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849A - 임플란트 커넥터용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커넥터용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849A
KR20230002849A KR1020227040305A KR20227040305A KR20230002849A KR 20230002849 A KR20230002849 A KR 20230002849A KR 1020227040305 A KR1020227040305 A KR 1020227040305A KR 20227040305 A KR20227040305 A KR 20227040305A KR 20230002849 A KR20230002849 A KR 20230002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ntal
screw
abutment
proxim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 쿠리
Original Assignee
쿠리 덴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 덴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쿠리 덴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Abstract

제1 및 제2 유닛을 포함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가 개시되며, 상기 제1 유닛은 두개의 유닛에 대해 회전 가능한 연결 요소에 의해 청구되지 않은 생체 내 치과용 임플란트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부 윤곽과 일치하는 윤곽의 원위 단부, 및 상기 제2 유닛의 원위 단부 윤곽과 일치하는 윤곽의 근위 단부를 가지며, 상기 근위 단부는 상기 제2 유닛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접촉 표면과 접촉하도록 적용된 지지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표면 및 상기 접촉 표면은 평면형(만곡되지 않은) 표면일 수 있고, 상기 유닛 사이의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유닛을 의도된 임플란트에 연결하는 연결 요소 이외의 연결 요소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허용된 연결 어셈블리 바는 복수의 개시된 치과용 어버트먼트에 의해 밀링된 치과용을 유지하기 위해, 개시된 어버트먼트에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커넥터용 어버트먼트
본 출원서는 "Uni-Base and Clicq-Base - Titanium Base for Screw Retained Crowns and Bridges"라는 제목으로 2020년 4월 22일에 출원된 가출원번호 63/013,564 및 "Clicq-Base - Titanium Base for Screw Retained Crowns and Bridges with an extra adapter for bar system Clicq Multi Base on X"라는 제목으로 2020년 6월 15일에 출원된 가출원번호 63/039,003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거부감을 주지 않고 이들 전체 내용이 참고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치과용 어버트먼트(dental abutment)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진 치과용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어버트먼트는 일반적으로 어버트먼트 상단으로부터 삽입되고 나사 고정(screwing)을 위해 이의 베이스(base)로부터 나오는 나사에 의해 치과용 임플란트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방법은 어버트먼트를 통해 삽입되는 나사가 어버트먼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형성할 수 있는 최대 각도를 결정한다. 알려진 보통의 어버트먼트에서, 최대 각도(임계각(threshold angle)이라고도 지칭됨)는 약 9도이다. 더 큰 각도는 벽에 대한 나사 채널의 경사로 초래되는, 이의 부분에서의 불충분한 폭으로 인해 어버트먼트 벽의 무결성에 위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치과용 베이스 어버트먼트는 최대 10도의 경사(inclination)를 갖는다. 10도 이상의 경사는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에 이를 고정하기 위한 어버트먼트를 통해 나사를 삽입하는데 필요한 임플란트 축과 일치하는 어버트먼트에 적절한 나사 채널을 준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개시된 요지의 하나의 넓은 일 양태는 어버트먼트를 나사로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하기 위해, 30도까지 경사진 치과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하고 단일 나사 채널보다 더 많이 그리고 원추형 어댑터(adaptor)를 가지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개시된 요지의 또 다른 넓은 양태는 밀링된 바(milled bar)를 복수의(예를 들어, 4개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테더링(tethering)하기 위한 허용된 연결 복합체(connective complex)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원위 단부(distal end)'라는 용어는 생체 내(즉, 치과의사에 의해 치과 시술을 받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해당 부분의 반대쪽 단부에 대해 치과의사의 접근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설명된 부분의 단부를 의미하고, 따라서 설명된 부분의 '근위 단부(proximal end)'라고 지칭될 수 있다.
개시된 요지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제1 및 제2 유닛을 포함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이고, 상기 제1 유닛은 두 유닛에 대해 회전 가능한 임의의 수용 가능한 연결 요소(connective element)에 의해 청구되지 않은 생체 내 치과용 임플란트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닛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부 윤곽과 일치하는 윤곽의 원위 단부, 및 상기 제2 유닛의 원위 단부 윤곽과 일치하는 윤곽의 근위 단부를 가지고, 상기 근위 단부는 상기 제2 유닛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접촉 표면(contact surface)과 접촉하도록 적용된 지지 표면(supportive surface)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의 길이방향 축은 상기 제2 유닛의 원위 단부에 접하는 평면에 수직이고, 상기 제2 유닛의 길이방향 축은 상기 제1 유닛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이 함께 연결되고 관심 치과용 임플란트에 연결될 때, 상기 제2 유닛의 길이방향 축과 관심 치과용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축 사이의 각도는 미리 결정된 각도와 동일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은 이외의 연결 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 가능하고 연결 요소에 부착되지 않는다.
상기 치과용 어버트먼트는 치과 의사가 상기 제1 유닛에 대한 상기 제2 유닛의 생체내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상호 회전 방지 준비 구조물(mutual rotation preventive preparation structur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상호 회전 방지 준비 구조물은 암형-수형 윤곽을 파괴하는 일치하는 회전 대칭을 포함하며(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쌍의 각각의 쌍이 일치하는 돌출부 및 만입부 노치를 포함함), 적어도 하나의 회전 대칭 파괴 수형 윤곽은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중 하나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회전 대칭 파괴 수형 윤곽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대칭 파괴 암형 윤곽은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중 다른 것에 형성된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상호 회전 방지 준비는 상기 제1 유닛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유닛의 근위 단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제2 유닛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외향 벽 표면(outwardly facing wall surface)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외향 벽 표면을 보이게 윤곽이 형성되고 치수가 정해져서, 치과 보철물이 상기 외향 벽 표면를 갖는 이의 제1 부분에서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의 외향 벽 표면을 갖는 이의 제2 부분에서 통합될 수 있게 한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지지 표면은 미리 결정된 각도가 11도와 30도 사이가 되도록 하는 기울어진 정도에 의해, 상기 제1 유닛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기울어진 평면에 있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제2 유닛의 외부 벽은 상기 제1 유닛의 길이방향 축과 교차하지 않고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나사 채널과 관련된 관통 구멍(through hole)이 없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제2 유닛은 용접(welding), 납땜(solering), 스티킹(sticking) 또는 접착(gluing)에 의해 상기 제1 유닛에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근위 단부에 있는 개구 사이와 상기 연결 요소(또는 상기 연결 요소의 단부가 위치되는 상기 제1 유닛의 근위 단부에 형성된 연속 중공(continuum hollow))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 중공(through hollow)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연결 요소를 조작함으로써 치과용 어버트먼트와 치과용 임플란트 사이를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연결 요소의 근위 단부에 대한 접근을 치과의사에게 제공한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연결 요소는 나사이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치과용 어버트먼트는 중공 내에 은폐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상기 나사의 치형 헤드 부분에 맞물리도록 적용된 원위 단부, 및 일치하는 나사드라이버로 구동되도록 적용된 근위 단부를 갖는 중개 도구(intermediation tool)을 추가로 포함한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제2 유닛은 결합하는 나사산(thread)에 의해 상기 제1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결합하는 나사산은 상호 연결 유닛(interconnecting unit)을 상기 제2 유닛의 원위 단부에 연결하기 위해 상호 연결 유닛에 형성된 결합하는 제1 나사산에 의해 맞물리는 상기 제2 유닛에서의 나사산; 및 상기 상호 연결 유닛을 상기 제1 유닛의 근위 단부에 연결하기 위해 상호 연결 유닛에 형성된 결합하는 제2 나사산에 의해 맞물리는 상기 제1 유닛에서의 나사산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유닛은 상호 연결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제1 나사산 및 상기 제2 나사산은 하나는 왼손 잡이용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오른손 잡이용 나사산으로 형성된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결합하는 나사산은 상호 연결 유닛의 원위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닛의 근위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결합하는 제1 나사산; 상호 연결 유닛의 근위 단부에 형성되고 상호 연결 나사의 원위 단부에서 나사산과 결합하는 제2 나사산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상호 연결 유닛 및 상기 상호 연결 나사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제1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제2 유닛은 중공을 둘러싸는 외부 벽을 가지고, 상기 중공은 근위 단부에 개방되며 상기 외부 벽에 형성된 주변 만입부(surrounding indentation)를 포함한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주변 만입부는 상기 제2 유닛의 길이방향 축을 통해 얻어진 단면에서 만곡된 윤곽(예를 들어, 아치형, 활 모양, 반원 곡률을 가짐)을 가질 수 있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치과용 어버트먼트는 선택 가능한 배향(orientation)으로 상기 제2 유닛의 근위 단부에서 상기 제2 유닛에 연결 가능한 허용된 연결 복합체(connective complex)를 더 포함한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허용된 연결 복합체는 연결 복합체로부터 상기 제2 유닛의 중공 내로 나오고 상기 주변 만입부로 팽창하도록 적용된 분할 볼 조인트(split ball joint)에 의해 상기 제2 유닛을 중심으로 원하는 배향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 벽과 압력 접촉을 형성하며, 상기 접촉 압력에서의 압력의 양은 나사의 나선형이 허용된 연결 복합체 내에서 앞으로 이동함에 따라 성장하는 퍼짐 정도(degree of spread)로 주변 벽을 향해 주변으로 분할 볼 부분을 밀도록 구성된 압력 조절 나사(adjustment screw)에 의해 가변적이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허용된 연결 복합체는 상기 허용된 연결 복합체의 근위 단부로, 상기 분할 볼 조인트보다 더 가까운 이의 부분에 볼 조인트를 포함한다.
