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972A -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 Google Patents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972A
KR20230001972A KR1020210085145A KR20210085145A KR20230001972A KR 20230001972 A KR20230001972 A KR 20230001972A KR 1020210085145 A KR1020210085145 A KR 1020210085145A KR 20210085145 A KR20210085145 A KR 20210085145A KR 20230001972 A KR20230001972 A KR 20230001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contact
blade
low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앤스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앤스카이 filed Critical (주)에이치앤스카이
Priority to KR1020210085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972A/ko
Publication of KR2023000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3Materials, e.g. special compositions or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가 개시된다. 상기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는, 외형 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힌지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만 회동하고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제한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간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공기의 흐름이 중지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일방향으로 회동할 때 블레이드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방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소음방지수단은, 블레이드의 단부 또는 상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단부와 접촉하는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접촉부분에 설치되고, 블레이드간 접촉 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LOW NOISE BACKDRAFT DAMPER}
본 발명은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타방향에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자중에 의해 순간적으로 블레이드가 하강하여 공기통로가 폐쇄될 경우 블레이드간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이나 기타 공기조화기의 통풍구에는 이의 풍향 및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댐퍼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댐퍼에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각각 별개로 댐퍼의 하우징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구조로 연결되어 구비되어 토출되는 풍향 및 풍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항과 같은 넓은 장소의 공기조화시에는 대형 공기조화기내에 다수개의 송풍기와 댐퍼가 각각의 격실에 한 쌍씩 구비되어 운전된다.
이와 같은 다수의 송풍기와 댐퍼가 구비된 대형 공기조화기는 이의 운전시 실내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서 대형 공기조화기 내에 구비된 모든 송풍기가 작동되거나, 또는 일측의 송풍기는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나머지의 송풍기만 작동되게 되는 바, 이때 댐퍼의 블레이드는 단순히 그 양단이 댐퍼의 하우징에 각각 별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상태로서, 송풍기가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댐퍼의 블레이드는 자중에 의해서 일부는 닫히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개방된 블레이드를 통해서 작동되는 송풍기에 의해서 토출된 공기가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송풍기 측으로 역류되어 유입되게 된다, 즉 공기조화기의 덕트가 연통되도록 설계됨에 따라 덕트를 통해 일부 댐퍼를 통해 불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역류방지 댐퍼(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7999)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역류방지 댐퍼는 송풍기가 정지되었을 때 블레이드는 자중에 의해서 닫히고, 블레이드가 닫힌 상태에서는 역류방지핀과 핀가이드에 의해 블레이드의 역방향 회전이 단속함으로써 공기가 댐퍼로 역류되어 송풍기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블레이드에 회전시 안정감이 있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중량체가 충진되어 떨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역류방지 댐퍼의 경우 송풍기가 정지되었을 때 자중에 의해 블레이드가 닫힐 경우 블레이드가 접하는 부분에 접촉 시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단순히 중량체를 통해서 블레이드에 중력을 가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이므로 기밀성 유지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역류 방지 댐퍼에 있어 블레이드 작동 시 근본적으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대책과 기밀성 유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799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09528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 유입 또는 토출 시 자중에 의해 순간적으로 블레이드가 하강하여 공기통로가 폐쇄될 경우 블레이드간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는, 외형 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힌지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만 회동하고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제한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간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공기의 흐름이 중지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일방향으로 회동할 때 블레이드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방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소음방지수단은, 블레이드의 단부 또는 상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단부와 접촉하는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접촉부분에 설치되고, 블레이드간 접촉 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수단은,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와 접촉하는 블레이드의 단부에 설치되고, 접촉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된 제1소음방지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수단은, 상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단부와 접촉하는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접촉부분에 설치되고, 접촉부분에 홈이 형성된 제2소음방지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수단은,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와 접촉하는 블레이드의 단부에 설치되고, 접촉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된 제1소음방지부재; 및 상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단부와 접촉하는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접촉부분에 설치되고, 접촉부분에 홈이 형성된 제2소음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에는,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절개선이 형성된 제1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에는,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절개선이 형성된 제2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절개선과 절개선 사이에 설정 간격만큼 빈 공간이 마련된 공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는 내부의 일부가 비어있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소음방지부재는, 단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제2소음방지부재는, 상기 연장실링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실링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홈부는, 상기 연장실링부가 삽입된 이후 설정 압력 이하로 바람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인출되지 않고 삽입된 상태로 걸림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고, 설정 압력 이상으로 바람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연장실링부가 개방된 일측부분을 타고 넘어가면서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측이 곡면되게 돌출 형성된 곡면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실링부는, 상기 곡면돌출부를 타고 넘어가는 부분에 사선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실링부는, 상기 곡면돌출부를 타고 넘어가는 부분에 내부가 빈 형태의 압축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는, 공기조화기에서 일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타방향에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일방향으로만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의 흐름이 중지되어 자중에 의해 순간적으로 블레이드가 하강하여 공기통로가 폐쇄될 경우 소음방지수단을 통해 블레이드간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기밀유지수단을 통해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소음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사시도.
