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3245A -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3245A
KR20230003245A KR1020227042411A KR20227042411A KR20230003245A KR 20230003245 A KR20230003245 A KR 20230003245A KR 1020227042411 A KR1020227042411 A KR 1020227042411A KR 20227042411 A KR20227042411 A KR 20227042411A KR 20230003245 A KR20230003245 A KR 20230003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equence
image
switching period
display
belo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빙 쩌우
즈융 펑
즈융 황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88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 H04N13/395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with depth sampling, i.e. the volume being constructed from a stack or sequence of 2D image pl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the 3D volume being generated by moving a 2D surface, e.g. by vibrating or rotating the 2D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the 3D volume being constructed from a stack or sequence of 2D planes, e.g. depth samp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실제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 및 3D 이미지의 해상도를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 및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을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에 접속된다.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은,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차원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본 출원은 2020년 5월 15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2010422318.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된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이미지 처리 및 디스플레이의 분야에,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된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나리오에서, 3차원(three dimensional, 3D) 디스플레이는 2차원(two dimensional, 2D) 디스플레이보다 더 사실적인 이미지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시청자는 시중에서 흔한 3D 영화 또는 3D 텔레비전을 보는 동안 특수 안경 또는 헬멧과 같은 보조 디바이스를 착용할 필요가 있다. 보조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좌안과 우안의 시청 이미지들이 분리되어, 사용자의 뇌가 입체적 이미지를 깊이의 느낌과 조합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입체적 3D 영화 시청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육안 3D 기술은 사용자가 보조 디바이스를 착용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에 상이한 이미지 소스들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3D 시청 효과를 생성한다.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육안 3D 기술에서, 좌안과 우안 사이의 시력 차이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이한 영역들이 구체적인 관찰 범위 내에서 그리고 구체적인 관찰 각도에서 좌안 및 우안에 의해 각각 시청될 수 있고,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의 시각적 이미지들이 분리된다, 즉, 사용자의 2개의 눈들에 동시에 들어가는 이미지들이 상이하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좌안 및 우안의 시청 범위들에서 대응하는 이미지 소스들을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인간의 뇌의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대응하는 깊이 정보를 사용하여 3D 디스플레이 효과가 구현된다.
좌안 및 우안에 의해 보여지는 이미지 소스들은 여전히 2D 이미지 소스들이고, 3D 영화 시청 효과는 인간의 뇌에 의해 인지되는 2개의 2D 이미지들 사이의 차이로부터 유래한다. 인간의 눈들의 초점들은 여전히 하나의 평면 상에 있고, 현실에서 3D 객체를 실제로 시청하는 것과 같이 상이한 거리들에 있지 않고, 인간의 눈들의 초점 길이들 또한 상대적 거리를 갖는다. 따라서, 실제 깊이 정보가 생성될 수 없고, 불량한 3D 디스플레이 효과의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역을 분할하는 것에 의해 좌안과 우안을 분리한다. 따라서, 최종 디스플레이 이미지 해상도가 낮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 실제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3D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 및 3D 이미지의 해상도를 개선한다.
전술한 기술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 및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에 접속된다.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은,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차원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을 포함하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에 기초하여 깊이 정보를 갖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분포를 갖고,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는 2D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3D 기술의 것보다 우수하다. 또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3D 이미지 블록은 단지 시간 시퀀스 제어에만 기초하여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이미지 소스의 해상도가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3D 이미지의 해상도는 2D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3D 기술의 이미지 해상도보다 우수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은 추가로,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2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은 더 많은 스위칭 주기들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스위칭 주기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가져서,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하나의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3D 이미지가 하나의 스위칭 주기에서 디스플레이된 후에, 하나의 다음 생성된 3D 이미지가 하나의 다음 스위칭 주기에서 추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서, 복수의 3D 이미지들이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육안 3D 디스플레이 효과를 구현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은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 및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거리에서 대응하는 제1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하고;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수신하고,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거리에서 대응하는 제2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한다. 제1 3D 이미지 블록 및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제1 3D 이미지 블록 및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가져서,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정보를 갖고, 그렇게 함으로써 육안 3D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고정-초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고정-초점 어셈블리는,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객체로부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하도록, 그리고 복수 회 동안 객체로부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고정-초점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고정-초점 어셈블리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가져서,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정보를 갖고, 그렇게 함으로써 육안 3D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줌 어셈블리는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하도록, 그리고 복수 회 동안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줌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줌 어셈블리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가져서,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정보를 갖고, 그렇게 함으로써 육안 3D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공간 광 변조기를 포함한다. 공간 광 변조기는,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하도록, 그리고 복수 회 동안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공간 광 변조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공간 광 변조기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가져서,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정보를 갖고, 그렇게 함으로써 육안 3D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확산기 스크린을 추가로 포함한다. 확산기 스크린은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 및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확산기 스크린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 및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는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칭 주기에서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확산기 스크린은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어서, 확산기 스크린 상에서 촬상이 구현되고, 광 빔이 발산되어, 이미지는 더 넓은 각도 및 위치에서 인간의 눈에 의해 시청될 수 있다. 또한, 확산기 스크린에 의해 수신되는 이미지의 거리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모든 이미지들이 대응하는 촬상 거리들에 있는 것을 보장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촬상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의 거리와 일치하도록 시간 시퀀스에 따라 변경될 필요가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확산기 스크린은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서의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확산기 서브-스크린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확산기 서브-스크린을 사용하여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은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스크린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고, 확산기 서브-스크린의 각각의 층은, 파워-온을 사용하여, 투명하도록 또는 확산기 스크린으로서 기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확산기 서브-스크린의 각각의 층의 파워-온 정보는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되어, 시간 시퀀스 제어에 기초하는 확산기 스크린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깊이 정보를 갖는 3D 이미지의 촬상은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실제 3D 이미지의 촬상 효과를 갖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확산기 스크린은,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서의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확산기 스크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현재 위치에서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확산기 스크린은 기계적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초점 이미지의 상이한 거리 요건들에 일치하도록 단일 확산기 스크린의 전방 및 후방 이동이 기계적으로 제어된다. 