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468A -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468A
KR20230004468A KR1020227034565A KR20227034565A KR20230004468A KR 20230004468 A KR20230004468 A KR 20230004468A KR 1020227034565 A KR1020227034565 A KR 1020227034565A KR 20227034565 A KR20227034565 A KR 20227034565A KR 20230004468 A KR20230004468 A KR 20230004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transmiss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치 히라타
유스케 다나카
가즈유키 사코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0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통신 장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한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링크의 점유 기간을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제1 역치보다 길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의 점유 기간을 설정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이하, 「본 개시」라 한다)은, 복수의 링크를 묶어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VR(Virtual Reality)이나 8K의 비디오 전송 등,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서, 무선LAN(Local Area Network)에서는 스루풋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스루풋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용한 기술로서, 복수의 링크를 묶어서 통신하는 멀티링크 오퍼레이션(Multi-link operation)의 규격화가 진행되고 있다.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은, 각 링크가 독립적으로 통신 동작하는 비동기 전송 방식과, 링크간에서 완전히 송신 타이밍을 정렬시키는 동기 전송(Synchronous transmission) 방식의 2개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에 있어서 링크간의 채널이 가까워서 누설이 발생하기 때문에, 한쪽 링크에서 송신을 하면서 다른 링크에서 수신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링크에서 송신 타이밍을 정렬시키는 동기 전송 방식에 따르면, 링크간에서의 동시 송수신이 발생하지 않아,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실시할 때, 사용할 모든 링크가 동시에 송신 가능한 것, 바꿔 말하면, 각 링크가 동시에 아이들(idle) 상태가 될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레거시 단말기 등의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에 대응하지 않은 단말기는, 1개의 링크만을 사용하고, 다른 링크와는 독립적으로 송신 동작을 행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링크가 모두 아이들 상태에서 동기 전송이 실시 가능해지는 시간은 한정되어,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에 의한 스루풋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에 사용하는 1개의 링크에서 제1 통신 시스템(legacy AP)의 통신 종료 시각을 검출하면, 그 링크에 있어서 그 통신 종료 시각까지 송신을 억제함과 함께,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에 사용하는 다른 링크에 있어서 그 통신 종료 시각에 종료되는 미디어 점유 기간을 기재한 점유 신호를 송신해서 다른 통신 시스템의 송신을 억제하여,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에 사용하는 모든 링크가 아이들이 되는 시간을 확보하는 통신기에 대해서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그러나, 이 제안에 관한 통신기는, 한쪽 링크에서 제1 통신 시스템의 통신 종료까지 송신을 억제한 후에, 동기 전송에 의해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 때문에, 통신기는, 제1 통신 시스템의 통신 종료까지, 송신하고 싶은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어도, 송신을 대기해버린다. 또한, 미디어 점유 기간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해서 다른 통신 시스템의 송신을 억제하는 경우, 점유 신호의 수신에 실패한 통신 시스템은 송신을 억제하는 송신 억제 기간(NAV: Network Allocation Vector: NAV)을 설정할 수 없어 송신을 개시해버리기 때문에, 통신기는,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에 사용하는 모든 링크가 아이들이 되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이 제안에 관한 통신기는, 다른 단말기와 충돌하지 않고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해서, 점유 신호를 송신한 것에 의한 다른 통신 시스템의 NAV가 만료했을 때에 즉시 점유 신호를 송신하지만, NAV의 만료 시에 마찬가지로 점유 신호를 송신하는 다른 통신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점유 신호끼리의 충돌이 발생한다.
일본특허공개 제2006-303590호 공보
본 개시의 목적은,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를 참작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 측면은,
제1 링크 및 제2 링크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한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링크의 점유 기간을 설정하는,
통신 장치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의 점유 기간을 설정하여,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제1 역치보다 길 때에는 상기 제2 링크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1 역치 이하에서 제2 역치보다 길 때에는 상기 제2 링크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2 역치 이하일 때에는 상기 제2 링크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에 송신 억제 기간을 설정하는 신호의 송신원 또는 송신처의 링크간의 동시 송수신의 가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의 프레임의 송신처를 결정한다.
또한,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제1 링크 및 제2 링크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상기 제1 링크에서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을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송신 억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점유 기간을 설정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본 개시에 의하면,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개시에 의해 초래되는 효과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가, 상기의 효과 이외에, 더 부가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나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링크(link1)와 제2 링크(link2)의 채널 선택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링크(link1)와 제2 링크(link2)의 채널 선택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통신 장치(200)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사용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통신 시퀀스 예(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해서 각 링크가 아이들이 되는 시간을 정렬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사용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통신 시퀀스 예(널 패킷을 사용해서 각 링크가 아이들이 되는 시간을 정렬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멀티링크 오퍼레이션 가능한 통신 장치가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멀티링크 오퍼레이션 가능한 통신 장치가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사용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통신 시퀀스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멀티링크 오퍼레이션 가능한 통신 장치가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에 대해서, 이하의 순서를 따라서 설명한다.
A. 개요
B. 시스템 구성
C. 장치 구성
D. 동작예 1
E. 동작예 2
F. 효과
A. 개요
본 개시를 적용한 통신 장치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에서 송신 타이밍을 정렬시킨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한다. 본 개시를 적용한 통신 장치는, 제1 링크에서 설정된 NAV의 길이나 바로 송신해야 할 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NAV가 종료될 때까지 제2 링크에서 데이터 또는 신호 길이가 짧은 신호의 송신을 실시한다. 본 개시를 적용한 통신 장치는, NAV의 길이가 충분히 긴 경우에는, 제2 링크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다른 통신 장치가 NAV를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송신을 억제시켜서, 제1 링크 및 제2 링크가 모두 아이들 상태가 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NAV가 만료한 후에는, 각 통신 장치가 우선적인 랜덤 대기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본 개시를 적용한 통신 장치는,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통신끼리간에서 통신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에 대응하지 않은 통신 장치에 대하여 우선적인 송신을 행한다.
