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131A - 고형 및 연성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형 및 연성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131A
KR20230005131A KR1020227032804A KR20227032804A KR20230005131A KR 20230005131 A KR20230005131 A KR 20230005131A KR 1020227032804 A KR1020227032804 A KR 1020227032804A KR 20227032804 A KR20227032804 A KR 20227032804A KR 20230005131 A KR20230005131 A KR 20230005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cinoma
cancer
thymus
origanum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첼 알칼라이
Original Assignee
노벨 콘셉츠 메디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벨 콘셉츠 메디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벨 콘셉츠 메디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5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6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carbo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procainamide, procarbazine, metoclopramide, labeta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61K36/324Boswellia, e.g. frankinc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4Gynostem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5Verbenaceae (Verben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2Alpinia, e.g. red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73Cysteine endopeptidases (3.4.22), e.g. stem bromelain, papain, ficin, cathepsin 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abete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Abstract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을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대상체에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보스웰리아 사크라 및 파낙스 진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Description

고형 및 연성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본 발명은, 이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어 "암"은 비정상 세포의 제어되지 않은 분열이 있는 다수의 질환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암성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신체에서 사실상 임의의 조직 또는 기관에서 처음으로 발생되고 선천적 유전자 인자와 환경 인자, 예컨대, 식이요법 또는 방사선에 노출, 독소 등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의학의 진보 및 암성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의 분자 기초의 이해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주어진 유형의 암의 정확한 원인은, 특히 특정 개체에서 대체로 알려져 있지 않다. 지식의 이러한 부족을 감안하여,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를 찾는 것이 여전히 매우 어렵다는 것은 놀랍지 않다.
암은 종종 다양한 치료 전략에 대해 내성이 발생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치료를 찾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암을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은 특정 유형의 암이 이들의 원발성 공급원으로부터 확산되는 능력을 고려할 때 훨씬 더 큰 문제가 되었다. 전이로 불리는 이런 과정은 종양 세포가 혈액 및 림프계를 통해 신체의 다른 중요 부분으로 확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이는 효과적인 암 치료를 개발하는 것이 어려운 주된 이유이다.
기존의 암 요법은 오늘날, 치료 하에서 특정 유형 및 병기의 암에 기반한 특정 요법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절제 기법, 예컨대, 수술 절차; 조직 상의 극저온 또는 열 방법, 초음파, 무선 주파수 및 방사선; 화학적 방법, 예컨대, 약제, 세포독성제, 단클론성 항체; 또는 동맥경유 화학 색전술(TACE),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요법은 실질적으로 고비용과 연관된다. 또한, 현재의 치료 옵션은 고도로 침습적이며, 상당한 독성과 연관되고, 환자에 대해 전반적인 불량한 삶의 질을 초래한다.
표준 치료 암 종양 요법은 전형적으로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에 의한 병든 조직의 수술적 제거와 결합된다. 화학치료제를 투여하기 위한 표준 접근은 정맥내 및/또는 위장 전달과 같은 다양한 경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혈액, 예를 들어, 전신 전달을 통한다. 그러나, 독성은 전신 전달되는 화학치료 약물과 연관된 주된 문제이다. 표준 치료 수술적 치료는 또한 혈액 및/또는 림프계 내로 암세포의 이탈을 포함하는 문제를 도입하며, 이는 암세포를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시키고 추가적인 종양이 형성되게 하는 기회를 야기한다.
수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에 대한 허용되는 치료는 방사선 또는 화학요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술할 수 없는 암에 대한 생존율은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전에 수술에 의해 제거된 종양에 대한 생존율에 비해서 낮다.
특정 암 종양은 신체 조직과 비슷하며, 따라서, 면역계가 이들을 확인하고 사멸하는 타고난 능력을 감소시킨다. 여러 암과 싸우는 기술(예를 들어, 암 백신)은 암 세포에 대해 면역계를 자극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양 세포가 해당 개체에 대해 외래 물질인 항원을, 있다고 해도, 거의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면역계가 종양 세포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는 능력은 방해를 받는다. 또한, 종양은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세포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세포 유형은 상이한 세포-표면 항원을 가져서, 면역계에 의한 공격을 다시 차단한다.
질환 병기에 따라서, 백신이 효과적으로 되기에 종양이 너무 진행될 수 있다(예를 들어, 벌키). 이들뿐만 아니라 다른 인자는, 종양이 충분한 면역계를 자극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양의 항원(또는 표적)이 없을 수도 있는 이유이다.
일반적으로, 암이 조기에 검출되는 경우, 암에 대한 표준 치료는 고도로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최고의 결과가 얻어질 때조차, 이러한 치료는 신체에 대해 침습적이고, 독성이며, 손상을 가하며, 환자에게 정신적 및 감정적으로 많은 부담을 준다. 암이 후기에 검출된다면, 환자에게 장기 생존에 대한 많은 희망을 제공하는 치료는 거의 없다.
따라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더 효과적이고, 일반적으로 개인과 사회에 더 낮은 비용을 제시하는 새로운 전략을 확인하고 개발하기 위한 당업계의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이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을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대상체에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Nigella sativa), 티무스 카피타투스(Thymus capitatus),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오리가눔 시리아쿰(Origanum syriacum), 팀브라 스피카타(Thymbra spicata), 사투제라 팀브라(Satujera thymbra), 세사뭄 인디쿰(Sesamum indicum), 러스 코리아리아(Rhus coriaria), 지노스테마 펜타필룸(Gynostemma pentaphyllum), 보스웰리아 사크라(Boswellia sacra) 및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에 대한 백신이 제공되되,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고,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보스웰리아 사크라 및 파낙스 진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되되,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고,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보스웰리아 사크라 및 파낙스 진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 중 적어도 2가지를 포함하는 물질의 조성물이 제공되되,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보스웰리아 사크라 및 파낙스 진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 중 적어도 2가지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식품 보충제가 제공되되,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및파낙스 진셍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보스웰리아 사크라 및 파낙스 진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상기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는 브로멜라인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상기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는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파인애플의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상기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는 트립토판을 함유하는 식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장미잎 마이크로메리아 프루티코사(Rose Leaves Micromeria fruticose), 샐비어, 심보포곤(cymbopgon)(시트랄(Citral)) 알로이시아(Aloysia), 버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오리가눔 마오라나(오리가눔 마조라나), 민트(menthe)를 포함하는 "베두인 티(Beduin Tea)"를 더 포함하는 식품 보충제, 조성물 또는 추출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타임(Thyme), 세이지(sage), 카더멈(cardamom), 시나몬(cinnamon), 블랙티(black tea), 하북(habuk), 마르마야(Marmaya)를 포함하는 "베두인 티"를 더 포함하는 식품 보충제, 조성물 또는 추출물이 제공된다.
타임 불가리스(Thyme Vulgaris) 성분의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부록 1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육종 및 암종, 예컨대, 섬유육종, 점액육종, 지방육종, 연골육종, 골원성 육종, 척삭종, 혈관육종, 내피육종, 림프관혈관육종, 림프관내피육종, 활막종, 중피종, 유잉육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결장 암종, 췌장암,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편평 세포 암종, 기저 세포 암종, 선암종, 땀샘 암종, 피지샘 암종, 유두상 암종, 유두상 선암종, 낭선암종, 수질 암종, 기관지원성 암종, 신세포 암종, 간세포 암종, 담관 암종, 융모막암종, 정상피종, 배아 암종, 윌름 종양, 자궁경부암, 고환 종양, 폐암종, 소세포 폐암종, 방광 암종, 상피 암종, 다형성 교모아세포종, 성상세포종, 수모세포종, 두개인두종, 상의세포종, 송과체종, 혈관아세포종, 청신경종, 핍지교종, 피부 T 세포 림프종(CTCL), 흑색종, 신경아세포종 및 망막아세포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뇌암, 유방암, 삼중 음성 유방암, 방광암, 골암, 결장직장암, 폐암, 신장암, 간암, 위암, 전립선암, 육종, 흑색종, 암종 또는 림프종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전립선암, 유방암, 결장직장암, 췌장암 또는 림프종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림프종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증식성 질환은 유섬유종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증식성 질환은 자궁내막증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분은 적어도 2가지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분은 적어도 3가지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분은 적어도 4가지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분은 적어도 5가지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분은 5 내지 10가지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분은 티모퀴논(thymoquinone)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분은 티몰(thymol)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분은 카바크롤(carvacrol)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또는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물질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행 또는 시험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예시적인 방법 및/또는 방법은 이하에 기재된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특허 명세서로 조절할 것이다. 또한, 물질, 방법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이며, 반드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는 수반하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단지 예로서 기재된다. 이제 도면을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나타낸 세부사항은 예로서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논의의 목적을 위한 것임이 강조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과 함께 하는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실행될 수 있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a 내지 도 1c는 berkem(dot)com으로부터 취한 식물 추출 방법에서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a - 식물 추출의 일반적 원칙을 기재하는 계획; 도 1b - 일부 실시형태에 다른 주요 분리 공정을 기재하는 계획; 도 1c - 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라미터를 기재하는 계획.
도 2는 20년 7월 28일자의 치료 전 기저 세포 암종 관여가 의심되는 편평 세포 암종을 갖는 환자의 변색 및 색소형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20년 10월 30일자의 치료 후 기저 세포 암종 관여가 의심되는 편평 세포 암종을 갖는 환자의 변색 및 색소형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는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본 출원을 다음의 설명에 제시되거나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는 상세한 설명으로 반드시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가 있을 수 있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적 조직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 및 특히, 악성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이다.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식물-기반 조성물 및/또는 성분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보통 낭종 또는 액체 영역을 함유하지 않는 조직의 비정상적 덩어리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식물 기반 조성물 또는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경우,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몇 가지만 말하면, 조성물 및/또는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의 증상을 경감할 수 있거나, 종양 덩어리의 퇴행을 야기하거나, 암 진행을 늦추거나 또는 암을 치유할 수 있음). 이때에, 다수 형태의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 및 이의 수반하는 증상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적 치료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이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을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대상체에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Nigella sativa), 티무스 카피타투스(Thymus capitatus),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오리가눔 시리아쿰(Origanum syriacum), 팀브라 스피카타(Thymbra spicata), 사투제라 팀브라(Satujera thymbra), 세사뭄 인디쿰(Sesamum indicum), 러스 코리아리아(Rhus coriaria), 지노스테마 펜타필룸(Gynostemma pentaphyllum), 보스웰리아 사크라(Boswellia sacra) 및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대안의 또는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 성장에 대한 백신이 제공되되,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고/하거나 성장을 늦출 수 있고,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보스웰리아 사크라 및 파낙스 진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대안의 또는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되되,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보스웰리아 사크라 및 파낙스 진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대안의 또는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 중 적어도 2가지를 포함하는 물질의 조성물이 제공되되,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보스웰리아 사크라 및 파낙스 진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는 브로멜라인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는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파인애플의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양상은 종양바이러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이 인정된다.
종양바이러스:
종양바이러스 또는 종양형성 바이러스을 야기할 수 있는 바이러스이다. [4]  본 명세서에 종양바이러스라는 용어는 암을 야기하는 DNA 또는 RNA 게놈을 갖는 임의의 바이러스를 지칭하며, "종양 바이러스" 또는 "암 바이러스"와 동의어이다.
카포시 육종피부에서 덩어리를 형성할 수 있고 HHV-8로도 불리는 카포시 육종-연관 헤르페스바이러스(KSHV)에 의해 야기되는 이다.
DNA 바이러스DNA 바이러스인 인유두종 바이러스(HPV)는 p53과 같은 종양 억제 단백질의 방해를 통해 세포에서 형질전환을 야기한다. p53 작용을 방해하는 것은 상이한 단계의 세포 주기로 이동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세포가 감염되게 하여, 바이러스 게놈이 복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세포를 강제로 세포 주기의 S기가 되게 하는 것은 세포가 형질전환되게 할 수 있었다. [25]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은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질암, 음경암, 항문암HPV-양성 구인두암의 주된 원인이다. [7][26][27][28][29][30][31] 거의 200종의 별도의 인유두종 바이러스(HPV)가 있으며, [29]  다수의 HPV 유형은 발암성이다. [7][26]
Figure pct00001
카포시 육종-연관 헤르페스바이러스(KSHV 또는 HHV-8)는 피부암 유형인 '카포시 육종과 연관된다. [32]
Figure pct00002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EBV 또는 HHV-4)는 4가지 암 유형과 연관된다.
Figure pct00003
메르켈 세포 폴리오마바이러스 - 폴리오마 바이러스 -는 메르켈 세포 암종의 발생과 연관된다 [24]
Figure pct00004
인간 거대세포 바이러스(CMV 또는 HHV-5)는 점막표피양암종 암종 및 가능하게는 다른 악성종양과 연관된다. [33]
RNA 바이러스
일부 RNA 바이러스, 예컨대, C형 간염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특정 레트로바이러스, 예를 들어, 인간 T-림프친화 바이러스(HTLV-1) 및 라우스 육종 바이러스(RSV)는 또한 암과 연관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식물"은 전체 식물, 접목 식물, 식물의 조상 및 자손 및 식물 부분(종자, 꽃, 나무껍질, 싹, 줄기, 뿌리(덩이줄기를 포함), 열매, 뿌리줄기, 접순 및 식물 세포, 조직 및 기관을 포함)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물 부분은 종자이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물 부분은 열매이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물 부분은 잎이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물 부분은 줄기이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물 부분은 꽃이다.
식물 부분은 고체 부분 또는 비고체 부분, 예컨대, 식물의 유성 또는 수성 부분일 수 있다.
식물은 현탁 배양물, 배아, 분열부(meristematic region), 캘러스 조직, 잎, 배우체, 포자체, 화분 및 소포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식물이라는 용어는 야생 식물 또는 이들의 경작된 품종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식물 종"은 속 내의 하나 이상의 식물의 하위 그룹을 지칭한다. 이들 식물은 서로 유사한 특징을 공유할 것이다. 종 내에 단일 식물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수백 가지의 식물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용어는 다른 지리학적 위치에서 성장되거나 발견될 수 있는 하위 종, 예를 들어, 레바논 옻나무 및 시리아 옻나무 또는 한국 인삼 및 미국 인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식물 속"은 과(family) 아래이면서 종(species) 위에 있는 분류학적 순위를 지칭한다.
이하에 열거하는 관련 종 및 속 및 각각의 옵션 또는 이들의 조합은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용어 "추출"은 하나 이상의 분석물 이외의 샘플 성분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분석물의 분리에 따르는 분리 공정을 지칭한다. 추출은 하나 이상의 용질을 하나의 상에서 다른 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전형적으로 2개의 비혼화성 상을 사용하는 공정이다. 두 상 사이의 용질 분포는 분할 이론에 의해 설명되는 평형상태이다. 예를 들어, 물에서 찻잎을 끓이면 잎에서 물로 탄닌, 테오브로민 및 카페인을 추출한다. 연구실에서뿐만 아니라 전형적으로 수행되는 더 전형적인 추출은 유기 화합물을 수성상에서 유기상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통상적인 추출물은 힐데브란트(Hildebrand) 용해도 파라미터에 따라 극성의 순서를 증가시킴에 있어서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물로 배열된다(에틸 아세테이트<아세톤<에탄올<메탄올<아세톤:물(7:3)<에탄올:물(8:2)<메탄올:물(8:2)<물). 식물 추출을 위한 절차는 도 1a 내지 도 1c에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추출물"은 추출 공정에 따라서 용액 제형 형태 또는 다른 화학적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이러한 분리 공정의 결과를 지칭한다. 특히, 용어 추출물은, 예컨대, 에탄올 또는 물과 같은 용매를 이용함으로써, 샘플 부분(예를 들어, 원재료)을 추출함으로써 생성된 물질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예에서,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용질이 풍부한 용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의미에서 "식물 추출물"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추출 공정으로 목적하는 활성 구성성분을 단리 또는 정제함으로써 식물 물질의 농축된 제조를 포함한다.
용매의 선택은 얻어질 목적하는 성분에 따른다. 예를 들어, 추출 공정에서 극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은 용매가 물,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탄올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고, 한편으로, 비극성 화합물에 대해서는 추출물의 용도에 따라 다이에틸 에터, 헥산 또는 클로로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중간 극성에 대해, 에틸 아세테이트를 선택할 수 있지만, 다른 용매도 사용될 수 있다.
고체/액체 추출물의 일반 절차는 5가지 상이한 방법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온침(Maceration): 접촉 단계는 실온에서 유지된다.
전출(Decoction) 또는 환류: 접촉 단계는 용매의 비등점에서 유지된다.
분해(Digestion): 접촉 단계는 이전의 두 경우 사이의 온도에서 유지된다.
주입: 비등 용매는 고체에 부어지고, 이어서, 설정 시간 동안 냉각되도록 둔다.
침출 또는 침투(percolation): 용매는 바이오매스를 통과한다.
이는 또한 이들 방법을 서로 또는 증류, 증기 증류, 정류 등과 같은 다른 공정과 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성공적으로 또는 조합된 다양한 용매의 용도가 상정되며, 유기 화학의 당업자라면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활성 성분에 따라 어떤 것을 선택할지를 알 것이다.
추출은 한외여과, 역삼투, 고압(초임계 CO2), 마이크로파, 초음파 등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추가로 보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식물 부분은 몇 분 동안, 예를 들어, 15분 이상, 약 30분 이상, 약 1시간 이상, 약 2시간 이상 또는 약 5시간 이상 동안 극성 용매(예를 들어, 에탄올) 또는 비극성 용매(예를 들어, 헥산 또는 펜탄)와 접촉된다.
온도는 또한 접촉 동안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물 부분은 용매(예를 들어, 에탄올)와 접촉되면서, 예를 들어, 진탕기 상에서 지속적으로 혼합된다.
