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232A - 이동 단말 어셈블리 및 이동 단말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 어셈블리 및 이동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232A
KR20230005232A KR1020227040229A KR20227040229A KR20230005232A KR 20230005232 A KR20230005232 A KR 20230005232A KR 1020227040229 A KR1020227040229 A KR 1020227040229A KR 20227040229 A KR20227040229 A KR 20227040229A KR 20230005232 A KR20230005232 A KR 2023000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odule
assembly
card
power sourc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643B1 (ko
Inventor
용량 쟝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0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04B1/3818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insertion or removal of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 어셈블리 및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 어셈블리는 케이스(100),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 및 제1 안테나 모듈(300)을 포함한다. 케이스(100)에는 카드 슬롯구(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는 카드 슬롯구(110)에 위치하고, 메모리(600)를 적재하도록 구성되며;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케이스(100) 내에 장착된다. 여기서,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외력의 작용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하되;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는 케이스(100) 내에 위치하고,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와 카드 슬롯구(11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는 적어도 일부가 카드 슬롯구(110)를 관통하여 케이스(100)의 외부로 인출되므로, 메모리(600)를 꺼내고/넣는 작업을 쉽게 수행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 어셈블리 및 이동 단말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6월 29일 자로 중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제202010605983.7호의 중국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모든 내용은 참조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전자 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 어셈블리 및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5G 기술의 보급에 따라, 5G 기술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도 많아지고 있다. 5G 이동 단말 어셈블리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또는 MIMO 형태의 Sub 6Ghz 안테나를 사용하며, 5G 신호 자체의 파장 및 주파수의 특성으로 인해, 또한 5G 이동 단말 어셈블리는 2G/3G/4G 안테나 등과 같은 기타 주파수 안테나에 대해 복수의 위치를 미리 보류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5G 이동 단말 어셈블리 내부의 안테나 설치 공간이 아주 부족하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이동 단말에 사용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는, 카드 슬롯구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카드 슬롯구에 위치하고, 메모리를 삽입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카드 소켓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은 외력의 작용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카드 소켓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은 상기 카드 소켓 어셈블리와 상기 카드 슬롯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카드 소켓 어셈블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드 슬롯구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은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여기서 제1 안테나 모듈은 제1 위치에 위치한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여기서 제1 안테나 모듈은 제2 위치에 위치한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동 단말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여기서 제1 안테나 모듈은 제1 위치에 위치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동 단말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여기서, 제1 안테나 모듈은 제2 위치에 위치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동 단말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여기서 제1 안테나 모듈은 제1 위치에 위치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동 단말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여기서 제1 안테나 모듈은 제2 위치에 위치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동 단말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여기서 제1 안테나 모듈은 제1 위치에 위치한다.
도 11은 도 10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동 단말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여기서 제1 안테나 모듈은 제2 위치에 위치한다.
도 13은 도 12의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카드 소켓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제1 동력원의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어 회로의 흐름을 나태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제어 회로의 다른 일 흐름 개략도이며, 여기서 제어 회로는 광전기적 검출회로를 포함한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과제의 해결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는 아니다. 그리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을 거치지 않고 얻은 기타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중심", "길이방향", "폭 방향", "길이", "너비", "두께", "상부", "하부", "수직", "수평", "탑", "바닥", "내부","외부", "시계바늘 방향" 및 "역 시계바늘 방향"과 같은 용어가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의해 본 출원을 용이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언급된 디바이스 또는 소자가 특정한 방위를 가져야 하거나 특정한 배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않으므로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될 수 없다. 한편, 용어 "제1", "제2"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도를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지시된 기술특징의 개수를 암시적으로 지시하지 않는다 . 이에 따라, "제1" 및 "제2"로 정의된 특징은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명시하거나 암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복수"는 다른 명확하고 구체적인 한정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은 한,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연구 과정에서 5G 네트워크에 FR1 및 FR2 두 주파수 대역을 주로 사용하는 것을 발견했다. FR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는 450Mhz-6GHz이고, sub 6Ghz 주파수 대역으로 칭하기도 한다. FR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는 24.25GHz-52.6GHz이고, 일반적으로 밀리미터파(mm Wave)로 칭한다. 단일 5G 안테나 모듈은 19mm×5mm×1.8mm 또는 21mm×3.5mm×0.6mm의 대표적인 부피 값을 갖는다.