구체적인 적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기계적 방식에서의 이동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거리가 큰 범위에서 빠르게 변경될 필요가 있을 때, 확산기 스크린의 이동 속도가 가속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깊이 정보를 갖는 3D 이미지의 촬상은 확산기 스크린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실제 3D 이미지의 촬상 효과를 갖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촬상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촬상 유닛은, 확산기 스크린에 의해 송신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광 신호에 기초하여 가상 3D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그리고 가상 3D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광 신호는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포함한다. 촬상 유닛은 형성된 실제 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가상 이미지를 인간의 눈에 투영하여, 대응하는 가상 3D 이미지가 인간의 눈에 의해 관찰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육안 3D 디스플레이 효과를 구현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합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합기는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가상 3D 이미지를 실제 객체의 이미지와 조합하도록 구성된다. 조합기는 촬상 유닛(104)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고, 실제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실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가상 디스플레이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가상 디스플레이 3D 이미지의 포괄적인 디스플레이 효과를 구현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반사기는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가상 3D 이미지를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관찰자는 마치 3D 디스플레이와 같이 3D 가상 이미지를 단지 본다. 촬상 유닛은 확대 기능을 일반적으로 갖기 때문에, 실제로 시청되는 3D 이미지는 반사기의 영역보다 훨씬 더 크고, 따라서, 촬상 영역이 더 크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양태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촬상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촬상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광 신호는 제1 스위칭 주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D 이미지를 포함함 -; 그리고 광 신호에 기초하여 가상 3D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그리고 가상 3D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을 포함하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에 기초하여 깊이 정보를 갖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분포를 갖고,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는 2D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3D 기술의 것보다 우수하다. 또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3D 이미지 블록은 단지 시간 시퀀스 제어에만 기초하여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이미지 소스의 해상도가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3D 이미지의 해상도는 2D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3D 기술의 이미지 해상도보다 우수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조합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합기는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가상 3D 이미지를 실제 객체의 이미지와 조합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반사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반사기는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가상 3D 이미지를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이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차원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을 포함하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에 기초하여 깊이 정보를 갖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분포를 갖고,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는 2D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3D 기술의 것보다 우수하다. 또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3D 이미지 블록은 단지 시간 시퀀스 제어에만 기초하여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이미지 소스의 해상도가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3D 이미지의 해상도는 2D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3D 기술의 이미지 해상도보다 우수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이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2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은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 및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은,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수신하고,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거리에서 대응하는 제1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하는 것; 및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수신하고,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거리에서 대응하는 제2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3D 이미지 블록 및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제1 3D 이미지 블록 및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고정-초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은, 고정-초점 어셈블리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것; 및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객체로부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하고, 복수 회 동안 객체로부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은, 줌 어셈블리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것; 및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하고, 복수 회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공간 광 변조기를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은, 공간 광 변조기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것; 및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하고, 복수 회 동안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확산기 스크린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수신하는 것; 및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 및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는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칭 주기에서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확산기 스크린은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 및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확산기 스크린은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을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 및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는 깊이 정보에 기초하는 것은,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이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서의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확산기 서브-스크린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확산기 서브-스크린을 사용하여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 및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는 깊이 정보에 기초하는 것은, 확산기 스크린이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서의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확산기 스크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현재 위치에서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촬상 유닛이 확산기 스크린에 의해 송신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광 신호는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포함한다. 촬상 유닛은 광 신호에 기초하여 가상 3D 이미지를 생성하고, 가상 3D 이미지를 전송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조합기가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 및 가상 3D 이미지를 실제 객체의 이미지와 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반사기가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 및 가상 3D 이미지를 반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방법은 전술한 제1 양태 및 다양한 가능한 구현들에서 설명되는 단계들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세사항들에 대해서는, 제1 양태 및 다양한 가능한 구현들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시퀀스 제어에 기초하여 다초점 이미지를 생성하는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의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스위칭 주기들의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초점 어셈블리의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4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줌 어셈블리의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4c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광 변조기의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확산기 스크린의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6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확산기 스크린의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유닛 및 조합기의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유닛 및 반사기의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육안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육안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육안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육안 3D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 블록의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 실제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3D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 및 3D 이미지의 해상도를 개선한다.
