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978A -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978A
KR20230001978A KR1020210085153A KR20210085153A KR20230001978A KR 20230001978 A KR20230001978 A KR 20230001978A KR 1020210085153 A KR1020210085153 A KR 1020210085153A KR 20210085153 A KR20210085153 A KR 20210085153A KR 20230001978 A KR20230001978 A KR 20230001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pyrophosphate
composition
hinokitio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헌
김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085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978A/ko
Priority to JP2022103493A priority patent/JP2023008885A/ja
Priority to CN202210739661.0A priority patent/CN115531225A/zh
Publication of KR20230001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9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수용성 피로인산염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제형 내 히노키티올의 경시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구강 질환의 예방, 완화 및 치료와 관련하여 시너지 효과 구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Oral composition comprising hinokitiol}
본 발명은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건강의 개념이 사회생활개념으로 변화되면서 구강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구강질환의 예방과 치료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대인관계의 장애가 되는 구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치아조직은 에나멜질, 시멘트질 및 상아질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치아의 바깥쪽은 에나멜질로 덮여 있고, 치조골 내에 위치하는 치아 뿌리 부분의 바깥쪽은 시멘트질로 덮여 있으며, 이들 내부에 상아질이 존재한다. 상아질에는 상아세관이라는 미세한 관이 상아질 전체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구강질환 중 치아 우식증과 치주질환은 통증, 저작기능 장애, 치주조직의 파괴 및 구취와 같은 다양한 임상적인 증상을 유발하고 치아상실을 초래하는 주된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생활의 변화로 치아 우식의 원인요소는 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치면세균막 내에 서식하면서 치아우식, 치주질환 및 구취를 유발하는 구강병원균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이들 세균들에 대한 살균 및 정균작용을 갖는 항생제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항균제제가 충치, 치주질환, 치수 및 치근단 감염의 억제 및 치료제로써 개발되어 왔다.
히노키티올은 우수한 항균, 항염 작용으로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며 상처 수렴 작용이나 구취 예방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히노키티올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하면 충분한 효능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저장 안정성이 떨어져 장기간 저장하면 경시로 인한 히노키티올의 잔존율이 극도로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구강용 조성물 내에서 히노키티올의 반응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안정성을 향상시켜 구강 내 적용 시 활성을 갖는 안정화된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8440호
본 발명자들은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수용성 피로인산염을 포함시킬 경우, 제형 내 히노키티올의 경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구강 효능의 시너지 효과 구현이 가능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노키티올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면서도 제형 내 히노키티올의 경시 안정성이 확보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형 내 히노키티올의 경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구강 효능의 시너지 효과 구현이 가능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i) 히노키티올 또는 그의 염 및 (ii) 수용성 피로인산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구강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강질환은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취, 시린이,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강 내 점막 궤양 및 치근단 질환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은 상기 구강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는 상기 구강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질환의 증세가 완화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완화"는 상기와 같은 구강질환 증상 등이 줄어들거나 누그러지는 것을 의미하며, 개선, 예방, 치료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개선"은 구강질환 등을 치료하여 증상을 원래의 상태에 가깝도록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구취"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천적인 전신질환에 의해서나 타액중의 단백질, 음식물 찌꺼기 등이 구강 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물질이 분해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구취를 유발하는 1차 원인인 구강 내 미생물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악티노마이세스(Actinomyces) 속, 악티노바실러스(Actinobacillus) 속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아 우식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내 박테리아에 의해 치아가 손상되어 충치가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치아 표면에 생성된 바이오필름인 플라크(plaque)가 원인일 수 있다. 상기 구강 내 박테리아는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은염" 및 "치주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치은연하치태내에 존재하는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등의 세균이 적절한 생육조건이 형성되었을 때 치은 부위의 연조직에 감염을 일으켜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치주질환으로 발전하여 잇몸의 염증을 일으키는 구강질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구강 내 점막 궤양"은 구내염(stomatitis)이라고도 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내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으로 인해 구강 내 점막(혀, 잇몸, 입술, 볼 안쪽 등)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하며 상기 세균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등의 세균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근단 질환"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치아의 뿌리 끝을 의미하는 치근단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치근단 질환으로는 치근단 낭종, 치근단 농양, 치근단 골육종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등의 세균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시린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충치나 다른 병적인 원인과 별개로, 외부 자극에 대해 예리하고 일시적이거나 지속적인 통증이 나타나는 모든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자극은 보통 온도 자극을 의미하며, 대개 차가운 온도 자극에 증상을 호소하는데 뜨거운 온도에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온도 자극 외에도 치아의 건조, 외부 물질과의 접촉, 달거나 신 음식을 통한 삼투압 등의 자극에 의해서도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치아 전체에 전반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상악이나 하악, 또는 오른쪽이나 왼쪽 등 특정 부위에 한정되어 나타나기도 하고, 상아질 지각과민증(dentine hyperesthesia), 우식, 치수 염증과 동반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린이 증상의 원인으로는 상아세관의 입구 노출을 고려할 수 있다.
