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361B1 -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 - Google Patents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361B1
KR101584361B1 KR1020150083711A KR20150083711A KR101584361B1 KR 101584361 B1 KR101584361 B1 KR 101584361B1 KR 1020150083711 A KR1020150083711 A KR 1020150083711A KR 20150083711 A KR20150083711 A KR 20150083711A KR 101584361 B1 KR101584361 B1 KR 101584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ventilation duct
support
ladder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이엔씨
Priority to KR102015008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에 관한 것으로, 지하공동구 내부 공기의 배기와 신선한 외기의 급기를 통해 지하공동구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함은 물론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덮개가 하중전가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은, 지하공동구(1)의 내부와 연통하며 배기구가 지상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환기덕트(10)와; 상기 환기덕트의 상단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공성의 덮개(20)와; 상기 환기덕트의 내부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내부와 외부에 환기로 및 이동로를 제공하는 버팀관(30)을 포함하고, 상기 버팀관은 환기 및 작업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버팀관 본체(40), 상기 버팀관 본체의 둘레부에 상기 버팀관 본체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호 간에 일정 높이를 두고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단부가 상기 환기 덕트에 앵커링되는 다수의 지지대(50), 상기 지지대들 사이에 형성되는 사다리(60), 상기 버팀관 본체의 둘레부에 일측이 힌지(73)를 통해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사다리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작업자를 보호하는 가드(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VENTILATION FACILITIES FOR EASY MAINTENANCE OF COMMON DUCT}
본 발명은 지하공동구의 환기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공동구 내부 공기의 배기와 신선한 외기의 급기를 통해 지하공동구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함은 물론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덮개가 하중전가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막는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에 관한 것이다.
공동구는 노면 굴착을 수반하는 지하 매설물(전기·가스·수도의 공급시설 및 전신선로·하수도시설 등)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시의 미관, 도로구조의 보존과 원활한 교통의 유통을 도모하는 지하 시설물을 말한다. 전주와 체신주를 비롯하여 전기 전화선 등 지상 가공선의 설치없이 다양한 설비시설이 공동구내에 집약된다. 따라서 공동구는 한 장소에서 동시에 여러 종류의 설비를 유지 보수할 수 있고 쾌적한 지상공간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이 건설되는 신도시, 상업지역, 아파트 단지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동구는 도로나 아파트 단지를 건설할 때 공동구의 설치를 위한 공간만큼 땅을 파고 바닥슬래브와 양측벽 및 천장슬래브를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건물과 공동구는 건물의 지하 외벽체의 중간부 또는 지하층 바닥에서 연결되며, 전기·가스·수도의 공급시설 및 전신선로·하수도시설 등은 연결부를 지나 건물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지하공동구는 외부의 공기와 접할 수 있도록 환기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하철의 경우에는 인도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인도에서 약 1m20Cm 높이에 환기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지하공동구의 환기시설은 공기의 순환을 위한 환기시설로 사용됨과 더불어 공동구의 유지보수시 출입구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지하 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시설에 따르면, 공동구의 유지 보수시 작업자가 환기구에 설치된 환기 커버를 환기구에서 분리하고 사다리나 로프 등을 이용하여 공동구에 들어가고, 반대로 유지 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사다리나 로프 등을 이용하여 지상으로 나온 후 환기 커버로 환기구를 덮어야 하는데, 환기 커버의 중량이 무거워 환기 커버를 분리하고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불편하고, 별도의 사다리를 휴대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특허문헌 1(등록실용신안 제20-0204985호)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알 수 있는 것으로서, 가로빔과 세로바로서 형성된 격자 구조물에 의해 지하철의 환기구가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격자 구조물의 상부에 부착되어 외부의 이물질을 차단시키는 다공판과; 상기 격자 구조물에 다공판을 부착시키기 위한 조립수단으로 구성된 지하철 환기구용 이물질투입 방지장치로서, 이물질이 격자 구조물을 통해 공동구 안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것일 뿐이다.
