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631A -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 - Google Patents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631A
KR20230005631A KR1020210086583A KR20210086583A KR20230005631A KR 20230005631 A KR20230005631 A KR 20230005631A KR 1020210086583 A KR1020210086583 A KR 1020210086583A KR 20210086583 A KR20210086583 A KR 20210086583A KR 20230005631 A KR20230005631 A KR 20230005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welding
carbon filament
plating layer
aluminum
based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목영
최두열
엄상호
한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086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5631A/ko
Priority to PCT/KR2022/009252 priority patent/WO2023277543A1/ko
Priority to EP22833599.8A priority patent/EP4364883A1/en
Priority to CN202280011714.5A priority patent/CN116847943A/zh
Priority to JP2023554854A priority patent/JP2024509893A/ja
Priority to US18/266,198 priority patent/US20240024979A1/en
Publication of KR2023000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006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40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7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Mn as next major constitu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부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탄소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CARBON FILAMENT WIRE FOR LASER WELDING OF STEEL SHEET HAVING ALUMINIUM-BASED COATING LAYER, LASER WELDING METHOD OF STEEL SHEET HAVING ALUMINIUM-BASED COATING LAYER USING THE SAME AND WELDED PRODUCT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배출가스 저감 혹은 연비 향상을 위해서, 차체에 사용되는 소재는 고강도화가 요구된다. 그러나, 소재의 강도가 증가되면 프레스 등 성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품 조립을 위한 용접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소재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C, Si, Cr, Mn 등의 원소가 용접경화능을 높이므로 용접부의 취성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열간 프레스 성형은 소재를 A3 변태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뒤, 프레스를 통해 성형과 동시에 냉각을 함으로써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프레스 금형에 의한 급속냉각으로 소재 중의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여 소재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기술은 자동차에서 우수한 충돌 성능이 요구되는 B-필라 등의 부품에 그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강도를 높이면서도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위치별로 두께 혹은 강종이 상이한 소재를 레이저로 용접하여 제조된 TWB 판넬을 사용하여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고온으로 가열된 판재를 프레스 성형하는 경우, 판재 표면에 산화 및 탈탄이 일어나거나 판재가 금형에 소착되는 문제 등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기존에 자동차용 소재로 주로 사용되는 아연도금강판의 경우, 아연의 증발 온도(약 906℃)가 낮기 때문에 사용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실리콘 도금강판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및 실리콘은 페라이트의 생성을 촉진하는 원소이므로, 열간성형부품의 용접부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초래한다. 즉,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실리콘 도금강판을 용접하는 경우, 도금층의 알루미늄 혹은 실리콘 성분이 용접부에 혼입되어 페라이트 생성을 촉진시키고, 결과적으로 열간성형부품의 용접부에 마르텐사이트 생성을 방해하여 강도가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용접부가 형성될 영역의 도금층을 브러시 혹은 레이저로 제거하고 나서 레이저 용접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기술로는, 특허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필러와이어를 사용하여 용접부의 오스테나이트 생성을 촉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오스테나이트 형성 촉진 원소의 첨가량에 제약이 따르고, 용접비드가 과도하게 형성됨에 따라 추가적인 가공 공정이 요구되어 부품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EP 2007545 US 2020/0353983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부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탄소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2매 이상의 알루미늄계 도금강판을 레이저 용접하는 용접방법으로서, 상기 레이저 