에나멜질 또는 시멘트질이 파괴되어 상아세관의 입구가 외부로 노출되면 상아세관의 세포돌기, 신경 및 상아질액에 의하여 자극이 치수 쪽으로 전달되어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i) 히노키티올 또는 그의 염 및 (ii) 수용성 피로인산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이 제형 내 히노키티올의 경시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전술한 구강 질환의 예방, 완화 및 치료와 관련하여 시너지 효과 구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히노키티올 또는 그의 염은 히노키티올 자체 또는 산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된 염일 수 있다.
산에 의해 형성된 염은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한데,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형성된 히노키티올 금속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히노키티올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히노키티올 또는 그의 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5 중량%, 더 바람직하게 0.01 내지 0.2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수용성 피로인산염은 피로인산의 알칼리금속염(alkali metal pyrophosphate salts) 및 피로인산의 알칼리토금속염(alkali earth metal pyrophosphate salt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Na4P2O7),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K4P2O7), 산성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Na2H2P2O7), 디포타슘 디하이드로겐 피로포스페이트(dipotassium dihydrogen pyrophosphate; K2H2P2O7), 및 디소듐 디포타슘 피로포스페이트(disodium dipotassium pyrophosphate; Na2K2P2O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피로인산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8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상기 수용성 피로인산염을 포함함으로 인하여 이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히노키티올의 제형 내 안정성(50℃, 1개월 저장 기준)이 적어도 1.5배, 적어도 2배, 적어도 3배, 적어도 4배, 또는 적어도 5배 높아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EDTA와 같은 킬레이트화제, 카르복실산형 양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에틸알코올과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EDTA는 인체 유해물질이고, 카르복실산형 양성 계면활성제와 에틸알코올은 유아 점막 자극성 논란이 있지만, 종래 히노키티올의 조성물 내 경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들 성분들이 구강 조성물에 포함되기도 하였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수용성 피로인산염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상기 유해성 내지 유아 점막 자극성 논란이 있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지 않고도 현저하게 높은 히노키티올의 경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이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및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미생물에 항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상귀스(streptococcus sanguis), 스트렙토코커스 상귀니스(Streptococcus sanguinis),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종 써모필스(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s), 및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균에 항균 효과가 탁월하여 구강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및/또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세균에 항균 효과가 탁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상기 수용성 피로인산염을 포함함으로 인하여 이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구강병원성 균주(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및/또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기준)에 대한 항균 효과가 적어도 2배, 적어도 5배, 적어도 10배, 적어도 50배, 적어도 100배, 적어도 500배, 적어도 1000배, 적어도 5000배, 적어도 1만배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 그 제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통상적으로 성분들로서, 습윤제, 연마제, 약효제, 감미제, pH조정제, 방부제, 결합제, 향료, 기포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습윤제로는 농글리세린, 글리세린, 소르비톨수용액, 비결정성 소르비톨수용액, 폴리에틸렌글리콜류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성분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구강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7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연마제로는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지르코늄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함수알루미나, 경질탄산칼슘, 중질탄산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메타인산염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마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소량 사용되는 첨가제로는 통상 사용되는 성분들로서 감미제, pH 조정제, 방부제, 착색제, 결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약효제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클로로헥시딘, 알란토인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네이트, 아미노카프론산, 염화아연, 염산피리독신, 초산토코페롤, 효소류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결합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보머, 카라기난, 잔탄검, 알지네이트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기포제로서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 중량%이며, 바람직하게 0.5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사카린,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아스파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미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pH조정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 amine(TE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향료로는 페퍼민트 오일, 스피아민트 오일, 멘톨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기타 첨가제로서 덱스타라나제 등의 효소류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포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포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 0.5 내지 3.5 중량%일 수 있다.
