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104A -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104A
KR20230004104A KR1020210085951A KR20210085951A KR20230004104A KR 20230004104 A KR20230004104 A KR 20230004104A KR 1020210085951 A KR1020210085951 A KR 1020210085951A KR 20210085951 A KR20210085951 A KR 20210085951A KR 20230004104 A KR20230004104 A KR 20230004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uide part
fixing part
lower gui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954B1 (ko
Inventor
김용휘
윤종규
김정철
하영재
Original Assignee
(주)씨비에이치
김용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비에이치, 김용휘 filed Critical (주)씨비에이치
Priority to KR1020210085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9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4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4Fixators for body parts, e.g. skull clamps; Constructional details of fixators, e.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1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with guides for needles or instruments, e.g. arcuate slides or ball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1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2090/103Cranial plugs for access to br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여 정위수술도구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Position-variable Fixing Apparatus for Stereotactic Apparatus for Stereotactic Surgery of Brain}
본 발명은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여 정위수술도구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출혈, 뇌종양, 및 뇌농양 등과 같은 뇌질환을 앍고 있는 환자의 경우, 뇌 정위수술을 통해 개두술 없이도 출혈을 제거하거나, 조직의 생검이나 농양을 제거할 수 있다. 뇌 정위수술을 안전하게 시행하기 위해서는 고정핀을 이용하여 환자 두개골을 고정시키고, MRI 등에 의하여 확인된 병소의 위치에 정확하게 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대해 선행문헌 1에서와 같이 고정핀의 위치를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의료용 동력 전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가 개발되었으나, 고정핀을 자체를 이동시킬 수 없어 고정핀의 위치를 조절하는 데에 시간이 다소 소요되어 수술시간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문헌 2는 고정핀의 일부를 회전시킬 수 있어 고정핀의 위치를 비교적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안정화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고정핀의 위치를 좌우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만 제어할 수 있어, 비교적 큰 두개골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핀을 상측방향으로 이동시켜야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KR 10-1487253 B1 US 2021-0154076 A1
본 발명은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여 정위수술도구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로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 양단부면에 복수의 정위수술도구가 배치될 수 있고, 내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로커부재; 상기 제1관통홀에 상응하는 제1측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리브; 상기 제1관통홀에 상응하는 제2측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리브; 상기 제1리브 및 상기 제2리브의 하측에 형성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다른 가이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원형연결부;를 포함하는, 고정부몸체; 일면은 상기 고정부몸체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타면은 톱니면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연결부재; 및 상기 원형연결부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몸체는, 상기 제1측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제1조립핀; 및 상기 제2측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제2조립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몸체의 상기 바닥부는 상면에 상기 로커부재의 일부면을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조립핀 및 상기 제2조립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몸체는 상기 로커부재의 일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연결부재는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부연결부재관통홀; 및 상기 고정부연결부재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제3조립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연결부재는 동축 상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부몸체와 상기 복수의 고정부연결부재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3조립핀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커부재, 상기 고정부몸체, 상기 고정부연결부재, 및 상기 고정볼트는 동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몸체는 상기 다른 가이드부재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로커부재는 상기 고정부몸체의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커부재는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가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33도 내지 37도 범위의 각도를 갖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몸체는 상기 원형연결부의 내부의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트의 일부는 외주면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트의 일부가 상기 원형연결부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제1나사산 및 상기 제2나사산에 의하여 상기 고정볼트의 일부가 상기 고정부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의 관절을 세분화함으로써, 결합된 정위수술도구의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위치이동에 대한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 및 연결연장부를 통하여 수술도구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단일의 수술도구 뿐만 아니라 복수의 수술도구가 요구되는 정위수술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가변형 고정장치가 적용됨에 따라,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는 뇌 속의 병소에 위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정위수술도구가 배치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가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함에 따라, 복수의 정위수술도구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를 이루는 복수의 관절들이 치합됨에 따라, 각 관절 간의 결합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팔들이 수평가이드부로부터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를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개골의 크기에 따라 좌우이동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환자의 다양한 머리크기에 대응하여 안전하게 뇌 정위수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가 적용된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립핀 및 제2조립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가이드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가이드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측가이드부와 