도 2는 블레이드가 열려진 상태의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측면도.
도 3은 블레이드가 닫혀진 상태의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측면도.
도 4는 소음방지수단에 제1절개부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요부 사시도.
도 5는 소음방지수단에 제2절개부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요부 사시도.
도 6은 소음방지수단에 공간홈이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요부 사시도.
도 7은 소음방지수단에 연장실링부 및 실링홈부가 부가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연장실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다른 실시예 요부 측면도.
도 9는 연장실링부에 압축공간부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 요부 측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용 댐퍼는 공기 유입 또는 토출 시 자중에 의해 순간적으로 블레이드가 하강하여 공기통로가 폐쇄될 경우 블레이드간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사시도이고, 도 2는 블레이드가 열려진 상태의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측면도이며, 도 3은 블레이드가 닫혀진 상태의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1)는 크게 하우징(10), 블레이드(20) 및 소음방지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0)은 전체 외형 틀을 이루는 부분으로, 수직 및 수평 프레임들의 조합으로 사각프레임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배기 덕트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천장, 벽면 등에 타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각 프레임은 횡단면이 'L'자형 또는 'C'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설치공간의 구조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레이드(20)는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 유입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힌지(11)에 의해 결합되고, 힌지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만 회동하고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제한되며,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수직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0)는 크게 수직으로 평평한 면이 형성된 상측 부분의 제1면부(21) 및 상기 제1면부(21) 단부에 연결되도록 수직으로 평평한 면이 형성된 하측 부분의 제2면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면부(21)는 공기의 유입에 의해 공기 저항을 받는 부분이고, 상기 제2면부(22)는 복수의 블레이드(20)간 접촉되느 상기 제1면부(21)로부터 일정 각도 꺾어진 상태로 연결되는 접촉 부분이다.
상기 블레이드(20)는 별도의 개폐수단이 구비되지 않고도 공기의 유입량 및 압력에 따라 설정 이상의 유입공기의 압력이 발생하면 일측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상태가 되고, 설정 이하의 유입공기의 압력일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공기통로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20) 각각은 서로 일부분 중첩되어 폐쇄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상측에 배치된 블레이드(20)의 단부는 하측에 배치된 인접한 블레이드(20)의 상단부분인 상기 제1면부(21)와 접촉되도록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2면부(22)를 통해 복수의 블레이드(20) 전체가 서로 중첩되어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이처럼 복수의 블레이드(20)가 중첩되어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다 보니 블레이드(20)가 유입된 공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상태로 된 이후 자중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동하여 폐쇄된 상태가 될 경우 복수의 블레이드(20)는 서로 블레이드(20)간 접촉되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즉, 블레이드(2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할 경우 순간적으로 회동하면서 하강하게 됨으로써 블레이드(20)간 접촉시 소음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람의 유입량에 따라 수시로 블레이드(20)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상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마다 블레이드(20)의 접촉 소음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불쾌감을 조성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소음방지수단(30)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20)의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간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공기의 흐름이 중지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일방향으로 회동할 때 블레이드(20)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수단(30)은 블레이드(20)의 단부 또는 상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20)의 단부, 즉 제2면부(22)와 접촉하는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20)의 접촉부분인 제1면부(21)에 설치되고, 블레이드(20)간 접촉 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음방지수단(30)은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20)와 접촉하는 블레이드(20)의 단부인 제2면부(22)에 설치되고, 접촉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된 제1소음방지부재(310)일 수 있다.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는 블레이드(20)의 단부인 제2면부(22)에 부착되도록 설치되고, 하측의 블레이드(20)와 접촉되는 중심부분은 돌출된 돌출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음방지수단(30)은 상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20)의 단부인 제2면부(22)와 접촉하는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20)의 접촉부분인 제1면부(21)에 설치되고, 접촉부분에 홈이 형성된 제2소음방지부재(320)일 수 있다.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320)는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의 돌출돌기(311)와 대응되도록 돌기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음방지수단(30)은 상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20)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소음방지부재(310)이거나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와 접촉하는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20)의 접촉부분에 설치되는 제2소음방지부재(320)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음방지수단(30)은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320)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소음방지수단(30)은 선택적으로 제1소음방지부재(310)만 설치되거나 제2소음방지부재(320)만 설치되거나 또는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320) 둘 다 설치되거나 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방지수단(30)은 결국 블레이드(20)의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블레이드(20) 접촉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마찰 소음까지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제2소음방지부재(320) 