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357A -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 Google Patents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357A
KR20230004357A KR1020220171114A KR20220171114A KR20230004357A KR 20230004357 A KR20230004357 A KR 20230004357A KR 1020220171114 A KR1020220171114 A KR 1020220171114A KR 20220171114 A KR20220171114 A KR 20220171114A KR 20230004357 A KR20230004357 A KR 20230004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ant
insertion groove
housing
boa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869B1 (ko
Inventor
이중건
Original Assignee
㈜제트웨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웨이크 filed Critical ㈜제트웨이크
Priority to KR1020220171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86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7111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78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10Motor-propelled water sports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40Twintip boards; Wakeboards; Surfboards; Windsurfing boards; Paddle boards, e.g. SUP board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0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드 몸체에 착탈식 추진체를 삽입 장착하는 공기 주입식 서퍼보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영역에 'ㄷ'자 형상의 추진체 삽입홈이 이루어진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 추진체 삽입홈에 끼움 삽입 고정되도록 'ㄷ'자 형상의 삽입 착탈 결합홈이 이루어진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의 제2 영역에 견인줄로 고정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추진체의 동력 및 방향을 제어하는 전원 및 동력조절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Inflatable electric surfboard}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드 몸체에 착탈식 추진체를 삽입 장착하는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에 관한 것이다.
선행특허문헌 KR 10-1758290 및 KR 10-1767476에는 보드 몸체에 배터리를 착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서퍼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발명은 단순히 배터리 팩을 필요시마다 보드 몸체에 착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퍼보드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선행특허문헌 WO 2019/122098 및 CN 205675195U에는 추진체 전체를 보드 몸체에 착탈할 수 있는 방식의 서퍼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발명은 추진체를 보드 몸체에 삽입 착탈시에 서퍼보드의 균형을 맞추면서 배터리 팩의 동력을 추진체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KR 10-1758290 KR 10-1767476 KR 10-2019-0063727 KR 10-1577276 WO 2019/122098 CN 205675195U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추진체를 보드 몸체에 삽입 착탈시에 서퍼보드의 균형을 맞추면서 배터리 팩의 동력을 추진체로 원활히 전달하기 위한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영역에 'ㄷ'자 형상의 추진체 삽입홈이 이루어진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 추진체 삽입홈에 끼움 삽입 고정되도록 'ㄷ'자 형상의 삽입 착탈 결합홈이 이루어진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의 제2 영역에 견인줄로 고정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추진체의 전원 및 동력을 제어하는 전원 및 동력조절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서퍼보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는 전원 및 동력조절 컨트롤러부가 배치된 선수 몸체부, 추진체 삽입홈이 형성된 선미 몸체부를 포함하며, 선미 몸체부는 추진체 삽입 홈 측으로 제1 굴곡이 형성된 좌측 추진체 삽입 몸체부, 추진체 삽입 홈 측으로 제2 굴곡이 형성된 중앙 추진체 삽입 몸체부, 추진체 삽입 홈 측으로 제3 굴곡이 형성된 우측 추진체 삽입 몸체부를 포함하며, 제1,2,3 굴곡이 3 방향에 형성된 삽입 착탈 결합홈에 각각 삽입 결합된다.
또한,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는 상부영역에는 배터리팩 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영역에는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 면에서 하부 테두리 면을 따라 굴곡진 제1,2,3 굴곡부가 형성된 추진체 하우징부, 하부면에 배터리 커넥터부가 형성된 배터리팩부,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며, 배터리 커넥터부와 연결 접속되는 추진체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워터제트 추진체부, 추진체 하우징부의 하부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하부면에 결합함으로써 제1,2,3 굴곡부와 함께 추진체 하우징부의 3 방향 테두리 면에 삽입 착탈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우징 결합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팩 삽입홈과 연통되는 추진체 커넥터 관통홈이 추진체 하우징부의 중앙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워터제트 추진체부가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에 삽입 고정시에 추진체 커넥터부가 추진체 커넥터 관통홈을 통과하여 배터리팩 삽입홈에 노출된다.
