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606U -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606U
KR20230001606U KR2020220000294U KR20220000294U KR20230001606U KR 20230001606 U KR20230001606 U KR 20230001606U KR 2020220000294 U KR2020220000294 U KR 2020220000294U KR 20220000294 U KR20220000294 U KR 20220000294U KR 20230001606 U KR20230001606 U KR 202300016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cade
display device
digital
image display
l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2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7910Y1 (en
Inventor
양기동
Original Assignee
양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동 filed Critical 양기동
Priority to KR2020220000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10Y1/en
Priority to JP2022003739U priority patent/JP3240506U/en
Publication of KR202300016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0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10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2Pedestrian barriers; Barriers for channelling or controlling crow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Abstract

본 고안은 플렉서블 LED 화상 표시 장치로 바리케이트를 구현하도록 하여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바리케이트 화상 표시 장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말린 형태로 삽설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말린 형태를 푸는 형태로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하여 정보 출력을 수행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that transmits various information by implementing a barricade with a flexible LE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ly, the digital barricad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nd a flexible display installed in a rolled form inside the case, and the flexible display is drawn out of the case in a form of unwinding the rolled form to display information do the output

Description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바리케이트는 도로공사를 하거나 건축물을 공사할 때 또는 각종 공사를 할 때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람과 차량의 통행을 차단하여 왔는바, 종래에 사용되어온 일반적인 바리케이트는 환봉 형태의 상부 고정봉 양단에 한자로 팔자형태의 지주부재를 고정하여 환봉형태의 파이프를 지지하는 구조로 만들어져 이 바리케이트 수개를 공사장의 전역에 설치하고, 상부 고정봉과 지주부재에는 주간 및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게 노란색과 검정색으로 도색을 하거나 또는 점멸등 및 전선을 일일이 묶어 고정하였다.Barricades have blocked the passage of people and vehicles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during road construction, building construction, or various construction works.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supports a pipe in the form of a round bar by fixing an octagonal holding member with a barricade, and several of these barricades are installed throughou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upper fixing rod and holding member are painted yellow and black for easy identification during the day and night. Or, the flashing lights and wires were individually tied and fixed.

그러나, 종래 기술은 바리케이트의 설치에 따라 통행에 지장이 생긴다는 정보 외에 다른 부차적 정보를 전달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보행자 또는 운행자에게 예측 가능성을 주기 위해서 다양한 정보 전달이 필요함에도 아직 까지 관련된 연구 및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However, in the prior art, it is difficult to convey other sub-information other than information that traffic is hindered by the installation of barricades. Accordingly, in order to provide predictability to pedestrians or operators, various information transmission is required, but related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still insufficien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66613(2015.05.13)호 "3D프린터의 노즐, 3D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갑피 제조 방법(NOZZLE FOR 3D PRINTER, 3D PRIN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UTSOLE USING THE 3D PRINTER)"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Application No. 10-2015-0066613 (May 13, 2015) "NOZZLE FOR 3D PRINTER, 3D PRIN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UTSOLE USING THE 3D PRINTER" "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렉서블 LED 화상 표시 장치로 바리케이트를 구현하도록 하여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that transmits various information by implementing a barricade with a flexible LED image display device.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바리케이트 화상 표시 장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말린 형태로 삽설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말린 형태를 푸는 형태로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하여 정보 출력을 수행한다. A digital barricad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nd a flexible display installed in a rolled form inside the case, and the flexible display is drawn out of the case in a form of unwinding the rolled form to output information do

이때, 상기 케이스는 하부에 인입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se has an inlet portion formed at the bottom, so that a separate support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출력부와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lso, the flexible display may include an output unit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output units.

또한, 상기 출력부 상에는 광투과 인쇄필름이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턴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투과 인쇄필름에 인쇄된 내용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light-transmitting printing film is attached to the output unit so that contents printed on the light-transmitting printing film can be seen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turned off.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끝단에는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Also, a handle for withdrawing or retracting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flexible display.

또한, 상기 손잡이는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져 또 다른 지지대에 거치되어 상기 별도의 지지대와 또 다른 별도의 지지대 사이에 정보 출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and mounted on another support to form an information output space between the separate support and another separate support.

또한, 상기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 제어 장치는 사용자단말 또는 메모리에 의해 출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n image control device, and the image control device may input output information through a user terminal or memory.

또한, 상기 화상 제어 장치는 사용자단말에 입력된 음성이 실시간으로 번역한 텍스트로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control device may output voice input to the user terminal as text translated in real time.

또한, 상기 인입부에는 연질의 고정 돌기단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oft fix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inlet portion.

또한, 상기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는 말린 형태를 푸는 것을 시점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출력이 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may start outputting the flexible display at the point of unwinding the dried shape.