그밖에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구강 건강을 위해 제조, 시판되는 제품들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로서, 적용되는 구강용 제품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구강용 제품으로는 치약, 구강 스프레이, 구강 세정제, 구강용 연고, 구강 청정제, 가글링 제품, 껌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강용 제품은 액상, 고상, 현탁액, 젤상, 에어로졸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기재된 모든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한국, 중국,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관련 법규, 규범 (예를 들어, 화장품 안전 기준 등에 관한 규정(한국), 화장품 안전 기술 규범(중국)) 등에서 규정한 최대사용치를 초과하지 않는다. 즉,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 또는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은 각국의 관련 법규, 규범에서 허용되는 함량 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성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수용성 피로인산염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제형 내 히노키티올의 경시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구강 질환의 예방, 완화 및 치료와 관련하여 시너지 효과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
제형 내 히노키티올의 경시 안정성 및 구강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단위: 중량%) 1 2 3 4 5 1 2 3 4 5
소르비톨액(7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덴탈타입실리카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라우릴황산나트륨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사카린나트륨 1 1 1 1 1 1 1 1 1 1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1 1 1 1 1 1 1 1 1 1
불화나트륨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향료 1 1 1 1 1 1 1 1 1 1
히노키티올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피로인산나트륨 0.1 1 5 1
피로인산칼륨 1
산성피로인산나트륨 1
인산이수소나트륨 1
피로인산칼슘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1: 경시 함량 안정성 평가 시험
상기 표 1의 치약 조성물을 치약 튜브에 충진하여 50℃, 1개월 동안 저장했다. 제조 직후와 저장 후의 히노키티올 함량을 분석하여 얻어진 값에서 하기 식에 기반하여 히노키티올 잔존율(%)을 산출했다.
잔존율(%)=(저장 후의 히노키티올 함량/제조 직후의 히노키티올 함량)X100
측정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잔존율(%)
실시예 1 100
실시예 2 100
실시예 3 100
실시예 4 100
실시예 5 100
비교예 2 47
비교예 4 71
비교예 5 47
피로인산칼슘은 일반적으로 치약조성물에 연마제로 사용되는 불용성의 칼슘염이다. 실험결과 수용성 피로인산염을 첨가한 실시예 1~5의 경우 히노키티올의 잔존율이 100%로서 제형 내 히노키티올의 경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에, 불용성의 피로인산칼슘을 첨가한 비교예 5의 경우, 인산염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제형 내 히노키티올의 경시 안정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로인산염이 아닌 모노인산염(인산이수소나트륨)을 첨가한 비교예 4의 경우 인산염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보다는 히노키티올의 잔존율이 높았지만, 실시예 1~5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수불용성인 피로인산 칼슘 또는 모노인산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수용성 피로인산염의 첨가에 의해 히노키티올의 잔존율이 유지될 수 있는 범위, 예를 들어 잔존율이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또는 100% 유지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피로인산칼슘 등의 수불용성 피로인산염 또는 모노인산염 등의 수용성 피로인삼염 외의 인산염을 수용성 피로인산염과 함께 배합할 수도 있다.
실험예 2: 항균효과 실험
치아우식과 치주질환 대표유발 세균인 그람양성균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와 그람음성균인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를 이용하여 균주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항균력 비교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3을 10% 농도로 용해시켜 시료를 제조하였다. 준비된 시험관에 배지를 4.5ml씩 넣고, 처음 시험관에만 준비된 시료를 2% 농도로 하여 5ml씩 넣은 다음, 순차적으로 2배씩 희석하였다. 이 희석액에 각 균주 100㎕를 2x105 CFU/ml가 되도록 각각의 시험관에 첨가하고, 하기 표 3의 각 균주별 최적조건에서 16시간 이상 배양한 후 탁도를 나타내지 않는 최소저해농도 MIC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균주 최적조건
그람염색 (Gram staining) 균주명 온도 배지 형질
Gram (+) Streptococcus mutans 37℃ BHI Facultative anaerobic
Gram (-) Porphyromonas gingivalis 37℃ TSA Hemin Menadione medium Anaerobic
구강 병원성 균주
S.mutans P. gingivalis
실시예 1 50 60
실시예 2 20 32
