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738A -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738A
KR20230001738A KR1020210084662A KR20210084662A KR20230001738A KR 20230001738 A KR20230001738 A KR 20230001738A KR 1020210084662 A KR1020210084662 A KR 1020210084662A KR 20210084662 A KR20210084662 A KR 20210084662A KR 20230001738 A KR20230001738 A KR 20230001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persulfate
contaminated soil
fine activated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5404B1 (ko
Inventor
신원식
최지연
안나말라 시바산카르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40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21Milling, crushing or gr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55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 C01B15/06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 C01B15/08Peroxy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2101/00In situ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활성탄을 촉매로 하여 과황산염의 활성화를 통해 유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Method of organic contaminant in soil using the persulfate ion and micro-sized activated carbon particle}
본 발명은 페놀 등 유기오염물질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염된 토양을 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 분말에 의해 활성화된 과황산염의 배가된 산화력을 이용한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토양내 유기오염물질(Organic Contaminant)인 페놀은 환경법규에 의해 규제되고 있는 물질로서 인위적인 활동, 석유 정제소, 석유 화학, 제철소 및 코크스 설비 등에서 환경으로 유출되어 페놀 오염을 일으킨다. 페놀은 독성과 자극성을 가진 유해한 화합물로 소량 섭취에도 사람에게 구토, 경련, 호흡기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페놀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높고, 토양의 유기물과 강한 흡착 특성을 가짐에 따라 토양 오염시 처리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토양내 유기오염물질의 처리 기술은 미생물이나 식물을 이용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9754호), 펜톤 산화(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09888호), 과망간산 및 과황산 산화(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180542호), 유기산 토양세척공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17126호), 나노버블 및 무기산 다단세척 공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68006호), 증기추출(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41828호)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주입방법과 주입장치에 대한 기술이 대부분으로 기존의 방법과 같이 오염물질의 처리를 위해 지중에 주입된 산화제는 오염물질뿐만이 아니라 토양 중 유기물질과도 반응하여 소모되기 때문에 산화제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전체 정화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토양 및 지하수의 산화처리 시 산화제의 토양 내 지속성이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데 이는 지속시간에 따라 오염물질과의 접촉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장기간 효율적으로 유기오염물질 오염토양을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9754호 등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내 페놀 등 유기오염물질을 화학적 산화기술로 처리함에 있어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 입자를 활성화제로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과산화수소수 또는 오존 등에 비해 지속력이 우수한 과황산염을 활성화시켜 토양내 페놀 등 유기오염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 입자를 활성화제로 이용하여 주로 사용되는 철 활성화제로 인한 철산화물 슬러지 발생 문제 및 pH저하로 인한 배관부식, 토양내 막힘현상(clogging) 등의 문제없이 토양 및 지하수 환경내의 오염물질 산화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양 및 지하수내 페놀을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산화처리를 위한 과황산을 이용한 산화에 있어서 볼밀 또는 Pulverizer 를 이용하여 제조한 미세 활성탄 입자를 활성화제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이하 "본 발명의 정화방법"이라함)은 미세 활성탄을 촉매로 하여 과황산염의 활성화를 통해 유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오염토양에 0.5 ~ 10 마이크로미터 입경을 가진 미세 활성탄을 주입하는 단계(S10) 및 미세 활성탄을 주입한 오염토양에 과황산염이 용해된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오염물질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hydrocarbon, PAHs),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에틸벤젠(Enthylbenzene), 자일렌(Xylene), 및 페놀(Pheno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과황산염은, 과황산나트륨 및 과황산칼륨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전단에 입자 형태의 활성탄과 분쇄링을 혼합하여 1차 분쇄를 하고, 분쇄링을 이용하여 1차 분쇄한 활성탄에 산화지르코늄 비드와 HTFS(Hydroxyl Terminated Functional silicone)를 혼합하여 2차 분쇄하여 미세 활성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2차 분쇄에 있어 암모니아수가 더 첨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화방법은 토양내 페놀 등 유기오염물질의 산화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을 이용하여 오염된 토양의 굴착없이 오염지역에 직접 주입이 가능하며, 넓은 부지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미세 활성탄 입자는 페놀 등 유기오염물질의 흡착효과와 동시에 과황산염을 활성화시켜 과황산의 반응성을 높임으로써 페놀 등 유기오염물질의 산화처리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크기의 활성탄 입자를 Fe(II) 대신 촉매로 주입함으로써 Fe(II)의 Fe(III)으로의 전환의 결과인 철수산화물인 Fe(OH)3의 