현재 개시된 주제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허용된 연결 복합체는 관형 분할 부재(tubular split member)의 분할 부분에서 볼형 부재 방향으로 나사형 조임 요소(tightening element)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여, 상기 볼 조인트의 볼형 부재에 고정력(seizing force)을 가하도록 윤곽이 형성되고 치수가 정해진 관형 분할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관형 분할 부재 및 상기 나사형 조임 요소는 이들 사이에 밀링된 바 시스템을 유지하도록 윤곽이 형성되고 치수가 정해지며, 상기 허용된 연결 복합체를 통해 각각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적으로 테더링되고, 상기 조임 요소만이 각각의 허용된 연결 복합체 밖으로 밀링된 바를 유지하는 방식은 조임 요소에 의해서만 차단된다.
개시된 요지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1 유닛을 포함하는 치과용 세트이며, 특수 제1 유닛(special first unit)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특수 제1 유닛은 상기 특수 제1 유닛의 원위 단부에서 그리고 치과용 임플란트로 나사 고정되도록 적용된 제1 나사산, 및 중공을 둘러싸는 외부 벽을 구성하는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은 특수 제1 유닛의 근위 단부에 개방되고 외부 벽에 형성되고 허용된 연결 복합체의 분할 볼을 유지하도록 적용된 주변 만입부(surrounding indentation)를 포함한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특수한 제1 유닛에 포함된 상기 주변 만입부는 상기 특수 제1 유닛의 길이방향 축을 통해 얻어진 단면에서 만곡된 윤곽(예를 들어, 아치형, 활 모양, 반원 곡률을 가짐)을 가질 수 있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주변 만입부가 있는 외부 벽은 상기 제1 나사산보다 상기 투수 제1 유닛의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위치된 제3 나사산과 결합하는 이의 원위 단부에 제2 나사산을 갖는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유닛에 있다.
본 개시된 요지는 해당하는 또는 유사한 숫자 또는 문자가 해당하는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과 함께 얻어진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완전하게 이해되고 인지될 것이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 또는 양태들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현재 개시된 요지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어버트먼트 복합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a는 조립 전의, 도 1의 치과용 어버트먼트 복합체에 포함된 구성성분을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에 의해 도시된 실시형태의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c는 현재 개시된 요지에 따른 치과용 어버트먼트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이의 내부 공간 사이와 이의 베이스의 길이방향 축(어버트먼트 베이스가 연결되도록 의도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축과 일치함) 사이의 관계를 일반화하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도 1d는 현재 개시된 요지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변형에 따른 치과용 어버트먼트 복합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e는 도 1d에 의해 도시된 실시형태의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f는 조립 전에, 도 1d의 치과용 어버트먼트 복합체에 포함된 구성성분을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현재 개시된 요지의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어버트먼트 복합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조립 전에, 이의 조립 개념(윤곽 및 비율이 도 2와 다름)에서 도 2와 유사한 치과용 어버트먼트 복합체에 포함된 구성성분을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2b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조립된 치과용 복합체의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현재 개시된 요지의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어버트먼트의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조립된 치과용 복합체의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현재 개시된 요지의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에 상호 연결 유닛을 갖는 슬리브 유닛(슬리브의 원위 단부에 초점을 맞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도 3b의 슬리브 유닛의 원위 단부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현재 개시된 요지의 제5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두개의 어버트먼트, 두개의 어버트먼트가 유지하고자 하는 치과용 바(밀링된 바라고도 함), 및 어버트먼트가 연결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현재 개시된 요지의 제5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어버트먼트에 의해 유지되도록 준비된 치과용 바를 통한 횡단면도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바의 플랜지형 애퍼처(bar's flanged aperture)에서의 위치에 있는 바 및 허용된 연결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 4b는 치과용 바가 없는 도 4a에 도시된 허용된 연결 복합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단면도에 도시된 복합체의 측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에 도시된 허용된 연결 복합체의 수직 단면도로서, 치과용 바가 테더링되고 복합체가 베이스 유닛에 고정되는 특수 제2 유닛을 갖는다.
도 4e는 도 4d의 특수 제2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f는 도 4e의 Y-Y 평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g는 현재 개시된 요지의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h는 도 4g의 평면 K-K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현재 개시된 요지의 실시형태에 따른 특수 제1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 5의 평면 L-L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현재 개시된 요지의 실시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1 유닛 및 특수 제2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6의 유닛의 단면이 얻어진 평면 J-J 및 Z-Z에 대해 도시하는, 도 6에 의해 예시된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개시된 요지에 의해 다뤄지는 하나의 기술적인 문제는 10도 이상의 경사를 가능하게 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치과용 어버트먼트는 10도 이상의 경사를 가지지만, 이러한 10도 이상의 어버트먼트는 어버트먼트를 의도된 임플란트에 연결하는 나사를 각변형(angulation)을 통해 치료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른 치아 또는 환자의 구강 내 부분과 어버트먼트의 더 나은 정렬을 허용하고 치과의사가 직선형 어버트먼트와 비교하여 기능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 없이 또는 최소화된 기능 손실로, 어버트먼트로 나사를 삽입하고 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제로 10도 이상의 각도의 치과용 어버트먼트가 필요하다. 10도 이상의 경사는 임플란트에 이에 고정하기 위한 어버트먼트를 통해 나사를 삽입하는데 필요한 직선형 어버트먼트에서와 같이, 임플란트 축과 일치하는 어버트먼트에 적절한 나사 채널을 준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평면 베이스 어버트먼트는 이들의 두 부분 사이에 원추형 어댑터를 필요로 하는, 두개의 나사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버트먼트로 작업하면 가열되고 미적이지 않은 결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단일 나사 채널이 있고 원추형 어댑터가 없는 경우, 적어도 11도 내지 30도 사이의 경사가 필요할 수 있다.
