007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값을, 관련된 STA의 AID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예에서는, AP MLD는, 1~255의 AID 범위 내에서, 관련되는 비AP STA 및 비AP MLD에 AID를 할당한다.
종래의 TIM 요소에 더하여, 예를 들면 LMB를 전달하는 다른 요소가 정의되고, 자신의 TIM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각 비AP MLD를 대상으로, 버퍼링된 데이터와 링크의 매핑을 나타낸다.
도 3은, TIM 요소에 있어서의 TIM 비트맵 300과, LMB세트 302를 나타내고 있다. AID 0을 제외한 TIM 비트맵의 각 비트는, 비AP STA/MLD의 AID에 대응한다. 12, 28, 35, 57, 77의 AID에 대응하는 TIM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AID에 관련지어지는 대응하는 STA/MLD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TIM 비트맵 300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각 비트에 대하여, 1개의 LMB가 존재한다. 이 경우에 비AP MLD는, TIM 비트맵 300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비트의 순서에 근거하여, LMB 세트 302에 있어서의 자신의 LMB의 위치를 계산한다. 종래, 비AP MLD가 자신의 LMB를 올바르게 찾아낼 수 있도록, 레거시 STA에 대해서도 LMB가 필요하며, 왜냐하면 TIM 비트맵 300에 근거하여 레거시 STA를 식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례에서는, 1개의 LMB의 비트수는, 비AP MLD의 유효한 링크의 수에 일치한다.
비AP MLD는, TIM 요소에 있어서,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TIM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면, 그 AID에 대응하는 LMB를 더 체크하고, 버퍼링된 트래픽이 매핑되어 있는 (1개 또는 복수의) 특정의 링크를 식별한다. 예를 들면, AID 28을 갖는 비AP MLD는, 자신의 TIM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AP MLD가 유효한 링크의 1개에 있어서 버퍼링된 트래픽을 갖는 것을 인식한다. 다음으로 비AP MLD는, 자신의 LMB의 순서가 2번째인(TIM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2번째의 비트) 것을 인식하고, LMB 세트 302에 있어서 2번째의 LMB를 체크한다. 다음으로 비AP MLD는, 자신의 LMB의 제2 비트와 제3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링크 2 및 링크 3에 있어서 비AP MLD를 위한 버퍼링된 트래픽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고 인식한다.
종래의 다른 예에서는, AID가 비AP MLD에 할당되고, TIM 요소는 비AP MLD 각각의 BU 스테이터스를 나타낸다. 디폴트의 TID-링크 매핑에서는, TID는 모든 유효한 링크에 매핑된다. 비AP MLD의 AID에 대응하는 TIM 요소의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을 때, 비AP MLD는 유효한 링크 중 임의의 링크를 통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지만, AP MLD는, LR 요소를 사용하여(1개 또는 복수의) 추천 링크를 나타낼 수 있다. LR 요소에서는, 비AP MLD에 비트맵이 할당되고, 비트맵의 각 비트가 링크에 대응되며, 그 링크의 사용이 추천될지 어떨지를 나타낸다.
도 4는, TIM 비트맵 400 및 LR 요소 402를 나타내고 있다. TIM 비트맵 400에서는, 비AP MLD 1의 AID 및 비AP MLD 3의 AID에 관련지어지는 TIM 비트(비트 1 및 비트 3)가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비AP MLD 1 및 비AP MLD 3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LR 요소 402는, TIM 요소 400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각 비트에 대한 비트맵을 포함하고, 이 경우, 비트맵 1 및 비트맵 3은, 비AP MLD 1 및 비AP MLD 3 각각을 위한 추천되는 링크를 나타낸다. 일례에서는, LR 비트맵의 비트수는, 비AP MLD를 위한 유효한 링크의 수에 일치한다. 비트맵 1은 값 「1」, 「0」, 「0」을 갖고, 비AP MLD 1이 AP MLD로부터 버퍼링된 프레임을 취득하는 데에 최초의 링크가 추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트맵 3은 값 「0」, 「0」, 「1」을 갖고, 비AP MLD 3이 AP MLD로부터 버퍼링된 프레임을 취득하는 데에 3번째의 링크가 추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폴트의 TID-링크 매핑 외에, 2개 이상의 링크를 1개의 링크 세트로 분류할 수 있고, 상이한 TID를 상이한 링크 세트에 매핑할 수도 있다. 새로운 멀티 링크(ML) TIM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링크 세트의 BU 스테이터스를 나타낼 수 있다. ML TIM 요소 내의 비트맵은, 비AP MLD에 할당된다. 비트맵의 각 비트는 링크 세트에 매핑되어 BU 스테이터스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링크 세트에 대하여 1개 또는 복수의 BU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1로, BU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된다. LR 요소를 사용하여, 링크 세트 내의 추천 링크를 나타낼 수도 있다.
도 5는, TIM 비트맵 500, ML-TIM 요소 502, 및 LR 요소 504를 나타내고 있다. TID 0~3은, 링크 1 및 링크 2로 구성되는 제1 링크 세트에 매핑되어 있고, 한편, TID 4~7은, 링크 3으로 구성되는 제2 링크 세트에 매핑되어 있다. 비AP MLD 1의 AID 및 비AP MLD 2의 AID에 대응하는 TIM 비트(비트 1 및 비트 2)가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비AP MLD 1 및 비AP MLD 2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ML-TIM 요소 502는, TIM 요소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각 비트에 대한 비트맵을 포함하고, 이 경우, 비트맵 1 및 비트맵 2는, 비AP MLD 1 및 비AP MLD 2 각각의, 상이한 링크 세트의 BU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ML-TIM 비트맵 502의 비트수는, 링크 세트의 수에 일치한다. 비트맵 1은, 값 「1」, 「0」을 가지며, 최초의 링크 세트가 비AP MLD 1을 위한 BU를 갖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맵 2는, 값 「0」, 「1」을 가지며, 2번째의 링크 세트가 비AP MLD 2를 위한 BU를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LR 요소 504는, 링크 세트 내의 추천되는 링크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더 포함하고, 비트맵 1은 값 「0」, 「1」을 가지며, 링크 세트 1의 2번째의 링크(즉 비AP MLD 1의 링크 2)가 추천되는 링크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트맵 2는 비AP MLD 2를 위한 2번째의 링크 세트를 나타내고, 2번째의 링크 세트에는 1개의 링크(링크 3)만이 포함되기 때문에, 비AP MLD 2에는 링크 3이 추천되며, 개별의 LR 요소는 필요 없다.
종래의 또 다른 예에서는, 비AP MLD에 AID가 할당되고, TIM 요소는, 비AP MLD 각각의 BU 스테이터스를 나타낸다. TIM 요소에 있어서 비AP MLD에 대하여 1로 설정되어 있는 각 비트에 대한 TID 비트맵(TID당 8비트)은, AP MLD가 비AP MLD를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BU를 갖는 TID를 나타낸다. TID 비트맵의 각 비트는, TID 0부터 개시하여 1개의 TID를 나타내고, 1로 설정되어 있는 비트는, 대응하는 TID에 속하는 버퍼링된 프레임이 AP MLD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STA는, TID-링크 매핑을 사용하여, 버퍼링된 MPDU(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를 취득하기 위하여 어느 링크를 웨이크 업시켜야 할지를 결정한다. 이 예에서는, 상이한 TID가 상이한 링크에 매핑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하고 있다.
도 6은, TIM 요소에 있어서의 TIM 비트맵600과, TID 비트맵602를 나타내고 있다. TIM 비트맵 600에 있어서, AID 27이 할당되어 있는 1개의 비AP STA와, AID 12, 28, 35, 57, 77이 할당되어 있는 5개의 비AP MLD에 대응하는 TIM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대응하는 STA 및 MLD에 각각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TIM 요소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비AP MLD의 TIM 비트 각각에 대하여, 8비트의 TID가 존재한다. 이 경우, TID 비트맵 602는, AP MLD가,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고 있는 대상인 5개의 각각의 비AP MLD를 위한 5개의 8비트 TID를 포함한다. 8비트 TID는, 각각의 비AP MLD가, 버퍼링된 MPDU를 AP MLD로부터 취득하기 위하여 어느 (1개 또는 복수의) 링크를 웨이크 업시켜야 할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AID 27의 레거시 비AP STA에도 TID 지시가 필요한지 어떤지가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이 TID 지시가 없으면, 27보다 큰 AID를 갖는 비AP MLD는, 자신의 올바른 TID 지시를 식별할 수 없다.