추출 공정은 또한 무용매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무용매 마이크로파 추출(SFME)은 식품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방향성 허브로부터의 에센셜 오일 추출을 위한 녹색 방법(green method)으로서 제안되었다. 이 기법은 임의의 첨가된 용매 또는 물 없이 대기압에서 수행되는 마이크로파 가열과 건류(dry distillation)의 조합이다. 휘발성 화합물의 단리 및 농도는 단일 단계에서 수행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SFME 및/또는 하이드로 증류(hydro-distillation: HD))는 본 발명의 식물로부터의 에센셜 오일의 추출을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공정은 액체 추출물과 고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즉, 조질의 추출물)로부터 액체 추출물(즉, 여과된 추출물)을 단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액체 추출물(즉, 여과된 추출물)을 단리시키기 위한 적합한 수단은 유기 합성 기술에 공지된 것을 포함하며, 중력 여과, 흡인 및/또는 감압여과, 원심분리, 세팅(setting) 및 디캔팅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리시키는 단계는 기공 크기가 약 1 내지 5㎛, 약 0.5 내지 5㎛, 약 0.1 내지 5㎛, 약 1 내지 2㎛, 약 0.5 내지 2㎛, 약 0.1 내지 2㎛, 약 0.5 내지 1㎛, 약 0.1 내지 1㎛, 약 0.25 내지 0.45㎛ 또는 약 0.1 내지 0.5㎛(예를 들어, 약 2㎛, 약 1㎛, 약 0.45㎛ 또는 약 0.25㎛)인 다공질막, 주사기, 스펀지, 제올라이트, 종이 등을 통해 액체 추출물을 여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여과된 추출물의 생성 후에 건조시키는 것(즉, 극성/비극성 용매의 제거) 및/또는 냉동시키는 것을 상정한다.
여과된 추출물을 건조시키는(즉, 극성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감압(예를 들어, 부기압(sub-atmospheric pressure)) 및/또는 상승된 온도(예를 들어, 약 25℃ 초과)에서의 용매 증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발과 같은 표준 용매 제거 절차에 의해 액체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공증발, 동결건조 등과 같은 공정은 액체 분획으로부터 극성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건조 분말, 건조 펠릿, 건조 과립, 페이스트 등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극성 용매는 진공 증발기에 의해 증발된다.
추출 공정의 선택은 단리될 성분에 따라 크게 다르다.
추출물의 생성 후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여과된 추출물을 분획화함으로써 추출물로부터 활성제를 추가로 단리/정제하기 위해, 추가 정제 단계를 더 고려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분획"은 추출물의 특정 화학 성분만을 함유하지만 모두는 아닌 추출물의 일부를 지칭한다.
분획화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분취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감압 증류 및 이들의 조합과 같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획화는 HPLC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분획화는 극성 용매(예컨대,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은 메탄올)에서 여과된 추출물을 재현탁시키는 단계, 분리 칼럼에 극성 추출물을 적용하는 단계, 및 항-호흡 질환(anti-respiratory disease)(예를 들어, 항섬유증, 항염증) 활성을 갖는 추출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분취 HPLC)에 의해 단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극성 추출물로부터의 분획을 용리시키기 위해 극성 추출물과 함께 분리 칼럼에 용리 용매가 적용된다. 사용을 위한 적합한 용리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세톤, 아세트산, 이산화탄소, 메틸에틸 케톤, 아세토나이트릴, 뷰티로나이트릴, 이산화탄소, 에틸 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아이소-프로필에터, 암모니아, 트라이에틸아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등,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의 또는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포함한다.
대안의 또는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역 고정상 상에서 수행된다.
분획은 분광학적 방법, 예컨대, 이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UV-Vis"), 적외선 분광법("IR") 등; 질량분석법("MS") 방법, 예컨대, 이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행시간 MS; 사중극자 MS; 전기분무 MS, 퓨리에 변환 MS, 매트릭스-보조 레이저 탈착/이온화("MALDI") 등;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예컨대, 이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체-크로마토그래피("GC"),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등; 및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GC/MS, LC/MS, HPLC/UV-Vis 등) 및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타 분석 방법과 같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분석 방법에 의해 특성규명될 수 있다.
얻어진 성분(활성 성분, 추출물 및/또는 분획)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 또는 이들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시험될 수 있다.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이하에서 뿐만 아니라 다음의 실시예 부문에서 추가로 기재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활성 성분, 추출물 및/또는 분획은 즉시 사용되거나 추가로 사용될 때까지 보관될 수 있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추출물 및/또는 분획은, 예를 들어, 추가로 사용될 때까지, 냉동기에서(예를 들어, 약 -20℃ 내지 -90℃, 약 -70℃ 내지 -90℃에서, 예를 들어, -80℃에서) 임의의 필요한 시간 길이 동안 냉동이 유지된다.
다른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추출물 및/또는 분획은 즉시(예를 들어, 몇 분 이내, 예를 들어, 최대 30분 이내에) 사용된다.
활성 성분, 추출물 및/또는 분획은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상이한 식물로부터의 또는 별도의 추출 절차로부터의) 상이한 활성 성분, 추출물 및/또는 분획을 함께 모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추출물로부터의, 상이한 추출물로부터의, 상이한 식물로부터의 및/또는 별도의 추출 절차로부터의) 상이한 활성 성분, 추출물 및/또는 분획을 함께 모을 수 있다.
본 교시를 이용하여, 본 발명자들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식물 및 추출물뿐만 아니라 이의 활성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에 대해 항(예방적 또는 치료적) 효과를 담당하는 정의된 화학 조성물을 지칭한다.
활성 성분은 식물로부터 정제되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인공, 인조)될 수 있다.
또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에 대한 항-종양(예방 또는 치료적) 효과가 유지된다면(다음의 실시예 부문 참조), 모방체로도 지칭되는 활성 성분의 유사체 및 유도체가 본 명세서에 상정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선택 식물로부터의 활성 성분 추출을 위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이다.
티무스 카피타투스( T. capitatus ) 잎으로부터의 추출 - 티무스 카피타투스(잎) 샘플의 지상부가 수집된다. 가지로부터 분리된 잎은 실온에서 7일 동안 탈수되고, 추출을 위해 미세한 분말에 약하게 배합된다.
에센셜 오일(EO) 추출 - 하이드로-증류는 식물, 예를 들어, 티무스 카피타투스의 건조된 지상부(aerial part)로부터의 EO를 추출하는 데 사용된다. 간략히 말해서, 추출은 몇 시간, 예를 들어, 3시간 동안, 500㎖의 증류수에서 100g의 식물을 혼합함으로써 수행된다.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황산나트륨 및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시켰다. 100g의 건조된 식물에 대해 얻어진 오일의 양(㎖)에 따라 EO 수율을 밝힌다. 최종적으로, 추가로 분석할 때까지 순수한 EO를 -4℃에서 보관하였다.
에센셜 오일 분석 - GC 및 GC-MS에 의해 EO의 화학적 조성을 시험한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GC 분석을 수행한다. 피크 면적의 통합에 의해 구성성분의 비율을 결정한다. 또한, 전형적으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해 상기 기재한 바와 동일한 조건 하에 EO를 분석하기 위해 질량분석법(MS)이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화합물의 식별은 질량 스펙트럼의 적합도 및 순도에 기반하여 와일리 라이브러리 검색 루틴12(Wiley library search routines12) 표준의 지수와 이들의 체류 지수(일련의 n-알칸의 체류 시간에 대해 상대적으로 결정됨)의 비교에 의해 정해진다. 이러한 조건은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활성 성분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사투레자 팀브라(Satujera Thymbra)로부터의 추출물:
사투레자 팀브라(S. thymbra)로부터의 모든 건조 지상부를 레바논에서 2009년 4월 동안 무작위로 수집하였다. 3시간 동안 식물 물질을 클레벤저형(clevenger-type) 장치를 이용하여 증기 증류하여 0.84%(w/w)의 수율로 에센셜 오일을 생성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오일을 건조시키고, 4℃에서 보관하였다. 사투레자 팀브라 오일을 GC/MS에 의해 분석하였다.
러스 코리아리아(옻)로부터의 추출물
러스 코리아리아 열매로부터 화합물을 단리시키고, 결정하고, 확인하기 위해, 옻의 열매 또는 잎으로부터 상이한 추출물을 취하였다. 일부는 수성 추출물로부터 단리되고, 다른 것은 알코올 추출물로부터 단리되고, 일부는 지질 추출물로부터 단리된다. 가수분해성 타닌은 열매에서 가장 높은 백분율을 차지하고, 그 다음은, 플라보노이드로 구성된다. 이는 열매의 항산화제 잠재력을 강조한다. 열매 질량의 거의 20%를 차지하는 가수분해성 타닌 다음으로 다른 확인되지 않은 화합물이 있다. 후속적으로 안토사이아닌, 아이소플라보노이드, 터페노이드 및 다이터펜이 있다. 숙과에 대해 옻 열매의 화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고, 2.6% 단백질 함량, 7.4% 지방 함량, 14.6% 섬유질 함량, 1.8% 회분이 발견되었다. 또한, 열량측정 계산은 100g의 옻 열매가 147.8㎉를 함유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니겔라 사티바로부터의 티모퀴논의 추출
온도 제어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방법, Soxhlet 및 통상적인 고체/액체 추출을 갖는 마이크로파-보조 추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니겔라 사티바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예를 들어,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음)은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본 명세서에 상정된 추가적인 식물은 니겔라 속을 갖는다.
니겔라는 남유럽, 북아프리카, 남아시아, 서남아시아 및 중동이 원산지인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의 일년생 식물의 18가지 종의 속이다. 이 속의 구성원에 적용된 일반명은 니겔라, 데블인어부쉬(devil-in-a-bush) 또는 러브인어미스트(love-in-a-mist)이다.
니겔라 아르벤시스(Nigella arvensis)
니겔라 카르파타(Nigella carpatha)
니겔라 다마세나(Nigella damascena)
니겔라 데게니(Nigella degenii)
니겔라 데서티(Nigella deserti)
니겔라 도에르플레리(Nigella doerfleri)
니겔라 엘라타(Nigella elata)
니겔라 푸마리폴라(Nigella fumariifola)
니겔라 히스파니카(Nigella hispanica)
니겔라 라티섹타(Nigella latisecta)
니겔라 니겔라스트럼(Nigella nigellastrum)
니겔라 오리엔탈리스(Nigella orientalis)
니겔라 옥시페탈라(Nigella oxypetala)
티모(thymo)
니겔라 사티바
니겔라 세게탈리스(Nigella segetalis)
니겔라 스트릭타(Nigella stricta)
니겔라 운귀쿨라리스(Nigella unguicularis)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은 티모퀴논이다.
티모퀴논을 함유하는 추가적인 식물은:
(모나르다(Monarda) 속의) 모나르다 피스툴로스(Monarda fistulos);
(사투레자(Satujera) 속의) 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티모퀴논을 함유하는 추가적인 과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국화과 -예는 하기의 서브패밀리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12
에스피나아과(Barnadesioideae) Bremer & Jansen
Figure pct00013
엉겅퀴아과(Carduoideae) Sweet
Figure pct00014
치커리아과(Cichorioideae) Chevallier
Figure pct00015
코림비움아과(Corymbioideae) Panero & Funk
Figure pct00016
사칸사아과(Famatinanthoideae) S.E. Freire, Ariza & Panero
Figure pct00017
코크나티아아과(Gochnatioideae) Panero & Funk
Figure pct00018
김나르헤나아과(Gymnarrhenoideae) Panero & Funk
Figure pct00019
헤카스토클레이스아과(Hecastocleidoideae) Panero & Funk
Figure pct00020
무티시아아과(Mutisioideae) Lindley
Figure pct00021
단풍취아과(Pertyoideae) Panero & Funk
Figure pct00022
스티프티아아과(Stifftioideae) Panero
Figure pct00023
운데를리키아아과(Wunderlichioideae) Panero & Funk
측백나무과(Cupressaceae)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넓은 잎삼나무아과(Cunninghamioideae)
Figure pct00026
대만삼나무아과(Taiwanioideae)
Figure pct00027
아트로택시스삼나무아과(Athrotaxidoideae)
Figure pct00028
세쿼이아아과(Sequoioideae)
Figure pct00029
낙우송아과(Taxodioideae)
Figure pct00030
칼리트리스삼나무아과(Callitroideae)
Figure pct00031
편백아과(Cupressoideae)
Figure pct00032
미확정 분류군
꿀풀과(Lamiacea)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
Figure pct00033
히드라스티스아과(Hydrastidoideae)
Figure pct00034
글라우시디움아과(Glaucidioideae)
Figure pct00035
황련아과(Coptoideae)
Figure pct00036
꿩의다리아과(Thalictroideae)
Figure pct00037
미나리아재비아과(Ranunculoideae)
카바크롤(Carvacrol)을 함유하는 식물의 목록은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모나르다 디디마(Monarda didyma)
니겔라 사티바
오리가눔 콤팩툼(Origanum compactum)
오리가눔 딕탐누스(Origanum dictamnus)
오리가눔 마크로필럼(Origanum microphyllum)
오리가눔 오나이츠(Origanum onites)
오리가눔 스카브럼(Origanum scabrum)
오리가눔 시리아쿰
오리가눔 불가레(Origanum vulgare)
플렉트란투스 암보이니쿠스(Plectranthus amboinicus)
티무스 글란둘로서스(Thymus glandulosus)
라반둘라 멀티피다(Lavandula multifida)
오리가눔 미누티플로럼(Origanum minutiflorum)
사투레자 팀브라(Satureja thymbra)
티무스 카피타투스에서 발견된 활성 성분
Figure pct00038
본 명세서에 상정된 추가적인 식물은 티무스(Thymus) 속이다.
티무스 속
Figure pct00039
은 유럽, 남아프리카 및 아시아의 온대 지역이 원산지인 꿀풀과의 40㎝ 길이까지의 방향성 다년생 초본식물 및 아관목의 약 350가지 종을 포함한다.
줄기는 좁거나 심지어 철사같은 경향이 있으며; 잎은 대부분의 종에서 상록수이며, 마주보는 쌍으로 배열되고, 타원형이며, 소형이고, 4 내지 20㎜ 길이이고, 보통 향기가 있다. 백리향 꽃(Thyme flower)은 말단부가 조밀하며 꽃받침이 고르지 않고, 상부 순판이 3갈래이며, 황색, 백색 또는 보라색이다.
속의 몇몇 구성원은 요리용 허브 또는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가장 잘 알려진 종인 티무스 불가리스 또는 일반명 백리향에 따라 백리향으로도 불린다.
하기를 포함하는 약 350가지의 종:
티무스 아다모비시(Thymus adamovicii)
티무스 알타이쿠스(Thymus altaicus)
티무스 아무렌시스(Thymus amurensis)
티무스 보이시에리(Thymus boissieri)
티무스 브락테오서스(Thymus bracteosus)
티무스 브로우소네티(Thymus broussonetii)
티무스 카에스피티티우스(Thymus caespititius)
티무스 캄포라투스(Thymus camphoratus)
티무스 카피타투스(Thymus capitatus)
티무스 카피텔라투스(Thymus capitellatus)
티무스 캄포라투스(Thymus camphoratus)
티무스 카르노서스(Thymus carnosus)
티무스 세팔로투스(Thymus cephalotus)
티무스 셰어레리오이데스(Thymus cherlerioides)
티무스 실리아투스(Thymus ciliatus)
티무스 실리시쿠스(Thymus cilicicus)
티무스 시미시누스(Thymus cimicinus)
티무스 시트리오도러스(Thymus citriodorus)(티무스×시트리오도러스) syn. 티무스 프라그란티시무스(T. fragrantissimus), 티무스 세르필룸 시트라투스(T. serpyllum citratus), 티무스 세르필룸 시트리오도럼(T. serpyllum citriodorum).[7] - 시트러스 타임(citrus thyme)
티무스 코모서스(Thymus comosus)
티무스 콤투스(Thymus comptus)
티무스 커투스(Thymus curtus)
티무스 데쿠사투스(Thymus decussatus)
티무스 디준투스(Thymus disjunctus)
티무스 도에르플레리(Thymus doerfleri)
티무스 글라브레센스(Thymus glabrescens)
티무스 허바-바로나(Thymus herba-barona)
티무스 히르수터스(Thymus hirsutus)
티무스 히에말리스(Thymus hyemalis)
티무스 이나에쿠알리스(Thymus inaequalis)
티무스 인테거(Thymus integer)
티무스 라누지노서스, syn. 티무스 세르필룸(T. serpyllum) - 양모 백리향
티무스 류코스페르무스(Thymus leucospermus)
티무스 류코트리쿠스(Thymus leucotrichus)
티무스 롱기카울리스(Thymus longicaulis)
티무스 롱기플로러스(Thymus longiflorus)
티무스 만드추리쿠스(Thymus mandschuricus)
티무스 마르찰리아누스(Thymus marschallianus)
티무스 마스티키나(Thymus mastichina)
티무스 멤브라나세우스(Thymus membranaceus)
티무스 몬골리쿠스(Thymus mongolicus)
티무스 모로데리(Thymus moroderi)
티무스 네불로서스(Thymus nervulosus)
티무스 넘무라리스(Thymus nummularis)
티무스 오도라티시무스(Thymus odoratissimus)
티무스 팔라시아누스(Thymus pallasianus)
티무스 팔리두스(Thymus pallidus)
티무스 파노니쿠스(Thymus pannonicus)
티무스 파에콕스(Thymus praecox) - 크리핑 타임(creeping thyme)
티쿠스 프록시무스(Thymus proximus)
티무스 슈도라누지노서스(Thymus pseudolanuginosus), syn. 티무스 세르필룸(T. serpyllum) - 양모 백리향
티무스 풀레기오이데스(Thymus pulegioides) - 레몬 타임 [8]
티무스 퀸쿠에코스타투스(Thymus quinquecostatus)
티무스 리카르디(Thymus richardii)
티무스 사투레이오이데스(Thymus satureioides)
티무스 세르필럼(Thymus serpyllum)
티무스 십토르피(Thymus sibthorpii)
티무스 스트리아투스(Thymus striatus)
티무스 트라시쿠스(Thymus thracicus) - 라벤더 타임
티무스 빌로서스(Thymus villosus)
티무스 불가리스 - 선백리향(common thyme)
티무스 지기스(Thymus zygis)
티몰을 함유하는 식물의 목록은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유프라시아 로스트코비아나(Euphrasia rostkoviana)
라고에시아 쿠미노이데스(Lagoecia cuminoides)
모나르다 디디마(Monarda didyma)
모나르다 피스툴로사(Monarda fistulosa)
모슬라 키넨시스(Mosla chinensis), Xiang Ru
오리가눔 콤팩툼(Origanum compactum)
오리가눔 딕탐누스(Origanum dictamnus)
오리가눔 오나이츠(Origanum onites)
오리가눔 불가레(Origanum vulgare)
사투레자 팀브라(Satureja thymbra)
티무스 글란둘로서스(Thymus glandulosus)
티무스 히에말리스(Thymus hyemalis)
티무스 불가리스
티무스 지기스(Thymus zygis)
트라키스퍼뭄 암미(Trachyspermum ammi)
티무스 불가리스의 활성 성분: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티무스 불가리스의 EO에 대한 활성 성분은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44
사투레자 팀브라의 활성 성분:
사투레자 팀브라(S. thymbra)로부터의 모든 건조 지상부를 레바논에서 2009년 4월 동안 무작위로 수집하였다. 3시간 동안 식물 물질을 클레벤저형(clevenger-type) 장치를 이용하여 증기 증류하여 0.84%(w/w)의 수율로 에센셜 오일을 생성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오일을 건조시키고, 4℃에서 보관하였다. 사투레자 팀브라 오일을 GC/MS에 의해 분석한다. 오일 샘플의 98.8%를 나타내는 19종의 화합물을 확인한다. 사투레자 팀브라 L. 오일의 주요 성분은 γ-터피넨 (34.06%), 카바크롤(23.07%) 및 티몰(18.82%)이다. 또한 ρ-시멘(7.58%), 카리오필렌(3.96%), α-터피넨(3.53%) 및 미르센(1.70%)이 풍부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투레자 속의 식물이 상정된다.