용접시,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부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탄소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송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열간 프레스 성형을 통한 부품제조시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모재 대비 용접부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예 1과 비교예 1의 용접부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예 1과 비교예 1의 용접부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발명예 1과 비교예 1의 용접부를 Al 및 C의 농도를 EPMA(Electron Probe Micro Analysis)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예 1과 비교예 1의 용접부에 대한 경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예 1과 비교예 1의 인장시험 후 파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10)는 수지 매트릭스(1)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1) 내부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탄소 필라멘트(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 매트릭스는 직경이 매우 가는 탄소 필라멘트를 서로 결합하여 용접부에 송급이 가능하도록 강도와 강성을 부여하며, 레이저 빔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C의 일부는 용접부에 혼입되어 페라이트 생성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지 매트릭스의 종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플루오르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페놀수지, 푸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불포화에스테르수지, 알키드수지, 폴리우레탄,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설파이드, 실리콘, 니트릴 고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 필라멘트는 용접시 레이저 빔에 의해 분해되어 용접부에 혼입됨으로써 페라이트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용접 와이어는 도금강판의 모재 성분과 유사한 수준(1% 이하)의 C가 첨가되는데 비하여, 본 발명의 탄소 필라멘트는 이보다 높은 수준의 탄소의 함유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금층의 Al이 용접부에 혼입되더라도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소 필라멘트는 2개 이상일 경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송급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탄소 필라멘트는 직경이 매우 얇아 지나치게 유연하여 송급에 불리하므로, 여러 가닥의 탄소 필라멘트에 수지를 함침시키게 되면 강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직경은 0.1~5mm일 수 있다.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직경이 0.1mm 미만인 경우에는 용접시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송급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부에 혼입되는 탄소의 양이 과도할 뿐만 아니라, 용접시 레이저 빔에 의해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충분히 용융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탄소 필라멘트의 형상비(길이/직경)는 100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탄소 필라멘트의 형상비가 10000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연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용접시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원활하면서도 연속적인 송급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탄소 필라멘트의 형상비(길이/직경)는 크면 클수록 연속적인 작업에 유리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상한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탄소 필라멘트의 직경은 1~1000㎛일 수 있다. 상기 탄소 필라멘트의 직경이 1㎛ 미만인 경우에는 제조과정에서 끊어지기 쉬울 뿐만 아니라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내 탄소의 함량이 감소할 수 있으며, 1000㎛를 초과하는 경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용접시 레이저 빔에 의해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충분히 용융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단면을 기준으로,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내 탄소 필라멘트가 차지하는 분율은 50~90면적%일 수 있다. 수지 매트립스는 쉽게 연소되어 용접부의 탄소 혼입에 크게 기여를 하지 못하고 오히려 용접부 혹은 주위를 오염시킨다. 따라서, 상기 탄소 필라멘트의 면적비율이 50% 미만이면 용접부 혹은 주위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탄소 필라멘트의 면적비율이 90%를 초과하면 탄소 필라멘트 간에 결합력이 약해져서 송급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소 필라멘트 중 적어도 하나는 솔리드 와이어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솔리드 와이어는 도금강판의 모재와 유사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용접부 간극 혹은 스패터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언더필(채움부족)을 보완하거나 용접부의 여성(덧쌓임)을 증가시켜 용접부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리드 와이어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기 때문에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솔리드 와이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량%로, C: 0.001~1.0%, Mn: 0.01~25%, Si: 0.01~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리드 와이어는 직경이 0.01~0.05mm일 수 있다. 