현재, 이동 단말은 방수, 모양,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증설 및 사용자 체험 등 여러 측면을 고려하여 뒷면에 구멍을 내서 SIM 카드를 인출하는 방식을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동시에 eSIM(보드 레벨 칩(board level chip) 내에 내장되는 가상 SIM 카드)가 전면적으로 보급되는데 일정한 과정이 더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모든 이동 단말에 대용량 메모리가 설치되어 메모리 확장용 SD 키드가 필요 없는 것은 아니며, SD 카드는 이동 단말에 지속적으로 사용될 것이므로 배치 공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측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 또는 sub 6Ghz 안테나 구조 모듈과 SIM 카드 슬롯구 사이의 위치 충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 또는 sub 6Ghz 안테나 구조 모듈을 바로 SIM 카드 소켓 또는 SIM 카드 트레이와 SIM 카드 슬롯구 사이에 위치시키고,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하여 SIM 카드를 편리하게 인출/인입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현재 범용 SIM 카드 슬롯구는 길이가 20mm으로서,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의 전형적 길이인 19mm-21mm와 거의 일치하며, SIM 카드 슬롯구의 외부 변두리 측면은 sub 6Ghz의 두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를 배선으로 해도 아주 적합하므로, 5G 이동 단말 내부에 배치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 SIM 카드 슬롯구 위치를 충분히 이용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 및 Sub 6GHz 안테나 구조 모듈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의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 또는 sub 6GHz 안테나 구조 모듈이 내측에 배치된 SIM 카드 소켓을 막게 되므로, 사용자가 SIM 카드를 인출/인입할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 또는 sub 6Ghz 안테나 구조 모듈을 옮겨야 한다. 사용자가 SIM 카드를 인출/인입하는 행위가 흔히 발생하므로, 상기 방안에서 사용자는 SIM 카드를 인출/인입할 때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 또는 Sub 6Ghz 안테나 구조 모듈을 옮기고, SIM 카드를 인출/인입한 후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 또는 Sub 6Ghz 안테나 구조 모듈을 원상 복귀시키므로, 5G 이동 단말의 안테나의 배치 공간이 부족한 상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에 실질적 영향을 주지도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충되지 않은 전제하에,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이동 단말(10)에 사용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 어셈블리는 케이스(100),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 및 제1 안테나 모듈(300)을 포함한다. 케이스(100)에는 카드 슬롯구(110)가 설치된다.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는 카드 슬롯구(110)에 위치하고, 메모리(600, 미도시)를 적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케이스(100) 내에 장착된다. 여기서,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외력의 작용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한다.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는 케이스(100) 내에 위치하고,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와 카드 슬롯구(110)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카드 소켓(210)은 적어도 일부가 카드 슬롯구(110)를 관통하여 케이스(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동 단말 어셈블리는 5G 안테나 어셈블리를, 5G 안테나 어셈블리는 제1 안테나 모듈(300)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이동 단말 어셈블리는 다양한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 수요를 만족하기 위하여, 2G 안테나 어셈블리, 3G 안테나 어셈블리 또는 4G 안테나 어셈블리 중 하나 또는 복수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메모리(600)가 SIM 카드, SD 카드, SIM/SD 복합 카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방안을 통해, 제1 안테나 모듈(300)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 단말(10)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는 케이스(100) 내에 위치하고,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와 카드 슬롯구(110) 사이에 위치하므로, 흔히 사용하지 않은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와 카드 슬롯구(110)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게 된다.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로부터 메모리(600)를 꺼내거나 또는 메모리(600)를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에 넣어야 할 경우,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스위칭하여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와 카드 슬롯구(110) 사이의 공간을 비우므로,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의 적어도 일부가 카드 슬롯구(110)를 관통하여 케이스(100)의 외부로 인출되므로 사용자가 메모리(600)를 꺼내거나 넣는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모듈(300)의 이동범위는 두 개의 한계 위치를 포함함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위치는 그 중 하나의 한계 위치이고, 제2 위치는 다른 하나의 한계 위치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위치는 두 한계 위치 사이의 한 구간 영역을 더 포함하되,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가 카드 슬롯구(110)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작업을 수행하고;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동 단말(10)이 바 타입(bar type)인 경우,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작업을 수행한다.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에서 메모리(600)를 꺼내거나 또는 메모리(600)를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에 넣어야 할 경우, 제1 안테나 모듈(300)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스위칭하고,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안테나 모듈(300)은 모두 작업 상태를 유지한다. 이동 단말(10)이 페리스코프 타입(periscope type) 또는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인 경우,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이동 단말(20)의 페리스코프 기구 또는 슬라이딩 기구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페리스코프 기구 또는 슬라이딩 기구가 폴딩 상태일 때,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제1 위치에 위치한 바, 즉,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와 카드 슬롯구(110)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작업을 수행한다. 페리스코프 기구 또는 슬라이딩 기구가 슬라이드 아웃(slide out) 상태인 경우,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제2 위치에 위치하며, 사용자는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에서 메모리(600)를 꺼내거나 또는 메모리(600)를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에 넣을 수 있다. 이때,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작업을 수행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 어셈블리는 케이스(100) 상에 설치된 제2 안테나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하나에 위치할 경우, 제2 안테나 모듈은 작업을 수행한다.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의 다른 하나에 위치할 경우, 제2 안테나 모듈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제2 안테나 모듈의 우선 순위는 제1 안테나 모듈(300)보다 높지 않다.