또한,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는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의 선미로부터 선수방향으로 추진체 삽입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고, 배터리 커넥터부와 추진체 커넥터부는 가상의 수직 동일선상에 배치되면서 연결 접속된다.
또한, 하우징 결합 플랜지부는 추진체 하우징부의 좌측 하부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좌측 하부면에 결합되는 좌측 하우징 결합 플랜지, 추진체 하우징부의 중앙 하부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중앙 하부면에 결합되는 중앙 하우징 결합 플랜지, 추진체 하우징부의 우측 하부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우측 하부면에 결합하는 우측 하우징 결합 플랜지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 하우징 결합 플랜지를 안착 지지하도록 하면서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의 결합에 따른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덮개부,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의 삽입 결합시에 추진체 하우징부의 후면을 고정하도록 좌측 추진체 삽입 몸체부의 후면과 우측 추진체 삽입 몸체부의 후면에 각각 고정된 하우징 고정 스트립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추진체를 보드 몸체에 삽입 착탈시에 서퍼보드의 균형을 맞추면서 배터리 팩의 동력을 추진체로 원활히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서퍼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진체 하우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터리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 추진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터제츠 추진체부가 원터제트 추진체 삽입홈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배터리팩 삽입홈에 추진체 커넥터부가 노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진체 하우징부에 배터리팩부와 워터제트 추진체부가 삽입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가 보드 몸체부에 삽입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10, 이하 서퍼보드라 ㅎ함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입식 보드부(100),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200), 전원 및 동력조절 컨트롤러부(300)를 포함한다.
공기 주입식 보드부(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몸체(101)는 선수 몸체부(101a)와 선미 몸체부(101b)를 포함한다. 선수 몸체부(101a)는 전원 및 동력조절 컨트롤러부(300)가 선단에 배치 고정된다. 선미 몸체부(101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추진체 삽입홈(110a)이 형성된다. 선수 몸체부(101a)와 선미 몸체부(101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분리 설명하였을 뿐 일예로서 PVC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선미 몸체부(101b)는 좌측 추진체 삽입 몸체부(111), 중앙 추진체 삽입 몸체부(112), 우측 추진체 삽입 몸체부(113)을 포함한다. 복수의 추진체 삽입 몸체부(111,112,113)는 각각 추진체 삽입홈(110a) 측으로 굴곡이 형성된다. 즉, 복수의 추진체 삽입 몸체부(111,112,113)의 각각의 단면은 대략 '원 또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각 굴곡진 부분이 후술하는 삽입 착탈 결합홈(251,252,253)에 삽입 결합한다. 복수의 추진체 삽입 몸체부(111,112,113)는 'ㄷ'자 형상의 추진체 삽입홈(110a)이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추진체 삽입 몸체부(111,112,113)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분리 설명하였을 뿐 일예로서 PVC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몸체부(101)의 하부면에 보드 몸체부(101)의 폭방향으로 수평 배치되어 중앙 하우징 결합 플랜지(242)를 안착 지지하도록 하면서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200)의 삽입 결합에 따른 서퍼보드의 하부면의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덮개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하우징 결합 플랜지(242)를 안착 지지하기 위해 추진체 삽입홈(110a) 측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덮개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물의 스트림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고정 스트립부(120)는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200)의 삽입 결합시에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후면을 고정하도록 좌측 추진체 삽입 몸체부(111)의 후면과 우측 추진체 삽입 몸체부(113)의 후면에 각각 고정된다. 즉,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200)가 도 1과 같이 삽입 결합하면 하우징 고정 스트립 부(120)가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후면을 지지 고정한다.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20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체 하우징부(210), 배터리팩부(220), 워터제트 추진체부(230), 하우징 결합 플랜지부(240)를 포함한다.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상부영역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 삽입홈(211)이 형성되며,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하부영역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2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상부 테두리 면에서 하부 테두리 면을 따라 제1,2,3 굴곡부(210a,210b,210c)가 형성된다. 제1,2,3 굴곡부(210a,210b,210c)는 후술하는 복수의 하우징 결합 플랜지(241,242,243)와 함께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3 방향 테두리 면에 삽입 착탈 결합홈(251,252,253)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배터리팩 삽입홈(211) 및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212)에 각각 배터리팩부(220)와 워터제트 추진체부(230)가 삽입 결합될 때 서퍼보드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좌우 폭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터리팩 삽입홈(211) 및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212)은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전방에는 배터리팩 삽입홈(211)이 형성되고, 배터리팩 삽입홈(211)의 후방에는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212)이 형성된다.
