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747A - 치주 질환 관련 구강 염증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키트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치주 질환 관련 구강 염증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키트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747A
KR20230004747A KR1020227040762A KR20227040762A KR20230004747A KR 20230004747 A KR20230004747 A KR 20230004747A KR 1020227040762 A KR1020227040762 A KR 1020227040762A KR 20227040762 A KR20227040762 A KR 20227040762A KR 20230004747 A KR20230004747 A KR 20230004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se
rinsing
inflammation
kit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글로가우어
Original Assignee
오랄 사이언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랄 사이언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랄 사이언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9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visual detection
    • G01N21/293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visual detection with colour charts, graduated scales or turr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11Bacteria
    • G01N33/56955Bacteria involved in periodontal dise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66Animal cells
    • G01N33/56972White bloo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non-fluorescent dye lab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021/7756Sensor type
    • G01N2021/7759Dipstick; Test str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2Casings
    • G01N2201/0221Portable; cableless; compact; hand-h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70Mechanisms involved in disease identification
    • G01N2800/7095Inflamm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Zo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염증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에 기초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기 위한 키트로서, 상기 키트는: 적어도 하나의 헹굼 물질; 적어도 하나의 헹굼 물질을 소정량 함유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는 컵; 소정의 염증 수준에 상응하는 비색 표준, 및 상기 비색 표준과 일관되게 헹굼 물질 내 바이오마커에 대하여 반응성인 비색 지시약을 포함하는, 키트.

Description

치주 질환 관련 구강 염증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키트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20, 4, 30자로 출원되고,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출원 제 63/017,753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기술은 인간 환자 내 치주 질환(periodontal diseases)과 관련되는 구강 염증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비-침습적(non-invasive) 진단 검사에 관한 것이다.
치주 질환의 스크리닝은 지금까지 정기적인 검사 수행을 위하여 치과에 정기적인 방문을 필요로 하였다. 치주 질환은 치아를 지지하는 뼈(bone), 치은(gingiva)(gums) 및 인대(ligament) 손실을 초래하는 염증 상태이다. 호중구(neutrophils)로 불리우는 분화된 백혈구에 의하여 방출되는 효소는 세균 감염을 함유하므로, 그에 의하여 야기되는 부수적 피해의 결과로서 치아 지지 조직(치주 조직(periodontium))의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 치주 질환은 인간에서 발생하는 가장 보편적인 질환 중 하나이다.
전형적으로, 치주 질환의 심각성의 진단은 손실된 뼈, 인대 및 치은 조직의 양의 주기적 전문적 치아 검사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검사는 치아를 둘러싸는 치은 조직 하에 얇은 금속 프로브의 삽입을 필요로 한다. 상기 프로브가 연장되는 깊이는 치아 주변의 지지 조직의 "박리(detachment)" 및 손실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요한 척도는 염증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브 삽입 후 일어나는 출혈 정도이며, 이는 진행 중인 질병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출혈은 진행 중인 질병 활성의 조악한 정량적 측정을 제공한다. 일부 연구는 출혈 정도가 특정 치아 주변의 향후 치주 조직 손실에 대한 정확한 예측자임을 보였다. 이러한 출혈 측정은 임상의에 의하여 사용되는 프로빙 힘(probing force)에 의존하며, 따라서 특정 환자에 대하여 약속마다 또는 임상의마다 비슷하지 않다.
치주 조직 세포 및 면역 시스템에 의하여 구강 내로 방출되는 효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개발된 생화학적 검사가 또한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는 수행을 위하여 전문화된 장비 및 훈련을 필요로 한다.
치주 질환은 대개 통증을 야기하지 않으므로, 환자는 종종 그들의 구강 내에 활성적 질병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지 못할 것이다. 이루는 양치시 가끔 출혈을 주목할 것이나, 출혈은 흔히 일시적인 성질이므로 일부는 이를 무시하는 선택을 할 것이다. 일부 연구는 치은 열구액(crevicular fluid) 내 치아를 둘러싸는 치은구(gingival crevices)를 통하여 구강 내로 들어가는 호중구의 존재를 구강 염증의 가능한 척도로서 연관지었다. 나아가, 구강액은 기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세포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현재, 치과 의사로 하여금 치아 주변 샘플로부터 취해진 호중구의 육안 계수 또는 정량을 가능하게 하는 현미경이 치과 의사에게 판매되고 있다.