또한, 본 개시를 적용한 통신 장치는, 다른 통신 장치의 통신 종료까지 보다 긴 NAV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본 개시를 적용한 통신 장치는, 다른 통신 장치의 통신 종료 후에 또 다른 통신 장치가 송신을 시행하는 것을 억제하여,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위한 송신권을 획득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본 개시를 적용한 통신 장치는, 제1 링크에서 자신앞이 아닌 프레임을 수신한 것에 의해 NAV를 설정하고 있는 기간 중에 제2 링크에서 송신권을 확보하면, 제1 링크의 NAV의 길이와, 송신해야 할 데이터의 유무 및 데이터양이나 이용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등의 통신 방식에 따라, 제1 링크의 NAV가 종료되는 시간까지 채널 점유 기간(Transmission Opportunity: TXOP)을 설정하는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 RTS(Request To Send) 프레임, CTS(Clear To Send)-to-self 프레임, NDP(Null Data Packet) 등이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를 적용한 통신 장치는, 제1 링크의 NAV 종료 후에 우선적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제2 링크의 TXOP를 제1 링크의 NAV의 종료보다 길게 설정하고, 제1 링크의 NAV 종료 후 일정 기간의 채널 확인으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사용해서 송신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B. 시스템 구성
도 1에는, 본 개시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의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포인트(AP)(110)와, 단말기(STA)(120)로 구성된다. 단말기(120)는, 액세스 포인트가 아니다(즉, non-AP이다).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사용 가능하고, 액세스 포인트(110)와 단말기(120)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와 단말기(120)는 모두, 제1 링크(link1)와 제2 링크(link2)를 사용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통신 장치(Multi-link Device: MLD), 즉 각각 AP MLD 및 non-AP MLD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단순히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이라고 할 때,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10) 내에는, 제1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AP1-1과, 제2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AP1-2라고 하는 2개의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단말기(120) 내에는, 제1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non-AP STA1-1과, 제2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non-AP STA1-2라고 하는 2개의 단말기가 포함되어 있다. 단, 액세스 포인트(110) 및 단말기(120)에 각각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기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즉, 액세스 포인트(110)와 단말기(120)를 접속하는 링크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링크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서는,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통신 시스템(100) 내에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기를 각각 1대밖에 그리지 않았지만, 복수대의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1개의 통신 장치 중에 1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 MLD)와 1 이상의 단말기(non-AP MLD)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MLD management entity는, 각각 MLD인 액세스 포인트(110)와 단말기(120) 내의 동작을 관리하는 엔티티이다. 또한, MAC-SAP to LLC는, MAC(Media Access Control) 레이어의 상위 레이어인 LLC(Logical Link Control) 레이어에 대하여, MAC 레이어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인트(Serivice Access Point)이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링크」란, 2개의 통신 장치간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수 있는 무선 전송로이다. 개개의 링크는, 예를 들어 주파수 영역에서 분할된, 서로 독립한 복수의 무선 전송로(채널) 중에서 선택된다. 도 2 및 도 3에는, 통신 시스템(100)에서 사용되는 제1 링크(link1)와 제2 링크(link2)의 채널 선택에 관한 2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에 있어서, 대역 A 및 대역 B는 각각, 2.4㎓대, 5㎓대, 6㎓대, 920㎓대 등의 대역 중 어느 대역이다. 대역 A 및 대역 B는, 예를 들어 무선국 면허를 필요로 하지 않는 언라이선스 밴드여도 되고, SAS(Spectrum Access System) 등의 데이터베이스 액세스에 의해 사용이 허가된다.
대역 A 및 대역 B는, 각각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대역 A는 6개의 채널로 이루어지고, 대역 B는 5개의 채널로 이루어진다. 통신 시스템(100)에서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110) 및 단말기(120) 등의 MLD는, 대역 A 및 대역 B 중에서 제1 링크(link1)와 제2 링크(link2)에 사용할 채널을 선택한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대역 A 중에서 제1 링크(link1)와 제2 링크(link2)에 사용할 채널을 선택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대역 A 중에서 제1 링크(link1)에 사용할 채널을 선택함과 함께, 대역 B 중에서 제2 링크(link2)에 사용할 채널을 선택하고 있다.
C. 장치 구성
도 4에는, 액세스 포인트(110) 및 단말기(120)로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200)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통신 장치(200)는, 제1 링크(link1)와 제2 링크(link2)를 사용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디바이스 즉 MLD이다.
도시의 통신 장치(200)는, 제어부(210)와, 전원부(220)와,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2개)의 통신부(230-1)와, 통신부(230-2)와, 통신부(230-1)에 대응하는 안테나부(240-1)와, 통신부(230-2)에 대응하는 안테나부(240-2)로 구성된다.
통신부(230-1)와 안테나부(240-1)의 조합, 그리고 통신부(230-2)와 안테나부(240-2)의 조합은, 통신 장치(200)가 사용하는 대역마다 장비된다.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통신부(230-1)와 안테나부(240-1)의 조합에 의해 제1 링크(link1)를 사용한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고, 통신부(230-2)와 안테나부(240-2)의 조합에 의해 제2 링크(link2)를 사용한 데이터 통신을 실시한다. 따라서, 통신 장치(200)가 3개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통신부 및 안테나부의 조합이 더 추가되어 장비되게 된다. 통신부(230-1)와 통신부(230-2)는, 서로 제어 및 정보의 교환을 행해도 된다.