형성이 없어져 지하수내 흐름의 막힘(clogging)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산화제로써의 지속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산화제 투입 주기가 길어짐에 따라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 입자 제조 방법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 입자의 120시간, 7일, 30일 경과 후에도 부유 안정성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 입자의 입자 크기 및 비표면적 결과로 제조 과정을 통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활성탄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 입자 주입양을 달리하여 시간에 따른 페놀 오염토양 산화처리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의 최적 배합비에 따라 페놀 오염토양을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 입자로 활성화한 과황산 산화 실험 후 토양의 pH가 4~5의 범위에서 유지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 입자를 활용한 페놀의 흡착 및 산화제 활성화 기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 입자로 과황산 산화제를 활성화하여 페놀 오염 토양 산화처리할 때 발생하는 라디칼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 입자로 과황산 염을 활성화하여 페놀 오염토양 산화처리시 발생하는 라디칼이 90분 후에도 나타나는 것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9는 페놀 오염토양의 도 4의 최적 배합비에 따라 페놀 오염토양을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활성탄 입자로 활성화한 과황산염에 의한 산화 처리 후 페놀 오염 토양의 페놀 분해부산물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유해한 분해부산물이 전혀 없는 것을 확인하여 무해화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정화방법은 미세 활성탄을 촉매로 하여 과황산염의 활성화를 통해 유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황산염은 토양 또는 지하수 내의 유기오염물질(Organic Pollutants)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과황산염은 토양 또는 지하수 내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과황산 이온을 방출함으로써 유기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황산 이온은 유기오염물질과의 반응성이 우수하고 높은 산화 환원 전위를 갖는 강력한 산화제이므로, 토양 또는 지하수 내에 유기오염물질을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처리방법이 간단하고 처리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이때, 과황산 이온의 방출은 서방성(slow release) 방출일 수 있다. 서방성 방출은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방출되는 것을 의미하며, 지효성 방출 등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오염물질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hydrocarbon, PAHs),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에틸벤젠(Enthylbenzene), 자일렌(Xylene), 및 페놀(Pheno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오염물질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BTEX, 페놀 등일 수 있다. BTEX는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을 포함하는 방향족 탄화수소류 화합물을 의미하며, 유독성이 강하고 피부에 묻으면 지방질을 통과해 체내에 흡수된다. 대부분 중독성이 강해 뇌와 신경에 해를 끼치는 독성 물질들이다.
상기 과황산염은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및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과황산염은 과황산의 수소를 금속이나 암모늄 이온 등으로 치환한 염을 의미하며, 과산화황산염(M2SO5), 과산화이중황산염(M2S2O8) 등을 의미하는 것 일 수 있다. 과황산염은 산화 환원전위가 + 2.01V로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는 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고, 높은 pH범위에서도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과황산염은 과항산나트륨, 과황산칼륨 등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과황산염은 다른 금속을 포함하는 과황산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오염토양에 0.5 ~ 10 마이크로미터 입경을 가진 미세 활성탄을 주입하는 단계(S10) 및 미세 활성탄을 주입한 오염토양에 과황산염이 용해된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S20)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0.5 ~ 10 마이크로미터 입경을 가진 미세 활성탄을 주입함으로써 활성탄 자체에서 흡착능이 발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활성탄의 미세공극에 과황산염이 충진되어 균일한 분산 등이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지지체의 기능이 발현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활성탄을 미세화 하여 상기 과황산염의 활성화제로서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여 과황산염의 처리능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펜톤 또는 과황산 산화에서는 영가철(Fe(0)) 또는 이가철(Fe(II)), 황화철 (FeS , FeS2)을 활성화제로 사용하여 라디칼을 발생시켜 화학적 산화를 유도하나 본 발명에서는 영가철 또는 이가철의 사용없이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활성탄 입자를 촉매 또는 활성화제로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과황산 산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활성탄의 미세화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입자 형태의 활성탄과 분쇄링을 혼합하여 1차 분쇄를 하고, 분쇄링을 이용하여 1차 분쇄한 활성탄에 산화지르코늄 비드와 HTFS(Hydroxyl Terminated Functional silicone)를 혼합하여 2차 분쇄하여 미세 활성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상기 2차 분쇄에 있어 볼밀 등 공지의 장치에 사용되는 분쇄 미디어로서는 산화지르코늄 비드를 사용한다. 산화지르코늄 비드는 밀링과정 중 활성탄 입자에 충격 에너지를 전달하여 분쇄를 돕는 것으로서, 비드의 입경 등이 분쇄수율을 좌우한다. 일반적인 분쇄 공정에서는 분쇄 미디어로 알루미나 볼을 많이 사용하지만 분쇄하는 동안 마모로 인한 성분의 변화와 슬립의 pH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산화지르코늄 비드의 평균 입경은 0.05mm 내지 2mm인데, 2mm 를 초과하면 과충격 에너지의 전달로 인해, 균일한 분포를 갖는 활성탄 입자를 얻기 어려우며, 산화지르코늄 비드의 평균 입경이 0.05mm 미만이면, 회전부의 회전에 의한 충격 에너지가 활성탄 입자에 전달되기 어렵다.