혹은, AP는, 8비트의 TID 비트맵 602이 아니라, 3비트를 사용하는 싱글 TID를 시그널링한다. 도 7은, TIM 요소에 있어서의 TIM 비트맵 700과 TID 702를 나타내고 있다. 3비트의 TID는, 1로 설정되어 있는 TIM 비트에 대응하는 AID를 갖는 각 STA/MLD에 시그널링되고, 복수의 TID에 속하는 프레임이 비AP MLD를 위하여 AP MLD에 있어서 버퍼링되고 있는 경우, 시그널링되는 TID는, 특정 실장에 고유한 기준에 근거할 수 있다. AP는, 나타난 TID에 속하는 MPDU를, STA/MLD가 웨이크 업시키는 링크상에서 배신하고, MPDU에서는, AP가 비AP MLD를 위한 BU를 갖는 추가의 TID를 시그널링하는 A-Control(TID 제어) 필드가 전달된다. 유의해야 할 점으로서, 비록 레거시 STA가 TID 지시를 인식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비AP MLD가 올바른 TID 지시를 찾아낼 수 있도록, 레거시 STA에도 TID 지시가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퍼링된 BU에 관한 추가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예를 들면 도 3~7에 나타낸, 링크 매핑, 링크 추천을 갖는 링크 세트 지시, 및 TID 지시)에 관계없이, 비AP MLD가 링크/TID 정보 세트 내의 자신의 위치를 올바르게 파악하기 위하여, TIM 요소 내에서 1로 설정된 각 비트에 대하여 추가의 비트맵이 필요하다(레거시 STA 및 비MLD EHT STA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MLD를 포함하는 WLAN 네트워크에 있어서 버퍼링된 BU에 관한 추가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필요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하여,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개시에 의하면, 2개의 해결책이 제안된다. 구체적으로는, 비AP STA/MLD를 위한 버퍼링된 BU에 관련된 대응하는 링크/TID/AC 정보가 링크/TID/AC 정보 세트 내에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존재 비트맵이 비콘/TIM/FILS 발견/OPS 프레임 내에서 전달된다. 존재 비트맵은,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링크에 관한 암묵적인 정보를 여전히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링크/TID/AC 정보 세트에 링크/TID/AC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비AP MLD에 관련지어지는 최소의 AID(예를 들면 최초의 비AP MLD의 AID)를 나타내기 위하여, 「개시 AID(Starting AID)」필드가 비콘/TIM/FILS 발견/OPS 프레임에 있어서 전달된다. 링크/TID/AC 정보 세트의 오버헤드를 더 줄이기 위하여, 레거시 STA/비MLD 초고 스루풋(EHT) STA으로의 AID의 할당용과, 비AP MLD로의 AID의 할당용으로, 상이한 부분(예를 들면 AID 공간)을 예약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의한 통신 장치(8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해한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통신 장치(800)는, AP 및 STA로서 실시할 수 있고, 본 개시에 의한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장치(800)는, 회로(814)와, 적어도 1개의 무선 송신기(802)와, 적어도 1개의 무선 수신기(804)와, 적어도 1개의 안테나(812)(간결함을 위하여 도 8에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여 1개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어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814)는, 적어도 1개의 컨트롤러(806)를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806)는, 다입력 다출력(MIMO)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1개 또는 복수의 다른 통신 장치와의 통신의 제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컨트롤러(806)가 실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태스크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지원하에서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회로(814)는, 적어도 1개의 송신 신호 생성기(808) 및 적어도 1개의 수신 신호 처리기(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1개의 컨트롤러(806)는, 적어도 1개의 무선 송신기(802)를 통하여 송신되는 MAC 프레임(예를 들면, 데이터 프레임, 관리 프레임, 및 액션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적어도 1개의 송신 신호 생성기(808)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1개 또는 복수의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적어도 1개의 무선 수신기(804)를 통하여 수신되는 MAC 프레임(예를 들면, 데이터 프레임, 관리 프레임, 및 액션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적어도 1개의 수신 신호 처리기(810)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1개의 송신 신호 생성기(808) 및 적어도 1개의 수신 신호 처리기(81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적어도 1개의 컨트롤러(806)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800)의 독립된 모듈로 할 수 있다. 혹은, 적어도 1개의 송신 신호 생성기(808) 및 적어도 1개의 수신 신호 처리기(810)를, 적어도 1개의 컨트롤러(806)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들의 기능 모듈의 배치는 유연하며, 실제의 니즈 및/또는 요건에 따라 변화해도 되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데이터 처리 장치, 기억 장치, 및 다른 관련된 제어 장치를, 적절한 회로 기판 및/또는 칩 세트에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작 시, 적어도 1개의 무선 송신기(802), 적어도 1개의 무선 수신기(804), 및 적어도 1개의 안테나(812)를, 적어도 1개의 컨트롤러(806)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장치(800)는, 동작 시에,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800)는, AP MLD에 속하는 복수의 AP 중의 AP이어도 되고(복수의 AP의 각각이, AP MLD의 대응하는 링크에서 동작한다), 회로(예를 들면 회로(814)의 적어도 1개의 송신 신호 생성기(808))는, 동작 시에,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한다. TIM 요소는, AP 또는 AP MLD에 관련지어지는 비AP STA 또는 비AP MLD 중 일방을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유닛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분 가상 비트맵(PVM)을 포함하고, 존재 비트맵은, 비AP STA 또는 비AP MLD 중 일방을 대상으로 하는 프레임에,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무선 송신기(802)는, 동작 시에, 프레임을 링크에 있어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800)는, AP MLD에 관련지어지는 비AP MLD에 속하는 복수의 STA 중의 STA이어도 되고(복수의 STA의 각각은, 비AP MLD의 대응하는 링크에서 동작한다), 무선 수신기(804)는, 동작 시에, 링크상에서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 프레임은,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포함하고, TIM 요소는, 비AP MLD를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유닛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분 가상 비트맵(PVM)을 포함하며, 존재 비트맵은, 비AP MLD를 대상으로 하는 프레임에,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회로(예를 들면, 회로(814)의 적어도 1개의 수신 신호 처리기(810))는, 동작 시에,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장치(800)에 의하여 송신/수신되는 프레임은,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최소의 AID를 나타내는 개시 AID(관련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TIM 요소의 PVM의 제1 부분이, 레거시 STA 및 비MLD EHT STA에 할당되는 AID에 관련지어져 있고, TIM 요소의 PVM의 제2의 부분이, 비AP MLD에 할당되는 AID에 관련지어져 있으며, TIM 요소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중복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의한 멀티 링크 트래픽 맵을 위한 통신 방법을 도해한 플로 차트 900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902에 있어서,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스텝이 실행되고, TIM 요소는, AP 또는 AP MLD에 관련지어지는 비AP STA 또는 비AP MLD 중 일방을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유닛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분 가상 비트맵(PVM)을 포함하고, 존재 비트맵은, 비AP STA 또는 비AP MLD 중 일방을 대상으로 하는 프레임에,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스텝 904에 있어서, 프레임을 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스텝이 실행된다.
도 10은 예시적인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 1000을 나타내고 있다.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의 포맷이 나타나 있지만, 동일한 포맷을, 고속 초기 링크 설정(FILS) 발견(Fast Initial Link Setup (FILS) Discovery) 프레임 또는 동작(OPS)(Operation (OPS)) 프레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 1000은, 부분 가상 비트맵(PVM) 1008을 포함하는 TIM 요소 1002와, 링크/TID/AC 정보 존재 비트맵 1004와, 관련된 MLD의 각각의 링크/TID/AC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TID/AC 정보 세트 1006을 전달한다. 존재 비트맵 1004는, 비AP MLD를 위한 버퍼링된 BU에 관련된 대응하는 링크/TID/AC 정보가, 링크/TID/AC 정보 세트 1004에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존재 비트맵 1004는, TIM 요소 1002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PVB 1008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존재 비트맵 1004의 비트는, 링크/TID/AC 정보의 대응하는 엔트리가 링크/TID/AC 정보 세트 1006에 존재하는 경우는 1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0으로 설정된다.
레거시 STA에 대응하는 비트는 항상 0으로 설정된다. 한편으로, MLD에 대응하는 비트는, MLD를 위한 링크/TID/AC 정보가 링크/TID/AC 정보 세트 1006 내에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면, AP MLD가 비AP MLD를 위한 BU를 다른 링크에 있어서 버퍼링하고 있는 경우, 또는 AP MLD가 다른 링크에서 BU를 취득하도록 비AP MLD에 추천하는 경우, 또는 AP MLD가 다른 링크에 매핑되어 있는 TID의 BU를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1로 설정된다. 그 이외의 경우는 0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AP MLD가, TIM 요소를 전달하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 1000이 송신되는 동일한 링크(본 명세서에서는 「현재의 링크」라고 칭하지만, 「송신 링크」라고 칭해도 된다)에 있어서 비AP MLD를 위한 BU를 버퍼링하고 있는 경우, 또는 AP MLD가, 현재의 링크에 있어서 BU를 취득하도록 비AP MLD에 추천하는 경우, 또는 비AP MLD를 위한 모든 BU가, 현재의 링크에 배타적으로 매핑되어 있는 TID에 속하는 경우, 또는, 1개의 링크에 있어서만 비콘을 리슨하는 싱글 링크 EHT STA 또는 싱글 링크 비AP MLD에 대하여, 비트가 모든 링크에서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된다. 유리하게, 0으로 설정된 비트는, 여전히 현재의 링크에 관한 암묵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링크/TID/AC 정보는, 정보를 필요로 하는 MLD에 대해서만 존재한다.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 1000 내의 존재 비트맵 1004를 사용하여, 비AP MLD는, PVB 1008 내의 자신의 대응하는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존재 비트맵 1004 내의 자신의 대응하는 비트를 체크하고, 존재 비트맵 1004 내의 자신의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링크/TID/AC 정보 세트 1006 내의 대응하는 엔트리를 더 체크하여, 링크/TID/AC에 관련된 BU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모든 링크에 걸쳐 동일한 AID가 MLD에 할당되지만, 레거시에는 각 링크에 있어서 일의(一意)의 AID가 할당되고, 즉 상이한 링크에서는, 상이한 레거시 STA에 동일한 AID가 할당되어도 된다. 유리하게, AP MLD에 의하여 AID가 어떻게 할당되는지에 대해서는 제한은 없다.
도 11은, 예시적인 AID의 할당과, 3개의 링크에 있어서 각각 AP-MLD에 의하여 송신되는 3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1100, 1110, 1120을 나타내고 있다. 3개의 링크(링크 1, 링크 2, 링크 3) 모두에서 동작하는 MLD 1, 2, 3과, 싱글 링크 MLD 4는, 각각, 3개의 링크에 걸쳐 동일한 AID 12, 28, 57, 77에 할당되어 있고, 레거시 STA는, 각각의 동작 링크에 있어서 일의의 AID에 할당되어 있다. 주목해야 할 점으로서, 링크 1 및 링크 2에서는 동일한 AID 35가, 각각 상이한 레거시 STA(레거시 1 및 레거시 2)에 할당되어 있지만, 링크 3에서는 AID 35가 할당되어 있지 않다. 첨부한 도 12~16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예시적인 TIM 비트맵 1100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예시적인 AID 할당에 근거하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존재 비트맵 1004는 링크 매핑 비트맵(LMB)으로 할 수 있고, 도 10에 나타낸 링크/TID/AC 정보 세트 1006은 LMB 세트이며, 존재 비트맵이, LMB 세트 내에 대응하는 LMB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레거시 STA에 대응하는 비트는 항상 0으로 설정된다. 한편으로 MLD에 대응하는 비트는, 예를 들면 TID-링크 매핑에 의하여, 또는 MLD가 그 링크상에서만 동작하는 등의 이유로, BU가, TIM 요소를 전달하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이 송신되는 링크상에서만 이용 가능한 경우, 0으로 설정되고, BU가 다른 링크상에서도 이용 가능한 경우, 1로 설정된다. LMB 존재 비트맵은, TIM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TIM 비트맵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하고, LMB 세트는, LMB 존재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LMB를, LMB 존재 비트맵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유리하게, LMB 존재 비트맵에 있어서 0으로 설정되어 있는 비트는, 대응하는 비AP MLD가 현재의 링크에서 BU를 취득하기만 하면 되는 것을 나타내고, LMB 세트에 LMB가 필요 없어, 링크/TID/AC 정보의 오버헤드가 감소한다.
