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785A -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785A
KR20220046785A KR1020200129852A KR20200129852A KR20220046785A KR 20220046785 A KR20220046785 A KR 20220046785A KR 1020200129852 A KR1020200129852 A KR 1020200129852A KR 20200129852 A KR20200129852 A KR 20200129852A KR 20220046785 A KR20220046785 A KR 20220046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guide housing
temperature
blowing fan
out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6785A/ko
Publication of KR2022004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336Heat pipes, e.g. wicks or capillary pu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B60K2370/152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광신호(optical signal)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키고, 내부둘레면(inner circumferential surface)을 따라 내부공기(internal air)가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순환로(air circulation path)를 구비한 가이드 하우징(guide housing);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상기 공기순환로를 따라 상기 내부공기를 강제 대류(forced convection)시키기 위한 송풍팬(blowing fan); 및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공기가 외기(ambient air)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열교환부(heat exchange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Head-UP Display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개시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자동차 시장은 첨단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장착된 지능형 자동차를 선호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주행의 안정성과 운전자의 편의성을 지원하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Head-Up Display)가 주목받고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속도, 연료 잔량, 길 안내 정보 등이 담긴 영상을 차량 앞창인 윈드실드(windshield)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PGU(Picture Generating Unit)로부터 투사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정보를 비구면미러(aspherical mirror)를 통해 반사시켜 윈드실드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는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흡수 및 반사함으로써 영상 신호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액정 표시장치가 흡수하는 빛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액정 표시장치의 온도를 증가시키게 되고, 특히 고휘도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액정 표시장치의 온도는 더욱 증가되게 된다.
또한, 차량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광학계를 통과하면서 액정 표시장치의 온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술이 접목됨에 따라, 넓은 화각을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되는데, 이는 태양광의 입사량을 증가시켜 액정 표시장치의 온도를 더욱 증가시킨다.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액정 표시장치의 온도가 보증 구동온도, 즉 액정패널의 성능이 심하게 저하되는 경계온도(marginal temperature)를 넘어서는 경우, 이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액정 표시장치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개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각수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시킴으로써,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광신호(optical signal)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키고, 내부둘레면(inner circumferential surface)을 따라 내부공기(internal air)가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순환로(air circulation path)를 구비한 가이드 하우징(guide housing);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상기 공기순환로를 따라 상기 내부공기를 강제 대류(forced convection)시키기 위한 송풍팬(blowing fan); 및 상기 내부공기의 열을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열교환부 (heat exchange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광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키고, 제1 외기(first ambient air)가 내부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외기유동로(first ambient air flow path)를 구비한 제1 가이드 하우징(first guide housing);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 상기 제1 외기유동로를 따라 상기 제1 외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제1 송풍팬(first blowing fan);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고, 제2 외기(second ambient air)가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둘레면(outer circumferential surface)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외기유동로(second ambient air flow path)를 구비한 제2 가이드 하우징(second guide housing); 및 상기 제2 외기유동로를 따라 상기 제2 외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제2 송풍팬(second blowing fa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광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공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송풍팬이 작동하는 과정;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둘레면을 따라 상기 내부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순환로를 따라 상기 내부공기가 순환하는 과정; 상기 내부공기의 열을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하는 과정;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송풍팬이 작동을 멈추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광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키는 제1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제1 외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제1 송풍팬 및 제1 가이드 하우징 외부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제2 외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제2 송풍팬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는 과정; 상기 제1 송풍팬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제1 외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외기유동로를 따라 상기 제1 외기가 유동하는 과정; 상기 제2 송풍팬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제2 외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외기유동로를 따라 상기 제2 외기가 유동하는 과정;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송풍팬 및 상기 제2 송풍팬 중 작동하고 있는 송풍팬이 작동을 멈추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냉각수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시킴으로써,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가상 이미지를 인식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가상 이미지를 인식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 미도시) 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110)은,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100)으로부터 방출된 빛 중에서 일부는 흡수하고 일부는 반사시킴으로써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로부터 출력된 영상은 제1 미러(first mirror, 120) 및 제2 미러(second mirror, 130)에서 반사되어 차량의 전방에 형성된 윈드실드(windshield, 150)에 표시된다. 이때, 제1 미러(120)는 예컨대, 적외선차단 미러(IR cut mirror)로 구성되어 차량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의 적외선 영역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2 미러(130)는 비구면미러(aspherical mirror)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100), 디스플레이 패널(110), 제1 미러(120) 및 제2 미러(130)는 광학하우징(optical housing, 1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윈드실드(150)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가상이미지(virtual image, 160)에 해당되고, 운전자(driver, 170)는 윈드실드(150)에 표시된 가상이미지(160)를 볼 수 있으므로, 운전자(170)의 주된 시야범위 안에서 차량 주행정보 등을 운전자(170)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170)의 불필요한 시선 이동을 방지하고, 운전자(170)로 하여금 주행에 필요한 곳만 주시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운전자(170)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실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져서 구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개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백라이트 유닛(10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배치되는 부분의 영역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가이드 하우징(guide housing, 220), 백라이트 유닛(200), 송풍팬(blowing fan, 240), 열교환부(heat exchange unit, 250), 온도검출부(temperature detection unit, 미도시) 및 송풍제어부(blowing control unit, 미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광신호(optical signal)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하우징(220)은 일측에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고정시키고, 내부둘레면(inner circumferential surface)을 따라 내부공기(internal air, 230)가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순환로(air circulation path, 225)를 구비한다. 즉, 가이드 하우징(220)은 내부공기(230)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도록 밀폐된 공간을 가지며, 가이드 하우징(220) 내부에는 밀폐공간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하기 위한 공기순환로(225)가 형성된다.
