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003U -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 Google Patents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003U
KR20230002003U KR2020220000891U KR20220000891U KR20230002003U KR 20230002003 U KR20230002003 U KR 20230002003U KR 2020220000891 U KR2020220000891 U KR 2020220000891U KR 20220000891 U KR20220000891 U KR 20220000891U KR 20230002003 U KR20230002003 U KR 202300020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ssage
length
passageway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섭
Original Assignee
박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섭 filed Critical 박흥섭
Priority to KR2020220000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003U/ko
Publication of KR20230002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0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09Temporary tunnels specially adapted against falling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장 등과 같은 외부 위험 요소가 많은 장소에 통행로의 길이연장이 가능하되 조립과 해체가 간편하며, 통행중인 작업자에 대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통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으로 제1통행로가 형성되되 하부는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1통행로와 연통하여 상기 제1통행로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제2통행로가 형성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Safe passage structure that can be extended in length}
본 고안은 작업장 등과 같은 외부 위험 요소가 많은 장소에 통행로의 길이연장이 가능하되 조립과 해체가 간편하고, 통행 중인 작업자에 대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통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건축물이 완성되기까지는 토목공사부터 건물의 지주공사, 층간을 이루는 측벽 및 외장공사가 따르고, 이러한 공사가 시행되는 건물의 현관이 되는 입구통로에는 상층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각종 위험요소로부터 입구를 지나는 현장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터널이 설치된다.
안전터널의 주된 목적으로는 건설현장 내에서 작업자의 통로를 한곳에 지정하여 보행통로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기타 작업장에서의 방해를 없앰은 물론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안전용도의 안전터널은 흔히 건축공사에서 외측 벽으로부터 가로 세로로 엮어 시공되는 비계(飛階:긴 금속소재의 파이프를 가로 및 세로로 엮은 임시 구조물)의 이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안전터널을 형성함과 더불어 건축물의 상층부 외장작업시에도 사용된다.
종래의 안전터널(1)을 살피면 도 1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기둥이 되어 지주역할을 하는 제1보강파이프(2)와, 제1보강파이프(2)의 상측, 측면에 덧대어져 일정간격으로 안전터널이 횡간을 유지케 하는 제2보강파이프(3)로서 터널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상기 제1보강파이프(2), 제2보강파이프(3)의 연결은, 이들을 각각 수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양방향 클램프(C)의 사용으로서 각 제1보강파이프(2), 제2보강파이프(3) 길이에 대해 소정위치에 연결 설치한다.
상기 양방향 클램프(C)는 힌지를 중심으로 일측이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는 흔히 보울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이다.
상기 각 제1보강파이프(2), 제2보강파이프(3)로 구성됨에 있어, 상부에는 작업현장의 높은 위치에서 낙하되는 기타물(공구및 자재)로부터 보호 및 우천시 대피할 수 있는 천장 또는 작업발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판(4)이 부착 설치된다.
상기 상판(4)은 건물의 외장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안전터널(1)의 상판(4)은 상기 수직되는 제1보강파이프(2)에 대해 아치를 이루도록 연결되는 제2보강파이프(3)의 길이변 상부에 안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안전터널(1)의 설치는 수직되는 제1보강파이프(2)를 일정간격으로 세우고, 그 상부에는 또 다른 제2보강파이프(3)를 덧대어 양방향 클램프(C)로 상호 연결하여 아치형으로 조립한다.