하나의 기술적인 해결책은 임플란트에 직접 연결된 베이스 어버트먼트(이하 유니-베이스 어버트먼트(Uni-Base abutment)로 지징됨)를 활용하는 것이다. 유니-베이스 어버트먼트는 나사 고정되고 조일 수 있으며, 상부 단일 비직선형 채널로부터 임플란트에 직접 연결한다. 결과적으로, 메인 나사가 슬리브 상단으로부터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상부 단일 비직선형 채널은 어버트먼트 내의 단일 나사 고정 통로에 삽입될 단일 나사를 사용하는 단일 나사 고정 채널일 수 있다. 어버트먼트는 어버트먼트 상단으로부터 나사 고정을 위한 이의 베이스까지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임플란트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어버트먼트의 임계 각도일 수 있다. 이러한 어버트먼트의 임계 각도는 약 9도일 수 있다. 유니-베이스 어버트먼트는 최대 30도까지 기울어진 어버트먼트를 가능하게 하는 나사 고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유니-베이스 어버트먼트는 원추형 어댑터 없이, 단일 나사 채널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CAD/CAM 스캐닝 후 실험실 기술에 의해 밀링으로 제조되는 크라운 접착(crown cementation)을 위해 준비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유니-베이스 어버트먼트는 11도 내지 30도 사이의 각도를 갖는 경사 임플란트에 사용될 수 있다. 유니-베이스 어버트먼트는 단 하나의 나사 고정 채널(티타늄 나사가 수직으로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있는 경사진 베이스, 톱니 모양의 돔형 헤드를 갖는 나사, 나사 헤드를 덮고 거의 평면에 가까운 인접한 표면에 의해 연결되는 슬리브(sleeve)로 구성될 수 있고, 각진 베이스의 경사진 표면으로 베이스에서의 하나에 대해 슬리브에서의 하나(즉, 기존의 두 부분 어버트먼트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원뿔 표면이 없음)이다 - 슬리브 자체의 직접 회전 나사 고정으로 분리되지 않은 방식으로 - . 슬리브는 이의 상단에 나사 고정 구멍이 있어 이러한 구멍을 통해 드라이버가 톱니 모양의 돔형 헤드를 사용하여 티타늄 나사를 대각선으로만 나사 고정할 수 있다. 분리되지 않은 연결은 납땜, 스티칭 또는 다른 연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슬리브는 나사드라이버 -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도구 -가 그의 톱니형 돔형 헤드를 사용하여 나사를 대각선으로만 나사 고정될 수 있는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슬리브는 납땜, 스티칭 또는 다른 연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분리되지 않은 연결로, 각진 베이스의 경사 표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각진 베이스와 슬리브 베이스는 양쪽 부분들 자체의 직접 회전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유니-베이스 어버트먼트는 하나의 나사 고정 채널만 가질 수 있다. 또한, 슬리브 베이스는 연결을 안정시키고 직접적인 회전을 피하기 위해 각진 베이스의 홈(groove)로 삽입될 수 있는 슬립(slip) 또는 노치를 가질 수 있다. 보편적으로 사용하면서, 하나의 유닛으로 조립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크라운이 슬리브에 만들어질 수 있고, 전체 유닛은 슬리브의 상부 개구를 통해 나사드라이버(또는 다른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여 나사로 고정되어, 유니-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 자체에 직접 조이게 한다.
또 다른 기술적 해결책은 경사지거나 수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클릭큐-베이스 어버트먼트(Clicq-Base abutment)이다. 클릭큐-베이스는 수평일 수 있는 각진 베이스, 각진 베이스를 조이는 나사(한편에 크라운은 슬리브에 설치될 수 있음) 및 각각의 단부에 나사 나사산이 있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는 오른쪽 나사산이며 다른 하나는 왼쪽 나사산이다. 실린더의 상부측은 육각형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이를 회전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구멍일 수 있다. 베이스와 슬리브는 실린더 나사산과 관련하여 내부에 나사 나사산이 있을 수 있다. 슬리브에는 연결을 안정시키기 위해 각진 베이스에서 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슬립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크라운이 있는 슬리브는 사이에 실린더를 사용하여 각진(또는 수평)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고 적절한 도구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두 종류의 나사산으로 인해 슬리브가 베이스에 조여진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슬리브와 베이스는 짝을 이루는 나사산에 의해 연결되고, 크라운은 부분적으로 슬리브의 외향 표면에 연결되며 부분적으로는 베이스의 외부 표면에 연결되고, 이는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공통으로 슬리브 및 베이스의 근위 벽으로 이격되게 향하도록 구비되며, 이에 의해 크라운이 슬리브와 베이스 모두에 연결되기 때문에 베이스에 대한 슬리브의 생체내 회전이 방지된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
도 1은 현재 개시된 요지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어버트먼트(1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유닛(113, 111) 각각을 포함하는 어버트먼트가 어버트먼트 복합체를 사용하기에 준비된 조립체로서 이 도면에 도시된다. 도 1a는 조립 전에, 도 1의 치과용 어버트먼트 복합체에 포함된 구성성분을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b에서의 횡단면도는 복합체의 구성성분 간 상호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들 3개의 도면에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제2 유닛(111)(본 발명에서 '슬리브'라고도 함)은 영구적으로, 즉 예를 들어, 용접, 납땜, 접착 또는 스티칭(이 중 어느 것이든 강제로 분리되는 경우, 어버트먼트 구성성분를 파괴할 수 있음)으로 분리가능하지 않는 연결 방법에 의해 제1 유닛(113)(본 명세서에서 '베이스'라고도 함)에 연결되도록 적용된다. 제1 및 제2 유닛에서 각각 생성된 상호 돌출부와 홈 노치는 제1 및 제2 유닛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고 용접(또는 접착) 과정 동안 어버트먼트를 안정시키며, 두 유닛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저항함으로써 어버트먼트 복합체의 향후 안정성에 기여될 수도 있다.
슬리브(111) 내의 노치(돌출부 또는 만입부)는 슬리브의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두개의 유닛을 함께 통합할 때 치과의사로부터 숨겨진다. 식별의 용이함을 위해, 슬리브(111) 내의 노치(돌출부 또는 만입부)의 위치는 슬리브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돌출부(111a)와 같은 표시에 의해 암시될 수 있다. 베이스(113)에서의 상호 노치(113c)는 치과의사가 볼 수 있으므로, 이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힌트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생체 내 치과용 임플란트로 조립되면, 크라운이 슬리브(111)에 만들어질 수 있다.
치과용 어버트먼트(100)를 구성하는 복합체는 나사(117)를 관련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나사산 나선(117b)을 임플란트 안팎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해)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임플란트에 연결되거나 임플란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나사에 대한 접근은 슬리브(111)의 상부 개구(111s)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제1 및 제2 유닛이 영구적으로 조립된 후에도 중개 도구(119)의 도움으로 달성될 수 있다(도 1a 및 1b 참조). 중개 도구(119)는 치과의사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나사드라이버에 의해 조작될 통상적으로 윤곽이 형성된 근위 단부(예를 들어, 육각형 리세스(119s))를 가질 수 있다. 중개 도구(119)의 원위 단부는 나사(117)의 헤드(117a)와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슬리브(111)의 길이방향 축(123a)에 대한 나사드라이버의 회전은 중개 도구(119)와 헤드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베이스 및 임플란트에 공통인 길이방향 축(123)을 중심으로 나사(117)의 회전으로 전달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나사(117)의 헤드(117a)는 둥글고 중개 도구(119)의 원위 단부(119G)에 의해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설계되어, 베이스(113)를 의도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시키기에 직경이 너무 작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나사(117)는 종래의 나사 헤드의 바닥 단부와 유사한 주변 확장부(117W)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확장부(117W)는 베이스 유닛(113)의 내향 축소부(inward narrowing)(113N)(회전 방지 육각형 부재(113h)의 근위 단부에 형성됨)에 기대도록 한다.
제2 유닛(111)이 제1 유닛에 영구적으로 연결되기 전에, 어버트먼트(100)를 사용하는 치과의사는 나사에 직접 접근하는 이점을 갖는다. 나사 헤드(117a)는 베이스(113)의 개구(113s)에 노출되고, 따라서 나사는 일치하는 나사드라이버로 쉽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슬리브(111)가 베이스(113)에 접착 및/또는 스티칭에 의해 부착되는 실시형태들에서, 치과용 크라운이 준비되고 제2 유닛에 구축될 수 있다.