도 12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1200과, 예시적인 LMB 존재 비트맵 1202와, 예시적인 LMB 세트 1204를 나타내고 있다. TIM 비트맵 1200에 있어서, MLD 1, MLD 2, 레거시 1, MLD 3, 및 싱글 링크 MLD 4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AID 12, 28, 35, 57, 및 77에 대응하는 TIM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이들의 STA/MLD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LMB 존재 비트맵 1202는, TIM 비트맵 1200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TIM 비트맵 1200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하고, 따라서 LMB 존재 비트맵 1202는, 5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이 예에서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AP MLD는 3개의 링크(링크 1, 링크 2, 링크 3)에서 동작하고, 링크 1(본 명세서에서는 현재의 링크라고 칭한다)에서 송신되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MLD 1은, 링크 1에 매핑된 TID의 BU만을 갖고, 한편으로 MLD 4는, 이 예에서는 링크 1에서만 동작한다. MLD 1 및 MLD 4의 TID의 BU는 현재의 링크(링크 1)에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MLD 1 및 MLD 4를 위한 추가 정보는 필요 없고, LMB 세트에는, MLD 2 및 MLD 3을 위한 LMB만이 존재하거나, 또는 필요하다. MLD 1 및 MLD 4에 대응하는 LMB 존재 비트맵 1202의 제1 비트 및 제5 비트는 0으로 설정되어 있고, BU가 현재의 링크(링크 1)에서만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으로, MLD 2 및 MLD 3에 대응하는 LMB 존재 비트맵 1202의 제2 비트 및 제4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MLD 2 및 MLD 3의 BU가 다른 링크(링크 2, 링크 3)에서도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레거시 1은 레거시 STA이며, 따라서 레거시 1에 대응하는 LMB 존재 비트맵 1202의 제3 비트는, 항상 0으로 설정된다.
LMB 세트 1204는, LMB 존재 비트맵 1202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LMB를, LMB 존재 비트맵 1202와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이 경우, 각 LMB는, 3개의 상이한 링크(링크 1, 링크 2, 링크 3)에 대응하는 3개의 비트를 포함하고, 따라서 LMB 세트 1204는, 6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MLD에 대응하는 LMB의 비트는, 대응하는 링크에 있어서 BU가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1로 설정된다. 이 경우, MLD 2에 대응하는 LMB 세트 1204의 최초의 LMB는, 그 제2 비트 및 제3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고, MLD 2를 위한 BU가 링크 2 및 링크 3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LMB 존재 비트맵 1202(5비트) 및 LMB 세트 1204(6비트)를 사용하는 링크/TID/AC 정보의 합계 오버헤드는, 11비트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존재 비트맵 1004는, 링크 추천(LR) 존재 비트맵으로 할 수 있고, 링크/TID/AC 정보 세트 1006은, LR 비트맵 세트이다. TID가 모든 유효한 링크에 매핑되는 디폴트의 TID-링크 매핑의 경우, LR 존재 비트맵은, 대응하는 LR 비트맵이 LR 비트맵 세트 내에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MLD에 대응하는 비트는, TIM 요소를 전달하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이 송신되는 링크가 추천되는 경우, 또는 AP MLD가 링크 추천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되고, 현재의 링크 이외의 링크가 추천되는 경우에는 1로 설정된다.
LR 존재 비트맵은, TIM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TIM 비트맵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하고, LR 비트맵 세트는, LR 존재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1개의 LR 비트맵을, LR 존재 비트맵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LMB와는 달리, 현재의 링크는 LR 비트맵으로부터 제외되어 있고, 왜냐하면 LR 존재 비트맵의 대응하는 비트를 0으로 설정함으로써 현재의 링크를 추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리하게, LR 존재 비트맵에 있어서 0으로 설정되어 있는 비트는, 대응하는 비AP MLD가 현재의 링크에 있어서 BU를 취득하기만 하면 되는 것을 나타내고, LR 비트맵 세트에 LR 비트맵이 필요 없어, 링크/TID/AC 정보의 오버헤드가 감소한다.
도 13은,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1300과, 예시적인 LR 존재 비트맵 1302와, 예시적인 LR 비트맵 세트 1304를 나타내고 있다. TIM 비트맵 1300에 있어서, MLD 1, MLD 2, 레거시 1, MLD 3, 및 싱글 링크 MLD 4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AID 12, 28, 35, 57, 및 77에 대응하는 TIM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이들의 STA/MLD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LR 존재 비트맵 1302는, TIM 비트맵 1300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TIM 비트맵 1300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하고, 따라서 LR 존재 비트맵 1302는 5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이 예에서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AP MLD는 3개의 링크(링크 1, 링크 2, 링크 3)에서 동작하고,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은 링크 1(본 명세서에서는 현재의 링크라고 칭한다)에서 송신된다. MLD 1은, 링크 1에 매핑된 TID의 BU만을 갖고, 한편으로 MLD 4는 링크 1에서만 동작한다. MLD 1 및 MLD 4의 TID의 BU는 현재의 링크(링크 1)에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MLD 1 및 MLD 4의 추가 정보는 필요 없고, LR 비트맵 세트 1304에는 MLD 2 및 MLD 3의 LR 비트맵만이 존재하거나, 또는 필요하다. MLD 1 및 MLD 4에 대응하는 LR 존재 비트맵 1302의 제1 비트 및 제5 비트는 0으로 설정되어 있고, BU가 현재의 링크(링크 1)에서만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한편, MLD 2 및 MLD 3에 대응하는 LR 존재 비트맵 1302의 제2 비트 및 제4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MLD 2 및 MLD 3의 BU가 다른 링크(링크 2, 링크 3) 상에서도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레거시 1은 레거시 STA이며, 따라서 레거시 1에 대응하는 LR 존재 비트맵 1302의 제3 비트는, 항상 0으로 설정된다.
LR 비트맵 세트 1304는, LR 존재 비트맵 1302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LR을, LR 존재 비트맵 1302와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이 경우, 각 LR 비트맵은, 현재의 링크(링크 1) 이외의 2개의 상이한 링크(링크 2, 링크 3)에 대응하는 2개의 비트를 포함하고, 따라서 LR 비트맵 세트 1304는, 4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MLD에 대응하는 LR 비트맵의 비트가 1로 설정되면, 현재의 링크 이외의 링크에 있어서의 BU가 추천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LR 비트맵 세트 1304의 최초의 LR 비트맵은, MLD 2에 관련지어져 있고, 제1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며, 링크 2가 MLD 2에 추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LR 비트맵 세트 1304의 2번째의 LR 비트맵은, MLD 3에 관련지어져 있고, 제2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며, 링크 3이 MLD 3에 추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LR 존재 비트맵 1302(5비트) 및 LR 비트맵 세트 1304(4비트)를 사용하는 링크/TID/AC 정보의 합계 오버헤드는, 9비트이다.
LR 존재 비트맵 및 LR 비트맵 세트는, 디폴트의 TID-링크 매핑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 이외에, 상이한 TID가 상이한 링크 세트에 매핑될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링크 세트란, 유효한 링크 중 1개 또는 복수의 링크가 1개의 링크 세트로 분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존재 비트맵은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으로 할 수 있고, 링크/TID/AC 정보 세트는 링크 세트 비트맵 세트이다.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은, 링크 세트 비트맵 세트 내에 대응하는 링크 세트 비트맵이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MLD에 대응하는 비트는, TIM 요소를 전달하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이 송신되는 링크가 링크 세트 내의 유일한 링크이며, 또한 이 링크 세트에 있어서만 BU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되고, 다른 링크 세트에 있어서 BU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1로 설정된다.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은, TIM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TIM 비트맵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하고, 링크 세트 비트맵 세트는,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링크 세트 비트맵을,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LR 비트맵 세트는, 링크 세트 비트맵 세트에 있어서 1로 설정된 비트를 더 사용하여, 링크 세트 내의 링크 중 BU가 존재하는 링크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4는, 예시적인 TIM 비트맵 1400과, 예시적인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 1402와, 예시적인 링크 세트 비트맵 세트 1404와, 예시적인 LR 비트맵 세트 1406을 나타내고 있다. TIM 비트맵 1400에 있어서, MLD 1, MLD 2, 레거시 1, MLD 3, 및 싱글 링크 MLD 4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AID 12, 28, 35, 57, 및 77에 대응하는 TIM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이들의 STA/MLD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 1402는, TIM 비트맵 1400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TIM 비트맵 1400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하고, 따라서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 1402는, 5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이 예에서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AP MLD는 3개의 링크(링크 1, 링크 2, 링크 3)에서 동작하고,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은 링크 3(본 명세서에서는 현재의 링크 또는 현재의 링크 세트라고 칭한다)에서 송신된다. TID 0~3은 링크 1 및 링크 2에 매핑되어 있고, 따라서 링크 1 및 링크 2를 링크 세트(링크 세트 1)로 분류할 수 있으며, TID4~7은, 다른 링크 세트(링크 세트 2)로서 분류되는 링크 3에 매핑된다. MLD 1 및 MLD 2는, 링크 세트 2(즉 링크 3)에 매핑되어 있는 TID의 BU만을 갖고, 한편으로 MLD 4는 링크 3에서만 동작한다. MLD 1, MLD 2, MLD 4의 TID의 BU는, 현재의 링크 세트(링크 세트 2 또는 링크 3)에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MLD 1, MLD 2, 및 MLD 4를 위한 추가 정보는 필요 없고, 링크 세트 비트맵 세트 1404에는 MLD 3에 대한 링크 세트 비트맵만이 존재하거나, 또는 필요하다. MLD 1, MLD 2, 및 MLD 4에 대응하는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 1402의 제1 비트, 제2 비트, 및 제5 비트는 0으로 설정되어 있고, BU가 현재의 링크 세트상에서만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한편, MLD 3에 대응하는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 1402의 제4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BU가 다른 링크 세트(링크 세트 1)상에서도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레거시 1은 레거시 STA이며, 따라서 레거시 1에 대응하는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 1402의 제3 비트는, 항상 0으로 설정된다.
