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484A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484A
KR20230005484A KR1020210086245A KR20210086245A KR20230005484A KR 20230005484 A KR20230005484 A KR 20230005484A KR 1020210086245 A KR1020210086245 A KR 1020210086245A KR 20210086245 A KR20210086245 A KR 20210086245A KR 20230005484 A KR20230005484 A KR 20230005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d
display device
actu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5484A/ko
Publication of KR2023000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60K2370/1529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수용 공간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부터 전달된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출사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와 열 교환하도록 배치된 열전달부; 상기 열전달부의 적어도 일부와 열 교환하도록 배치되며, 온도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되도록 배치된 커버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ead-Up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Head-Up Display) 장치는 현재 속도, 내비게이션(navigation), 연료량 및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차량의 윈드실드(windshield)에 비추어 운전자가 볼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쉽게 볼 수 있어, 운전 중에도 시점의 분산이 적은 상태에서 전방을 주시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housing), 빛을 발산하는 광원(light source), 이미지(image)를 출사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반사 부재(reflection member), 커버(cov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특성 상 차량의 윈드실드 아래에 설치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부품들은 차량 주행 시 윈드실드를 통과하여 입사하는 태양광 및 광원의 발열 등에 의해 열을 흡수한다. 각 부품이 지속적으로 고온에 노출될 경우 부품들은 열화되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를 활용한 비구면 미러의 회전 구조 등이 적용되고 있다. 다만, 주행 중 비구면 미러 등이 회전함에 따라 자기 보정 장치(Fail Safe Function)나 운전자의 관점에서는 장치의 고장으로 인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차량 운행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치의 구조 변경을 이용하여 각 부품의 열화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차량의 윈드실드를 통과한 태양광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및 윈드실드에 반사되어 운전자의 눈으로 입사함에 따라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온도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운행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치의 구조 변경을 이용하여 각 부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온도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액추에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시 운전자의 눈으로 태양광이 입사함에 따라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수용 공간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부터 전달된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출사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와 열 교환하도록 배치된 열전달부; 상기 열전달부의 적어도 일부와 열 교환하도록 배치되며, 온도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되도록 배치된 커버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온도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액추에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운행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치의 구조 변경을 이용하여 각 부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온도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액추에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시 운전자의 눈으로 태양광이 입사함에 따라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이 완성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GU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부의 구조 및 액추에이터와 열전달부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냉각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실드를 통과하여 입사한 태양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히트 파이프(heat pipe)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히트 파이프는 내부의 작동 유체(working fluid)를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히트 파이프는 외부에서 히트 파이프로 열이 전달되는 기화부(evaporator) 및 히트 파이프에서 외부로 열이 전달되는 응축부(condenser)를 포함한다.
히트 파이프의 기화부에서는 외부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작동 유체가 가열된다. 가열된 작동 유체는 팽창하여 응축부로 이동한다. 응축부로 이동한 작동 유체는 히트 파이프의 외부로 열을 방출하며 응축되고, 히트 파이프의 표면을 따라 기화부로 이동한다. 히트 파이프는 작동 유체의 팽창 및 응축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 없이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이 완성된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GU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부의 구조 및 액추에이터와 열전달부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냉각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ead-Up Display Device, 1)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있는 하우징(housing, 10), 이미지(image)를 구현하는 PGU(Picture Generation Unit, 20), PGU(20)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heat transfer unit, 30), 열전달부(30)에 의해 전달된 열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 40), 액추에이터(40)에 의해 이동하는 커버(cover, 50), PGU(20)에 의해 구현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스크린(screen, 60), 모터(motor, 70), PCB(Printed Circuit Board, 80) 및 이미지를 반사하는 반사 부재(reflection member, 90)를 포함할 수 있다.
PGU(20)는 빛을 발산하는 광원(light source, 21), 이미지를 출사하는 표시부(22), 빛을 확산하는 제1 디퓨저(23) 및 제2 디퓨저(24)를 포함한다.
열전달부(30)는 표시부(22)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32) 및 액추에이터(40)로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31)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40)는 열전달부(30)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실린더 바디(cylinder body, 41), 실린더 내측에 배치된 피스톤(piston, 42) 및 실린더 바디(41)와 피스톤(42) 사이에 설치된 탄성 부재(elastic member, 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부재이다. 하우징(10) 내부에는 PGU(20), 열전달부(30), 액추에이터(40), 스크린(60), PCB(80) 및 반사 부재(90) 등이 설치된다.