치과 의사가 치과용 크라운이 제2 유닛에 이미 구축된 후에만 제2 유닛을 제1 유닛과 통합하는 것을 선택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슬리브의 개구(111s)를 통해, 그리고 중재 도구(119)의 도움으로 나사에 간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치과의사가 필요할 때마다 치과용 임플란트에 어버트먼트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어버트먼트 복합체(100)는 단일 나사 채널(113a)을 포함하며, 이는 제1 유닛(113)을 통해 연장되는 나사 보어(bore)이며, 의도된 임플란트와 동일한 길이방향 축(123)을 공유하고 도 1a에서의 점선(113a1)과 점선(113a2) 사이의 영역에 위치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유닛(113)과 통합되면, 제2 유닛(111)은 제1 유닛(113)에 대해 제2 유닛(111)의 각도 배향으로 인한 어버트먼트 복합체(100)로부터의 나사(117)의 제거를 방지한다. 상기 각도 배향으로 인해, 제2 유닛의 슬리브형 벽은 나사 채널을 가로질러 연장되며(축(123)에 의해 교차되는 벽 영역(130)에서, 도 1c 참조) 따라서 나사가 어버트먼트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치과 의사는 슬리브(111) 내에 은폐될 수 있는 중재 도구(119)를 통해 나사(117)를 조작할 수 있다.
기존의 일체형 각형 어버트먼트는, 치과용 보철물이 부착될 각진 부분을 통해 선형으로 연장되는 이들의 나사 채널을 가짐으로써 치과 의사가 나사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기존의 각형 어버트먼트에서, 이러한 각진 부분은 대각선으로 구비된 나사 구멍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거대하게 생성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제2 유닛(111)은 대각선으로 구비된 나사 구멍이 부족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기존의 일체형 각진 어버트먼트보다 더 얇은 벽 및 더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관형 중공 슬리브로 형성될 수 있다. 현재 개시된 요지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보철물 지지 부재의 보다 컴팩트한 구성은 치과의사에게 보철물을 설계하는데 더 많은 자유도(freedom)를 제공할 수 있고, 의도된 보철물을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기존의 어버트먼트에서 요구될 수 있는 광범위한 연마 작업을 제거할 수 있다.
이제 구체적으로 도 1a를 참조하면, 도 1의 치과용 복합체 실시형태(100)의 구성성분은 개별적으로 도시되지만, 그 사이에 각도(α)를 갖는 두개의 각진 이격된 축(123, 123a)을 중심으로 배향된다. 축(123)은 복합체가 생체 내에서 연결되도록 의도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축과 중첩된다. 축(123a)은 슬리브 유닛(111)의 길이방향 축이다. 제조된 실시형태들에서, 각도(α)는 시장 요구에 따라 0 내지 약 30도, 예를 들어 0도, 10도, 11도, 15도, 20도, 25도 등일 수 있다. 각도(α)에 관계없이 동일한 슬리브 유닛(111)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슬리브 유닛(111)의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베이스 유닛(113)만의 디자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지지 표면(113b)과 축(123) 사이의 각도는 지지 표면(113b)에 안착하도록 설계된 슬리브(111)의 접촉 표면(111b)이 축(123a)에 수직인 평면에 접하도록 윤곽이 형성되기 때문에, 축(123)에 대한 슬리브 유닛(111)의 경사를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축(123)에 대한 표면(113b)의 경사는 각도(α)로 표현되는 축(123a)에 대한 축(123)의 경사를 결정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111)와 도구(119)는 축(123a)과 정렬되어 있는 반면, 베이스 유닛(113)과 나사(117)는 조립된 복합체(100)에서 이들의 배향을 반영하여, 축(123)과 정렬되며, 그리고 도 1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나사(117)는 축(123)을 중심으로 각지게 이격된 복수의 톱니(예를 들어, 6개의 톱니)를 형성하도록 홈이 있고, 돔 헤드(117a)를 구성하는 돔 상단의 둥근 윤곽에 따라 둥글게 형성된 돔형 헤드(117a)를 갖는다. 톱니는 중개 도구(119)의 톱니형 윈위 단부(119G)와 맞물리도록 윤곽이 형성되고 치수가 정해진다.
베이스 유닛(113)은 베이스(113)와 슬리브(11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칼라(collar)(113k)를 포함한다. 위치 설정 및 슬리브 유닛이 일단 조립되면 베이스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111) 내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일치되게 칼라(113k)에서 원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칼라 내의 노치의 위치는 노치의 위치와 정렬되어, 슬리브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돌출부(111a)에 의해 암시될 수 있다.
도 1d는 현재 개시된 요지의 상기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변형에 따른 치과용 어버트먼트 복합체(15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베이스 유닛(113D)의 원위 부분, 나사(117), 및 중개 도구(119D)는 도 1의 실시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원위 부분(113), 나사 및 중개 도구와 동일하다(변형 실시형태(150)에서, 중개 도구(119D)는 실시형태(100)에서 119보다 길이에서 더 컴팩트하고, 이의 원위 단부에서의 더 큰 직경과 비교하여, 이의 근위 단부에서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나사산 부재(111t)의 에지(edge)는 중개 도구(119D)의 선형 배치를 슬리브의 중공 내로 추가로 제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의 실시형태와 도 1d의 이의 변형은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의 연결 방법에서 상이하다. 이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의 구조적 배열인 회전 방지 준비 구조에도 반영될 수 있으며, 이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에서 구조적 배열이고, 제2 유닛은 생체 내에서 어버트먼트에 응력을 유발하는 회전을 가할 때, 어버트먼트에서 건설되고 어버트먼트에 의해 지지되는 보철물을 통해, 제2 유닛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실시형태(100)에서, 회전 방지 준비 구조는 노치(113c) 및 상호 만입부(도 3b의 311i와 같음)와 같은 수형-암형 윤곽을 깨는 일치하는 회전 대칭 및/또는 도 1d의 실시형태(150)에서, 제1 및 제2 유닛이 통합되는 용접을 포함할 수 있고, 회전 방지 준비 구조는 베이스 유닛(113D)의 외향 표면(113u) 및 슬리브 유닛(111u)의 외향 표면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회전 방지 준비 구조는 또한 외향 표면(113u)으로부터 돌출되는 벌지(bulge)(113p)를 포함한다.
베이스 유닛(113D)의 외향 표면(113u)은 연장된 칼라로서, 표면(113q)으로부터 상승하는 벽의 외부 표면이다. 슬리브 유닛(lllu)의 외향 표면은 슬리브(111D) 벽의 외부 표면이다.
이제 도 1d 내지 도 1f를 참조하면, 도시된 변형에서 베이스 유닛(113D)과 슬리브 유닛(111D) 사이의 연결은, 결합하는 나사산 111t(슬리트(111D)의 원위 단부로부터 나오는 슬리브의 원통형 결합 부재에서의 외부 나사산) 및 연장된 베이스 유닛(113D)의 근위 단부(113s) 내부에 내부 나사산으로서 형성되는 113t를 짝을 이룸으로써 이루어진다. 슬리브 유닛(111D)에는 상기 나사산에 의해 제2 유닛을 제1 유닛과 조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두개의 유닛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나사드라이버와 일치하는 육각형 윤곽(111j)과 같은 특수 윤곽이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3D)과 슬리브 유닛(111D)이 함께 그리고 의도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조립되면, 표면(113u, 111u)은 치아 보철물의 구성을 위한 기반구조 지지체를 함께 구성할 수 있다. 보철물은 만족스럽게 단단한 접착에 의해 표면(113u, llu)에 부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철물에 가해지는 생체 내 힘 하에서 베이스 유닛에 대해 슬리브 유닛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돌출부(113P)(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른 실시형태들과 상이하게, 슬리브의 외부 표면보다 베이스 유닛(113D)의 벽으로부터 돌출됨)는 앵커로서 보철물 내로 돌출되도록 의도되고, 따라서 베이스 유닛(113D)과 슬리브 유닛(111D)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위험이 더욱 감소된다.
