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608A -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를 위한 안전 기기용 다단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를 위한 안전 기기용 다단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608A
KR20230002608A KR1020227039200A KR20227039200A KR20230002608A KR 20230002608 A KR20230002608 A KR 20230002608A KR 1020227039200 A KR1020227039200 A KR 1020227039200A KR 20227039200 A KR20227039200 A KR 20227039200A KR 20230002608 A KR20230002608 A KR 20230002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lant
machine
industria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쥬세페 피자토
Original Assignee
피자토 일렉트리카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자토 일렉트리카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피자토 일렉트리카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3000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1Plc I-O input output
    • G05B2219/1195Critical I-O monitored by safety module connected to plc, other I-Os by plc sel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06Safety, monitoring in gener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1Pc I-O input output
    • G05B2219/21144Link between input and output, output only activated if corresponding input 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08Safety integrity level, safety integrated systems SIL SI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189Redundant processors monitor same point, common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428Field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50Machine tool, machine tool null till machine tool work handling
    • G05B2219/50193Safety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를 위한 안전 기기용 검출 장치는 판독 헤드와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판독 헤드는 상기 판독 헤드로부터 사전 결정된 최소 거리에서 하나의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의 위치결정에 따라, 상기 식별 코드가 제공된 존재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안전 기기의 상기 수신 장치와 관련되도록 채택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헤드에 통합되고, 상기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부품에 대한 각각의 명령이나 신호송출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웃풋 신호를 발생하도록 채택되며, 여기서 상기 처리 회로는 하나 이상의 상기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에 대해 차별화된 상기 기능의 개별 조합의 실행을 위하여 상기 아웃풋 신호의 특정된 조합을 상기 식별 신호의 각각에 관련시키도록 채택된다.

Description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를 위한 안전 기기용 다단 검출 장치
본 발명은 산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기 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발명의 목적으로서,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를 제어하도록 설계된 안전 기기용 다단(multilevel) 검출 장치, 특히, 안전 경계로의 접근과 같은, 상기 안전 기기의 이동 부품용 다단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검출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고, 기계 또는 산업용 플랜트를 제어하도록 설계된 안전 기기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산업용 기계 및 플랜트에는 통상적으로 담당 제어 시스템에 의해 특정 신호의 수신에 따라(following) 하나 이상의 기능에 개입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부가 제공된다.
순전히 예로서, 신호의 검출은, 즉시 또는 시한적(timed manner)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부품의 정지나 시동,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부품의 작동 수정, 경고 신호나 알람의 생성, 시각적이거나 조명적이거나 청각적 타입과 같은 효과와 관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 시스템이 표준 타입 기능의 관리에 위임되었는지 또는 소위 페일-세이프 기능이나 안전 기능, 즉 잠재적으로 위험을 야기시킬 수 있는 조건과 관련된 경우에 위임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 시스템은 2개의 타입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들 제어 시스템의 전형적인 예는 안전 장치이며, 상기 안전 장치는 안전 패널 및 경계부와 관련되고, 제어된 접근부의 개구에서 기계를 정지시키도록 설계된 특히 안전 스위치와 같은, 작업 구역 내에서의 접근붐 제어에 사용된다.
다른 타입의 기기는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부품의 특정 이동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안전 센서로 구성되고, 이들 센서가 페일-세이프 타입인 경우에, 하나의 비정상이라도 검출될 때 상기 기계의 정지를 반드시 판단해야 한다.
가장 진보된 타입의 이들 안전 장치가 스위치이거나 센서인 경우와 무관하게, 기계나 플랜트의 이동가능한 부품이나 접근부 도어와 같은, 이동가능한 부재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쉬운 판독 헤드를 통상적으로 구비하여, 이러한 부품의 존재를 식별하고, 안전 조건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가장 통상적인 시스템은 RFID-타입 시스템이고, 이러한 시스템에서, RFID 신호는 이동가능한 부품과 관련된 응답기에 의해 전송되고, 또한 판독 헤드와 연결된 평가 유닛에 의해 판독되도록 채택된 고유 코드와 관련된다.