다음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청구항들, 및 첨부 도면들에서, "제1(first)", "제2(second)" 등이라는 용어들은 유사한 객체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의도되는 것이지만 반드시 구체적인 순서 또는 시퀀스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적절한 상황들에서 상호교환가능하고, 이는 동일한 속성을 갖는 객체들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될 때 사용되는 구별 방식일 뿐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하는(include)", "갖는(contain)", 및 임의의 다른 변형들인 용어들은 -비배타적 포함을 커버하는 것을 의미하여, 일련의 유닛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디바이스가 반드시 이러한 유닛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확히 열거되지 않는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디바이스에 내재되지 않은 다른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후속 실시예에서,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 및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을 포함하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에 접속된다.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은,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차원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은 클록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클록 정보는 복수의 클록들, 예를 들어, 순간 t1, 순간 t2, ..., 및 순간 tn과 같은, 복수의 순간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는 1개의 타이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하도록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을 트리거하기 위해 하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가 사용되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을 트리거하기 위해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의 수량은 글자 n으로 표현될 수 있고, n의 값은 양의 정수이다.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은 미리 설정된 스위칭 주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은 하나의 스위칭 주기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스위칭 주기가 제1 스위칭 주기이면,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이 생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실행이 종료된 후,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은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칭 주기는 완전한 3D 이미지에 포함되는 모든 이미지 블록들을 한 번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다. 예를 들어, 스위칭 주기는 인간의 눈의 반응 시간보다 훨씬 짧다. 본 출원의 일부 구현들에서,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은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회로 카드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회로 카드는 전압 트리거 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전압 트리거 신호는 전술한 시간 시퀀스 명령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은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하고, 제1 스위칭 주기의 지속시간은 디스플레이를 한 번 리프레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보다 짧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시 주파수는 60 Hz일 수 있고, 제1 스위칭 주기의 지속시간은 1/60 초 이하일 수 있고, 제1 스위칭 주기의 구체적인 시간 길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은 일단 시간 시퀀스 명령어가 생성되면 하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즉시 전송하고, 일단 다음 시간 시퀀스 명령어가 생성되면 하나의 다음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즉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추가로 전송할 수 있고, 시간 간격은 제1 스위칭 주기의 크기 및 하나의 완전한 이미지로부터 세그먼트화되는 이미지 블록들의 수량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더 작은 제1 스위칭 주기는 더 짧은 시간 간격을 표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하나의 완전한 이미지로부터 세그먼트화되는 더 많은 수량의 이미지 블록들은 더 짧은 시간 간격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주기의 지속시간은 1/60 초이고, 하나의 완전한 이미지로부터 세그먼트화되는 이미지 블록들의 수량이 4이면,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 간격은 1/240 초일 수 있다.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서, 인간의 눈이 이미지를 관찰할 때, 시력의 지속 시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시간은 개인에 따라 변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 간격은 인간의 눈의 시력의 지속 시간보다 훨씬 짧다. 구체적으로,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 간격은 적용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고, 3D 이미지 블록은 육안 3D 이미지의 슬라이스들이라고 대안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거리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의 위치로부터 3D 이미지 블록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지칭하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할 때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의 현재 위치로부터 각각의 3D 이미지 블록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해,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하나의 거리에서 하나의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이 각각의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할 때, 3D 이미지 블록은 자연스럽게 1개의 깊이 정보를 가져서,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은 추가로,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으로부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2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제2 스위칭 주기 및 제1 스위칭 주기는 상이한 스위칭 주기들이고,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은 더 많은 스위칭 주기들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스위칭 주기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가져서,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하나의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3D 이미지가 하나의 스위칭 주기에서 디스플레이된 후에, 하나의 다음 생성된 3D 이미지가 하나의 다음 스위칭 주기에서 추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서, 복수의 3D 이미지들이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육안 3D 디스플레이 효과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는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일단 하나의 3D 이미지 블록이 생성되면,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위상 변조를 수행하여, 공간에서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3D 이미지 블록들의 생성을 제어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깊이 정보를 갖는 3D 입체적 시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 기초하는 육안 3D는 높은 해상도로 실제 3D 완전한 이미지를 지원할 수 있다.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현재의 육안 3D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육안 3D 이미지는 실제 공간 3D 이미지 블록이고, 3D 이미지 블록은 깊이 정보를 갖는다.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육안 3D 기술에서의 이미지는 2D 이미지이지만, 인간의 뇌를 사용하여 2개의 눈들 사이의 시력 차이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깊이 정보가 획득된다. 또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하고, 이미지의 해상도는 깊이 정보의 도입 때문에 감소되지 않고, 그렇게 함으로써 3D 이미지의 촬상 효과를 개선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은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 및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구체적으로,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거리에서 대응하는 제1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거리에서 대응하는 제2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3D 이미지 블록 및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제1 3D 이미지 블록 및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이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 및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인 것이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각각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하나의 거리에서 하나의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제1 3D 이미지 블록은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거리에서 생성되고, 대응하는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거리에서 생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주기가 제3 시간 시퀀스 명령어 및 제4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추가로 포함하면,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4개의 상이한 거리들에서 제1 3D 이미지 블록, 제2 3D 이미지 블록, 제3 3D 이미지 블록, 및 제4 3D 이미지 블록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가져서,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정보를 갖고, 그렇게 함으로써 육안 3D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한다.