링크 세트 비트맵 세트 1404는,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 1402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링크 세트 비트맵을,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 1402와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이 경우, 각 링크 세트 비트맵은, 2개의 상이한 링크 세트(링크 세트 1, 링크 세트 2)에 대응하는 2개의 비트를 포함하고, 따라서 링크 세트 비트맵 세트 1404(1개의 링크 세트 비트맵만을 포함한다)는, 2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MLD에 대응하는 링크 세트 비트맵의 비트가 1로 설정되면, BU가 그 링크 세트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MLD 3에 관련지어지는 링크 세트 비트맵 세트의 제1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고, MLD 3을 위한 BU가 링크 세트 1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LR 비트맵 세트 1406은, 링크 세트 비트맵 세트 1404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LR 비트맵을 포함한다. 링크 세트의 링크에 대응하는 LR 비트맵의 비트는, BU가 링크 세트의 그 링크에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이 경우, MLD 3에 관련지어지는 LR 비트맵 세트 1406의 LR 비트맵은, 그 제2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고, 링크 세트 1의 링크 2에 BU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링크 세트 존재 비트맵 1402(5비트), 링크 세트 비트맵 세트 1404(2비트), LR 비트맵 세트 1406(2비트)을 사용하는 링크/TID/AC 정보의 합계 오버헤드는, 9비트이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존재 비트맵 1004는, TID 정보 존재 비트맵으로 할 수 있고, 링크/TID/AC 정보 세트 1006은, TID 정보 비트맵 세트이며, TID 정보 존재 비트맵이, TID 정보 비트맵 세트 내에 대응하는 TID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MLD에 대응하는 비트는, 버퍼링된 BU가, TIM 요소를 전달하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이 송신되는 링크에 매핑된 TID에만 속하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되고, 다른 링크에 매핑된 TID의 BU도 버퍼링되고 있는 경우에는 1로 설정된다.
TID 정보 존재 비트맵은, TIM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TIM 비트맵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하고, TID 정보 비트맵 세트는, TID 정보 존재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TID 정보 비트맵을, TID 정보 존재 비트맵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유리하게, 비AP MLD에 대하여 TID 정보 존재 비트맵의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비AP MLD는 현재의 링크에 있어서 BU를 취득하기만 하면 되고, TID 정보 비트맵 세트에 TID 정보 비트맵이 필요 없어, 링크/TID/AC 정보의 오버헤드가 감소한다.
도 15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1500, TID 정보 존재 비트맵 1502, 및 TID 정보 비트맵 세트 1506을 나타내고 있다. TIM 비트맵 1500에 있어서, MLD 1, MLD 2, 레거시 1, MLD 3, 및 싱글 링크 MLD 4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AID 12, 28, 35, 57, 및 77에 대응하는 TIM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이들의 STA/MLD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TID 정보 존재 비트맵 1502는, TIM 비트맵 1500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TIM 비트맵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하고, 따라서 TID 정보 존재 비트맵은, 5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이 예에서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AP MLD는 3개의 링크(링크 1, 링크 2, 링크 3)에서 동작하고,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은 링크 1(본 명세서에서는 현재의 링크라고 칭한다)에서 송신된다. MLD 1은 링크 1에 매핑되어 있는 TID의 BU만을 갖고, 한편으로 MLD 4는 링크 1에서만 동작한다. MLD 1 및 MLD 4의 TID의 BU는 현재의 링크에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MLD 1 및 MLD 4를 위한 추가 정보는 필요 없고, TID 정보 비트맵 세트 1504에는 MLD 2 및 MLD 3을 위한 TID 정보 비트맵만이 존재하거나, 또는 필요하다. MLD 1 및 MLD 4에 대응하는 TID 정보 존재 비트맵 1502의 제1 비트 및 제5 비트는 0으로 설정되어 있고, MLD 1 및 MLD 4를 위한 버퍼링된 BU가, 현재의 링크(링크 1)에 매핑되어 있는 TID에만 속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하여, MLD 2 및 MLD 3에 대응하는 TID 정보 존재 비트맵 1502의 제2 비트 및 제4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다른 링크(링크 2 및 링크 3)에 매핑되어 있는 TID의 각각의 BU도 버퍼링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레거시 1은 레거시 STA이며, 따라서 레거시 1에 대응하는 TID 정보 존재 비트맵의 제3 비트는, 항상 0으로 설정된다.
TID 정보 비트맵 세트 1504는, TID 정보 존재 비트맵 1502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TID 정보 비트맵을, TID 정보 존재 비트맵 1502와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이 경우, 각 TID 정보 비트맵은, 8개의 TID(TID 0~7)에 대응하는 8비트를 포함하고, 따라서 TID 정보 비트맵 세트 1504는, 16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MLD에 대응하는 TID 정보 비트맵의 비트는, 다른 링크(링크 2, 링크 3)에 매핑되어 있는 각각의 TID의 BU도 버퍼링되고 있는 경우, 1로 설정된다. 이 경우, TID 정보 비트맵 세트 1504의 TID 정보 비트맵은, MLD 2 및 MLD 3에 관련지어져 있고, 그 제2 비트~제7 비트(TID1~6에 대응한다)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며, 다른 링크에 매핑되어 있는 TID1~6의 BU도 버퍼링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TID 정보 존재 비트맵 1502(5 비트) 및 TID 정보 비트맵 세트 1504(16 비트)를 사용하는 링크/TID/AC 정보의 합계 오버헤드는, 21비트이다.
혹은, TID 정보 비트맵(8비트) 대신에, 도 7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싱글 TID(3비트)를 시그널링해도 되고, 단 TID 정보 존재 비트맵 1502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MLD(이 경우에는 MLD 2 및 MLD 3)의 비트에 대해서만 시그널링한다.
또, 일 실시형태에서는, TID-링크 매핑은 액세스 카테고리(AC)마다 행해지고, 즉, AC의 2개의 TID는 항상 함께 링크에 매핑되며, 이들이 따로따로 링크에 매핑되는 경우는 없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존재 비트맵은 AC 정보 존재 비트맵으로 할 수 있고, 링크/TID/AC 정보 세트는 AC 정보 비트맵 세트이며, AC 정보 존재 비트맵은, 대응하는 AC 정보가 AC 정보 비트맵 세트 내에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MLD에 대응하는 비트는, TIM 요소를 전달하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이 송신되는 링크(본 명세서에서는 현재의 링크라고 칭한다)에 매핑되어 있는 AC의 TID의 BU만이 버퍼링되고 있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되고, 다른 링크에 매핑되어 있는 AC의 TID의 BU도 버퍼링되고 있는 경우에는 1로 설정된다. 유리하게, 비AP MLD에 대한 AC 정보 존재 비트맵의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비AP MLD는, 현재의 링크에 있어서 BU를 취득하기만 하면 된다.
AC 정보 존재 비트맵은, TIM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TIM 비트맵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하고, AC 정보 비트맵 세트는, AC 정보 존재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AC 정보 비트맵을, AC 정보 존재 비트맵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유리하게, 비AP MLD에 대한 AC 정보 존재 비트맵의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비AP MLD는 현재의 링크에 있어서 BU를 취득하기만 하면 되고, AC 정보 비트맵 세트에는 AC 정보 비트맵이 필요 없어, 링크/TID/AC 정보의 오버헤드가 감소한다.
도 16은,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1600, 예시적인 AC 정보 존재 비트맵 1602, 및 예시적인 AC 정보 비트맵 세트 1604를 나타내고 있다. TIM 비트맵 1600에 있어서, MLD 1, MLD 2, 레거시 1, MLD 3, 및 싱글 링크 MLD 4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AID 12, 28, 35, 57, 및 77에 대응하는 TIM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이들의 STA/MLD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AC 정보 존재 비트맵 1602는, TIM 비트맵 1600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TIM 비트맵 1600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하고, 따라서 TID 정보 존재 비트맵 1602는, 5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이 예에서는,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AP MLD는, 3개의 링크(링크 1, 링크 2, 링크 3)에서 동작하고, TIM 프레임/비콘 프레임은 링크 1(본 명세서에서는 현재의 링크라고 칭한다)에서 송신된다. 4개의 AC, 즉 AC_BK, AC_BE, AC_VI, 및 AC_VO가 존재한다. 4개의 AC의 각각에 2개의 TID가 매핑된다. AC와 TID의 매핑의 일례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낸다. 각 AC의 2개의 TID는, 항상 링크에 매핑된다. 이 예에서는, AC_VO 및 AC_VI는 링크 1 및 링크 2에 매핑되고, AC_BE 및 AC_BK는 링크 3에 매핑되어 있다.
MLD 1은, 링크 1에 매핑된 AC의 BU만을 갖고, 한편으로 MLD 4는 링크 1에서만 동작한다. MLD 1 및 MLD 4의 AC의 BU는 현재의 링크에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MLD 1 및 MLD 4를 위한 추가 정보는 필요 없고, AC 정보 비트맵 세트 1604에는 MLD 2 및 MLD 3을 위한 AC 정보 비트맵만이 존재하거나, 또는 필요하다. MLD 1 및 MLD 4에 대응하는 AC 정보 존재 비트맵 1602의 제1 비트 및 제5 비트는 0으로 설정되어 있고, 현재의 링크(링크 1)에 매핑되어 있는 AC의 TID의 BU만이 버퍼링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MLD 2 및 MLD 3에 대응하는 AC 정보 존재 비트맵 1602의 제2 비트 및 제4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다른 링크(링크 2 및 링크 3)에 매핑되어 있는 AC의 그들의 BU도 버퍼링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레거시 1은 레거시 STA이며, 따라서 레거시 1에 대응하는 AC 정보 존재 비트맵 1602의 제3 비트는, 항상 0으로 설정된다.
[표 1]
Figure pct00001
AC 정보 비트맵 세트 1604는, AC 정보 존재 비트맵 1602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AC 정보 비트맵을, AC 정보 존재 비트맵 1602와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이 경우, 각 AC 정보 비트맵은, 4개의 AC(AC_BK, AC_BE, AC_VI, AC_VO)에 대응하는 4비트를 포함하고, 따라서 AC 정보 비트맵 세트 1604는, 8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이 경우의 AC 정보 존재 비트맵 1602(5비트) 및 AC 정보 비트맵 세트 1604(8비트)를 사용하는 링크/TID/AC 정보의 합계 오버헤드는, 13비트이다.본 개시에 의하면, 레거시 STA/비MLD 초고 스루풋(EHT) STA으로의 AID의 할당용과, 비AP MLD로의 AID의 할당용으로, TIM 비트맵이 상이한 부분(예를 들면 AID 공간)을 예약할 수 있고, 이 때 상이한 부분은 중복되지 않는다.