또한, 통신부(230-1)와 통신부(230-2), 그리고 안테나부(240-1)와 안테나부(240-2)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간소화를 위해, 통신부(230-1)와 통신부(230-2)를 통신부(230)로 통일함과 함께, 안테나부(240-1)와 안테나부(240-2)를 안테나부(240)로 통일해서 참조하기로 한다.
통신부(23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프로세서나 회로로 구성되고, 메모리부(238)와, 무선 제어부(231)와, 데이터 처리부(232)와, 변복조부(233)와, 신호 처리부(234)와, 채널 추정부(235)와, 병렬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IF)부(236-1, …, 236-N)와, 각 무선 인터페이스부(236-1, …, 236-N)에 직렬적으로 접속된 앰프부(237-1, …, 237-N)를 구비하고 있다(단, N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각 앰프부(237-1, …, 237-N)에는, 당해 통신부(230)에 대응하는 안테나부(240)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 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직렬 접속된 무선 인터페이스부(236), 앰프부(237) 및 안테나부(240) 중의 안테나 소자를 1조로 해서, 1개 이상의 조가 통신부(230)의 구성 요소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각 무선 인터페이스부(236-1, …, 236-N)에, 각각에 대응하는 앰프부(237-1, …, 237-N)의 기능이 내포되어 있어도 된다.
메모리부(238)는, 통신 프로토콜의 상위 레이어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예를 들어, 송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데이터 처리부(232)에 제공한다. 또한, 메모리부(239)는, 데이터 처리부(232)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예를 들어, 수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통신 프로토콜의 상위 레이어에 제공한다. 즉, 메모리부(238)는 송신 큐나 수신 큐로서 이용된다.
또한, 메모리부(238)의 일부 또는 전부는, 통신부(230) 외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1개의 통신부(230-1)에 배치된 메모리부(238-1)를 다른 통신부(230-2)와 공용해도 되고, 통신부(230) 외의 배치된 메모리부(238)를 복수의 통신부(230-1, 230-2, …)에서 공용해도 된다.
데이터 처리부(232)에서는, 자신의 통신 프로토콜의 상위 레이어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 송신 시에 있어서, 그 데이터로부터 무선 송신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고, 또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를 위한 헤더의 부가나 오류 검출 부호의 부가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처리 후의 데이터를 변복조부(233)에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32)는, 변복조부(233)로부터의 입력이 있는 수신 시에 있어서는, MAC 헤더의 해석, 패킷 오류의 검출, 패킷의 리오더 처리 등을 실시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자신의 프로토콜 상위 레이어에 제공한다.
무선 제어부(231)는, 당해 통신 장치(200) 내의 각 부간의 정보의 전달을 제어한다. 또한, 무선 제어부(231)는, 변복조부(233) 및 신호 처리부(234)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설정이나, 데이터 처리부(232)에 있어서의 패킷의 스케줄링, 무선 인터페이스부(236) 및 앰프부(237)의 파라미터 설정 및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변복조부(233)는, 송신 시에는, 데이터 처리부(232)로부터의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제어부(231)에 의해 설정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 인터리브 및 변조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여, 신호 처리부(234)에 제공한다. 또한, 변복조부(233)는, 수신 시에는, 신호 처리부(234)로부터의 입력 심볼 스트림에 대하여, 송신 시와는 반대인 복조 처리, 디인터리브 및 복호화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 처리부(232) 혹은 무선 제어부(231)에 데이터를 제공한다.
신호 처리부(234)는, 송신 시에는, 필요에 따라 변복조부(233)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공간 분리에 제공되는 신호 처리를 행하고, 얻어진 1개 이상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각각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36-1, …)에 제공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234)는, 수신 시에는, 각각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36-1, …)로부터 입력된 수신 심볼 스트림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스트림의 공간 분해를 행하여, 변복조부(233)에 제공한다.
채널 추정부(235)는, 각각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36-1, …)로부터의 입력 신호 중, 프리앰블 부분 및 트레이닝 신호 부분으로부터 전반로의 복소 채널 이득 정보를 산출한다. 산출된 복소 채널 이득 정보는, 무선 제어부(231)를 통해 변복조부(233)에서의 복조 처리 및 신호 처리부(234)에서의 공간 처리에 이용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36)는, 송신 시에는, 신호 처리부(234)로부터의 입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필터링 및 반송파 주파수로의 업컨버트, 위상 제어를 실시하여, 대응하는 앰프부(237) 또는 안테나부(240)로 송출한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부(236)는, 수신 시에는, 대응하는 앰프부(237) 또는 안테나부(240)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송신 시와는 반대인 다운 컨버트나 필터링,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신호 처리부(234) 및 채널 추정부(235)에 데이터를 제공한다.
앰프부(237)는, 송신 시에는, 무선 인터페이스부(236)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의 전력까지 증폭하여, 안테나부(240) 내의 대응하는 안테나 소자로 송출한다. 또한, 앰프부(237)는, 수신 시에는, 안테나부(240) 내의 대응하는 안테나 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전력까지 저잡음 증폭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236)에 출력한다.
또한, 앰프부(237)는, 송신 시의 기능과 수신 시의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이 무선 인터페이스부(236)에 내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앰프부(237)는, 송신 시의 기능과 수신 시의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이 통신부(230) 이외의 구성 요소로 되어 있어도 된다.
1조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36) 및 앰프부(237)로, 1개의 RF(Radio Frequency) 브랜치를 구성하고 있다. 1개의 RF 브랜치로 1 밴드의 송수신을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장치 구성예에서는, 통신부(230)는 N개의 RF 브랜치를 구비하고 있게 된다.