광원(21)은 표시부(22)가 차량 주행 정보에 관련된 이미지를 출사하도록 빛을 발산하는 부재이다. 광원(21)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광원(21)은 PGU(20)의 하단부에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광원(21)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21)의 아래에는 광원(21)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별도의 핀(fin)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22)는 광원(21)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이용하여 차량 주행 정보에 관련된 이미지(image)를 출사하는 부재이다. 표시부(2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22)는 이미지를 출사하기 위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광원(21)과 표시부(22)의 사이에는 광원(21)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수렴시키기 위한 제1 디퓨저(diffuser, 23) 및 제2 디퓨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퓨저(23)는 표시부(22)의 일면에 표시부(22)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 디퓨저(24)는 광원(21)과 제1 디퓨저(23)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광원(21)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제1 디퓨저(23) 및 제2 디퓨저(24)를 이용하여 표시부(22)에 전달된다.
열전달부(30)는 표시부(22)의 적어도 일부와 열 교환(heat exchange)하도록 설치된다. 열전달부(30)는 표시부(22)에서 열전달부(30)로 열이 전달되어 가열되는 흡열부(32) 및 열전달부(30)로부터 액추에이터(40)로 열이 전달되어 냉각되는 방열부(31)를 포함한다.
흡열부(32)는 표시부(22)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기 위해 표시부(22)의 적어도 일부와 열 교환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흡열부(32)는 표시부(22)의 형상에 따라 표시부(22)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방열부(31)는 표시부(22)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액추에이터(40)로 전달하기 위해 액추에이터(40)의 적어도 일부와 열 교환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방열부(31)는 액추에이터(40)와 나란한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방열부(31)는 액추에이터(40)와 활발하게 열 교환을 하도록 육면체(hexahedron)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31)는 액추에이터(40)를 바라보는 방향의 면적이 그 측면의 면적보다 더 넓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전달부(30)는 히트 파이프(heat pipe)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제1 작동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부(30)가 히트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흡열부(32) 및 방열부(31)가 각각 기화부 및 응축부 역할을 한다.
표시부(22)에서 발생한 열이 흡열부(32)로 전달되며, 흡열부(32)로 전달된 열을 이용하여 열전달부(30) 내부의 제1 작동 유체가 팽창한다. 팽창한 제1 작동 유체는 방열부(31)로 이동한다. 방열부(31)로 이동한 제1 작동 유체가 방열부(31)에서 열을 방출한다. 방출된 열은 액추에이터(40)로 전달된다. 방열부(31)에서 열을 방출한 제1 작동 유체는 응축되어 열전달부(30) 표면을 따라 다시 흡열부(32)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표시부(22)에서 발생한 열이 흡열부(32) 및 방열부(31)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40)로 전달된다.
열전달부(30)가 히트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히트 파이프 내부의 제1 작동 유체는 에탄올(ethanol) 또는 물(water)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부(22)의 온도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 구조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가진 유체일 수 있다.
열전달부(30)는 표시부(22) 및 액추에이터(40)와 활발하게 열교환 하도록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이 높은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40)는 열전달부(30)의 적어도 일부와 열 교환하도록 설치되며, 열전달부(30)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길이가 변하도록 형성된다. 액추에이터(40)는 열전달부(30)와 열을 교환하기 위해 열전달부(30)의 일단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열전달부(30)의 방열부(31)와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40)의 일단은 열전달부(3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다른 일단은 커버(50)를 이동시키도록 커버(50)와 결합한다. 액추에이터(40)는 표시부(22)에서 발생한 열을 열전달부(30)를 이용하여 전달받는다. 액추에이터(40)는 전달된 열에 의해 온도 및 길이가 변하며, 길이 변화를 이용하여 커버(50)를 이동시킨다. 커버(50)를 이동시킴으로써,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표시부(22)를 냉각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40)는 실린더 바디(41)와 피스톤(42)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42)은 실린더 바디(41)의 내측에 설치된다. 실린더 바디(41)의 내부에는 제2 작동 유체가 포함될 수 있다. 열전달부(30)에서 실린더 바디(41)로 전달된 열에 의해 실린더 바디(41) 내부의 제2 작동 유체가 가열 및 팽창한다. 제2 작동 유체가 팽창됨으로써, 피스톤(42)이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온도 상승에 따라 실린더 바디(41) 및 피스톤(42)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40) 전체의 길이가 길어진다.