도 17은, 예시적인 AID의 할당과, AP MLD로부터 3개의 링크에서 각각 송신되는 3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1700, 1710, 1720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최대 2007개 중) 255개의 연속하는 AID가 AP MLD에 의하여 사용되고, 최초의 AID(0)는, 그룹 어드레싱되는 프레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며, STA에는 할당되지 않는다. 이어지는 30개의 AID(1~30)는, 레거시 STA 및 싱글 링크 EHT STA용으로 예약되어 있고, 나머지의 AID(31~255)가 비AP MLD용으로 사용된다.
각 TIM 비트는, AID에 매핑된다. 따라서, AID 0에 관련지어지는 최초의 TIM 비트에 이어지는, TIM 비트맵의 다음 부분(이 경우에는 AID 1~30에 관련지어지는 부분)이, 레거시 STA 및 비MLD EHT STA용으로 예약되고(본 명세서에서는 비MLD STA의 AID 공간이라고 칭한다), TIM 비트맵의 나머지 부분이 비AP MLD용으로 사용된다(본 명세서에서는 비AP MLD의 AID 공간이라고 칭한다). 유리하게, 이와 같은 AID의 할당에 의하여, 링크/TID/AC 정보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AID의 할당에 의하여, 버퍼링된 BU에 관련된 링크/AID/AC 정보는, 비AP MLD에 대해서만, 링크/AID/AC 정보 세트 내에 존재한다. 비AP MLD의 AID 공간에 있어서의 AID 중, 링크/AID/AC 정보가 링크/TID/AC 정보 세트에 포함되는 최초의 비AP MLD의 AID(예를 들면 최소의 AID)를 나타내기 위하여,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를 사용할 수 있다. 첨부한 도 19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예시적인 TIM 비트맵 1710에 사용되고 있는 예시적인 AID 할당에 근거한다.
도 18은 예시적인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 1800을 나타내고 있다.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의 포맷이 나타나 있지만, 동일한 포맷을, 고속 초기 링크 설정(FILS) 발견(Fast Initial Link Setup(FILS) Discovery) 프레임 또는 동작(OPS) 프레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 1800은, 부분 가상 비트맵(PVM) 1808을 포함하는 TIM 요소 1802와,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 1804와, 관련된 MLD의 각각의 링크/TID/AC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TID/AC 정보 세트 1806을 전달한다.
도 19는,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1900 및 LMB 세트 1904를 나타내고 있다. TIM 비트맵 1900에 있어서, AP MLD가, 사용되는 어느 하나의 링크상에서 비AP STA/MLD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경우, TIM 비트가 1로 설정된다. 레거시 2, 싱글 링크 EHT STA, MLD 1, MLD 2, MLD 3, 및 싱글 링크 MLD 4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AID 11, 12, 35, 57, 77, 255에 대응하는 TIM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이들의 STA/MLD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 1902는, 비AP MLD에 할당되어 있는 AID 중, TIM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는(즉 링크/TID/AC 정보가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최소의 AID를 나타낸다. 이 경우, 개시 AID는 35이다. TIM 비트맵에 있어서의 비AP MLD의 AID 공간의 할당 및 개시 AID에 의하여, 존재 비트맵이 불필요해지고, 따라서 링크/TID/AC 정보의 오버헤드가 감소한다.
비AP MLD는,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 1902의 개시 AID와 TIM 비트맵 1900에 근거하여, 링크/TID/AC 정보 세트 내의 자신의 대응하는 링크/TID/AC 정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5의 개시 AID는, 링크/TID/AC 정보 세트의 최초의 엔트리가, AID 35에 할당되어 있는 비AP MLD(이 경우에는 MLD 1)에 관련지어져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20은, 다른 예시적인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 2000을 나타내고 있다. 링크/TID/AC 정보 존재 비트맵 2005를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 2004와 함께 사용하여, 링크/TID/AC 정보의 오버헤드를 더 줄일 수 있다.
도 21은,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2100, 예시적인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104, 및 예시적인 TID 정보 비트맵 세트 2106을 나타내고 있다. TIM 비트맵 2100에 있어서, 레거시 2, 싱글 링크 EHT STA, MLD 1, MLD 2, MLD 3, 및 싱글 링크 MLD 4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AID 11, 12, 35, 57, 77, 255의 AID에 대응하는 TIM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는, 이들의 STA/MLD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TIM는 링크 2에서 송신되고,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 2102는, 비AP MLD의 AID 공간의 선두(AID 31)에 설정되어 있다. TID 정보 존재 비트맵은,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가 가리키는 AID(즉 31)로부터 개시하여, TIM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비트를 포함한다. TIM 비트맵 2100에 있어서의 비AP MLD AID 공간의 할당 및 개시 AID 2102를 통하여, 비MLD STA의 AID 공간(AID1~30)에 대한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104가 생략되고, 따라서 링크/TID/AC 정보의 오버헤드가 감소한다.
이 예에서는, MLD 1은, 링크 2에 매핑되어 있는 TID의 BU만을 갖고, 한편으로 MLD 4는 링크 1에서만 동작하며, 따라서 MLD 4를 위한 TID 정보는 링크 2에 포함되지 않는다. MLD 1 및 MLD 4를 위한 버퍼링된 BU의 추가 정보는 필요 없고, TID 정보 비트맵 세트 2106에는, MLD 2 및 MLD 3의 TID 정보 비트맵만이 존재하거나, 또는 필요하다. MLD 2 및 MLD 3에 대응하는,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104의 제2 비트 및 제3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다른 링크에 매핑되어 있는 TID의 그들의 BU도 버퍼링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TID 정보 비트맵 세트는,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104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TID 정보 비트맵을,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104와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이 경우, MLD 2 및 MLD 3의 각각에 대하여 싱글 TID(3비트)가 시그널링되고, 따라서 TID 정보 비트맵 세트 2106은, 6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3비트의 TID인 101 및 111은, MLD 2 및 MLD 3에 대하여 TID 5 및 TID 7의 BU가 각각 버퍼링되고 있는 것을 시그널링한다. 다른 TID의 BU가 존재하는 경우, 그들은 나타난 TID에 속하는 후속의 데이터 프레임의 A 제어 필드에 있어서 시그널링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다중 BSSID 세트의 멤버인 AP(즉 가상 AP)에 대하여, TIM 비트맵의 비트 1~(2n-1)은, 비송신 BSSID에 대응하는 각 AP(가상 AP)에 대하여 1개 또는 복수의 그룹 어드레싱된 프레임이 버퍼링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고, 비TxBSS 식별자(NonTxBSSID)로 불린다. 이들 비트는, BSS 내의 STA에 할당되지 않는다. 또한, 몇 개의 AID는, AP MLD의 다른 소속 AP의 그룹 어드레싱된 BU의 존재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예약되어도 되고, 이들 AID는, 가상 AP에 할당된 AID가 있는 경우, 그 직후에 발생해도 된다. 또 AP MLD는, 관련된 비AP STA/MLD를 위한 AID 공간을 적절히 계획함으로써, 레거시 STA를 위한 링크/TID/AC 정보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AP MLD는, AP를 위하여 예약되어 있는 마지막 AID(예를 들면 3)의 직후부터 시작되는 AID 공간으로부터, 관련된 비AP MLD에 AID를 할당할 수 있고, 한편, 관련된 비MLD STA에는, 비AP MLD를 위하여 예약되어 있는 AID 공간의 직후부터 시작되는 AID 공간으로부터 AID가 할당된다.
도 22는, AP MLD로부터 링크로 송신되는 예시적인 TIM 비트맵 2200과, AC 정보 존재 비트맵 2202 및 AC 정보 비트맵 세트 2204의 예시적인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최대 2008개 중) 255개의 연속하는 AID가 AP MLD에 의하여 사용되고, 최초의 4개의 AID(0~3)가, 4개의 가상 AP에 대응하는 그룹 어드레싱된 프레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며, 이어지는 200개의 AID(4~203)가, 복수의 링크에서 동작하는 비AP MLD용으로 예약되고, 나머지의 AID(204~255)가, 레거시 STA 및 싱글 링크 EHT STA용으로 사용된다.
각 TIM 비트는, AID에 매핑된다. 따라서, TIM 비트맵 2200의 개시 부분 2211(이 경우, AID 0~3에 관련지어지는 TIM 비트)은, AP MLD용으로 예약되어 있다(본 명세서에서는 AP MLD의 AID 공간이라고 칭한다). AP MLD의 AID 공간 2211에 이어서, TIM 비트맵의 다음의 부분 2212(이 경우, AID 11~203에 관련지어지는 부분)는, 비AP MLD용으로 예약되어 있고(본 명세서에서는 비AP MLD의 AID 공간이라고 칭한다), TIM 비트맵의 나머지의 부분 2213은, 레거시 STA 및 비MLD EHT STA용으로 예약되어 있다(본 명세서에서는 비MLD STA의 AID 공간이라고 칭한다).