가이드 하우징(220)의 일측에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가이드 하우징(220)은 결합부(coupling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가이드 하우징(220)의 일측에 나사결합(screw coupling), 끼움결합(insertion coupling) 또는 핀결합(pin coupling)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가이드 하우징(220) 일측에 고정될 수 있는 한, 가이드 하우징(220)이 반드시 위와 같은 결합부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가이드 하우징(220)의 내부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예컨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D(Laser Diode)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후면을 향하여 빛을 방출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일부를 흡수하고, 일부는 반사시킨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후면이란 도 2에서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입사되는 면을 말하며, 전면이란 후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을 말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200)은 가이드 하우징(22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향하여 빛을 방출할 수 있는 한,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광신호는 열에너지로 변환되게 되며,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윈드실드를 통과하여 입사하게 되는 외부 태양광은 영상 출력과정의 반대과정을 거쳐, 제1 미러(120) 및 제2 미러(130)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입사될 수 있고, 이 역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일정값, 예컨대 보증 구동온도(guaranteed operating temperature), 즉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성능이 심하게 저하되는 경계온도(marginal temperature)를 넘어서게 되면, 영상출력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를 보증 구동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냉각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송풍팬(240)은 공기순환로(225)를 따라 내부공기(230)를 강제 대류(forced convection)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순환로(225) 내의 어느 일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240)은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driving moto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240)이 가이드 하우징(220)의 내부공기(230)를 가이드 하우징(220)의 내부둘레면을 따라 순환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후면은 내부공기(230)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냉각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송풍팬(240)의 개수가 1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송풍팬이 형성될 수도 있다. 송풍팬(240)에 의하여 내부공기(230)가 순환하는 방향도 반드시 시계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내부공기(230)가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 하우징(220)의 내부공기(23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냉각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부공기(230)의 온도 상승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교환부(250)는 내부공기(230)의 열을 가이드 하우징(220)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250)는, 가이드 하우징(220)의 내부 및 외부에 관통되어 장착되고, 가이드 하우징(220) 내부 및 외부로 각각 연장되도록 구성된 히트파이프(heat pipe)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히트파이프는 내부공기(230)와 열교환함으로써 열에너지를 받게 되고, 외기와 열교환함으로써 내부공기(230)로부터 받은 열에너지를 방출하게 되므로, 내부공기(230)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열교환부(250)는, 히트파이프에 연결되어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열핀(heat dissipation fin,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핀의 개수 및 면적은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다만, 내부공기(230)의 열을 가이드 하우징(220)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한, 열교환부(250)가 도 2와 같이 반드시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열교환부는 가이드 하우징(220)의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열교환부는 공기순환로(225)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금속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은 대체로 높은 열전도성(thermal conductivity)을 가지므로, 금속의 일면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내부공기(230)와 맞닿게 되고, 금속의 타면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외기와 맞닿게 되는 경우, 내부공기(230)의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부가 반드시 히트파이프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내부공기(230)의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다만, 열교환부는,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면서, 동시에 가이드 하우징(220)의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온도검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온도검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배치된 표면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접촉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온도검출부는 1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전면 및 후면 온도를 각각 따로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송풍제어부는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에 따라 송풍팬(240)의 RPM(Revolution Per Minute)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송풍제어부는 송풍팬(240)에 포함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송풍팬(240)의 RPM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송풍제어부는 온도검출부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값을 수시로 전달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송풍팬(240)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송풍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인 경우, 송풍팬(240)의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경계온도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보증 구동온도 이하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송풍제어부는,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높을수록 송풍팬(240)의 RPM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기대류에 의한 열교환은 대류속도가 커질수록 열교환량이 늘어나므로, 송풍팬(240)의 RPM이 커지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냉각량을 늘릴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작동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를 검출한다(S31).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는 온도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다.