기술의 개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 염증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에 기초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구강으로부터, 소정량의 헹굼 물질(rinsing substance)로 구강 헹굼(rinse)으로부터 얻어지는 헹굼 물질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바이오마커에 반응성인 비색 지시약을 상기 헹굼 물질에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색 지시약을 상기 헹굼 물질에 대하여 반응하게 한 후, 비색 지시약의 색상을 비색 표준과 비교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소정량의 헹굼 물질로 구강 세정의 수행은 상기 수집 전에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구강의 예비-헹굼 수행이 상기 헹굼 수행 전에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예비-헹굼 수행은 물로 예비-헹굼 수행을 포함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물로 예비-헹굼 수행은 살균 및/또는 증류수로 예비-헹굼 수행을 포함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는 상기 헹굼 물질의 소정량의 결정은 상기 헹굼 수행 전에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는 상기 헹굼 물질의 소정량의 결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로서, 체중, 연령, 성별, 신강,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의 사용을 포함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헹굼의 지속 기간 결정이 상기 헹굼 수행 전에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헹굼의 지속 기간 결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로서, 체중, 연령, 성별, 신강,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헹굼 수행은 물로 헹굼 수행을 포함하고, 상기 물은 소정의 품질 표준을 충족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물로 헹굼 수행은 살균 및/또는 증류수로 헹굼 수행을 포함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헹굼 수행은 컵의 사용을 포함하고, 상기 헹굼 물질 수집은 상기 컵의 사용을 포함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비색 지시약의 헹굼 물질에 노출은 테스트 스트립의 사용을 포함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테스트 스트립의 사용은 상기 헹굼 물질 내 상기 테스트 스트립 중 적어도 일부의 침지를 포함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염증 수준과 관련되는 값이 상기 비교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경구 섭취될 항생 물질의 용량이 상기 값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치료적 헹굼의 필요성이 상기 값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염증 수준과 관련되는 색상 및/또는 값의 기록 및/또는 이미징이 처리 장치(processing unit) 내에서 행하여질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은 염증 수준 변화를 검출하도록 반복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측면에 따라, 예를 들어, 비색 지시약의 상기 헹굼 물질에 노출은 상기 비색 지시약의 상기 헹굼 물질 내 호중구에 노출을 포함하고, 상기 비색 지시약은 상기 호중구에 반응성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라, 염증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에 기초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기 위한 키트가 제공되며, 상기 키트는: 소정의 염증 수준에 상응하는 비색 표준, 및 상기 비색 표준과 일관되게 헹굼 물질 내 바이오마커에 대하여 반응성인 비색 지시약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일정 부피의 헹굼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헹굼 물질은 물이고, 상기 물은 소정의 품질 표준을 충족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물은 살균 및/또는 증류수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헹굼 물질은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소정량으로 존재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사용될 헹굼 물질의 양, 및 헹굼 지속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설명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설명서는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의 고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일정 부피의 예비-헹굼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예비 헹굼 물질은 물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예비 헹굼수는 살균 및/또는 증류수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예비 헹굼 물질은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소정량으로 존재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사용될 예비 헹굼 물질의 양, 및 예비 헹굼 지속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설명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설명서는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의 고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헹굼 물질 및 예비 헹굼 물질은 동일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컵이 존재하고 상기 헹굼 물질에 대하여 형상화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컵은 눈금이 있는 컵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컵은 살균된 컵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비색 지시약은 테스트 스트립의 일부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테스트 스트립은 상기 비색 지시약과 흡수성 패드를 가진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복수의 테스트 스트립이 존재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비색 표준은 비색 차트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비색 차트는 복수의 소정의 염증 수준들 중 하나에 각각 해당하는 복수의 값들을 가진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비색 지시약은 호중구-반응성 지시약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염증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에 기초하여 사용자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한 헹굼 후, 헹굼 물질에 노출되는 비색 지시약의 이미지를 얻고 - 상기 비색 지시약은 공지의 바이오마커에 반응성임, 상기 비색 지시약의 색상을 비색 표준과 비교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고, 상기 구강의 염증 수준을 출력하기 위한: 처리 장치; 및 상기 처리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communicatively coupled),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컴퓨터-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제3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사용자 헹굼 수행 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헹굼 물질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3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헹굼 물질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3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헹굼 수행 전 헹굼의 지속 기간 결정을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3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헹굼의 지속 기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3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구강의 염증 수준의 함수로서 경구 섭취될 항생 물질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3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염증 수준의 함수로서 치료적 헹굼의 필요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3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사용자 파일 내 색상 및/또는 염증 수준 기록을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3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염증 수준 변화를 검출하도록 반복적 방식으로,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염증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에 기초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를 제공한다.