예시적으로, 제1 안테나 모듈(300)은 5G 안테나 모듈이다. 제2 안테나 모듈은 5G 안테나 또는 기타 일반 안테나이다.
예시적으로, 제1 안테나 모듈(300)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 또는 sub 6Ghz 안테나 구조 모듈 등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예시적으로, 이동 단말(10)이 페리스코프 타입 이동 단말 또는 슬라이딩 타입인 이동 단말인 경우,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제1 안테나 모듈(300)의 위치 변화는 제2 안테나 모듈의 안테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때, 제1 안테나 모듈의 사용 우선 순위를 낮춤으로써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의 하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2 안테나 모듈이 작업을 수행하고;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의 다른 하나에 위치할 경우 제2 안테나 모듈이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확보한다.
예시적으로,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안테나 모듈(300)과 케이스(100) 사이에 제2 안테나 모듈이 존재하며, 제1 안테나 모듈(300)과 제2 안테나 모듈이 작업할 때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안테나 모듈(300) 및 제2 안테나 모듈 중의 하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 어셈블리는 동력 전달 어셈블리(400)를 더 포함하며, 동력 전달 어셈블리(400)는 제1 안테나 모듈(300)과 연결되고, 동력 전달 어셈블리(400)는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동력 전달 어셈블리(400)는 외력의 작용에 의해 제1 안테나 모듈(300)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게 한다. 예시적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동력 전달 어셈블리(400)는 버튼(410), 슬라이딩 레일(420) 및 볼(430)을 포함한다. 버튼(410)은 사용자와 간편하게 상호 작용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100)의 외부에 위치한다. 슬라이딩 레일(420)은 버튼(410)과 연결되고, 슬라이딩 레일(420)과 제1 안테나 모듈(300)은 모두 볼(430)과 접촉한다. 버튼(410)을 눌러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버튼(410)은 슬라이딩 레일(420)을 구동하여 볼(430)을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방향은 도 1의 x 방향, 즉, 제1 안테나 모듈(300)의 길이 방향이고, 제2 방향은 도 1의 y 방향, 즉, 제1 안테나 모듈(300)의 너비 방향임을 밝혀 둔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레일(420)이 슬라이딩 슬롯(421)과 고정 슬롯(422)으로 구성됨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볼(430)은 고정 슬롯(422) 내에 위치한다.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볼(430)은 슬라이딩 슬롯 내에 위치한다. 슬라이딩 슬롯(421)은 제1 방향 성분(direction component)과 제2 방향 성분을 모두 가지므로 제2 방향에 따른 버튼(410)의 이동을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한다. 예시적으로, 버튼(410)은 자동 잠금 구조를 가지며, 버튼(410)이 이동할 때, 볼(430)은 고정 슬롯(422)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진입하여, 버튼(410)과 연동하여 자동 잠금 과정을 수행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동력 전달 어셈블리(400)는 제1 동력원(440) 및 제1 동력 전달 장치(450)를 포함한다. 제1 동력원(440)은 케이스(100) 내에 고정되고; 제1 동력 전달 장치(450)는 제1 동력원(440)의 출력 축과 연결되고, 제1 안테나 모듈(300)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동력원(440)의 구동에 의해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동력 전달 장치(450)는 변속 기구(451) 및 연결 로드(452)를 포함한다. 변속 기구(451)는 제1 동력원(440)의 출력 축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로드(452)는 변속 기구(451) 및 제1 안테나 모듈(300)과 모두 연결된다. 변속 기구(451)는 웜기어(worm gear) 구조로서, 제1 동력원(440)의 출력 축의 회동을 연결 로드(452)가 제1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방향을 따라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동력 전달 장치(450)는 제1 견인줄(454) 및 제1 도르래(453)를 포함한다. 제1 견인줄(454)은 제1 동력원의 출력 축 및 상기 제1 안테나 모듈(300)과 모두 연결된다. 제1 도르래(453)는 케이스(100) 내에 고정되고, 제1 도르래(453)의 회전축은 상기 제1 동력원(400)의 출력 축과 평행한다. 제1 견인줄(453)은, 제1 동력원(440)의 출력 축의 회동을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이동으로 변환하도록 한다.