실시예 3 1 2
실시예 4 25 31
실시예 5 22 35
비교예 1 4450 4400
비교예 2 2400 2300
비교예 3 4320 4400
실험결과 히노키티올 및 수용성 피로인산염 둘 모두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 히노키티올만을 첨가한 비교예 2 및 수용성 피로인산염만을 첨가한 비교예 3의 치약 조성물은 낮은 항균효과를 나타낸 반면에, 히노키티올 및 수용성 피로인산염 둘 모두를 첨가한 실시예 1~5의 경우에는 항균효과가 현저하게 상승하여 히노키티올 및 수용성 피로인산염의 조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치은염증 형성 억제효과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치은염증 형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치열이 고르고 결손 치아가 없는 치은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연령별 20세부터 50세까지 10세 간격으로 성별에 따라 40명씩 정밀한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160명의 실험대상군을 선별한 후 20명씩 나누어 치은염증 치료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식후 2시간 경과 후 잠자기 전에 하루 3회 사용하도록 교육시키고, 치면세마를 실시하여 초기 치은염지수를 점수화하고 각각의 치약 조성물을 사용하도록 하여 1주, 1개월 및 3개월 경과 후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치은염지수를 검사하였다. 치은염지수의 측정방법은 페리오덴탈 프로브(periodontal probe)를 치은열구 내에 삽입하여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각 치아주위를 연소하여 탐침하고 30초가 지난 뒤에 출혈된 상태를 측정하여 하기 표 5와 같은 방법으로 점수를 기록하고, 측정된 치은염증 억제효과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점수 내용
0점 무출혈상태
1점 정상출혈상태
2점 선상출혈상태
3점 치간부위 삼각형 출혈상태
4점 치은전체 출혈상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초기 1.03 1.03 1.05 1.04 1.04 1.03 1.06 1.04
1주 1.16 1.09 1.06 1.11 1.10 1.32 1.25 1.30
1개월 1.27 1.18 1.09 1.20 1.18 2.65 2.21 2.59
3개월 1.33 1.23 1.10 1.25 1.26 3.30 3.09 3.28
실험예 4: 시린이현상 억제정도 비교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시린이 억제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지각과민치아를 가진 20세부터 50세까지의 사람으로 이 실험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지원자 16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대상군을 20명씩 나누어 시린이현상 억제 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시험기간은 2주로 하였다.
온도자극을 가한 후 환자의 반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미리 각 지원자의 지각과민 치아의 과민부위를 체크하였고, 치아의 시린부위에 약 5℃의 차가운 물을 스포이드로 떨어뜨려 평점을 한 후 2주간 각각의 조성물을 1일 3회 사용하게 하고, 2주가 지나 다시 약 5℃의의 차가운 물을 스포이드로 떨어뜨려 평점을 하였다. 자극 후 환자의 반응 평점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0점: 아무런 불편감이 없다., 1점: 약간 불편하거나 시리다., 2점: 많이 시리다., 3점: 아프다.). 2주 후의 온도자극에 대한 반응점수는 하기 표 7과 같았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0주 2.19 2.20 2.20 2.19 2.18 2.19 2.20 2.19
2주 1.38 1.25 1.13 1.27 1.24 2.20 1.99 2.19
실험예 5: 구취제거 효과 실험
구취제거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치아우식증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20세부터 50세 연령의 남녀 160명을 선정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대상군을 20명씩 나누어 구취제거 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판하는 마늘분을 물에 분산시켜 24시간 방치한 후 희석하여 할리미터(Halimeter) 측정값이 700ppb 이상이 되도록 하여, 상기 희석액을 구취 유발원으로 사용하였다. 마늘분 희석액 15ml로 30초간 가글을 한 후 1분 뒤에 할리미터로 구취정도를 측정한 후, 각각의 실험 조성물 치약을 사용하여 30초~1분간 양치질하였다. 양치질 수 1분, 5분, 30분 경과 후 할리미터로 구취정도를 측정하여 구취억제의 지속여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았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분 93.0% 96.4% 99.9% 95.7% 95.0% 40.4% 55.8% 42.1%
5분 85.4% 90.7% 96.4% 88.2% 88.8% 32.1% 48.5% 33.7%
30분 82.1% 86.1% 91.0% 84.2% 85.6% 26.4% 39.8% 28.1%
실험예 6: 치석 및 프라그 제거 효과 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치석 제거 효과 및 프라그 제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상시 치석이 많은 20세부터 50세까지의 남녀 160명을 선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대상군을 20명씩 나눈 후, 시판되고 있는 단순 불소 치약으로 1주간 사용하게 하였으며, 이 때 치석 지수와 프라그 지수를 기록하고 이를 초기 지수값으로 하였다. 각각의 실험 조성물을 제공하고, 동일한 구강 위생 관리법을 교육한 다음, 3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치석 지수(말기 치석 지수값)와 프라그 지수(말기 프라그 지수값)를 평가하고, 하기식에 기반하여 감소율을 산출하였다.