또한, 상기 수직되는 제1보강파이프(2)에 대해 그 측면으로는 안전터널의 횡간을 지지하기 위해 또 다른 길이를 갖는 제2보강파이프(3)를 덧대어 양방향 클램프(C)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각각 다수의 각 제1보강파이프(2), 제2보강파이프(3)와 양방향 클램프(C)로서 조립된 상태에 서는 상부에 상판(4)을 부착하며, 터널의 양측면으로는 메쉬망(도면에서 생략함)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립식 안전터널을 형성함에 있어, 각 지주가 되는 제1보강파이프(2), 상측과 측면에 덧대에 설치되는 제2보강파이프(3)는 설치에 따른 조립 및 해체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은 물론, 통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에 대한 확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되 통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행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은 내측으로 제1통행로(S1)가 형성되되 하부는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100) 및 상기 고정부재(10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1통행로(S1)와 연통하여 상기 제1통행로(S1)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제2통행로(S2)가 형성된 이동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0)는 지면을 따라 서로 이웃하게 다수가 이어지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100)의 골조를 형성하는 제1프레임(110), 상기 제1프레임(110) 외면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부재(100)의 루프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여 상기 제1통행로(S1)를 형성하는 제1웰플레이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200)는 지면을 따라 서로 이웃하게 다수가 이어지도록 상기 제1프레임(110)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200)의 골조를 형성하는 제2프레임(210), 상기 제2프레임(210) 외면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부재(200)의 루프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여 상기 제2통행로(S2)를 형성하는 제2웰플레이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1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프레임(110) 내측이나 상기 제2프레임(210) 내측으로 인입이 가능한 체적을 갖되 상기 제1프레임(110)은 체결수단이 관통삽입되는 리브(111)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웰플레이트(120) 또는 상기 제2웰플레이트(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상기 제1통행로(S1) 또는 상기 제2통행로(S2)로 유입된 연기가 외기에 의해 외부와 순환될 수 있게 다수의 순환공(10)이 천공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지지돌기(3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는 롤러(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0) 또는 제2프레임(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외부와 관(PIPE) 연결되어 상기 제1통행로(S1) 또는 상기 제2통행로(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행로에 소화수를 분사하기 위한 소화노즐(4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0)에 형성된 상기 제1통행로(S1) 내측으로 상기 제2프레임(210)이 진입시에 상기 제2프레임(210) 하단과 지면 간의 간격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2프레임(210) 하부에는 발판플레이트(23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되 통행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통행로를 통행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성의 확보는 물론, 화재나 날씨에 따른 외기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편의성을 갖는 안전통행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안전용도의 안전터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대한 이동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에 대한 통행로의 길이가 가변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에 소화수가 분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에 커버체가 덮여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이하, 간략하게 '구조물'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는 본 고안인 구조물(1)이 공사장 등과 같은 낙하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작업장 내에 설치되어 작압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사용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공사장 주변의 보행로에 설치되어 해당 공사장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1)은 크게 고정부재(100) 및 이동부재(2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1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에 설명하는 이동부재(200)와 함께 작업자가 작업장 내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통행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프레임(110) 및 제1웰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프레임(110)은 스틸재질로 성형되되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이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구된 아치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며, 작업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지면을 따라 서로 이웃하게 다수 고정 설치된다.
제1프레임(110)과 지면 간의 고정은 상기 제1프레임(110) 양측 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용접은 물론,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프레임(110)과 결합하는 리브(111)의 구성을 통해 지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리브(111) 역시, 체결수단을 통해 지면에 관통되어 상기 제1프레임(110)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다수의 제1프레임(110)은 연결바를 통해 서로 이어지거나 체결수단을 통해 서로 이어지게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철거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결바를 통해 다수 연결된 제1프레임(110)을 통해 고정부재(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골조가 완성될 수 있도록 하여 그 내부에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제1통행로(S1)의 형성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웰플레이트(120)는 상술한 다수의 제1프레임(110)을 통해 뼈대를 이루는 고정부재(100)의 루프와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프레임(110)과 동종의 재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다.