이러한 특징은, 판독 헤드와 통신하는 응답기가 상기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는데 적당한 검출 기능을 실행하는 목적을 구비하여, 미인가자가 개입할 수 있는 경우을 피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평가 유닛은 신호 및 관련된 단일의 식별 코드를 사용할 수 있어, 어느 응답기가 주어진 판독 헤드 근방에 있는지를 규정하고, 어느 액션이 상기 응답기 및 관련 이동가능한 부품에 인가되는지를 규정하여, 예측되는 효과를 만든다.
이들 판독 및 인식 시스템은 또한, 조작자가 소유한, 토큰(token)이나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이송가능한 타입의 액추에이터와 관련된 응답기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인가된 조작자는, 응답기가 장착된 토큰이나 여러 장치에 접근함으로써, 식별 신호를 평가 유닛에 송출할 수 있고, 상기 평가 유닛이 상기 식별 코드를 승인한 경우에만, 그 특정 코드에 대해 제공된 액션을 진행할 것이다.
문헌 US 9423784는 자동화된 시스템의 안전 설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자동화된 시스템에는 표준 타입과 페일-세이프 타입 모두의 시스템의 상이한 조건을 판별하는데 적당한 복수의 센서가 제공되어, 검출된 신호 타입에 기초한 상이한 액션을 생성한다.
특히, 상기 시스템에는, 안전하지 않은 조건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판독 헤드를 구비한 센서와, 안전 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사용되는 센서가 모두가 제공된다.
더욱이, 페일-세이프 기능에 사용되는 센서는 또한 조작자에 의해 작동되는 토큰과 통신할 수 있어, 상기 조작자가 시스템의 안전 경계부에 진입하는데 인가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긍정적인 경우에 접근을 승인하여, 결과적으로 기계의 정지를 야기시킨다.
센서는, 상기 센서의 타입을 식별하고 결과적으로 수신된 인풋에 기초하여 시스템에 신호를 송출하도록 채택된 동일한 제어 유닛과 연결된다.
그러나, 알려진 해결책의 한계는, 판독 헤드가 단 하나의 식별 코드나 심지어 더 많은 식별 코드를 인식할 수 있지만, 항상 동일한 액션을 생성하여, 최종 아웃풋이 항상 동일하다는 사실에 있다.
이와 반대로,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를 프로그램하여, 인풋 신호의 코드에 따라 상이한 액션을 발생시킬 수 없다.
현 기술 상태로서, 작업 구역으로의 접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또한 알려져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작업 구역으로의 진입 승인은 조작자에게 제공된 태그 상의 복수의 코드의 기능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조작자의 기술 정도와 작업 구역으로 접근하기 위한 승인을 정하여, 기술 레벨에 따른 특정 액션이 가능하게 하거나 가능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시스템은, 전적으로 조작자 관리를 목표로 하고 아웃풋의 특화된 관리(customizable management)를 허용하지 않는 것 외에도, 검출된 코드에 따라 아웃풋의 수정 가능성을 제공하지 않지만, 그러나 검출된 코드에 따라 특정 기능을 간단히 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시키지 않는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예를 들면, 문헌 US 2009/072631는 태그, 태그 판독기 및 분석 PLC를 포함한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자 안전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태그에 포함된 정보는, 태그 판독기에 의하여, 즉 접근부에 배치된 센서에 의하여 결코 평가되지 않고, 이에 따라 검출된 태크에 따라 그 작동을 변경하지 않지만, 상이한 작동을 실행하는 PLC에 전송된다. 대신, 데이터를 평가하고 이에 따라 어떻게 작동하는 지를 결정하는 것은 항상 PLC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을 극복하여, 고 효율 및 상대적으로 비용 효율적인 특징을 갖는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를 제어하도록 설계된 안전 기기용 검출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
본 발명의 특별한 목적은, 인풋 신호에 따라 작동이 채택되는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기기용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이한 인풋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상이한 아웃풋을 각각 관련시킬 수 있는,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기기용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프로그램할 수 있는 타입의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기기용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 뿐만 아니라 다른 목적은, 아래에서 더욱 명확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따른 검출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검출 장치는 안전 기기와 관련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전 기기는 시스템이나 이 안전 경계부의 고정된 부분과 관련되도록 채택된 수신 장치와, 그 자신의 식별 코드가 제공된 각각의 존재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출하도록 각각 채택된 복수의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장치는 판독 헤드와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판독 헤드는 상기 판독 헤드로부터 사전 결정된 최소 거리에서 하나의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의 위치결정에 따라, 상기 식별 코드가 제공된 존재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안전 기기의 상기 수신 장치와 관련되도록 채택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헤드에 통합되고, 상기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부품에 대한 각각의 명령이나 신호송출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웃풋 신호를 발생하도록 채택되며, 상기 처리 회로는 하나 이상의 상기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에 대해 차별화된 상기 기능의 개별 조합의 실행을 위하여 상기 아웃풋 신호의 특정된 조합을 상기 식별 신호의 각각에 관련시키도록 채택된다.
