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566A -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566A
KR20230005566A KR1020210086438A KR20210086438A KR20230005566A KR 20230005566 A KR20230005566 A KR 20230005566A KR 1020210086438 A KR1020210086438 A KR 1020210086438A KR 20210086438 A KR20210086438 A KR 20210086438A KR 20230005566 A KR20230005566 A KR 20230005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sensor
amount
uni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608B1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퐁
Priority to KR102021008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608B1/ko
Priority to US17/831,149 priority patent/US20230003519A1/en
Publication of KR2023000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61F9/00745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9/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using radiation-sensitive means, e.g.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61B2017/00128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related to intensity or progress of surgic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37Details of operation mode
    • A61B2017/00141Details of operation mode continuous, e.g. wa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2017/320072Working tips with special features, e.g. extending parts
    • A61B2017/320073Working tips with special features, e.g. extending parts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 A61B8/4245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involving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robe, e.g. with respect to an external reference frame or to the patient
    • A61B8/4254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involving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robe, e.g. with respect to an external reference frame or to the patient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5Beam steering by modifying an excitation sig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는, 센서를 구비하고, 프로브가 상기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센서 장착부, 중앙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핸드피스를 고정하는 핸드피스 고정부 및 상기 프로브에 음향 임피던스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인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A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ROBE DISPLACEMENT USING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본원은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수술기에는 프로브(probe) 끝 부분이 진동에 의해서 움직이는 진동 폭(변위)을 측정하여야 한다.
초음파 주파수가 30kHz 내지 40kHz이고, 변위도 20um 내지150um 정도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영상으로 확인하기 매우 어렵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포토 인터럽터 센서 (photo interrupt sensor)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Sensor의 스펙이 1000um 정도의 거리 변화에서 빛의 양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구간이 있고, 반응 속도가 10usec 이하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사용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3665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안 및 영상으로 확인 불가한 프로브의 진동 폭(변위)을 측정할 수 있는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는, 센서를 구비하고, 프로브가 상기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센서 장착부, 중앙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핸드피스를 고정하는 핸드피스 고정부 및 상기 프로브에 음향 임피던스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인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는, 제거 회로 및 증폭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변환 후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를 이용하여 전압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는, 측정된 전압을 거리로 환산하여 상기 프로브의 변위량을 계산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수분을 흡수한 스펀지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브에 음향 임피던스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미리 설정된 거리 변화에서 빛의 양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구간이 존재하며, 반응 속도가 기준 시간 이하의 속성인 포토 인터럽터 센서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육안 및 영상으로 확인 불가한 프로브의 진동 폭(변위)을 측정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인터럽터 센서(photo interrupt sensor)의 감지 위치 특성 정보와 응답 시간 및 부하 저항 특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초음파 수술기는, 환자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어 초음파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수술기(초음파 장치)는 초음파를 인체 내에 조사하여 인체 내의 장기 및 조직의 구조 영상, 혈류 정보 및 영상, 조직의 특성 및 기능 분석 등의 기능을 이용한 진단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1)를 본 장치(1)라 하기로 한다.