특허문헌 2(등록특허 제10-1213125호)는 지하 시설물의 환기 및 작업자의 출입을 위해 상기 지하 시설물에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내벽면 일측에 승강 사다리가 구비된 수직구와, 상기 수직구의 상측으로 통행함과 아울러 환기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구의 상부면에 설치된 그레이팅과, 상기 승강 사다리의 상측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그레이팅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되는 출입구 도어를 포함하는 수직구의 출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 사다리의 상단 부근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적어도 한쪽 발을 딛고 설 수 있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작업자가 개방된 상기 출입구 도어의 상단 부분을 잡을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승강 사다리의 상단 부근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출입구 도어를 개폐시키게 되므로 수직구로 진입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지만, 외부에서 보행자 등이 덮개에 올라서거나 주행하는 경우 덮개가 무너지면서 지하공동구에 추락하여 사망 사고가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04985호 등록특허 제10-121312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공동구 내부 공기의 배기와 신선한 외기의 급기를 통해 지하공동구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함은 물론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덮개가 하중전가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막는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은, 지하공동구의 내부와 연통하며 배기구가 지상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환기덕트와; 상기 환기덕트의 상단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공성의 덮개와; 상기 환기덕트의 내부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내부와 외부에 환기로 및 이동로를 제공하는 버팀관을 포함하고, 상기 버팀관은 환기 및 작업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버팀관 본체, 상기 버팀관 본체의 둘레부에 상기 버팀관 본체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호 간에 일정 높이를 두고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단부가 상기 환기 덕트에 앵커링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들 사이에 형성되는 사다리, 상기 버팀관 본체의 둘레부에 일측이 힌지를 통해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사다리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작업자를 보호하는 가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에 의하면, 환기덕트의 내부와 버팀관 본체의 내부를 통해 지하공동구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기됨과 아울러 외부의 공기가 지하공동구에 원활하게 급기되어 지하공동구 내부의 악취발생을 막고 열화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버팀관이 작업자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지하공동구에 추락하는 사고도 막을 수 있고 뿐만 아니라 환기덕트에서 지지할 수 없었던 덮개의 중앙부를 지지하여 덮개의 붕괴를 방지함으로써 보행자의 추락사고를 막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에 적용된 버팀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의 평면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은, 지하공동구(1)의 내부와 연통하며 배기구가 지상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환기덕트(10), 환기덕트(10)의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공성(격자형)의 덮개(20), 환기덕트(10) 안에 설치되어 환기덕트(10)와 덮개(20)를 지지하는 버팀관(30)으로 구성된다.
환기덕트(10)는 지하공동구(1)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의 형태이다.
덮개(20)는 스틸 그레이팅으로서 환기덕트(10)의 상단 개구부에 형성된 턱에 안착된다.
버팀관(30)은 둘레부가 환기덕트(10)에 연결되어 환기덕트(10)를 지지하고 또한 상단부가 덮개(20)를 받쳐 지지함으로써 덮개(20)의 붕괴에 의한 보행자 등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며, 버팀관 본체(40), 버팀관 본체(40)를 환기덕트(10)에 연결하는 지지대(50), 지지대(50)에 형성되는 사다리(60), 버팀관 본체(40)와 환기덕트(10) 사이에서 사다리(60)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작업자를 추락으로부터 보호하는 가드(70)로 구성된다.
버팀관 본체(40)는 환기를 위하여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원형관으로서 환기덕트(10) 의 중심에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며 지지대(50)를 통해 환기덕트(10) 안에 설치되며 상단부가 덮개(20)의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덮개(20)의 붕괴를 막는다.
버팀관 본체(40)는 외주면에 다수의 사다리봉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사다리(60)와 별도로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이동하도록 한다. 단 사다리봉(41)이 버팀관 본체(40)에 접힌 상태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지지대(50)는 봉(원형, 사각형 등) 형태로서 일측이 버팀관 본체(40)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고 타측이 환기덕트(10)의 내면에 다수의 앵커를 통해 고정되어 환기 덕트(10) 내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대(50)는 앵커링을 위한 지지판(52)이 타측에 형성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지지대(50)는 버팀관 본체(4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도 1기준)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 모두 상하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최상단에 배치되는 지지대(50)는 설치가 용이하도록 환기덕트(10)의 턱에 걸쳐 매달리는 행거부(51)가 형성된다. 행거부(51)는 환기덕트(10)의 단턱(11)의 바닥면에 올려지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며 환기덕트(10)의 내면에 지지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는 각각 앵커를 통해 환기덕트(10)에 정착된다. 즉, 행거부(51)를 환기덕트(10)의 단턱(11)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먼저 고정하면 버팀관 본체(40)가 지지됨으로써 나머지 지지대(50)들의 정착이 용이하다.