이러한 특징의 조합 때문에, 예를 들면, 스위치나 센서에 통합된, 플랜트의 특정 부분에 배치된 동일한 검출 장치가, 검출된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이한 신호를 송출하도록 채택될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검출된 코드에 따라 상이한 응답을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예를 들면, 상이한 작동을, 기계나 플랜트의 이동가능한 부품의 상이한 위치와 관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전형적인 예는, 반대 위치에 있는 2개의 RFID 태그가 슬라이딩 도어와 같은, 플랜트의 이동가능한 부품과 관련될 수 있음에 따라, 하나 또는 다른 태그의 검출이 이동가능한 부품의 상이한 상태와 관련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안전 기기의 상이한 작동 모드와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따라 행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장치를 통합하는 여러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시스템의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보다 명확할 것이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적용되고 안전 경계부가 장착된 산업용 플랜트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로봇 아암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로봇 아암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각각의 위치와 관련된 명령을 도시한 관련 표로 나타낸 본 장치의 개략적인 작동 시퀀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기기용 다단 검출 장치는, 특히,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에 사용되는 안전 설비나 또는 이의 부품과 관련되도록 설계된다.
예로서, 검출 장치가 장착된 안전 기기는 플랜트의 이동가능한 부품과 관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질적으로 위험하거나 또는 안전 경계부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패널, 안전 배리어 또는 여러 시스템과 관련될 수 있어,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 방법에 따라, 상기 경계부 내에서 안전 접근을 항상 가능하게 한다.
다른 적용예로서, 하나 이상의 검출 장치가, 아래에서 더욱 명확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정된 부분에 배치된 센서 및 위험한 이동가능한 부품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도록, 이동가능한 부품이 제공된 기계에 적용된다.
가장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안전 기기는, 플랜트의 고정된 부분이나 상기 플랜트의 안전 경계부와 관련되도록 채택된 수신 장치와, 기계나 플랜트 또는 가능하다면 보호 배리어의 이동가능한 부품에 적용되도록 채택되는 복수의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이들 이동가능한 부품은 그 자신의 식별 코드가 제공된 각각의 존재 신호를 송출하도록 수신 장치와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채택되고, 이에 이러한 상호작용은 기계나 플랜트 또는 제어 회로(예로서, 파워 회로 및/또는 서비스 회로)의 대응 부품을 제어하는데 적당한 특정 아웃풋 신호의 송출을 만든다.
이어서, 인식 장치는 판독 헤드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판독 헤드는 상기 판독 헤드로부터 사전결정된 최소 거리에서 상기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의 위치결정에 따라, 수신 장치와 매번 상호작용하는 액추에이터 중 하나의 액추에이터로부터의 식별 코드가 제공된 존재 신호를 수신하도록 안전 기기의 수신 장치와 관련되도록 채택된다.
판독 헤드에는 그 내부에 통합된 처리 회로가 제공되고, 상기 판독 헤드는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부품에 대한 각각의 명령이나 신호송출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웃풋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채택된다.
특히,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에 따라, 처리 회로는 그 내부에 저장된 아웃풋 신호의 맞춤형 조합을 각각의 식별 신호와 관련시키도록 채택된다.
이런 방식으로, 각각의 액추에이터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에 대해 차별화된 기능의 조합의 실행을 위하여,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부품 및/또는 관련 제어, 파워 및/또는 서비스 회로에 대해 기동될, 기능의 특정 조합과, 가능하게는 심지어 하나의 기능과 관련될 것이다.