제1웰플레이트(120) 외면에는 다수의 순환공(10)이 천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순환공(10)을 통해 제1통행로(S1)와 외기의 순환이 가능해져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상기 제1통행로(S1) 내측으로 연기가 유입시에 상기 순환공(10)을 통해 신속하게 연기가 배기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순환공(10)의 형성을 통하여 하절기에 제1통행로(S1)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목적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고정부재(100)를 통해 형성된 제1통행로(S1) 내/외부로 출입이 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통행로(S1)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프레임(210), 제2웰플레이트(220) 및 발판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동부재(200)를 구성하는 제2프레임(210)과 제2웰플레이트(220)는 상술한 제1프레임(110) 및 제1웰플레이트(120)와 대비하여 크기의 차이만 있을 뿐, 재질을 포함한 전체적인 형상이 서로 유사하기에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하기에는 상기 이동부재(200)의 전체적인 체적이 고정부재(100)의 체적보다 작은 경우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도 6 참조).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의 이동부재(200)는 고정부재(100) 내/외부로 출입하여 제1통행로(S1)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해 제2프레임(210)은 제1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술한 제1통행로(S1)가 연결바에 의해 의해 서로 이어진 다수의 제1프레임(110)과 제1웰플레이트(120)에 의해 형성되는 것과 같이, 이동부재(200) 역시, 연결바를 통해 서로 이어지는 다수의 제2프레임(210)과 제2웰플레이트(220)를 통해 제2통행로(S2)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통행로의 길이를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부재(100) 내측 즉, 제1통행로(S1)에 삽입된 이동부재(200)가 상기 고정부재(100)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이동부재(200) 내부에 형성된 제2통행로(S2)를 통해 통행로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한다.
물론, 이동부재(200)를 다시 고정부재(100) 내측으로 인입시켜 제1통행로(S1) 내측으로 제2통행로(S2)가 서로 겹쳐지게 배치하여 통행로 전체 길이를 축소시키는 것도 자명한 사실이다.
발판플레이트(230)는 상술한 이동부재(200)가 고정부재(100)를 따라 그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해 지면의 상측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발판플레이트(230)는 이러한 지면과 상기 이동부재(200) 하단 간의 간격을 보상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부재(200)가 상기 고정부재(100)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 등이 발생시에 제1프레임(110) 또는 제2프레임(210)의 형상 변화가 최소한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2 및 도 4 참조).
물론, 발판플레이트(230)는 필요에 따라 생략도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아울러,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고정부재(100)와 이동부재(200)에 각각 설치되어 루프나 측벽을 형성하는 제1웰플레이트(120)나 제2웰플레이트(220) 외면에는 커버체(5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외기에 의한 작업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및 제2웰플레이트(220)에 형성된 순환공(10)은 상술한 외기와의 순환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나, 비(RAIN)나 눈(SNOW), 우박 등의 날씨 상황에서는 상기 순환공(10)의 형성이 오히려 통행하는 작업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나 난연재질을 갖는 커버체(50)를 이동부재(200) 상부에 덮어 순환공(10)을 차단함으로써, 자연광의 차단은 물론, 순환공(10)을 통해 외기의 영향을 통행중인 작업자가 최소한의 영향을 받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통행로의 연장을 위해 상기 고정부재(100) 외측으로 이동부재(200)가 노출시에는 상기 이동부재(200) 상부측에도 커버체로 덮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이동부재(2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롤러(20) 및 지지돌기(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20)는 제1프레임(110) 상부 및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다수 결합하여 제2프레임(210) 상부의 연결바는 물론, 제2프레임(210) 외면과 이어지게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돌기(30)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부재(200)가 고정부재(100)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1)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가적으로 화재가 발생시에 통행로로 대피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해당 통행로 방향으로 소화수를 분사하기 위한 소화노즐(40)이 제1프레임(110)이나 제2프레임(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소화노즐(40)은 소화수를 수용하는 탱크(미도시)와 관(PIPE) 연결되어 소화수를 통행로에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소화노즐(40)은 전기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체크밸브의 형식을 취하여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전부 또는 구간(제1통행로나 제2통행로) 별로 소화수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의 소화노즐(40)은 소화수를 분사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현장에 따라 이물질(바이러스 포함)을 세척하기 위한 물이나 살균액의 분사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되 통행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통행로를 통행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성의 확보는 물론, 화재나 날씨에 따른 외기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편의성을 갖는 안전통행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100: 고정부재