수평가이드부 사이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측가이드부가 분리된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의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가이드부의 좌우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및 연결연장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가 적용된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로서, 환자 두개골의 위치를 고정하는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 일측에 단일의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가 결합되는 제1고정부(2000); 일측에 복수의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가 결합되는 제2고정부(3000); 상기 제1고정부(2000)의 일부를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부에 수용하는 제1상측가이드부(4100); 상기 제2고정부(3000)의 일부를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상측가이드부(4200);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의 일부를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하측가이드부(5100);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일부를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하측가이드부(5200); 및 일단이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단부측 외부면과 회전가능하게 치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단부측 외부면과 회전가능하게 치합되고, 수평가이드부(6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뇌정위수술을 위하여 뇌 속의 병소의 위치를 찾기 위한 장치로서, 환자 두개골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MRI 등에 의하여 확인된 병소의 위치를 이용하여 수술도구가 상기 병소에 정확하게 도달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수술도구를 일측에 새겨진 X,Y,Z 좌표를 기준으로 이동시키므로, 상기 수술도구의 위치를 셋팅하는 데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정위장치의 관절을 세분화하여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위치이동에 대한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 상기 제1고정부(2000), 상기 제2고정부(3000),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 및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를 포함하는 상측가이드부(4000),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를 포함하는 하측가이드부(5000), 및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2000), 상기 제2고정부(3000),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 및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 각각은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에 구비되는 복수의 관절 각각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관절의 일부가 조립된 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관절의 다른 일부가 조립된 조립체 각각은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에 구비되는 복수의 팔 각각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의 상대적 위치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일부가 환자 두개골에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은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의 일측에 1개가 배치될 수 있고, 타측에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상기 고정핀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를 포함하는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환자 두개골의 양측에 상기 고정핀을 배치하여 상기 환자 두개골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2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일측에 단일의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2000)는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의 내측에 단일의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를 배치하고,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제1고정부고정볼트(2100)에 의하여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를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의 일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2000)의 일부를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는 일단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부(20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고정부(2000)의 일부를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의 일부를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의 일부를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의 일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고정부(2000)에 결합된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는,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와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상대적 위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가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고정부(2000)에 결합된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는 비교적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축의 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와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의 상하이동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이용하여 자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2000),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 및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는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의 일측에 배치되어, 하나의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고정부(2000)는 일부가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2000),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 및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는 하나의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고정부(2000),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 및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각각은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를 이루는 복수의 관절 중 일부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를 이루는 복수의 팔 중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3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일측에 복수의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3000)는 상기 제1고정부(2000)와는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고정부(3000)는 일측에 복수의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가 결합되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의 일부는 타측에 배치되는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몸체는 인접하는 상측가이드부(4000)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상측가이드부(400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볼트에 의하여 상기 상측가이드부(40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접하는 