표면(113u, 111u)은 실시형태(100), 실시형태(100) 및 이의 변형(150)에서 슬리브(111)가 단독으로 제공하는 기반구조 지지체에 해당하는 치아 보철물의 구성을 위한 기반구조 지지체를 함께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비율이 다를 수 있다. 이는 동일한 크기의 어버트먼트의 경우, 베이스 유닛(113D)의 표면(113q) 위로부터 벽 표면(113u)의 높이의 함수로서, 슬리브(111D)가 슬리브(111)보다 짧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구속력이 없는 실시예로서, '슬리브 높이'(접촉 표면(111b)에서 개구(111s)까지) 대 '베이스 유닛 연장된 칼라 높이'(표면(113q)에서 지지 표면(113b)까지)의 비율은 약 3:2(즉, 1.5)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슬리브 유닛의 총 높이와 베이스 유닛의 총 높이 사이의 비율은 어버트먼트 어셈블리(100, 150)의 동일한 총 높이당 실시형태(100)와 이의 변형(150)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다.
합리적인 회전 방지 결과를 위해, 상기 비율은 0.3 - 3 사이에서 다양할 수 있다.
이제 도 2 및 2a를 참조하면, 현재 개시된 요지의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두개의 치과용 어버트먼트 복합체(200T, 200)가 각각 개시된다. 상기 두개의 치과용 어버트먼트 복합체는 도면에 반영된 바와 같이 윤곽과 비율이 서로 다르지만, 조립 개념은 동일하다. 주요 차이점은 슬리브 유닛(211T)이 이의 근위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잘린 유형이고(도 2의 우측 상단 참조), 베이스 유닛(213T)은 도 2a의 슬리브 유닛(211)과 비교하여 회전 방지 육각형(213h) 위에서 연장된 원뿔 윤곽 부분을 갖는다는 점이다. 나머지 설명에서, 211에 대한 참조는 211T에도 적용되고 213에 대한 참조는 213T에도 적용된다. 어버트먼트 복합체(200T)의 나사(218T)는 어버트먼트 복합체(200)의 나사(218)와 비율이 상이하다. 나머지 설명에서, 218에 대한 참조는 218T에도 적용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두가지 유형(200T 및 200)으로 표시되는 실시형태는 상호연결 유닛(220)('실린더 나사'라고도 함)에 의해 베이스 유닛(213)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슬리브(211)를 갖는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상호연결 유닛은 이의 반대쪽 단부에 나사산을 포함한다. 제1 외부 나사산(220R)은 상호연결 유닛(220)의 근위 단부에 있고, 슬리브 유닛(211) 내에 형성된 내부 나사산(211R)(도 2b의 단면도에 도시됨)과 예를 들어 이의 윈위 절반에서 짝을 이룬다. 제2 외부 나사산(220L)은 상호 연결 유닛(220)의 원위 단부에 있고, 베이스 유닛(213) 내에 형성된 내부 나사산(213L)(도 2b의 단면도에 도시됨)과 이의 근위 절반에서 짝을 이룬다.
현재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나사산(220R 및 220L) 중 하나, 예를 들어 220R은 오른쪽 나사이고 다른 나사(220L)는 왼쪽 나사이다. 두 종류의 나사산으로 인해, 슬리브(211)는 슬리브(211)의 상부 개구(211s)를 통해 상호연결 유닛(220)을 회전시킴으로써 베이스(213)에 조일 수 있다.
이제 구체적으로 도 2a를 참조하면, 치과용 복합체 실시형태(200)의 구성성분이 개별적으로 도시되지만, 그 사이에 각도(α)로 두개의 각지게 이격된 축(223, 223a)을 중심으로 배향된다. 축(223)은 복합체가 생체 내에서 연결되도록 의도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축과 중첩된다. 축(223a)은 슬리브 유닛(211)의 길이방향 축이다. 제조된 실시형태들에서, 각도(α)는 시장 요구에 따라, 0 내지 약 30도, 예를 들어 0도, 10도, 11도, 15도, 20도, 25도일 수 있다. 동일한 슬리브 유닛(211)은 각도(α)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슬리브 유닛(211)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고, 베이스 유닛(213)만의 디자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지지 표면(213b)과 축(223) 사이의 각도는 지지 표면(213b)에 안착되도록 설계된 접촉 표면을 구성하는 슬리브(211)의 원위 에지(211b)가 축(223a)에 수직인 평면에 접하도록 윤곽이 형성되기 때문에, 축(223)에 대한 슬리브 유닛(211)의 경사를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축(223)에 대한 지지 표면(213b)의 경사는 각도(α)로 표현되는 축(223)에 대한 축(223a)의 경사를 결정한다.
칼라(213k)를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213) 및 슬리브 유닛(211)의 디자인과 같은 슬리브는 슬리브 유닛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 확장부(211W)를 포함한다. 베이스와 슬리브 유닛이 함께 완전히 조립되면, 슬리브 확장부(211W)는 칼라(213k)를 덮는다. 노치(213c)는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일단 조립되면 베이스에 대해 슬리브 유닛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확장부(211W) 내부에 형성된 만입부와 일치하여, 칼라(213k)에서 원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칼라 내의 노치의 위치는 노치의 위치와 정렬되어, 슬리브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돌출부(211a)에 의해 암시될 수 있다.
상호연결 유닛(220)은 이의 근위 단부(220a)에 종래의 나사와 같은 육각형 만입부(도 2b에서 220s 참조)를 포함하거나, 일치하는 나사드라이버에 의한 이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다른 원하는 나사 헤드를 가질 수 있다. 슬리브(211)는 이의 근위 단부에 개구(211s)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상호연결 유닛(220)을 조작하기 위해 종래의 나사드라이버가 삽입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들(200T, 200)은 베이스 유닛(213)을 임플란트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따라서 임플란트 및 이의 주변을 오염 위험에 노출시키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슬리브(211)의 제거 및 교체를 허용한다. 이러한 특징은 치과 의사가 슬리브 유닛(211)의 부재시에, 베이스의 근위 단부에 있는 개구(213s)를 통해, 나사(218)의 헤드(218a)에 직접 접근하는 나사드라이버에 의해(나사산 나선(218b)을 임플란트로 전진시킴으로써) 베이스 유닛을 임플란트에 연결할 수 있다. 슬리브 유닛은 필요한 측정 및/또는 사진을 찍기 위해 상호연결 유닛(220)을 사용하여 베이스 유닛에 일시적으로 고정된 다음 제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내부 나사산(213L)과 짝을 이루는 외부 나사산을 갖는 치유 캡(healing cap)이 치유 기간 동안 베이스 유닛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슬리브 유닛(211)은 별도로 크라운 구축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일단 치유되면, 치과 의사는 베이스 유닛을 조작하지 않고, 슬리브 유닛에 의한 치유 캡을 이미 준비된 크라운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와 이의 주변을 오염 위험에 노출시키지 않는다.
크라운 및/또는 보철물의 복원(restoration)은 실시형태 200T 및 200을 사용하여 필요할 때마다 합리적인 선택이 되고, 이는 베이스 유닛(213)이 임프란트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어버트먼트와 치과용 임플란트 사이의 원추 기반 연결에 개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는 뼈 수준에서 조직 수준으로 복원 치료를 이행하여, 성공적인 복원 절차의 가능성을 크게 높인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현재 개시된 요지의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300)가 분해 측면도로 도시된다. 실시형태 200T 및 200에서와 같이, 슬리브 유닛(311T)은 베이스 유닛(313)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 200T 및 200에서 슬리브는 상호연결 유닛(220)의 근위 단부에서 외부 나사산(220R)과 짝을 이루는 내부 나사산(211R)을 가지며, 실시형태(300)에서 슬리브 유닛(311T)은 기존의 나사(320c)에 의해 상호연결 유닛(320a)('실린더 나사'라고도 함)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나사(320c)는 슬리브 유닛(311T)의 근위 개구(311s)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일치하는 나사드라이버에 의해 동일한 개구를 통해 조작될 수 있다. 나사의 통상적인 외부 나사산은 도 3a의 단면도로부터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호연결 유닛(320a) 내에 형성된 내부 나사산과 짝을 이룬다.
