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466U - 공기뿌리 활착대 - Google Patents

공기뿌리 활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466U
KR20230001466U KR2020220000354U KR20220000354U KR20230001466U KR 20230001466 U KR20230001466 U KR 20230001466U KR 2020220000354 U KR2020220000354 U KR 2020220000354U KR 20220000354 U KR20220000354 U KR 20220000354U KR 20230001466 U KR20230001466 U KR 202300014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air
soil
root
air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791Y1 (ko
Inventor
강경모
Original Assignee
강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모 filed Critical 강경모
Publication of KR20230001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4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01G9/124Means for holding stakes upright in, on, or besid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3Devices for setting plants in pots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부가 형성된, 제1 날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출부가 형성된, 제2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 사이에 마련되되,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관통되도록 복수의 관통 홀이 형성된,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 홈부에 상기 끼움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날개, 상기 제2 날개, 및 상기 바디로 둘러싸인 흙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흙 수용공간에 수용된 흙에, 상기 관통 홀 관통한 공기뿌리 식물의 공기뿌리가 활착되는, 공기뿌리 활착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뿌리 활착대{Take rooting rod for aerial root}
본 고안은 공기뿌리 활착대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활착되는, 공기뿌리 활착대에 관련된 것이다.
공기뿌리식물은, 뿌리가 공기 가운데 노출되어 있는 즉, 공기뿌리를 가지는 식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기뿌리식물에는, 필로덴드론(Philodendron), 몬스테라(monstera), 라피도포라(rhaphidophora), 스킨답서스(scindapsus), 에피프레넘(epipremnum) 등과 같이, 브라질과 서인도제도 원산으로 열대아메리카에 200종 내외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이러한 공기뿌리식물은, 일반식물에 비하여 고가 예를 들어, 천 만원 수준이기 때문에, 재배에 있어서 조심스러울 수 있다.
이러한 공기뿌리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코코넛 껍질을 압착하여 만든 코코넛 봉을 이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공기뿌리식물의 재배방법은, 코코넛 봉에 공기뿌리식물을 예를 들어, 묶는 방법 등에 의하여 인접시킴으로써, 코코넛 봉에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활착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코코넛 봉의 경우, 압착된 코코넛 껍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습력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코코넛 봉에 인접시킨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마르기 때문에, 코코넛 봉에 공기뿌리의 활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공기뿌리식물의 생장에 충분한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코코넛 봉을 이루는 압착된 코코넛 껍질은 단단하기 때문에, 상술된 바와 같이, 코코넛 봉에 인접시킨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상기와 같이 단단한 코코넛 껍질을 관통하여 활착되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이에,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를 용이하게 활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나아가, 종래의 코코넛 봉에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활착되는 경우에는, 상술된 바와 같은 단단한 코코넛 껍질로 이루어진 코코넛 봉을 관통하여 공기뿌리가 활착되었기 때문에, 코코넛 봉으로부터 활착된 공기뿌리를 분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코코넛 봉에 활착된 공기뿌리를 가지는 공기뿌리식물의 번식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이에, 공기뿌리식물이 용이하게 번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 활착이 용이한 공기뿌리 활착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기뿌리식물의 생장에 충분한 보습력을 제공하는 공기뿌리 활착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기뿌리식물의 번식이 용이한 공기뿌리 활착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공기뿌리 활착대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부가 형성된, 제1 날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출부가 형성된, 제2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 사이에 마련되되,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관통되도록 복수의 관통 홀이 형성된,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 홈부에 상기 끼움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날개, 상기 제2 날개, 및 상기 바디로 둘러싸인 흙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흙 수용공간에 수용된 흙에, 상기 관통 홀 관통한 공기뿌리 식물의 공기뿌리가 활착되되,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바디 사이에는 접힘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제2 날개 사이에도 접힘 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흙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접힘 라인이 접힐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흙 수용공간의 길이방향 