상기 장치에 의해 조정되는 기능은, 조작자에 대한 위험을 포함하지 않지만 가능한 생산 결함 만을 포함하는 액션과 관련된, 안전하지 않거나 표준 타입일 수 있고, 그리고 안전 또는 페일-세이프 타입의 기능, 즉 조작자가 경계부 내에 접근할 수 있기 전에, 기계나 플랜트 또는 그의 부품의 정지를 필요로 하는 기능일 수 있다.
처리 회로에는, 제조 단계 동안에 사전-설정된 설계(scheme)가 제공될 수 있지만,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제조자에 의해 프로그램 가능한 타입을 가질 수 있어, 각각의 사용자가 특정 요구에 따라 제어된 이동가능한 부품의 각각의 위치에 특정 작동 모드를 관련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신호와 각각의 코드와 관련될 수 있는 기능의 조합이 여러 가능하고 기계나 플랜트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순전히 예로서, 처리 회로에 의해 생성된 명령 신호는, 표준 및 세이프 모두에서의 하나 이상의 아웃풋의 기동/비기동을 위한; 빛, 시각적 및/또는 오디오 신호의 기동을 위한; OSSD(Output Signal Switching Device) 아웃풋의 기동이나 비기동을 위한; 그리고 상이한 액추에이터를 구별하도록 단방향이나 양방향 직렬(serial) 아웃풋이나 코드의 단방향이나 양방향 안전 버스에서의 동시 전송을 위한; 명령일 수 있다.
전형적인 제1 적용예로서, 검출 장치는, 기계나 플랜트의 안전 경계부의 접근부에 배치되도록 채택된 안전 스위치 타입의 안전 기기와 관련되고, 상기 안전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접근부의 개폐에 따라, 작동 조건으로부터 작동하지 않는 조건으로,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부품을 스위치시키는데 적당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안전 스위치의 일례가 본 출원인의 문헌 WO 2017/208124 또는 WO 2018/055598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 문헌에서, 상기 스위치에는 또한 도어 로킹 기구가 제공된다.
이러한 적용예에 있어서, 수신 장치는 제어될 접근부의 고정된 부분에 부착되도록 채택되는 한편으로, 액추에이터 중 하나의 액추에이터가 접근부의 이동가능한 부품에 부착되도록 채택된다.
수신 장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고, 이 스위칭 수단은 메인 회로, 및/또는 서비스 및 비상 회로, 및/또는 위험 구역으로의 접근부의 감독 또는 제어 시스템의 파워공급 및/또는 제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전기 및/또는 전자 회로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채택된다.
스위칭 수단은 현장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또한, 특별한 제한없이, 스위치의 기능성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수신 장치는 작동 수단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작동 수단은, 액추에이터 중 하나의 액추에이터와 스위칭 수신 장치 사이의 상호 작용에 따라,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회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접근부를 개폐시킬 때, 또한, 이 경우, 알려진 기술에 따라, 스위칭 수단과 상호작용하도록 채택된다.
특히, 이동가능한 부품에 배치된 액추에이터는, 이러한 안전 스위치에 대한 전형적인 방식에 따른 하나 이상의 회로의 개폐를 결정하기 위한 접근부의 개폐에 따라, 작동 수단에 통해 스위칭 수단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될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판독 헤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타입의 안테나를 구비한 수신기를 수용하는 한편으로, 액추에이터는 각각의 존재 신호를 송출하도록 채택된 태그/RFID 타입의 응답기(transponder)일 것이다.