실린더 바디(41)는 열전달부(30), 특히 방열부(31)와 적어도 일부가 열 교환하도록 설치된다. 실린더 바디(41)가 열전달부(30)와 활발하게 열 교환하도록 실린더 바디(41)의 일단은 방열부(3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31)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 경우, 방열부(31)와 접촉하는 실린더 바디(41)의 일단에 'ㄷ'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넓은 면적을 이용하여 열이 교환된다.
실린더 바디(41)의 내측에는 탄성 부재(43)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43)는 피스톤(42)과 실린더 바디(41)의 상부 벽면 사이에 설치된다. 탄성 부재(43)를 설치함으로써, 실린더 바디(41)의 온도가 상승할수록 피스톤(42) 및 커버(50)의 이동 거리도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특히, 탄성 부재(43)가 선형 스프링(linear spring)인 경우 온도 상승에 따라 선형적으로 피스톤(42) 및 커버(50)의 이동 거리가 증가한다.
액추에이터(40)의 일단은 구(spher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40)는 구 형상의 일단을 이용하여 커버(50)와 결합한다.
실린더 바디(41) 내부의 제2 작동 유체로는 열팽창 계수(thermal expansion coefficient)가 큰 오일(oil) 계열의 유체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른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40)는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을 이용하여 표시부(22)의 온도 상승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의 자연 냉각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온도에 따라 그 형상을 기억하는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상, 표시부(22)의 온도에 따른 커버(50)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외부 공기 유입량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40)의 표면에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별도의 핀이 형성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40) 내부의 열이 핀을 이용하여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표시부(22)에서 발생한 열이 더욱 원활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커버(50)는 액추에이터(40)의 일단과 결합하여 액추에이터(40)의 길이 변화에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커버(50)는 하우징(10)의 상단에서 하우징(10) 내부의 부품들을 덮는 구조로 설치된다. 커버(50)는 반사 부재(90)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가 윈드실드(100)에 나타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투명한 부분을 포함한다.
커버(50)의 일단은 하우징(10)과 힌지(hinge)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커버(50)의 다른 일단은 액추에이터(40)의 일단에 형성된 구 형상의 부재를 감싸고 고정하는 리테이너(retainer, 51)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40)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50)가 하우징(10) 및 액추에이터(40)와 힌지 및 리테이너(51)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액추에이터(40)의 길이 변화에 따라 커버(5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힌지 및 리테이너(51)를 이용한 결합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스크린(60)은 표시부(22)에서 구현된 이미지가 전달되도록 표시부(22)의 상부에 설치된다. 스크린(60)은 표시부(22)에서 구현된 이미지를 반사 부재(9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반사 부재(90)는 스크린(60)으로부터 전달된 이미지를 반사하여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윈드실드(100)에 나타내는 부재이다. 반사 부재(90)는 거울(mirror)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부재(9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조 및 각 부품의 배치에 따라 그 표면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정보에 관련된 이미지가 윈드실드(100)에 표시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복수 개의 광원(21)으로부터 빛이 발산되고, 발산된 빛은 제1 디퓨저(23) 및 제2 디퓨저(24)를 이용하여 표시부(22)에 전달된다. 표시부(22)는 전달된 빛을 이용하여 차량 주행에 관련된 정보, 예컨대 현재 속도, 연료량, 내비게이션 정보를 나타낸 이미지를 구현한다. 표시부(22)에서 구현된 이미지는 스크린(60)에 의해 반사 부재(90)로 전달되고, 반사 부재(90)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 부재(90)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는 커버(50)의 투명 부분을 관통하여 윈드실드(100)에 표시된다. 윈드실드(100)에 표시된 차량 주행 정보에 관련된 이미지를 운전자가 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의 냉각 원리를 설명한다. 태양광 유입 및 광원의 발열 등에 의해 표시부(22)가 가열되면 표시부(22)에서 발생한 열이 열전달부(30)로 전달된다. 열전달부(30)의 흡열부(32)는 표시부(22)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흡수한 열에 의해 열전달부(30) 내부의 제1 작동 유체가 가열된다. 가열된 제1 작동 유체는 팽창하며 방열부(31)로 이동한다. 가열된 제1 작동 유체가 방열부(31)로 이동하여 방열부(31)와 열 교환하도록 배치된 실린더 바디(41)에 열을 전달한다. 제1 작동 유체는 방열부(31)에서 열을 전달하고 응축되어 열전달부(30)의 표면을 따라 흡열부(32)로 이동한다.