상 측의 단면적은, 상기 흙 수용공간의 길이방향 하 측의 단면적 보다 넓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 홈부는, 상기 제1 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제1 날개에 형성되는, 제1 끼움 홈부, 및 상기 제1 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제1 날개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끼움 홈부 보다 상기 바디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제2 끼움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 돌출부가 상기 제1 끼움 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끼움 돌출부가 상기 제2 끼움 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보다, 상기 흙 수용공간의 단면적이 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관통 홀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관통 홀 그룹, 제2 관통 홀 그룹, 및 제3 관통 홀 그룹으로 순차적 배치되며, 상기 바디에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 홀 그룹 형성 시에, 상기 제1 관통 홀 그룹 및 상기 제3 관통 홀 그룹이 먼저 형성된 후에, 상기 제2 관통 홀 그룹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부가 형성된, 제1 날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출부가 형성된, 제2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 사이에 마련되되,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관통되도록 복수의 관통 홀이 형성된,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 홈부에 상기 끼움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날개, 상기 제2 날개, 및 상기 바디로 둘러싸인 흙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흙 수용공간에 수용된 흙에, 상기 관통 홀 관통한 공기뿌리 식물의 공기뿌리가 활착되는, 공기뿌리 활착대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에 의하면,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기 때문에, 상기 흙 수용공간에 수용된 흙에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 활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에 의하면, 상기 바디에는 상기 관통 홀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날개에는 상기 관통 홀이 미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흙 수용공간은, 상기 제1 날개, 상기 제2 날개, 및 상기 바디로 둘러싸인 것에 의하여, 상기 흙 수용공간에 수용된 흙에 포함된 수분 증발이 최소화되어, 공기뿌리식물의 생장에 충분한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에 의하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는, 마름모꼴 및 세모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관통 홀의 모서리를 따라 커팅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에 의하면, 복수의 공기뿌리 활착대가 길이방향으로 적층되어 적층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적층구조가 해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에 의하면, 공기뿌리식물의 번식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23은 본 고안의 실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공기뿌리식물(pt, 도 21, 도 22 참조)은, 뿌리가 공기 가운데 노출되어 있는 즉, 공기뿌리(rt, 도 22 참조)를 가지는 식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기뿌리식물에는, 필로덴드론(Philodendron), 몬스테라(monstera), 라피도포라(rhaphidophora), 스킨답서스(scindapsus), 에피프레넘(epipremnum) 등과 같이, 브라질과 서인도제도 원산으로 열대아메리카에 200종 내외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이러한 공기뿌리식물(pt)은, 일반식물에 비하여 고가 예를 들어, 천 만원 수준이기 때문에, 재배에 있어서 조심스러울 수 있다.
이러한 공기뿌리식물(pt, 도 21, 도 22 참조)을 재배하기 위하여, 종래(cp)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코넛 껍질을 압착하여 만든 코코넛 봉(cc)을 이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cp)의 공기뿌리식물(pt, 도 21, 도 22 참조)의 재배방법은, 상기 코코넛 봉(cc)에 공기뿌리식물(pt, 도 21, 도 22 참조)을 예를 들어, 묶는 방법 등에 의하여 인접시킴으로써, 상기 코코넛 봉(cc)에 상기 공기뿌리식물(pt)의 공기뿌리(rt)가 활착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코코넛 봉(cc)의 경우, 압착된 코코넛 껍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습력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코코넛 봉(cc, 도 23 참조)에 인접시킨 공기뿌리식물(pt, 도 23 참조)의 공기뿌리(rt, 도 23 참조)가 마르기 때문에, 상기 코코넛 봉(cc, 도 23 참조)에 상기 공기뿌리(rt, 도 23 참조)의 활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코코넛 봉(cc)을 이루는 압착된 코코넛 껍질은 단단하기 때문에, 상술된 바와 같이, 코코넛 봉(cc)에 인접시킨 공기뿌리식물(pt, 도 21, 도 22 참조)의 공기뿌리(rt)가 상기와 같이 단단한 코코넛 껍질을 관통하여 활착되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나아가, 도 22를 참조하면, 종래의 코코넛 봉(cc)에 공기뿌리식물(pt)의 공기뿌리(rt)가 활착되는 경우에는, 상술된 바와 같은 단단한 코코넛 껍질로 이루어진 코코넛 봉(cc)을 관통하여 상기 공기뿌리(rt)가 활착되었기 때문에, 상기 코코넛 봉(cc)으로부터 상기 활착된 공기뿌리(rt)를 분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코코넛 봉(cc)에 활착된 공기뿌리(rt)를 가지는 공기뿌리식물(pt)의 번식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 활착이 용이한 공기뿌리 활착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공기뿌리식물의 생장에 충분한 보습력을 제공하는 공기뿌리 활착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공기뿌리식물의 번식이 용이한 공기뿌리 활착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가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100)은, 제1 날개(10), 제2 날개(20), 및 바디(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각 구성이 설명된다.