동력 전달 어셈블리(400)가 제1 동력원(440) 및 제1 동력 전달 장치(450)를 포함할 경우, 제1 동력원(440)의 제어는 기계식 버튼을 통해 구현되며, 이동 단말(1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는 바, 본 출원은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동력원(440)이 기계식 버튼을 통해 제어될 경우, 기계식 버튼은 카드 슬롯구(110)에 설치되고, 사용자는 밀핀(700)을 통해 기계식 버튼을 작동시킴으로써, 기계식 버튼이 케이스(100)의 외측에 설치 시 이동 단말(10)의 외관에 영향을 주고, 심지어 사용자가 기계식 버튼을 오작동시켜 사용 체험에 영향주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계식 버튼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제1 동력원(44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1 동력원(440)의 구동 신호는 프로세서(101)의 제3 범용 입출력 포트(GPIO,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를 통해 프로세서(101)에 전달된다. 프로세서(101)는 구동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입출력 포트를 통해 드라이버(102)를 인에이블시키고, 제1 입출력 포트를 통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폭 변조) 발생기(103)를 인에이블하여 생성된 정/역 회전 제어 신호를 드라이버(102)의 제1 입력 포트와 동기화한다. 드라이버(102)는 정/역 회전 제어 신호에 의해 드라이버(102)의 제1 출력 포트와 제2 출력 포트 사이에 연결된 제1 동력원(440)의 정/역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한다. 구동 전원(104)은 분압 회로(105)를 통해 제1 동력원(440)의 기준 전압을 얻은 후 드라이버(102)의 제2 입력 포트에 전달한다. 제1 동력원(440)의 정/역 회전 제어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메인 회로판에 광전기적 검출회로(106)를 추가하고, 카드 슬롯구(110)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여 보조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카드 슬롯구(110)는 개방 상태이고, 광전기적 검출회로(106)가 케이스(100) 외부의 광선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이때 사용자는 구동 신호를 보내어 제1 동력원(440)을 역회전시켜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로 스위칭하게 한다.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위치로 위치할 경우, 카드 슬롯구(110)는 닫힌 상태이고, 광전기적 검출회로(106)가 케이스(100) 외부의 광선을 검출할 수 없으므로, 이때 사용자는 구동 신호를 보내어 제1 동력원(440)을 정회전시켜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2 위치로 스위칭하게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제1 동력원(44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1)는 기계식 버튼이 눌러져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기계식 버튼이 눌러져 있지 않은 것으로 검출되면, 프로세서(101)는 기계식 버튼이 눌러져 있는지 여부를 다시 검출한다.
상기 단계에서, 사용자가 기계식 버튼을 눌러 구동 신호를 보내면, 구동 신호가 프로세서(101)의 제3 범용 입출력 포트를 통해 프로세서(101)에 전달된다.
기계식 버튼이 눌러져 있는 것으로 검출되면, 프로세서(101)는 드라이버(102)가 전원 온을 완료하여 작업 준비 상태를 유지하도록 드라이버(102)를 인에이블한다.
상기 단계에서, 프로세서(101)는 구동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입출력 포트를 통해 드라이버(102)를 인에이블한다.
기록된 정역 회전 명령 정보에 의해, 직전 시점에 제1 동력원(440)이 정회전인지 여부를 검색한다.
직전 시점에 제1 동력원(440)이 정회전인 경우, 프로세서(101)는 PWM 발생기(103)가 역회전 정보를 생성하도록 인에이블한다. PWM 발생기(103)는 상기 정회전 정보에 따라 제1 동력원(440)이 역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직전 시점에 제1 동력원(440)이 정회전이 아닌 경우, 직전 시점에 제1 동력원(440)이 역회전임을 나타내므로, 프로세서(101)는 PWM 발생기(103)가 정회전 정보를 생성하도록 인에이블한다. PWM 발생기(103)는 상기 역회전 정보에 따라 제1 동력원(440)이 정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단계에서, 프로세서(101)는 제1 입출력 포트를 통해 PWM 발생기(103)를 인에이블하여 정역 회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드라이버(102)의 제1 입력 포트와 동기화시킨다. 예시적으로, 정역 회전 명령 정보에서 직전 시점에 제1 동력원(440)이 정회전인 것으로 나타내면, 프로세서(101)는 PWM 발생기(103)가 역회전 정보를 생성하도록 인에이블한다. PWM 발생기(103)는 상기 역회전 정보에 의해 제1 동력원(440)를 역회전하도록 구동한다.