본 장치(1)는 초음파 수술기에서 프로브(Probe) 끝 부분이 진동에 의해서 움직이는 진동 폭(변위)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장치(1)는 진동에 의해 움직이는 진동 폭(변위)을 육안 및 영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포토 인터럽터 센서를 이용하여 프로브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핸드피스는 초음파 진동자, 트랜스듀서, EEPROM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드피스(Handpiece)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와 사용시간 및 핸드피스(Handpiece)의 Serial Number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EEPROM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드피스는 트랜스듀서를 포함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핸드피스는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소정의 범위로 가변된 신호를 입력받아 공진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공진주파수에 의하여 초음파 진동자에서 초음파가 발생되며, 초음파 진동자가 변화하는 현재 주파수와 최대 전압의 주파수인 공진주파수를 일치시켜 초음파 출력을 유지도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 치료기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장치(1)는 센서 장착부(10), 핸드피스 고정부(20) 및 임피던스 매칭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장착부(10)는 센서를 구비하고, 프로브가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일예로, 센서 장착부(10)는 프로브가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 장착부(10)는 프로브가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 센서 장착부(10)에 포함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센서 장착부(10)에 포함된 모터는 프로브를 마이크로미터(um) 단위로 x, y, z 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센서는 포토 인터럽터 센서(photo interrupt sensor)일 수 있다. 포토인터럽터 센서는 포토커플러의 하나로 광로를 차단함으로써 물체의 검출, 위치의 검출 및 계수(count)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센서 장착부(10)에 구비된 센서는 미리 설정된(예를 들어, 1000um) 거리 변화에서 빛의 양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구간이 존재하며, 반응 속도가 기준 시간(10usec) 이하의 속성인 포토 인터럽터 센서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센서 장착부(10)에 구비된 포토 인터럽터 센서는 스펙이 1000um 정도의 거리 변화에서 빛의 양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구간이 있고, 반응 속도가 10usec 이하의 속성을 갖고 있는 것을 사용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피스 고정부(20)는 핸드피스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핸드피스 고정부(20)는 중앙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핸드피스를 고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핸드피스 고정부(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단부 및 하단부의 일단은 힌지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핸드피스 고정부(20)가 상단부 및 하단부로 구분되어, 중앙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핸드피스를 수용함으로써, 보다 안정감 있게 핸드피스를 고정할 수 있으나,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피던스 매칭부(30)는 프로브(Probe)에 음향 임피던스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부(30)는 수분을 흡수한 스펀지를 이용하여 프로브에 음향 임피던스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피던스 매칭부(30)는 프로브(Probe)에 적당한 음향 임피던스가 생기도록 물을 적신 스폰지 같은 것일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는 트랜스듀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랜스듀서는 압전 물질이 진동하면서 전기신호와 음향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압전층과, 압전층에서 발생된 초음파가 피검사체에 최대한 전달될 수 있도록 압전층과 피검사체 사이의 음향 임피던스 차이를 감소시키는 정합층과, 압전층의 전방으로 진행하는 초음파를 특정 지점에 집속시키는 렌즈층과, 초음파가 압전층의 후방으로 진행되는 것을 차단시켜 영상 왜곡을 방지하는 흡음층을 포함할수 있다.
초음파 트랜스듀서로는 자성체의 자왜효과를 이용하는 자왜 초음파 트랜스듀서(Magnetostrictive Ultrasound Transducer)가 사용될 수도 있고, 미세 가공된 수백 또는 수천 개의 박막의 진동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정전용량형 미세가공 초음파 트랜스듀서 (Capacitive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압전 물질의 압전 효과를 이용한 압전 초음파 트랜스듀서(Piezoelectric Ultrasonic Transducer)가 사용될 수도 있다.
소정의 물질에 기계적인 압력이 가해지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이 인가되면 기계적인 변형이 일어나는 효과를 압전 효과 및 역압전 효과라 하고, 이런 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압전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압전 물질은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인 진동 에너지로, 기계적인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물질일 수 있다.
한편, 음향 임피던스는 압전재료에서 인체의 음향에너지가 효율적으로 공급되기 위해 정합 조건을 결정하 는 변수 중 하나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미도시)는 제거 회로 및 증폭 회로를 이용하여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측정부(미도시)는 DC off 제거 회로와 증폭 회로에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적용하여 측정 가능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미도시)는 변환된 출력 신호를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에 적용하여 전압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미도시)는 측정된 전압을 거리로 환산하여 프로브 변위량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주파수는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 주파수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10: 센서 장착부
20: 핸드피스 고정부
30: 임피던스 매칭부

Claims (5)

  1. 센서를 구비하고, 프로브가 상기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센서 장착부;
    중앙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핸드피스를 고정하는 핸드피스 고정부; 및
    상기 프로브에 음향 임피던스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인 임피던스 매칭부,
