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856U - 냄비뚜껑 - Google Patents

냄비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856U
KR20230001856U KR2020220000663U KR20220000663U KR20230001856U KR 20230001856 U KR20230001856 U KR 20230001856U KR 2020220000663 U KR2020220000663 U KR 2020220000663U KR 20220000663 U KR20220000663 U KR 20220000663U KR 20230001856 U KR20230001856 U KR 202300018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pot lid
food
side wall
intern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풍
Original Assignee
영성금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성금속(주) filed Critical 영성금속(주)
Priority to KR2020220000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856U/ko
Publication of KR20230001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56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냄비본체(B)를 통해 조리된 음식물을 간단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냄비뚜껑에 음식물을 간이로 담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두세 가지의 메뉴를 서로 구획하여 올려놓고서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한 냄비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냄비본체(B)에 걸쳐지는 외곽테두리(61)를 기본으로 하면서 외곽테두리(61)로부터 테두리측벽(62)을 상승시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N)을 형성함과 동시에 천장부(63)를 가로질러 테두리측벽(62)에 이르기까지 돌출라인(63a)을 내향 돌출시켜 내부공간(N)을 복수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어 라면을 한쪽 내부공간(N)에 담은 대신 김치를 다른 쪽 내부공간(N)에 채워 실내는 물론이고 야외 및 캠핑장에서 외부손잡이(70)를 잡고 간단 용이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냄비뚜껑에 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냄비뚜껑{POT LID}
본 고안은 냄비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본체를 통해 조리된 음식물을 간단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냄비뚜껑에 음식물을 간이로 담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두세 가지의 메뉴를 서로 구획하여 올려놓고서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한 냄비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는 냄비본체 및 냄비뚜껑으로 이루어져 음식물을 삶거나 익히거나 구울 수 있도록 하는 주방기구이다.
하나의 냄비로서 두 가지 이상의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할 때 냄비본체를 이등분 및 삼등분한 냄비가 개발되어 왔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냄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로 제조되며, 바닥부(10) 및 측벽(20)을 구비하면서 개구부(30)가 마련되고, 바닥부(10) 및 측벽(20)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을 바닥부(10) 및 개구부(30)를 분할하여 공유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구획벽(50)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냄비로서 두 가지 이상의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할 때 냄비본체를 이등분 및 삼등분한 냄비가 이미 출원 및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음식물을 두 가지 이상으로 조리하기 위한 냄비본체의 이등분 및 삼등분은 지금까지 생각하고 개발하고 출원하는 등의 다각적인 아이디어로 시도되어 왔으나, 냄비뚜껑은 냄비본체를 덮는 기능 이외에 어떠한 고려조차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4849호
본 고안의 목적은 냄비본체를 통해 조리된 음식물을 간단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냄비뚜껑에 음식물을 간이로 담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두세 가지의 메뉴를 서로 구획하여 올려놓고서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한 냄비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냄비본체에 걸쳐지는 외곽테두리를 기본으로 하면서 외곽테두리로부터 테두리측벽을 상승시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천장부를 가로질러 테두리측벽에 이르기까지 돌출라인을 내향 돌출시켜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어 라면을 한쪽 내부공간에 담은 대신 김치를 다른 쪽 내부공간에 채워 실내는 물론이고 야외 및 캠핑장에서 외부손잡이를 잡고 간단 용이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 냄비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돌출라인에 대응하는 오목라인을 천장부의 표면에 더 구비시켜 음식물의 조리시 젓가락이나 숟가락 등을 임시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냄비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냄비뚜껑은,
냄비본체에 걸쳐지는 외곽테두리와,
상기 외곽테두리로부터 상승된 테두리측벽과,
상기 테두리측벽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펼쳐져 내부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손잡이가 장착되는 천장부와,
상기 천장부를 가로질러 상기 테두리측벽에 이르기까지 내향 돌출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돌출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냄비본체를 통해 조리된 음식물을 간단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냄비뚜껑에 음식물을 간이로 담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두세 가지의 메뉴를 서로 구획하여 올려놓고서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냄비본체에 걸쳐지는 외곽테두리를 기본으로 하면서 외곽테두리로부터 테두리측벽을 상승시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천장부를 가로질러 테두리측벽에 이르기까지 돌출라인을 내향 돌출시켜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어 라면을 한쪽 내부공간에 담은 대신 김치를 다른 쪽 내부공간에 채워 실내는 물론이고 야외 및 캠핑장에서 외부손잡이를 잡고 간단 용이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돌출라인에 대응하는 오목라인을 천장부의 표면에 더 구비시켜 음식물의 조리시 젓가락이나 숟가락 등을 임시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스테인리스스틸로 된 판재를 압착시켜 간단히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뚜껑을 냄비본체에 씌은 모습을 촬영한 사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냄비뚜껑을 상측에서 촬영한 사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뚜껑을 하측에서 촬영한 사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뚜껑에서 외부손잡이를 분리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
본 고안에 따른 냄비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뚜껑을 냄비본체(B)에 씌은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냄비뚜껑을 상측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뚜껑을 하측에서 촬영한 사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뚜껑에서 외부손잡이(70)를 분리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냄비뚜껑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본체(B)에 걸쳐지는 외곽테두리(61)와, 외곽테두리(61)로부터 상승된 테두리측벽(62)과, 테두리측벽(62)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펼쳐져 내부공간(N)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손잡이(70)가 장착되는 천장부(63)와, 천장부(63)를 가로질러 테두리측벽(62)에 이르기까지 내향 돌출되어 내부공간(N)을 구획하는 돌출라인(63a)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최근 들어, 캠핑장이나 야외에서의 활동이 많아 음식물을 간단히 조리하거나 섭취할 수 있는 기구가 개발되고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냄비본체(B)를 통해 조리된 음식물을 간단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냄비뚜껑에 음식물을 간이로 담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두세 가지의 메뉴를 서로 구획하여 올려놓고서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냄비본체(B)에 걸쳐지는 외곽테두리(61)를 기본으로 하면서 외곽테두리(61)로부터 테두리측벽(62)을 상승시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N)을 형성함과 동시에 천장부(63)를 가로질러 테두리측벽(62)에 이르기까지 돌출라인(63a)을 내향 돌출시켜 내부공간(N)을 복수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어 라면을 한쪽 내부공간(N)에 담은 대신 김치를 다른 쪽 내부공간(N)에 채워 실내는 물론이고 야외 및 캠핑장에서 외부손잡이(70)를 잡고 간단 용이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돌출라인(63a)을 두세 개로 형성시킬 경우 내부공간(N)의 구획 수가 더 많아져 다수의 음식물을 나눌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되고, 서로 평행 및 교차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내부공간(N)을 구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천장부(63)의 외부표면은 내부공간(N)을 구획하는 돌출라인(63a)에 대응하는 오목라인(63b)을 더 구비하여, 음식물의 조리시 젓가락이나 숟가락 등을 임시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냄비뚜껑의 외곽테두리(61), 테두리측벽(62), 천장부(63) 및 돌출라인(63a)은 판재를 압착시켜 간단히 마련할 수 있고, 이때, 판재는 스테인리스스틸 판재를 적용하여 프레스로 압착할 때 더욱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손잡이(70)는 천장부(63)의 외부표면에 용접된 볼트(71)에 치합되도록 하여, 돌출라인(63a)에 의해 구획된 내부용기에 음식물을 분할하여 채울 경우 국물이 빠져나오는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 외부손잡이(70)에 자석을 매립시켜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냄비 및 프라이팬 등과 같은 주방용기 관련의 권리범위에 속하면서 그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B : 냄비본체
61 : 외곽테두리
62 : 테두리측벽
63 : 천장부
63a : 돌출라인
63b : 오목라인
N : 내부공간
70 : 외부손잡이
71 : 볼트