프로세서(101)는 구동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입출력 포트를 통해 드라이버(102)를 인에이블하고, 제1 입출력 포트를 통해 PWM 발생기(103)에서 생성된 정역 회전 제어 신호를 드라이버(102)의 제1 입력 포트와 동기화하도록 인에이블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제1 동력원(440)의 제어 회로에 광전기적 검출회로(106)가 있는 경우, 제1 동력원(44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광전기적 검출회로(106)를 통해 카드 슬롯구(110)의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카드 슬롯구(110)의 상태가 개방 상태이고, 직전 시점에 제1 동력원(440)이 정회전이 아닌 것으로 검출되면, 직전 시점에 제1 동력원(440)이 역회전임을 나타내며, 프로세서(101)는 PWM 발생기(103)가 정회전 정보를 생성하도록 인에이블하며, PWM 발생기(103)는 상기 정회전 정보에 따라 제1 동력원(440)이 정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카드 슬롯구(110)의 상태가 폐쇄 상태이고 직전 시점에 제1 동력원(440)이 정회전인 것으로 검출되면, 프로세서(101)는 PWM 발생기(103)가 역회전 정보를 생성하도록 인에이블하며, PWM 발생기(103)는 상기 역회전 정보에 따라 제1 동력원(440)이 역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 어셈블리는 가동 어셈블리(500)를 더 포함하며, 가동 어셈블리(500)는 동력 전달 어셈블리(400)를 통해 제1 안테나 모듈(300)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가동 어셈블리(500)는 페리스코프 기구 또는 슬라이딩 기구 중의 하나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 11을 참조하면, 가동 어셈블리(500)는 구조 광학 어셈블리(510)를 포함하므로, 이동 단말(10)은 정면이 풀 스크린 효과를 가지면서 3차원 목표 식별 및 3차원 이미지 재구성을 동시에 구현 가능하다. 보통때 페리스코프 기구 또는 슬라이딩 기구는 풀 스크린의 뒷면에 숨어 있다가 필요할 때 스크린 위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페리스코프 기구 또는 슬라이딩 기구 상의 구조 광학 어셈블리(510)가 노출하게 된다. 구조 광학 어셈블리(510)가 앞을 향해 정면에 배치될 경우, 얼굴 인식 또는 보안 해제 등에 사용 가능하고; 구조 광학 어셈블리(510)가 뒤를 향해 뒷면에 배치될 경우, 촬영 및 조명에 사용 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동력 전달 어셈블리(400)는 제2 동력원(460) 및 제2 동력 전달 장치(470)를 포함한다. 제1 동력원(460)은 케이스(100) 내에 고정되고; 제2 동력원(460)의 출력 축은 제2 동력 전달 장치(479)를 통해 가동 어셈블리(500)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동 어셈블리(500)가 슬라이딩 기구인 경우, 가동 어셈블리(500)의 이동은 외력을 통해 직접 구동 가능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제한한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2 동력 전달 장치(470)는 브라켓(471), 나사선 로드(472) 및 지지 로드(473)를 포함한다. 브라켓(471)은 가동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브라켓(471)은 제1 베어링(4711) 및 제2 베어링(4712)을 포함하며, 제1 베어링(4711)에는 암나사가 설치되어 있다. 나사산 로드(472)는 제1 베어링(471) 내에 관통 설치되고, 나사산 로드(472)는 제2 동력원(460)의 출력 축과 연결된다. 지지 로드(473)는 제2 베어링(4712) 내에 관통 설치되고, 나사산 로드(472)와 평행을 이룸으로써 제2 동력원(460)이 가동 어셈블리(500)를 지지 로드(47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나사산 로드(472)의 구조는 볼 스크루(ball screw)이며, 제2 동력 전달 장치(470)는 나사산 로드(472)와 맞물리는 볼을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1 베어링(4711)과 나사산 로드(472)의 슬라이딩 마찰을 회전 마찰로 변환하여 제2 동력 전달 장치(470)를 더 유연하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동력 전달 어셈블리(400)는 제2 동력 전달 장치(480)를 더 포함하고 제2 동력원(460)의 출력 축 및 제1 안테나 모듈(300)은 모두 동력 전달 장치(480)와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제3 동력 전달 장치(480)는 구동휠(481), 종동휠(482), 제2 도르래(483) 및 제2 견인줄(484)을 포함한다. 구동휠(481)은 제2 동력원(460)의 출력 축과 연결되고; 종동휠(482)은 구동휠(481)과 맞물리고, 종동휠(482)에는 수용 슬롯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도르래(483)는 케이스(100) 내에 고정되고, 제2 도르래(483)의 회전축이 제2 동력원(460)의 출력 축과 평행되며; 제2 견인줄(484)은 적어도 일부가 수용 슬롯 내에 위치하고, 제1 안테나 모듈(300)은 모두 제2 견인줄(484)과 연결되며; 제2 견인줄(484)은, 제2 동력원(460)의 출력 축의 회동을 제1 안테나 모듈(300)이 제1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이동으로 변환하도록 제2 도르래(483) 상에 감겨져 있다.