제어부(21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프로세서나 회로로 구성되고, 무선 제어부(231) 및 전원부(220)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무선 제어부(231)의 상술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제어부(231) 대신에 실시해도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210) 및 무선 제어부(231)가, 후술하는 각 실시예에 관한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부(220)는, 배터리 전원 또는 고정 전원으로 구성되고, 당해 통신 장치(200)에 대하여 구동용의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210)와 통신부(230)을 합하여, 1개 또는 복수의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200)가 대기 중은, 통신부(230)가 스탠바이 상태나 슬립 상태(혹은,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정지시킨 상태)로 천이하여,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4에 도시한 장치 구성예에서는, 통신부(230)는, N개의 RF 브랜치를 구비하고 있지만, RF 브랜치마다 스탠바이 상태나 슬립 상태로 천이 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D. 동작예 1
이 항에서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사용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통신 장치(MLD)의 제1 동작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MLD)가, 제1 링크의 NAV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링크의 TXOP를 설정하고,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모두 아이들 상태로 해서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실시하기 쉽게 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는, 이 동작을 나타내는 통신 시퀀스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도 5에서는, 제1 링크(link1)와 제2 링크(link2)가 사용 가능하며, 1대의 액세스 포인트(AP MLD1)의 관리 하에서 3대의 단말기(STA MLD1, STA MLD2, STA MLD3)가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을 상정하고 있다. AP MLD1은, 제1 링크에서 동작하는 AP1-1 및 제2 링크에서 동작하는 AP1-2를 포함한다. 또한, STA MLD1은 제1 링크에서 동작하는 STA1-1 및 제2 링크에서 동작하는 STA1-2를 포함하고, STA MLD2는 제1 링크에서 동작하는 STA2-1 및 제2 링크에서 동작하는 STA2-2를 포함하고, STA MLD3은 제1 링크에서 동작하는 STA3-1 및 제2 링크에서 동작하는 STA3-2를 포함한다.
또한, 도 5 중의 횡축은 시간축이고, 액세스 포인트 및 각 단말기의 제1 링크 및 제2 링크 상의 시간마다의 통신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실선으로 그린 네모난 블록은 송신 프레임을 나타내고, 세로 방향의 실선 화살표는 수신처로의 프레임 송신을 나타내고, 세로 방향의 점선 화살표는 수신처 이외로의 프레임의 도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선으로 그린 평행 사변형의 블록은 백 오프 동작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그린 네모난 블록은 NAV를 설정한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AP MLD1의 AP1-1이, 랜덤한 대기 시간을 대기하는 백 오프를 만료하고, 시각 T1에 제1 링크(link1)에 있어서 채널을 점유하는 기간(예를 들어, TXOP)을 획득하여, STA MLD3-1 앞으로 데이터 프레임(Data)을 송신한다.
STA1-1과 STA2-1은, AP1-1로부터 자신앞이 아닌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그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Duration/ID 필드에 기재되어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STA3-1로부터 AP3-1에 수신 확인(ACK)의 반송이 완료되는 시각 T3까지 송신 억제 기간(NAV)을 설정하고, 제1 링크(link1)에서 프레임의 송신 억제를 행한다. 송신 억제 기간의 설정에 사용하는 시간 정보는, length field나 EHT(Extreme High Throughput)-SIG(SIGNAL)의 TXOP_DURATION이어도 된다.
그 후, STA1-2는, 시각 T2에, 제2 링크(link2)에 있어서 백 오프를 만료한다. STA1-2는, STA1-1이 자신앞이 아닌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나서 송신권 획득을 시도해도 되지만,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STA1-1이 자신앞이 아닌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부터 백 오프를 개시하고 있다. STA1-2는, STA1-1의 NAV 종료까지의 시간과, STA1-1의 NAV 종료까지 송신해야 할 데이터의 유무 및 데이터양이나 이용하는 변조 부호화 방식(MCS)에 따라, 제2 링크(link2)에 있어서 TXOP를 설정한다.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STA1-2는, STA1-1의 NAV 종료까지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어서, TXOP를 STA1-1의 NAV 종료 시각에 상당하는 시각 T3까지 설정하고, 백 오프가 만료한 시각 T2에 AP1-2앞으로 데이터 프레임(Data)을 송신한다.
여기서, STA1-1의 NAV가 종료되는 시각 T3까지의 시간이 제1 역치보다 긴 경우에는, STA1-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TXOP를 STA1-1의 NAV의 종료 시각 T3까지 설정하고,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제1 역치는, STA1-2가 송신해야 할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양과 이용하는 MCS에 따라서 결정되는 시간 길이이다.
또한, STA1-1의 NAV가 종료되는 시각 T3까지의 시간이 제1 역치보다 짧고, 제2 역치보다 긴 경우에는, STA1-2는, TXOP를 STA1-1의 NAV의 종료 시각 T3까지 설정하고, 데이터 프레임 대신에 신호 길이가 짧은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신호 길이가 짧은 신호는, RTS 프레임이나 CTS-to-self 프레임이다. 또한, 제2 역치는, STA1-2가 송신하는 RTS 프레임 또는 CTS-to-self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와 이용하는 MCS에 따라서 결정되는 시간 길이이다.