상측가이드부(4000)는 제2상측가이드부(4200)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가 결합되는 부재는 로커부재(3100)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부재의 일부가 지지되는 몸체는 고정부몸체(3200)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볼트는 고정볼트(3400)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3000)의 세부구성요소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이용하여 자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고정부(3000)의 일부를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는 일단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부(30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고정부(3000)의 일부를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고정부(3000)에 결합된 복수의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는 상기 제2고정부(3000)와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상대적 위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고정부(3000)의 일부가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일단에서 90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고정부(3000)에 결합된 복수의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는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90도 회전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3000)의 다른 일부가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일단에서 90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고정부(3000)에 결합된 복수의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는 상기 제2고정부(3000)의 상기 일부가 회전하는 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90도 회전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고정부(3000)의 일부는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2고정부(300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2고정부(3000)의 일부의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2고정부(30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고정부(3000)와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3000)의 회전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이용하여 자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일부를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일부를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일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2고정부(3000)에 결합된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는,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와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상대적 위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가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고정부(3000)에 결합된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는 비교적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는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축의 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와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상하이동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이용하여 자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3000),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의 일측에 배치되어, 하나의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고정부(3000)는 일부가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는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3000),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하나의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고정부(3000),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 각각은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를 이루는 복수의 관절 중 일부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를 이루는 복수의 팔 중 다른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복수의 팔을 갖는 장치에 해당하고, 복수의 가이드부들 각각의 상대적 위치에 의하여 상기 팔에 결합되는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를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일단이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단부측 외부면과 회전가능하게 치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단부측 외부면과 회전가능하게 치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 각각과 회전가능하게 치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6100), 및 좌우이동부재(62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재(6100) 및 상기 좌우이동부재(6200)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재가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ㄷ형상의 조립체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세부구성요소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이용하여 자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와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상대적 위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는, 회전이동에 따른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상대적 위치, 회전이동에 따른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상대적 위치, 및 좌우이동에 따른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와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상대적 위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일단에서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회전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타단에서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는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회전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회전,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회전 중 1 이상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와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회전 이동과 더불어,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를 이루는 상기 복수의 부재 중 일부가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이동가능하고,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와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의 관절을 세분화함으로써, 결합된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위치이동에 대한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일면에 제7톱니면(7110)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몸체(7100);를 포함하는, 연결부(7000); 및 일면에 제8톱니면(8110)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관통홀을 갖는 1 이상의 연결연장부몸체(8100);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연장부고정볼트(8200);를 포함하는, 