모두가 설치된 경우, 제1소음방지부재(310)의 돌출돌기(311)는 제2소음방지부재(320)의 돌기홈(321)의 홈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돌기홈(321)은 상기 돌출돌기(311)의 크기에 비해 미세하게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돌출돌기(311)가 돌기홈(321)에 삽입된 이후 공기 유입량에 따라 설정 압력 이상으로 공기가 유입될 경우에는 쉽게 돌기홈(321)에 삽입된 돌출돌기(311)가 인출되어 분리되지만, 설정 압력 이하로 공기가 유입될 경우에는 블레이드(20)의 폐쇄된 상태가 유지될 필요가 있으므로 쉽게 돌기홈(321)에 삽입된 돌출돌기(311)가 인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소음방지수단에 제1절개부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소음방지수단에 제2절개부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320)에는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절개선이 형성된 제1절개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개부(331)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으로 절개선이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320) 표면 일부가 접촉 시 유동성을 가지고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절개선이 형성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접촉 또는 마찰시 표면 형태 변형이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어,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320)가 상호간 접촉 시 충격이 분산되어 충격완화 효과 및 소음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320)에는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절개선이 형성된 제2절개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절개부(332)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표면의 굴곡을 따라 수직으로 절개선이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0)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320) 표면 일부가 접촉 시 유동성을 가지고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절개선이 형성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접촉 또는 마찰시 표면 형태 변형이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어,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320)가 상호간 접촉 시 충격이 분산되어 충격완화 효과 및 소음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제2소음방지부재(320)는 내부의 일부가 비어있는 중공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333)는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제2소음방지부재(320)가 접촉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제2소음방지부재(320) 내부가 비어진 형태로서 중공부(333)의 공간까지 압축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어 내부가 채워진 구조 대비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이 점차적으로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소음방지수단에 공간홈이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절개부(331) 및 상기 제2절개부(332)는 상기 절개선과 절개선 사이에 설정 간격만큼 빈 공간이 마련된 공간홈(3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홈(334)은 각각의 절개선이 접하는 부분에 부피가 일부 제거된 공간으로 각각의 절개선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여유 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공간홈(334)에 의해 블레이드(20)가 하강하여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제2소음방지부재(320)가 접촉할 경우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제2소음방지부재(320)의 유동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시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유동성이 향상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제2소음방지부재(320)가 접촉할 경우 보다 충격완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소음방지수단에 연장실링부 및 실링홈부가 부가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소음방지부재(310)는 단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실링부(340)를 더 포함하고, 제2소음방지부재(320)는 상기 연장실링부(340)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실링홈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실링부(340)는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가 설치된 블레이드(20)가 폐쇄된 상태에서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장실링부(340)가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320)의 상기 실링홈부(350)에 삽입됨에 따라 블레이드(20)가 폐쇄된 상태가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제2소음방지부재(320)는 상기 연장실링부(340)가 상기 실링홈부(350)에 삽입된 상태가 됨에 따라 공기가 타방향으로부터 유입되어 역류하더라도 설정 공기압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쉽게 상측으로 회동하도록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실링홈부(350)는 상기 연장실링부(340)가 삽입된 이후 설정 압력 이하로 바람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인출되지 않고 삽입된 상태로 걸림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고, 설정 압력 이상으로 바람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연장실링부(340)가 개방된 일측부분을 타고 넘어가면서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측이 곡면되게 돌출 형성된 곡면돌출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실링부(340)는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310) 및 제2소음방지부재(320)가 접촉 시 일정 공기압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링홈부(350)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설정 공기압력 이상 발생할 경우에는 쉽게 분리되어 블레이드(20)가 상측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연장실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다른 실시예 요부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장실링부(340)는 상기 곡면돌출부(351)를 타고 넘어가는 부분에 사선으로 경사지게 경사면(3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41)은 상기 연장실링부(340)가 상기 곡면돌출부(351)를 원활하게 타고 넘거가게 하기 위해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면(341)은 일측면 또는 양측면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연장실링부에 압축공간부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 요부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연장실링부(340)는 상기 곡면돌출부(351)를 타고 넘어가는 부분에 내부가 빈 형태의 압축공간부(3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간부(342)는 내부가 빈 형태로서 상기 연장실링부(340)가 상기 곡면돌출부(351)를 타고 넘어가는 경우에는 내부의 빈 공간에 의해 부피가 축소되어 압축되되 상기 연장실링부(340)가 곡면돌출부(351)를 타고 넘어간 이후 실링홈부(350)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다사 그 형태가 복원되어 부피가 확장되어 펼쳐지면서 보다 견고하게 실링홈부(35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1)는, 공기조화기에서 일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타방향에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일방향으로만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의 흐름이 중지되어 자중에 의해 순간적으로 블레이드(20)가 하강하여 공기통로가 폐쇄될 경우 소음방지수단(30)을 통해 블레이드(20)간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연장실링부(340)을 통해 블레이드(20)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소음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역류 방지 댐퍼 10: 하우징