예시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제3 동력 전달 장치(480)는 전자석을 더 포함하며, 종동휠(482)은 마그넷 부재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전자석이 단전(斷電) 상태인 경우, 종동휠(482)은 탄성 부재의 작용에 의해 구동휠(481)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전자석이 통전(通電) 상태인 경우, 종동휠(482)은 전자석과 마그넷 부재의 작용에 의해 구동휠(481)과 치합 상태를 유지하며,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제3 동력 전달 장치(480)의 구동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 12를 참조하면, 동력 전달 어셈블리(400)는 제3 동력 전달 장치(480)를 더 포함한다. 제3 동력 전달 장치(480)는 연결 기구(485)를 포함하며, 제1 안테나 모듈(300)은 연결 기구(485)를 통해 가동 어셈블리(500)와 연결되므로 가동 어셈블리(500)는 제1 안테나 모듈(300)을 이동시킨다.
제2 동력원(460)의 제어 회로 및 방법은 제1 동력원(440)의 제어 회로 및 방법과 동일하므로 본 출원은 이에 대해 중복 설명하지 않겠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 어셈블리에 방열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방열 부재는 케이스(100) 내에 고정하되, 제1 안테나 모듈(300)과 접촉하고; 및/또는, 방열 부재는 제1 안테나 모듈(300)과 연결된다. 방열 부재는 세라믹 재료로 제조되어 제1 안테나 모듈(300)에 대한 방열 부재의 전자기 간섭을 낮춘다. 방열 부재와 제1 안테나 모듈(300) 사이에 열 전도성 실리콘 그리스를 더 충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열 부재와 제1 안테나 모듈(300) 사이의 충돌 손상을 방지한다. 예시적으로, 방열 부재의 양단에는 보조 방열부가 설치되며, 보조 방열부는 제1 안테나 모듈(300)과 멀리 이격되어 있는 대면적의 금속 시트와 접촉하는 것을 통해 열을 방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4를 참조하면,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는 카드 소켓(210) 및 제1 카드 트레이(220)를 포함한다. 카드 소켓(210)은 이동 단말(10) 내에 고정되고; 제1 카드 트레이(220)는 카드 소켓(210)과 연결되고, 카드 소켓(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카드 슬롯구(110)를 거쳐 케이스(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는 자동 잠금 기구(240)를 더 포함하며, 밀핀(700)을 통해 자동 잠금 기구(240)를 구동하여 제1 카드 트레이(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 중에서 현재 흔히 사용하는 자동 잠금 기구(240)는 push-push 구조로서, 기계식 자동 잠금 구조 중 하나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14를 참조하면,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는 제2 카드 트레이(230)를 더 포함하며, 제2 카드 트레이(230)는 제1 카드 트레이(220)과 연결되고, 제1 카드 트레이(2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1 카드 트레이(220)가 메모리(600)를 케이스(100) 내부에서 케이스(100) 외부로 인출하는 과정에, 제2 카드 트레이(230)와 제1 카드 트레이(220)는 순차적으로 인출된다.