송풍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2).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인 경우, 송풍팬(240)은 작동하지 않고, 온도검출부는 계속해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를 검출한다(S31). 여기서, 기설정된 경계온도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보증 구동온도 이하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송풍팬(240)이 작동한다(S33). 즉, 송풍제어부는 온도검출부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값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송풍팬(24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송풍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에 따라 송풍팬(240)의 RPM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높을수록, 송풍팬(240)의 RPM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송풍팬(240)이 작동함으로써, 공기순환로(225)를 따라 가이드 하우징(220)의 내부공기(230)가 순환한다(S34).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내부공기(230)의 대류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내부공기(230)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내부공기(230)의 열은 가이드 하우징(220)의 외부로 방출된다(S35). 따라서, 내부공기(23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냉각하기에 충분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냉각되는 중에도, 송풍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6).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이 될 때까지 송풍팬(240)은 계속해서 작동한다(S33).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이 된 경우, 송풍팬(240)은 작동을 멈춘다(S37). 즉, 송풍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인 경우, 송풍팬(240)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밀폐된 시스템 내에서 별도의 필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를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4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의 (a)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후면을 냉각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전면을 냉각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40)는 디스플레이 패널(410), 제1 가이드 하우징(first guide housing, 420), 백라이트 유닛(400), 제1 송풍팬(first blowing fan, 440), 제1 분진필터(first dust filter, 450), 제2 가이드 하우징(second guide housing, 460), 제2 송풍팬(second blowing fan, 480), 제2 분진필터(second dust filter, 490), 온도검출부 및 송풍제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40)와 관련하여, 백라이트 유닛(400), 디스플레이 패널(410) 및 온도검출부는 이하에서 특별히 설명되는 사항을 제외하면,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0)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위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가이드 하우징(420)은 일측에 디스플레이 패널(410)을 고정시키고, 제1 외기(first ambient air, 430)가 내부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외기유동로(first ambient air flow path, 425)를 구비한다. 즉, 제1 가이드 하우징(420)은 제1 외기(430)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외기출입구를 포함할 수 있고, 유입된 제1 외기(430)는 제1 외기유동로(425)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제1 가이드 하우징(420)의 일측에 디스플레이 패널(41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1 가이드 하우징(420)은 도 2의 가이드 하우징(220)과 마찬가지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백라이트 유닛(400)은 제1 가이드 하우징(420) 내부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410)을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400)은 제1 가이드 하우징(42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410)을 향하여 빛을 방출할 수 있는 한,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송풍팬(440)은 제1 외기유동로(425)를 따라 제1 외기(430)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외기유동로(425) 내의 어느 일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송풍팬(440)은 제1 가이드 하우징(420) 내부에 제1 외기(430)를 강제 대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송풍팬(440)은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모터(first driving moto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풍팬(440)이 제1 외기(430)를 제1 가이드 하우징(420)의 내부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유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후면은 제1 외기(430)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410)이 냉각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송풍팬(440)의 개수가 1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송풍팬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송풍팬(440)에 의하여 제1 외기(430)가 유동되는 방향도 반드시 시계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제1 외기(430)가 반시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40)는 외기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반드시 제1 외기(430)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유동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직선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외기유동로(425)의 형상도 제1 외기(430)가 직선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분진필터(450)는 제1 외기유동로(425)에 배치되어, 제1 외기(430)에 포함된 분진을 걸러내도록 구성된다. 외기에 포함된 분진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40) 내부에 유입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410)이 손상될 염려가 있고, 광경로를 변화시켜 영상출력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40)는 제1 분진필터(450)를 포함함으로써, 제1 외기(430)에 포함된 분진을 디스플레이 패널(410)과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전에 걸러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제1 송풍팬(440)에 제1 외기(430)가 유입되기 전에 제1 분진필터(450)가 분진을 걸러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외기(430)가 제1 송풍팬(440)을 통과한 후에 제1 분진필터(450)가 분진을 걸러내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백라이트 유닛(40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외부 태양광도 흡수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후면뿐만 아니라 전면도 냉각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 하우징(460)은 제1 가이드 하우징(420)의 외부에 형성되고, 제2 외기(second ambient air, 470)가 제1 가이드 하우징(420)의 외부둘레면(outer circumferential surface)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외기유동로(second ambient air flow path, 465)를 구비한다. 