또한, STA1-1의 NAV가 종료되는 시각 T3까지의 시간이 제2 역치보다 짧은 경우에는, STA1-2는, TXOP를 STA1-1의 NAV의 종료 시각 T3까지 설정하고, 데이터 프레임 대신에 널 패킷을 송신한다. 도 6에는, 도 5에 나타낸 통신 시퀀스의 변형예로서, STA1-2가 널 패킷을 사용해서 제1 링크와 제2 링크가 아이들이 되는 시간을 정렬시키는 통신 시퀀스 예를 나타내고 있다. 널 패킷은, 예를 들어 VHT(Very High Throughput) NDP나 HE(High Efficiency) NDP여도 된다. 또한, L-STF(Legacy Short Training Field)나 L-LTF(Long Training Field)와 같은 레거시 프리앰블만을 포함하는 패킷이나, 레거시 프리앰블만을 포함하고 NAV의 종료 시간까지의 패딩을 실시한 패킷이어도 된다. STA1-1의 NAV의 종료 시각 T3까지의 시간이 널 패킷의 송신에 관한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STA1-2가 널 패킷의 송신을 행하지 않고, STA1-1의 NAV의 종료 시각 T3까지 NAV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통신 시퀀스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STA2-2와 STA3-2는, STA1-2로부터 자신앞이 아닌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그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Duration/ID 필드에 기재되어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억제 기간(NAV)을 설정하고, 시각 T3까지 제2 링크(link2)에서 프레임의 송신 억제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STA MLD1은, 시각 T3에 있어서, 제1 링크와 제2 링크가 아이들이 되는 시간을 정렬시킬 수 있다. STA1-1과 STA1-2는, 시각 T3에 있어서, 동일한 랜덤한 대기 시간을 설정해서 백 오프를 개시해도 된다. 그리고, 시각 T4에 있어서 백 오프가 만료하면, STA1-1과 STA1-2는, 각각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사용해서 데이터 프레임(Data)을 송신하고,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실현 할 수 있다(도 6에 도시한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도 5에 도시한 통신 시퀀스에 있어서, STA1-2는, 시각 T2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때, NAV를 설정하는 프레임의 송신원(Transmitter Address)과 송신처(Receiver Address)가 링크간에서의 동시 송수신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의 정보를 사용하여, link2에서 송신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처를 결정해도 된다. 도 5에 도시한 통신 시퀀스 예에서는, AP MLD1이 링크간에서 동시 송수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 STA1-2가 AP1-2에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면, AP MLD1은, AP1-1에서의 데이터 송신으로의 링크간 간섭에 의해, AP1-2에서의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다. 또한, STA1-1이 다른 STA(예를 들어 STA3-1)가 AP(예를 들어 AP1-1)로 송신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의해 NAV를 설정하고 있는 경우, STA1-2가 AP1-2에 데이터를 송신해도, AP1-1로부터 STA3-1로의 ACK 송신에 의한 간섭을 받아, AP1-2는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다. 그 때문에, STA1-2는, 동시 수신에 대응하지 않은 AP1-2가 아니고 다른 STA에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거나, 또는 CTS-to-self 프레임의 송신만을 실시한다.
요컨대,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사용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통신 장치(MLD)는, 한쪽 링크에서 NAV를 설정하고 있는 기간 중에 다른 쪽 링크에서 송신권을 획득했을 때에는, NAV의 종료 시각까지의 시간에 따라, 다른 쪽 링크에서 데이터 프레임, 신호 길이가 짧은 신호, 또는 널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제1 링크와 제2 링크가 아이들이 되는 시간을 정렬시키고,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의 조건 (1) 내지 (3)을 모두 충족한 EHT STA는, AP MLD 또는 non AP MLD가 송신권을 획득한(또는, TXOP holder가 된) 한쪽 링크에 있어서, 그 AP MLD 또는 non APMLD가 다른 링크에서 설정한 NAV가 종료되는 시각과 동일 시각까지, 한쪽 링크의 송신권을 계속해서 획득한다.
(1) EHT Capability Information field의 Multi-link support subfield를 1로 설정하고, EHT Capability Information field의 Multi-link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support subfield를 0으로 설정하고 있다.
(2) TXOP holder가 된 링크가 아닌 링크에 있어서, RA field의 어드레스가 자신의 MAC 어드레스와 일치하지 않는 프레임의 length field, Duration/ID field, EHT-SIG의 TXOP_DURATION에 기초하여 NAV를 설정하고 있다.
(3) 우선도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송신하는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에 기초하여 TXOP holder가 된 AC(Access Category)에 대응하는 Queue에 프레임을 보유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사용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MLD)가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은 통신 장치(MLD)가, 제1 링크(link1)에서 NAV를 설정하고 있는 기간 중에 제2 링크(link2)에서 송신권(TXOP)을 획득하고, 제1 링크와 제2 링크가 아이들이 되는 시간을 정렬시키기 위한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것이다.
MLD는 link1에서 NAV를 설정하고 있는 기간 중에(스텝 S701), link2에서 백 오프가 종료되면(스텝 S702), MLD는 link1의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제1 역치보다 긴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703). 제1 역치는, 이 MLD가 송신해야 할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양과 이용하는 MCS에 따라서 결정되는 시간 길이이다.
link1의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제1 역치 이하인 경우에는(스텝 S703의 아니오), MLD는, link1의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제2 역치보다 긴지의 여부를 더 체크한다(스텝 S704). 제2 역치는, RTS 프레임 또는 CTS-to-self 프레임 등의 신호 길이가 짧은 신호의 데이터양과 이용하는 MCS에 따라서 결정되는 시간 길이이다.
link1의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제2 역치 이하인 경우에는(스텝 S704의 아니오), MLD는, link1에서 설정한 NAV가 종료되는 시간까지, link2에 있어서 송신권(TXOP)을 획득하고, link2에서 널 패킷(NDP)을 송신한다(스텝 S705).
link1의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제1 역치보다 긴 경우에는(스텝 S703의 예), MLD는, 계속해서, link1의 NAV가 종료될 때까지 송신하는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706).
link1의 NAV가 종료될 때까지 송신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스텝 S706의 예), MLD는 link1에서 NAV를 설정한 바탕이 되는 프레임의 송신원 및 송신처가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AP MLD)인지 여부를 더 체크한다(스텝 S708).