연결연장부(8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상기 연결부(7000)를 배치하여 수술도구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7000)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부몸체(7100)는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상면, 및 하면 중 1 이상에 배치되어,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에 수술도구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상기 연결부(7000)를 배치하고, 상기 연결연장부(8000)는 일면이 상기 연결부(7000)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에 복수의 수술도구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7000)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부몸체(7100)는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상면, 및 하면 중 1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연장부(8000)는 일면이 상기 연결부몸체(7100)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몸체(7100)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제7톱니면(7110) 및 상기 연결연장부몸체(8100)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제8톱니면(8110)이 치합되어 상기 연결연장부고정볼트(8200)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결부(7000)와 상기 연결연장부(8000)가 결합되어 상기 정위장치에 복수의 수술도구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연결부(7000)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연장부(8000)가 상기 연결부(7000)에 결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7000) 및 연결연장부(8000)를 통하여 수술도구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단일의 수술도구 뿐만 아니라 복수의 수술도구가 요구되는 정위수술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고정부(3000)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3000)는 일측에 복수의 상기 정위수술도구(1000)가 결합되는 부재에 해당하는 로커부재(3100)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의 일부는 타측에 배치되는 몸체에 해당하는 고정부몸체(32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몸체는 인접하는 상측가이드부(4000)에 해당하는 제2상측가이드부(4200)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볼트에 해당하는 고정볼트(3400)에 의하여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는, 상기 로커부재(3100), 상기 고정부몸체(3200), 및 상기 고정볼트(3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몸체(3200)와 상기 고정볼트(3400)의 사이에 고정부연결부재(3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커부재(3100), 상기 고정부몸체(3200),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 및 상기 고정볼트(3400)는 동축 상에 배치되어 연속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의 세부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로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 양단부면에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가 배치될 수 있고, 내부에 제1관통홀(3130)이 형성되어 있는 로커부재(3100); 상기 제1관통홀(3130)에 상응하는 제1측관통홀(3211)이 형성되어 있는 제1리브(3210); 상기 제1관통홀(3130)에 상응하는 제2측관통홀(3221)이 형성되어 있는 제2리브(3220); 상기 제1리브(3210) 및 상기 제2리브(3220)의 하측에 형성된 바닥부(3230); 및 상기 바닥부(323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다른 가이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원형연결부(3240);를 포함하는, 고정부몸체(3200); 일면은 상기 고정부몸체(320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타면은 톱니면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연결부재(3300); 및 상기 원형연결부(3240)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고정볼트(3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로커부재(3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로커부재(3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 양단부면에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가 배치될 수 있고, 내부에 제1관통홀(313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커부재(3100)는 호의 형상을 갖는 로커부재몸체(3110); 내측 양단부면에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가 배치될 수 있는 도구배치홈(3120); 및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관통홀(3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커부재(3100)는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가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33도 내지 37도 범위의 각도를 갖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로커부재몸체(3110)는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가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33도 내지 37도 범위의 각도를 갖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몸체(3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고정부몸체(32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리브(3210), 상기 제2리브(3220), 상기 바닥부(3230), 및 상기 원형연결부(3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리브(3210) 및 상기 제2리브(322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리브(3210) 및 상기 제2리브(3220)의 하측에는 상기 바닥부(3230)가 형성되어 상기 로커부재(3100)의 일부면을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관통홀(3211) 및 상기 제2측관통홀(3221)은 동축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로커부재(3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홀(3130), 상기 제1관통홀(3130)에 상응하는 상기 제1측관통홀(3211), 및 상기 제2측관통홀(3221)에는 복수의 조립핀이 삽입될 수 있어, 상기 로커부재(3100)의 일부가 상기 고정부몸체(32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연결부(3240)는 상기 바닥부(3230)에서 하측에 형성되고, 원형의 단면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원형연결부(3240)의 단면의 크기는 상기 바닥부(3230)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일면은 상기 고정부몸체(320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타면은 톱니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는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는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상기 고정부몸체(3200)에 구비된 상기 원형연결부(324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는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부연결부재관통홀(33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는 상기 고정부연결부재관통홀(3310)에 삽입될 수 있는 제3조립핀(3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는 동축 상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부몸체(3200)와 상기 복수의 고정부연결부재관통홀(3310)을 통해 상기 제3조립핀(332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볼트(3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고정볼트(3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연결부(3240)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400)가 상기 원형연결부(3240)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고정볼트(3400)와 상기 고정부몸체(32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3400)는 