다음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예를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 및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상이한 거리들에서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줌 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후속 실시예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의 일부 구현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은 상이한 순간들에서 상이한 거리들에서 상이한 이미지들을 생성하도록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을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3D 피라미드의 이미지가 4개의 부분들로 세그먼트화되면, 원래의 이미지 정보는 3차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어서, 세그먼트화된 이미지들의 각각의 부분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원래의 이미지가 2D 이미지이면, 2D 이미지 또한 깊이 정보를 갖는 이미지 소스로 처리될 수 있다. 시간 시퀀스 제어 동안,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순간 t1에서 거리 d1에서 피라미드 선단 부분을 생성하고, 순간 t2에서 거리 d2에서 피라미드 본체의 상부 부분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순간 t3에서 거리 d3에서 피라미드 본체의 하부 부분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순간 t4에서 d4에서 피라미드 바닥 부분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들은 시간 시퀀스로 지속적으로 주기적으로 스위칭된다. 예를 들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n개의 시간 시퀀스 슬라이스들이 있고, 슬라이스 1 내지 슬라이스 n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 후에 하나의 스위칭 주기가 완료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들은 다른 스위칭 주기에서 슬라이스 1로부터 슬라이스 n으로 지속적으로 리프레시된다. 스위칭 주기의 시간은 인간의 눈의 반응 시간보다 훨씬 짧고, 스위칭 주기의 시간은 모든 슬라이스들을 한 번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간일 수 있다. 관찰자에 대해, 공간에 4개의 이미지 블록들이 동시에 존재하고, 피라미드의 각각의 부분의 깊이가 상이한 것 같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을 사용하여 4개의 이미지 블록들의 깊이 정보가 구현되고, 이미지 블록들의 각각의 부분은 대응하는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되고 실제 깊이 정보를 가져서, 관찰자에 대해 실제 3D 촬상 효과가 생성된다.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음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이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을 구동하고,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이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을 구동하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거리에서 요구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순간 t1에서 거리 d1에서 피라미드 선단을 생성하도록 구동되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순간 t2에서 d2 영역에 피라미드의 이미지 블록의 제2 부분을 생성하도록 구동되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순간 t3에서 d3 영역에 이미지 블록의 제3 부분을 생성하도록 구동되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순간 t4에서 d4 영역에 피라미드 바닥을 생성하도록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라미드의 1회의 완전한 디스플레이가 완료된다.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은 3개의 스위칭 주기들에서 도 3a에 도시되는 3D 이미지 생성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주기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시간 시퀀스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을 구동하기 위해 t1에서 t4까지 시퀀스를 순환한다. d1 내지 d4의 위치에서 생성되는 대응하는 이미지 블록들 또한 주기적으로 생성된다. t1로부터 t4까지의 시간은 스위칭 주기 1에 포함되는 4개의 순간들이다. 마찬가지로, 스위칭 주기 2 및 스위칭 주기 3은 4개의 순간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피라미드의 실제 3D 이미지는 3개의 스위칭 주기들에서 주기적 실행에 의해 항상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이한 스위칭 주기들에서 생성될 필요가 있는 3D 이미지들은 대안적으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이는 제한되지 않고 적용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결정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복수의 구현들을 가지며, 다음은 상세한 예들을 설명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고정-초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고정-초점 어셈블리는,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객체로부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하도록, 그리고 복수 회 동안 객체로부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고정-초점 어셈블리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것이 다음에 설명된다. 객체로부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거리들에서의 이미지들이 생성되고, 객체는 촬상될 필요가 있는 타겟이다. 고정-초점 어셈블리는 수렴 렌즈일 수 있고, 렌즈의 초점 길이는 f이다. 단일 렌즈의 촬상 공식에 따르면, 1/f=1/u+1/v이고, f는 초점 길이이고, u는 객체 거리이고, v는 이미지 거리이다. 객체 거리 u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이미지 거리들 v가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정-초점 어셈블리에 상대적으로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다초점 촬상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가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이동되어, 객체로부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복수 회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고정-초점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고정-초점 어셈블리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가져서,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정보를 갖고, 그렇게 함으로써 육안 3D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줌 어셈블리는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하도록, 그리고 복수 회 동안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줌 어셈블리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것이 다음에 설명된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초점 길이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이미지 거리들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줌 어셈블리가 사용되고, 줌 어셈블리는, 줌 액체 렌즈와 같은,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줌 액체 렌즈는 상이한 곡률을 달성하기 위해 인가된 전압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액체의 표면 장력을 변경할 수 있고, 줌 액체 렌즈는 전압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줌 어셈블리이고, 조정 속도는 매우 빠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줌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줌 어셈블리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가져서,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정보를 갖고, 그렇게 함으로써 육안 3D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공간 광 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 SLM)를 포함한다.