배터리팩부(22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입식 서퍼보드(10)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팩 삽입홈(211)에 탈부착 방식으로 삽입 결합한다. 배터리팩부(220)의 하부면(220b)에는 배터리 커넥터부(221)가 배치된다. 배터리 커넥터부(221)는 후술하는 추진체 커넥터부(231)와 연결 접속된다. 즉, 배터리팩부(220)가 배터리팩 삽입홈(211)에 삽입 결합하고, 워터제트 추진체부(230)가 원터제트 추진체 삽입홈(212)에 삽입 결합하면, 배터리 커넥터부(221)와 추진체 커넥터부(231)가 서로 연결 접속된다. 이때, 배터리 커넥터부(221)와 추진체 커넥터부(231)를 서로 연결 접속하기 위해 배터리팩 삽입홈(211)과 추진체 커넥터 관통홈(213)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터제트 추진체부(230)는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212)에 삽입 고정되며, 배터리 커넥터부(221)와 연결 접속되는 추진체 커넥터부(231)를 구비한다. 추진체 커넥터부(231)는 배터리 커넥터부(221)와 연결 접속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가상의 수직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수직 결합되는 것이 좋다.
하우징 결합 플랜지부(240)는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하부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하부면에 결합함으로써 제1,2,3 굴곡부(210a,210b,210c)와 함께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3 방향 테두리 면에 삽입 착탈 결합홈(251,252,253)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하우징 결합 플랜지(241)는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좌측 하부면보다 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좌측 하부면에 결합함으로써 제1 굴곡부(210a)와 함께 좌측 삽입 착탈 결합홈(251)이 형성되도록 한다. 중앙 하우징 결합 플랜지(242)는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중앙 하부면보다 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중앙 하부면에 결합함으로써 제2 굴곡부(210b)와 함께 중앙 삽입 착탈 결합홈(252)이 형성되도록 한다. 우측 하우징 결합 플랜지(243)는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우측 하부면보다 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우측 하부면에 결합함으로써 제3 굴곡부(210c)와 함께 우측 삽입 착탈 결합홈(253)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도 10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체 커넥터 관통홈(213)과 배터리팩 삽입홈(211)이 서로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워터제트 추진체부(230)가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212)에 삽입 결합하면 추진체 커넥터부(231)가 배터리팩 삽입홈(211) 내로 노출된다. 이때, 배터리팩 삽입홈(211)과 연통되는 추진체 커넥터 관통홈(213)이 추진체 하우징부(210)의 중앙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워터제트 추진체부(230)가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212)에 삽입 고정시에 추진체 커넥터부(231)가 추진체 커넥터 관통홈(213)을 통과하여 배터리팩 삽입홈(211)에 노출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넥터부(221), 추진체 커넥터 관통홈(213), 추진체 커넥터부(231)는 가상의 수직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팩부(220)가 배터리팩 삽입홈(211)에 삽입 결합하고, 워터제트 추진체부(230)가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212)에 삽입 결합하면 이에 따라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노출된 추진체 커넥터부(231)와 배터리 커넥터부(221)가 서로 연결 접속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200)는 추진체 삽입홈(110a) 측으로(선미에서 선수방향으로) 수평 삽입되어 보드 몸체부(101)와 삽입 착탈 결합한다. 또한, 배터리팩부(220)는 배터리팩 삽입홈(211)에 수직방향으로 삽입 결합한다. 또한, 배터리 커넥터부(221)와 추진체 커넥터부(231)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 접속된다.