하측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는 제2나사산(34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뇌 속의 병소에 위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의 세부구성요소 각각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과 같은 투과 가능한 복합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수술 환경에 따라 투과가 가능한 복합소재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커부재(3100), 및 상기 고정부몸체(3200)는 가공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는 금형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는 상기 로커부재(3100)의 내측 단부면에 정위수술도구(1000)를 배치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몸체(3200)에 구비된 상기 바닥부(3230)의 상면에 상기 로커부재(310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몸체(3200)에 구비된 상기 원형연결부(324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바닥부(3230)의 하면에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를 배치할 수 있고, 상기 원형연결부(3240)의 내부에 상기 고정볼트(340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몸체(3200)의 일부,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 및 상기 고정볼트(3400)의 일부는 인접하는 다른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몸체(3200)의 일부는 상기 원형연결부(3240)에 해당하고, 상기 고정볼트(3400)의 일부는 상기 제2나사산(342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3000)의 일부는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고, 상기 제2고정부(3000)는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몸체(3200)는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고정부연결부재관통홀(3310)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3000)의 일부는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몸체(3200)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몸체(3200)는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와 결합되어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의 타면에 형성된 톱니면은 상기 다른 가이드부재의 내부면의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몸체(3200)가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톱니면을 이루는 각각의 톱니만큼씩 회전될 수 있어, 상기 고정부몸체(3200)에 지지되는 상기 로커부재(3100)의 배치되는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를 비교적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몸체(3200)는 내부의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제1나사산(32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3400)의 일부는 외주면에 제2나사산(3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고정볼트(3400)의 일부가 상기 원형연결부(3240)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제1나사산(3241) 및 상기 제2나사산(3420)에 의하여 상기 고정볼트(3400)의 일부가 상기 고정부몸체(32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몸체(3200)는, 상기 제1측관통홀(3211)에 삽입될 수 있는 제1조립핀(3212); 및 상기 제2측관통홀(3221)에 삽입될 수 있는 제2조립핀(32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몸체(3200)의 상기 바닥부(3230)는 상면에 상기 로커부재(3100)의 일부면을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조립핀(3212) 및 상기 제2조립핀(3222)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몸체(3200)는 상기 로커부재(310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커부재(3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홀(3130), 상기 제1관통홀(3130)에 상응하는 상기 제1측관통홀(3211), 및 상기 제2측관통홀(3221)에는 복수의 조립핀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조립핀은 상기 제1조립핀(3212) 및 상기 제2조립핀(3222)을 포함하고, 상기 로커부재(3100)의 일부는 상기 고정부몸체(3200)에 지지되어, 상기 로커부재(3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홀(3130) 및 상기 고정부몸체(3200)에 형성된 상기 제1측관통홀(3211) 및 상기 제2측관통홀(3221)의 내부에 상기 제1조립핀(3212) 및 상기 제2조립핀(3222)이 수용되어 상기 고정부몸체(32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연결부재관통홀(3310)을 통해 상기 고정부몸체(3200)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볼트(3400)는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지나서 상기 원형연결부(3240)의 내부에 수용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로커부재(3100), 상기 고정부몸체(3200), 상기 고정부연결부재(3300), 및 상기 고정볼트(3400)는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립핀(3212) 및 제2조립핀(322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조립핀(321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제1조립핀(3212)은 제1조립핀몸체(3212.1); 및 상기 제1조립핀몸체(321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제1결합부(3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조립핀몸체(3212.1)의 직경보다 상기 제1결합부(3212.2)의 직경이 비교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조립핀(322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제2조립핀(3222)은 제2조립핀몸체(3222.1); 상기 제2조립핀몸체(322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결합부(3222.2); 및 상기 제2결합부(3222.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결합부(32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조립핀몸체(3222.1)의 직경보다 상기 제2결합부(3222.2)의 직경이 비교적 작고, 상기 제2결합부(3222.2)의 직경보다 상기 제3결합부(3222.3)의 직경이 비교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제1조립핀(3212)과 상기 제2조립핀(3222)은 서로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제1조립핀(3212) 및 상기 제2조립핀(3222)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몸체(3200)가 상기 로커부재(310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3결합부(3222.3)가 상기 제1결합부(3212.2)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거나, 상기 제2결합부(3222.2) 및 상기 제3결합부(3222.3)가 상기 제1결합부(3212.2)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2000)와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의 상대적 위치, 상기 제2고정부(3000)와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상대적 위치,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와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상대적 위치,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와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상대적 위치, 및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와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상대적 위치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몸체(3200)는 상기 다른 가이드부재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도 8(a)는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몸체(320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8(b)는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몸체(3200)가 상기 다른 가이드부재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때, 