공간 광 변조기는,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하도록, 그리고 복수 회 동안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4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공간 광 변조기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것이 다음에 설명된다. 공간 광 변조기는, 상이한 거리들에서 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하는 것에 의해 공간 광 필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공간 광 변조기는 마이크로-전자-기계적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의 마이크로 미러 어레이에 기초하는 광 변조기일 수 있거나, 또는 액정에 기초하는 광 변조기일 수 있다. 실리콘 상의 액정(liquid crystal on silicon, LCoS)은 액정에 기초하는 공간 광 변조기이고, 픽셀의 전압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픽셀의 위상 변조를 구현할 수 있어서, 고해상도 및 고속 변조가 구현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위상 정보를 SLM에 로딩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광 필드를 제어하도록 SLM 상에 Fresnel 패턴이 로딩될 수 있다. Fresnel 패턴의 m번째 링 반경 rm은 rm=(2mfλ)1/2이고, λ는 입사광의 파장이고, f는 이러한 위상과 등가인 렌즈 초점 길이이다. 따라서, 상이한 위상 정보를 로딩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초점 길이들의 렌즈들이 구현될 수 있고, 상이한 초점 길이들의 렌즈들이 촬상 유닛에서 사용되면, 로딩된 위상 정보를 사용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촬상을 구현하기 위해, 다초점 촬상 유닛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은 공간 광 변조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공간 광 변조기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가져서,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정보를 갖고, 그렇게 함으로써 육안 3D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확산기 스크린(103)을 추가로 포함한다.
확산기 스크린(103)은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 및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확산기 스크린(103)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102)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101)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 및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는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칭 주기에서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간의 눈은 획득된 3D 이미지를 직접 시청할 수 있고, 시청 각도 및 거리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미지는 광 빔의 방향으로 그리고 인간의 눈이 광 빔을 수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만 단지 직접 시청될 수 있다.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확산기 스크린(103)을 추가로 포함하고, 확산기 스크린은 시간 시퀀스 제어에 기초하는 확산기 스크린이고, 확산기 스크린(103)은 본체 확산기 스크린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다. 확산기 스크린은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어서, 확산기 스크린 상에서 촬상이 구현되고, 광 빔이 발산되어, 이미지는 더 넓은 각도 및 위치에서 인간의 눈에 의해 시청될 수 있다. 또한, 확산기 스크린에 의해 수신되는 이미지의 거리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모든 이미지들이 대응하는 촬상 거리들에 있는 것을 보장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촬상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의 거리와 일치하도록 시간 시퀀스에 따라 변경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확산기 스크린(103)은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서의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확산기 서브-스크린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확산기 서브-스크린을 사용하여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확산기 스크린(103)은 본체 확산기 스크린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고, 본체 확산기 스크린은 현재의 2D 확산기 스크린과는 상이하다. 본체 확산기 스크린은 상이한 깊이들에서 촬상하는 능력을 갖는다. 확산기 스크린(103)은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은 시간 시퀀스 제어에 기초하여 확산기 스크린에 의해 구현된다.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은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스크린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고, 확산기 서브-스크린의 각각의 층은, 파워-온을 사용하여, 투명하도록 또는 확산기 스크린으로서 기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확산기 서브-스크린의 각각의 층의 파워-온 정보는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되어, 시간 시퀀스 제어에 기초하는 확산기 스크린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깊이 정보를 갖는 3D 이미지의 촬상은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실제 3D 이미지의 촬상 효과를 갖는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확산기 스크린(103)은,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서의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확산기 스크린(103)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현재 위치에서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확산기 스크린(103)은 대안적으로 기계적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초점 이미지의 상이한 거리 요건들에 일치하도록 단일 확산기 스크린의 전방 및 후방 이동이 기계적으로 제어된다. 구체적인 적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기계적 방식에서의 이동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거리가 큰 범위에서 빠르게 변경될 필요가 있을 때, 확산기 스크린의 이동 속도가 가속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깊이 정보를 갖는 3D 이미지의 촬상은 확산기 스크린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실제 3D 이미지의 촬상 효과를 갖는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는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이러한 장치는 하나의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과 하나의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의 시간 시퀀스 제어에 기초하여,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상이한 거리들에서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생성하여 3D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초하여 시간 시퀀스-제어형 확산기 스크린이 추가될 수 있어서,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 각도 및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육안 3D 프로젝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상 유닛(104)을 추가로 포함한다.
촬상 유닛(104)은 확산기 스크린(103)에 의해 송신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광 신호는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포함함 -; 그리고 광 신호에 기초하여 가상 3D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그리고 가상 3D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확산기 스크린(103)에 의해 형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이미지이고,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상 유닛(104)을 추가로 포함하고, 촬상 유닛은 형성된 실제 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가상 이미지를 인간의 눈에 투영하여, 대응하는 가상 3D 이미지가 인간의 눈에 의해 관찰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육안 3D 디스플레이 효과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조합기(105)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합기(105)는 촬상 유닛(104)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가상 3D 이미지에 기초하여 가상 디스플레이 3D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조합기(105)는 촬상 유닛(104)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고, 실제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실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가상 디스플레이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가상 디스플레이 3D 이미지의 포괄적인 디스플레이 효과를 구현한다.