실린더 바디(41)로 전달된 열에 의해 실린더 바디(41) 내부의 제2 작동 유체가 팽창하게 된다. 제2 작동 유체의 팽창에 따라 실린더 바디(41)의 내측에 설치된 피스톤(42)이 가압되어 이동한다.
커버(50)는 일단이 액추에이터(40)의 피스톤(42)과 결합하며, 다른 일단이 하우징(10)과 힌지를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설치된다. 피스톤(42)이 이동함에 따라 피스톤(42)과 결합된 커버(50)의 일단이 함께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커버(50)가 열리게 되고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표시부(22)가 자연 냉각될 수 있다. 차량 운행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성인 커버(50)의 자동적 구조 변경을 이용하여 표시부(22)를 냉각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실드(100)를 통과하여 입사한 태양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적인 효과를 설명한다. 태양광은 차량의 윈드실드(100)를 통과하여 입사하고,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의 커버(50)에 반사된다. 반사된 태양광은 다시 차량의 윈드실드(100)에 반사되어 운전자의 눈을 향해 입사한다.
차량의 주행 시 태양광에 의해 표시부(22)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커버(50)가 이동함에 따라 윈드실드(100)를 통과하여 입사하는 태양광의 경로가 달라진다. 태양광의 경로가 달라짐으로써, 태양광에 의한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0: 하우징
20: PGU 21: 광원
22: 표시부 23: 제1 디퓨저
24: 제2 디퓨저 30: 열전달부
31: 방열부 32: 흡열부
40: 액추에이터 41: 실린더 바디
42: 피스톤 43: 탄성 부재
50: 커버 51: 리테이너
60: 스크린 70: 모터
80: PCB 90: 반사 부재
100: 윈드실드

Claims (12)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부터 전달된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출사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와 열 교환하도록 배치된 열전달부;
    상기 열전달부의 적어도 일부와 열 교환하도록 배치되며, 온도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되도록 배치된 커버
    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는 히트 파이프(heat pipe)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열전달부의 적어도 일부와 열 교환하도록 배치된 실린더 바디; 및
    상기 실린더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는 피스톤
    을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바디의 내부에는 제2 작동 유체가 포함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2 작동 유체의 팽창에 의해 이동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바디의 내부에는 탄성 부재가 배치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피스톤에 의해 이동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커버는 리테이너(retainer)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에는 열 교환을 위한 핀(fin)이 형성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는 복수 개의 디퓨저(diffuser)가 배치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출사한 이미지를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086245A 2021-07-01 2021-07-01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05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45A KR20230005484A (ko) 2021-07-01 2021-07-01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45A KR20230005484A (ko) 2021-07-01 2021-07-01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484A true KR20230005484A (ko) 2023-01-10

Family

ID=8489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245A KR20230005484A (ko) 2021-07-01 2021-07-01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54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57798B2 (ja) Lcdモニタ用光源冷却器
JP4301175B2 (ja) 液晶表示装置
US10241365B2 (en) Backlighting device, particularly for head-up display, and head-up display for motor vehicle
JP3931127B2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5160992B2 (ja) 車両用灯具
US10353279B2 (en) Device for improving heat management during the generation of an image
JP2011165624A (ja) 車両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車両用表示装置
CN101063798B (zh) 投射型视频显示装置
KR20230005484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US10641456B2 (en) Lighting module for motor vehicle projector
US20200196481A1 (en) Transparent display panel cooling
US8801230B2 (en) Luminaire for illuminating a target area by means of retroreflection of light from a light-emitting diode module on a reflector
US11971545B2 (en) Vehicular display device
JP4301176B2 (ja) 液晶表示装置
CN115963635A (zh) 平视显示装置
US11860463B2 (en) Head-up display
KR101079105B1 (ko) 영상투사장치
CN215297925U (zh) 一种冷却组件、光学系统及led投影机
KR20220046785A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227074A (ja) 液晶表示装置
JP2005181640A (ja) 表示装置
CN111624837B (zh) 投影机
JP5105062B2 (ja) 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
CN113359378A (zh) 一种冷却组件、光学系统及led投影机
KR20230035877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