상기 제1 날개(10)는, 후술되는 제2 날개(20) 및 바디(30)와 함께, 상기 제1 날개(10), 후술되는 제2 날개(20) 및 바디(30)로 둘러싸인 흙 수용공간(sp, 도 3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날개(10)는 후술되는 바디(30)의 일 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 날개(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끼움 홈부(11)에는 후술되는 제2 날개(20)의 끼움 돌출부(21)가 끼움 결합(cb)될 수 있다.
상기 끼움 홈부(11)에 후술되는 끼움 돌출부(21)가 끼움 결합(cb)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날개(10), 후술되는 제2 날개(20) 및 바디(30)로 둘러싸인 흙 수용공간(sp, 도 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2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날개(10) 및 후술되는 바디(30)와 함께, 상기 제1 날개(10), 상기 제2 날개(20), 및 후술되는 바디(30)로 둘러싸인 흙 수용공간(sp, 도 3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날개(20)는 후술되는 바디(30)의 타 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2 날개(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출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끼움 돌출부(21)는, 상기 제1 날개(20)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부(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끼움 홈부(11)에 끼움 결합(cb, 도 2 참조)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끼움 돌출부(21)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날개(10)의 끼움 홈부(11)에 끼움 결합(cb)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 돌출부(21)가 상기 끼움 홈부(11)에 끼움 결합(cb)되는 경우, 상기 제1 날개, 상기 제2 날개, 및 후술되는 바디(30)로 둘러싸인 흙 수용공간(sp, 도 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3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날개(10) 및 상기 제2 날개(20)와 함께, 상기 제1 날개(10), 상기 제2 날개(20), 및 상기 바디(30)로 둘러싸인 흙 수용공간(sp)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30)는, 상기 제1 날개(10)와 상기 제2 날개(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끼움 홈부(11)에 상기 끼움 돌출부(21)가 끼움 결합(cb)됨으로써,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상기 제1 날개(10), 상기 제2 날개(20), 및 상기 바디(30)로 둘러싸인 흙 수용공간(sp)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흙 수용공간(sp)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날개(10)와 상기 바디(30) 사이, 및 상기 바디(30)와 상기 제2 날개(20) 사이에는 접힘 라인(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술된 제1 날개(10), 제2 날개(20), 및 바디(30)를 포함하는 공기뿌리 활착대(100)이 투명하고 가볍되, 단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은, 상술된 재료의 특성 상,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흙 수용공간(sp)에 흙이 수용되는 경우, 무너지지 않고 상기 세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을 통하여 상기 흙 수용공간(sp)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접힘 라인(40)이 접힘으로써,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의 재료가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 홈부(11)에 상기 끼움 돌출부(21)의 끼움 결합(cb)이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흙 수용공간(sp)의 형성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흙 수용공간(sp, 도 3 참조)이라 함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 홈부(11)에 상기 끼움 돌출부(21)가 끼움 결합(cb)됨으로써, 상기 제1 날개(10), 상기 제2 날개(20), 및 상기 바디(30)로 둘러싸여 흙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sp)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흙 수용공간(sp)에 흙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흙 수용공간(sp)에 수용된 흙에, 상기 공기뿌리식물(pt, 도 18 참조)의 공기뿌리(rt, 도 19 참조)가 활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흙 수용공간(sp)에는, 상술된 바와 같은 흙뿐 아니라, 상기 공기뿌리식물(pt, 도 18 참조)이 생장하는 데에 토양과 같은 역할을 하는 물질 예를 들어, 수태(sphagnum moss), 용토 등이 수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흙을 상정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흙 수용공간(sp)에 수용된 흙에, 상기 공기뿌리식물(pt, 도 18 참조)의 공기뿌리(rt, 도 19 참조)가 활착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바디(30)는, 공기뿌리식물(pt, 도 18 참조)의 공기뿌리(rt, 도 19 참조)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30)에는 복수의 관통 홀(h1, h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에 공기뿌리식물(pt)이 예를 들어, 묶는 방법 등에 의하여 인접되는 경우, 도 18 (d)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뿌리식물(pt)의 공기뿌리(rt)가 상기 바디(30)의 관통 홀(h1)을 관통하여, 상기 흙 수용공간(sp)에 수용된 흙에 활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100)에 의하면,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 활착이 용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100)에 의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흙 