상기 솔리드 와이어의 직경이 0.01mm 미만인 경우에는 용접부 체적 증대, 강성 보강 등의 효과가 낮아질 수 있고, 0.05mm를 초과하면 용접부의 탄소함량 증가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예를 들면,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는 탄소 필라멘트가 액상 혹은 가소상태의 수지가 구비된 용기를 통과시키고, 원하는 직경의 노즐을 통과하도록 한 뒤, 자연적으로 냉각되도록 하거나 필요에 따라 경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소 필라멘트는 수지가 구비된 용기로의 용이한 송급을 위하여 연선된 형태(서로 꼬인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은 알루미늄계 도금강판을 레이저 용접하는 용접방법으로서, 상기 레이저 용접시,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부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탄소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송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이저 용접 방법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모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금강판 또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면,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용되는 모든 종류의 강판을 이용할 수 있다. 더하여, 용접되는 상기 도금강판은 서로 다른 두께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루미늄계 도금층은 Al계 도금층 또는 Al-Si계 도금층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용접시, 용접 입열량은 10~200J/mm일 수 있다. 상기 용접 입열량이 10J/mm 미만인 경우에는 피용접재 혹은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충분히 용융시키기 어려울 수 있고, 200J/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락에 의하여 피용접재와 탄소 필라멘트 용융 물질이 손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접 입열량(Q)은 Q=PL/V로 구할 수 있고, 여기서 PL은 레이저 출력(와트(W))이며, V는 용접속도(mm/s)를 의미한다.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송급속도는 2~200mm/s일 수 있다.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송급속도가 2mm/s 미만인 경우에는 용접부에서의 탄소 희석량이 작아 페라이트 상의 생성을 억제하기 어려울 수 있고, 200mm/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빔으로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충분히 용해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용접부에 첨가되는 탄소의 양이 과도하여 용접부가 취약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송급속도(s)는 s=t·v/d로 구할 수 있고, 여기서 t는 피용접재의 두께(mm), v는 용접속도, d는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직경(mm)을 의미한다. 한편, 피용접재 즉, 도금강판의 두께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평균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송급속도를 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 제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접부가 형성될 영역의 도금층을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용접 제품은 도금강판의 도금층 내 Al이 용접부에 혼입된다. 또한,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이용하여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부의 C 함량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용접 제품은 모재 대비 높은 함량의 Al과 C가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접부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용이하게 형성되고, 강도나 강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용접 제품은 용접된 강판이거나, 상기 용접된 강판을 핫 프레스 포밍하여 얻어지는 성형 부품일 수 있다. 상기 성형 부품은 2매 이상의 강판이 동일한 두께나 강도를 가질 수도 있으나, 두께 또는 강도가 상이한 TWB(Tailor Welded Blank)일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성형 부품은 자동차의 A-필라, B-필라, 범퍼 빔, 도어 빔, 크로스 멤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조건을 갖는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제작한 뒤, Al-Si계 도금층을 갖는 인장강도 1.5GPa급 강판을 맞댄 후,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송급하면서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레이저 용접하였다. 이 때, 수지 매트릭스로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용접 제품에 대하여 핫 프레스 포밍 후 용접부의 미세조직, 인장강도 및 경도를 측정한 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예 1은 용접 와이어의 송급없이 제살용접한 것이다.
미세조직은 용접부가 포함된 시편을 몰딩하여 연마 후 나이탈 2% 부식액으로 부식시킨 뒤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인장강도는 KS B 0801 13B호 규격으로 시편을 가공하여 KS B 0802에 따라 인장시험을 실시하고 최대하중을 측정하였다.