예를 들어, 확산기 스크린(103)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실제 이미지이다. 형성된 실제 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가상 이미지를 인간의 눈에 투영하기 위해 촬상 유닛이 사용되면, 인간의 눈에 의해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가 관찰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디스플레이 및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장치 및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장치와 조합된다. 생성된 육안 3D 이미지가 인간의 눈에 들어갈 수 있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3D 이미지가 대응하는 거리에서 관찰될 수 있도록, 단지 하나의 추가적인 촬상 유닛만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엔티티 이미지가 확산기 스크린 상에 생성된다. 엔티티 이미지는 촬상 유닛을 사용하여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가상 이미지는 조합기를 사용하여 조합기의 우측 상의 실제 장면과 가상 3D 이미지를 융합하여, 3D 가상 현실 촬상을 생성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촬상 유닛,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 및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을 사용하여, 확산기 스크린 상에 생성되는 3D 이미지는, 마치 인간의 눈이 가상 이미지를 수신한 후에 공간에서 3D 이미지를 보는 것처럼, 가상 이미지가 되고, 가상 이미지는 조합기를 사용하여 육안 3D의 AR 헤드-업 디스플레이 효과를 구현하는 것에 의해 외부 실시간 장면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합기는 유리창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반사기(106)를 추가로 포함한다.
반사기는 촬상 유닛(104)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가상 3D 이미지를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R 안경 및 육안 3D 디스플레이에 대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반사기(106)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찰자는, 3D 디스플레이처럼, 단지 3D 가상 이미지만을 본다. 촬상 유닛은 일반적으로 확대 기능을 갖기 때문에, 실제로 시청되는 3D 이미지는 반사기의 영역보다 훨씬 더 크고, 따라서, 촬상 영역이 더 크고, 촬상 유닛은 일반적 작동 및 엔터테인먼트 시나리오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는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이러한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분포를 갖는다. 3D 이미지의 3D 감각은 2D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3D 기술의 것보다 우수하고, 그 이유는 2D 양안 시차가 그레이팅 및 렌즈 기술을 사용하여 좌안과 우안의 이미지들을 분리하고, 해상도가 절반으로 감소되기 때문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이미지는 좌안 및 우안에 대해 세그먼트화되지 않고, 시간 시퀀스에서의 처리는 이미지 소스의 해상도를 감소시키지 않는다. 하나의 추가적인 촬상 유닛이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추가될 수 있어서, 육안 3D에 의해 형성되는 3D 이미지는 대응하는 확대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인간의 눈에 의해 가상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육안 3D 디스플레이가 구현되고, 촬상 영역은 더 크다. 형성된 가상 이미지를 외부 실제 장면과 조합하기 위해 육안 3D 디스플레이에 기초하여 하나의 조합기가 추가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육안 3D AR 장치를 구현하여, 육안 3D의 AR 헤드-업 디스플레이 효과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해결책들을 우수하게 구현하기 위해, 다음은 전술한 해결책을 구현하기 위한 관련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육안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고, 육안 3D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되는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201) 및 촬상 유닛(202)을 포함한다.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201)의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촬상 유닛(202)은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광 신호는 제1 스위칭 주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D 이미지를 포함함 -; 그리고 광 신호에 기초하여 가상 3D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그리고 가상 3D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조합기(203)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합기는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가상 3D 이미지를 실제 객체의 이미지와 조합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반사기(204)를 추가로 포함한다.
반사기는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가상 3D 이미지를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 및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을 전술한 예들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에 접속될 수 있다.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은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을 포함하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에 기초하여 깊이 정보를 갖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분포를 갖고,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는 2D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3D 기술의 것보다 우수하다. 또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3D 이미지 블록은 단지 시간 시퀀스 제어에만 기초하여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이미지 소스의 해상도가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3D 이미지의 해상도는 2D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3D 기술의 이미지 해상도보다 우수하다.
이러한 장치의 모듈들/유닛들 사이의 정보 교환 및 이들의 실행 프로세스들과 같은 내용은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들과 동일한 아이디어에 기초하고,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들과 동일한 기술적 효과들을 가져온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전술한 설명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육안 3D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육안 3D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1501: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이,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전송함.
1502: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차원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함-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함 -.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 및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의 기능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을 참조하고, 상세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육안 3D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다음을 포함한다: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이,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전송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2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은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 및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수신하고,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거리에서 대응하는 제1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하고;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수신하고,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거리에서 대응하는 제2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한다.