수용공간(sp)에 흙뿐 아니라, 공기뿌리식물이 생장하는 데에 토양과 같은 역할을 하는 물질 예를 들어, 수태(sphagnum moss), 용토 등이 수용될 수 있는 바,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에 공기뿌리가 활착된 공기뿌리식물에 충분한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30)에는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관통하는 관통 홀(h1, h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날개(10, 20)에는 상기 관통 홀(h1, h2)이 미 형성되기 때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날개(10), 상기 제2 날개(20), 및 상기 바디(30)로 둘러싸인 상기 흙 수용공간(sp)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바디(30)의 관통 홀을 통해서는, 상기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관통하여 상기 흙 수용공간(sp)에 수용된 흙에 활착될 수 있는 한편, 상기 흙 수용공간(sp)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날개(10), 상기 제2 날개(20), 및 상기 바디(30)로 둘러싸인 것에 의하여, 상기 흙 수용공간(sp)에 수용된 흙에 포함된 수분 증발이 최소화됨으로써, 상술된 바와 같은 공기뿌리식물에 충분한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100)은 커팅(ct)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관통 홀(h1, h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꼴(h1), 및 세모꼴(h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름모꼴(h1), 및 상기 세모꼴(h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관통 홀(h1, h2)의 모서리를 따라 커팅(ct)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100)은, 간편하게 잘라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 단축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100)은, 상술된 바와 같은 길이 단축 조절뿐 아니라, 길이 연장 조절 또한 용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가 복수 예를 들어, 제1 공기뿌리 활착대(100a), 제2 공기뿌리 활착대(100b)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공기뿌리 활착대(100a, 100b)은 길이방향으로 적층되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복수로 마련되는 공기뿌리 활착대(100), 예를 들어, 상기 제1 공기뿌리 활착대(100a)과 상기 제2 공기뿌리 활착대(100b)은, 개수만 복수일 뿐 그 형태가 동일한 것을 상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은, 상기 흙 수용공간(sp)의 길이방향 상 측(A)의 단면적이, 상기 흙 수용공간(sp)의 길이방향 하 측(B)의 단면적 보다 넓을 수 있다(w1>w2, 도 5 (a) 참조).
이에 따라, 도 5(a)를 참조하면, 상술된 바와 같은 복수의 공기뿌리 활착대(100a, 100b)에서, 상기 제1 공기뿌리 활착대(100a)의 흙 수용공간을 제1 흙 수용공간(sp1)이라 상정하고, 상기 제2 공기뿌리 활착대(100b)의 흙 수용공간을 제2 흙 수용공간(sp2)이라 상정하면, 상기 제1 공기뿌리 활착대(100a)의 제1 흙 수용공간(sp1) 길이방향 상 측(A)에 상기 제2 공기뿌리 활착대(100b)의 제2 흙 수용공간(sp2) 길이방향 하 측(B)이 적층되어 적층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상기 흙 수용공간(sp)의 길이방향 상 측(A)의 단면적이, 상기 흙 수용공간(sp)의 길이방향 하 측(B)의 단면적 보다 넓은 것은,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측(A)의 단면적 폭(w1)이 상기 하 측(B) 단면적 폭(w2) 보다 넓을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상 측(A)의 단면적 폭(w1)이 상기 하 측(B) 단면적 폭(w2) 보다 넓은 것은, 상기 제1 및 제2 공기뿌리 활착대(100a, 100b)가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적층되어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되는 경우, 상기 적층 구조에서 겹쳐진 상기 제1 공기뿌리 활착대(100a)의 상 측(A) 내지 상기 제2 공기뿌리 활착대(100b)의 하 측(B)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관통 홀(h1, h2) 주변의 상기 바디(30)가, 상기 복수의 관통 홀(h1, h2)을 덮지 않는 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공기뿌리 활착대(100a)의 복수의 관통 홀(h1, h2)과 상기 제2 공기뿌리 활착대(100b)의 복수의 관통 홀(h1, h2)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공기뿌리 활착대(100a, 100b)가 겹쳐진 영역에서,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관통영역(h1, h2)을 포함하도록, 상기 상 측(A)의 단면적 폭(w1)과 상기 하 측(B) 단면적 폭(w2)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하면, 도 5 (b)에 도시된 상기 적층 구조에서 겹쳐진 상기 제1 공기뿌리 활착대(100a)의 상 측(A) 및 상기 제2 공기뿌리 활착대(100b)의 하 측(B) 영역에서, 상기 관통 홀(h1, h2)에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용이하게 관통되어, 상기 흙 수용공간(sp)에 수용된 흙에 활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공기뿌리 활착대(100)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려는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적층구조가 하나의 단위로 반복하여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에 활착되어 자라는 공기뿌리식물의 키에 맞추어, 상기 복수의 공기뿌리 활착대(100a, 100b)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어, 상기 자라는 공기뿌리식물에 맞춤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앞서 설명된 종래의 코코넛 봉(cc)과는 다르게,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에 활착된 공기뿌리식물의 분양이 용이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서, 커팅(ct) 특성을 이용하여 분양하고자 하는 공기뿌리식물 중 일 부분이 포함된 공기뿌리 활착대(100)을 자름으로써 가능케 된다.