치석 감소율(%)={(초기 치석 지수-말기 치석 지수)/초기 치석 지수}x100
프라그 감소율(%)={(초기 프라그 지수-말기 프라그 지수)/초기 프라그 지수}x100
그 결과는 하기 표 9와 같았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치석감소율(%) 33.8 42.1 59.9 41.8 42.1 1.4 8.3 10.5.
프라그감소율(%) 48.2 57.6 71.3 57.0 55.9 4.9 15.7 13.2
이상 6가지 실험을 통하여, 수용성 피로인산염을 복합 처방 시 제형 내 히노키티올의 경시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으며, 피로인산염이 히노키티올의 구강 효능을 증진시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은 각각의 구강 효과가 전혀 없거나 미비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5의 치약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의 치약 조성물에 비하여 구강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를 통해, 수용성 피로인산염이 히노키티올의 안정성을 개선시켜 줌과 동시에 히노키티올의 항균, 잇몸질환, 시린이, 구취, 치석 및 프라그 제거 효과를 개선함으로써 구강 건강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개선시키는데 우수한 조성물로 판단된다.

Claims (10)

  1. (i) 히노키티올 또는 그의 염 및 (ii) 수용성 피로인산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피로인산염은 피로인산의 알칼리금속염(alkali metal pyrophosphate salts) 및 피로인산의 알칼리토금속염(alkali earth metal pyrophosphate salt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피로인산염은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Na4P2O7),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K4P2O7), 산성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Na2H2P2O7), 디포타슘 디하이드로겐 피로포스페이트(dipotassium dihydrogen pyrophosphate; K2H2P2O7), 및 디소듐 디포타슘 피로포스페이트(disodium dipotassium pyrophosphate; Na2K2P2O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질환은 구취, 시린이,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질환, 구강 내 점막 궤양, 치근단 질환, 및 치석 및 프라그 부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노키티올 또는 그의 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피로인산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및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미생물에 항균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제품은 치약, 가글링 제품, 껌, 구강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 구강 세정제 및 구강 청정제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제품.
KR1020210085153A 2021-06-29 2021-06-29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230001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53A KR20230001978A (ko) 2021-06-29 2021-06-29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JP2022103493A JP2023008885A (ja) 2021-06-29 2022-06-28 ヒノキチオール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CN202210739661.0A CN115531225A (zh) 2021-06-29 2022-06-28 含有桧木醇的口腔用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53A KR20230001978A (ko) 2021-06-29 2021-06-29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78A true KR20230001978A (ko) 2023-01-05

Family

ID=8472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153A KR20230001978A (ko) 2021-06-29 2021-06-29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08885A (ko)
KR (1) KR20230001978A (ko)
CN (1) CN1155312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440B1 (ko) 2020-07-10 2021-01-27 (주)도일에코텍 항균성 첨가제 조성물 및 항균 제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440B1 (ko) 2020-07-10 2021-01-27 (주)도일에코텍 항균성 첨가제 조성물 및 항균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08885A (ja) 2023-01-19
CN115531225A (zh)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askevas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on agents used for chemical plaque control
Mandel Antimicrobial mouthrinses: overview and update
JP2017500331A (ja) 酸化亜鉛及びクエン酸亜鉛を含む歯磨剤組成物
EP0675705A1 (en)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antiplaque, anticalculus agents
US6110445A (en) Oral composition exhibiting improved uptake and retention of antibacterial compounds on dental tissue surfaces
KR101336726B1 (ko) 식물의 꽃 절편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US5827503A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periodontitis
KR102509579B1 (ko) 카사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JP2548265B2 (ja) 口腔衛生用医薬
EP4000594A1 (en) Oral compositions for post-dental implants
US8871183B2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and maintaining oral health
KR20230001978A (ko)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97684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0119269B1 (ko) 구강 위생 개선용 조성물
KR20160061852A (ko) 금속이온 봉쇄제와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을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
KR20170037231A (ko) 퍼슬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97685B1 (ko) 파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WO2020130164A1 (ko) 구강 위생 조성물
KR100665891B1 (ko) 하이드록시타이로졸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379228B1 (ko) 차이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EP1019015B1 (en) Oral composition exhibiting improved antibacterial uptake and retention
KR013824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YILMAZ et al. Effectiveness of Antimicrobial Mouthwashes in Caries Biofilm
EP4044995A1 (en) Oral car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