즉, 제2 가이드 하우징(460)은 제2 외기(470)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외기출입구를 포함할 수 있고, 유입된 제2 외기(470)는 제2 외기유동로(465)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제2 송풍팬(480)은 제2 외기유동로(465)를 따라 제2 외기(470)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외기유동로(465) 내의 어느 일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송풍팬(480)은 제2 가이드 하우징(460) 내부에 제2 외기(470)를 강제 대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송풍팬(480)은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모터(second driving moto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풍팬(480)이 제2 외기(470)를 제1 가이드 하우징(420)의 외부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유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전면은 제2 외기(470)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410)이 냉각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2 송풍팬(480)의 개수가 1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송풍팬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송풍팬(480)에 의하여 제2 외기(470)가 유동되는 방향도 반드시 시계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제2 외기(470)가 반시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40)는 외기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반드시 제2 외기(470)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유동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직선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외기유동로(465)의 형상도 제2 외기(470)가 직선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분진필터(490)는 제2 외기유동로(465)에 배치되어, 제2 외기(470)에 포함된 분진을 걸러내도록 구성된다. 이는 제1 분진필터(450)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도 4에서는, 제2 송풍팬(480)에 제2 외기(470)가 유입되기 전에 제2 분진필터(490)가 분진을 걸러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외기(470)가 제2 송풍팬(480)을 통과한 후에 제2 분진필터(490)가 분진을 걸러내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송풍제어부는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에 따라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적어도 하나의 RPM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송풍제어부는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에 각각 포함된 제1 구동모터 및 제2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적어도 하나의 RPM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송풍제어부는 온도검출부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값을 수시로 전달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송풍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인 경우,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작동하고 있는 송풍팬의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경계온도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보증 구동온도 이하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40)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전면 및 후면 모두 냉각시킬 수 있으며, 전면 및 후면 중 어느 일면만 냉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온도검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전면 및 후면의 온도를 각각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송풍제어부는 각 면의 온도에 따라 어느 일면만 냉각시키도록 제1 송풍팬(440) 또는 제2 송풍팬(48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풍제어부는,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가 높을수록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적어도 하나의 RPM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40)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40)가 작동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를 검출한다(S51).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는 온도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다.
송풍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2).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인 경우,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은 작동하지 않고, 온도검출부는 계속해서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를 검출한다(S51). 여기서, 기설정된 경계온도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보증 구동온도 이하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한다(S53). 즉, 송풍제어부는 온도검출부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값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송풍제어부가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어느 송풍팬을 작동시킬지 여부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전면 및 후면 온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풍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에 따라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적어도 하나의 RPM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가 높을수록,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적어도 하나의 RPM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함으로써, 제1 외기(430) 및/또는 제2 외기(470)는 각각 제1 외기유동로(425) 및/또는 제2 외기유동로(465)를 따라 유동한다(S54).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제1 외기(430) 및/또는 제2 외기(470)의 대류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10)이 냉각되는 중에도, 송풍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5).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이 될 때까지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적어도 하나는 계속해서 작동한다(S53).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이 된 경우,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중 작동하고 있는 송풍팬은 작동을 멈춘다(S56). 즉, 송풍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인 경우, 제1 송풍팬(440) 및 제2 송풍팬(480) 중 작동하고 있는 송풍팬의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개방된 시스템 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온도를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냉각수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시킴으로써,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400: 백라이트 유닛 110, 210, 4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제1 미러 130: 제2 미러
140: 광학하우징 150: 윈드실드
160: 가상이미지 170: 운전자
220: 가이드 하우징 225: 공기순환로
230: 내부공기 240: 송풍팬
250: 열교환부 420: 제1 가이드 하우징
425: 제1 외기유동로 430: 제1 외기
440: 제1 송풍팬 450: 제1 분진필터
460: 제2 가이드 하우징 465: 제2 외기유동로
470: 제2 외기 480: 제2 송풍팬
490: 제2 분진필터

Claims (17)

  1. 광신호(optical signal)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키고, 내부둘레면(inner circumferential surface)을 따라 내부공기(internal air)가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순환로(air circulation path)를 구비한 가이드 하우징(guide housing);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상기 공기순환로를 따라 상기 내부공기를 강제 대류(forced convection)시키기 위한 송풍팬(blowing fan); 및
    상기 내부공기의 열을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열교환부(heat exchange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온도검출부(temperature detection unit); 및
    상기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RPM(Revolution Per Minute)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송풍제어부(blowing control uni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에 관통되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로 각각 연장되도록 구성된 히트파이프(heat pip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히트파이프에 연결되어,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열핀(heat dissipation fi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6. 광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키고, 제1 외기(first ambient air)가 내부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외기유동로(first ambient air flow path)를 구비한 제1 가이드 하우징(first guide housing);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