이제 다음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과 함께 참조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른 구강의 염증 수준 검출을 위한 키트의 구현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구강의 염증 수준 검출 방법의 구현예의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특정 대상의 구강 내 염증 수준을 검출하기 위한 키트(10)가 제공된다. 상기 키트(10)에 의한 구강 내 염증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의 검출은 치주 질환의 존재 및/또는 심각성과 연관될 수 있고, 및 따라서 치아 관리 필요성에 대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트(10)는 전문적 임상적 감독의 부재 하에 사용을 위하여, 즉 최종 사용자에 의한 자기 투여를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키트(10)는 또한 임상의(예를 들어, 치과 의사, 치과 교정 전문의, 의사, 약사)에 의하여 및 간호사, 치위생사와 같은 관계자에 의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키트(10)의 사용은 따라서 임상적으로 사용되거나, 예방적 이유로 또는 이미 존재하는 치주 질환의 진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처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상기 키트(10)는 일반적으로 제1 헹굼 물질(20), 제2 헹굼 물질(30), 컵(40)과 같은 용기, 비색 표준(50) 및/또는 비색 지시약(60)을 포함한다. 상기 키트(10)는 더 적거나 더 많은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헹굼 물질(20, 30)은 소정량으로 제공되는, 예를 들어 수성 물질일 수 있다. 구현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헹굼 물질(20, 30)은 모두 소정량의, 투여 용기(20a, 30a) 내에, 일 실시예에서 각각 약 10 mL의 단일 투여 용기 내에, 포장되는 순수 및/또는 살균수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헹굼 물질(20, 30)은 복수 투여 벌크 용기 내에 들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헹굼 물질(20, 30)은 동일할 수 있고, 병(bottle)과 같은, 단일 복수 투여 용기 내에 들어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헹굼 물질(20, 30)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 소정의 산업적 또는 조절 품질 표준, 예를 들어, USP® 표준을 충족하는 물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헹굼 물질(20, 30)은 상기 키트(10)로부터 생략될 수 있고 달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또는 제2 헹굼 물질(20(존재한다면), 30)의 부피는 사용자의 구강 크기의 함수로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피는 예를 들어 용적 측정을 통하여 얻어지는, 연령(예를 들어, 아동, 성인), 성별, 사용자 신장, 또는 구강 용적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컵(40)은 상기 키트(10) 내에 사용될 수 있는 액체 용기의 예이나, 사용자가 개인용 컵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컵(40)이 상기 키트(10)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경우, 이는 적어도 소정량의 상기 제2 헹굼 물질(30)을 함유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컵(40)은 상기 소정량과 동일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예를 들어 50 mL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컵(40)은 투명하거나 및/또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헹굼 물질(20, 30) 중 하나의 소정량 투여를 허용하도록 눈금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컵(40)은 이를 살균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및/또는 살균되어 제공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상기 컵(40)은 일회용 컵일 수 있고, 그 살균 상태를 보존하는 포장지 내에 들어있을 수 있다.
상기 표준(50)은 소정 수준의 염증과 관련있는 참조 색상(50a)을 나타내는 물품이다. 상기 비색 표준(50)은 카드 등이거나, 또는 참조 색상(50a)을 적절한 정도의 정확성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표준 색상(50a)과 관련되는 소정 수준의 염증은, 예를 들어, 치주 질환 개시를 결정하기 위한 임상적으로 유의한 역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비색 표준(50)은 또한 추가적인 색상(50b, 50c)를 나타낼 수 있다. 색상 50a, 50b, 50c, ... 50n은 적어도 강도에서 서로 다르고, 각각 상이한 소정 수준의 염증에 해당한다.
상기 지시약(60)은 육안 구별 가능한 색상 변화를 생산하도록 상기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인 시약, 즉 상기 바이오마커에 반응성인 물질을 지니는 물품이다. 상기 시약은 호중구와 같은 특정 유형의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캐나다 특허 제 2 562 655호에 개시되는 물질들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표준(50) 및 지시약(60)은, 특정 상황 하에, 상기 지시약(60)이 소정 농도의 바이오마커의 존재 하에 색상 변화되어 참조 색상(50a, 50b, ... 50n)을 나타내도록 정렬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상기 지시약(60)은 수집된 용액과 혼합되는, 분말 형태, 또는 액체 형태이다. 분말/액체 지시약(60)의 사용량은 수집된 샘플 부피의 함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지시약(60)은 캐리어(64)에 부착된 패드(62)를 포함하여 테스트 스트립(60a)을 형성한다. 상기 패드(62)는 상기 캐리어(64)와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흡수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62)는 상기 시약을 함유할 수 있고, 소정량의 용액(상기 바이오마커를 함유하는 제2 헹굼 물질(30)과 같은)을 샘플링하여 상기 시약을 함침시키는 수단을 형성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시약은 상기 패드(62) 내에 충분한 양으로 분산 및 제공되어, 상기 소정량의 용액 내 존재하는 바이오마커에 대하여 반응할 수 있다. 상기 지시약(60)은 또한 상기 바이오마커의 복수의 소정 농도들 중 하나에 반응하도록 정렬되어, 상기 지시약(60)이 복수의 색상, 예를 들어, 참조(50)의 색상 50a, 50b, 50c, 50n 중 상응하는 하나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상기 지시약(60)은 패드(62)가 없는 테스트 스트립이고, 상기 테스트 스트립은 상기 헹굼 물질 내 바이오마커에 노출될 때 반응할 수 있는 시약을 포함한다.