본 고안은 내부에 말려서 수납된 플렉서블 LED 화상 표시 장치를 풀면서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에 미리 저장되거나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면서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므로 바리케이트의 역할과 자세한 블록의 이유를 함께 병기하여 예측 가능성을 보장하고 부가적인 정보 전달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y the support while allowing the text or image to be stored in advance or transmitted in real time to be output in the case of being pulled out to the outside while unwinding the flexible LED image display device stored inside, so the role of the barricade and the reason for the detailed block can be used together to ensure predictability and as a means of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심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지지대가 인입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하부커버가 분리된 것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5는 상부커버가 분리된 것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6은 케이스의 내부에 삽설된 출력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작용을 함께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8은 출력 정보의 입력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고안이 채용된 실제 제품의 구동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entral sectional view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upport is retracted in FIG. 2 .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at the lower cover is separated.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at the upper cover is separated.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utput unit installed inside the case.
7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8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inputting output information.
9 to 14 are views showing applicatio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9 are driving photos of actual produc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중심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지지대가 인입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하부커버가 분리된 것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며, 도 5는 상부커버가 분리된 것을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6은 케이스의 내부에 삽설된 출력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작용을 함께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8은 출력 정보의 입력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Hereinafter, a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entr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upport is retracted in FIG. 2, and FIG. An exploded view showing that the cover is separated, Figure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at the upper cover is separated, Figure 6 is a schematic view of the output unit inserted into the case, Figure 7 is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8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inputting output information.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100)는 그게 케이스(1)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10) 케이스 내부의 화상 제어 장치(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화상 제어 장치(13)는 마이크(15)와 연결되고, 전원(14a) 또는 배터리(14b)와 연결된다. 또한 화상 제어 장치(13)은 정보의 출력을 위해 사용자단말(18)과 통신하거나 메모리(19,20)를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first, the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 and a flexible display 10 disposed inside the case. The flexible display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e control device 13 inside the case. Also, the image control device 13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15 a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14a or battery 14b. Also, the image control device 13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8 or input the memories 19 and 20 to output information.

여기서 케이스(1)는 상부커버(1a), 외부케이스(1b), 내부케이스(1c) 및 하부커버(1d)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내부케이스(1c)와 외부케이스(1b) 사이에 말아서 삽설 배치된다. 따라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는 말린 형태를 외부로 푸는 방법에 의하여 외부로 뻗어 나가게 되므로 소정 길이를 갖는 바리케이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case 1 is composed of an upper cover 1a, an outer case 1b, an inner case 1c, and a lower cover 1d, and the flexible display 10 includes an inner case 1c and an outer case 1b. ) are rolled up and placed between them. Accordingly, since the flexible display 10 extends to the outside by a method of unwinding the rolled shape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output information together while serving as a barricad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이 경우에 하부케이스(1d)에는 하부에 중공 형태의 인입부(1e)가 형성된다. 이러한 인입부(1e)는 칼라콘이나 봉 같은 지지대(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 두개가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바리케이트의 형태가 완성된다. 더욱 나아가 인입부(1e)에는 지지대(2)의 면밀한 고정을 위해서 고정 돌기단(1f)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고정 돌기단(1f)은 인입부(1e)의 중심 쪽을 돌출된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콘 또는 봉 같은 지지대로 삽입되는 경우에 그 고정을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In this case, a hollow inlet portion 1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1d. A support 2 such as a colored cone or rod may be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1e. When these two supports fix the flexible display, the shape of the barricade is completed. Furthermore, a fixing protrusion 1f may be formed in the inlet portion 1e for careful fixing of the support 2.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fixing protrusion 1f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inlet 1e to firmly maintain the fixation when inserted into a support such as a cone or a rod. do.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출력부(11)와 연결부(12)로 이루어진다. 출력부(10)는 출력 표시를 수행하는 LED 표시 장치인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전체가 출력부(10)로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케이스에 삽입시키고 인출되는 과정이 반복되는 과정에 크랙이 유발되기 쉽다. Meanwhile, the flexible display 10 includes an output unit 11 and a connection unit 12 . The output unit 10 is an LED display device that performs output display. When the entire flexible display 10 is made up of only the output unit 10, cracks are caused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lexible display into the case and withdrawing the flexible display. easy to becom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표시 장치가 아닌 상대적으로 연질의 연결부(12)를 출력부(11)의 사이에 배치시켜 내구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결부(12)에는 단면 또는 양면에 인쇄물을 부착하여 출력부(11)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필요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the flexible displa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maximize durability by arranging a relatively soft connection part 12 between the output part 11 instead of a display devic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ttach a print to the connection unit 12 on one side or both sides so that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even when the output unit 11 does not operate.