    상기 제1 외기유동로를 따라 상기 제1 외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제1 송풍팬(first blowing fan);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고, 제2 외기(second ambient air)가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둘레면(outer circumferential surface)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외기유동로(second ambient air flow path)를 구비한 제2 가이드 하우징(second guide housing); 및
    상기 제2 외기유동로를 따라 상기 제2 외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제2 송풍팬(second blowing fa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기유동로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외기에 포함된 분진을 걸러내도록 구성된 제1 분진필터(first dust filt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기유동로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외기에 포함된 분진을 걸러내도록 구성된 제2 분진필터(second dust filt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온도검출부; 및
    상기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송풍팬 및 상기 제2 송풍팬 중 적어도 하나의 RPM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송풍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0.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광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공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송풍팬이 작동하는 과정;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둘레면을 따라 상기 내부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순환로를 따라 상기 내부공기가 순환하는 과정;
    상기 내부공기의 열을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하는 과정;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송풍팬이 작동을 멈추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공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송풍팬이 작동하는 과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RPM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기의 열을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하는 과정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열교환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기의 열을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하는 과정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에 관통되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로 각각 연장되도록 구성된 히트파이프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4.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광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키는 제1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제1 외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제1 송풍팬 및 제1 가이드 하우징 외부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제2 외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제2 송풍팬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는 과정;
    상기 제1 송풍팬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제1 외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외기유동로를 따라 상기 제1 외기가 유동하는 과정;
    상기 제2 송풍팬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제2 외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외기유동로를 따라 상기 제2 외기가 유동하는 과정;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송풍팬 및 상기 제2 송풍팬 중 작동하고 있는 송풍팬이 작동을 멈추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팬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제1 외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외기유동로를 따라 상기 제1 외기가 유동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제1 분진필터가 상기 제1 외기에 포함된 분진을 걸러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풍팬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외부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제2 외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외기유동로를 따라 상기 제2 외기가 유동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제2 분진필터가 상기 제2 외기에 포함된 분진을 걸러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가 기설정된 경계온도 이상인 경우,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키는 제1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제1 외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제1 송풍팬 및 제1 가이드 하우징 외부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제2 외기를 강제 대류시키기 위한 제2 송풍팬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는 과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송풍팬 및 상기 제2 송풍팬 중 적어도 하나의 RPM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129852A 2020-10-08 2020-10-08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46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852A KR20220046785A (ko) 2020-10-08 2020-10-08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852A KR20220046785A (ko) 2020-10-08 2020-10-08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785A true KR20220046785A (ko) 2022-04-15

Family

ID=8121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852A KR20220046785A (ko) 2020-10-08 2020-10-08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67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8931B1 (en) Light source cooler for lcd monitor
US20120327316A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JP5385670B2 (ja) 車両用led灯具
US7364327B2 (en) Projection type display unit
JP2012181386A (ja) 反射型光学素子冷却装置及び反射型光学素子ユニット
JPH11282361A (ja) 画像表示装置
EP0769714A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projector
WO2016121269A1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063798B (zh) 投射型视频显示装置
JP6300012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冷却システム
EP3528043B1 (en) Projector and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projector
US20070279938A1 (en)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device
JP4811190B2 (ja) 液晶表示機器
JP6387754B2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10750645B2 (en) Transparent display panel cooling
KR20220046785A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253559A (zh) 激光投影设备及激光投影系统
CN110780518A (zh) 投影仪
JP2002318423A (ja) 映像表示装置
CN113376835B (zh) 车辆用显示装置
CN111856855B (zh) 光机模块与投影机
CN211478843U (zh) 投影机
JP6885423B2 (ja) 光源装置及びこの光源装置を有する画像投影装置
US11789349B2 (en) Light source module
CN215773390U (zh) 光机组件及激光投影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