나아가,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키트(10)는 추가적인 지시약(60) 및 그러한 지시약(60)을 일반적으로 불활성 환경에 저장하기 위한 용기(6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표준(50)은 상기 용기(66)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트(10)는, 예를 들어 상이한 환자/사용자에 대하여 및/또는 연장된 기간에 걸쳐 수행될 복수 진단 시험을 위한 필수 성분들을 가지는, 다중 시험 키트일 수 있다. 상기 키트(10)는 또한 상기 키트(10) 사용에서 설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서는 상키 키트(10)의 사용을 통하여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팜플렛, 어플리케이션, 웹사이트, 웹사이트 또는 설명 매뉴얼로 이어지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설명서는 예를 들어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 방법(100)에 제시되는 가이드라인을 따를 수 있다.
기타 성분들이 상기 키트(10)의 일부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치주 치약 튜브 및/또는 구강 관리 칫솔, 및/또는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제를 가지는 구강 관리 린스가 존재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상기 구강 관리 린스는 상기 비색 지시약(60)을 사용하여, 염증이 검출되는 경우 사용될 것이다. 구현예에서, 비색 지시약(60)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상기 방법(100) 사용에 따라, 염증이 검출되는 경우에만 항생제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지시와 같은, 상기 키트(10) 사용자에게 제공될 용량에 대한 엄격한 설명서와 함께, 항생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키트(100)는 또한 웹 기반 플랫폼의 일부인 모바일 장치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7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70)은 처리 장치(71) 및 상기 처리 장치(71)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72)를, 다양한 기능 수행을 위한 상기 처리 장치(71)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와 함께 가지는 유형의 것이다. 상기 시스템(7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기능 중 일부는, 상기 키트(10)의 사용자(들)을 보조하여, 사용자에 의한 헹굼 후 헹굼 물질에 노출되는 비색 지시약의 이미지를 얻고 - 상기 비색 지시약은 공지의 바이오마커에 반응성임; 상기 비색 지시약의 색상을 비색 표준과 비교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고; 구강의 염증 수준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70)의 기타 기능은 사용자가 헹굼을 수행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헹굼 물질의 양을 결정하고;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헹굼 물질의 양을 결정하고; 상기 헹굼 수행 전에 상기 헹굼의 지속 기간을 결정하고;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헹굼의 지속 기간을 결정하고; 경구 섭취될 항생 물질의 용량을 구강의 염증 수준의 함수로서 결정하고; 치료적 헹굼의 필요성을 염증 수준의 함수로서 결정하고; 사용자 파일 내 색상 및/또는 염증 수준을 기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염증 수준 변화를 검출하도록 상기 시스템(70)에 의하여 반복적인 방식으로 행하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의 다른 측면에서, 구강 내 염증 수준을 검출하는 방법(100)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100)은,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서 앞서 기재한 키트(10), 또는 기타 키트, 장치 또는 요소의 사용을 수반한다. 그러한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100)은 사용자가 상기 키트(10)를 얻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기 방법(100)은 소정량의 제1 헹굼 물질(20)로 구강의 제1 헹굼을 수행하는 단계(110)를 포함한다. 이 단계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제1 헹굼 물질(20)로 구강을 플러싱(즉, 제1 헹굼을 수행)하여, 구강 내부에 잔류 물질로서 존재할 수 있는 잔해 및 바이오마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 헹굼 물질(20)은 예를 들어, 상기 키트(10)의 투여 용기(20a)로부터 얻어지는 살균수일 수 있으나, 상기 키트(10) 내에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수돗물, 용수, 병에 든 생수 또는 처리수일 수도 있다.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컵(40)을 사용하여 상기 제1 헹굼액(20)의 소정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헹굼은 10 내지 30초, 예를 들어 약 15초와 같은, 고정된 지속 기간 동안 수행되어 구강으로부터 잔해를 효과적으로 플러싱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물질(20)은 상기 제1 헹굼 후 폐기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상기 방법(100)은 이어질 단계에 대한 가이드와 함께, 어플리케이션 웹 기반 플랫폼 등이 동시에 실행되면서, 행하여진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웹 기반 플랫폼 등은 시계 또는 타이머를 통합하여 플러쉬 지속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카운트다운 시작을 위하여 스타트를 누를 수 있고, 제1 헹굼 플러쉬 기간의 끝을 알리는 알람이 울린다.