상호연결 유닛(320a)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나사(320c)는 위치(320b)(나사(320c)의 원위 단부의 주변 영역)에서 상호연결 유닛(320a)에 용접된다. 용접을 위해, 먼저 슬리브(311T)의 개구(311s)를 통해 나사(320c)가 삽입된다. 그런 다음, 상호연결 유닛(320a)은 슬리브(311T)의 반대쪽(원위) 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나사는 이의 원위 단부가 상호연결 유닛(320a)의 내부 나사산에서 나오기 시작할 때까지 상호연결 유닛의 내부 나사산으로 구동되어, 용접 위치(320b)에 도달한다. 그런 다음, 나사 및 상호연결 유닛은 나사의 원위 단부의 주변 영역(320b)에서 용접된다. 일단 용접되면, 나사(320c) 및 상호연결 유닛(320a)을 포함하는 어셈블리는 슬리브 유닛 내부에 형성되고 나사 헤드(320h)와 상호연결 유닛(320a) 모두의 측면 폭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내측 주변 림(inward peripheral rim)(311r)으로 인해 슬리브 유닛(311T)에 갇히게 된다(그러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음).
슬리브(311T) 내부에는 상호연결 유닛(320a)(나사에 용접되고, 따라서 나사와 함께 회전함)의 외부 나사산을 베이스 유닛의 근위 절반 내부로 나사산(313L)과 짝을 이루는 것으로 구동하기 위한 나사드라이버에 의해 회전될 때 나사(320c)를 지지하기 위한 링형 숄더(shoulder)("언더컷 단차"라고도 함)(311r)가 있다. 나사를 조이면, 슬리브 유닛(311T)은 베이스 유닛(313)에 조여진다. 그런 다음 반대 방향으로 나사를 구동함으로써, 원할 때마다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형태와 같이, 베이스는 노치(313c)를 갖는 칼라(313k)를 가질 수 있고, 슬리브(311T)는 내부 일치 노치(311i)를 갖는 확장부(311W)를 가질 수 있으며, 확장부(311W)는 칼라(313k)를 감싸도록 적용된다. 칼라(313k)가 상승하는 지지 표면(313b)은 길이방향 축(323)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슬리브(311T)의 축(323a)과 베이스(313)의 축 사이에 각도(α)가 생성된다.
이제 도 4 내지 도 4h를 참조하면, 밀링된 바(401)를 복수의 치과용 임플란트, 예를 들어 임플란트 1 및 임플란트 2를 유지하기 위한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밀링된 바는 스캔 어버트먼트(scan abutment)에 의해 생체 내에서 베이스 유닛을 스캔한 후, 예를 들어 치과 기공소에서 CadCam 밀링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두개 이상의 고정 구멍, 예를 들어 4개의 구멍은 일반적으로 밀링된다. 그런 다음 바는 바 구멍을 사용하여 허용된 연결 복합체에 손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허용된 연결 복합체는 볼 마찰 조인트(ball friction joint)와 함께 나사 고정 및/또는 클릭 기술을 사용하고, 이는 바 구멍 위치에서 임의의 부정확성을 보상하면서 바의 연결 및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밀링된 바(401)는 복수의 위치에서 401n 및 401m과 같은 관통 구멍을 갖는다. 각각의 구멍 내부에는 내부 림(401a)이 있다. 나사산 캡(431)은 바의 근위 단부로부터 각각의 구멍에 삽입된다. 캡 나사산은 내부 나사산(43It)이며, 분할 너트(434)(두개 이상의 측면 관통 컷(434c)에 의해 분할됨)에 형성된 외부 나사산과 결합되어, 바의 원위 단부로부터 삽입된다. 각각의 분할 너트(434)는 허용된 연결 유닛(432)의 볼 헤드(432a)를 포획하도록 윤곽이 형성되고 치수가 정해지는 내부 주변 만입부(434r)를 갖는다. 허용된 연결 유닛은 허용된 연결 유닛의 근위 단부에 상기 볼 헤드를 포함하고, 허용된 연결 유닛의 원위 단부에서 분할 볼 헤드(432b)(측면 관통 절단부(432c)에 의해 분할됨), 및 볼 헤드(432a)와 분할 볼 헤드(432b) 사이를 연결되는 좁아지는 본체 부재(432n)를 추가로 포함한다. 허용된 연결 유닛(432)은 볼 헤드, 좁아지는 본체 부재 및 분할 볼 헤드를 통해 연장되는 나사 채널을 더 포함하고, 내부 나사산은 상기 나사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된다. 나사 채널 및 나사(433)는 나사가 완전히 나사 고정될 때, 분할 볼 헤드가 내부로부터 나사에 의해 완전히 가압되어 완전히 확장되도록 나사 채널 내부의 나사(433)의 선형 위치에 따라 분할 볼 헤드(432b)가 측면으로 확장되는 양으로 확장되도록 상호적으로 치수가 정해지고 윤곽이 형성된다. 나사로부터 응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나사가 풀림) 분할 볼 헤드(432b)는 이것이 만들어지는 금속의 스프링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응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수축된 위치로 되돌아간다.
나사(433)는 나사산 캡(431)의 근위 단부에 형성된 개구(431s)를 통해, 허용된 연결 유닛의 나사 채널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동일한 개구(431s)를 통해, 나사는 일치하는 나사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나사산 캡의 회전은 다각형 윤곽(431h), 예를 들어 종래의 육각형 나사드라이버와 일치하는 육각형 개구를 갖는 개구(431s)를 가짐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개구(431s)는 제2 나사드라이버와 일치하는 육각형 윤곽(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윤곽)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나사선 캡 자체가 회전되어 분할 너트(434)로 이를 고정할 수 있다. 나사산 캡의 내부 나사 및 분할 너트(434)의 외부 나사산은 나사산 캡과 분할 너트가 완전히 나사 고정될 때 수축량이 최대에 도달하면서 이의 분할 너트를 안쪽으로 강제함으로써 분할 너트를 수축시키기 위해 윤곽이 형성되고 치수가 정해진다. 나사로부터 응력이 없을 때(나사가 풀림) 분할 볼 헤드(432b)는 이것이 만들어지는 금속의 스프링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응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수축되는 위치로 되돌아간다.
나사산 캡(431)으로부터 응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나사산 캡이 풀림), 분할 너트(434)는 그것이 만들어지는 금속의 스프링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응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확장된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에 대해 나사산 캡(431)을 닫았을 때 분할 너트(434)의 수축량은 내부 주변 만입부(434r)을 좁아지게 하기 위해 적용되어, 나사산 캡이 분할 너트(434)에 완전히 나사 고정되면, 주변 만입부의 벽 부분이 볼 헤드(432a)에서 강제로 가압되고, 볼 헤드(432a)가 상기 강제 가압으로 야기되는 마찰에 의해 리세스 내에서 견고하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허용된 연결 부재의 본체에서, 좁아지는 부분(432n)은 나사산 캡(431)이 분할 너트(434)에 완전히 고정되면 허용된 연결 부재(432)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배향으로 미리 결정된 자유도를 허용한다. 도 4a에서 선택된 미리 결정된 평면에서 원뿔 베이스(440p)를 갖는 가상 원뿔(VC)에 의해 예시된다. 가상 원뿔은 허용된 연결 부재가 이러한 경사가 허용되는 임의의 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대해 이의 최대 허용 경사를 취할 때 미리 결정된 평면을 통과하는 허용된 연결 유닛(432)의 길이방향 축(440a)에 의해 기술된다. 경사의 정도는 중앙에 있을 때 길이방향 축(440a)과, 유닛(432)이 허용된 방향으로 기울어졌을 때의 축(440e)(축(440a)에 대한 다른 기울어짐) 사이의 각도(β)로 표시된다. 개시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각도(β)는 5도일 수 있고, 5 - 10퍼센트 사이의 정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제 현재 개시된 요지에 따른 베이스 유닛에 대한 허용된 연결 유닛(432)의 테더링을 참조하면, 두개의 상이한 베이스 유닛이 도 4에 도시된다. 밀링된 바(401)의 구멍(401n)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생체 내 임플란트 1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이의 표면(413b)을 갖는다. 제2 베이스 유닛(413y)은 밀링된 바(401)에서 구멍(401m)과의 정렬로부터, 임플란트 2의 길이방향 축의 특정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생체 내 임플란트 2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90도 이외의 각도로 기울어진 이의 표면(413b)을 갖는다.