사투레자는 로즈메리 및 타임과 관련된 꿀풀과의 방향족 식물 속이다. 이는 북아프리카, 유럽 남부 및 남동부 및 중앙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몇몇 신세계 종이 이전에 사투레자에 포함되었지만, 이들은 모두 다른 속으로 이동되었다. 몇몇 종은 풍미로 불리는 요리용 허브로서 재배되며, 이들은 몇몇 장소에서 야생에서 정착되었다.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사투레자 아다모비시(Satureja adamovicii) 
Figure pct00045
 - 발칸 지역
사투레자 아인타벤시스(Satureja aintabensis) P.H.Davis - 튀르키예
사투레자 아마니(Satureja amani) P.H.Davis - 튀르키예
사투레자 아트로파타나(Satureja atropatana) Bunge - 이란
사투레자 아브로마니카(Satureja avromanica) Maroofi - 이란
사투레자 바크티아리카(Satureja bachtiarica) Bunge - 이란
사투레자 보이시에리(Satureja boissieri) Hausskn. ex Boiss. - 튀르키예, 이란
사투레자 브지비카 Woronow - 캅카스
사투레자×카롤리-파우이(Satureja×caroli-paui) 
Figure pct00046
 - 스페인(사투레자 이노타(S. innota)×사투레자 몬타나(S. montana))
사투레자 실리시카(Satureja cilicica) P.H.Davis - 튀르키예
사투레자 코에룰레아(Satureja coerulea) Janka - 불가리아, 로마니아, 튀르키예
사투레자 쿠네이폴리아 Ten -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 이라크
사투레자×델포조이(Satureja×delpozoi)
Figure pct00047
& R.Morales - 스페인(사투레자 쿠네이폴리아(S. cuneifolia)×사투레자 인트리카타 변종 그라실리스(S. intricata var. gracilis))
사투레자 에드몬디(Satureja edmondii) Briq. - 이란
사투레자×엑스펙타타(Satureja×exspectata) 
Figure pct00048
 - 스페인 (사투레자 인트리카타 변종 그라실리스×사투레자 몬타나)
사투레자 푸카레키(Satureja fukarekii) 
Figure pct00049
 - 유고슬라비아
사투레자 헬레니카(Satureja hellenica) 
Figure pct00050
 - 그리스
사투레자 호르텐시스(Satureja hortensis) L.
사투레자 호르바티(Satureja horvatii) 
Figure pct00051
 - 그리스, 유고슬라비아
사투레자 이카리카(Satureja icarica) P.H.Davis - 그리스 섬
사투레자 이노타(Pau) Font Quer - 스페인
사투레자 인터미디아(Satureja intermedia) C.A.Mey. - 이란, 캅카스
사투레자 인트리카타(Satureja intricata) Lange - 스페인
사투레자 이소필라(Satureja isophylla) Rech.f. - 이란
사투레자 칼라리카(Satureja kallarica) Jamzad - 이란
사투레자 커만샤헨시스(Satureja kermanshahensis) Jamzad - 이란
사투레자 쿠지스타니카(Satureja khuzistanica) Jamzad - 이란
사투레자 키타이베리(Satureja kitaibelii) Wierzb. ex Heuff. - 불가리아, 로마니아, 유고슬라비아
사투레자 락시플로라(Satureja laxiflora) K.Koch - 이란, 이라크, 튀르키예, 캅카스
사투레자 리네아리폴리아(Satureja linearifolia)(Brullo & Furnari) Greuter - 리비아의 키레나이카 지역
사투레자 마크란타(Satureja macrantha) C.A.Mey. - 이란, 이라크, 튀르키예, 캅카스
사투레자 메타스타시안타(Satureja metastasiantha Rech.f.) Rech.f. - 이라크
사투레자 몬타나 L. - winter savory - 유럽 남부, 튀르키예, 시리아
사투레자 무티카 Fisch. & C.A.Mey. - 캅카스, 이란, 투르크메니스탄
사투레자 나바테오럼(Satureja nabateorum) Danin & Hedge - 요르단
사투레자×오르제니(Satureja×orjenii) 
Figure pct00052
 - 유고슬라비아 (사투레자 호르바티(S. horvatii)×사투레자 몬타나)
사투레자 팔라리(Satureja pallaryi)
Figure pct00053
 - 시리아
사투레자 파르나시카(Satureja parnassica) Heldr. & Sart. ex Boiss. - 그리스, 튀르키예
사투레자 필로사(Satureja pilosa) Velen. - 이탈리아, 그리스, 불가리아
사투레자 루멜리카(Satureja rumelica") Velen. - 불가리아
사투레자 사헨디카(Satureja sahendica) Bornm. - 이란
사투레자 살즈만니(Satureja salzmannii)(Kuntze) P.W.Ball - 모로코, 스페인
사투레자 스피시게라(Satureja spicigera)(K.Koch) Boiss. - 튀르키예, 이란, 캅카스
사투레자 스피노사(Satureja spinosa) L. - 튀르키예, 크레타섬을 포함하는 그리스 섬
사투레자 서브스피카타(Satureja subspicata) Bartl. ex Vis. -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알바니아, 불가리아, 이탈리아
사투레자 타우리카(Satureja taurica) Velen. - 크림반도
사투레자 팀브라 L. - 리비아, 사르데냐에서 튀르키예까지의 유럽 남동부; 키프로스, 레바논, 팔레스타인
사투레자 팀브리폴리아(Satureja thymbrifolia) Hedge & Feinbrun - 이스라엘, 사우디 아라비아
사투레자 비시아니(Satureja visianii) 
Figure pct00054
- 유고슬라비아
사투레자 위에데만니아나
Figure pct00055
 - 튀르키예
팀브라 스피카타의 활성 성분:
Figure pct00056
또한 본 명세서에서 팀브라(Thymbra) 속의 식물이 상정된다.
일반명이 메디테라니안 타임(Mediterranean thyme)인 팀브라는 꿀풀과 식물의 속이다. 현재 범주화되는 바와 같이, 속은 7가지 종 및 1개의 하위종을 갖는다. 유럽 남부의 지중해 지역, 북아프리카 및 중동이 원산지이다.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팀브라 칼로스타키아(Thymbra calostachya)(Rech.f.) Rech.f. - 크레타섬
팀브라 카피타타(Thymbra capitata)(L.) Cav. - 모로코 + 포르투갈에서 튀르키예 + 팔레스타인까지 퍼져 있음
팀브라 신테니시(Thymbra sintenisii) Bornm. & Azn. - 이라크, 튀르키예
팀브라 스피카타 L. - 그리스, 튀르키예,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이라크, 이란
팀브라 팀브리폴리아(Thymbra thymbrifolia)(Hedge & Feinbrun)
Figure pct00057
, comb. nov. -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유대광야, 키르베트 엘 미르드(Khirbet el Mird)
팀브라 나바테오럼(Thymbra nabateorum)(Danin & Hedge)
Figure pct00058
, comb. nov. - 요르단 서부 및 사우디 아라비아 북쪽 인근
팀브라 리니어리폴리아(Thymbra linearifolia)(Brullo & Furnari)
Figure pct00059
, comb. nov. - 리비아
러스 코리아리아(옻)의 화학적 조성물
HPLC-MS 방법을 이용하는 옻의 화학적 화합물의 특성규명 및 확인으로 러스 코리아리아에서 191종의 화합물을 확인하고 이들을 일반적으로 하기와 같이 분류하였다:
Figure pct00060
78종의 가수분해성 타닌(예를 들어, 갈로타닌, 예를 들어, 펜타, 헥사, 헵타, 옥타, 노나 및 데카갈로일-글루코사이드)
Figure pct00061
59종의 플라보노이드(예를 들어, 퀘르세틴, 마이레세틴 3-람노사이드 및 퀘르세틴 3-글루코사이드)
Figure pct00062
9종의 안토사이아닌(예를 들어, 델피딘-3-글루코사이드, 사이아니딘 3-(2"-갈로일)갈락토사이드, 사이아니딘-3-글루코사이드, 7-메틸-사이아니딘-3-(2"갈로일)갈락토사이드, 7-메틸-사이아니딘-3-갈락토사이드)
Figure pct00063
2종의 아이소플라보노이드
Figure pct00064
2종의 터페노이드
Figure pct00065
1종의 다이터펜
Figure pct00066
38종의 다른 확인되지 않은 화합물.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옻의 페놀 화합물은 안토사이아닌과 함께 이의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활성을 구성하는 화합물이다. 옻 열매에서 가장 풍부한 페놀 화합물은 갈산(Gallic acid)인 것이 발견되었다.
가수분해성 타닌은 열매에서 가장 높은 백분율을 차지하고, 그 다음은, 플라보노이드로 구성된다. 이는 구체적 실시형태로서 본 명세서에 상정된 식물 부분인 열매의 항산화제 잠재력을 강조한다. 열매 질량의 거의 20%를 차지하는 가수분해성 타닌 다음으로 다른 확인되지 않은 화합물이 있다. 후속적으로 안토사이아닌, 아이소플라보노이드, 터페노이드 및 다이터펜이 있다. 숙과에 대해 옻 열매의 화학적 특성을 수행하고, 2.6% 단백질 함량, 7.4% 지방 함량, 14.6% 섬유질 함량, 1.8% 회분이 발견되었다. 또한, 열량측정 계산은 100g의 옻 열매가 147.8㎉를 함유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가수분해성 타닌은 열매에서 가장 높은 백분율을 차지하고, 그 다음은, 플라보노이드로 구성된다. 이는 열매의 항산화제 잠재력을 강조한다. 열매 질량의 거의 20%를 차지하는 가수분해성 타닌 다음으로 다른 확인되지 않은 화합물이 있다. 후속적으로 안토사이아닌, 아이소플라보노이드, 터페노이드 및 다이터펜이 있다. 숙과에 대해 옻 열매의 화학적 특성을 수행하고, 2.6% 단백질 함량, 7.4% 지방 함량, 14.6% 섬유질 함량, 1.8% 회분이 발견되었다. 또한, 열량측정 계산은 100g의 옻 열매가 147.8㎉를 함유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다른 활성 성분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물은 메틸 갈레이트, 아가티스플라본, 수마플라본, 히노키플라본, 포토카테쿠인산, 펜타-갈로일글루코스, 히노키플라본, β-카리오필렌, 델피딘-3-글루코사이드, 사이아니딘 3-(2"-갈로일)갈락토사이드, 사이아니딘-3-글루코사이드, 7-메틸-사이아니딘-3-(2"갈로일)갈락토사이드, 7-메틸-사이아니딘-3-갈락토사이드, 퀘르세틴-3-글루코사이드, 캄프페롤, 미리세틴, 부테인, D-리모닌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휘발성 화합물, 예를 들어, 터펜 탄화수소, 모노터펜 및 세스퀴터펜 탄화수소, 구체적으로는 β-카리오필렌 및 α-피넨, 코리리아나프틸 에터, 코리아리온산 및 코리아리악트라센일 에스터를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지방산, 예를 들어, 올레산, 리놀레산, 팔미트산, β-카리오필렌, 셈브렌 스테아르산, 미리스트산, α-리놀렌산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무기염류, 예를 들어,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인, 알루미늄, 철, 나트륨, 붕소, 아연, 카드뮴, 셀레늄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비타민, 예를 들어, 티아민 B1, 리보플라빈 B2, 피리독신 B6, 사이아노코발라민 B12, 니코틴아마이드, 바이오틴 및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 추출이 수행되고, 예를 들어, 에탄올 농도는 80%이며; 추출 시간은 1시간이고; 추출 온도는 40℃이고; 입자 크기 1.0㎜이며; 용매 대 옻 비는 15:1㎖/g이다. 다른 추출 절차는 본 명세서에 전문이 참조에 의해 원용된 문헌[Sakhr and Khatib Heliyon. 2020 Jan; 6(1): e03207]에 기재된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물 부분은 잎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옻나무속(Rhus)의 식물이 상정된다.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시아 및 유럽 남부
붉나무(Rhus chinensis) Mill. - 차이니즈 수맥(Chinese sumac)
러스 코리아리아 - 타너 수맥(Tanner's sumac)
러스 데라바이(Rhus delavayi) Franchet
오스트레일리아, 태평양 연안
러스 타이텐시스(Rhus taitensis) Guill. (오스트레일리아 북동부, 말레이시아, 미크로네시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러스 샌드위센시스(Rhus sandwicensis) A.Gray - 네넬리우(neneleau)(하와이)
북아메리카
러스 아로마티카(Rhus aromatica) - 향기 옻나무
러스 코팔리넘(Rhus copallinum) - 윙드(winged) 또는 샤이닝 수맥(shining sumac)
러스 글라브라(Rhus glabra) - 스무드 수맥(smooth sumac)
러스 인테그리폴리아(Rhus integrifolia) - 레모네이드 수맥(lemonade sumac)
러스 키아르네이(Rhus kearneyi) - 키어니 수맥(Kearney sumac)
러스 란세올라타(Rhus lanceolata) - 프라이리에 수맥(prairie sumac)
Figure pct00067
러스 말로리(Rhus malloryi) Wolfe & Wehr - 이프레시안, 워싱턴
러스 미차욱시(Rhus michauxii)- 미차욱스 수맥(Michaux's sumac)
러스 마이크로필라(Rhus microphylla) - 사막 수맥(desert sumac), 리틀리프 수맥(littleleaf sumac)
러스 오바타(Rhus ovata) - 슈거 수맥(sugar sumac)
Figure pct00068
러스 리퍼블리센시스(Rhus republicensis) Flynn, DeVore, & Pigg-이프레시안, 워싱턴
Figure pct00069
러스 루세아(Rhus rooseae) 맨체스터 - 에오세(Eocene) 중기, 오리건주
러스 트리오바타(Rhus trilobata) Nutt. - 스컹크덤불 옷나무(skunkbush sumac)
러스 티피나(Rhus typhina) - 스타곤 수맥(staghorn sumac)
러스 비렌스(Rhus virens) Lindh. ex A.Gray- 에버그린 수맥(evergreen sumac)
파낙스 진셍(인삼)의 화학적 조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는 인삼의 화학적 화합물의 특성규명 및 확인으로 파낙스 진셍에서 매우 다양한 화합물을 확인하고 이들을 일반적으로 하기와 같이 분류하였다:
Figure pct00070
사포닌 글리코사이드(예를 들어, 진세노사이드)
Figure pct00071
피토스테롤(예를 들어, 스티그마스테롤, 베타-스테롤)
Figure pct00072
세스퀴터펜(예를 들어, 베타-알라멘 및 베타-셀리닌)
Figure pct00073
플라베노이드(예를 들어, 캠퍼롤)
Figure pct00074
폴리아세틸렌(예를 들어, 파낙시놀, 진세노인 A)
Figure pct00075
알칼로이드(예를들어, 퓨마린, 기리님빈)
Figure pct00076
다당류
Figure pct00077
페놀 화합물(예를 들어, 엘레미신, 다우리신, 말톨).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삼의 사포닌 화합물 및 다당류 화합물은 이의 파이토케미컬 활성을 구성하는 화합물이다. 인삼 뿌리에서 가장 풍부한 사포닌 화합물은 진세노사이드가 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인삼으로부터의 다당류는 NGP, WGP, 1-KGP, 4-KGP, WGPE 및 EGP로서 확인되었고, 추출을 위해 사용되는 인삼 식물 물질 종에 따라서 WGP 및 WGPE가 가장 풍부하다.
대부분의 인삼 사포닌은 4개의 트랜스-고리 강성 스테로이드 골격을 갖는 스테로이드의 패밀리에 속한다. 이들은 또한 진세노사이드, 트라이터페노이드 사포닌 또는 담마란(dammarane) 유도체로서 지칭된다. 인삼 식물로부터 200종 초과의 사포닌이 단리되었다. 인삼 뿌리에 추가로, 사포닌은 인삼 잎 및 줄기, 꽃봉오리, 열매, 딸기류 및 종자에서 확인되었다. 증기 또는 가열이 인삼 제품의 사포닌 프로파일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인삼 사포닌은 또한 가공된 뿌리, 잎, 꽃봉오리 및 딸기류에서 확인되었다.