비AP MLD의 AID 공간 2212는, TIM 비트맵 2200 내의 AP용으로 예약되어 있는 AID 공간 2211의 직후부터 (부가되는 형태로) 개시된다. 싱글 링크 MLD(예를 들면 도 22의 싱글 링크 MLD 4)에도, 비MLD STA의 AID 공간으로부터 AID를 할당할 수 있고, 따라서 비AP MLD의 AID 공간 2212는, 복수의 링크상에서 동작하는 비AP MLD용으로 배타적으로 예약된다. AID 공간을 고정하는 대신, AID 공간의 경계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링크에서 동작하는 비AP MLD에는, 최초의 이용 가능한 AID로부터 개시하여 연속적으로 AID가 할당되고(예를 들면 4, 5, 6, ... 등), 한편으로 레거시 STA 및 싱글 링크 EHT STA에는, AP의 AID 공간 내의 마지막의 AID로부터 개시하여 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AID가 할당된다(예를 들면 255, 254, 253, ... 등). 유리하게, AP용으로 예약되어 있는 AID 공간(예를 들면 NonTxBSS ID)은, 모든 관련된 STA에 인식되어 있기 때문에, 개시 AID는 이미 알려져 있으며, 이 방식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
도 22로 되돌아가, 이 AID의 할당을 사용하면, 버퍼링된 BU에 관련된 링크/AID/AC 정보는 비AP MLD에 대해서만 존재하고, 한편으로 레거시 STA 및 비MLD EHT STA는 링크/AID/AC 정보 세트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존재 비트맵에는, 비AP MLD를 위한 비트만이 필요하다. MLD 1, MLD 2, MLD 3, 싱글 링크 MLD 4, 레거시 4, 및 싱글 링크 EHT STA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AID 12, 28, 35, 204, 227, 255에 대응하는 TIM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이들의 STA/MLD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TIM은 링크 3에서 송신된다. MLD 1은, 링크 3에 매핑되어 있는 TID의 BU만을 갖고, 한편으로 MLD 4는 링크 1에서만 동작하기 때문에, MLD 4를 위한 AC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MLD 1 및 MLD 4를 위한 버퍼링된 BU의 추가 정보는 필요 없고, AC 정보 비트맵 세트 2204에는, MLD 2 및 MLD 3을 위한 AC 정보 비트맵만이 존재하거나, 또는 필요하다. MLD 2 및 MLD 3에 대응하는 AC 정보 존재 비트맵 2202의 제2 비트 및 제3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다른 링크에 매핑된 AC의 그들의 BU도 버퍼링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AC 정보 비트맵 세트 2204는, AC 정보 존재 비트맵 2202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AC 정보 비트맵을, AC 정보 존재 비트맵 2202와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이 경우, 각 AC 정보 비트맵은, 4개의 AC(AC_BK, AC_BE, AC_VI, AC_VO)에 대응하는 4개의 비트를 포함하고, 따라서 AC 정보 비트맵 세트 2204는, 8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AC 정보 존재 비트맵(3비트) 및 AC 정보 비트맵 세트(8비트)를 사용하는 링크/TID/AC 정보의 합계 오버헤드는, 11비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AID의 할당에 관한 아무런 제한이 없어도, 예를 들면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를 사용하여 개시 AID를 나타냄으로써, 개시 AID보다 작은 AID를 갖는 STA를 제외함으로써, 링크/TID/AC 정보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제외되는 STA는, 레거시 STA, 비MLD EHT STA, 나아가서는 링크/TID/AC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MLD로 할 수 있다.
도 23은,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2300과, 예시적인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304와, 예시적인 TID 정보 비트맵 세트 2306을 나타내고 있다. 레거시 2, 싱글 링크 EHT STA, MLD 1, 레거시 7, MLD 3, 및 싱글 링크 MLD 4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AID 11, 12, 35, 57, 77, 255에 대응하는 TIM 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고, AP MLD가, 이들의 STA/MLD에 송신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AID의 할당에 관한 아무런 제한이 없으면, 레거시 STA(예를 들면 레거시 7)의 AID와 비AP MLD의 AID가 혼재할 수 있다.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 2302는, 링크/TID/AC 정보가 링크/TID/AC 정보 세트에 포함되는 최초의 비AP MLD의 AID(즉 비AP MLD에 관련지어지는 최소의 AID)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 2302는, 개시 AID로서 35를 나타낸다. 이로써, TID 정보 비트맵 세트로부터 레거시 2 및 싱글 링크 EHT STA가 용이하게 제외된다. 레거시 STA 및 비MLD EHT STA는, 여전히 링크/TID/AC 정보 세트에 포함되지만, 개시 AID보다 높은 AID를 갖는 STA(예를 들면 레거시 7)뿐이다.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304는, TIM 비트맵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TIM 비트맵 2300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하고, 따라서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304는, 4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이 경우,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304에서는, MLD 1 및 MLD 3에 대응하는 제1 비트 및 제3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다. TID 정보 비트맵 세트 2306은,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304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TID 정보 비트맵(이 경우는 3비트의 싱글 TID)을,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304와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이 경우, TID 정보 존재 비트맵에 있어서, MLD 1 및 MLD 3에 대응하는 제1 비트 및 제3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TID 정보 비트맵 세트 2306은 6비트의 사이즈를 갖는다. 이 경우의 TID 정보 존재 비트맵 2304(4비트) 및 TID 정보 비트맵 세트 2306(6비트)을 사용하는 링크/TID/AC 정보의 합계 오버헤드는, 10비트이다.
도 24는, 멀티 링크 TIM(Multi-link TIM) 요소 2400의 예시적인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멀티 링크 TIM 2400은, 신규의 요소로 하거나, 또는, 존재 비트맵 및 링크/TID/AC 정보 세트를 전달하기 위하여 정의되어 있는, 타입 필드가 「Multi-link TIM」로 설정된 멀티 링크 요소로 할 수 있다. 멀티 링크 TIM(Multi-link TIM) 요소는, 요소(Element) 필드와, 길이(Length) 필드와, 요소 ID 확장(Element ID Extension) 필드와, 타입(Type) 필드(「Multi-link TIM」로 설정되어 있다) 및 존재 비트맵을 포함하는 멀티 링크 제어(Multi-link Control) 필드와, 공통 정보(Common Info) 필드와, 링크 정보(Link Info) 필드를 포함한다.
멀티 링크 제어(Multi-link Control) 필드의 존재 비트맵(Presence Bitmap) 필드는, 개시 AID 존재(Starting AID Present) 필드 및 존재 비트맵 사이즈 존재(Presence Bitmap Size Present) 필드를 더 포함하고, 이들은, 공통 정보(Common Info) 필드에 있어서의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 및 존재 비트맵 사이즈(Presence Bitmap Size) 필드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공통 정보(Common Info) 필드는, 링크/TID/AC 정보 타입(Link/TID/AC Information Type) 필드,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 및 존재 비트맵 사이즈(Presence Bitmap Size) 필드를 더 포함한다. 링크 정보(Link Info) 필드는, 링크/TID/AC 정보 존재 비트맵 존재(Link/TID/AC Information Presence Bitmap Present) 필드, 링크/TID/AC 정보 존재 비트맵(Link/TID/AC Information Presence Bitmap) 필드, 및 링크/TID/AC 정보 세트(Link/TID/AC Information Set) 필드를 더 포함한다. 링크/TID/AC 정보 타입(Link/TID/AC Information Type) 필드는, 이하의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링크/TID/AC 정보 세트(Link/TID/AC Information Set) 필드에 있어서 어떠한 종류의 정보가 전달되는지를 나타낸다. 존재 비트맵 사이즈(Presence Bitmap Size) 필드는, 링크/TID/AC 정보 존재 비트맵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링크/TID/AC 정보 존재 비트맵(Link/TID/AC Information Presence Bitmap) 필드는, 링크/TID/AC 정보에, 버퍼링된 BU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내고, 비AP MLD에 대하여 설정된다. 링크/TID/AC 정보 세트(Link/TID/AC Information Set) 필드는, 비AP MLD의 각각을 대상으로, 버퍼링된 BU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레거시 STA(11n, 11ac, 11ax STA)로의 AID의 할당용과, EHT 디바이스(비MLD EHT 비AP STA, 및 비AP MLD)로의 AID의 할당용으로, 상이한 AID 공간이 예약되어 있다고 상정하면, 레거시 STA를 위한 버퍼링된 BU를 시그널링하기 위해서만 개별의 TIM 요소(예를 들면 기존의 베이스라인 TIM 요소)를 사용할 수 있고, 한편으로, EHT 디바이스를 위한 버퍼링된 BU를 시그널링하기 위해서만, 멀티 링크 TIM(Multi-link TIM) 요소에 새로운 멀티 링크 TIM 비트맵이 포함된다. 그룹 어드레스 BU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AID(예를 들면 AID 0, NonTxBSS ID, 또는 AP MLD의 AID 공간)는, 레거시 STA를 위한 TIM 비트맵과 EHT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 링크 TIM 비트맵의 양방에서 중복되어 있다.
[표 2]
Figure pct00002
도 25는, 비콘 프레임/TIM 프레임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TIM 비트맵 2500, 예시적인 멀티 링크 TIM 비트맵 2510, 예시적인 AC 정보 존재 비트맵, 및 예시적인 AC 정보 비트맵 세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최대 2008개 중) 1020개의 연속하는 AID가 AP MLD에 의하여 사용된다. 510개의 연속하는 AID(1~510)가 레거시 STA를 위하여 예약되어 있고, 나머지의 AID(511~1020)가 EHT 디바이스에 사용된다. 따라서, TIM 비트맵 2500은, 레거시 디바이스(이 경우에는 AID 34 및 76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레거시 1 및 레거시 2)를 위한 버퍼링된 BU를 나타내기 위하여 전용으로 사용되고, 멀티 링크 TIM 비트맵 2510은, AID 512, 528, 535, 557, 및 577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MLD 1, MLD 2, 비MLD EHT STA 1, MLD 3, 및 싱글 링크 MLD 4 등 EHT 디바이스를 위한 버퍼링된 BU를 나타내기 위하여 전용으로 사용된다. 그룹 어드레스 BU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AID(이 경우에는 AID 0)는, 2505에 의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멀티 링크 TIM 비트맵에 있어서 중복되어 있다.레거시 STA는 TIM 비트맵 2500을 복호하기만 하면 되고, 한편으로 EHT STA는 멀티 링크 TIM 비트맵 2510을 복호하기만 하면 된다. 멀티 링크 비트맵에 있어서, 그룹/브로드캐스트 어드레싱된 프레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1개 또는 복수의) 중복되어 있는 비트 2505 직후의 비트는, EHT 디바이스용으로 예약되어 있는 AID 공간에 있어서의 최초의 AID에 대응한다. TIM 비트맵에 있어서의 비트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레거시 STA로의 AID의 할당용과, EHT 디바이스로의 AID의 할당용으로, 상이한 AID 공간을 예약할 수 있다.
베리에이션으로서, 모든 비MLD STA에 레거시 STA의 AID 공간으로부터 AID를 할당하고, 베이스라인 TIM을 사용하여 비MLD STA를 위한 버퍼링된 BU를 나타낼 수도 있다. 비MLD STA란, 레거시 STA와, MLD에 속하지 않은 EHT STA를 가리킨다.
추가적인 베리에이션으로서, 싱글 링크 MLD에 레거시 STA의 AID 공간으로부터 AID를 할당할 수도 있고, 따라서, 레거시 STA의 AID 공간이, 레거시 STA 뿐만 아니라, 싱글 링크상에서 동작하는 모든 EHT 디바이스를 위하여 배타적으로 예약되며, 싱글 링크 MLD를 위한 버퍼링된 BU도 베이스라인 TIM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멀티 링크 TIM 비트맵은, 비AP MLD를 위한 버퍼링된 BU를 나타내기 위해서만 배타적으로 사용된다.