11: 힌지 20: 블레이드
21: 제1면부 22: 제2면부
30: 소음방지수단 310: 제1소음방지부재
311: 돌출돌기 320: 제2소음방지부재
321: 돌기홈 331: 제1절개부
332: 제2절개부 333: 중공부
334: 공간홈 340: 연장실링부
341: 경사면 342: 압축공간부
350: 실링홈부 351: 곡면돌출부

Claims (12)

  1. 외형 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힌지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만 회동하고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제한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간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공기의 흐름이 중지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일방향으로 회동할 때 블레이드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방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소음방지수단은,
    블레이드의 단부 또는 상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단부와 접촉하는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접촉부분에 설치되고, 블레이드간 접촉 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수단은,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와 접촉하는 블레이드의 단부에 설치되고, 접촉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된 제1소음방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수단은,
    상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단부와 접촉하는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접촉부분에 설치되고, 접촉부분에 홈이 형성된 제2소음방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수단은,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와 접촉하는 블레이드의 단부에 설치되고, 접촉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된 제1소음방지부재; 및
    상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단부와 접촉하는 하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접촉부분에 설치되고, 접촉부분에 홈이 형성된 제2소음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에는,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절개선이 형성된 제1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에는,
    외측 표면에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절개선이 형성된 제2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음방지부재 및 상기 제2소음방지부재는 내부의 일부가 비어있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절개선과 절개선 사이에 설정 간격만큼 빈 공간이 마련된 공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9. 제 4항에 있어서,
    제1소음방지부재는,
    단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제2소음방지부재는,
    상기 연장실링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실링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홈부는,
    상기 연장실링부가 삽입된 이후 설정 압력 이하로 바람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인출되지 않고 삽입된 상태로 걸림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고, 설정 압력 이상으로 바람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연장실링부가 개방된 일측부분을 타고 넘어가면서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측이 곡면되게 돌출 형성된 곡면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실링부는,
    상기 곡면돌출부를 타고 넘어가는 부분에 사선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실링부는,
    상기 곡면돌출부를 타고 넘어가는 부분에 내부가 빈 형태의 압축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KR1020210085145A 2021-06-29 2021-06-29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KR20230001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45A KR20230001972A (ko) 2021-06-29 2021-06-29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45A KR20230001972A (ko) 2021-06-29 2021-06-29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72A true KR20230001972A (ko) 2023-01-05

Family

ID=8492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145A KR20230001972A (ko) 2021-06-29 2021-06-29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97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528Y1 (ko) 2000-08-11 2001-01-15 주식회사동양공조 역류방지용 댐퍼
KR200477999Y1 (ko) 2014-02-10 2015-08-13 원준호 역류방지 댐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528Y1 (ko) 2000-08-11 2001-01-15 주식회사동양공조 역류방지용 댐퍼
KR200477999Y1 (ko) 2014-02-10 2015-08-13 원준호 역류방지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49893B (zh) 移动式空调
CN109804207B (zh) 管道用阻尼器
KR20060132950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230001972A (ko) 저소음 역류 방지 댐퍼
RU2374415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граничения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для окна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вентиляцией
JP4580378B2 (ja) 空気調和機
JP6284733B2 (ja) 自然換気装置を有する建物
JP6839009B2 (ja) 換気装置及び建具
US3403616A (en) Combination storm louver and automatic back-draft damper
JP2003065581A (ja) 換気装置
JPH10232039A (ja) 建物の定風量自然換気装置
JP4888907B2 (ja) 建具用弁装置及び建具
KR101336312B1 (ko) 가이드 베일을 가지는 댐퍼
KR200477999Y1 (ko) 역류방지 댐퍼
CN203856778U (zh) 用于空调风机出口的止回阀
KR102551282B1 (ko)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한 무게추 유동으로 계폐되는 역류방지 댐퍼
JPH04316938A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
KR100970054B1 (ko) 유로 개폐 장치 및 공기 조화기
JPH0424336Y2 (ko)
JP6839008B2 (ja) 換気装置及び建具
KR101516265B1 (ko) 풍향 감응식 윈드 가이드
KR20190097131A (ko) 차량의 객실용 통기 장치
KR200402843Y1 (ko) 환풍장치
CN218936557U (zh) 一种幕墙通风器
CN213392772U (zh) 用于风机百叶窗降噪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