인삼 사포닌은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2개의 주요 기는 C-3에 부착된 당 모이어티를 갖는 프로토파낙사다이올(PPD)-형 사포닌 및/또는 C-20 및 C-6 및/또는 C-20에서 당 모이어티를 갖는 프로토파낙사트라이올(PPT)기이다. 다른 기는 C-20에서 5원 에폭시 고리를 갖는 오코틸롤-형, 비스테로이드 구조를 갖는 올리아난-형 및 변형된 C-20 측쇄를 갖는 담마란 유형을 포함한다. 화학적 정제 및 구조적 확인을 위해 기술이 개발되기 때문에, 신규한 인삼 사포닌이 계속해서 발견되어야 한다.
아래의 표는 상이한 추출 절차에 의해 제조된 인삼 추출물로부터 회수된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나타낸다:
진세노사이드
Figure pct00078
아래의 표는 파낙스 식물의 다양한 부분으로부터 단리된 123종의 담마란형 사포닌의 화학식을 나타낸다. 이들은 구조 유형 순서로 배치된다.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인삼 뿌리(일본 인삼)의 분석은 (100그램의 뿌리당) 0.17g(0.17%)의 총 지방, 50㎎ 나트륨, 2.3g 식이섬유 및 3.85g의 당을 포함하는 8.82g(8.82%)의 총 탄수화물 및 0.71g(0.71%)의 단백질 함량을 나타냈다. 열량 측정 계산은 100g의 인삼 뿌리가 37㎉를 함유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진세노사이드, 예를 들어, C-3 및/또는 C-20에 부착된 당 모이어티를 갖는 프로토파낙사다이올(PPD)-형 사포닌, C-6 및/또는 C-20에서 당 모이어티를 갖는 프로토파낙사트라이올(PPT) 사포닌, C-20에서 5원 에폭시 고리를 갖는 오코틸롤-형 사포닌, 비스테로이드 구조를 갖는 올레아난형 사포닌 및 담마란 형 사포닌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적 진세노사이드는 노토진세노사이드, 예산키노사이드, 파낙소다이온, 플로랄진세노사이드 및 진세노사이드 Rg1, Rd, Re, Rb1, R1, Rg3, Rk1, Rf, Rg5, F4, Ro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휘발성 화합물, 예를 들어, 터펜 탄화수소, 모노터펜 및 세스퀴터펜 탄화수소, 구체적으로는 β-알라멘 및 β-셀레닌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피토스테롤, 예를 들어, 스티그마스테롤, 베타-스테롤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폴리아세틸렌, 예를 들어, 파낙시놀, 진세노인 A를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플라베노이드, 예를 들어, 캠퍼롤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알칼로이드, 예를 들어, 퓨마린, 기리님빈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다당류, 예를 들어, WGP, KGP-1, KGP-4, WGPE, NGP, EGP를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페놀 화합물, 예를 들어, 엘레미신, 다우리신, 말톨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무기염류, 예를 들어,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인, 알루미늄, 철, 나트륨, 붕소, 아연, 카드뮴, 셀레늄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비타민, 예를 들어, 비타민 D, 비타민 A 및 비타민 C를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 추출이 수행되고, 예를 들어, 에탄올 농도는 80%이며; 추출 시간은 24시간이고; 추출 온도는 80 내지 90℃이고; 입자 크기 1.0㎜이며; 용매 대 진셍 비는 20:1㎖/g이다. 다른 추출 절차는 본 명세서에 전문이 참조에 의해 원용된 문헌[Dong et al. 2017 Phytother Res Aug; 19(8): 684-688]에 기재된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물 부분은 잎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파낙스 속의 식물이 상정된다.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85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는 데 적합한 한국 인삼 품종은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Chunpoong, Yunpoong, Gopoong, Sunpoong, Gumpoong, Cheongsun, Sunhyang, Sunun, Sunone, K-1, G-1 및 Kowon.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는 데 적합한 중국 인삼 품종은 Jilin Huangguo Reshen, Jishen 01, Fuxing 01, Fuxing 02, Kangmei 01, Xinkaihe 01, Xinkaihe 02, Zhongnong Huangfengshen 및 Zhongda Linxiashen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보스웰리아(Boswellia) 종(크랑킨센스(Frankincense), 올리바넘(Olibanum))의 화학적 조성
유향로도 알려진 올리바넘은 보스웰리아 나무의 나무껍질에서 태핑을 제외하는 천연 올레오 고무 수지(oleo-gum-resin)이다. 아라비아, 아프리카의 동부 연안 및 인도에서 주로 자라는 보스웰리아 속 나무의 대략 23가지 종이 있다.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는 유향(Olibanum)의 화학적 화합물의 특성규명 및 확인으로 보스웰리아 나무 종의 고무 수지에서 매우 다양한 화합물을 확인하고 이들을 일반적으로 하기와 같이 분류하였다:
Figure pct00086
알코올-가용성 수지(예를 들어, 다이터펜, 트라이터펜)
Figure pct00087
고도로 방향성인 에센셜 오일(예를 들어, 모노- 및 세스퀴터펜)
Figure pct00088
수용성 고무진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올리바넘은 65 내지 85%의 알코올-용해성 수지, 약 5 내지 9%의 고도로 방향성인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고, 나머지는 수용성 고무진을 포함한다.
인도에서, 보스웰리아 세라타(Boswellia serrata)의 주요 상업적 공급원은 Andhra Pradesh, Gujarat, Madhya Pradesh, Jharkhand 및 Chhattisgarh이다. 지역에 따라, 상이한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보스웰리아 세라타의 식물 기원 및 지방명은 아래의 표 1에 제공된다. 올레오 고무-수지인 살라이(Salai)는 보스웰리아(Boswellia) 속(과: 감람나무과(Burseraceae))의 식물 삼출물이다. 이는 나무 줄기를 절개한 것으로부터 수액을 받고, 이어서, 특수 제작된 대나무 바구니에 보관된다. 반-고체 고무-수지는 약 한 달 동안 바구니에 남아있을 수 있으며, 그 동안 현지에서 'ras'로 알려진 이의 유체 내용물이 계속 흘러나온다. 잔류물인 반고체 내지 고체 부분은 방향성 향기가 있는 무정형의 눈물 모양 생성물로 서서히 경화되는 고무 수지이다. 이어서, 이는 나무망치 또는 초퍼에 의해 작은 조각으로 부서지고, 이 과정 동안에 나무껍질 조각 등을 포함하는 모든 불순물은 수동으로 제거된다. 이어서, 고무-수지는 이의 풍미, 색,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등급화된다. 일반적으로, 4개 등급, 즉, 극상(Superfine), 등급 I, 등급 II 및 등급 III을 시장에서 이용 가능하다. 나무로부터 얻은 신선한 고무진은 따뜻하면서 기분좋은 풍미 및 약간 쓴 맛을 갖는다. 고대 이집트인, 그리스인, 로마인은 '유향(frankincense)'을 귀중한 향, 훈증제뿐만 아니라 다목적 방향제로서 사용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향가루와 스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Figure pct00089
올레오 고무-수지는 30 내지 60%의 수지, 유기 용매에서 가용성인 5 내지 10%의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고, 나머지는 수용성인 다당류(대략 65%의 아라비노스, 갈락토스, 자일로스)로 구성된다. 수지는 에센셜 오일의 존재로 인해 향기로운 향기를 갖고 있으며, 이는 상업적 중요성을 설명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터펜 및 세스퀴터펜 패밀리, 또는 이들의 터페노이드 유도체에 속하는 올리바넘의 공통 성분은 α- 및 β-피넨, α-리모넨, 미르센, 리날룰, α-쿠베벤, γ- 카디넨, β-부보넨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올리바넘의 α-펠란드렌 이량체 화합물은 이의 파이토케미컬 활성을 구성하는 화합물이다. 몇몇 산소처리된 아이소프레노이드 유도체, 예컨대, 카보닐 유도체(예를 들어, 카본, 펜촌) 및 알코올-함유 터펜 및 세스퀴터펜 유도체(예를 들어, 트랜스피노카베올, 시스-베르베놀 및 셈브레놀)뿐만 아니라 에스터-함유 화합물(예를 들어, α -터핀일 아세테이트 및 보르닐 아세테이트)이 또한 확인되었다.
다양한 연구자들은 리모넨이 올리바넘에서 가장 풍부하게 휘발성이라는 것을 보고하였고, 한편으로 나머지는 추출을 위해 사용되는 보스웰리아 식물 물질의 종에 따라서 옥탄올 아세테이트, α-피넨 및 α-투옌이 가장 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스웰리아 종으로부터 300종 초과의 에센셜 오일이 단리되었다.
아래의 표는 에센셜 오일이 다양한 보스웰리아 종으로부터의 상이한 추출 절차에 의해 제조되는 올리바넘 추출물로부터 회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90
Figure pct00091
Figure pct00092
Figure pct00093
Figure pct00094
Figure pct00095
Figure pct00096
Figure pct00097
Figure pct00098
Figure pct00099
다수의 보스웰리아 종이 올리바넘을 생성하지만, 상업적 올리바넘의 주요 공급원은 보스웰리아 세라타(인도), 보스웰리아 사크라(오만) 및 보스웰리아 카르테리(B carteri)(소말리아)이다. 아래의 표는 이들의 백분율 표현에 따라 다양한 보스웰리아 종으로부터 유래된 올리바넘의 주요 성분을 나타낸다:
Figure pct00100
올리바넘의 한 가지 예시적인 분석은 다음의 성분을 나타냈다.
Figure pct00101
알코올에 가용성이고 화학식 C 20 H 32 O 4를 갖는 산 수지(6%)
Figure pct00102
고무(아라비아 고무와 유사) 30 내지 36%
Figure pct00103
3-아세틸-베타-보스웰산(보스웰리아 사크라)
Figure pct00104
알파-보스웰산(보스웰리아 사크라)
Figure pct00105
인센솔 아세테이트, C21H34O3
Figure pct00106
펠란드렌
보스웰리아 세라타 수지의 다른 분석은 보스웰리아 세라타의 수지 부분이 모노터펜(α-투옌); 다이터펜(대환식 다이터페노이드, 예컨대, 인센솔, 인센솔 옥사이드, 아이소-인센솔 옥사이드, 다이터펜 알코올[세라톨]); 트라이터펜(예컨대, α- 및 β-아미린); 오환식 트라이터펜산(보스웰산); 사환식 트라이터펜산(티루칼-8,24-다이엔-21-온산)을 함유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4개의 오환식 트라이터펜산(보스웰산)의 특징 중 일부로서 4개의 주요 오환식 트라이터펜산(보스웰산)의 구조를 다음의 표에 제공한다:
Figure pct00107
올리바넘 고무 성분은 다당류 및 중합체 성분을 함유한다. 올리바넘에서 프로테오글리칸은 주요 쇄에 주로 D-갈락토스 단위 및 측쇄에 글루쿠론산, 우론산, 4-O-메틸-글루쿠론산 및 아라비노스를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알코올 가용성 산 수지, 수용성 고무, 알파-보스웰산, 인센솔 아세테이트 및 펠란드렌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휘발성 화합물, 예를 들어, α-투옌, 두바-3,9,13-트라이엔-1a-올-5,8-옥사이드-1-아세테이트, E-β-옥시멘, 옥탄올 아세테이트, 옥틸 아세테이트, 리모넨, α-피넨, 옥탄올, 트랜스-베르베놀 및 터피넨-4-올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무기염류, 예를 들어,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인, 알루미늄, 철, 나트륨, 붕소, 아연, 카드뮴, 셀레늄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물 또는 알코올 추출이 수행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올리바넘은 물 추출에 의해 제조된다. 예시적인 물 추출물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물에 의한 올리바넘 추출물의 제조. 첫째로, 올리바넘을 조심해서 분말화한다. 분말(25 g)을 200㎖의 탈이온수와 혼합하고, 밤새 실온에서 800rpm으로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1,5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상청액을 수집한다. 이후에, 상청액을 다시 2,500rpm에서 10분 동안, 연속해서 10,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이어서,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20℃에서 보관하고, 이어서, -58 C 및 0.5 Torr에서 24시간 동안 냉동 건조시켜, 4.02 g의 수용성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얻어진 분말을 100㎖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침강되게 두었다. 침전상을 수집하고,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다시 분말을 탈이온수에 용해시키고, 반복적으로 원심분리시키고, 재여과시킨다. 여과액을 보관하고, 이어서, 냉동 건조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올리바넘은 알코올 추출에 의해 제조된다. 예시적인 알코올 추출물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알코올에 의한 올리바넘 추출물의 제조: 이 방법에서, 100g의 올리바넘 분말을 400㎖의 메탄올과 혼합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650rpm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얻어진 혼합물은 2개의 상으로 구성되며, 상부 상은 알코올이며 황색이고, 알코올에서 가용성인 물질을 함유한다. 이어서, 물질을 오븐 내 50℃에서 건조시킨다. 하부 상은 침전물 및 백색 상태를 갖고, 이를 건조될 때까지 오븐에 넣는다. 수 중의 얻어진 분말을 잘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1,5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상청액을 수집한다. 이후에, 상청액을 다시 2,500rpm에서 10분 동안, 연속해서 10,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이어서,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20℃에서 보관하고, 이어서, 냉동 건조시킬 수 있다.
다른 추출 절차는 본 명세서에 전문이 참조에 의해 원용된 문헌[Mertens et al, et al. 2009, Flavor and Fragrance, 24:279-300 및 Hamm et al, Phytochemistry 2005, 66:1499-1514]에 기재된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올리바럼(Olibarum) 및 보스웰리아 속 나무로부터의 다른 조성물이 본 명세서에 상정된다.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ct00108
지노스테마 펜타필룸(쟈오굴란(Jiaogulan))의 화학적 조성
지노스테마 펜타필룸은 중국, 대만, 한국, 일본, 태국, 베트남 및 라오스를 포함하는 동북 및 동남 아시아의 다수 지역에서 산비탈 상의 숲, 덤불 또는 가로변에서 자라는 5엽 잎 및 박과 같은, 먹을 수 없는 열매를 갖는 박과(Cucurbitaceae family)로부터의 다년생초이다. 지노스테마 펜타필룸은 또한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네팔, 뉴기니 및 스리랑카에서 자란다. 쟈오굴란은 "장수 식물"로서 명성을 얻었다.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는 지노스테마 펜타필룸의 화학적 화합물의 특성규명 및 확인으로 지노스테마 펜타필룸(Thun.)에서 매우 다양한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마키노(Makino) 및 이들을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함:
Figure pct00109
사포닌 글리코사이드(예를 들어, 지페노사이드)
Figure pct00110
페놀 화합물
Figure pct00111
플라베노이드(예를 들어, 캠퍼롤, 퀘르세틴, 루틴, 옴부인, 아이소람네틴)
Figure pct00112
다당류
Figure pct00113
스테롤(예를 들어, 에르고스탄, 콜레스탄, 스티그마스탄)
Figure pct00114
미량원소(예를 들어, Cu, Fe, Zn, Mn, Co, Ni, Se, Mo 및 Sr)
Figure pct00115
카로테노이드
Figure pct00116
휘발물(예를 들어, 말론산, 벤질-O-베타-D-글루코피라노사이드, 루테인, 보미폴리올, 팔미트산, 리놀레산)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쟈오굴란의 사포닌 화합물 및 다당류 화합물은 이의 파이토케미컬 활성을 구성하는 화합물이다. 쟈오굴란에서 가장 풍부한 사포닌 화합물은 지페노사이드가 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쟈오굴란 사포닌은 트라이터페노이드 사포닌 과에 속한다. 이들은 또한 지페노사이드, 및 담마란 유도체로도 지칭된다. 150종 초과의 사포닌이 지노스테마 펜타필룸(G. pentaphyllum) 식물로부터 단리되었다. 사포닌은 쟈오굴란 잎 및 줄기, 꽃봉오리, 열매, 딸기류 및 종자에서 확인되었다.
아래의 표는 상이한 공급원으로부터의 5종의 상이한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샘플의 파이토케미컬 특성을 나타낸다:
Figure pct00117
쟈오굴란 샘플의 물 함량은 3.79 내지 7.57g/100g 샘플의 범위에 있다. 식이 섬유질 함량은 0.6g/g 내지 0.24g/g 샘플의 범위에 있다. 셀레늄 함량은 1.7㎎/㎏ 내지 0.94㎎/㎏의 범위에 있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지페노사이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적 지페노사이드 CP-1-6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휘발성 화합물, 예를 들어, 말론산, 벤질-O-베타-D-글루코피라노사이드, 루테인, 보미폴리올, 팔미트산, 리놀레산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피토스테롤, 예를 들어, 스티그마스테롤, 에르고스탄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플라베노이드, 예를 들어, 캠퍼롤, 퀘르세틴, 루틴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페놀 화합물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무기염류, 예를 들어,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인, 알루미늄, 철, 나트륨, 붕소, 아연, 카드뮴, 셀레늄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비타민, 예를 들어, 비타민 D, 비타민 A 및 비타민 C를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 추출이 수행되고, 예를 들어, 에탄올 농도는 100 또는 75%이며; Soxhlet 장치에서 5시간, 또는 50% 아세톤 추출 및 75% 에탄올 추출되고: 주위 온도에서 20㎖ 용매 중 2g 샘플 및 45 마이크로 필터를 통해 여과된다. 다른 추출 절차는 본 명세서에 전문이 참조에 의해 원용된 문헌[Yantao et al. 2016 Chi Med 11:43]에 기재된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물 부분은 잎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지노스테마(Gynostemma) 속의 식물이 상정된다.
오리가눔 시리아쿰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 종의 식물은 플라본, 모노터페노이드 및 모노터펜을 포함한다. 60종 이상의 상이한 화합물이 확인되었고, 주요 화합물은 80% 이상의 범위인 카바크롤 및 티몰이면서, 더 적게 풍부한 화합물은 p-시멘, γ-터피넨, 카리오필렌, 스파툴렌올, 게르마크랜-D, β-펜킬(fenchyl) 알코올 및 δ-터핀올을 포함한다.