제1 3D 이미지 블록 및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제1 3D 이미지 블록 및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고정-초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고정-초점 어셈블리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객체로부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하고, 복수 회 동안 객체로부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줌 어셈블리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하고, 복수 회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공간 광 변조기를 포함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공간 광 변조기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하고, 복수 회 동안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육안 3D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다음을 포함한다:
확산기 스크린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수신하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 및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는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칭 주기에서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확산기 스크린은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 및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확산기 스크린은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을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 및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는 깊이 정보에 기초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이,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서의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확산기 서브-스크린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확산기 서브-스크린을 사용하여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 및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는 깊이 정보에 기초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확산기 스크린이,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서의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확산기 스크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현재 위치에서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육안 3D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다음을 포함한다:
촬상 유닛이, 확산기 스크린에 의해 송신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고- 광 신호는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포함함 -; 광 신호에 기초하여 가상 3D 이미지를 생성하고, 가상 3D 이미지를 전송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육안 3D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다음을 포함한다:
조합기가,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고; 가상 3D 이미지를 실제 객체의 이미지와 조합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육안 3D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다음을 포함한다:
반사기가,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고; 가상 3D 이미지를 반사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이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에 접속될 수 있다는 점을 전술한 예들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은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고,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한다.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육안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을 포함하고,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시간 시퀀스 제어에 기초하여 깊이 정보를 갖는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3D 이미지는 실제 깊이 분포를 갖고,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효과는 2D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3D 기술의 것보다 우수하다. 또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3D 이미지 블록은 단지 시간 시퀀스 제어에만 기초하여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이미지 소스의 해상도가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3D 이미지의 해상도는 2D 양안 시차에 기초하는 3D 기술의 이미지 해상도보다 우수하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이 일련의 액션들로서 표현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따르면, 일부 단계들이 다른 순서들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자는 본 출원이 액션들의 설명된 순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모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속하고, 관여된 액션들 및 모듈들이 본 출원에 의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자에 의해 추가로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예일 뿐이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분리된 부분들로서 설명되는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고, 유닛들로서 디스플레이되는 부분들은 물리적 유닛들일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고, 하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 상에 분산될 수 있다. 일부 또는 모든 모듈들은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 실시예들의 첨부 도면들에서, 모듈들 사이의 접속 관계들은, 모듈들이 서로 통신 접속들을 갖는다는 점을 표시하고, 이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 케이블로서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구현들의 설명들에 기초하여,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자는, 본 출원이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외에도 소프트웨어에 의해, 또는 전용 집적 회로, 전용 CPU, 전용 메모리, 전용 컴포넌트 등을 포함하는,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임의의 기능들은 대응하는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쉽게 구현일 수 있다. 게다가,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는 다양한 형태들, 예를 들어,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전용 회로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에 관해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구현이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더 우수한 구현 방식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질적으로 본 출원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 또는 종래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컴퓨터의 플로피 디스크,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음)에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수행하라고 명령어하기 위한 몇몇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때,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컴퓨터 상에서 로딩되고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시저 또는 기능들이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명령어들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명령어들은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 섬유 또는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으로,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사용가능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컴퓨터 또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사용가능 매체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가능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일 수 있다.

Claims (28)

  1.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 및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에 접속됨 -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은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차원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함 -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은 추가로,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함 -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은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 및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거리에서 대응하는 제1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거리에서 대응하는 제2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1 3D 이미지 블록 및 상기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상기 제1 3D 이미지 블록 및 상기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상기 3D 이미지에 속함 -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고정-초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초점 어셈블리는,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객체로부터 상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하도록, 그리고 복수 회 동안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줌 어셈블리는,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상기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하도록, 그리고 복수 회 동안 상기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공간 광 변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광 변조기는,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하도록, 그리고 복수 회 동안 상기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확산기 스크린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확산기 스크린은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 및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에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확산기 스크린은,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 및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서 상기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 스크린은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은,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서의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확산기 서브-스크린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상기 확산기 서브-스크린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 스크린은,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서의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확산기 스크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촬상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촬상 유닛은, 상기 확산기 스크린에 의해 송신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광 신호에 기초하여 가상 3D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 신호는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합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조합기는,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실제 객체의 이미지와 