경도는 하중 500gf에서 KS B 0811에 따라 비커스 경도시험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탄소 필라멘트 개수
(개)
탄소 필라
멘트 와이어
직경
(mm)
탄소 필라
멘트 형상비
(길이/직경)
탄소 필라멘트 직경
(㎛)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내 탄소 필라멘트가 차지하는 분율
(면적%)
용접
입열량
(J/mm)
와이어
송급속도
(mm/s)
비교예1 - - - - - 30 -
발명예1 1500 0.3 10000 이상 7 81.7 30 100
구분 미세조직 인장강도(MPa) 경도(Hv)
비교예1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910 270
발명예1 마르텐사이트 1250 650
상기 표 1 및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발명예 1은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됨에 따라 인장강도와 경도가 높은 수준인 반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일부 페라이트가 형성됨에 따라 인장강도와 경도가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도 2는 발명예 1과 비교예 1의 용접부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고, 도 3은 발명예 1과 비교예 1의 용접부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 및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발명예 1의 경우에는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된 반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마르텐사이트 외에 페라이트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발명예 1과 비교예 1의 용접부를 Al 및 C의 농도를 EPMA(Electron Probe Micro Analysis)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발명예 1과 비교예 1은 Al 함량은 유사하나,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용접부와 모재의 C 함량이 유사한 수준인 반면, 발명예 1의 경우에는 모재 대비 용접부의 C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발명예 1과 비교예 1의 용접부에 대한 경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발명예 1의 경우에는 모재 대비 용접부의 경도가 높은 수준인 반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모재 대비 용접부의 경도가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도 6은 발명예 1과 비교예 1의 인장시험 후 파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발명예 1의 경우에는 미세한 입내 파단 형태를 보인 반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벽개파단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1: 수지 매트릭스
2: 탄소 필라멘트
10: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Claims (14)

  1.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부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탄소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직경은 0.1~5mm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필라멘트의 형상비(길이/직경)는 10000 이상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필라멘트의 직경은 1~1000㎛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단면을 기준으로,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내 탄소 필라멘트가 차지하는 분율은 50~90면적%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필라멘트 중 적어도 하나는 솔리드 와이어로 대체되는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 와이어는 중량%로, C: 0.001~1.0%, Mn: 0.01~25%, Si: 0.01~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 와이어는 직경이 0.01~0.05mm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9. 2매 이상의 알루미늄계 도금강판을 레이저 용접하는 용접방법으로서,
    상기 레이저 용접시,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부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탄소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를 송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계 도금층은 Al계 도금층 또는 Al-Si계 도금층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용접시, 용접 입열량은 10~200J/mm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의 송급속도는 2~200mm/s인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13. 청구항 9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용접 제품은 모재 대비 용접부의 Al 및 C 함량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제품.
KR1020210086583A 2021-07-01 2021-07-01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 KR20230005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83A KR20230005631A (ko) 2021-07-01 2021-07-01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
PCT/KR2022/009252 WO2023277543A1 (ko) 2021-07-01 2022-06-28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
EP22833599.8A EP4364883A1 (en) 2021-07-01 2022-06-28 Carbon filament wire for laser welding of steel sheet having aluminium-based coating layer, laser welding method of steel sheet having aluminium-based coating layer using same, and welded product produced by same
CN202280011714.5A CN116847943A (zh) 2021-07-01 2022-06-28 具有基于铝的涂层的钢板的激光焊接用的碳丝线材、使用其的具有基于铝的涂层的钢板的激光焊接方法和通过其生产的焊接产品
JP2023554854A JP2024509893A (ja) 2021-07-01 2022-06-28 アルミニウム系めっき層を有する鋼板のレーザ溶接用炭素フィラメントワイヤ、こ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系めっき層を有する鋼板のレーザ溶接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溶接製品