AC 정보 존재 비트맵 2502는, 멀티 링크 TIM 비트맵 2510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비트를, 멀티 링크 TIM 비트맵 2510과 동일한 순서로 포함하고, 따라서 AC 정보 존재 비트맵 2502는, 5비트의 합계 사이즈를 갖는다. AC 정보 비트맵 세트 2504는, AC 정보 존재 비트맵 2502에 있어서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비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AC 정보 비트맵을, AC 정보 존재 비트맵 2502와 동일한 순서로 포함한다. 각 AC 정보 비트맵은, 4개의 AC에 대응하는 4개의 비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 AC 정보 존재 비트맵 2502에 있어서, MLD 2 및 MLD 3에 대응하는 제2 비트 및 제4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AC 정보 비트맵 세트는 8비트의 사이즈를 갖는다. 이 경우, EHT 디바이스를 위한 개별의 TIM 요소, 즉 AC 정보 존재 비트맵 2502(5비트), 및 AC 정보 비트맵 세트 2504(8비트)를 사용하는 링크/TID/AC 정보의 합계 오버헤드는, 13비트이다.
도 26은, 멀티 링크 TIM 비트맵을 포함하는 멀티 링크 TIM(Multi-link TIM) 요소 2600의 예시적인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멀티 링크 TIM 2600은, 요소(Element) 필드와, 길이(Length) 필드와, 요소 ID 확장(Element ID Extension) 필드와, 「Multi-link TIM」으로 설정된 타입(Type) 필드 및 존재 비트맵(Presence Bitmap) 필드를 포함하는 멀티 링크 제어(Multi-link Control) 필드와, 공통 정보(Common Info) 필드와, 링크 정보(Link Info) 필드를 포함한다.
멀티 링크 제어(Multi-link Control) 필드의 존재 비트맵(Presence Bitmap) 필드는, 개시 AID 존재(Starting AID Present) 필드, 멀티 링크 TIM 정보 존재(Multi-link TIM Information Present) 필드, 및 존재 비트맵 사이즈 존재(Presence Bitmap Size Present) 필드를 더 포함하고, 이들은, 공통 정보(Common Info) 필드의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 멀티 링크 TIM 정보(Multi-link TIM Information) 필드, 및 존재 비트맵 사이즈(Presence Bitmap Size) 필드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공통 정보(Common Info) 필드는, 링크/TID/AC 정보 타입(Link/TID/AC Information Type) 필드,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 멀티 링크 TIM 정보(Multi-link TIM Information) 필드, 및 존재 비트맵 사이즈(Presence Bitmap Size) 필드를 더 포함한다. 링크 정보(Link Info) 필드는, 링크/TID/AC 정보 존재 비트맵 존재(Link/TID/AC Information Presence Bitmap Present) 필드, 링크/TID/AC 정보 존재 비트맵(Link/TID/AC Information Presence Bitmap) 필드, 및 링크/TID/AC 정보 세트(Link/TID/AC Information Set) 필드를 더 포함한다. 멀티 링크 TIM 정보(Multi-Link TIM Information) 필드는, 비트맵 제어(Bitmap Control) 필드, 비트맵 길이(Bitmap Length) 필드, 및 멀티 링크 TIM 비트맵(Multi-link TIM Bitmap) 필드를 더 포함한다. 비트맵 제어(Bitmap Control) 필드는, 도 24에서 설명 및 도해한 레거시 TIM 요소에 있어서의 비트맵 제어(Bitmap Control) 필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비트맵 길이(Bitmap Length) 필드는, 멀티 링크 비트맵의 길이를 옥텟 단위로 나타낸다. 멀티 링크 TIM 비트맵(Multi-Link TIM Bitmap) 필드는, EHT 디바이스 또는 비AP MLD만을 대상으로 하여, 버퍼링된 BU를 나타낸다. 링크/TID/AC 정보 타입(Link/TID/AC Information Type) 필드는, 위의 표 2와 동일하게, 링크/TID/AC 정보 세트(Link/TID/AC Information Set) 필드에 있어서 어떠한 종류의 정보가 전달되는지를 나타낸다. 링크/TID/AC 정보 존재 비트맵(Link/TID/AC Information Presence Bitmap) 필드는, 링크/TID/AC 정보에, 버퍼링된 BU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내고, 비AP MLD에 대하여 설정된다. 링크/TID/AC 정보 세트(Link/TID/AC Information Set) 필드는, 비AP MLD의 각각을 대상으로, 버퍼링된 BU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한다.
도 27은, 통신 디바이스 2700과, 통신 디바이스 2700에 속하는 3개의 통신 장치 2712, 2722, 2732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통신 디바이스 2700은 AP MLD로서 실시되고 있으며, 속하는 통신 장치 2712, 2722, 2732의 각각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의한,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AP로서 실시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 2700은,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를 사용하여 멀티 링크 TIM(Multi-link 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생성하는 등,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한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매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멀티 TIM 요소 생성기 2702를 구비하고 있고, 멀티 링크 TIM(Multi-link TIM) 요소는, 통신 장치에 관련지어지는 외부 통신 장치/디바이스를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유닛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분 가상 비트맵(PVM)을 포함하며, 존재 비트맵은, 관련된 외부 통신 장치/디바이스를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예를 들면 링크/TID/AC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통신 디바이스 2700은, 그 MLD MAC MLD 어드레스 2701을 기억하는 기억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통신 디바이스 2700은, 인터넷층 및/또는 DS와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MAC SAP 2740을 더 구비하고 있다. 통신 디바이스에 속하는 통신 장치 2712, 2722, 2732의 각각은, 링크 2718, 2728, 2738을 제공하고, 이들 링크는, 다른 외부 통신 장치/디바이스 및/또는 DS에 송신하는(예를 들면, 개시 AID에 관련된 개시 AID 관련 필드를 사용한 멀티 링크 TIM(Multi-link 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하는) 스텝, 또는 다른 외부 통신 장치/디바이스 및/또는 DS로부터 다른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에 관련지어지며, 이들 스텝을 행할 수 있다. 속하는 통신 장치 2712, 2722, 2732의 각각은, MAC층 2714, 2724, 2734 및 PHY(물리)층 2716, 2726, 2736을 구비하고 있으며, PHY층은, 대응하는 링크 2718, 2728, 2738을 통하여 다른 통신 장치/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신/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무선 송신기, 무선 수신기, 및 안테나와 접속하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MAC층은, 그 AP MAC 어드레스 2715, 2725, 2735를 기억하는 기억 모듈과, 레거시 STA와의 사이의 트래픽을 위하여 인터넷층과 직접 통신하기 위한 옵션의 AP MAC SAP를 구비하고 있다.
도 28은, 통신 디바이스 2800과, 통신 디바이스 2800에 속하는 3개의 통신 장치 2812, 2822, 2832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통신 디바이스 2800은, 비AP MLD로서 실시되고 있으며, 속하는 통신 장치 2812, 2822, 2832의 각각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의한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STA로서 실시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 2800은, 개시 AID(Starting AID) 필드를 사용하여 멀티 링크 TIM(Multi-link 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등,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한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매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멀티 TIM 요소 퍼서 2802를 더 구비하고 있고, 멀티 링크 TIM(Multi-link TIM) 요소는, 통신 디바이스 2700을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유닛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분 가상 비트맵(PVM)을 포함하며, 존재 비트맵은, 통신 디바이스 2800을 대상으로 한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예를 들면 링크/TID/AC 정보)가 존재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통신 디바이스 2800은, 그 MLD MAC MLD 어드레스 2801을 기억하는 기억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통신 디바이스 2800은, 인터넷층 및/또는 DS와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MAC SAP 2840을 더 구비하고 있다. 통신 디바이스에 속하는 통신 장치 2812, 2822, 2832의 각각은, 링크 2818, 2828, 2838을 제공하고, 이들 링크는, 다른 외부 통신 장치/디바이스 및/또는 DS로부터 다른 신호를 수신/송신하는 스텝에 관련지어져 있으며, 이들 스텝을 행할 수 있다. 속하는 통신 장치 2812, 2822, 2832의 각각은, MAC층 2814, 2824, 2834 및 PHY(물리)층 2816, 2826, 2836을 구비하고 있으며, PHY층은, 대응하는 링크 2818, 2828, 2838을 통하여 다른 통신 장치/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신/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무선 송신기, 무선 수신기, 및 안테나와 접속하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MAC층은, 그 STA MAC 어드레스 2815, 2825, 2835를 기억하는 기억 모듈과, 레거시 AP/STA와의 사이의 트래픽을 위하여 인터넷층과 직접 통신하기 위한 옵션의 STA MAC SAP를 구비하고 있다.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협동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각 기능 블록은, 그 일부 또는 전체를, 집적 회로 등의 LSI(대규모 집적 회로)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고,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각 처리는, 그 일부 또는 전체를, 동일한 LSI 또는 LSI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LSI는, 개개에 칩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개의 칩을 형성해도 된다. LSI는, 자신에 결합된 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집적 회로를 실시하는 기술은 LSI에 한정되지 않고, 전용 회로,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LSI의 제조 후에 프로그램 가능한 FPGA(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에 배치된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변경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된다. 본 개시는, 디지털 처리 또는 아날로그 처리로서 실현할 수 있다. 반도체 기술이나 그 외의 파생 기술의 진보에 의하여, 장래의 집적 회로 기술이 LSI를 대신하는 경우, 그 장래의 집적 회로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을 집적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이오 테크놀로지를 응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통신 디바이스라고 칭해지는, 통신의 기능을 갖는 임의의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의 몇 가지 비한정적인 예로서는, 전화(예를 들면 셀룰러(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PC)(예를 들면 랩톱, 데스크톱, 넷북), 카메라(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플레이어(디지털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면 웨어러블 카메라, 스마트 워치, 트래킹 디바이스), 게임기, 전자서적 리더, 원격 의료/텔레메디신(리모트 의료·의약) 장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예를 들면 자동차, 비행기, 선박), 및 그들의 다양한 조합을 들 수 있다.