상기 방법(100)은 또한 소정량의 제2 헹굼 물질(30)로 구강의 제2 헹굼을 수행하는 단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에 따르면,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웹 기반 플랫폼 등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헹굼 후 지연이 끝나기를 기다린 후, 사용자는 그의 구강을 다시 한번 헹군다(즉, 제2 헹굼을 수행). 상기 지연은 약 110 내지 130초, 예를 들어 약 120초일 수 있다. 단계(120) 수행 전 지연은, 존재한다면, 어플리케이션 웹-기반 플랫폼 등에 의하여 시간이 맞추어 질 수 있다. 상기 제2 헹굼 물질(30)은 예를 들어, 상기 키트(10)의 투여 용기(30a)로부터 얻어지는 살균수일 수 있으나, 상기 키트(10) 내에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수돗물, 용수, 병에 든 생수, 또는 처리수일 수 있다. 사용자는 그 외에는 컵(40)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헹굼액(30)의 소정량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헹굼을 예를 들어, 약 25 내지 35초, 예를 들어 약 30초의 고정된 지속 기간 동안 수행하여, 그들의 구강 내 존재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상기 제2 헹굼 물질(30)로 씻어내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120) 수행을 위한 지연은, 존재한다면, 어플리케이션 웹-기반 플랫폼 등에 의하여 시간이 맞추어질 수 있다. 단계(120)의 일부로서, 또는 단계(120) 전에, 사용자는 헹굼 물질(30)의 양을 연령, 성별, 신장, 체중, 구강 크기 변수와 같은 요인의 함수로서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 사용자는 선택된 양에 기초하여 제2 헹굼 물질(30)을 측정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제1 헹굼 물질(20)로 행하여질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요인에 기초하여 샘플 크기가 주어진다. 구현예에서, 존재한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웹-기반 플랫폼 등은 사용자가 이러한 요인들을 입력한 후 헹굼 물질 부피를 나타낼 수 있다. 구강 용량과 헹굼 물질 부피 사이의 비례 원칙은 상기 방법(100)의 정확도를 지시할 수 있으므로, 헹굼 물질, 특히 헹굼 물질(30)의 부피는 바이오마커 농도 결정에서 중요한 변수일 수 있다.
제2 헹굼으로부터 얻어지는 용액 내 존재하는 바이오마커의 물질 양은 제1 헹굼 완료 후 및 구강 내 염증 수준에 상응하는 속도로 구강 내에 방출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용액 내 바이오마커의 소정의 농도는 제2 헹굼 후 지연, 제2 헹굼 지속 기간, 및/또는 제2 헹굼 물질의 소정량의 함수라고 할 수 있다. 단계(130)에서, 상기 방법(100)은 구강으로부터 소정량의 상기 용액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소정량, 예를 들어 약 10mL를 컵(40) 내에 수집할 수 있다. 기타 용기가 비었고 깨끗하다면 상기 컵(40) 대신 사용에 적합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컵(40) 내에 상기 제2 헹굼 물질(30) 모두를 수집한다.
단계(140)에서, 상기 방법(100)은 상기 용액 샘플을 상기 지시약(60)으로 추출하거나 상기 지시약(60), 예를 들어 용기(66) 내에 저장된 키트(10)의 테스트 스트립(60a) 중 하나를 수집된 용액 샘플에 노출시킨다. 상기 용액을 수집하자마자, 사용자는 테스트 스트립(60a)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존재한다면, 용기(66)를 일시적으로 열어 테스트 스트립(60a)를 회수하고, 그 후 곧 상기 용기(66)를 닫아, 나머지 테스트 스트립(60a)의 외부 오염에 과도한 노출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행하여질 수 있다. 다음, 사용자는 테스트 스트립(60a)을 수집된 용액 내로 넣어, 존재한다면, 패드(62)와 같은, 지시약(60)의 일부를 즉각 침지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지시약(60)이 출현하자마자 소정의 지속 기간 동안 테스트 스트립(60a)의 반응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지속 기간은 약 50 내지 70초, 예를 들어 약 60초일 수 있다. 단계(140) 수행을 위한 지연은, 존재한다면, 어플리케이션, 웹-기반 플랫폼 등에 의하여 시간이 맞추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속 기간은 단지 예로서 제공된다. 사용자는 이 시점에서 타이머를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웹-기반 플랫폼 등 상에) 시작하여 상기 소정의 지속 기간이 적절히 준수됨을 보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소정의 지속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패드(62)를 위로 향하게 하면서 테스트 스트립(60a)을 편평하고 깨끗한 표면 상에 드러나게 놓을 수 있다.