대안적으로, 응답기 및 RFID 안테나 대신에, 라디오를 통해, 홀 효과를 통해, 자기장을 통해, 또는 초음파나 이와 유사한 것을 통해 작동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중에서 선택된 통신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제2 실시예는 대신에, 수신 장치가 한 센서이거나, 또는 상기 통합된 판독 헤드를 포함한, 예를 들어, 문헌 WO 2013/098788에 기재된 타입의 센서의 내부에 통합되는 한편으로, 액추에이터는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부품과 항상 관련될 것이라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태그에 포함된 정보가 접근부에 배치된 센서에 의해 평가되고, 이에 따라 검출된 태그에 따른 작동을 직접적으로 변경시킬 것이라는 점에 이르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판독 헤드는 RFID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으로, 액추에이터는 RFID 태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적용예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고, 이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장치와 관련된 이동가능한 접근부(4)가 제공된 배리어, 즉 보호 경계부(3) 내측에 배치된 기계(2)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검출 장치는 배리어(3)의 고정된 부분에 배치된 고정된 센서나 판독 헤드(5)를 포함하여, 예로서, 접근부(4)의 2개의 상이한 위치(즉, 폐쇄 위치 및 완전 개방 위치)로 구별되는 위치에서, 상기 접근부(4)에 배치된 2개의 이동가능한 센서(6, 7)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장치는, 버스(8)에 의하여, 프로그래밍을 위해 PLC(programmable controller)(10)가 가능한 장착된, 접근부(4)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한 엠티부(9, mt)에, 즉 기계(2)의 파워 및/또는 신호송출 회로(11)와 상호작용하도록 모든 안전 조건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는데 책임지는 안전 시스템에, 연결되어, 안전하지 않은 조건이 검출되거나 사전결정된 신호를 송출한다면 상기 기계(2)나 그의 부품의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안전 조건에 개입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가능한 작동 모드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조작자가 경계부(3) 내로 진입할 수 있게 하는 접근부(4)의 개방이 고정된 센서(5)와 제1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6) 사이의 통신의 중단과 이에 따른, 필연적인 기계 정지를 판단하는 것을 제공한다.
접근부(4)의 완전한 개방은 고정된 센서(5)에 대응하는 제2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7)를 이동시켜, 또한 파워 및/또는 신호 회로(11), 그 자신의 태그 또는 식별 코드와 연결된, 접근부(4)의 적당한 세이프 제어 유닛(12)에 조작자가 진입할 수 있어, 느린 안전 이동 또는 인에이블(enabling) 스위치 또는 다른 안전 작동과 같은 여러 액션을 기계(2) 상에서 실행한다.
이러한 조건에 있어서, 접근부(4)는, 조작자가 경계부(3)에서 항상 빠져나오도록 개방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조작자가 경계부(3) 내에 여전히 있을 때 접근부(4)의 우발적이거나 부주의한 폐쇄를 피하기 위하여, 안전하지 않은 조건에서 기계(2)의 필연적인 재시동의 경우, 제2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7)와의 접촉이 없다는 것이 검출될 때, 고정된 센서(5)는 모든 느린 이동을 차단할 것이고 세이프 제어 유닛(12)이 진입한 모든 조작자의 태그를 요청하여, 상기 언급된 태그 모두를 수신한 이후에만 기계(2)의 재시동을 가능하게 하고 모든 조작자가 경계부(3)를 떠났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접근부(4)의 안전 제어 유닛(12)은 도면에서와 같이, 다양한 센서와 다른 유닛일 수 있거나, 또는 고정된 센서(5)에 통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가 로봇 아암에 적용되는 적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적용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동가능한 아암(17)의 상이한 부품과 관련된 3개의 별개의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14, 15, 16)와 선택적으로 대화하도록 채택된 고정된 센서(13)를 구비하여, 상기 아암(17)의 각각의 위치가 상이한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와 고정된 센서(13)의 상호작용 및 필연적인 액션에 대응한다.
도 4의 표는, 고정된 센서(13)와 상이한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14, 15, 16) 사이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가능한 액션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고정된 센서(13)와 중앙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14) 사이의 상호작용은 2개의 아웃풋(OS1 및 OS2)의 기동과 기계의 필연적인 작동을 만드는 한편으로, 보조 신호송출 아웃풋(O3)이 오프될 것이다. 고정된 센서(13)에 존재하는 신호송출 빛(18)이 제1 칼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가능한 아암(17)의 안전하지 않은 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고정된 센서(13)에서 2개의 이동가능한 측방향 액추에이터(15) 중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이동시키는 아암(17)의 회전에 따라, 상기 2개의 아웃풋(OS1 및 OS2)이 비기동될 수 있고, 직렬 버스로 구성된, 보조 아웃풋(O3)에서의 신호 송출은 고정된 센서(13)에 존재하는 신호송출 빛(18)의 상이한 칼라와 문자 스트링(text string)의 가능한 생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가능한 아암(17)의 안전 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고정된 센서(13)에 대응하는 2개의 이동가능한 측방향 액추에이터(16)의 다른 하나를 이동시키도록 반대 방향으로 아암(17)이 회전하는 경우에, 2개의 아웃풋(OS1 및 OS2)의 기동 조건과 보조 아웃풋(O3) 상의 신호의 송출을 가질 수 있고, 고정된 센서(13) 상에 배치된 다른 문자 스트링과 문맥상 여전히 상이한 칼라의 생성이 가능하다.