조합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는,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반사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촬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촬상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광 신호는 제1 스위칭 주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D 이미지를 포함함 -; 그리고 상기 광 신호에 기초하여 가상 3D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조합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조합기는,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실제 객체의 이미지와 조합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반사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는,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반사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에 의해,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차원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함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에 의해,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은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에 속함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은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 및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거리에서 대응하는 제1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거리에서 대응하는 제2 3D 이미지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3D 이미지 블록 및 상기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상이한 깊이 정보를 각각 갖고, 상기 제1 3D 이미지 블록 및 상기 제2 3D 이미지 블록은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상기 3D 이미지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고정-초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초점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객체로부터 상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하는 단계, 및 복수 회 동안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고정-초점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변경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줌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상기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하는 단계, 및 복수 회 동안 상기 줌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변경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1.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은 공간 광 변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거리들에서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 광 변조기에 의해,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복수 회 동안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및 복수 회 동안 상기 상이한 공간 위상 정보를 로딩할 때 복수의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확산기 스크린에 의해,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 및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서 상기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기 스크린은 상기 다초점 이미지 생성 유닛 및 상기 시간 시퀀스 제어 유닛에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 스크린은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 및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깊이 정보에 기초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서의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층들의 확산기 서브-스크린들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확산기 서브-스크린을 결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상기 확산기 서브-스크린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 및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3D 이미지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깊이 정보에 기초하는 것은,
    상기 확산기 스크린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시간 시퀀스 명령어들에서의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확산기 스크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현재 시간 시퀀스 명령어에 대응하는 3D 이미지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촬상 유닛에 의해, 상기 확산기 스크린에 의해 송신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 신호는 상기 제1 스위칭 주기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를 포함함 -; 및,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해, 상기 광 신호에 기초하여 가상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조합기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실제 객체의 이미지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추가로,
    반사기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 3D 이미지를 반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8. 자동차로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227042411A 2020-05-15 2021-05-07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03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422318.4 2020-05-15
CN202010422318.4A CN113671721B (zh) 2020-05-15 2020-05-15 一种显示装置和系统以及方法
PCT/CN2021/092082 WO2021227945A1 (zh) 2020-05-15 2021-05-07 一种显示装置和系统以及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245A true KR20230003245A (ko) 2023-01-05

Family

ID=7852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411A KR20230003245A (ko) 2020-05-15 2021-05-07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77212A1 (ko)
EP (1) EP4137872A4 (ko)
JP (1) JP2023524901A (ko)
KR (1) KR20230003245A (ko)
CN (2) CN113671721B (ko)
WO (1) WO2021227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99828B (zh) * 2021-03-31 2023-04-21 中強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處理裝置、影像處理方法以及3d影像產生系統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0539B2 (en) * 2007-04-10 2012-01-24 Tunable Optix Corporation 3D imaging system employing electronically tunable liquid crystal lens
CN101588510B (zh) * 2008-05-22 2011-05-18 聚晶光电股份有限公司 3d立体影像撷取、播放系统及其方法
US10295833B2 (en) * 2010-12-15 2019-05-21 SoliDDD Corp. Resolution for autostereoscopic video displays
WO2013068882A2 (en) * 2011-11-09 2013-05-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and method
KR102177133B1 (ko) * 2014-01-31 2020-11-10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멀티-포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CA2938264C (en) * 2014-01-31 2020-09-22 Magic Leap, Inc. Multi-focal display system and method
GB2526275B (en) * 2014-05-16 2017-12-13 Two Trees Photonics Ltd Display for reducing speckle
CN104394396A (zh) * 2014-09-30 2015-03-04 深圳市亿思达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利用伸缩元件实现图像视觉深度显示的装置及方法
TWI588535B (zh) * 2014-11-20 2017-06-21 英特爾股份有限公司 可調式焦距平面光學系統
EP3099076B1 (en) * 2015-05-29 2019-08-07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from 4d light field data
US10088685B1 (en) * 2015-10-19 2018-10-02 Meta Company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ple focal distance display
CN106873169A (zh) * 2015-12-10 2017-06-20 上海交通大学 三维显示器
CN106371222A (zh) * 2016-11-30 2017-02-01 苏州苏大维格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纳米透镜波导镜片和多景深三维显示装置
CN106842597B (zh) * 2017-02-28 2019-06-11 浙江大学 大景深近眼光场三维显示方法
CN109143576B (zh) * 2017-06-27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系统及其显示方法、交通工具
CN111133366B (zh) * 2017-09-20 2022-11-08 元平台技术有限公司 用于头戴式显示器的多层投影仪
US10728534B2 (en) * 2018-07-31 2020-07-28 Lightspace Technologies, SIA Volumetric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CN109212771A (zh) * 2018-11-27 2019-01-1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三维显示装置及显示方法
CN109633905B (zh) * 2018-12-29 2020-07-24 华为技术有限公司 多焦平面显示系统以及设备
CN109831661A (zh) * 2019-01-11 2019-05-31 东南大学 一种空间可编程的复合立体显示系统
CN110109260B (zh) * 2019-05-30 2022-04-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场显示系统及光场显示方法
CN110308566B (zh) * 2019-06-28 2021-12-03 上海慧希电子科技有限公司 显示系统及双目系统
CN111045213B (zh) * 2020-01-02 2022-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光场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7872A1 (en) 2023-02-22
EP4137872A4 (en) 2023-10-11
WO2021227945A1 (zh) 2021-11-18
JP2023524901A (ja) 2023-06-13
US20230077212A1 (en) 2023-03-09
CN113671721A (zh) 2021-11-19
CN113671721B (zh) 2023-03-28
CN114355624A (zh)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618B1 (ko) 동적 시야 가변 초점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438566B2 (en) Three dimensional glasses free light field display using eye location
US7864419B2 (en) Optical scanning assembly
KR100520699B1 (ko) 자동입체 투영시스템
US20100073376A1 (en) Electronic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electronically rendering a wavefront
Brar et al. Laser-based head-tracked 3D display research
WO2008139181A1 (en) Multi-user autostereoscopic display
JP2000214413A (ja) 三次元表示方法及び装置
CN114365027A (zh) 显示具有景深的物体的系统与方法
WO2019154942A1 (en) Projection array light field display
JP3453086B2 (ja) 三次元表示方法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US20230077212A1 (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90293950A1 (en) Near-ey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US10802281B2 (en) Periodic lenses systems for augmented reality
JP3756481B2 (ja) 三次元表示装置
CN106772821B (zh) 一种可交互裸眼3d系统
CN112236711A (zh) 用于图像显示的设备和方法
CN108803021A (zh) 一种近眼显示系统、头戴显示设备及光场显示方法
JP2000333204A (ja) 三次元表示システム
JP3825414B2 (ja) 三次元表示装置
Hua Advances in Head‐Mounted Light‐Field Displays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JP2000347132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CN112970247A (zh) 显示多重景深影像的系统与方法
Wang Different multi-focal-plane method
JP2006221128A (ja) 3次元表示方法および3次元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