아래의 표는 분별증류를 통해 오리가눔 추출물에서 확인되는 유기 화합물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분석한 분획에서 발견된 유기 화합물의 프로파일.
Figure pct00118
오리가눔 추출물을 HPLC로 분석하였을 때, 다양한 페놀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Figure pct00119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오리가눔 속의 식물이 상정된다.
오리가눔은 유럽, 북아프리카, 및 온대 아시아의 대부분이 원산지인 꿀풀과의 다년초의 속 및 아관목이며, 이들은 개방된 또는 산악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일부 종은 북미 및 기타 지역의 산발적 지역에 자생하고 있다.
식물은 강하게 방향성인 잎 및 오래 지속되는 색의 포엽이 있는 풍부한 관 모양의 꽃을 갖는다. 속은 조리용 허브의 중요한 그룹을 포함한다: 마조람(marjoram)(오리가눔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및 오레가노(oregano)(오리가눔 불가레).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리가눔 아쿠티덴스(Origanum acutidens)(Hand.-Mazz.) Ietsw. - 튀르키예, 이라크
오리가눔×아다넨스(adanense) Baser & H.Duman - 튀르키예 (오리가눔 바르길리(O. bargyli)×오리가눔 라에비가툼(O. laevigatum))
오리가눔×아도니디스(adonidis) Mouterde - 레바논(오리가눔 리바노티쿰(O. libanoticum)×오리가눔 시리아쿰 아종 베바니(bevanii))
오리가눔 아크다렌스(Origanum akhdarense) Ietsw. & Boulos - 리비아 동부의 키레나이카 지역
오리가눔 아마눔(Origanum amanum) Post - 튀르키예의 하타이 지역
오리가눔×바르바라(barbarae) Bornm. - 레바논(오리가눔 에렌버지(O. ehrenbergii)×오리가눔 시리아쿰 아종 베바니)
오리가눔 바르길리(Origanum bargyli) Mouterde - 튀르키예, 시리아
오리가눔 빌게리(Origanum bilgeri) P.H.Davis - 튀르키예의 안탈리아 지역
오리가넘 보이시에리(Origanum boissieri) Ietsw. - 튀르키예
오리가넘 칼카라툼(Origanum calcaratum) Juss. - 그리스
오리가눔 콤팩툼 Benth. - 스페인, 모로코
오리가눔 코디폴리움(Origanum cordifolium)(Montbret & Aucher ex Benth.) Vogel - 키프로스
오리가눔 사이레나이쿰(Origanum cyrenaicum) 
Figure pct00120
 - 리비아 동부의 키레나이카 지역
오리가눔 다이(Origanum dayi) Post - 이스라엘
오리가눔 딕탐누스 L. - 홉 마조람, 크레탄 디타니(Cretan dittany), 크레타섬 디타니 - 크레타섬에 풍토성
오리가눔×돌리초시폰(dolichosiphon) P.H.Davis - 튀르키예의 세이한 지역(오리가눔 아마눔(O. amanum)×오리가눔 라에비가툼)
오리가눔 에헨베르기(Origanum ehrenbergii) Boiss. - 레바논
오리가눔 일롱가툼(Origanum elongatum)(Bonnet) Emb. & Maire - 모로코
오리가눔 플로리분둠(Origanum floribundum) Munby - 알제리
오리가눔×하라자니(haradjanii) Rech.f - 튀르키예(오리가눔 라에비가툼×오리가눔 시리아쿰 아종 베바니)
오리가눔 하우스크네크티(Origanum haussknechtii) Boiss. - 튀르키예
오리가눔 후스누칸-바세리(Origanum husnucan-baseri) H.Duman, Aytac & A.Duran - 튀르키예
오리가눔 하이페리시폴리움(Origanum hypericifolium) O.Schwarz & P.H.Davis - 튀르키예
오리가눔×인터세덴스(intercedens) Rech.f. - 그리스, 튀르키예(오리가눔 오니츠(O. onites)×오리가눔 불가레 아종 히르툼(hirtum))
오리가눔×인터메디움(intermedium) P.H.Davis - 튀르키예의 데니즐리 지역 (오리가눔 오니츠×오리가눔 시필레움(O. sipyleum))
오리가눔 이츠미쿰(Origanum isthmicum) Danin - 시나이
오리가눔 요르다니쿰(Origanum jordanicum) Danin & Kunne - 요르단
오리가눔 라에비가툼(Origanum laevigatum) Boiss. - 튀르키예, 시리아, 키프로스
오리가눔 렙토클라둠(Origanum leptocladum) Boiss. - 튀르키예
오리가눔 리바노티쿰(Origanum libanoticum) Boiss. - 레바논
오리가눔 마조라나 L. - (sweet) 마조람 - 튀르키예, 키프로스; 유럽, 북아프리카, 북 + 남 아메리카의 산발적 지역에 자생하고 있음
오리가눔×리리움(lirium) Heldr. ex
Figure pct00121
 - 그리스(오리가눔 스카브럼(O. scabrum)×오리가눔 불가레 아종 히르툼)
오리가눔×마조리쿰 Cambess. - 강인한 스위트 마조람 - 발레아레스 제도를 포함하는 스페인(오리가눔 마조라나×오리가눔 불가레 아종 비렌스(virens))
오리가눔 마크로필럼(Benth.) 보겔 - 크레타섬
오리가눔×미노아눔(minoanum) P.H.Davis - 크레타섬(오리가눔 미크로필룸(O. microphyllum)×오리가눔 불가레 아종 히르툼)
오리가눔 미누티플로럼 O.Schwarz & P.H.Davis - 튀르키예
오리가눔 문주렌스(Origanum munzurense) Kit Tan & Sorger - 튀르키예
오리가눔×네브로덴스(nebrodense) Tineo ex Lojac - 시칠리아(오리가눔 마조라나×오리가눔 불가레 아종 비리둘럼(viridulum))
오리가눔 오나이츠 L. - 그리스, 튀르키예, 시칠리아
오리가눔×파보티(pabotii) Mouterde - 시리아(오리가눔 바르길리×오리가눔 시리아쿰 아종 베바니)
오리가눔 팜파니니(Brullo & Furnari) Ietsw - 리비아 동부 키레나이카 지역
오리가눔 페트라에움(Origanum petraeum) Danin - 요르단
오리가눔 퓨노넨스(Origanum punonense) Danin - 요르단
오리가눔 라모넨스(Origanum ramonense) Danin - 이스라엘
오리가눔 로툰디폴리움 Boiss. - 튀르키예, 캅카스
오리가눔 사카툼 P.H.Davis - 튀르키예
오리가눔 스카브럼(Origanum scabrum) Boiss. & Heldr. in P.E.Boissier - 그리스
오리가눔 시필레움(Origanum sipyleum) L. -튀르키예, 그리스 섬
오리가눔 솔리미쿰(Origanum solymicum) P.H.Davis - 튀르키예의 안탈리아 지역
오리가눔 시메스(Origanum symes) 
Figure pct00122
 - 에게해의 섬
오리가눔 시리아쿰 L. - 튀르키예, 키프로스,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시나이, 사우디 아라비아
오리가눔 베테리(Origanum vetteri) Briq. & Barbey - 크레타섬
오리가눔 보겔리(Origanum vogelii) Greuter & Burdet - 튀르키예
오리가눔 불가레 L. - 오레가노 - 유럽, 북아프리카, 온대 아시아(이란, 시베리아, 중앙 아시아, 중국 등); 북 아메리카, 뉴질랜드, 베네수엘라 부분에 자생하고 있음.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오리가눔 추출물의 유기 화합물 성분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α-투옌 α-피넨, β-미르센, 펠란드렌, α-터피넨, o-시멘, 리모넨, 1,8-시네올, γ-터피넨, 티몰, 카바크롤, 트랜스-카리오필렌 및 α-후물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모노터펜 탄화수소, 산소처리된 모노터펜 및 세스퀴터펜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페놀 화합물, 예를 들어, 겐티스산, 클로로겐산, p-쿠마르산, 하이퍼로사이드, 아이소퀘르시트린, 루틴, 로즈마린산, 퀘르시르틴, 퀘르세틴 및 루테올린을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무기염류, 예를 들어,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인, 알루미늄, 철, 나트륨, 붕소, 아연, 카드뮴, 셀레늄을 포함한다.
참깨
참깨 종자는 리그난, 세사몰린, 세사민, 피노레시놀 및 라리시레시놀을 함유한다. 통상적으로 α-글로불린 및 β-글로불린으로 불리는 불용성 11S 글로불린 및 가용성 2S 알부민은 2가지 주요 저장 단백질이며, 참깨에서 총 종자 단백질의 80 내지 90%를 구성한다. 아미노산 조성의 비교는 이들이 알려진 올리오신보다 실질적으로 덜 소수성이며, 따라서, 올레오신의 응집된 다량체가 아니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참깨 단백질에 대한 면역-인식 결과는 이들 3개의 폴리펩타이드가 유체에 모인 독특한 단백질이며, 성숙 종자에서 세포소기관의 활성 조립 동안에 올레오신 및 트라이아실글리세롤을 수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인지질, 올레산 및 리놀레산, 클로로필 및 세사몰린, 세사몰 및 γ-토코페롤이 발견된다. 10종의 화합물[2-푸르푸릴티올, 2-페닐에틸티올, 2-메톡시페놀, 4-하이드록시-2,5-다이메틸-3[2H]-퓨라논, 2-펜틸피리딘, 2-에틸-3,5-다이메틸피라진, 아세틸피라진, [E,E]-2,4-데카다이엔알, 2-아세틸-1-피롤린 및 4-비닐-2-메톡시-페놀]이 정량화된다. 오일 중 높은 OAV에 기반하여, 특히 2-아세틸-1-피롤린[로스티], 2-푸르푸릴티올 [커피-유사], 2-페닐에틸티올[고무같음] 및 4-하이드록시-2,5-다이메틸3[2H]-퓨라논 [캐러멜-유사]은 으깬 참깨 물질의 전체 로스티, 황 냄새에 대한 중요한 기여자로서 설명된다. 참깨 종자로부터 단리된 신규한 세사민 글루코사이드의 구조는 세사민올 2'- 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세사민올 2'-O-β-d-글루코피라노실 [1→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및 세사민올 2'-O-β-d- 글루코피라노실 [1
Figure pct00123
2]-O-[β-d-글루코피란실 [1
Figure pct00124
6]]-[β-d 글루코피라노사이드인 것으로 결정된다. 또한 소량의 참깨 리그난, 예컨대, -(7S,8'R,8R)-아쿠민아톨라이드 피페리톨 및 피노레시놀(언급한 바와 같음).
또한 세사뭄(Sesamum) 속 식물이 상정된다.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세사뭄 아브레비아툼(Sesamum abbreviatum) Merxm.
세사뭄 알라툼(Sesamum alatum) Thonn.
세사뭄 안골렌스(Sesamum angolense) Welw.
세사뭄 비아피쿨라툼(Sesamum biapiculatum) De Wild.
세사뭄 칼리시눔(Sesamum calycinum) Welw.
세사뭄 카펜스(Sesamum capense) Burm. f.
세사뭄 디기탈로이데스(Sesamum digitaloides) Welw. ex Schinz
세사뭄 그라실(Sesamum gracile) Endl.
세사뭄 홉킨시(Sesamum hopkinsii) Suess.
세사뭄 인디쿰 L.
세사뭄 라미포리움(Sesamum lamiifolium) Engl.
세사뭄 라티포리움(Sesamum latifolium) J.B. Gillett
세사뭄 레피도툼(Sesamum lepidotum) Schinz
세사뭄 마크란툼(Sesamum macranthum) Oliv.
세사뭄 마를로티(Sesamum marlothii) Engl.
세사뭄 몸바젠스(Sesamum mombazense) De Wild. & T.Durand
세사뭄 파르비플로럼(Sesamum parviflorum) Seidenst.
세사뭄 페달리오이데스(Sesamum pedalioides) Welw. ex Hiern
세사뭄 라디아툼(Sesamum radiatum) Schumach. & Thonn.
세사뭄 리기둠(Sesamum rigidum) Peyr.
세사뭄 로스트라툼(Sesamum rostratum) Hochst.
세사뭄 사불로섬(Sesamum sabulosum) A.Chev.
세사뭄 친지아눔(Sesamum schinzianum) Asch.
세사뭄 소말렌스(Sesamum somalense) Chiov.
세사뭄 톤네리(Sesamum thonneri) De Wild. & T. Durand
세사뭄 트리필룸(Sesamum triphyllum) Welw. ex Asch.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리그난을 함유하는 식물은 종자(아마, 호박, 해바라기, 양귀비, 참깨), 전곡(호밀, 귀리, 보리), 겨(밀, 귀리, 호밀), 콩류, 열매(특히 딸기류) 및 채소(브로콜리 및 컬리 케일이 리그난의 풍부한 공급원임)를 포함하는 다양한 식품을 포함한다. 다른 채소, 예컨대, 흰양배추 및 붉은 양배추, 싹양배추, 컬리플라워, 당근, 풋고추 및 홍고추가 또한 양호한 공급원임)를 포함하는 다양한 식품을 포함한다.
세사민을 함유하는 추가 식물은 엘레우테로코커스 센티코서스(Eleutherococcus senticosus)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식물 중 2, 3, 4, 5, 6, 7가지를 포함하는 상기 식물의 임의의 조합이 상정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이한 식물 중 2, 3, 4, 5, 6, 7가지를 포함하는 추출물 또는 분획의 조합.
예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및 러스 코리아리아.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및 러스 코리아리아.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및 러스 코리아리아.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및 러스 코리아리아.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세사뭄 인디쿰 및 러스 코리아리아.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및 러스 코리아리아.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니겔라 사티바,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및 러스 코리아리아.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및 러스 코리아리아.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세사뭄 인디쿰 및 러스 코리아리아.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및 러스 코리아리아.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불가리스.
니겔라 사티바, 오리가눔 시리아쿰.
니겔라 사티바, 팀브라 스피카타.
니겔라 사티바, 사투제라 팀브라.
니겔라 사티바, 세사뭄 인디쿰.
니겔라 사티바, 러스 코리아리아.
또한 니겔라 사티바가 없는 다양한 조합이 상정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활성 성분, 예를 들어, 티모퀴논, 카바크롤, 티몰; 티모퀴논, 카바크롤; 티모퀴논, 티몰; 카바크롤, 티몰의 조합물.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니겔라 사티바,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니겔라 사티바,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니겔라 사티바,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물 및 이의 활성 성분을 이하의 표에 열거한다.
Figure pct00125
2, 3, 4, 5, 6, 7 및 8가지 식물의 조합에서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파낙스 진셍 및 지노스템 펜타필룸(Gynostemme pentaphyllum) 식물 또는 이의 속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형태가 본 명세서에 상정된다.
본 발명의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의 다른 실시형태는 대마 또는 카나비노이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장미잎 마이크로메리아 프루티코사, 샐비어, 심보포곤(시트랄) 알로이시아, 버베나 오피시날리스, 오리가눔 마오라나(오리가눔 마조라나), 민트를 포함하는 "베두인 티"를 더 포함하는 식품 보충제, 조성물 또는 추출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타임, 세이지, 카더멈, 시나몬, 블랙티, 하북, 마르마야를 포함하는 "베두인 티"를 더 포함하는 식품 보충제, 조성물 또는 추출물이 제공된다.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낭종 또는 액체를 함유하는 세포/조직의 비정상적 성장을 지칭한다.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양성(암성이 아님) 또는 악성(암성)일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이 이들을 형성하는 세포 유형에 대해 명명된다.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의 예는 육종, 암종 및 림프종이다. "육종"은 뼈 또는 근육과 같은 결합 또는 지지 조직으로부터 생기는 암이다. "암종"은 신체 조직의 내벽을 형성하는 선상 세포 및 상피 세포로부터 생기는 암이다. "림프종"은 림프절, 비장 및 흉선과 같은 임파상 기관의 암이다. 이들 세포는 신체의 대부분의 조직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림프종은 다양한 기관에서 생길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상정된 예시적인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육종 및 암종, 예컨대, 섬유육종, 점액육종, 지방육종, 연골육종, 골원성 육종, 척삭종, 혈관육종, 내피육종, 림프관혈관육종, 림프관내피육종, 활막종, 중피종, 유잉육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결장 암종, 췌장암,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편평 세포 암종, 기저 세포 암종, 선암종, 땀샘 암종, 피지샘 암종, 유두상 암종, 유두상 선암종, 낭선암종, 수질 암종, 기관지원성 암종, 신세포 암종, 간세포 암종, 담관 암종, 융모막암종, 정상피종, 배아 암종, 윌름 종양, 자궁경부암, 고환 종양, 폐암종, 소세포 폐암종, 방광 암종, 상피 암종, 다형성 교모아세포종, 성상세포종, 수모세포종, 두개인두종, 상의세포종, 송과체종, 혈관아세포종, 청신경종, 핍지교종, 피부 T 세포 림프종(CTCL), 흑색종, 신경아세포종 및 망막아세포종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신체의 근육, 뼈, 림프계, 골수 및 기관에서 생길 수 있다. 예는 중피종, 육종, 림프종, 육종뿐만 아니라 유방, 전립선, 신장, 난소, 췌장, 갑상선 및 결장의 암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2차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방사선 또는 화학요법과 같은 혈액암 치료의 결과로서 분출된다. 사실, 고형 종양은 암 생존자에서 치료 후 두 번째로 흔한 유형의 종양이다.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이 분류되는 방법은 암 병리를 이해하고, 치료의 가장 중요한 과정을 결정하고, 환자의 예후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종양 세포에서 확인한 이상 및 종양이 확산될 가능성에 기반한 등급을 이용하여 분류된다. 정상적이고, 건강한 세포 및 조직의 조직화와 유사하게 나타나며 상대적으로 느리게 증식하는 경향이 있는 종양 조직은 "잘 분화된"으로 불린다. 비정상으로 보이고 정상 조직 구조가 결핍된 빠르게 증식하는 종양 세포는 "미분화된" 또는 "불량하게 분화된"으로 알려져 있다. 4가지의 일반적 종양 등급이 있다:
Figure pct00126
병리학자는 전형적으로 정상 세포와 상당히 비슷하고 느리게 증식하는 세포를 갖는 종양을 1등급 종양으로서 분류한다.