명확하게도,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의 수는 또한 상이할 수 있거나, 예를 들면 더 클 수 있어, 시스템의 이동가능한 부품의 상이한 수의 위치를 구별하고, 또한 최종 사용자나 제조자에 의해 특화될 수 있는 설계에 따라, 특정 조합의 작동을 각각의 액추에이터와 관련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를 위한 안전 기기용 검출 장치로서,
    플랜트나 상기 플랜트의 안전 경계부의 고정된 부분과 관련되도록 채택된 수신 장치, 및 복수의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 각각은 각각의 존재 신호를 그 자신의 식별 코드와 함께 상기 수신 장치에 송출하도록 채택되고,
    상기 검출 장치는 판독 헤드와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 상기 판독 헤드는 상기 판독 헤드로부터 사전 결정된 최소 거리에서 하나의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의 위치결정에 따라, 상기 식별 코드가 제공된 존재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안전 기기의 상기 수신 장치와 관련되도록 채택되고,
    -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헤드에 통합되고, 상기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부품에 대한 각각의 명령이나 신호송출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웃풋 신호를 발생하도록 채택되며,
    상기 처리 회로는 하나 이상의 상기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에 대해 차별화된 상기 기능의 개별 조합의 실행을 위하여 상기 아웃풋 신호의 특정된 조합을 상기 식별 신호의 각각에 관련시키도록 채택되는,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를 위한 안전 기기용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사용자 및/또는 제조자에 의해, 프로그램가능하고 주문제작 가능한(customizable),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를 위한 안전 기기용 검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시스템의 아웃풋 신호 스위칭 장치(OSSD: Output Signal Switching Device) 아웃풋을 기동시키거나 기동시키지 않도록 채택되고, 직렬 아웃풋이나 안전 버스로, 상이한 액추에이터를 구별하도록 코드를 송출하도록 채택된,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를 위한 안전 기기용 검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헤드는, 라디오를 통해, 홀 효과를 통해, 또는 초음파나 이와 유사한 전송기를 통해, RFID 타입 안테나, 자기 센서나 전자기 센서, 광학 센서 중에서 선택된 수신기를 수용하는,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를 위한 안전 기기용 검출 장치.
  5. 기계나 산업용 플랜트 제어용 안전 기기로서,
    - 기계나 플랜트의 고정된 부분이나 또는 상기 기계나 플랜트의 보호 배리어에 배치되도록 채택된 수신 장치;
    - 상기 수신 장치와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그 자신의 식별 코드가 제공된 각각의 존재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출하도록 채택된 복수의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 및
    - 상기 수신 장치와 관련되고, 판독 헤드와 처리 회로를 구비한 인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판독 헤드는 상기 판독 헤드로부터 사전결정된 최소 거리에서 상기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 중 하나의 액추에이터의 위치결정에 따라, 상기 식별 코드가 제공된 상기 존재 신호를 수신하도록 채택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헤드에 통합되고 상기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부품에 대해 또한 안전 버스를 통해 각각의 명령이나 신호송출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웃풋 신호를 생성하도록 채택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하나 이상의 상기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에 대해 차별화된 상기 기능의 개별 조합의 실행을 위하여 상기 아웃풋 신호의 특정된 조합을 상기 식별 신호의 각각에 관련시키도록 채택되는, 기계나 산업용 플랜트 제어용 안전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도어 로킹 기구의 장착 여부와 무관하게, 안전 근접(proximity) 스위치 및 안전 근접 센서 중에서 선택되는, 기계나 산업용 플랜트 제어용 안전 기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통합된 판독 헤드가 제공된 센서이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이동 부품과 관련되는, 기계나 산업용 플랜트 제어용 안전 기기.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안전 스위치로서, 상기 안전 스위치는 상기 기계나 플랜트의 안전 경계부의 접근부에 배치되도록 채택되고, 상기 기계나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부품을, 상기 안전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접근부의 개폐에 따라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 사이에서 스위치되는데 적당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기계나 산업용 플랜트 제어용 안전 기기.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액추에이터가 접근부의 폐쇄 시에, 그 존재 신호를 상기 안전 판독 헤드에 송출하도록 상기 접근부를 폐쇄하도록 채택된 상기 안전 경계부의 이동가능한 부품과 관련되는, 기계나 산업용 플랜트 제어용 안전 기기.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각각은, 각각의 존재 신호를 송출하도록 채택된 각각의 태그/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응답기이거나, 또는 라디오를 통해, 홀 효과를 통해, 자기장을 통해, 또는 초음파 등을 통해 작동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중에서 선택된 전송기를 포함하는, 기계나 산업용 플랜트 제어용 안전 기기.