다음 단계(150)에서, 상기 방법(100)은, 상기 소정의 지속 기간 동안 반응이 일어나게 한 후, 상기 지시약(60)의 색상을 상기 키트(10)의 표준(50)과 비교한다. 사용자는 이에 따라, 표준 색상(50a)에 매칭되는 키트(10)의 지시약(60)에 의하여 나타나는 색상에 따라 그들의 구강 내 염증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소정의 지속 기간 완료 직후, 또는 특정 시간 경과 후, 사용자는 예를 들어 메모하거나 카메라 또는 기타 적합 장비로 상기 지시약(60)의 사진을 찍음으로써, 상기 지시약(60)의 색상을 기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웹-기반 플랫폼 등이 존재하는 경우, 이미지 및/또는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업로드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상기 비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는 이미지 캡쳐에서 주위 밝기에 기초하여 색상을 결정하기 위하여, 플래쉬 관련 이미지 및 데이터(예를 들어, 타입, 강도, 등)를 캡쳐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사용되는 지시약(60)의 이미지는, 비교 표준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웹-기반 플랫폼 등에 의하여 공지된 보정 표준 색상을 그 이미지 내에서 동시에 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보정 표준 색상(calibration reference colour)이 처리 장치에 의하여 사용되어 조명 변수 이미징을 해독하고, 비교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지시약(60) 색상의 기록은 상기 표준(50)과 비교를 지연시키는 것을 허용하거나, 다른 지시약(60)과 궁극적인 비교를 허용할 수 있다. 과연, 상기 방법(100)은 사용자로 하여금 그들의 구강 내 염증 수준 변화 검출을 허용하도록 시간 경과에 따라 반복 가능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100)은 임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구현예에서, 조건은 예시적인 방식으로 제공될 뿐이므로, 그 중에서도 예로서, 상기 제1 헹굼 물질(20)은 10 mL의 수돗물이고, 상기 제2 헹굼 물질(30)은 10 mL의 살균수이고, 상기 컵(40)은 50 mL 용기이고, 상기 용기(66)는 병(bottle)일 수 있다. 상기 방법(100)은 환자가 구강 예비-헹굼을 수행하도록 (예를 들어, 15초 동안) 환자에, 예를 들어 컵(40) 내에, 제1 헹굼 물질을 제공하고, 구강 예비-헹굼 기간 후 (예를 들어, 2분), 상기 환자가 구강 헹굼을 수행하도록 (예를 들어, 30초 동안) 상기 환자에, 예를 들어 컵(40) 내에, 제2 헹굼 용액(30)을 제공하고,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구강 헹굼으로부터 얻어지는 헹굼액을 컵(40) 내로 수집하고, 하나의 지시약(60)을 (예를 들어, 테스트 스트립(60a) 형태로 제공되는 지시약(60)을 함유하는 용기(66)를 열고, 하나의 테스트 스트립(60a)을 병으로부터 제거하고, 그 직후 상기 용기(66)를 닫음으로써) 얻고, 패드(62) 또는 상기 지시약(60)의 다른 부분을 상기 용액 내로 침지시키고, 상기 지시약(60)을 침지 직후 상기 용액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지시약(60)을 편평하고 깨끗한 표면 상에 (예를 들어, 패드(62)를 위로 향하게 하면서) 놓고, 상기 패드(62)를 상기 용액으로부터 제거한 후 (예를 들어, 약 1분), 색상을 표준(50)과 비교하거나, 이를 어플리케이션, 웹-기반 플랫폼 등의 처리 장치에 의하여 분석을 위하여 이미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1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표준(50)과 함께 상기 지시약(60)의 색상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웹-기반 플랫폼 등은 입력된 사용자의 지시약(60) 등 데이터의 히스토리를 유지하여, 염증 진행/퇴행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치료제 (예를 들어, 치주 치약, 경구용 린스) 및/또는 항생제가 사용되는 경우, 염증 진행/퇴행은 치료제/의약 투여의 함수일 수 있어, 사용자의 투여 효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구강 내 백혈구 수준은 기타 임상적 질환과 관련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 내 존재하는 백혈구와 골수 이식 생착 사이에 상관 관계가 존재한다. 구현예에서, 상기 키트(10) 및/또는 상기 방법(100)은, 골수 이식 성공을 나타낼 수 있는 구강 내 백혈구 존재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100)은 염증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에 기초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고, 구강으로부터, 소정량의 헹굼 물질로 구강 헹굼으로부터 얻어지는 헹굼 물질을 수집하는 단계; 비색 지시약을 상기 헹굼 물질에 노출하는 단계 - 상기 비색 지시약은 상기 바이오마커에 반응성임; 상기 비색 지시약을 상기 헹굼 물질에 대하여 반응하게 한 후, 상기 비색 지시약의 색상을 비색 표준과 비교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재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당업자는 개시되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기재된 구현예들에 대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또 다른 변경이 본원 명세서 개시의 검토를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며, 그러한 변경은 첨부되는 청구항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52)

  1. 염증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에 기초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구강으로부터, 소정량의 헹굼 물질(rinsing substance)로 구강 헹굼(rinse)으로부터 얻어지는 헹굼 물질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바이오마커와 반응성인 비색 지시약을 상기 헹굼 물질에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색 지시약을 상기 헹굼 물질에 대하여 반응하게 한 후, 비색 지시약의 색상을 비색 표준과 비교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전에, 소정량의 헹굼 물질로 구강 헹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수행 전에, 구강의 예비 헹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헹굼의 수행은 물로 예비 헹굼의 수행을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로 예비 헹굼 수행은 살균 및/또는 증류수로 예비 헹굼 수행을 포함하는,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수행 전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헹굼 물질의 소정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는 헹굼 물질의 소정량의 결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로서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의 이용을 포함하는, 방법.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수행 전에, 상기 헹굼의 지속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의 지속 기간 결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로서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는, 방법.