link1에서 NAV를 설정한 바탕이 되는 프레임의 송신원 및 송신처가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AP MLD)인 경우에는(스텝 S708의 예), MLD는 그 접속처의 AP MLD는 link1 및 link2에서 동시 송수신 가능한지 여부를 더 체크한다(스텝 S710).
link1의 NAV가 종료될 때까지 송신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스텝 S706의 아니오), link1의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제1 역치 이하이지만 제2 역치보다 긴 경우(스텝 S704의 예), 그리고, 접속처의 AP MLD는 link1 및 link2에서 동시 송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스텝 S710의 아니오), MLD는 link1에서 설정한 NAV가 종료되는 시간까지, link2에 있어서 송신권(TXOP)을 획득하고, link2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707). 제1 신호는 RTS 프레임이나 CTS-to-self 프레임 등의 신호 길이가 짧은 신호이다.
또한, link1에서 NAV를 설정한 바탕이 되는 프레임의 송신원 및 송신처가 접속처의 AP MLD가 아닌 경우(스텝 S708의 예), 또는, 접속처의 AP MLD는 link1 및 link2에서 동시 송수신 가능한 경우에는(스텝 S710의 예), MLD는, link1에서 설정한 NAV가 종료되는 시간까지, link2에 있어서 송신권(TXOP)을 획득하고, link2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스텝 S709).
상기와 같은 처리 수순에 의하면, MLD가 link1에서 설정한 NAV가 종료된 시점에서 link1과 link2가 모두 아이들이 되므로, MLD는, link1과 link2를 사용해서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통신 시퀀스중의 STA MLD1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처리 수순에 따라서 동작한다.
E. 동작예 2
계속해서,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사용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통신 장치(MLD)의 제2 동작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동작예에서도, 통신 장치(MLD)는, 제1 링크의 NAV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링크의 TXOP를 설정하고,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모두 아이들 상태로 해서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실시하기 쉽게 한다.
도 9에는, 이 동작을 나타내는 통신 시퀀스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서도, 제1 링크(link1)와 제2 링크(link2)가 사용 가능하며, 1대의 액세스 포인트(AP MLD1)의 관리 하에서 3대의 단말기(STA MLD1, STA MLD2, STA MLD3)가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을 상정하고 있다. AP MLD1은, 제1 링크에서 동작하는 AP1-1 및 제2 링크에서 동작하는 AP1-2를 포함한다. 또한, STA MLD1은 제1 링크에서 동작하는 STA1-1 및 제2 링크에서 동작하는 STA1-2를 포함하고, STA MLD2는 제1 링크에서 동작하는 STA2-1 및 제2 링크에서 동작하는 STA2-2를 포함하고, STA MLD3은 제1 링크에서 동작하는 STA3-1 및 제2 링크에서 동작하는 STA3-2를 포함한다.
또한, 도 9 중의 횡축은 시간축이고, 액세스 포인트 및 각 단말기의 제1 링크 및 제2 링크 상의 시간마다의 통신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선으로 그린 네모난 블록은 송신 프레임을 나타내고, 세로 방향의 실선 화살표는 수신처로의 프레임 송신을 나타내고, 세로 방향의 점선 화살표는 수신처 이외로의 프레임의 도래를 나타내고 있다. 실선으로 그린 평행사변형의 블록은 백 오프 동작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그린 네모난 블록은 NAV를 설정한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AP MLD1의 AP1-1이, 랜덤한 대기 시간을 대기하는 백 오프를 만료하고, 시각 T1에 제1 링크(link1)에 있어서 채널을 점유하는 기간(예를 들어, TXOP)을 획득하고, STA MLD3-1 앞으로 데이터 프레임(Data)을 송신한다.
STA1-1과 STA2-1은, AP1-1로부터 자신앞이 아닌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그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Duration/ID 필드에 기재되어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STA3-1로부터 AP3-1으로 수신 확인(ACK)의 반송이 완료되는 시각 T3까지 송신 억제 기간(NAV)을 설정하고, 제1 링크(link1)에서 프레임의 송신 억제를 행한다. 송신 억제 기간의 설정에 사용하는 시간 정보는, length field나 EHT(Extreme High Throughput)-SIG(SIGNAL)의 TXOP_DURATION이어도 된다.
그 후, STA1-2는, 시각 T2에, 제2 링크(link2)에 있어서 백 오프를 만료한다. STA1-2는, STA1-1이 자신앞이 아닌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부터 백 오프를 개시해도 되지만,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STA1-1이 자신앞이 아닌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나서 송신권 획득을 시도하고 있다. STA1-2는, STA1-1의 NAV가 종료되는 시각 T3보다 긴 TXOP를 link2에서 설정하고, link1의 NAV 종료 시간까지, 최초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STA1-2가 2번째로 송신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송신처로부터의 ACK의 수신이 완료되는 시각 T5까지의 기간을 TXOP으로서 link2에서 설정한다.
STA2-2와 STA3-2는, STA1-2가 최초에 송신한 자신앞이 아닌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그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Duration/ID 필드에 기재되어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억제 기간(NAV)을 설정하고, 시각 T5까지 제2 링크(link2)에서 프레임의 송신 억제를 행한다.
STA1-2는, 시각 T2에서 TXOP를 획득한 후 최초의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또는 그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송신처로부터의 ACK의 수신이 link1에서 설정한 NAV의 종료 시각 T3에 종료되도록, 데이터 길이를 조정해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최초의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또는 그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송신처로부터의 ACK의 수신을 link1에서 설정한 NAV의 종료 시각 T3까지 종료할 수 없는 경우에는, STA1-2는, 다음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완료까지의 시간을 Duration/ID field에 기재한 널 패킷을 송신해도 된다.