상기 다른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몸체(3200)는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3000)와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고정부몸체(3200)에 지지되는 상기 로커부재(3100)의 내측 양단부면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로커부재(3100)는 상기 고정부몸체(3200)의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도 9(a)는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에 구비된 상기 로커부재(3100)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9(b)는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에 구비된 상기 로커부재(3100)가 상기 고정부몸체(3200)의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로커부재(3100)는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기 고정부몸체(3200)의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3000)와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로커부재(3100)의 내측 양단부면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는 도 8에 도시된 상기 고정부몸체(3200)의 회전, 및 도 9에 도시된 상기 로커부재(3100)의 회전 중 1 이상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로커부재(3100)에 배치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정부몸체(32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 즉, 상기 제2고정부(3000)와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커부재(31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고정부(3000)와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몸체(3200)가 회전하면서 상기 로커부재(31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고정부(3000)와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상대적 위치가 복수의 방향으로 가변되어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가 배치되는 상기 위치가변형 고정장치(3000)가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를 세팅하는 것에 대한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가이드부(40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축의 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는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축의 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축의 방향은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축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는 외측 일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는 내측 일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면, 및 외측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제1하측가이드부스토퍼(5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는 외측 일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내측 일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면, 및 외측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제2하측가이드부스토퍼(5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가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내부에서 상하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톱니면을 이루는 각각의 톱니만큼씩 이동한 후에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스토퍼(5110)에 의하여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가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내부에서 상하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톱니면을 이루는 각각의 톱니만큼씩 이동한 후에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스토퍼(5210)에 의하여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 및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는 각각의 상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를 비교적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상측가이드부(4100) 및 상기 제2상측가이드부(4200)는 1 내지 150 mm의 길이범위 내에서 축방향으로 상하이동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가이드부(50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의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향은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 또는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양단을 관통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는, 하측 외부면에 배치되고, 일면에 제1톱니면(5121)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제1톱니체결부재(5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하측 외부면에 배치되고 일면에 제2톱니면(5221)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제2톱니체결부재(5220);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는, 일단에 배치되고, 일면에 상기 제1톱니면(5121)에 상응하는 제3톱니면(6111)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제3톱니체결부재(6110); 상기 제1톱니체결부재(5120)의 내부의 수용공간 및 상기 제3톱니체결부재(6110)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1톱니체결볼트(6130); 타단에 배치되고, 일면에 상기 제2톱니면(5221)에 상응하는 제4톱니면(6211)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제4톱니체결부재(6210); 및 상기 제2톱니체결부재(5220)의 내부의 수용공간 및 상기 제4톱니체결부재(6210)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2톱니체결볼트(6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는 상기 제1톱니체결부재(5120), 상기 제3톱니체결부재(6110), 및 상기 제1톱니체결볼트(6130)에 의하여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상기 제2톱니체결부재(5220), 상기 제4톱니체결부재(6210), 및 상기 제2톱니체결볼트(6230)에 의하여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톱니체결부재(5120)에 형성된 상기 제1톱니면(5121)과 상기 제3톱니체결부재(6110)에 형성된 상기 제3톱니면(6111)이 서로 치합되고, 상기 제1톱니체결부재(5120) 및 상기 제3톱니체결부재(6110) 각각에 형성된 내부의 수용공간에 상기 제1톱니체결볼트(6130)가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톱니체결부재(5220)에 형성된 상기 제2톱니면(5221)과 상기 제4톱니체결부재(6210)에 형성된 상기 제4톱니면(6211)이 서로 치합되고, 상기 제2톱니체결부재(5220) 및 상기 제4톱니체결부재(6210) 각각에 형성된 내부의 수용공간에 상기 제2톱니체결볼트(6230)가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치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는 상기 제1톱니체결부재(5120) 및 상기 제3톱니체결부재(6110)를 통해 상기 제1톱니체결볼트(6130)에 의하여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치합되고,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상기 제2톱니체결부재(5220) 및 상기 제4톱니체결부재(6210)를 통해 상기 제2톱니체결볼트(6230)에 의하여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치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톱니면을 이루는 각각의 톱니만큼씩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를 결합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를 이루는 복수의 관절들이 치합됨에 따라, 각 관절 간의 결합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측가이드부(5100)와 수평가이드부(6000) 사이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는, 도 12는 도 11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을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의 