Figure pct00127
2 등급 종양 세포는 이들 구조에 더 많은 이상을 갖고, 보통의 세포 분화를 가지며, 등급 1 종양보다 빠르게 복제된다.
Figure pct00128
3 등급 또는 "높은 등급" 중 하나로 분류되는 종양은 불량한 세포 조직 분화를 갖고, 1 및 2 등급 종양보다 더 빠르게 확산된다.
Figure pct00129
4 등급 종양은 세포 분화가 전혀 없으며, 건강한 세포 및 더 낮은 등급의 종양과는 완전히 다르게 보인다.
다수의 암을 이런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류하지만, 일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 유형은 다른 등급 체계를 이용하여 정의된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의사는 유방암을 유사분열속도, 유관에서의 종양 활성 정도(세관 형성) 및 종양 세포에서 발견되는 핵의 크기 및 형상(핵 등급으로서 알려짐)을 분류할 수 있다. 이들 3가지 범주 각각은 1 내지 3 범위의 점수를 받는다. 1점은 종양 조직이 건강한 세포 및 조직과 더 밀접하게 비슷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3"점은 가장 비정상인 외관을 갖는 세포 및 조직과 연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3개 범주 각각에 점수를 부여한 후에, 이어서, 값을 3 내지 9 범위의 종합 점수로 함께 더한다. 값은 3가지 상이한 종양 분류에 속한다:
Figure pct00130
낮은 등급 또는 잘 분화된 종양은 3 내지 5의 종합 점수를 받는다.
Figure pct00131
중간 등급 또는 보통으로 분화된 것으로 확인된 종양은 점수가 6 내지 7 범위이다.
Figure pct00132
8 또는 9점을 받는 종양은 불량하게 분화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종양학 커뮤니티는 Gleason 점수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립선 생검 샘플의 병리학적 결과에 대해 전립선암의 등급을 매긴다. 병리학자는 질환 조직의 외관을 건강한 조직과 비교하고, 조직에 대해 1 내지 5점을 부여한다. 종양(들)에서 가장 통상적으로 나타나는 비정상 조직은 1차 패턴으로 불리는 반면, 2차 패턴은 그 다음으로 빈번하게 나타나는 조직 패턴이다.
1차 및 2차 패턴에 대한 점수는 4가지 범주에 속하는 Gleason 점수-결과에 대해 함께 추가된다:
Figure pct00133
Gleason X는 병리학자가 Gleason 점수를 결정할 수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00134
Gleason 2 내지 6은 잘-분화된 종양 조직과 연관된다.
Figure pct00135
Gleason 7점은 중간의 분화된 종양 조직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Figure pct00136
Gleason 8 내지 10점은 종양 조직이 불량한 분화를 갖거나 전체적으로 미분화라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섬유육종, 점액육종, 지방육종, 연골육종, 골원성 육종, 척삭종, 혈관육종, 내피육종, 림프관혈관육종, 림프관내피육종, 활막종, 중피종, 유잉육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결장 암종, 췌장암,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편평 세포 암종, 기저 세포 암종, 선암종, 땀샘 암종, 피지샘 암종, 유두상 암종, 유두상 선암종, 낭선암종, 수질 암종, 기관지원성 암종, 신세포 암종, 간세포 암종, 담관 암종, 융모막암종, 정상피종, 배아 암종, 윌름 종양, 자궁경부암, 고환 종양, 폐암종, 소세포 폐암종, 방광 암종, 상피 암종, 다형성 교모아세포종, 성상세포종, 수모세포종, 두개인두종, 상의세포종, 송과체종, 혈관아세포종, 청신경종, 핍지교종, 피부 T 세포 림프종(CTCL), 흑색종, 신경아세포종 및 망막아세포종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뇌암, 유방암, 삼중 음성 유방암, 방광암, 골암, 결장직장암, 폐암, 신장암, 간암, 위암, 전립선암, 육종, 흑색종, 암종 또는 림프종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전립선암, 유방암, 결장직장암, 췌장암 또는 림프종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림프종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증식성 질환은 유섬유종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증식성 질환은 자궁내막증이다.
본 발명의 식물-유래 성분 또는 성분들은 치료적 생체 이용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치료 효능을 부스트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른 의약과 함께 공동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유래 성분 또는 성분들은 선형 또는 순환형으로, 또는 이송 치료의 수단으로서 생리적으로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입체구조로 투여될 수 있다.
병용요법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 성장 및 전이를 치료, 예방, 개선, 제어 또는 감소시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성분은 다음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1) 암 백신접종 전략, (2) 면역-관문 조절제, 예컨대, 면역관문 저해제(항-PD1, 항-PD-L1, 항-CTLA4, 항-Tim3, 항-VISTA, 항-KIR)에 대한 길항적 항체 또는 면역-촉진제(항-Lag3, 항-OX40, 항-ICOS, 항-4-1BB)에 대한 작용제 항체, (3) 형질전환 세포에서 통상적으로 상향조절되는 세포 표면 단백질(CEACAM1, Syndecan-2, GRP78)에 대한 차단 또는 고갈 항체, (4) 항-혈관형성 요법(항-VEGF, 항-VEGFR, VEGFR 소분자 저해제), (5) 항-림프관신생(VEGF, FDF2, PDGF에 대한 차단 항체 또는 저해제뿐만 아니라 각각의 수용체), (6) 표준 화학치료 요법(예컨대, 겜시타빈, 파클리탁셀, 폴피리녹스(FOLFORINOX)), (7) 방사선조사 요법, (8) 케모카인 길항제(CCR1, CCR4, CCR6, CXCR4, CXCR2, CXCR7 소분자 저해제, 차단 항체 또는 고갈 항체), (9) 암에서의 통상적인 체세포 돌연변이를 표적화하는 저해제, 예컨대, 다음의 유전자를 특이적으로 표적화하는 것(BRAF, KRAS, NRAS, EGFR, CTNNB1, NOTCH1, PIK3CA, PTEN, APC, FLT3, IDH1, IDH2, KIT, TP53, JAK2).
일부 실시형태에서, 화학치료제는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 아파티닙, 알데스류킨, 알렘투주맙, 알리트레티노인, 알트레타민, 아미포스틴, 아미노글루테티마이드 아나그렐리드, 아나스트로졸, 삼산화비소, 아스파라기나제, 아자시티딘, 아자티오프린, 벤다무스틴, 베바시주맙, 벡사로틴, 비칼루타마이드, 블레오마이신, 보르테조밉, 부설판, 카펙시타빈, 카보플라틴, 카무스틴, 세툭시맙, 클로람부실, 시스플라틴, 클라드리빈, 크리조티닙,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사이타라빈, 다카바진, 닥티노마이신, 다사티닙, 다우노루비신, 데니류킨 디프티톡스, 데시타빈, 도세탁셀, 덱사메타손, 독시플루리딘,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에포에틴 알파, 에포틸론, 에를로티닙, 에스트라무스틴, 에티노스탓, 에토포사이드, 에베롤리무스, 엑세메스탄, 필그라스팀, 플록수리딘, 플루다라빈, 플루오로유라실, 플루옥시메스테론, 플루타마이드, 엽산 연결된 알칼로이드, 게피티닙, 겜시타빈, 겜투주맙 오조가미신, GM-CT-01, 고세렐린, 헥사메틸멜라민, 하이드록시유레아, 이브리투모맙, 이다루비신, 이포스파마이드, 이마티닙,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베타, 이리노테칸, 익사베필론, 라파티닙, 류코보린, 류프롤라이드, 레날리도마이드, 레트로졸, 로무스틴, 메클로르에타민, 메게스트롤, 멜팔란, 머캅토퓨린, 메토트렉세이트, 미토마이신, 미톡산트론, 넬라라빈, 닐로티닙, 닐루타마이드, 옥트레오타이드, 오파투무맙, 오프렐베킨, 옥살리플라틴, 파클리탁셀, 파니투무맙, 페메트렉세드, 펜토스타틴, 다당류 갈렉틴 저해제, 프로카바진, 랄록시펜, 레틴산, 리툭시맙, 로미플로스팀, 사르그라모스팀, 소라페닙, 스트렙토조신, 수니티닙, 타목시펜, 템시롤리무스, 테모졸라마이드, 테니포사이드, 탈리도마이드, 티오구아닌, 티오테파, 티오구아닌, 토포테칸, 토레미펜, 토시투모맙, 트라메티닙, 트라스투주맙, 트레티노인, 발루비신, VEGF 저해제 및 트랩,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빈타폴라이드(EC145), 보리노스탓, 이들의 염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료적 항체는 아바고보맙, 알라시주맙 페골, 알렘투주맙, 알투모맙 펜테테이트(Hybri-ceaker), 아마툭시맙, 아나투모맙 마페나톡스, 항-PD-1 항체, 아폴리주맙, 아시투모맙(CEA-Scan), 벨리무모맙, 베바시주맙, 비바투주맙, 메르탄신, 블리나투모맙, 브렌툭시맙 베도틴, 칸투주맙 메르탄산, 칸투주맙 라브탄신, 카프로맙 펜데타이드(Prostascint), 카투막소맙(Removab), 세툭시맙(Erbitux), 시타투주맙 보가톡스, 식수투무맙(Cixutumumab), 클리바투주맙 테트라세탄(hPAM4-Cide), 코나투무맙, 달로투주맙, 데노수맙, 드로지투맙, 에드레콜로맙(Panorex), 에나바투주맙, 겜투주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이필리무맙(MDX-101), 오파투무맙, 파니투무맙, 리툭시맙, 토시투모맙, 트라스투주맙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화학치료제는 방사성 동위원소, 티미딜산 합성효소 저해제, 백금 화합물, 빈카 알칼로이드 제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성분은 항염증 또는 진통제, 예컨대, 오피에이트 작용제, 리폭시게나제 저해제, 예컨대, 5-리폭시게나제의 저해제,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저해제, 예컨대, 사이클로옥시게나제-2 저해제, 인터류킨 저해제, 예컨대, 인터류킨-1 저해제, NMDA 길항제, 산화질소의 저해제 또는 산화질소 합성의 저해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또는 사이토카인-억제 항염증제와, 예를 들어,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코데인, 생물학적 TNF 금속 이온 봉쇄제, 펜탄일,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톨락, 몰핀, 나프록센, 페나세틴, 피록시캄, 스테로이드 진통제, 수펜타닐, 설린닥, 테니답 등과 같은 화합물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PD-1 및/또는 PD-L1 저해제는 두발루맙, 아테졸리주맙,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AP-106, AP-105, MSB-2311, CBT-501, 아벨루맙, AK-105, IO-102, IO-103, PDR-001, CX-072, SHR-1316, JTX-4014, GNS-1480, 재조합 인간화된 항-PD1 mAb(Shanghai Junshi Biosciences), REGN-2810, 펠라오렙, SHR-1210, PD1/PDL1 저해제 백신(THERAVECTYS), BGB-A317, 재조합 인간화된 항-PD-1 mAb(Bio-Thera Solutions), Probody 표적화 PD-1(CytomX), XmAb-20717, FS-118, PSI-001, SN-PDL01, SN-PD07, PD-1 변형 TIL(Sangamo Therapeutics), PRS-332, FPT-155, jienuo mAb(Genor Biopharma), TSR-042, REGN-1979, REGN-2810, 레스미노스탓, FAZ-053, PD-1/CTLA-4 이중특이성 항체(MacroGenics), MGA-012, MGD-013, M-7824, PD-1 기반 이중특이성 항체(Beijing Hanmi Pharmaceutical), AK-112, AK-106, AK-104, AK-103, BI-754091, ENUM-244C8, MCLA-145, MCLA-134, 항-PD1 종양용해 단클론성 항체(이식유전자 SA), AGEN-2034, IBI-308, WBP-3155, JNJ-63723283, MEDI-0680, SSI-361, CBT-502, 항-PD-1 이중특이성 항체, 이중 표적화 항-PD-1/LAG-3 mAb(TESARO), 이중 표적화 항-PD-1/TIM-3 mAb(TESARO), PF-06801591, LY-3300054, BCD-100, STI-1110, 펨브롤리주맙 바이오시밀러, 니볼루맙 바이오시밀러, PD-L1-TGF-베타 요법, KY-1003, STI-1014, GLS-010, AM-0001, GX-P2, KD-033, PD-L1/BCMA 이중특이성 항체(Immune Pharmaceuticals), PD-1/Ox40 표적화 이중특이성 항체(Immune Pharmaceuticals), BMS-936559, 항-PD-1/VEGF-A DARPins(Molecular Partners), mDX-400, ALN-PDL, PD-1 저해제 펩타이드(Aurigene), siRNA 로딩 수지상 세포 백신(Alnylam Pharmaceuticals), GB-226, PD-L1 표적화 CAR-TNK-기반 면역요법(TNK Therapeutics/NantKwest), INSIX RA, INDUS-903, AMP-224, 항-CTLA-4/항-PD-1 이중특이성 인간화 항체(Akeso Biopharma), B7-H1 백신(State Key Laboratory of Cancer Biology/Fourth Military Medical University) 및 GX-D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PD-1 저해제는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및 피딜리주맙으로부터 선택된 항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면역관문 저해제는 CTLA-4 저해제이다. 다수의 CTLA-4 저해제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CTLA-4 저해제는 항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CTLA-4 저해제 항체는 이필리무맙, 트레멜리무맙, AGEN1884 및 AGEN2041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CTLA-4 저해제 항체는 이필리무맙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CTLA-4 저해제 항체는 트레멜리무맙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CTLA-4 저해제 항체는 AGEN1884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CTLA-4 저해제 항체는 AGEN2041이다.
용어 "치료하는"은 병리(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발생을 저해, 방지 또는 저지하고/하거나 병리의 감소, 관해 또는 퇴행을 야기하는 것을 지칭한다. 당업자라면 병리의 진행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 및 분석이 사용될 수 있고, 유사하게, 병리학 감소, 관해 또는 퇴행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 및 분석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예방하는"은 질환의 위험에 있을 수 있지만, 질환을 갖는 것으로 아직 진단되지 않은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병태가 발생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병리를 앓고 있는 임의의 연령 또는 성별의 인간, 남성 또는 여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용어는 병리가 발생될 위험에 있는 개체(예를 들어, 65세 초과, 흡연자에 노출, 발암물질,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에 대한 가족성 감수성)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성분(들)(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은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물질의 조성물은 대상체에게 그 자체로, 또는 적합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혼합된 약제학적 조성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약제학적 조성물"은 생리적으로 적합한 담체 및 부형제와 같은 다른 화학적 성분과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활성 성분 중 하나 이상의 제제를 지칭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목적은 유기체에 대한 화합물의 투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활성 성분"은 생물학적 효과를 설명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의 조성물을 지칭한다.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본 명세서의 이후의 어구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유기체에 대한 유의미한 자극을 야기하지 않고 투여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없애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지칭한다. 아쥬반트는 이들 어구 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부형제"는 활성 성분의 투여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약제학적 조성물에 투여되는 비활성 물질을 지칭한다. 부형제의 예는, 제한 없이, 탄산칼슘, 인산칼슘, 다양한 당 및 유형의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젤라틴, 식물성 오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약물의 제형 및 투여 기법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되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latest edition]에서 찾을 수 있다.
적합한 투여 경로는, 예를 들어, 경구, 직장, 경점막, 특히 경비, 장 또는 비경구 전달(근육내, 피하 및 골수내 주사뿐만 아니라 척추강내, 직접 심실내, 심장내를 포함), 예를 들어, 우심실 또는 좌심실강 내, 공통 관상 동맥 내, 정맥내, 복강내, 비강내 또는 폐내 또는 안구내 주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또는 식이 보충제 투약 형태로서 제공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투약 형태는 정제, 연질 캡슐, 경질 캡슐, 알약, 과립, 분말, 에멀션, 현탁액, 스프레이, 시럽 및 펠릿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투약 형태로서, 점적으로서 또는 주사에 의한 투여용의 액체 제형, 또는 좌약용 고체 또는 반고체 투약 형태로서 제공된다.
중추 신경계(CNS)에 대한 약물 전달의 통상적인 접근은 신경외과 전략(예를 들어, 뇌내 주사 또는 뇌실내 주입); BBB의 내인성 수송 경로 중 하나를 이용하는 시도에서의 제제의 분자 조작(예를 들어, 스스로 BBB를 가로지를 수 없는 제제와 조합하여 내피 세포 표면 분자에 대한 친화도를 갖는 수송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키메라 융합 단백질의 생성); 제제의 지질 용해도를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약리학적 전략(예를 들어, 지질 또는 콜레스테롤 담체에 대한 수용성 제제의 접합); 및 고삼투성 붕괴에 의한 BBB의 완전성의 일시적인 붕괴(경동맥 내로 만니톨 용액의 주입 또는 안지오텐신 폴리펩타이드와 같은 생물학적 활성제의 사용으로부터 초래됨)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전략의 각각은 침습적 수술 절차와 관련된 고유 위험(inherent risk), 내인성 수송 시스템 고유의 제한에 의해 부과되는 크기 제한, 밖에서 활성일 수 있는 담체 모티프로 구성된 키메라 분자의 전신 투여와 관련된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생물학적 부작용, 및 차선 전달 방법으로 제공하는 BBB가 붕괴된 뇌 영역 내의 뇌 손상의 가능한 위험과 같은 제한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전신 방식보다는 국소로, 예를 들어, 환자의 조직 영역에 직접적으로 약제학적 조성물의 주사를 통해,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에 잘 공지된 공정에 의해, 예를 들어, 통상적인 혼합, 용해, 과립화, 드라제-혼합, 연화(levigating), 유화, 캡슐화, 포획(entrapping) 또는 동결건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제로 활성 성분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부형제 및 보조제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이용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절한 제형은 선택된 투여 경로에 따라 다르다.