그리고, 시각 T3에서 STA1-1이 link1에서 설정한 NAV가 종료된 후, STA1-1과 STA1-2는, 각각 link1 및 link2가 아이들인지 여부를 제1 시간만큼 확인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제1 시간은, 예를 들어 SIFS(Short InterFrame Space)나 PIFS(Point coordination function IFS), 또는 SIFS+Random()×SlotTime 등이다. Random()은, 어떤 일정 범위로부터 균일하게 랜덤하게 결정되는 정수이다. 제1 시간은, link1과 link2에서 공통의 시간이어도 되고, 각 link에서의 송신 상황 등에 따라 상이한 시간을 설정해도 된다. STA MLD1 이외에도, AP1-1이 STA3-1로 송신하고 있는 데이터 프레임에 의해 link1에서 NAV를 설정하고, 이 NAV가 종료된 후에 link1과 link2를 사용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고자 하고 있는 단말기가 있는 것을 상정하여, 단말기간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서, 제1 시간을 랜덤한 대기 시간으로 해도 된다.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link1과 link2 모두 PIFS가 제1 시간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STA MLD1은, 시각 T3에 있어서, 제1 링크와 제2 링크가 아이들이 되는 시간을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시각 T3에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한 시각 T4에 있어서, STA1-1과 STA1-2는, 각각 link1과 link2를 사용해서 데이터 프레임(Data)을 송신하고,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실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STA1-1과 STA1-2는, 각각 link1과 link2를 사용해서 AP1-1과 AP1-2앞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있다. 그리고, AP1-1과 AP1-2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완료한 후, 각각 link1과 link2를 사용해서 ACK를 반송하고 있다.
도 10에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사용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MLD)가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MLD는, link1에서 NAV를 설정하고 있는 기간 중에(스텝 S1001), link2에서 백 오프가 종료되면(스텝 S1002), link1의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제1 역치보다 긴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1003). 제1 역치는, 이 MLD가 송신해야 할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양과 이용하는 MCS에 따라서 결정되는 시간 길이이다.
link1의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제1 역치보다 긴 경우에는(스텝 S1003의 예), MLD는, link2에서 TXOP를 설정하고, link1의 NAV 종료 시간까지 link2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스텝 S1004). 제1 역치는, 이 MLD가 최초에 송신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양과 이용하는 MCS에 따라서 결정되는 시간 길이이다. 또한, S1004에서는, MLD는, link2의 TXOP를 link1의 NAV 종료보다 길게 설정한다.
또한, link1의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제1 역치 이하인 경우에는(스텝 S1003의 아니오), MLD는, link1의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제2 역치보다 긴지의 여부를 더 체크한다(스텝 S1005). 제2 역치는, RTS 프레임 또는 CTS-to-self 프레임 등의 신호 길이가 짧은 신호의 데이터양과 이용하는 MCS에 따라서 결정되는 시간 길이이다.
link1의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제2 역치보다 긴 경우에는(스텝 S1005의 예), MLD는, link2에서 TXOP를 설정하고, link1의 NAV 종료 시간까지 link2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006). 제1 신호는, RTS 프레임이나 CTS-to-self 프레임 등의 신호 길이가 짧은 신호이다. 또한, S1006에서는, MLD는, link2의 TXOP를 link1의 NAV 종료보다 길게 설정한다.
또한, link1의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제2 역치 이하인 경우에는(스텝 S1005의 아니오), MLD는, link2에서 TXOP를 설정하고, link1의 NAV 종료 시간까지 link2에서 널 패킷(NDP)을 송신한다(스텝 S1007). S1007에서는, MLD는, link2의 TXOP를 link1의 NAV 종료보다 길게 설정한다.
그 후, MLD는, link1에서 설정한 NAV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008의 아니오). 그리고, link1에서 설정한 NAV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008의 예), MLD는, link2에서 상기 스텝 S1004, S1006, 또는 S1007의 송신을 종료하면(스텝 S1009), link1이 아이들인지 여부를 제1 시간만큼 확인한다(스텝 S1010).
link1이 제1 시간만큼 아이들인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스텝 S1010의 예), MLD는, link1과 link2에서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고,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한다(스텝 S1011). 이에 의해, link1과 link2를 사용해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link1이 제1 시간만큼 아이들인 것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10의 아니오), MLD는, link2만으로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고(스텝 S1012),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행하지 않는다.
F. 효과
본 개시에 의해 초래되는 효과에 대해서 정리해 둔다.
(1) 통신 장치(MLD)는, 1개의 링크에서 설정한 NAV 정보에 기초해서 다른 링크의 TXOP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각 링크가 아이들이 되는 시간을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실시하기 쉬워진다.
(2) 통신 장치(MLD)는, 주위의 단말기의 링크간에서의 동시 송수신의 능력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MLD)는, 1개의 링크에서 설정한 NAV가 종료되기까지의 동안에 다른 단말기에서 송신권을 획득했을 때, 동시 송수신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데이터의 송신처로 결정한다. 이에 의해, 동시 송수신에 대응하지 않은 단말기에 있어서 링크간 간섭에 의한 데이터의 수신 실패를 회피할 수 있다.
(3) 통신 장치(MLD)는, 1개의 링크에서 설정한 NAV가 종료된 후, 일정 기간 채널 확인을 행한 후에 각 링크에서 동시에 데이터 송신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각 링크를 사용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서, 본 개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해 왔다. 그러나,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해당 실시 형태의 수정이나 대용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IEEE802.11 규격에 준한 무선 LAN 시스템에 본 개시를 적용함으로써, 멀티 링크 기능을 실장하는 통신 장치(MLD)는, 동기 전송에 의한 멀티링크 오퍼레이션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고스루풋화를 실현할 수 있다.