US18/266,198 US20240024979A1 (en) 2021-07-01 2022-06-28 Carbon filament wire for laser welding of steel sheet having aluminium-based coating layer, laser welding method of steel sheet having aluminium-based coating layer using same, and welded product produced by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83A KR20230005631A (ko) 2021-07-01 2021-07-01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631A true KR20230005631A (ko) 2023-01-10

Family

ID=8469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583A KR20230005631A (ko) 2021-07-01 2021-07-01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용 탄소 필라멘트 와이어,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갖는 강판의 레이저 용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 제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24979A1 (ko)
EP (1) EP4364883A1 (ko)
JP (1) JP2024509893A (ko)
KR (1) KR20230005631A (ko)
CN (1) CN116847943A (ko)
WO (1) WO202327754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07545A1 (fr) 2006-04-19 2008-12-31 ArcelorMittal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soudee a tres hautes caracteristiques mecaniques a partir d'une tole laminee et revetue
US20200353983A1 (en) 2017-11-24 2020-11-12 Arcelormittal Method for producing a welded steel blank and associated welded blan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3815A (ko) * 2007-10-30 2009-05-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튜브 와이어 제조방법
US9950394B2 (en) * 2012-03-12 2018-04-24 Hobart Brother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welding electrodes
US9199341B2 (en) * 2012-08-28 2015-12-01 Hobart Brother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welding electrodes
KR20180001354A (ko) * 2016-06-27 2018-0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핫스탬핑용 도금강판 접합방법
CN111230301B (zh) * 2019-03-29 2022-08-1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带铝或铝合金镀层的钢制薄壁焊接等强部件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07545A1 (fr) 2006-04-19 2008-12-31 ArcelorMittal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soudee a tres hautes caracteristiques mecaniques a partir d'une tole laminee et revetue
US20200353983A1 (en) 2017-11-24 2020-11-12 Arcelormittal Method for producing a welded steel blank and associated welded bl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9893A (ja) 2024-03-05
CN116847943A (zh) 2023-10-03
EP4364883A1 (en) 2024-05-08
WO2023277543A1 (ko) 2023-01-05
US20240024979A1 (en)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5400B (zh) 用于由具有铝基或铝硅基镀层的可淬火钢生产半成品板的激光焊接方法
KR102088470B1 (ko) 경화가능한 강의 하나 이상의 피용접재를 필러 와이어를 사용하는 맞대기 이음으로 레이저 용접하기 위한 방법
KR101860128B1 (ko) 경화가능한 강으로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피용접재를 맞대기 이음으로 레이저 용접하기 위한 방법
JP7286833B2 (ja) 炭素含有量が規定されたフィラーワイヤを準備して溶接鋼ブランクを製造する方法、関連する溶接ブランク、熱間プレス成形及び冷却された鋼部品並びに関連する部品を用いて溶接部品を製造する方法
KR101636639B1 (ko) 핫 스탬프용 테일러드 블랭크 및 핫 스탬프 부재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2184912B1 (ko) 레이저 용접 이음매의 제조 방법, 레이저 용접 이음매 및 자동차용 골격 부품
CN113747994B (zh) 一种用于涂层钢板激光拼焊的焊料及激光拼焊方法
CN112437710A (zh) 钢板、拼焊坯料、热压成型品、钢管、中空状淬火成型品、它们的制造方法
KR20150068696A (ko) 필러 와이어, 이를 사용하는 열간성형강의 용접방법 및 강판 제조방법
JP6635235B1 (ja) 重ねレーザ溶接継手、重ねレーザ溶接継手の製造方法および自動車用骨格部品
DE102018104829A1 (de) Verfahren zur Schweißvorbehandlung beschichteter Stahlbleche
US2022025828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ated tailored welded blank by means of laser-beam welding or hybrid laser/gas-metal-arc welding and filler wire and use thereof for this purpose
KR102516333B1 (ko) 용접된 강 블랭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연관된 용접된 강 블랭크
US20240024979A1 (en) Carbon filament wire for laser welding of steel sheet having aluminium-based coating layer, laser welding method of steel sheet having aluminium-based coating layer using same, and welded product produced by same
WO2020152789A1 (ja) 鋼板、突合せ溶接部材、熱間プレス成形品、鋼管、中空状焼入れ成形品、および鋼板の製造方法
KR101888915B1 (ko) 차량용 크로스 멤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크로스 멤버
KR101638348B1 (ko) 핫 스탬핑용 도금강판의 접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KR20170099996A (ko) 강판의 접합체, 강판의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스포트 용접방법
CN116902079A (zh) 热成型门环、热成型门环加工方法及车辆
KR20170131765A (ko) 차량용 크로스 멤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크로스 멤버
KR102440343B1 (ko) 알루미늄계 도금 블랭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3147B1 (ko) 알루미늄계 도금 블랭크
CN114901422B (zh) 铝基镀覆坯料及其制造方法
JP6601598B1 (ja) 鋼板、テーラードブランク、熱間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鋼管、及び中空状焼入れ成形品の製造方法
KR20230004017A (ko) 알루미늄계 도금 블랭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