환기덕트(10)는 덮개(20)가 안착되는 단턱에 행거부(51)가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어 행거부(51)가 단턱(11)의 홈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면서 덮개(20)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대(50)는 턴버클 형태[환기덕트(10)에 고정되는 제1봉, 버팀관 본체(40)에 고정되는 제2봉, 상기 제1,2봉의 사이에 나사 체결되어 제1,2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너트]로 이루어져 길이조절을 통해 환기덕트(10)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설치가 가능하다.
좌우 양측의 지지대(50) 중에서 어느 일측의 지지대(50)만이 길이조절될 수 있고 물론 양쪽의 지지대(50) 모두 길이조절 될 수 있다.
사다리(60)는 상하로 배열되는 지지대(50)들 사이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이동하도록 하며, 지지대(50)들에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사다리봉으로 구성 가능하다.
가드(70)는 평상시 버팀관 본체(40)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환기면적을 유지하며 필요시 버팀관 본체(40)와 환기덕트(10) 사이에 배열되어 사다리(60)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작업자를 보호한다.
가드(70)는 한 쌍의 수직바(71), 수직바(71)들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바(72)[버팀관 본체(4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구성되며, 일측이 버팀관 본체(40)에 힌지(73) 결합되어 버팀관 본체(40)의 둘레부로 접히거나 반대로 환기덕트(10)쪽으로 회전되어 버팀관 본체(40)와 환기덕트(10) 사이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작업자가 쓰러지는 것을 막아 작업자를 보호한다.
가드(70)는 수평바(72)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버팀관 본체(40)의 둘레면에 밀착됨으로써 공간점유율이 적은 이점이 있고, 또한, 작업자의 몸을 감싸기 때문에 작업자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도 막아주는 이점이 있다.
가드(70)는 작업자가 부딪치더라도 타박상을 입지 않도록 외부면에 탄성패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드(70)는 작업자를 보호하는 용도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사다리 기능을 할 수도 있다.
환기덕트(10)의 내벽에는 가드(70)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예컨대 환기덕트(10)의 내벽면에 돌출되는 브래킷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지하공동구(1)의 내부의 공기는 환기덕트(10)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기되는 한편 신선한 외기는 환기덕트(10)를 통해 지하공동구(1) 안으로 유입되며, 즉 환기덕트(10)를 통해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지하공동구(1) 내부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한다.
이와 같은 환기시 버팀관 본체(40)와 지지대(50)가 환기덕트(10) 안에 있지만 점유면적이 환기면적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환기를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작업자가 지하공동구(1) 안으로 들어가 지하공동구(1) 안에 배선된 케이블 등을 보수하는 경우 덮개(20)를 열어 환기덕트(10)를 개방한다. 작업자는 지지대(50)에 형성된 사다리(60)를 이용하여 지하공동구(1)에 내부로 이동 및 반대로 작업을 마친 후 지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사다리(60)가 환기덕트(10)와 버팀관 본체(40) 사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환기덕트(10)의 벽면을 보면서 이동하지 않고 편안한 이동을 위하여 자유로운 시야 확보가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버팀관 본체(40)로부터 가드(70)를 회전시켜 작업자가 이동하는 경로에 보호펜스를 설치하고, 작업자는 가드(70)에 등을 지지하면서 사다리(60)를 이용하여 이동함으로써 적은 힘을 들여 이동할 수 있고 추락에 의한 불안감없이 이동할 수 있다.
버팀관 본체(40)는 상단부가 덮개(20)를 지지하며, 따라서 환기덕트(10)의 중앙부에도 덮개(20)의 지지기반이 마련되어 덮개(20)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덮개(20)의 붕괴를 방지하므로 작업자는 물론 보행자의 추락사고를 막게 된다.