요컨대, 예시라고 하는 형태에 따라 본 개시에 대해서 설명해 온 것이며, 본 명세서의 기재 내용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개시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 청구 범위를 참작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제1 링크 및 제2 링크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한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링크의 점유 기간을 설정하는,
통신 장치.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에 기초하여, 제2 링크에 있어서의 송신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제1 역치보다 길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의 점유 기간을 설정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또는 (2)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4)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제2 링크에서 송신해야 할 데이터양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값인,
상기 (3)에 기재된 통신 장치.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1 역치 이하에서 제2 역치보다 길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의 점유 기간을 설정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3) 또는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6) 상기 제2 역치는,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길이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값인,
상기 (5)에 기재된 통신 장치.
(7) 상기 제1 신호는 RTS 프레임 또는 CTS-to-self 프레임인,
상기 (5) 또는 (6)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2 역치 이하일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의 점유 기간을 설정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5) 내지 (7)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9) 상기 제2 신호는 널 패킷인,
상기 (8)에 기재된 통신 장치.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에 송신 억제 기간을 설정하는 신호의 송신원 또는 송신처의 링크간의 동시 송수신의 가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의 프레임의 송신처를 결정하는,
상기 (1) 내지 (9)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보다 긴 상기 제2 점유 기간을 설정하는,
상기 (1) 또는 (2)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제1 역치보다 길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통신 장치.
(1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1 역치 이하에서 제2 역치보다 길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통신 장치.
(1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2 역치 이하일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통신 장치.
(1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되었을 때, 제1 시간만큼 상기 제1 링크에서 송신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송신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해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1) 내지 (14)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6) 제1 링크 및 제2 링크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상기 제1 링크에서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을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송신 억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점유 기간을 설정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100: 통신 시스템
110: 액세스 포인트
120: 단말기
200: 통신 장치
210: 제어부
220: 전원부
230: 통신부
231: 무선 제어부
232: 데이터 처리부
233: 변복조부
234: 신호 처리부
235: 채널 추정부
236: 무선 인터페이스부
237: 앰프부
238: 메모리부
240: 안테나부

Claims (16)

  1. 제1 링크 및 제2 링크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한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링크의 점유 기간을 설정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에 기초하여, 제2 링크에 있어서의 송신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제1 역치보다 길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의 점유 기간을 설정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제2 링크에서 송신해야 할 데이터양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값인, 통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1 역치 이하에서 제2 역치보다 길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의 점유 기간을 설정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역치는,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길이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값인, 통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RTS 프레임 또는 CTS-to-self 프레임인, 통신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2 역치 이하일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의 점유 기간을 설정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널 패킷인,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에 송신 억제 기간을 설정하는 신호의 송신원 또는 송신처의 링크간의 동시 송수신의 가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링크에서의 프레임의 송신처를 결정하는, 통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보다 긴 상기 제2 점유 기간을 설정하는,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제1 역치보다 길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1 역치 이하에서 제2 역치보다 길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의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2 역치 이하일 때에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제2 링크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이 종료되었을 때, 제1 시간만큼 상기 제1 링크에서 송신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송신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를 사용해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16. 제1 링크 및 제2 링크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상기 제1 링크에서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의 송신 억제 기간을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송신 억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점유 기간을 설정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KR1020227034565A 2020-04-21 2021-02-24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30004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75743 2020-04-21
JP2020075743 2020-04-21
PCT/JP2021/006949 WO2021215109A1 (ja) 2020-04-21 2021-02-24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468A true KR20230004468A (ko) 2023-01-06

Family

ID=7827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4565A KR20230004468A (ko) 2020-04-21 2021-02-24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64784A1 (ko)
EP (1) EP4142392A4 (ko)
JP (1) JPWO2021215109A1 (ko)
KR (1) KR20230004468A (ko)
CN (1) CN115399049A (ko)
WO (1) WO202121510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3590A (ja) 2005-04-15 2006-11-02 Sharp Corp 通信機、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無線lan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82796B1 (en) * 2015-04-08 2021-12-29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control method
WO2020055016A1 (ko) * 2018-09-14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3590A (ja) 2005-04-15 2006-11-02 Sharp Corp 通信機、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無線lan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215109A1 (ko) 2021-10-28
EP4142392A1 (en) 2023-03-01
EP4142392A4 (en) 2023-09-20
CN115399049A (zh) 2022-11-25
WO2021215109A1 (ja) 2021-10-28
US20230164784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231B1 (ko) 전송 방법 및 전송기
KR101837965B1 (ko) 데이터 프레임 처리 방법 및 수신기
US20220132611A1 (en) Multi-link communications of a wireless network
KR101948082B1 (ko)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보호 방법
JP6505869B2 (ja) 無線lanマルチユーザ送信機会においてデータを送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574960B1 (ko) 패이로드 안에서의 프레임 분할방법
US7508809B2 (en) Base station and radio terminal
CN110999508B (zh) 在无线lan系统中基于多个信道化的信道来发送帧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无线终端
US10128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information about transmission failure frame
CN107925514B (zh) 使用触发信息的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终端
US201601646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data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128623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20230004468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JP2023101035A (ja) 通信装置、通信方法
US7688783B1 (en) Mixing basic service set (BSS) traffic and mesh forwarding traffic
WO2023033184A1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1837966B1 (ko)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보호 방법
US1202884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40172284A1 (en) Communication device
US2022012471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1023544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on basis of plurality of channels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using same
JP2024505214A (ja) マルチap同期伝送に対応する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23130529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16803184A (zh) 正在进行的低优先级ppdu的抢占/中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