본 통신 디바이스는, 휴대형 또는 가반형에 한정되지 않고, 비휴대형 또는 거치형인 임의의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예를 들면, 스마트 홈 디바이스(예: 전자 제품, 조명, 스마트 미터, 제어반(盤)), 자동 판매기, 및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다른 「사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시스템, 무선 LAN 시스템, 위성 시스템, 및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통신 디바이스는, 본 개시 중에서 설명한 통신의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장치에 결합된 컨트롤러나 센서 등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디바이스는, 통신 디바이스의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장치에 의하여 사용되는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또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본 통신 디바이스는, 인프라 스트럭처 설비, 예를 들면, 위의 비한정적인 예에 있어서의 장치 등의 장치와 통신하거나, 또는 그와 같은 장치를 제어하는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및 임의의 다른 장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의 비한정적인 예는, 멀티 링크 스테이션 논리 엔티티(즉 MLD 등)에 속하는 제1 복수의 스테이션에 포함되는 스테이션으로 할 수 있고, 멀티 링크 스테이션 논리 엔티티에 속하는 제1 복수의 스테이션의 일부로서, 제1 복수의 스테이션의 스테이션은, 상위층에 대한 공통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데이터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며, 공통의 MAC 데이터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공통의 MAC 어드레스 또는 트래픽 식별자(TID)에 관련지어져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특히 멀티 링크의 시큐어한 재송신에 있어서, 멀티 링크 통신의 스루풋 이득을 충분히 실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링크상에서 동작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여기까지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제시해 왔지만, 방대한 수의 변형 형태가 존재하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예이며, 본 개시의 범위, 적용성, 동작, 또는 구성을 결코 제한하도록 의도하고 있지는 않은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오히려, 여기까지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실시하기 위한 편리한 지침을 당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재된 동작의 스텝 및 방법의 기능 및 조합과,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재된 디바이스의 모듈 및 구조에는, 첨부한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주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Claims (16)

  1. AP 멀티 링크 디바이스(MLD)에 속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 중의 AP로서, 상기 복수의 AP의 각각이, 상기 AP MLD의 대응하는 링크에서 동작하고 있고, 상기 AP가,
    동작 시에,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이며, 상기 요소가, 상기 AP 또는 상기 AP MLD에 관련지어지는 비AP STA 또는 비AP MLD 중 일방을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유닛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분 가상 비트맵(PVM)을 포함하고, 상기 존재 비트맵이, 상기 비AP STA 또는 상기 비AP MLD의 상기 일방을 대상으로 하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상기 회로와,
    동작 시에, 상기 프레임을 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A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정보가, 링크 매핑 비트맵(LMB), 링크 추천(LR), 링크 세트 비트맵(LSB), 트래픽 식별자(TID) 비트맵, 액세스 카테고리(AC) 비트맵, TID, 및 AC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AP.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상기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최소의 AID를 나타내는 개시 관련 식별자(AID: Associate Identifier)를 더 포함하는, AP.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M 요소에 있어서의 상기 PVM의 제1 부분이, 레거시 STA 및 비MLD 초고 스루풋(EHT) STA에 할당되는 AID에 관련지어져 있고, 상기 TIM 요소에 있어서의 상기 PVM의 제2 부분이, 비AP MLD에 할당되는 AID에 관련지어져 있으며, 상기 TIM 요소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중복되지 않는, AP.
  5. 제4항에 있어서,
    비AP MLD에 할당되는 AID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TIM 요소에 있어서의 상기 PVM의 상기 제2 부분이, AP에 할당되는 AID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TIM 요소에 있어서의 상기 PVM의 제3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직후부터 개시되는, AP.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비콘 프레임, TIM 프레임, 고속 초기 링크 설정(FILS) 발견 프레임, 및 동작(OPS) 프레임 중 1개인, AP.
  7. 제1항에 있어서,
    비AP MLD의 PVM과, MLD에 속하는 비AP STA의 PVM이, 상이한 TIM 요소에 있어서 전달되는, AP.
  8. AP MLD에 관련지어지는 비액세스 포인트(비AP) 멀티 링크 디바이스(MLD)에 속하는 복수의 스테이션(STA) 중의 STA로서, 상기 복수의 STA의 각각이, 상기 비AP MLD의 대응하는 링크에서 동작하고 있고, 상기 STA가,
    동작 시에, 링크에 있어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기이며, 상기 프레임이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요소가, 상기 비AP MLD를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유닛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분 가상 비트맵(PVM)을 포함하며, 상기 존재 비트맵이, 상기 비AP MLD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상기 수신기와,
    동작 시에, 상기 프레임을 처리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스테이션(STA).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정보가, 링크 매핑 비트맵(LMB), 링크 추천(LR), 링크 세트 비트맵(LSB), 트래픽 식별자(TID) 비트맵, 액세스 카테고리(AC) 비트맵, TID, 및 AC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STA.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비트맵이, 상기 비AP MLD를 위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를 나타내지 않고, 상기 STA가, 상기 프레임이 수신된 상기 링크에 있어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BU를 취득하는, STA.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비콘 프레임, TIM 프레임, 고속 초기 링크 설정(FILS) 발견 프레임, 및 동작(OPS) 프레임 중 1개인, STA.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상기 프레임 내에 최초로 존재하는 최소의 AID를 나타내는 개시 관련 식별자(AID)를 더 포함하는, STA.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IM 요소에 있어서의 상기 PVM의 제1 부분이, 레거시 STA 및 비MLD 초고 스루풋(EHT) STA에 할당되는 AID에 관련지어져 있고, 상기 TIM 요소에 있어서의 상기 PVM의 제2 부분이, 비AP MLD에 할당되는 AID에 관련지어져 있으며, 상기 TIM 요소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중복되지 않는, STA.
  14. 제13항에 있어서,
    비AP MLD에 할당되는 AID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TIM 요소에 있어서의 상기 PVM의 상기 제2 부분이, AP에 할당되는 AID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TIM 요소에 있어서의 상기 PVM의 제3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직후부터 개시되는, STA.
  15. 제8행에 있어서,
    비AP MLD의 PVM과, MLD에 속하지 않는 비AP STA의 PVM이, 상이한 TIM 요소에 있어서 전달되는, STA.
  16. 통신 방법으로서,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TIM) 요소 및 존재 비트맵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스텝이며, 상기 요소가, AP 또는 AP MLD에 관련지어지는 비AP STA 또는 비AP MLD 중 일방을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버퍼링된 유닛의 존재를 나타내는 부분 가상 비트맵(PVM)을 포함하고, 상기 존재 비트맵이, 상기 비AP STA 또는 상기 비AP MLD의 상기 일방을 대상으로 하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BU에 관련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스텝과,
    상기 프레임을 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42226A 2020-06-09 2021-04-16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300059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2005463Q 2020-06-09
SG10202005463Q 2020-06-09
PCT/SG2021/050221 WO2021251901A1 (en) 2020-06-09 2021-04-16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link traffic indication m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969A true KR20230005969A (ko) 2023-01-10

Family

ID=7884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226A KR20230005969A (ko) 2020-06-09 2021-04-16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32276A1 (ko)
EP (1) EP4162735A4 (ko)
JP (2) JP7371277B2 (ko)
KR (1) KR20230005969A (ko)
CN (1) CN115699910A (ko)
BR (1) BR112022023803A2 (ko)
WO (1) WO20212519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3679B2 (en) * 2020-08-03 2024-04-30 Intel Corporation Enhanced frame exchange and multi-link device messaging for secure communications
US20210120455A1 (en) * 2020-12-24 2021-04-2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ed in wlans
US20220117020A1 (en) * 2021-12-21 2022-04-14 Laurent Cariou Group addressed bufferable units (bus) indication in traffic indication map (tim) for multi-link operation
WO2023154918A1 (en) * 2022-02-14 2023-08-17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ulti-link setup link recommendation
CN116939845A (zh) * 2022-04-02 2023-10-24 华为技术有限公司 多链路通信方法及装置
EP4262316A1 (en) * 2022-04-11 2023-10-18 INTEL Corporation Multi-link (ml) traffic information element (ie) for enhanced traffic identifier (tid)-to-link mapping
US20240007904A1 (en) * 2022-07-01 2024-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ink traffic indication for buffered traffic
US20240007894A1 (en) * 2022-07-01 2024-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ink traffic indication for multi-link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12100C (en) * 2012-02-03 2017-04-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performed by station operating in power save m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0609647B2 (en) * 2016-09-29 2020-03-31 Intel IP Corporation Multi-band link-aggregation pre-negotiated power save modes
US10849159B2 (en) * 2017-04-17 2020-11-24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based random access in a multiple BSSID network
US11963100B2 (en) * 2018-10-12 2024-04-16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band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CN113395746A (zh) * 2020-03-11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多链路通信中的功率节省方法和装置
CN113395731A (zh) * 2020-03-13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缓存情况的确定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7813A (ja) 2023-06-30
BR112022023803A2 (pt) 2022-12-20
EP4162735A1 (en) 2023-04-12
EP4162735A4 (en) 2023-11-29
JP2023174838A (ja) 2023-12-08
WO2021251901A1 (en) 2021-12-16
JP7371277B2 (ja) 2023-10-30
US20230232276A1 (en) 2023-07-20
CN115699910A (zh)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5969A (ko) 멀티 링크 트래픽 인디케이션 맵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US116720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link communications
US115642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link communications
WO2021175308A1 (zh) 一种应用于多链路通信中的节能方法和通信装置
WO2022028610A1 (zh) 适用于多链路的单播业务指示方法及相关装置
KR20220158032A (ko)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내의 다중-링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24001556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multi-link traffic indication map (tim)
US11805470B2 (en) Wireless device in a multi-link device (MLD) arranged to reduce duplication of multi-link operation (MLO) information and basic service set (BSS) information and methods
WO2022002192A1 (zh) 多链路设备的aid分配方法及相关装置
JP2023529658A (ja) マルチリンクデバイスプロービング方法および通信装置
WO2021180179A1 (zh) 一种数据缓存情况的确定方法及其装置
KR20230044399A (ko) 트리거 베이스의 업 링크 멀티 유저 송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US20220264531A1 (en) Feedback channel alloc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200602689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alloc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mesh communication system
CN116437383B (zh) 多链路通信的探测请求方法及装置
KR20230093509A (ko) Ppdu 업링크 대역폭 표시 방법 및 관련 장치
CN114451055A (zh) 一种多连接下的通信方法和通信设备
US20230354298A1 (en) Traffic indication in multi-link operation
WO2022262675A1 (zh) 基于多链路通信的探测请求方法及装置
US202400807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rget wake time in multi-link operation
WO2023093436A1 (zh) P2p链路的信息指示方法及相关装置
US20230030195A1 (en) Wireless transmission of a per-station profile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TW202410730A (zh) 多鏈路操作中的通訊量指示
CN116963289A (zh) 多链路通信方法及装置
CN116939845A (zh) 多链路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