제1 위치가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와 카드 슬롯구(110) 사이에 위치하므로, 카드 소켓(210)와 카드 슬롯구(110) 사이의 거리를 증가하였다. 이때, 사용자가 메모리(600)를 꺼내거나 넣고자 하는 경우, 밀핀(700)으로 카드 슬롯구(110)의 외부에서 push-push 기계 자동 잠금 기구(240)까지 미는 거리가 많이 길어져(5G 안테나 모듈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0.6mm-1.8mm 사이이고, 너비는 3.5mm-5mm 사이이며, 일반적으로 스크린의 수직 방향에 작은 경사각을 형성해야 하므로 카드 소켓(210)과 카드 슬롯구(110) 사이의 거리가 더 증가한다), 제1 카드 트레이(220)의 인출 거리가 부족하여 메모리(600)를 꺼내거나 넣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이때,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에 제2 카드 트레이(230)를 추가 설치하는 동시에 자동 잠금 기구(240)에 중간 상태의 기계식 자동 잠금을 한번 추가하며, 즉, 2중 과도상태 기계식 자동 잠금 구조를 통해 제1 카드 트레이(220)와 제2 카드 트레이(230)를 끼워 맞춘다. 즉, 밀핀(700)을 1차적으로 카드 소켓 어셈블리(200)의 자동 잠금 기구(240)까지 밀어, 제1 카드 트레이(220)가 튀어 나오게 하고(제1 과도상태), 다음으로 밀핀(700)을 2차적으로 밀어 제2 카드 트레이(230)가 튀어 나오게 함으로써(제2 과도상태), 사용자는 메모리(600)를 꺼내거나 넣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은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를 포함되는 이동 단말(10)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어셈블리에서, 제1 안테나 모듈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모듈이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카드 소켓 어셈블리는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1 안테나 모듈은 카드 소켓 어셈블리와 카드 슬롯구 사이에 위치하므로 흔히 사용하지 않은 카드 소켓 어셈블리와 카드 슬롯구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이용한다. 카드 소켓 어셈블리로부터 메모리를 꺼내거나 또는 메모리를 카드 소켓 어셈블리에 넣어야 할 경우, 제1 안테나 모듈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스위칭하여, 카드 소켓 어셈블리와 카드 슬롯구 사이의 공간을 비우므로, 카드 소켓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카드 슬롯구를 관통하여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므로 사용자가 메모리를 꺼내거나 넣는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명확한 규정과 한정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은 한, 용어 "장착", "상호 연결", "연결"은 포괄적으로 이해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 연결, 탈착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 연결이 될 수 있다.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이 될 수도 있다. 직접적인 상호 연결,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 연결이 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 개의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본 기술분야의 일반 기술자에 있어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출원에서 지닌 구체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명확한 규정과 한정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은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 또는 "하"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는 것과,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이들 사이의 다른 특징을 통해 접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 "위쪽" 및 "상면"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직 상부 및 측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또는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하", "하부" 및 "하면"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특징의 직 하부 및 측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또는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음을 의미한다.
이상은 본 출원의 다양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형태 또는 예시를 제공하였다. 본 출원의 개시를 간략하게 하기 위해, 이상은 특정 예시의 부재 및 설치에 대해 설명했다. 물론, 이들은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본 출원을 제한하는데 그 목적을 두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은 여러 예시에서 참조 숫자 및/또는 참조 부호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중복 사용은 간략하고 명확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는 각 실시형태 및/또는 설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은 다양한 특정 공정 및 재료의 예시를 제공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일반 기술자는 기타 공정 및/또는 기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기재에 있어서, 참조 용어 "일 실시형태", "일부 실시형태", "개략적 실시형태", "예시", "구체적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의 기재는 실시형태 또는 예시를 결합하여 기재한 구체적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개략적 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형태 또는 예시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재된 구체적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형태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위에서 본 출원의 실시형태를 이미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일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원리 및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에서 이러한 실시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화, 수정, 치환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범위는 청구항 및 그 등가물에 의해 한정된다.
10 이동 단말 101 프로세서
102 드라이버 103 PWM 발생기
104 구동 전원 105 분압 회로
106 광전기적 검출회로 100 케이스
110 카드 슬롯구 200 카드 소켓 어셈블리
210 카드 소켓 220 제1 카드 트레이
230 제2 카드 트레이 240 자동 잠금 기구
300 제1 안테나 모듈 400 동력 전달 어셈블리
410 버튼 420 슬라이딩 레일
421 슬라이딩 슬롯 422 고정 슬롯
430 볼 440 제1 동력원
450 제1 동력 전달 장치 451 변속 기구
452 연결 로드 453 제1 도르래
454 제1 견인줄 460 제2 동력원
470 제2 동력 전달 장치 471 브라켓
4711 제1 베어링 4712 제2 베어링
472 나사산 로드 473 지지 로드
480 제3 동력 전달 장치 481 구동휠
482 종동휠 483 제2 도르래
484 제2 견인줄 485 연결 기구
500 가동 어셈블리 510 구조 광학 어셈블리
600 메모리 700 밀핀

Claims (15)

  1. 이동 단말에 사용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드 슬롯구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카드 슬롯구에 위치하고, 메모리를 삽입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카드 소켓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은 외력의 작용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카드 소켓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은 상기 카드 소켓 어셈블리와 상기 카드 슬롯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카드 소켓 어셈블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드 슬롯구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안테나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하는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외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는 버튼;
    상기 버튼과 연결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제1 안테나 모듈과 모두 접촉하는 볼(ball);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는 슬라이딩 슬롯 및 고정 슬롯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볼은 상기 고정 슬롯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볼은 상기 슬라이딩 슬롯 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제1 동력원;