전원 및 동력조절 컨트롤러부(300)는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101)의 선수영역에 견인줄로 고정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추진체의 전원 및 동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공기 주입식 서퍼보드
100 : 공기 주입식 보드부
101 : 보드 몸체부
101a : 선수 몸체부
101b : 선미 몸체부
110 : 추진체 삽입부
110a : 추진체 삽입홈
111 : 좌측 추진체 삽입 몸체부
112 : 중앙 추진체 삽입 몸체부
113 : 우측 추진체 삽입 몸체부
120 : 하우징 고정 스트립부
130 : 덮개부
200 :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
210 : 추진체 하우징부
210a : 제1 굴곡부
210b : 제2 굴곡부
210c : 제3 굴곡부
211 : 배터리팩 삽입홈
212 :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
213 : 추진체 커넥터 관통홈
220 : 배터리팩부
220a : 상부면
220b : 하부면
221 : 배터리 커넥터부
230 : 워터제트 추진체부
231 : 추진체 커넥터부
240 : 하우징 결합 플랜지부
241 : 좌측 하우징 결합 플랜지
242 : 중앙 하우징 결합 플랜지
243 : 우측 하우징 결합 플랜지
250 : 삽입 착탈 결합홈
251 : 좌측 삽입 착탈 결합홈
252 : 중앙 삽입 착탈 결합홈
253 : 우측 삽입 착탈 결합홈
300 : 전원 및 동력조절 컨트롤러부

Claims (9)

  1. 제1 영역에 추진체 삽입홈이 이루어진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
    상기 추진체 삽입홈에 끼움 삽입 고정되도록 'ㄷ'자 형상의 삽입 착탈 결합홈이 이루어지고, 상측 전방영역에는 배터리팩 삽입홈이 구비되고, 하측 후방영역에는 폭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형성되는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이 구비되는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
    상기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의 제2 영역에 견인줄로 고정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추진체의 전원 및 동력을 제어하는 전원 및 동력조절 컨트롤러부,
    상기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의 하부면에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수평 배치되면서 물의 스트림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는,
    상부 테두리 면에서 하부 테두리 면으로 굴곡진 제1,2,3 굴곡부가 형성된 추진체 하우징부,
    하부면에 배터리 커넥터부가 형성된 배터리팩부,
    상기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배터리 커넥터부와 연결 접속되는 추진체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워터제트 추진체부,
    상기 추진체 하우징부의 하부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면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2,3 굴곡부와 함께 추진체 하우징부의 3 방향 테두리 면에 상기 삽입 착탈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우징 결합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의 하부면에 상기 보드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수평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결합 플랜지부를 안착 지지함으로써 상기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의 결합에 따른 공기 주입식 서퍼보드의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하우징 결합 플랜지부를 안착 지지하기 위해 상기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 측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의 삽입 결합시에 상기 추진체 하우징부의 후면을 고정하도록 상기 추진체 하우징부의 후면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상기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의 양측 후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 스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부는 배터리팩 삽입홈에 수직방향으로 삽입 결합하고,
    상기 배터리 커넥터부와 추진체 커넥터부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 접속되고,
    상기 배터리팩 삽입홈의 후방에는 상기 배터리팩 삽입홈과 연통되는 상기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 착탈식 추진체부가 상기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의 선미로부터 선수방향으로 상기 추진체 삽입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와 삽입 착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식 보드 몸체부는,
    상기 전원 및 동력조절 컨트롤러부가 배치된 선수 몸체부,
    상기 추진체 삽입홈이 형성된 선미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미 몸체부는,
    상기 추진체 삽입 홈 측으로 제1 굴곡이 형성된 좌측 추진체 삽입 몸체부,
    상기 추진체 삽입 홈 측으로 제2 굴곡이 형성된 중앙 추진체 삽입 몸체부,
    상기 추진체 삽입 홈 측으로 제3 굴곡이 형성된 우측 추진체 삽입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3 굴곡이 3 방향에 형성된 상기 삽입 착탈 결합홈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삽입홈과 연통되는 추진체 커넥터 관통홈이 상기 추진체 하우징부의 중앙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워터제트 추진체부가 상기 워터제트 추진체 삽입홈에 삽입 결합하면 상기 추진체 커넥터부가 상기 추진체 커넥터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배터리팩 삽입홈 내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넥터부와 추진체 커넥터부는 가상의 수직 동일선상에 배치되면서 연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결합 플랜지부는,