또한, 출력부(11)에는 광투과 인쇄필름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부(11)는 광투과 인쇄필름의 부착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턴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투과 인쇄필름에 인쇄된 내용이 보이게 된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출력부(11)는 양면 또는 단면으로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인쇄필름도 양면 또는 단면으로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ight-transmitting printing film is attached to the output unit 11 .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attachment of the light-transmitting printing film to the output unit 11, contents printed on the light-transmitting printing film are visib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transmit more diverse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the output unit 11 can be applied on both sides or single side, such a print film can also be applied on both sides or single side.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인출 방향 쪽 끝단에는 용이한 인출 및 인입을 위해 손잡이(16)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는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모두 인출한 후 또 다른 지지대에 거치하는 형태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지지대와 또 다른 별도의 지지대 사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정보 출력 공간을 형성하면서 바리케이트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되므로 이용자의 정확한 동선 안내가 가능해진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handle 16 is further formed at th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in the withdrawal direction for easy withdrawal and withdrawal. It is preferable to be fixed in a form mounted on another support. In this case, since the flexible display forms an information output space between the support and another separate support and also serves as a barricad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uide the user's movement.

또한, 전원의 낭비를 막기위해 손잡이와 인접함 케이스(1)의 내부에 릴리스 스위치(3)를 마련해서 스위치(3)를 누르는 경우에 인출이 가능하게 되면서 인출이 되는 순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구동이 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waste of power, a release switch (3) is provided inside the case (1) adjacent to the handle, so that when the switch (3) is pressed, withdrawal is possible, and the moment the flexible display (10) is withdrawn It is desirable that the drive be initiated.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양태로 화상 제어 장치(13)는 사용자단말(18)에서 입력된 음성을 번역하여 텍스트 신호를 생성하고 이 내용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control device 13 may translate voice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8 to generate a text signal and output the content to the flexible display 10 .

또한, 도 7 및 도 8과 같이 화상 제어 장치(13)는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사용자단말(18)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7 and 8, the image control device 13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8 .

통신모듈은 사용자단말(18)과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 (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 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support establishment of a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user terminal 18,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cessors that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processor (eg, application processor) and support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일례로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 (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사용자단말(18)과 같은 전자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이 적용된 제품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여러 대를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서버에서 제어할 수 있음도 자명하다. Including, for example, a communication module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eg, a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line communication module). can do. Among these communication modules,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is a first network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or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or a second network (eg, a legacy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external user terminal 18 through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net, or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Furthermore, it is obvious that the produc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used alone or controlled by a central server through a network.

이하, 본 고안의 작용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9 to 14 are views showing applicatio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과 같이 케이스(1)를 지지대(2)에 고정시키고 플레서블 디스플레이(10)를 손잡이(16)에 의해 인출할 수 있다. 손잡이(16)는 고정 고리(17)의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원하는 길이로 인출한 후 다른 지지대(2)에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제공 및 진입 금지라는 두개의 목적을 갖는 바리케이트를 용이하게 완성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case 1 may be fixed to the support 2 and the flexible display 10 may be drawn out by the handle 16 . Since the handle 16 is made in the form of a fixing ring 17, it can be easily fixed to other supports 2 after being drawn to a desired length. Accordingly, a barricade having two purposes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prohibiting entry is easily completed.

한편,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다양한 바리케이트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며, 도 13과 같이 출력부(11)에 광투과 인쇄필름을 부착하여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도 광투과 인쇄필름에 인쇄된 내용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1) 또는 연결부(12)를 양면으로 형성하여 전면 또는 후면에 서로 다른 정보가 출려되도록 하여 보다 세밀한 정보 안내가 가능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1 and 12, inputting information of various barricades has been exemplified, and as shown in FIG. Content can be output. In addition, by forming the output unit 11 or the connection unit 12 on both sides, different information is output on the front or rear side to enable more detailed information guidance.

도 15 내지 도 19는 본 고안이 채용된 실제 제품의 구동 사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잡은 후 인출하고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구체화하였다. 15 to 19 are driving photos of actual produc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As shown in the figure, after gripping the flexible display through the handle, it is drawn out and materialized as being able to express various images.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y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00: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
1: 케이스
1a: 상부커버
1b: 외부케이스
1c: 내부케이스
1d: 하부커버
1e: 인입부
1f: 고정 돌기단
2: 지지대
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1: 출력부
12: 연결부
13: 화상 제어 장치
14a: 전원
14b: 배터리
15: 스피커
16: 손잡이
17: 고리
18: 사용자단말
19: 메모리1
20: 메모리2
100: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1: case
1a: upper cover
1b: outer case
1c: inner case
1d: lower cover
1e: inlet
1f: fixed protrusion
2: support
10: flexible display
11: output unit
12: connection part
13: image control device
14a: power
14b: battery
15: speaker
16: handle
17: hook
18: user terminal
19: memory 1
20: memory 2