1 : 지하공동구, 10 : 환기덕트
20 : 덮개, 30 : 버팀관
40 : 버팀관 본체, 50 : 지지대
60 : 사다리, 70 : 가드

Claims (3)

  1. 지하공동구(1)의 내부와 연통하며 배기구가 지상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환기덕트(10)와;
    상기 환기덕트의 상단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공성의 덮개(20)와;
    상기 환기덕트의 내부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내부와 외부에 환기로 및 이동로를 제공하는 버팀관(30)을 포함하고,
    상기 버팀관은, 환기 및 작업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원형관이면서 외주면에 다수의 사다리봉이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상기 덮개를 받쳐 지지하는 버팀관 본체(40), 상기 버팀관 본체의 둘레부에 상기 버팀관 본체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되면서 상호 간에 일정 높이를 두고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한편 상기 환기 덕트(10) 내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단부가 상기 환기 덕트에 앵커링되는 다수의 지지대(50), 상기 지지대들 사이에 형성되는 사다리(60), 상기 지지대 중에서 최상에 배치되는 지지대에 형성되며 상기 환기덕트의 상단부에 형성된 단턱(11)에 매달린 상태로 앵커링되는 행거부(51), 상기 버팀관 본체의 둘레부에 일측이 힌지(73)를 통해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환기덕트의 내벽면에 돌출되는 브래킷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며 상기 사다리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작업자를 보호하는 가드(70)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는 한 쌍의 수직바(71), 상기 수직바들의 사이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작업자를 감싸 보호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사다리로 사용되는 곡선형의 수평바(72)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환기덕트에 앵커링되는 제1봉, 상기 버팀관 본체에 고정되는 제2봉 및 상기 제1,2봉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1,2봉의 거리를 조절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
  2. 삭제
  3. 삭제
KR1020150083711A 2015-06-12 2015-06-12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 KR101584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711A KR101584361B1 (ko) 2015-06-12 2015-06-12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711A KR101584361B1 (ko) 2015-06-12 2015-06-12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361B1 true KR101584361B1 (ko) 2016-01-13

Family

ID=5517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711A KR101584361B1 (ko) 2015-06-12 2015-06-12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3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077B1 (ko) 2020-04-23 2020-08-19 주식회사 네오시티 최상단 슬래브에 개구부를 구비한 수직구 시공방법
KR20210034738A (ko) * 2019-09-20 202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덕트용 소음저감장치
KR102382890B1 (ko)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바이더엠 환기팬 제어기능이 구비된 지하공동구용 조명시스템
CN115303446A (zh) * 2022-08-31 2022-11-08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船用天然气透气装置的维护系统及方法
CN115303446B (zh) * 2022-08-31 2024-06-1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船用天然气透气装置的维护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8787A1 (en) 2002-08-21 2004-03-04 Meiklewall Limited Apparatus for flood protection of manholes and access covers
KR200407148Y1 (ko) 2005-10-20 2006-01-25 황재모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안전장치
KR200464269Y1 (ko) 2010-01-15 2012-12-21 김만섭 고소 작업용 수직사다리
KR101371694B1 (ko) 2013-10-31 2014-03-10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지하 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8787A1 (en) 2002-08-21 2004-03-04 Meiklewall Limited Apparatus for flood protection of manholes and access covers
KR200407148Y1 (ko) 2005-10-20 2006-01-25 황재모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안전장치
KR200464269Y1 (ko) 2010-01-15 2012-12-21 김만섭 고소 작업용 수직사다리
KR101371694B1 (ko) 2013-10-31 2014-03-10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지하 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738A (ko) * 2019-09-20 202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덕트용 소음저감장치
KR102605864B1 (ko) * 2019-09-20 2023-1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덕트용 소음저감장치
KR102146077B1 (ko) 2020-04-23 2020-08-19 주식회사 네오시티 최상단 슬래브에 개구부를 구비한 수직구 시공방법
KR102382890B1 (ko)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바이더엠 환기팬 제어기능이 구비된 지하공동구용 조명시스템
CN115303446A (zh) * 2022-08-31 2022-11-08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船用天然气透气装置的维护系统及方法
CN115303446B (zh) * 2022-08-31 2024-06-1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船用天然气透气装置的维护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97212A1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1322765B1 (ko)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시설
US10106945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1584361B1 (ko)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 시설
EP3485125B1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US10435908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1375604B1 (ko) 공동구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조립식 난간
AU2006100471A4 (en) Guard Panel
KR101317938B1 (ko) 공동구 시공 및 유지관리용 조립식 난간
US10435910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0984871B1 (ko) 공동구 환기구의 접이식 안전 사다리
US10435907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CN203163759U (zh) 一种仪器固定台
KR102160160B1 (ko) 다수의 섹션들로 이루어진 이동식 밀폐 빌딩
JP2006083549A (ja) 津波避難用タワー
KR102579544B1 (ko) 하수암거 보수작업용 자립식 안전장치
JP2015025351A (ja) 避難装置
KR102560655B1 (ko) 하수암거 보수작업용 견착식 안전장치
KR101785682B1 (ko) 탈부착이 자유로운 안전 맨홀커버
JP4678535B2 (ja) 津波避難用タワー
JP6583937B1 (ja) 断熱構造体
KR100508125B1 (ko)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JP4777925B2 (ja) 人孔付接続用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