    상기 추진체 하우징부의 좌측 하부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기 좌측 하부면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굴곡부와 함께 좌측 삽입 착탈 결합홈을 형성하는 좌측 하우징 결합 플랜지,
    상기 추진체 하우징부의 중앙 하부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기 중앙 하부면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 굴곡부와 함께 중앙 삽입 착탈 결합홈을 형성하는 중앙 하우징 결합 플랜지,
    상기 추진체 하우징부의 우측 하부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기 우측 하부면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3 굴곡부와 함께 우측 삽입 착탈 결합홈을 형성하는 우측 하우징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KR1020220171114A 2022-12-09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KR102667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114A KR102667869B1 (ko) 2022-12-09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24A KR102477219B1 (ko) 2020-12-07 2020-12-07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KR1020220171114A KR102667869B1 (ko) 2022-12-09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124A Division KR102477219B1 (ko) 2020-12-07 2020-12-07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357A true KR20230004357A (ko) 2023-01-06
KR102667869B1 KR102667869B1 (ko) 2024-05-21

Family

I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276B1 (ko) 2014-05-20 2015-12-15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CN205675195U (zh) 2016-05-18 2016-11-09 陈朝忠 一种冲浪板
KR101758290B1 (ko) 2015-10-22 2017-07-14 이중건 워트제트에 의해 추진되는 모듈타입의 서퍼 보드
KR101767476B1 (ko) 2016-03-30 2017-08-11 이중건 워트제트에 의해 추진되는 모듈타입의 서퍼 보드
KR20190063727A (ko) 2017-11-30 2019-06-10 ㈜제트웨이크 서퍼보드의 배터리 케이스 장치
WO2019122098A1 (de) 2017-12-21 2019-06-27 Lampuga Gmbh Surfboard mit überlapp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276B1 (ko) 2014-05-20 2015-12-15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KR101758290B1 (ko) 2015-10-22 2017-07-14 이중건 워트제트에 의해 추진되는 모듈타입의 서퍼 보드
KR101767476B1 (ko) 2016-03-30 2017-08-11 이중건 워트제트에 의해 추진되는 모듈타입의 서퍼 보드
CN205675195U (zh) 2016-05-18 2016-11-09 陈朝忠 一种冲浪板
KR20190063727A (ko) 2017-11-30 2019-06-10 ㈜제트웨이크 서퍼보드의 배터리 케이스 장치
WO2019122098A1 (de) 2017-12-21 2019-06-27 Lampuga Gmbh Surfboard mit überlap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234A (ko) 2022-06-14
KR102477219B1 (ko)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7219B1 (ko)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JP4566211B2 (ja) サーフィンプロペラ
CA2696396A1 (en) Modular floating watercraft port assembly
US10266239B2 (en) Relating to surfboards
US4807549A (en) Collapsable elongated articles including sailboards and the like
ES2769403T3 (es) Vehículo náutico a motor adaptado para suministrar un fluido a presión y sistema asociado
KR102103228B1 (ko) 전동식 서핑보드
KR101767476B1 (ko) 워트제트에 의해 추진되는 모듈타입의 서퍼 보드
MY123925A (en) Novel watercraft
KR20190131811A (ko) 전동 서프 보드
US20140030942A1 (en) Support system for a paddle board
AU2007205796B2 (en) Surfboard fin
KR20190131805A (ko) 전동 서프 보드
US6000978A (en) Propulsion device for snorkel board
KR102667869B1 (ko) 공기 주입식 전동 서퍼보드
EP0693421A1 (en) A body surfing device
KR102040432B1 (ko) 한 손 구동방식의 개인용 수중 추진장치
US5362270A (en) Surfboard leash retainer
US6739925B2 (en) Hydrodynamic device
DE202005001574U1 (de) Schiffsbug
US11608144B2 (en) Motorized watercraft
US20230242220A1 (en) Watercraft
JP3074075B2 (ja) タグおよびバージ用の流線形のリンク仕掛け
AU5520900A (en) Course-stable, fast, seagoing ship comprising a hull that is optimized for a rudder propeller
KR102387385B1 (ko) 전동 서핑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