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수행은 물로 헹굼 수행을 포함하고, 상기 물은 소정의 품질 표준을 충족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로 헹굼은 살균 및/또는 증류수로 헹굼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수행은 컵의 사용을 포함하고, 상기 헹굼 물질 수집은 상기 컵의 사용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색 지시약의 상기 헹굼 물질에 노출은 테스트 스트립의 사용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스트립의 사용은 상기 테스트 스트립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헹굼 물질 내에 침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로부터 염증 수준과 관련된 값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값의 함수로서, 경구 섭취될 항생 물질의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값의 함수로서, 치료적 헹굼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 장치(processing unit) 내에 염증 수준과 관련되는 색 및/또는 값을 기록 및/또는 이미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염증 수준 변화를 검출하도록 반복가능한(iterable),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색 지시약의 상기 헹굼 물질에 노출은 상기 비색 지시약을 상기 헹굼 물질 내 호중구에 노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비색 지시약은 상기 호중구에 반응성인, 방법.
  21. 염증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에 기초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기 위한 키트로서, 상기 키트는:
    소정의 염증 수준에 상응하는 비색 표준, 및
    상기 비색 표준과 일관되게 헹굼 물질 내 바이오마커에 대하여 반응성인 비색 지시약
    을 포함하는, 키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일정 부피의 헹굼 물질을 포함하는, 키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물질은 물이고, 상기 물은 소정의 품질 표준을 충족하는, 키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살균 및/또는 증류수인, 키트.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물질은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소정량으로 존재하는, 키트.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될 헹굼 물질의 양, 및 헹굼 지속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는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의 고려를 포함하는, 키트.
  28. 제2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정 부피의 예비-헹굼 물질을 포함하는, 키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헹굼 물질은 물인, 키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헹굼수는 살균 및/또는 증류수인, 키트.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헹굼 물질은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소정량으로 존재하는, 키트.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될 예비 헹굼 물질의 양, 및 예비 헹굼 지속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는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의 고려를 포함하는, 키트.
  34. 제2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물질 및 예비 헹굼 물질은 동일한, 키트.
  35. 제2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물질에 대하여 구성되는 컵을 포함하는, 키트.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눈금이 있는 컵인, 키트.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살균된 컵인, 키트.
  38. 제2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색 지시약은 테스트 스트립의 일부인, 키트.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스트립은 상기 비색 지시약이 있는 흡수성 패드를 가지는, 키트.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복수의 테스트 스트립을 포함하는, 키트.
  41. 제2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색 표준은 비색 차트인, 키트.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색 차트는 복수의 소정의 염증 수준들 중 하나에 각각 해당하는 복수의 값들을 가지는, 키트.
  43. 제2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색 지시약은 호중구-반응성 지시약인, 키트.
  44. 염증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에 기초하여 사용자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처리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한 헹굼 후, 헹굼 물질에 노출되는 비색 지시약의 이미지를 얻고(상기 비색 지시약은 공지의 바이오마커에 반응성임),
    상기 비색 지시약의 색상을 비색 표준과 비교하여 구강의 염증 수준을 검출하며,
    상기 구강의 염증 수준을 출력하기 위한,
    처리 장치; 및
    상기 처리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communicatively coupled),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컴퓨터-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를 포함하는,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사용자 헹굼 수행 전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헹굼 물질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시스템.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헹굼 물질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시스템.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헹굼 수행 전에 헹굼의 지속 기간 결정을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체중, 연령, 성별, 신장, 구강 용적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변수에 기초하여 헹굼의 지속 기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시스템.
  49. 제44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구강의 염증 수준의 함수로서 경구 섭취될 항생 물질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시스템.