한편 2차 분쇄에 있어 활성탄 입자가 미세화 됨에 따라 입자간 응집이 발생되어 상기에서 언급한 활성탄의 기능발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2차 분쇄에 있어 HTFS(Hydroxyl Terminated Functional silicone)가 포함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HTFS는 반응성 실리콘으로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분쇄시 제조되는 활성탄 입자에 낮은 표면에너지가 부과되도록 하여 입자간 응집을 제어하여 활성탄의 미세화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활성탄 미세 입자간 응집을 방지하고 분산정도를 좋게 하여 분쇄 충격 에너지가 잘 전달되기 위해 2차 분쇄에는 암모니아수가 더 첨가되도록 한다. 특히 암모니아수의 첨가에 의해 오염토양에 주입시 적정의 pH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토양의 산성화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험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 :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의 제조
먼저 입자 형태의 활성탄 3g을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용기에 넣고, 동일한 재질의 분쇄링을 함께 넣어 30분간 분쇄기(Fulverizer 또는 볼밀)로 분쇄한다. 분쇄링을 이용하여 1차 분쇄한 활성탄을 다시 스테인리스강 재질 용기에 넣고 1mm 직경의 산화지르코늄 비드 18mL, HTFS 0.1mL, 암모니아수 0.05mL를 함께 넣어 4시간 동안 분쇄한다. 분쇄하는 동안 매 15분간 분쇄기를 정지하고 용기 벽면에 부착된 활성탄을 털어준 다음 다시 운전하는 방식으로 분쇄하였다. 약 4시간 후 0.6mm 체로 체질하여 산화지르코늄 비드와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을 분리한다. 제조된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의 크기는 0.5 ~ 10 마이크로미터로 하며, 분산 실험을 통해 최소 30일 이상 분산성을 유지하는 활성탄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예 1 :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페놀의 산화 처리 효율
페놀 오염토양이 담긴 용기에 과황산염과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을 넣고 시간에 따라 페놀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 1.5, 2.5, 3.75 mg/g을 과황산 5 mM과 함께 페놀 오염토양이 있는 바이알에 넣어 고액비 1:10이 되도록 하여 진탕기(200 rpm, 25℃)에서 24시간 동안 산화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일정 시간 간격으로 용액 내 페놀농도를 분석하여 산화처리 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처리된 페놀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과황산 산화 실험 결과를 통하여 토양내 페놀이 100%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페놀의 산화 후 pH 변화
페놀 오염토양이 담긴 용기에 과황산염과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을 이용한 페놀 오염토양 산화 처리에서 시간에 따른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산화처리에서 산화 전ㅇ후 시간에 따른 pH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을 활성화제로 하여 오염토양의 산화 처리 후에도 pH가 4~5로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황산염과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을 이용한 PAHs로 오염된 토양의 지중 산화 처리시 배관 부식, 토양 산성화 방지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페놀의 산화 라디칼 측정
페놀 오염토양이 담긴 용기에 과황산염과 마이크로 크기 미세 활성탄을 넣고 산화처리 후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라디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7과 8에 나타내었으며,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 처리기작이 비라디칼 및 라디칼 산화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작용 라디칼(수산화 라디칼, 과황산 라디칼 및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및 비라디칼(싱글렛 옥시즌)이 발생함을 확인하였으며, 도 8은 반응 시간 60분, 90분 후에도 수산화 라디칼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산화력이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산화력의 장기간 지속됨으로써 산화제의 주입주기를 길게 하여 오염토양의 처리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미세 활성탄을 촉매로 하여 과황산염의 활성화를 통해 유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오염토양에 0.5 ~ 10 마이크로미터 입경을 가진 미세 활성탄을 주입하는 단계(S10) 및 미세 활성탄을 주입한 오염토양에 과황산염이 용해된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오염물질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hydrocarbon, PAHs),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에틸벤젠(Enthylbenzene), 자일렌(Xylene), 및 페놀(Pheno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황산염은, 과황산나트륨 및 과황산칼륨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전단에 입자 형태의 활성탄과 분쇄링을 혼합하여 1차 분쇄를 하고, 분쇄링을 이용하여 1차 분쇄한 활성탄에 산화지르코늄 비드와 HTFS(Hydroxyl Terminated Functional silicone)을 혼합하여 2차 분쇄하여 미세 활성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분쇄에 있어 암모니아수가 더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KR1020210084662A 2021-06-29 2021-06-29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KR102665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662A KR102665404B1 (ko) 2021-06-29 2021-06-29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662A KR102665404B1 (ko) 2021-06-29 2021-06-29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38A true KR20230001738A (ko) 2023-01-05