주사를 위해, 약제학적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수용액에서,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완충제, 예컨대,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또는 생리학적 염 완충제에서 제형화될 수 있다. 경점막 투여를 위해, 장벽에 침투시키는 데 적절한 침투제가 제형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침투제는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해,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 화합물을 당업계에 잘 공지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환자에 의한 경구 섭취를 위해 약제학적 조성물이 정제, 알약, 드라제, 캡슐, 액체, 겔, 시럽, 슬러리, 현탁액 등으로서 제형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경구용 약리학적 제제는 정제 또는 드라제 코어를 얻기 위해 원한다면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에 고체 부형제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얻어진 혼합물을 분쇄하고, 과립 혼합물을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는, 특히, 충전제, 예컨대, 락토스, 수크로스, 만니톨 또는 솔비톨을 포함하는 당; 셀룰로스 제제, 예를 들어, 메이즈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젤라틴, 트래거캔스검,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카보메틸셀룰로스나트륨; 및/또는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이다. 원한다면, 붕해제, 예컨대, 가교된 폴리비닐 피롤리돈, 한천 또는 알긴산 또는 이의 염, 예컨대, 알긴산나트륨이 첨가될 수 있다.
드라제 코어는 적합한 코팅과 함께 제공된다. 이 목적을 위해, 선택적으로 아라비아 고무, 활석,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보폴 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이산화티타늄, 래커 용액 및 적합한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는 농축된 당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염료 또는 색소는 식별을 위해 또는 활성 화합물 용량의 상이한 조합을 특성규명하기 위해 정제 또는 드라제 코팅에 첨가될 수 있다.
경구로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푸쉬-핏(push-fit) 캡슐뿐만 아니라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연질, 밀봉 캡슐 및 가소제, 예컨대, 글리세롤 또는 솔비톨을 포함한다. 푸쉬-핏 캡슐은 충전제, 예컨대, 락토스, 결합제, 예컨대, 전분, 윤활제, 예컨대, 활석 또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선택적으로, 안정제와 혼합하여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연질 캡슐에서, 활성 성분은 적합한 액체, 예컨대, 지방 오일, 액체 파라핀 또는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용해되거나 현탁될 수 있다. 또한, 안정제가 첨가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모든 제형은 선택된 투여 경로에 적합한 투약량이어야 한다.
협측 투여를 위해,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형화된 정제 또는 로젠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성분 및/또는 조성물은 흡입 또는 비강 투여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된다.
비강 흡입에 의한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을 위한 활성 성분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어, 다이클로로다이플루오로메탄, 트라이클로로플루오로메탄, 다이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또는 이산화탄소의 사용에 의해 가압 팩 또는 네뷸라이저로부터의 에어로졸 스프레이 제공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된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에, 투약 단위는 정량을 전달하기 위한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화합물 및 적합한 분말 베이스, 예컨대, 락토스 또는 전분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는, 예를 들어, 디스펜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젤라틴의 캡슐 및 카트리지가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를 위해, 예를 들어, 볼루스 주사 또는 지속적 주입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주사용 제형은 단위 투약 형태로, 예를 들어, 앰플에서 또는 다회 용기에서 선택적으로 첨가된 보존제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조성물은 유성 또는 수성 비히클 중 현탁액, 용액 또는 에멀션일 수 있고, 제형 제제, 예컨대, 현탁제, 안정제 및/또는 분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수용성 형태로 활성 제제의 수용액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활성 성분의 현탁액은 적절한 오일 또는 물 기반 주사 현탁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친유성 용매 또는 비히클은 지방유, 예컨대, 참깨유, 또는 합성 지방산 에스터, 예컨대, 에틸 올리에이트,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또는 리포좀을 포함한다. 수성 주사 현탁액은 카복시메틸 셀룰로스나트륨, 솔비톨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현탁액의 점성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현탁액은 또한 고도로 농축된 용액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활성 성분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적합한 안정제 또는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 성분은 사용 전에 적합한 비히클, 예를 들어, 멸균, 발열원 제거수(pyrogen-free water) 기반 용액에 의한 구성을 위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또는 다른 글리세라이드와 같은 통상적인 좌약 베이스를 이용하여, 좌약 또는 정체 관장과 같은 직장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 성분이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 양으로 함유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 중인 대상체의 장애(예를 들어,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의 증상 또는 진행을 방지, 경감 또는 개선시키거나 생존을 연장시키는 데 효과적인 활성 성분(생물학적 효과에 책임이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의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적 유효량의 결정은, 특히 본 명세서에 제공된 상세한 개시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의 능력 내에서 용이하다.
예를 들어,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 또는 관련 증상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임의의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제제에 대해, 치료적 유효량 또는 용량은 시험관내 및 세포 배양물 분석으로부터 처음에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량은 목적하는 농도 또는 역가를 달성하기 위해 동물 모델에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인간에서 유용한 용량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활성 성분의 독성 및 치료적 효능은 세포 배양물 또는 실험 동물에서, 시험관내 표준 약제학적 절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들 시험관내 및 세포 배양물 분석 및 동물 연구로부터 얻은 데이터는 인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투약량을 제형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투약량은 사용되는 투약 형태 및 이용되는 투여 경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정확한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약량은 환자 병태에 비추어 개개 의사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Fingl, et al., 1975,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Ch. 1 p.1] 참조).
투약량 및 간격은 생물학적 효과를 유발 또는 억제하기 위한 충분한 양(최소 유효 농도, MEC)으로 활성 성분을 제공하기 위해 개개로 조절될 수 있다. MEC는 각 제제에 대해 다를 것이지만, 시험관내 데이터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MEC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투약량은 개체의 특징 및 투여 경로에 따를 것이다. 혈장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검출 분석이 사용될 수 있다.
치료될 병태의 중증도 및 반응성에 따라서, 투약은, 며칠 내지 몇 주간 지속되는 치료 과정으로 또는 치유가 달성되거나 질환 상태의 감소가 달성될 때까지, 단일 또는 복수의 투약을 가질 수 있다.
투여될 조성물의 양은 물론 치료 중인 대상체, 고통의 중증도, 투여 방식, 처방하는 의사의 판단 등에 따를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의 조성물은, 원한다면,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투약 형태를 함유할 수 있는 FDA 승인 키트와 같은 팩 또는 디스펜서 장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팩은,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 호일, 예컨대, 블리스터 팩을 포함할 수 있다. 팩 또는 디스펜서 장치는 투여를 위한 지침을 수반할 수 있다. 팩 또는 디스펜서는 또한 약제의 제조, 사용 또는 판매를 규제하는 정부 기관에 의해 규정된 형태로 용기와 관련된 안내문에 의해 수용될 수 있으며, 이 안내문은 조성물 형태 또는 인간 또는 수의학적 투여의 기관에 의한 승인을 반영한다. 이러한 안내문은, 예를 들어, 처방 약물의 또는 승인된 제품 삽입물의 미국 식약청에 의해 승인된 라벨링을 가질 수 있다. 양립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에 제형화된 본 발명의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또한 위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고, 적절한 용기에 넣어지고, 표시된 병태의 치료에 대해 라벨링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성분(들)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 형태로 영양학적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들 식품 또는 음료는 본 조성물의 다양한 예시적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이들 식품 또는 음료는 시리얼, 이유식, 건강 식품 또는 명시된 건강 용도를 위한 식품, 예컨대, 초콜릿 또는 영양바와 같은 고체 식품, 크림 또는 잼과 같은 반고체 식품, 또는 겔; 및 또한 음료로서 제조 또는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식품 또는 음료 항목의 구체적 및 비제한적 예는 신선한 음료, 락트산 박테리아 음료, 드롭스, 캔디, 츄잉검, 초콜릿, 구미 캔디 , 요거트, 아이스크림, 푸딩, 부드러운 팥콩 젤리, 젤리, 쿠키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의 성분은 식물 생성물의 합성 유사체 및 본 명세서에 언급된 추출물이다.
본 교시는 추가로 별도의 치료로서 또는 공동제형에서 다른 항-바이러스 약물 또는 항염증 약물 또는 항응고제로 치료하는 것을 생각한다.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으로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구체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항바이러스 약물은 렘데시비어, 인터페론, 리바비린, 아데포비어, 테노포비어, 아사이클로비어, 브리부딘(brivudin), 시도포비어, 포미비르센, 포스카네트, 간시클로버, 펜시클로버, 아만타딘, 리만타딘 및 자나미비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약"은 ± 10 %를 지칭한다.
용어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다(includes)", "포함하는(including)", "갖는(having)" 및 이들의 접합체는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한다.
용어 "이루어진"은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한다.
용어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은 조성물, 방법 또는 구조가 추가적인 성분, 단계 및/또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성분, 단계 및/또는 부분이 특허청구된 조성물, 방법 또는 구조의 기본적 및 신규한 특징을 실질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달리 분명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대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용어 "화합물" 또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은 혼합물을 비롯하여 복수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 전체에 걸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범위 형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범위 형식의 설명은 단지 편리함 및 간결함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에 대한 확고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범위의 설명은 구체적으로 개시된 모든 가능한 하위범위뿐만 아니라 해당 범위 내의 개개 수치적 값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1 내지 6과 같은 범위의 설명은 구체적으로 개시된 하위범위, 예컨대, 1 내지 3, 1 내지 4, 1 내지 5, 2 내지 4, 2 내지 6, 3 내지 6 등뿐만 아니라 해당 범위 내의 개개 값, 예를 들어, 1, 2, 3, 4, 5 및 6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는 범위의 폭과 상관없이 적용된다.
수치적 범위가 본 명세서에 나타나는 경우에, 이는 표시된 범위 이내의 임의의 열거된 수치(분획 또는 정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첫 번째로 표시되는 숫자와 두 번째로 표시되는 숫자 "사이의 범위에 있는/범위"라는 어구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되며, 첫 번째로 표시되는 숫자와 두 번째로 표시되는 숫자 및 그 사이의 모든 분수 및 정수 숫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방법"은 화학, 약리학, 생물학, 생화학 및 의학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식, 수단, 기법 및 절차에 대해 알려진 또는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개발된 해당 방식, 수단, 기법 및 절차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주어진 작업을 달성하기 위한 방식, 수단, 기법 및 절차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치료하는"은 병태의 진행을 없애거나, 실질적으로 저해하거나, 늦추거나, 역전시키고, 병태의 임상 또는 미적 증상을 실질적으로 개선시키거나, 또는 병태의 임상 또는 미학적 증상의 출현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분명함을 위해 별개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특징이 또한 단일 실시형태와 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대조적으로, 간결함을 위해 단일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재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또한 별개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하위조합에서 또는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기재된 실시형태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재된 특정 특징은, 달리 실시형태가 해당 구성요소 없이 작동 불가능한 경우가 아니라면, 필수적인 특징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위에서 설명하고 아래의 특허청구범위 부문에 청구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 및 양상은 다음의 실시예에서 실험적 근거를 발견한다.
실시예
이제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상기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를 비제한적 형식으로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명명법 및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연구실 절차는 분자, 생화학, 미생물학 및 재조합 DNA 기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법은 문헌에서 철저하게 설명된다. 예를 들어, 문헌["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Sambrook et al., (1989);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Volumes I-III Ausubel, R. M., ed. (1994); Ausubel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and Sons, Baltimore, Maryland (1989); Perbal, "A Practical Guide to Molecular Cloning",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8); Watson et al., "Recombinant DNA", Scientific American Books, New York; Birren et al. (eds) "Genome Analysis: A Laboratory Manual Series", Vols. 1-4,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New York (1998)]; 미국 특허 제4,666,828호; 제4,683,202호; 제4,801,531호; 제5,192,659호 및 제5,272,057호에 제시된 방법; 문헌["Cell Biology: A Laboratory Handbook", Volumes I-III Cellis, J. E., ed. (1994); "Culture of Animal Cells - A Manual of Basic Technique" by Freshney, Wiley-Liss, N. Y. (1994), Third Edition; "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Volumes I-III Coligan J. E., ed. (1994); Stites et al. (eds), "Basic and Clinical Immunology" (8th Edition), Appleton & Lange, Norwalk, CT (1994); Mishell and Shiigi (eds), "Selected Methods in Cellular Immunology", W. H. Freeman and Co., New York (1980)]을 참조하고; 이용 가능한 면역 분석은 특허 및 과학 문헌에 광범위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791,932호; 제3,839,153호; 제3,850,752호; 제3,850,578호; 제3,853,987호; 제3,867,517호; 제3,879,262호; 제3,901,654호; 제3,935,074호; 제3,984,533호; 제3,996,345호; 제4,034,074호; 제4,098,876호; 제4,879,219호; 제5,011,771호 및 5,281,521호; 문헌["Oligonucleotide Synthesis" Gait, M. J., ed. (1984); "Nucleic Acid Hybridization" Hames, B. D., and Higgins S. J., eds. (1985);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Hames, B. D., and Higgins S. J., eds. (1984); "Animal Cell Culture" Freshney, R. I., ed. (1986); "Immobilized Cells and Enzymes" IRL Press, (1986); "A Practical Guide to Molecular Cloning" Perbal, B., (1984) 및 "Methods in Enzymology" Vol. 1-317, Academic Pres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San Diego, CA (1990); Marshak et al., "Strategies for Protei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 A Laboratory Course Manual" CSHL Press (1996)]을 참조하며;이들 모두는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다른 일반적 참고문헌은 본 문헌 전체적으로 제공된다. 이들의 절차는 당업계에 잘 공지된 것으로 여겨지며, 독자의 편리함을 위해 제공된다. 이에 포함된 모든 정보는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실시예 1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분석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 성장 및 치료에 대한 반응성의 평가를 위해 전통적인 생체내 동물 모델에 추가로 다수의 세포기반, 시험관내 시스템을 이용 가능하다.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모델링하기 위해, 원발성뿐만 다양한 조직으로부터의 세포주를 배양시키고, 이어서, 치료 조성물 및/또는 성분에 노출시켰다. 종양 표현형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달리 변경시키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성분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세포 반응, 특히 증식, 노화 및 전이 활성을 본 발명의 첨가된 조성물 및/또는 성분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결정한다. 세포를 2-D 또는 3-D 배양물에서 증식시킬 수 있다.
거의 모든 기관 및 조직의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의 시험관내 모델링에 대한 예시적인 세포 유형, 예를 들어, 부신 종양의 경우 NCI-H295R 세포, 방광 종양의 경우 HT-1376, J82, T24P 세포, 뇌 종양의 경우 DBTRG, LN-18, SF-295, SF-767 및SNB-19 세포, 자궁경부 종양의 경우 Ca Ski, He La 및 KB 세포, 결장암의 경우 COLO 205, DLD-1, HCT, LoVo 및 NCI-H508 세포, 상피 종양의 경우 HEKn 세포, 식도 종양의 경우 OE33 세포, 유잉 육종의 경우 A4573 세포, 섬유아세포 유래 종양의 경우 NHDF 및 Hs 895T 세포, 위 종양의 경우 GIST-T1 및 NCI-N87 세포, 두경부 종양의 경우 CAL 27 세포, 간 종양의 경우 Hep, Hepa 및 BLN 세포, 폐 종양의 경우 Calu-6, NCI-H596, NCI-H125-Luc, HCC827, LL 및 LL/2 세포, 림프종의 경우 YAC-1, DB, GRANTA-519, EBC-1, Daudi, Raji 및 RL 세포, 유방 종양의 경우 HCC70, MCF-7, MDA-MB, SK-BR3 및 MX-1 세포, 흑색종의 경우 SK-MEL 및 OCM 세포, 중피종의 경우 AB1 세포, 흑색종의 경우 RPMI 8226 및 OPM-2 세포, 신경아세포종의 경우 SK-N-F1, 난소암의 경우 OVCAR 세포, 췌장암의 경우 PANC-1 및 Capan 세포, 전립선암의 경우 PC-3 및 VCaP 세포, 신장암의 경우 ACHN 및 Renca 세포, 육종의 경우 MG-63, A-673 및 SW 872 세포, 갑상선 종양의 경우 TT 및 MB-1 세포 및 외음부암의 경우 SK-LMS 세포는 크게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종양 세포를 시험관내에서 평가할 수 있고, 일부는 동물 내로의 도입에 의해 이종이식편 성장 분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한 가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1차 배양물 또는 세포주로부터의 종양 세포를 시험관내에서 배양시키고, 순환에, 또는 마우스 또는 래트의 표적 기관 내로 피하 또는 직접 주사하고, 종양의 확립 및 이들의 성장을 표지 세포의 직접 측정 또는 검출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동물 숙주는 면역 적격 또는 면역 결핍(SCID, 누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성분의 항-종양 효능을 평가할 수 있고, 숙주 동물에 도입 단계에서, 시험관내 세포 성장 단계(접합 전)에서 투여에 의해 종양 세포 성장의 여러 단계에서, 그리고 또한 이들이 숙주 동물에서 특정 크기에 도달하게 된 후에 확립된 이종이식 종양에 대한 효과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 성장의 동물 모델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에 대한 동물 모델은 과증식성 질환 및 병태의 유발된 동물 모델, 유전자이식 모델 및 천연 유래 동물 모델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위에서 언급한 동물 모델 외에, 유전자 조작된 마우스 및 래트 암은 이들의 천연 환경에서 종양의 약물 전달, 치료 반응 및 바이오마커 발현을 평가하기 위한 기회를 허용하는 종양의 강력한 생체내 모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성분의 효능을 평가하는 데 적합한 유전자 조작된 동물 모델은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MMTV-PyMT 마우스 유선 종양 유전자 조작된 마우스, 편평 피부 종양에 대한 K14-HPV16 마우스 및 KB1P 유방암 마우스 모델.