110: 제1프레임 111: 리브
120: 제1웰플레이트
200: 이동부재
210: 제2프레임 220: 제2웰플레이트
230: 발판플레이트
10: 순환공
20: 롤러
30: 지지돌기
S1: 제1통행로
S2: 제2통행로

Claims (6)

  1. 내측으로 제1통행로(S1)가 형성되되 하부는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100); 및
    상기 고정부재(10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1통행로(S1)와 연통하여 상기 제1통행로(S1)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제2통행로(S2)가 형성된 이동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지면을 따라 서로 이웃하게 다수가 이어지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100)의 골조를 형성하는 제1프레임(110), 상기 제1프레임(110) 외면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부재(100)의 루프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여 상기 제1통행로(S1)를 형성하는 제1웰플레이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200)는
    지면을 따라 서로 이웃하게 다수가 이어지도록 상기 제1프레임(110)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200)의 골조를 형성하는 제2프레임(210), 상기 제2프레임(210) 외면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부재(200)의 루프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여 상기 제2통행로(S2)를 형성하는 제2웰플레이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1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프레임(110) 내측이나 상기 제2프레임(210) 내측으로 인입이 가능한 체적을 갖되 상기 제1프레임(110)은 체결수단이 관통삽입되는 리브(111)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웰플레이트(120) 또는 상기 제2웰플레이트(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상기 제1통행로(S1) 또는 상기 제2통행로(S2)로 유입된 연기가 외기에 의해 외부와 순환될 수 있게 다수의 순환공(10)이 천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지지돌기(3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는 롤러(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10) 또는 제2프레임(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외부와 관(PIPE) 연결되어 상기 제1통행로(S1) 또는 상기 제2통행로(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행로에 소화수를 분사하기 위한 소화노즐(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10)에 형성된 상기 제1통행로(S1) 내측으로 상기 제2프레임(210)이 진입시에 상기 제2프레임(210) 하단과 지면 간의 간격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2프레임(210) 하부에는 발판플레이트(23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KR2020220000891U 2022-04-12 2022-04-12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KR202300020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891U KR20230002003U (ko) 2022-04-12 2022-04-12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891U KR20230002003U (ko) 2022-04-12 2022-04-12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003U true KR20230002003U (ko) 2023-10-19

Family

ID=8850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891U KR20230002003U (ko) 2022-04-12 2022-04-12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00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648B1 (ko)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
JP5352789B2 (ja) 歩道設置型防災シェルター
JP2023085392A (ja) 安全レールシステム
US9556624B1 (en) Scaffold system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CN110259088B (zh) 具有扭曲立面的建筑物的外防护脚手架的搭设方法
KR101981845B1 (ko) 고정 요소를 갖는 오버헤드 운반 장치
KR102127867B1 (ko)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KR101584361B1 (ko)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
KR20230002003U (ko)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전통행 구조물
FI126773B (fi) Kattotyöskentelyn kaiderakenteen pystytukirakenne
KR102178186B1 (ko) 접이식 구조를 갖는 확장형 스카이 버켓 안전난간구조체
KR101051819B1 (ko) 이동식 가설펜스
CN115522720A (zh) 一种适用于复杂工况的门式移动脚手架及架设方法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CN217027591U (zh) 一种外凸式全包围飘窗预制墙板安装节点
KR101796138B1 (ko)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 승강장치
EP1854940A1 (en) Scaffolding
JP2010133154A (ja) 工事用足場
KR20130065941A (ko) 아치형 시스템 비계 및 시공방법
KR102160160B1 (ko) 다수의 섹션들로 이루어진 이동식 밀폐 빌딩
CN207776478U (zh) 外爬架防护装置
JP2005163355A (ja) 水平移動足場
KR200426297Y1 (ko)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KR200373589Y1 (ko) 조립식 안전터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