배면에서 바라볼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톱니체결부재(5120)와, 상기 제3톱니체결부재(6110)는 상기 제1톱니면(5121) 및 상기 제3톱니면(6111)의 치합에 의하여 비교적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서로 치합된 상기 제1톱니체결부재(5120) 및 상기 제3톱니체결부재(611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톱니체결볼트(6130)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톱니체결부재(5120)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방법에 의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예시로는 용접, 및 볼트체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측가이드부(5100)가 분리된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는 상기 제1톱니체결부재(5120) 및 상기 제3톱니체결부재(6110)를 통해 상기 제1톱니체결볼트(6130)에 의하여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치합되고,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상기 제2톱니체결부재(5220) 및 상기 제4톱니체결부재(6210)를 통해 상기 제2톱니체결볼트(6230)에 의하여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치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합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는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수술방법 또는 필요정도에 따라 복수의 팔 중 일부를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팔들이 치합구조에 의하여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를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의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는 복수의 부재가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ㄷ형상의 조립체에 해당하고, 상기 복수의 부재는, 일단은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와 회전가능하게 치합되고, 타단은 내부면의 일부에 제5톱니면(6120)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의 일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부재(6100);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재(6100)의 내부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일단은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와 회전가능하게 치합되고, 타단은 외부면의 일부에 제6톱니면(6220)이 형성되어 있는 좌우이동부재(6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는 상기 베이스부재(6100) 및 상기 좌우이동부재(6200)가 서로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재(6100)의 단부 및 상기 좌우이동부재(6200)의 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가 치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우이동부재(6200)는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와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와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상대적 위치가 가변되어, 복수의 정위수술도구(10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재(6200)는 외측 일부면에 형성되는 톱니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재(6100)의 내부면의 일부에는 상기 톱니면에 상응하는 톱니면, 또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술 환경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부재(6200)가 상기 베이스부재(6100)의 내부에서 좌우이동할 수 있는 모든 방식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두개골의 크기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부재(6200)를 이동시킴으로써, 환자의 다양한 머리크기에 대응하여 안전하게 뇌 정위수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가이드부(6000)의 좌우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는 복수의 부재가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ㄷ형상의 조립체에 해당하고, 상기 복수의 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6100)의 상기 관통홀에 수용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6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수평가이드부스토퍼(6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좌우이동부재(6200)가 상기 베이스부재(6100)의 내부에서 상기 제1하측가이드부(5100) 및 상기 제2하측가이드부(5200)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좌우이동 하는 경우에, 상기 수평가이드부스토퍼(6300)에 의하여 상기 좌우이동부재(6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는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이동한 경우에, 상기 좌우이동부재(6200)가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인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보다 비교적 두개골의 크기가 큰 환자의 뇌 정위수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7000) 및 연결연장부(8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정위장치는, 일면에 제7톱니면(7110)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몸체(7100);를 포함하는, 연결부(7000); 및 일면에 제8톱니면(8110)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관통홀을 갖는 1 이상의 연결연장부몸체(8100);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연장부고정볼트(8200);를 포함하는, 연결연장부(8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7000)는 상기 수평가이드부(6000)의 상면, 및 하면 중 1 이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결연장부(8000)는 상기 연결부(70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7000) 및 상기 연결연장부(8000)에 의하여, 상기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1)에 수술도구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단일의 수술도구 뿐만 아니라 복수의 수술도구가 요구되는 정위수술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의 관절을 세분화함으로써, 결합된 정위수술도구의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위치이동에 대한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 및 연결연장부를 통하여 수술도구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단일의 수술도구 뿐만 아니라 복수의 수술도구가 요구되는 정위수술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가변형 고정장치가 적용됨에 따라,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는 뇌 속의 병소에 위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정위수술도구가 배치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가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함에 따라, 복수의 정위수술도구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를 이루는 복수의 관절들이 치합됨에 따라, 각 관절 간의 결합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팔들이 수평가이드부로부터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를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개골의 크기에 따라 좌우이동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환자의 다양한 머리크기에 대응하여 안전하게 뇌 정위수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
1000: 정위수술도구
2000: 제1고정부 2100: 제1고정부고정볼트
3000: 제2고정부(위치가변형 고정장치)
3100: 로커부재 3110: 로커부재몸체
3120: 도구배치홈 3130: 제1관통홀
3200: 고정부몸체
3210: 제1리브 3211: 제1측관통홀
3212: 제1조립핀 3212.1: 제1조립핀몸체
3212.2: 제1결합부
3220: 제2리브 3221: 제2측관통홀
3222: 제2조립핀 3222.1: 제2조립핀몸체