    를 포함하는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거 회로 및 증폭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변환 후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를 이용하여 전압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측정된 전압을 거리로 환산하여 상기 프로브의 변위량을 계산하는 것인,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수분을 흡수한 스펀지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브에 음향 임피던스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미리 설정된 거리 변화에서 빛의 양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구간이 존재하며, 반응 속도가 기준 시간 이하의 속성인 포토 인터럽터 센서인 것인,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KR1020210086438A 2021-07-01 2021-07-01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KR102634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438A KR102634608B1 (ko) 2021-07-01 2021-07-01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US17/831,149 US20230003519A1 (en) 2021-07-01 2022-06-02 Device for measuring amount of probe displacement using change in amount of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438A KR102634608B1 (ko) 2021-07-01 2021-07-01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566A true KR20230005566A (ko) 2023-01-10
KR102634608B1 KR102634608B1 (ko) 2024-02-07

Family

ID=8478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438A KR102634608B1 (ko) 2021-07-01 2021-07-01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03519A1 (ko)
KR (1) KR10263460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47U (ja) * 1996-12-19 1997-06-1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光源装置
EP1630527A1 (en) * 2004-08-24 2006-03-01 Istituto Superiore Mario Boella sulle Tecnologie dell'Informazione e delle Telecomunicazioni Optical displacement transducer,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KR20070015267A (ko) * 2005-07-30 2007-02-0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변위 측정 장치
US20080291456A1 (en) * 2007-05-24 2008-11-27 Ghislain Lucien P Sensor apparatus and method using optical interferometry
JP2009253493A (ja) * 2008-04-03 2009-10-29 Canon Inc 超音波センサ及び超音波センサアレイ、これらを備えた超音波検出装置
JP5083776B2 (ja) * 2006-09-29 2012-11-28 学校法人早稲田大学 医療用手技評価システム
KR20130066821A (ko) * 2011-12-13 2013-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음파 진단장치용 프로브
KR20170064226A (ko) * 2015-12-01 2017-06-0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 장치, 홀더 어셈블리,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20299A (ko) * 2018-08-17 2020-02-2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진동변위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47U (ja) * 1996-12-19 1997-06-1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光源装置
EP1630527A1 (en) * 2004-08-24 2006-03-01 Istituto Superiore Mario Boella sulle Tecnologie dell'Informazione e delle Telecomunicazioni Optical displacement transducer,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KR20070015267A (ko) * 2005-07-30 2007-02-0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변위 측정 장치
JP5083776B2 (ja) * 2006-09-29 2012-11-28 学校法人早稲田大学 医療用手技評価システム
US20080291456A1 (en) * 2007-05-24 2008-11-27 Ghislain Lucien P Sensor apparatus and method using optical interferometry
JP2009253493A (ja) * 2008-04-03 2009-10-29 Canon Inc 超音波センサ及び超音波センサアレイ、これらを備えた超音波検出装置
KR20130066821A (ko) * 2011-12-13 2013-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음파 진단장치용 프로브
KR20170064226A (ko) * 2015-12-01 2017-06-0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 장치, 홀더 어셈블리,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20299A (ko) * 2018-08-17 2020-02-2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진동변위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03519A1 (en) 2023-01-05
KR102634608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ard et al. Characterization of a polymer film optical fiber hydrophone for use in the range 1 to 20 MHz: A comparison with PVDF needle and membrane hydrophones
US5251627A (en) Non-invasive measurement of eyeball pressure using vibration
US5921928A (en) Acoustic force generation by amplitude modulating a sonic beam
JP5505684B2 (ja) 眼圧測定装置
US1143930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ye pressure measurements
US5904654A (en) Exciter-detector unit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JP4713339B2 (ja) 高周波数高フレームレート超音波撮像システム
WO2017181553A1 (zh) 超声探头以及具有该超声探头的超声检测设备
JPH08506979A (ja) 超音波による介在的医療装置の位置決定
JPH0221840A (ja) 柔軟な生体組織の内部に侵入しない弾性音響波を測定する装置及び方法
JP2020512104A (ja) 粘弾性媒体の粘弾性特性を測定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5269292A (en) Pressure pulse source having a positive lens with a pressure sensor
KR20230005566A (ko) 광량 변화를 이용한 프로브 변위량 측정 장치
US3613666A (en) System for detecting glaucoma
WO2000035348A1 (en) Sound pickup sensor
RU229085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внутриглазного давления
JP2006346105A (ja) 超音波プローブ及び超音波診断装置
JP7210010B2 (ja) 水晶体硬度測定装置
JP3966925B2 (ja) 触覚センサ
Wu et al. Fiber optic ultrasonic sensor using Raman-Nath light diffraction
RU259344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вибрации наконечника ультразвукового волновода
JP2004267299A (ja) 眼圧検査装置
KR101572118B1 (ko) 접촉 조건에서 사용되는 플립칩 본딩 소자
Ramdas et al. OCT-based method for the combined measurement of structural vibration and fluid pressure
JPH10104146A (ja) 硬さ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