    상기 제1 동력원의 출력 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안테나 모듈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동력원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제1 동력원의 출력 축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변속 기구;
    상기 변속 기구 및 상기 제1 안테나 모듈과 모두 연결되는 연결 로드;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1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제1 동력원의 출력 축 및 상기 제1 안테나 모듈과 모두 연결되는 제1 견인줄;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고, 회전축이 상기 제1 동력원의 출력 축과 평행되는 제1 도르래(pulley);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견인줄은, 상기 제1 동력원의 출력 축의 회동을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제1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하도록 제2 도르래 상에 감겨져 있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는, 상기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제1 안테나 모듈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제2 동력원 및 제2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동력원의 출력 축은 상기 제2 동력 전달 장치를 통해 상기 가동 어셈블리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여기서, 상기 제2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가동 어셈블리와 연결되며, 암나사가 설치되어 있는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을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제1 베어링 내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제2 동력원의 출력 축과 연결되는 나사산 로드;
    상기 제2 베어링 내부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나사산 로드와 평행되어 상기 제2 동력원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동 어셈블리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동력원의 출력 축 및 상기 제1 안테나 모듈과 모두 연결되는 제3 동력 전달 장치;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3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제2 동력원의 출력 축과 연결되는 구동휠;
    수용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휠과 맞물리는 종동휠;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고, 회전축이 상기 제2 동력원의 출력 축과 평행되는 제2 도르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 슬롯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모듈 전체와 연결되는 제2 견인줄;
    상기 제2 견인줄은, 상기 제2 동력원의 출력 축의 회동을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제1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하도록 제2 도르래 상에 감겨져 있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상기 가동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안테나 모듈과 상기 가동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포함하는 제3 동력 전달 장치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은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며;
    및/또는,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은 작업을 수행하며;
    및/또는, 상기 케이스 상에 설치된 제2 안테나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중 하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2 안테나 모듈은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안테나 모듈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중의 다른 하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2 안테나 모듈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은 이동 단말 어셈블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SIM 카드, SD 카드, SIM/SD 복합 카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드 소켓 어셈블리는,
    카드 소켓;
    상기 카드 소켓과 연결되고, 상기 카드 소켓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카드 슬롯구를 거쳐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1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카드 소켓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카드 트레이와 연결되고, 제1 카드 트레이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카드 트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드 트레이가 상기 메모리과 함께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하는 과정에, 상기 제2 카드 트레이와 상기 제1 카드 트레이는 순차적으로 인출하게 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단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KR1020227040229A 2020-06-29 2021-05-26 이동 단말 어셈블리 및 이동 단말 KR102674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05983.7A CN113938540A (zh) 2020-06-29 2020-06-29 移动终端组件和移动终端
CN202010605983.7 2020-06-29
PCT/CN2021/096056 WO2022001513A1 (zh) 2020-06-29 2021-05-26 移动终端组件和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232A true KR20230005232A (ko) 2023-01-09
KR102674643B1 KR102674643B1 (ko) 2024-06-12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2301A1 (en) 2023-03-01
WO2022001513A1 (zh) 2022-01-06
EP4142301A4 (en) 2023-11-01
JP2023524314A (ja) 2023-06-09
JP7480347B2 (ja) 2024-05-09
US20230188632A1 (en) 2023-06-15
CN113938540A (zh)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0996B2 (en) Multiplex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switching an operability of a single connector thereof
CN101997560A (zh) 无线传输系统和无线传输方法
CN109040561B (zh) 一种移动终端
EP3561950B1 (en) Electronic apparatus
WO2021022940A1 (zh) 终端设备
CN110430347B (zh) 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US20120286634A1 (en) Electronic equipment cabinet
US20190123500A1 (en) Electric Connector and Illuminating Device Comprising the Electric Connector
CN201774078U (zh) 电子卡连接器
US4540228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with improved cam actuator
WO2022222859A1 (zh) 电子设备
KR20230005232A (ko) 이동 단말 어셈블리 및 이동 단말
CN111866224A (zh) 电子设备
KR102674643B1 (ko) 이동 단말 어셈블리 및 이동 단말
CN115174716A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3390803B (zh) 基于基片集成波导的具有极化扭转功能的回溯阵列天线
CN111156375A (zh) 电子设备
KR102598186B1 (ko) 이동 단말기
EP3059872B1 (en) Terminal cover body and terminal
CN110190400A (zh) 一种天线系统及电子设备
US20160352988A1 (en) Complex control device and selfie apparatus
US8934256B2 (en) Card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of card device
CN112468626B (zh) 电子设备
CN110062079B (zh) 移动终端
CN109873886B (zh) 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