3222.2: 제2결합부 3222.3: 제3결합부
3230: 바닥부 3240: 원형연결부
3241: 제1나사산
3300: 고정부연결부재
3310: 고정부연결부재관통홀 3320: 제3조립핀
3400: 고정볼트 3410: 고정볼트몸체
3420: 제2나사산
4000: 상측가이드부
4100: 제1상측가이드부 4200: 제2상측가이드부
5000: 하측가이드부
5100: 제1하측가이드부 5110: 제1하측가이드부스토퍼
5120: 제1톱니체결부재 5121: 제1톱니면
5200: 제2하측가이드부 5210: 제2하측가이드부스토퍼
5220: 제2톱니체결부재 5221: 제2톱니면
6000: 수평가이드부
6100: 베이스부재
6110: 제3톱니체결부재 6111: 제3톱니면
6120: 제5톱니면 6130: 제1톱니체결볼트
6200: 좌우이동부재
6210: 제4톱니체결부재 6211: 제4톱니면
6220: 제6톱니면 6230: 제2톱니체결볼트
6300: 수평가이드부스토퍼
7000: 연결부
7100: 연결부몸체 7110: 제7톱니면
8000: 연결연장부
8100: 연결연장부몸체 8110: 제8톱니면
8200: 연결연장부고정볼트

Claims (6)

  1.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로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 양단부면에 복수의 정위수술도구가 배치될 수 있고, 내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로커부재;
    상기 제1관통홀에 상응하는 제1측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리브; 상기 제1관통홀에 상응하는 제2측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리브; 상기 제1리브 및 상기 제2리브의 하측에 형성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다른 가이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원형연결부;를 포함하는, 고정부몸체;
    일면은 상기 고정부몸체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타면은 톱니면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연결부재; 및
    상기 원형연결부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몸체는,
    상기 제1측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제1조립핀; 및
    상기 제2측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제2조립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몸체의 상기 바닥부는 상면에 상기 로커부재의 일부면을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조립핀 및 상기 제2조립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몸체는 상기 로커부재의 일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연결부재는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부연결부재관통홀; 및
    상기 고정부연결부재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제3조립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연결부재는 동축 상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부몸체와 상기 복수의 고정부연결부재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3조립핀에 의하여 결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커부재, 상기 고정부몸체, 상기 고정부연결부재, 및 상기 고정볼트는 동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몸체는 상기 다른 가이드부재의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로커부재는 상기 고정부몸체의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한,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커부재는 상기 복수의 정위수술도구가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33도 내지 37도 범위의 각도를 갖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몸체는 상기 원형연결부의 내부의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트의 일부는 외주면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트의 일부가 상기 원형연결부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제1나사산 및 상기 제2나사산에 의하여 상기 고정볼트의 일부가 상기 고정부몸체에 결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KR1020210085951A 2021-06-30 2021-06-30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KR10258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51A KR102585954B1 (ko) 2021-06-30 2021-06-30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51A KR102585954B1 (ko) 2021-06-30 2021-06-30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104A true KR20230004104A (ko) 2023-01-06
KR102585954B1 KR102585954B1 (ko) 2023-10-06

Family

ID=8492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951A KR102585954B1 (ko) 2021-06-30 2021-06-30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9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7A (ja) * 1993-04-07 1995-01-06 Johnson & Johnson Professional Inc 頭部クランプ用安全ロックピン
KR101487253B1 (ko) 2013-05-27 2015-01-28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의료용 동력 전달유닛 및 이를 이용한 뇌 정위수술용 정위장치
US20210154076A1 (en) 2019-11-22 2021-05-27 Pro Med Instruments Gmbh Head stabilization device with detachable torque applic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7A (ja) * 1993-04-07 1995-01-06 Johnson & Johnson Professional Inc 頭部クランプ用安全ロックピン
KR101487253B1 (ko) 2013-05-27 2015-01-28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의료용 동력 전달유닛 및 이를 이용한 뇌 정위수술용 정위장치
US20210154076A1 (en) 2019-11-22 2021-05-27 Pro Med Instruments Gmbh Head stabilization device with detachable torque appl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954B1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7060B2 (en) Fixation device and multiple-axis joint for a fixation device
EP0944361B1 (en) Bone-adjusting device
JP5916635B2 (ja) 体組織開創器および使用方法
US7981120B2 (en) Trajectory guide with angled or patterned guide lumens or height adjustment
US7881771B2 (en) Bone reposition device, method and system
JP6127127B2 (ja) 身体組織を開創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BR112018007640B1 (pt) Conjunto robótico cirúrgico
BR112018007648B1 (pt)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instrumento médico
JP6946493B2 (ja) 解剖学的インプラント用の分離可能なガイド器具
TW201302182A (zh) 椎間植入物
EP2429441A1 (en) Remote centre of motion positioner
WO2000015132A3 (en) Apparatus for frameless stereotactic surgery
US11076896B2 (en) Positioning-device module for releasable connection to a positioning device, positioning device and set
CN107530107B (zh) 人字形固定器
WO2018061104A1 (ja) 手術用頭部固定装置
CN110353780B (zh) 脊柱微创手术辅助定位装置
US9763654B2 (en) Adjustable orthopaedic joint distractor
KR102322651B1 (ko)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
EP3058890A1 (en) Surgical guidance device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CN208371898U (zh) 基于球型轴的微创手术机器人关节
US9788900B2 (en) Surgical instrument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KR20230004104A (ko) 수술용 두경부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위치가변형 고정장치
CN110368100B (zh) 一种脑立体定向仪
KR102280337B1 (ko) 수술 기구 및 내시경 조정장치
US9339340B2 (en) Medical instrument guiding device with an integrated guide 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