KR102665404B1 KR102665404B1 (ko) 2024-05-13

Family

ID=8492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662A KR102665404B1 (ko) 2021-06-29 2021-06-29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6373A (zh) * 2023-05-09 2023-08-29 亚泰电化有限公司 一种土壤治理用过硫酸钠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183B1 (ko) * 2016-11-07 2018-08-24 케이엠비(주) 분쇄조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183B1 (ko) * 2016-11-07 2018-08-24 케이엠비(주) 분쇄조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uo, Junyuan 외 3인. ‘Removal of benzo (a) pyrene in polluted aqueous solution and soil using persulfate activated by corn straw biochar.’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72 (2020): 111058.* *
Zhao, Qingxia 외 10인. ‘Metal-free carbon materials-catalyzed sulfate radical-based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a review on heterogeneous catalysts and applications.’ Chemosphere 189 (2017): p224-23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6373A (zh) * 2023-05-09 2023-08-29 亚泰电化有限公司 一种土壤治理用过硫酸钠制备方法
CN116656373B (zh) * 2023-05-09 2023-12-01 亚泰电化有限公司 一种土壤治理用过硫酸钠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5404B1 (ko) 202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AOPs-based remedi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contaminated soils: Efficiency, influencing factors and environmental impacts
Dong et al. Integration of nanoscale zero-valent iron and functional anaerobic bacteria for groundwater remediation: a review
CN109529894B (zh) 一种活化过硫酸盐用催化剂及其催化过硫酸盐去除污染物的应用
Watts et al. Use of iron minerals in optimizing the peroxide treatment of contaminated soils
Kulik et al. Degrad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y combined chemical pre-oxidation and bioremediation in creosote contaminated soil
ES2754812T5 (es) Composiciones para la eliminación de hidrocarburos e hidrocarburos halogenados de entornos contaminados
Valderrama et al. Oxidation by Fenton's reagent combined with biological treatment applied to a creosote-comtaminated soil
Ouriache et al. Treatment of petroleum hydrocarbons contaminated soil by Fenton like oxidation
CN101522572A (zh) 流体污染物的吸附方法和吸附剂的再生
Mosmeri et al. Bioremediation of benzene from groundwater by calcium peroxide (CaO2) nanoparticles encapsulated in sodium alginate
Tandon et al. Redox processes in water remediation
US8049056B2 (en) Chemical oxidation method and compounds
Hung et al. N-doped metal-free biochar activation of peroxymonosulfate for enhancing the degradation of antibiotics sulfadiazine from aquaculture water and its associated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Chen et al. Remediation of water contaminated with diesel oil using a coupled process: Biological degradation followed by heterogeneous Fenton-like oxidation
CN108946908B (zh) 一种活化过硫酸盐去除微污染物的水处理方法
Ma et al. In situ synthesis of Fe-N co-doped carbonaceous nanocomposites using biogas residue as an effective persulfate activator for remediation of aged petroleum contaminated soils
Tsai et al. Remediation of fuel oil-contaminated soils by a three-stage treatment system
Cao et al. EDDS enhanced PCB degradation and heavy metals stabilization in co-contaminated soils by ZVI under aerobic condition
Caniani et al. Effect of site-specific conditions and operating parameters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petroleum-originating pollutants by using ozonation
Tang et al. Enhanced PAHs-contaminated site soils remediation by mixed persulfate and calcium peroxide
JP2006239507A (ja) 有機ヒ素化合物含有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20230001738A (ko) 미세 활성탄과 과황산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방법
US8556537B2 (en) Manganese-mediated redox processes for environmental contaminant remediation
Goi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or water purification and soil remediation
JP2006247483A (ja) 汚染土壌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41010005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40229

Effective date: 2024043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