  50. 제44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염증 수준의 함수로서 치료적 헹굼의 필요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시스템.
  51. 제44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사용자 파일 내 색상 및/또는 염증 수준 기록을 위하여,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시스템.
  52. 제44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염증 수준 변화를 검출하도록 반복적인 방식으로,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시스템.
KR1020227040762A 2020-04-30 2021-04-30 치주 질환 관련 구강 염증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키트 및 방법 KR202300047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17753P 2020-04-30 2020-04-30
US63/017,753 2020-04-30
PCT/CA2021/050604 WO2021217272A1 (en) 2020-04-30 2021-04-30 Kit and method for monitoring oral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747A true KR20230004747A (ko) 2023-01-06

Family

ID=7833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762A KR20230004747A (ko) 2020-04-30 2021-04-30 치주 질환 관련 구강 염증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키트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175971A1 (ko)
EP (1) EP4143547A4 (ko)
JP (1) JP2023529554A (ko)
KR (1) KR20230004747A (ko)
CN (1) CN115667894A (ko)
AU (1) AU2021262236A1 (ko)
CA (1) CA3185635A1 (ko)
IL (1) IL297683A (ko)
MX (1) MX2022013532A (ko)
WO (1) WO20212172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1269B1 (en) * 1994-06-03 2003-04-01 Industrial Test Systems, Inc. Colorimetric test strips
CA2562655C (en) * 2006-10-05 2015-02-03 Michael Glogauer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rinse diagnosis and monitoring of periodontal diseases
US7521200B2 (en) * 2006-10-05 2009-04-21 Michael Glogauer Method for non-invasive rinse diagnosis and monitoring of periodontal diseases using colourimetric reagents
US20110287409A1 (en) * 2009-02-05 2011-11-24 Hydradx, Inc.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US9063091B2 (en) * 2012-04-06 2015-06-23 Ixensor Inc. Test strips and method for reading test strips
WO2017182876A1 (en) * 2016-04-21 2017-10-26 Berkeley Nox Limited Compositions,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oral health
EP3553522A1 (en) * 2018-04-12 2019-10-16 Koninklijke Philips N.V. Gingivitis diagnostic methods, uses and k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7272A1 (en) 2021-11-04
AU2021262236A1 (en) 2022-12-15
CA3185635A1 (en) 2021-11-04
EP4143547A1 (en) 2023-03-08
JP2023529554A (ja) 2023-07-11
EP4143547A4 (en) 2023-08-16
CN115667894A (zh) 2023-01-31
MX2022013532A (es) 2023-01-05
IL297683A (en) 2022-12-01
US20230175971A1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aga et al. Detection activity assessment and diagnosis of dental caries lesions
Zimmer et al. Determination of mercury in blood, urine and saliva for the biological monitoring of an exposure from amalgam fillings in a group with self-reported adverse health effects
JP2009545740A (ja) 唾液の分析
Lam et al. Effectiveness of pit and fissure sealants for preventing and arresting occlusal caries in primary mola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arhammer et al. Metal content of saliva of patients with and without metal restorations
Celiberti et al. In vitro ability of a laser fluorescence device in quantifying approximal caries lesions in primary molars
Fontana et al. A screening test for unstimulated salivary flow measurement
Novaes et al. Children's discomfort in assessments using different methods for approximal caries detection
Chawla et al. An in vitro comparison of detection methods for approximal carious lesions in primary molars
JP2006309465A (ja) 歯科健康管理システム、口腔内情報解析装置、歯科疾患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885206B (zh) 牙周病阶段的判定方法
Patel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Midwest caries ID: a novel light-emitting diode for caries detection
Maserejian et al. Dental amalgam exposure and urinary mercury levels in children: the New England Children’s Amalgam Trial
US20230175971A1 (en) Kit and method for monitoring oral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s
Shon et al. Intra-oral factors influencing halitosis in young women
US7521200B2 (en) Method for non-invasive rinse diagnosis and monitoring of periodontal diseases using colourimetric reagents
Gabardo et al. Sialometric and sialochemical analysis in individuals with pulp stones
US20080167976A1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biostrip
US20200200739A1 (en) Urine sampling kit and method
CA256265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rinse diagnosis and monitoring of periodontal diseases
RU2708090C2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уровня минерализующего потенциала ротовой жидкости у детей
RU2564126C1 (ru) Способ качественн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адаптационной способности к мостовидным конструкциям ортопедических протезов по содержанию биомаркеров в ротовой жидкости пациента с новообразованиями челюстно-лицевой области
WO2016095606A1 (en) Gum condition assessment
JP2022101895A (ja) 唾液分泌量の予測方法
KR20170055396A (ko) 타액 및 치은열구액 사용 치주질환 및 대사증후군 진단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