Claims (10)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말린 형태로 삽설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말린 형태를 푸는 형태로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하여 정보 출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
case; and
a flexible display installed inside the case in a rolled form;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is a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d form is drawn out of the case in a form of unwinding to outpu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부에 인입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s a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is formed at the bottom so that a separate support can be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출력부와 출력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lexible display is a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output unit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between the output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 상에는 광투과 인쇄필름이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턴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투과 인쇄필름에 인쇄된 내용이 보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light-transmitting printing film is attached to the output unit so that the contents printed on the light-transmitting printing film are visible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turned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끝단에는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handle for withdrawal or retrac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져 또 다른 지지대에 거치되어 상기 별도의 지지대와 또 다른 별도의 지지대 사이에 정보 출력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made in the form of a ring and mounted on another support to form an information output space between the separate support and another separat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바리케이스 LED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 제어 장치는 사용자단말 또는 메모리에 의해 출력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n image control device, and the image control device inputs output information by a user terminal or memor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제어 장치는 사용자단말에 입력된 음성이 실시간으로 번역한 텍스트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image control device is a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input to the user terminal is output as text translated in real ti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에는 연질의 고정 돌기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ft fixing protrusion end is formed in the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는 말린 형태를 푸는 것을 시점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출력이 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바리케이트 LED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flexible display can be started at the time of unwinding the dried form.
KR2020220000294U 2022-01-25 2022-01-25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KR2004979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294U KR200497910Y1 (en) 2022-01-25 2022-01-25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JP2022003739U JP3240506U (en) 2022-01-25 2022-11-11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294U KR200497910Y1 (en) 2022-01-25 2022-01-25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06U true KR20230001606U (en) 2023-08-01
KR200497910Y1 KR200497910Y1 (en) 2024-04-01

Family

ID=8479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294U KR200497910Y1 (en) 2022-01-25 2022-01-25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40506U (en)
KR (1) KR200497910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417U (en) * 1992-08-11 1994-03-11 クロカワ工芸株式会社 Auxiliary marker for marker cone
JP3047171U (en) * 1997-09-16 1998-03-31 株式会社協友 Road surface warning light
US20200302833A1 (en) * 2019-03-20 2020-09-24 Benjamin KAY Retractable Stanchion Barrier With Flexible RGB Display Matrix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171B2 (en) * 1997-12-04 2000-05-29 乙益 正隆 Submerged slope greening method by spraying water purification base materi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417U (en) * 1992-08-11 1994-03-11 クロカワ工芸株式会社 Auxiliary marker for marker cone
JP3047171U (en) * 1997-09-16 1998-03-31 株式会社協友 Road surface warning light
US20200302833A1 (en) * 2019-03-20 2020-09-24 Benjamin KAY Retractable Stanchion Barrier With Flexible RGB Display Matrix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66613(2015.05.13)호 "3D프린터의 노즐, 3D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갑피 제조 방법(NOZZLE FOR 3D PRINTER, 3D PRIN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UTSOLE USING THE 3D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40506U (en) 2023-01-13
KR200497910Y1 (en) 202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27755B (en) Inquiring system for car location in garage
JP4597555B2 (en) Uplink method using optical beacon and optical beacon in-vehicle device
KR100974481B1 (en) Advertising display system
KR20090013937A (en) Traffic control robot, traffic control system and method by using robot thereby
KR200457921Y1 (en) Multi-function traffic signal stick
EP3163355A1 (en) Head-up display system, head-up display device, and 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10286763B2 (en) Tonneau cover
KR20230001606U (en) Digital barricade LED image display device
WO2016094172A1 (en) Rear view mirror system and related methods
WO2015045112A1 (en) Driving-assistance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1449662B1 (en) Car Emergency Condition Mark System
CN104282144A (en) Interactive public traffic system
KR20180134191A (en) Pet carriage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20130222147A1 (en) Portable warning system
CN102920570A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walking stick for blind person
KR101183455B1 (en) Smart led sign board system
KR101660836B1 (en) Apparatus of car memo using bluetooth
CN106408982A (en) Highway auxiliary driving system based on two-dimensional code identification technology
RU2000109532A (en) AEROSTAT DEVICE FOR RADAR SURVEILLANCE
CN212256775U (en) Navigation information compensation system for expressway reconstruction and extension construction area
KR100707913B1 (en) Multi-functional vehicle supplementary signal light
KR20230033321A (en) Tubular marker for vehicle detection
KR100934118B1 (en) Multifunctional control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for controlling traffic and road facilities around roads
JP2007320360A (en) Adapter device for converting signal of steering remote controller
JP2009217224A (en) Bus stop guide plate with mobile panel ver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