Claims (5)

  1. 냄비본체(B)에 걸쳐지는 외곽테두리(61)와,
    상기 외곽테두리(61)로부터 상승된 테두리측벽(62)과,
    상기 테두리측벽(62)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펼쳐져 내부공간(N)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손잡이(70)가 장착되는 천장부(63)와,
    상기 천장부(63)를 가로질러 상기 테두리측벽(62)에 이르기까지 내향 돌출되어 상기 내부공간(N)을 구획하는 돌출라인(6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부(63)의 외부표면은 상기 내부공간(N)을 구획하는 돌출라인(63a)에 대응하는 오목라인(63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테두리(61), 테두리측벽(62), 천장부(63) 및 돌출라인(63a)은 판재를 압착시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손잡이(70)는 상기 천장부(63)의 외부표면에 용접된 볼트(71)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KR2020220000663U 2022-03-15 2022-03-15 냄비뚜껑 KR202300018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63U KR20230001856U (ko) 2022-03-15 2022-03-15 냄비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63U KR20230001856U (ko) 2022-03-15 2022-03-15 냄비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56U true KR20230001856U (ko) 2023-09-22

Family

ID=8819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663U KR20230001856U (ko) 2022-03-15 2022-03-15 냄비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856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849B1 (ko) 2000-10-20 2003-08-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중·저온용 촉매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849B1 (ko) 2000-10-20 2003-08-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중·저온용 촉매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60975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осуда
US5974953A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GB2439271A (en) A nesting set of saucepans, with nesting lids and handles
KR20230001672U (ko) 조리기구 어셈블리
WO2008016197A1 (en) Rice cooker which the kind of rice can be selected
JP3194420U (ja) 多機能調理器
KR20230001856U (ko) 냄비뚜껑
KR20170099164A (ko) 다중 분할 취반 용기
KR20120031863A (ko) 두 가지-기능의 취사 도구 뚜껑
US20200187699A1 (en) Divided Cooking Device with a Lid
WO2017146775A1 (en) Cooking utensil with divider system
CN210285083U (zh) 一种多功能火锅箱
EP0129860A2 (en) A kitchen pot and a set of a kitchen pots
CN211324353U (zh) 一种锅中锅结构
KR102485949B1 (ko) 다용도 조리용기
JP4891431B1 (ja) 調理用容器
CN211299470U (zh) 一种便于包装的锅具
JPH0133505Y2 (ko)
US20090236348A1 (en) One meal deal
KR20120076804A (ko) 용도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구
KR200299306Y1 (ko) 음식물 조리용기
JP3158006U (ja) 電子レンジ用調理具
JPS5854012Y2 (ja) 蒸し器
JP3001472U (ja) 飾り容器
JP3099061U (ja) 卵焼き用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