본 발명을 이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함께 기재하였지만, 다수의 대안, 변형 및 변화가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임이 명확하다. 따라서, 첨부하는 청구범위의 사상과 광범위한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이러한 대안,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각각의 개개 간행물,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되는 것으로 참조할 때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언급된 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 전문이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는 것이 본 출원인(들)의 의도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임의의 참고문헌의 인용 또는 확인은, 이러한 참고문헌이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이용 가능하다는 용인으로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표제 부문이 사용되는 정도까지, 이들은 반드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임의의 우선권 문서(들)는 본 명세서에 이것/이들의 전문이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실시예 2
편평 세포 암종(SCC) 및 기저 세포 육종(BCC)의 치료
피부의 편평 세포 암종(SCC)은 편평 세포의 비정상적인 가속화된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두 번째로 흔한 형태의 피부암이다. 조기 발견 시 대부분의 SCC는 치유 가능하다. 편평 세포는 새로운 세포가 형성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벗겨지는 피부 표면 근처에 위치된 편평한 세포이다. SCC는 비늘 모양의 붉은 패치, 개방된 상처, 거칠고 두껍거나 사마귀 같은 피부 또는 중앙의 움푹함 곳으로서 나타날 수 있다. 때때로, SCC는 딱딱하게 굳거나, 가렵거나 또는 출혈이 있을 수 있다. 병변은 신체의 태양-노출 영역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된다. 기저 세포 암종(BCC)은 피부암의 가장 통상적인 형태 및 모든 암의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는 형태이다. BCC는 피부의 최상층에 있는 세포의 3가지 주요 유형 중 하나인 기저 세포의 비정상적이고, 제한되지 않은 성장으로부터 발생된다. BCC는 개방된 상처, 붉은 패치, 분홍색 성장, 반짝이는 혹, 흉터 또는 약간 상승된 가장자리 및/또는 중앙의 오목한 자국처럼 보일 수 있다. 때때로, BCC는 액체가 흘러나오거나, 딱딱하게 되거나, 가렵거나 또는 출혈이 있을 수 있다. 병변은 신체의 태양-노출 영역에서 흔하게 발생된다. 이들의 느린 성장으로 인해, 대부분의 BCC는 경화성이며,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할 때 최소의 손상을 야기한다. SCC와 BCC는 둘 다 대부분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UV) 방사선에 대한 노출로부터 DNA가 손상될 때에 종종 발생된다(skincancer.org 참조).
BCC 병력이 있는 환자는 3회의 양성 생검 후 좌측 귀에 위치된 SCC로 진단되었다. BCC의 의심되는 관련성을 언급하였지만, 림프절 관련성은 없었다. 좌측 귀 상의 종양 옆에서, 얼굴의 변색 및 색소형성은 분명하였다. 피부암 환자는 BCC 및 침습성 SSC에 의한 현재의 치료 전에 진단되었다.
본 발명의 항암 치료 후에, 초음파와 CT 검사에서 모든 조직이 깨끗하고 림프절은 관련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3개월의 치료 후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얼굴의 변색 및 색소형성은 근절되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가 본 명세서에 언급되며, 상기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육종 및 암종, 예컨대, 섬유육종, 점액육종, 지방육종, 연골육종, 골원성 육종, 척삭종, 혈관육종, 내피육종, 림프관혈관육종, 림프관내피육종, 활막종, 중피종, 유잉육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결장 암종, 췌장암,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편평 세포 암종, 기저 세포 암종, 선암종, 땀샘 암종, 피지샘 암종, 유두상 암종, 유두상 선암종, 낭선암종, 수질 암종, 기관지원성 암종, 신세포 암종, 간세포 암종, 담관 암종, 융모막암종, 정상피종, 배아 암종, 윌름 종양, 자궁경부암, 고환 종양, 폐암종, 소세포 폐암종, 방광 암종, 상피 암종, 다형성 교모아세포종, 성상세포종, 수모세포종, 두개인두종, 상의세포종, 송과체종, 혈관아세포종, 청신경종, 핍지교종, 피부 T 세포 림프종(CTCL), 피부 B 세포 림프종(CBCL), 흑색종, 신경아세포종, 망막아세포종,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만성 림프 백혈병, 맨틀세포 림프종, 여포성 림프종, 지라 변연부 림프종, 결절 변연부 림프종, 결절외 변연부 림프종, 버킷 림프종, 형질세포성 림프종, 말초 T 세포 림프종 NOS, 모발 세포 백혈병(HCL),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APL),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골수증식성 신생물(MPN) 및 전신 비만세포증, 유두상 갑상선암 , 비침습적 여포성 갑상선 신생물, 여포성 갑상선암, 수질 갑상선암, 역형성 갑상선암, 갑상선 림프종, 편평 세포 갑상선 암종, 갑상선 육종, 휘르틀(
Figure pct00137
) 세포 암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예 3
결장암을 앓고 있는 여성을 본 발명의 조성물로 치료하였다. CT 및 초음파 검사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치료 13일 후에 종양의 감소, 일부 경우에 종양의 소멸을 나타냈다.
본 발명을 위에서 예시하고 기재한 실시형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하지는 않지만,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 내에서 변형 및 변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138
Figure pct00139
Figure pct00140
Figure pct00141
Figure pct00142
Figure pct00143
Figure pct00144
Figure pct00145
Figure pct00146
Figure pct00147

Claims (22)

  1.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이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을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대상체에서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상기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Nigella sativa), 티무스 카피타투스(Thymus capitatus),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오리가눔 시리아쿰(Origanum syriacum), 팀브라 스피카타(Thymbra spicata), 사투제라 팀브라(Satujera thymbra), 세사뭄 인디쿰(Sesamum indicum), 러스 코리아리아(Rhus coriaria), 지노스테마 펜타필룸(Gynostemma pentaphyllum) 및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에 대한 백신으로서,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상기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보스웰리아 사크라 및 파낙스 진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백신.
  3.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상기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보스웰리아 사크라 및 파낙스 진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 중 적어도 2가지를 포함하는 물질의 조성물로서,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상기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보스웰리아 사크라 및 파낙스 진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5. 식물 부분,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 이의 활성 성분, 이의 합성 유사체, 이의 모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 종 또는 이의 속-유래 성분 중 적어도 2가지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식품 보충제로서, 상기 성분은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상기 식물 종은 니겔라 사티바, 티무스 카피타투스, 티무스 불가리스, 오리가눔 시리아쿰, 팀브라 스피카타, 사투제라 팀브라, 세사뭄 인디쿰 러스 코리아리아, 지노스테마 펜타필룸, 보스웰리아 사크라 및 파낙스 진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품 보충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육종 및 암종, 예컨대, 섬유육종, 점액육종, 지방육종, 연골육종, 골원성 육종, 척삭종, 혈관육종, 내피육종, 림프관혈관육종, 림프관내피육종, 활막종, 중피종, 유잉육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결장 암종, 췌장암,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편평 세포 암종, 기저 세포 암종, 선암종, 땀샘 암종, 피지샘 암종, 유두상 암종, 유두상 선암종, 낭선암종, 수질 암종, 기관지원성 암종, 신세포 암종, 간세포 암종, 담관 암종, 융모막암종, 정상피종, 배아 암종, 윌름 종양, 자궁경부암, 고환 종양, 폐암종, 소세포 폐암종, 방광 암종, 상피 암종, 다형성 교모아세포종, 성상세포종, 수모세포종, 두개인두종, 상의세포종, 송과체종, 혈관아세포종, 청신경종, 핍지교종, 피부 T 세포 림프종(CTCL), 피부 B 세포 림프종(CBCL), 흑색종, 신경아세포종, 망막아세포종,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만성 림프 백혈병, 맨틀세포 림프종, 여포성 림프종, 지라 변연부 림프종, 결절 변연부 림프종, 결절외 변연부 림프종, 버킷 림프종, 형질세포성 림프종, 말초 T 세포 림프종 NOS, 모발 세포 백혈병(HCL),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APL),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골수증식성 신생물(MPN) 및 전신 비만세포증, 유두상 갑상선암 , 비침습적 여포성 갑상선 신생물, 여포성 갑상선암, 수질 갑상선암, 역형성 갑상선암, 갑상선 림프종, 편평 세포 갑상선 암종, 갑상선 육종, 휘르틀(
    Figure pct00148
    ) 세포 암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뇌암, 유방암, 삼중 음성 유방암, 방광암, 골암, 결장직장암, 폐암, 신장암, 간암, 위암, 전립선암, 육종, 흑색종, 암종 또는 림프종, 유섬유종, 자궁내막증인,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및 연부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은 림프종인,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은 적어도 2가지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4항, 제5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은 적어도 3가지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11. 제4항, 제5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은 적어도 4가지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12. 제4항, 제5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은 적어도 5가지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13. 제4항, 제5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은 적어도 5 내지 10가지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은 티모퀴논(thymoquinone)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은 티몰(thymol)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은 카바크롤(carvacrol)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17.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은 브로멜라인(bromelain)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18.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파인애플의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19.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마 또는 카나비노이드를 더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20.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립토판을 더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21.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미잎 마이크로메리아 프루티코사(Rose Leaves Micromeria fruticose), 샐비어, 심보포곤(cymbopgon)(시트랄(Citral)) 알로이시아(Aloysia), 버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오리가눔 마오라나(오리가눔 마조라나), 민트(menthe)를 포함하는 "베두인 티(Beduin Tea)"를 더 포함하는 식품 보충제, 조성물 또는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22. 제1항에 있어서, 타임(Thyme), 세이지(sage), 카더멈(cardamom), 시나몬(cinnamon), 블랙티(black tea), 하북(habuk), 마르마야(Marmaya)를 포함하는 "베두인 티(Beduin Tea)"를 더 포함하는, 방법, 백신, 약제학적 조성물, 조성물, 추출물 또는 식품 보충제.
KR1020227032804A 2020-03-20 2021-03-19 고형 및 연성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2300051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92276P 2020-03-20 2020-03-20
US62/992,276 2020-03-20
PCT/IL2021/050310 WO2021186456A1 (en) 2020-03-20 2021-03-19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olid and soft tumors and proliferative disea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131A true KR20230005131A (ko) 2023-01-09

Family

ID=7776840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802A KR20230005129A (ko) 2020-03-20 2021-03-19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227032803A KR20230005130A (ko) 2020-03-20 2021-03-19 비-악성 호흡기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227032804A KR20230005131A (ko) 2020-03-20 2021-03-19 고형 및 연성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227032801A KR20230005128A (ko) 2020-03-20 2021-03-19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10 및 갑상선 질환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802A KR20230005129A (ko) 2020-03-20 2021-03-19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227032803A KR20230005130A (ko) 2020-03-20 2021-03-19 비-악성 호흡기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801A KR20230005128A (ko) 2020-03-20 2021-03-19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10 및 갑상선 질환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20230181665A1 (ko)
EP (4) EP4121019A4 (ko)
JP (4) JP2023522297A (ko)
KR (4) KR20230005129A (ko)
CN (4) CN116096360A (ko)
AU (4) AU2021239186A1 (ko)
BR (4) BR112022018639A2 (ko)
CA (4) CA3175442A1 (ko)
CO (4) CO2022013166A2 (ko)
IL (4) IL296398A (ko)
MX (4) MX2022011517A (ko)
WO (4) WO2021186456A1 (ko)
ZA (4) ZA2022100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444B1 (ko) * 2021-12-09 2022-09-22 주식회사 나투어바이오제약 안전성을 기반으로 한 고함량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발효흑삼 제조 개선 방법
CN115651088A (zh) * 2022-08-23 2023-01-31 辽宁成大生物股份有限公司 人参总多糖的制备方法和应用、人参总多糖疫苗佐剂及其疫苗组合物
CN116036262A (zh) * 2022-08-23 2023-05-02 沈阳药科大学 一种人参酸性多糖疫苗佐剂、疫苗组合物及其应用
CN115501333A (zh) * 2022-09-27 2022-12-23 沈阳药科大学 一种疫苗佐剂、疫苗组合物及其应用
CN117462539A (zh) * 2023-12-26 2024-01-30 云南中医药大学 一种二氢黄酮醇型化合物的抗冠状病毒用途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14C (zh) * 1992-05-11 2000-07-19 卜荣安 绞股兰复合保健茶的制作工艺
AU6303798A (en) * 1997-02-25 1998-09-18 Cortecs (Uk) Limited Component of bromelain
US9072753B1 (en) * 2000-04-03 2015-07-07 Amy C. Brown Gargle method to reduce the duration of common cold symptoms
WO2002080951A1 (en) * 2001-04-06 2002-10-17 Synergistix Biotech, Inc. Herbal extrac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S8029831B2 (en) * 2008-07-29 2011-10-04 Bionexus, Ltd. Formulations containing thymoquinone for urinary health
WO2006128032A2 (en) * 2005-05-24 2006-11-30 Wellge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nditions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US20080038367A1 (en) * 2006-08-11 2008-02-14 Sal Saloum Nutritional supple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CA2716366C (en) * 2008-02-29 2018-02-27 Afexa Life Sciences Inc. Activation of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s by a ginseng extract
WO2010048452A2 (en) * 2008-10-22 2010-04-29 Kathryn Jill Chavez Polycyclic compound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20100119558A1 (en) * 2008-11-10 2010-05-13 Scandivir Ab Ngna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GB0917086D0 (en) * 2009-09-29 2009-11-11 Union Of Agricultural Cooperat Compositon of botanical extracts and their use
CA2955981C (en) * 2014-07-22 2022-10-25 Ralco Nutrition, Inc. Antiviral compositions comprising one or more essential oils
CN106805055A (zh) * 2015-11-27 2017-06-09 殷志杰 一种具有抗癌作用的养生饮品
US20200246449A1 (en) * 2017-05-03 2020-08-06 Nanobio Corporation Intravenous immunoglobulin compositions specific for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3843765A4 (en) * 2018-08-27 2022-06-01 Emerald Health Therapeutics Canada Inc. THERAPEUTIC COMBINATIONS OF BOSWELLIA EXTRACT AND CANNABINOIDS
EP4118212A4 (en) * 2020-03-13 2024-05-22 Furst Mcness Company COMPOSITIONS AND METHODS WITH NUTRITIONAL AND OTHER BENEFITS WITH ANTIVIRAL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96360A (zh) 2023-05-09
AU2021236988A1 (en) 2022-10-13
CA3175446A1 (en) 2021-09-23
WO2021186456A1 (en) 2021-09-23
WO2021186454A1 (en) 2021-09-23
JP2023522297A (ja) 2023-05-30
CO2022013166A2 (es) 2022-11-18
CN116056690A (zh) 2023-05-02
EP4121019A1 (en) 2023-01-25
BR112022018639A2 (pt) 2022-11-08
CA3175442A1 (en) 2021-09-23
BR112022018649A2 (pt) 2022-11-01
MX2022011517A (es) 2023-01-04
WO2021186455A1 (en) 2021-09-23
AU2021239187A1 (en) 2022-10-13
EP4121019A4 (en) 2024-04-24
IL296402A (en) 2022-11-01
WO2021186453A1 (en) 2021-09-23
MX2022011573A (es) 2023-01-04
IL296399A (en) 2022-11-01
AU2021237876A1 (en) 2022-10-13
IL296407A (en) 2022-11-01
KR20230005129A (ko) 2023-01-09
EP4121022A1 (en) 2023-01-25
CA3175444A1 (en) 2021-09-23
ZA202210078B (en) 2024-01-31
BR112022018645A2 (pt) 2022-11-08
CA3175440A1 (en) 2021-09-23
IL296398A (en) 2022-11-01
CO2022013172A2 (es) 2022-11-29
JP2023522298A (ja) 2023-05-30
EP4121021A1 (en) 2023-01-25
CO2022013167A2 (es) 2023-01-26
BR112022018637A2 (pt) 2022-11-08
ZA202210079B (en) 2024-01-31
EP4121077A1 (en) 2023-01-25
JP2023522299A (ja) 2023-05-30
CN115666540A (zh) 2023-01-31
ZA202210076B (en) 2024-01-31
AU2021239186A1 (en) 2022-10-13
MX2022011535A (es) 2023-01-04
KR20230005128A (ko) 2023-01-09
KR20230005130A (ko) 2023-01-09
ZA202210080B (en) 2024-01-31
MX2022011572A (es) 2023-01-04
CO2022013171A2 (es) 2022-11-29
US20230134432A1 (en) 2023-05-04
US20230181665A1 (en) 2023-06-15
CN116075314A (zh) 2023-05-05
US20230346866A1 (en) 2023-11-02
JP2023526724A (ja)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5131A (ko) 고형 및 연성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Ganesh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of Acanthus ilicifolius and Avicennia officinalis by GC-MS
Ksouri et al. Medicinal halophytes: potent source of health promoting biomolecules with medical, nutraceutical and food applications
Seeram Berry fruits for cancer prevention: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US7811997B2 (en) Composition containing total triterpenoid sapogenins extracted from bamboo, and the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Arawande et al. Extractive value and phytochemical screening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and turmeric (Curcuma longa) using different solvents
Jose et al.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derivative of myricetin from Mimosa pudica as an anti-proliferative agen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Shahana et al. A brief review on Bauhinia variegata: phytochemistry,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potential
Chatterjee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flavonoid constituents of Cuscuta reflexa
Ponnusamy et al. GC MS/MS analysis of bioactive compounds in alcoholic seed extract of Gauzuma ulmifolia Lam
KR101741827B1 (ko)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개체의 피부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Abuarab et al. Immunomodul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barley bran grown in Jordan: An in vitro and in vivo study
Thakare et al. Effect of quercetinon drug induced hepatotoxicity
Chen et al. Humulus scandens chemical constituents determination and pharmacological action research
Benedetti et al. Improved Cardiovascular Effects of a Novel Pomegranate Byproduct Extract Obtained through Hydrodynamic Cavitation
Hidayah et al. The Potential of Jamblang Bark Plants (Syzygium cumini (L) Skeels) as Anticancer: A Literature Review
Barnawi The modulation of liver cancer cells in response to lepidium sativum extracts
Al-Wajih et al. Literature review of Aloe vera cytotoxicity
Jagadeesh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ti-Oxidant Potential and Anti-Ulcer Activity of Leucas diffusa Plant Extract
CA323307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diabetes and thyroid diseases
Berekoff From East and West: A Shifting Cultural Landscape of Natural Health Products. 11th Annual Conference presented by Natural Health Product Research Society of Canada, in conjunction with the Canadian Institute of Chinese Medicinal Research
KR20170096797A (ko) 항산화 및 항염증에 효능이 있는 천연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