두개의 베이스 유닛(413x, 413y)은 각각 나사(418)에 의해 임플란트에 연결될 수 있다. 특수 제2 유닛('멀티-베이스 어댑터'라고도 함)인 제2 유닛(411m)은 그런 다음 예를 들어, 베이스 유닛의 내부 나사산과 결합하는 외부 나사산을 갖는 통합 상호연결 유닛(411t))에 의해 각각의 베이스 유닛의 근위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이전 설명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치유 기간 후, 치유 캡의 대체로)
각각의 특수 제2 유닛(411m)은 4개의 립(lip), 허용된 연결 유닛(432)의 분할 볼 헤드(432b)를 포착하기 위해 윤곽이 형성되고 치수가 정해지는 주변 만입부(411r)를 이의 근위 부분 내부에 가지며, 이는 각각의 분할 너트(434)의 원위 단부로부터 나와 이의 근위 개구(411s)를 통해 특수 제2 유닛(411)으로 들어간다. 분할 볼 헤드(432b)는 나사(433)가 수축된 선형 위치에 있을 때, 즉 나사(43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되고, 분할 볼이 수축된 상태, 또는 적어도 준 수축 상태에 있을 때, 각각의 특수 제2 유닛(411m)의 근위 개구(411b)로 쉽게 밀릴 수 있다.
분할 볼이 특수 제2 유닛(411m)의 근위 부분에 있는 내부 주변 리세스 내에 수용되고, 각각의 나사산 캡(431)이 해제되면, 이의 배향은 이의 가상 원추(VC)의 경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유지될 밀링된 바(401)의 모든 복수의 구멍이 이의 각각의 허용된 연결 부재(432)가 제자리에 아직 고정된 상태로 준비되면, 치과 의사는 복수의 허용된 연결 부재(432)에 의해 제공된 허용 오차(tolerance) 내에서 밀링된 바(401)의 가장 바람직한 위치에서 결정할 수 있고, 그런 다음 허용된 최대치까지 각각의 분할 볼 헤드(432b)를 확장하여 각각의 나사(433)를 고정하고, 따라서 분할 볼 헤드(432b)와 내부 주변 만입부(411r) 사이에 고정 압력을 생성시키며, 이에 의해 각각의 허용된 연결 부재(432)를 이의 현재 방향으로 잠그고, 특수 제2 유닛(411m)에 고정되게 하여 각각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적으로 테더링한다.
그런 다음 밀링된 바(401)는 나사산 캡(431) 각각을 이의 분할 너트(434)에 완전히 고정함으로써 허용된 연결 부재(432)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각각의 분할 너트(434) 내에서 각각의 볼 헤드(432a)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밀링된 바는 복수의 임플란트에 고정적으로 테터링되고, 내부 림(401a)은 각각의 나사산 캡의 원위 에지와 각각의 분할 너트의 숄더(434a) 사이에 각각 포획된다.
그런 다음 밀링된 바는 나사산 캡(431)을 제거함으로써 필요할 때마다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고, 단순히 볼 헤드(432a)에 이를 다시 놓고 나사산 캡을 다시 고정함으로써 원할 때 정확히 이의 원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제 도 5 및 5a를 참조하면, 특수 제2 유닛(411m)의 중재 없이 허용된 연결 부재(432)를 임플란트에 직접 테더링하기 위한 특수 제1 유닛('짧은 어댑터'라고도 함)(513m)이 개시된다. 특수 제1 유닛은 특수 제2 유닛(411m)의 주변 오목부(411r)에 해당하는 이의 근위 부분에서 주변 오목부(513r)와, 유닛(513m)을 의도된 임플란트에 직접 연결하기 위한 일체형 나사(519)를 포함한다. 유닛은 바(401)와 임플란트 사이의 간격이 413x 및 413y와 같은 베이스 유닛의 사용을 특수 제2 유닛(411m)와 함께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제 도 6 및 6a를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제1 유닛('멀티 유닛 어댑터'라고도 함)(613m)을 포함하는 실시형태가 개시된다. 하이브리드 제1 유닛(613m)은 도 5의 실시형태의 특수 제1 유닛과 같이 의도된 임플란트에 직접 연결하기 위한 일체형 나사(619m)를 갖지만, 분할 볼 헤드(432b)를 고정하기 위한 주변 리세스(611m)가 도 4의 실시형태의 특수 제2 유닛(411m)에 해당하는 특수 제2 유닛(611m)의 근위 단부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다르다. 특수 제2 유닛(611m)은 분할 볼 헤드를 수용하기 위해, 이의 근위 단부에 있는 개구(611s), 및 하이브리드 제1 유닛(613m)의 근위 단위에 위치되는 내부 나사산(613t)와 결합하는 이의 근위 단부 방향으로 향하는 외부 나사산(611t)을 포함한다.
하기 청구범위에서 모든 수단 또는 단계와 기능 요소의 해당하는 구조, 물질, 작용 및 등가물은 구체적으로 청구된 다른 청구된 요소와 조합하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구조, 물질 또는 작용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지만, 개시된 형태로 본 발명을 완전하게 하거나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많은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제적인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고, 당업자가 고려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수정을 갖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해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되고 설명되었다.

Claims (24)

  1. 제1 및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두개의 유닛에 대해 회전 가능한 임의의 허용 가능한 연결 요소에 의해 청구되지 않은 생체 내 치과용 임플란트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부 윤곽과 일치하도록 윤곽이 형성된 원위 단부, 및 상기 제2 유닛의 원위 단부 윤곽과 일치하도록 윤곽이 형성된 근위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단부는 상기 제2 유닛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접촉 표면과 접촉하도록 적용된 지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의 길이방향 축은 상기 제2 유닛의 원위 단부에 접하는 평면에 수직이고, 상기 제2 유닛의 길이방향 축은 상기 제1 유닛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를 형성하여 상기 제1과 제2 유닛이 함께 연결되고 관심 치과용 임플란트에 연결될 때, 상기 제2 유닛의 길이방향 축과 관심 치과용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축 사이의 각도는 미리 결정된 각도와 동일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은 이외의 연결 요소에 의해 함께 연결 가능하고 상기 연결 요소에 부착되지 않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치과의사가 상기 제1 유닛에 대한 상기 제2 유닛의 생체 내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상호 회전 방지 준비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회전 방지 준비 구조물은 일치하는 회전 대칭 파괴 수형-암형 윤곽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회전 대칭 파괴 수형 윤곽은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중 하나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회전 대칭 파괴 수형 윤곽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대칭 파괴 암형 윤곽은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회전 방지 준비 구조물은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제1 유닛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유닛의 근위 단부를 방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2 유닛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밖으로 향하는 외향 벽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외향 벽 표면을 보이게 윤곽이 형성되고 치수가 정해지며, 이에 의해 치과용 보철물이 상기 제2 유닛의 외향 벽 표면을 갖는 이의 제1 부분 및 외향 벽 표면를 갖는 이의 제2 부분에서 통합되게 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제1 유닛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가 11도 내지 30도 사이가 되는 정도만큼 기울어진 평면에 있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의 외부 벽은 상기 제1 유닛의 길이방향 축과 교차하지 않고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나사 채널과 관련된 관통 구멍이 없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용접, 납땜, 스티칭 또는 접착에 의해 상기 제1 유닛에 영구적으로 연결 가능한 치과용 어버트먼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근위 단부에 있는 개구 사이와 상기 연결 요소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 중공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연결 요소의 조작함으로써 상기 치과용 어버트먼트와 치과용 임플라트 사이를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연결 요소의 근위 단부에 대한 접근을 치과 의사에게 제공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는 나사인 치과용 어버트먼트.