KR1020227039200A 2020-04-14 2021-04-14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를 위한 안전 기기용 다단 검출 장치 KR202300026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0000007888A IT202000007888A1 (it) 2020-04-14 2020-04-14 Dispositivo di riconoscimento multilivello per apparati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macchine o impianti industriali
IT102020000007888 2020-04-14
PCT/IB2021/053079 WO2021209924A1 (en) 2020-04-14 2021-04-14 Multilevel detection device for safety apparatuses for the control of industrial machines or pl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608A true KR20230002608A (ko) 2023-01-05

Family

ID=7117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200A KR20230002608A (ko) 2020-04-14 2021-04-14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를 위한 안전 기기용 다단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84053A1 (ko)
EP (1) EP4154069A1 (ko)
JP (1) JP2023521587A (ko)
KR (1) KR20230002608A (ko)
CN (1) CN115398356A (ko)
BR (1) BR112022020018A2 (ko)
IT (1) IT202000007888A1 (ko)
WO (1) WO20212099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1553B1 (en) * 2005-07-19 2014-04-02 Omron Corpora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
JP4585572B2 (ja) * 2005-07-19 2010-11-24 オムロン株式会社 両手操作スイッチ装置
EP2020626B1 (de) * 2007-08-02 2010-10-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Verwaltung von mobilen Bediengeräten
ITVI20110342A1 (it) 2011-12-29 2013-06-30 Pizzato Elettrica Srl Dispositivo di sicurezza elettronico per una barriera di protezione
DE102012101933B4 (de) 2012-03-07 2013-12-05 Pilz Gmbh & Co. Kg Sensoranordnung zum Detektieren eines sicheren Anlagenzustandes einer automatisiert betriebenen Anlage
ES2689686T3 (es) * 2016-01-18 2018-11-15 Sick Ag Sistema de seguridad
ITUA20163940A1 (it) 2016-05-30 2017-11-30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accessi
IT201600096402A1 (it) 2016-09-26 2018-03-26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con rilevamento dell’azionamento di un comando ausiliario di sbloc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202000007888A1 (it) 2021-10-14
US20230084053A1 (en) 2023-03-16
JP2023521587A (ja) 2023-05-25
WO2021209924A1 (en) 2021-10-21
BR112022020018A2 (pt) 2022-11-22
CN115398356A (zh) 2022-11-25
EP4154069A1 (en)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81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liably monitoring a closed position of two parts moveable relative to one another
JP5089378B2 (ja) 安全回路用信号伝送装置
EP1793244B2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emporary deactivation of a photoelectric barrier
US20050052639A1 (en) Light barrier arrangement
KR102393171B1 (ko) 보조 잠금 해제 제어 장치의 구동 검출 기능을 갖는 안전 스위치
KR20230002608A (ko) 산업용 기계나 플랜트의 제어를 위한 안전 기기용 다단 검출 장치
US8970343B2 (en) Reteachable switching circuit with ability for locking
US11480937B2 (en) Safety switch with differentiated CPU
US8669868B2 (en) Reteachable non-contact switching circuit
EP3516674B1 (en) Safety switch with detection of the end stroke of the unlocking mechanism
CN113818756A (zh) 安全装置
KR20240009442A (ko) 산업 기계 또는 플랜트의 안전 보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US20150137622A1 (en) Control switch figuration and related methods
WO2023152775A1 (en) Unlocking system, locking/unlocking unit and operation method of the unlocking system
WO2004090806A1 (en) Radio-frequency position and/or limit switch sensor
ITBO990651A1 (it)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macchina utensi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