  10. 제9항에 있어서, 중공 내에 은폐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나사의 나사산 헤드 부분에 맞물리도록 적용된 원위 단부, 및 일치하는 나사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도록 적용된 근위 단부를 갖는 중개 도구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결합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제1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는 나사산은 상기 제2 유닛의 원위 단부에 상호 연결 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에 형성된 결합하는 제1 나사산에 의해 맞물리는 제2 유닛의 나사산; 및 상기 상호 연결 유닛을 상기 제1 유닛의 근위 단부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상호 연결 유닛에 형성된 결합하는 제2 나사산에 의해 맞물리는 제1 유닛의 나사산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상호 연결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치과용 어버트먼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은 하나는 왼손 잡이용 나사산, 다른 하나는 오른손 잡이용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는 나사산은 연결 유닛의 원위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닛의 근위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결합하는 제1 나사산; 상기 상호 연결 유닛의 근위 단부에 형성되고 상호 연결 나사의 원위 단부에서 나사산과 결합하는 제2 나사산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유닛은 상호 연결 유닛 및 상호 연결 나사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제1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치과용 어버트먼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중공을 둘러싸는 외부 벽을 가지고, 상기 중공은 근위 단부에 개방되며, 상기 외부 벽에 형성된 주변 만입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만입부는 상기 제2 유닛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얻어진 단면에서 곡선형 윤곽을 갖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상기 제2 유닛의 근위 단부에서 상기 제2 유닛에 연결 가능한 허용된 연결 복합체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된 연결 복합체는 연결 복합체로부터 상기 제2 유닛의 중공으로 나오는 분할 볼 조인트에 의해 상기 제2 유닛을 중심으로 원하는 배향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벽과의 압력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주변 만입부로 팽창되도록 적용되며, 상기 접촉 압력에서의 압력의 양은 나사의 나선형이 상기 허용된 연결 복합체 내에서 앞으로 이동함에 따라 성장하는 퍼짐 정도로 주변 벽을 향해 주변으로 분할 볼 부분을 밀도록 구성되는 압력 조절 나사에 의해 가변적인 치과용 어버트먼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된 연결 복합체는 상기 허용된 연결 복합체의 근위 단부에서, 상기 분할 볼 조인트보다 가까운 부분에 볼 조인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된 연결 복합체는 관형 분할 부재의 분할 부분에서 나사형 조임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여, 볼형 부재 방향으로 볼 조인트의 볼형 부재에 고정력을 가하도록 윤곽이 형성되고 치수가 정해지는 관형 분할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분할 부재와 나사산 조임 요소는 밀링된 바 시스템을 사이에서 유지하도록 윤곽이 형성되고 치수가 정해되며, 상기 허용된 연결 복합체를 통해 각각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적으로 테더링되고, 상기 조임 요소만이 각각의 허용된 연결 복합체 밖으로 밀링된 바를 유지하는 방식은 상기 조임 요소에 의해서만 차단되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1 유닛을 포함하고 특수 제1 유닛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세트로서, 상기 특수 제1 유닛은 상기 특수 제1 유닛의 원위 단부에서 그리고 치과용 임플란트로 나사 고정되도록 적용된 제1 나사산을 구성하는 나사산 및 중공을 둘러싸는 외부 벽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은 상기 특수 제1 유닛의 근위 단부에 개방되고 허용된 연결 복합체의 분할 볼을 유지하도록 적용되는 주변 만입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세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제1 유닛에 포함된 주변 만입부는 상기 특수 제1 유닛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얻어진 단면에서 곡선 윤곽을 갖는 치과용 세트.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만입부를 갖는 외부 벽은 상기 제1 나사산보다 상기 특수 제1 유닛의 근위 단위로 더 가깝게 위치된 제3 나사산과 결합하는 이의 원위 단부에 제2 나사산을 갖는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유닛에 있는 치과용 세트.
KR1020227040305A 2020-04-22 2021-04-22 임플란트 커넥터용 어버트먼트 KR202300028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13564P 2020-04-22 2020-04-22
US63/013,564 2020-04-22
US202063039003P 2020-06-15 2020-06-15
US63/039,003 2020-06-15
PCT/IL2021/050465 WO2021214777A1 (en) 2020-04-22 2021-04-22 Abutment for implant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849A true KR20230002849A (ko) 2023-01-05

Family

ID=7827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305A KR20230002849A (ko) 2020-04-22 2021-04-22 임플란트 커넥터용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48479A1 (ko)
EP (1) EP4138723A4 (ko)
KR (1) KR20230002849A (ko)
CA (1) CA3180844A1 (ko)
IL (1) IL297488A (ko)
WO (1) WO2021214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7929A (ja) * 2019-06-25 2022-08-31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ヴィシィズ アーゲー 歯科用コンポーネント及び歯科用コンポーネントを整列させる方法
US20230414329A1 (en) * 2022-06-23 2023-12-28 Igor Roshkovan Dental implant attachment system in screw-retained configuration for implant-supported and implant-retained removable dentures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4063B2 (en) * 2004-07-29 2007-05-08 Yechiel Cohen Implant system particularly useful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o bone
GB0807118D0 (en) * 2008-04-18 2008-05-21 Neoss Ltd Spacer element
US8142193B2 (en) * 2009-06-25 2012-03-27 Bar Shalom Eliezer Compound angular joint for connecting an abutment to a dental implant in a predefined angle
RU2555384C2 (ru) * 2010-02-18 2015-07-10 Альфа Био Тек Лтд. Модульное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наклонных зуб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EP2624781B1 (de) * 2010-10-07 2015-04-22 Bredent Gmbh & Co. Kg Abutment und zahnprothetische anordnung mit einem solchen abutment
US9931181B2 (en) * 2014-07-22 2018-04-03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HU231077B1 (hu) * 2015-04-21 2020-06-29 Elsner Global Llc Szerelvény fogműnek egy fogászati implantátumhoz való rögzítésére
DE102016008669B4 (de) * 2016-07-20 2018-10-11 Bruno Spindler Suprastrukturträger mit besonderer Implantatpfostengeometrie
EP3437586A1 (de) * 2017-08-01 2019-02-06 Medentika GmbH Abutment zum halten eines zahnersatzes an einem kieferimplanta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ahnersatzes
DE102019203222A1 (de) * 2018-05-07 2019-11-07 Epiphanostics GmbH Implantataufbau für ein enossales Zahnimplantat
KR101966407B1 (ko) * 2018-11-21 2019-04-05 주식회사 하이니스 어버트먼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8723A1 (en) 2023-03-01
WO2021214777A1 (en) 2021-10-28
EP4138723A4 (en) 2024-05-08
US20230248479A1 (en) 2023-08-10
CA3180844A1 (en) 2021-10-28
IL297488A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3719B1 (en) Threaded clamping plug for interconnecting two implants of a spinal osteosynthesis instrumentation or other implants
US6478795B1 (en) Torque limiting clamping plug for osteosynthesis instrumentation
US4995810A (en) Tool for a prosthetic part
US6786725B2 (en) Dental implant and tool and method for effecting a dental restoration using the same
KR101360813B1 (ko) 바아 구조체 형성용 장치 및 이 장치용 고정 나사
KR20230002849A (ko) 임플란트 커넥터용 어버트먼트
US5302126A (en) Dental implant with adjustable post
US7686833B1 (en) Ball jointed pedicle screw and rod system
US5829977A (en) Two-piece dental abutment
US6500003B2 (en) Dental implant abutment
EP1267744B1 (en) A spacer element for an implant
US20040133207A1 (en) Distraction screw for skeletal surgery and method of use
JPH0334732B2 (ko)
US20030167058A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longitudinal member to a bone portion
JPH0628667B2 (ja) 外部固定具
JPH062136B2 (ja) 骨に着床する個々の移植歯及びそのような移植歯に用いる締付け工具
AU3652400A (en) Device for the articulated connection of two bodies
US4661066A (en) Movable plate implant
JP2000512883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歯科用インプラントをともなう装置
US20010007072A1 (en) Self-cutting, hollow-cylindrical bone anchoring assembly
DE19959366A1 (de) Implantataufbau für ein enossales Zahnimplantat
CN112043365A (zh) 一种防爆丝的内悬挂式椎弓根钉
CN212661904U (zh) 一种侧置棒的低切迹刚性固定式椎弓根钉
CN210749448U (zh) 一种侧置棒的低切迹动态固定式椎弓根钉
US20230088844A1 (en) Adjustable Locking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