또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공기뿌리 활착대(100a, 100b) 중에서 상기 적층구조를 해제함으로써 가능케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100)의 상술된 바와 같은 커팅(ct) 특성 및 적층구조를 플랜테리어(planterior)에 활용하면, 미적인 요소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하 설명되는 본 고안의 변형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200)에 의하면, 상술된 바와 같은 길이 단축 조절, 길이 연장 조절뿐 아니라, 폭 조절 또한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변형 예가 설명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변형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2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폭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폭 조절이라 함은, 앞서 설명된 흙 수용공간(sp)의 단면적이 조절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변형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200)은, 앞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100)과 동일하되, 끼움 홈부(11)가 제1 끼움 홈부(11a) 및 제2 끼움 홈부(11b)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끼움 홈부(11a)는, 상기 제1 날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제1 날개(10)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 끼움 홈부(11b)는, 상기 상기 제1 끼움 홈부(11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날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제1 날개(10)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끼움 홈부(11a) 보다 상기 바디(30)로부터 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끼움 홈부(11a)에 상기 끼움 돌출부(21)가 끼움 결합(cb)되는 경우 형성되는 도 8에 도시된 흙 수용공간(sp_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끼움 홈부(11b)에 상기 끼움 돌출부(21)가 끼움 결합(cb)되는 경우 형성되는 도 10에 도시된 흙 수용공간(sp_b) 보다 단면적이 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변형 예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200)의 폭 조절이 용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200)의 흙 수용공간(sp)에 수용되는 흙의 양 및 공기뿌리식물의 형태 예를 들어, 공기뿌리식물의 크기, 종자 등을 고려하여, 공기뿌리식물에 최적화된 공기뿌리 활착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려된 것이다.
한편, 상술된 제1 및 제2 끼움 홈부(11a, 11b)는 일례일 뿐, 상술된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같이 상기 흙 수용공간(sp)에 수용되는 흙의 양 및 공기뿌리식물의 형태에 따라 제1, 제2, 제3, 제4 끼움 홈부 등의 순으로 상기 바디(20)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날개(1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관통 홀(h1, h2)은, 상기 바디(30)에 형성됨에 있어, 열 충격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열 충격을 고려하는 것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바디(30)에 상기 복수의 관통 홀(h1, h2)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바디(30)에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관통 홀(h1, h2)은 상기 바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복수의 그룹(g1, g2, g3, 도 12 참조)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형성됨에 있어서, 그룹간 형성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이하의 실 구현 예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 구현 예가 설명된다.
도 11 내지 도 23은 본 고안의 실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 구현 예에 따른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의 제조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의 제조방법은, 레이저 가공 단계(S110), 및 끼움 결합 단계(S12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가 설명된다.
단계 S110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의 원재료가 레이저 가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의 원재료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투명하고 가볍되, 단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에서, 상기 원재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이 상기 제1 날개(10), 상기 제2 날개(20), 상기 바디(30), 및 상기 접힘 라인(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레이저 가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단계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관통 홀(h1, h2)을 상기 바디(30)에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바디(30)의 열 충격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열 충격을 고려하는 것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바디(30)에 상기 복수의 관통 홀(h1, h2)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바디(30)에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관통 홀(h1, h2)은, 상기 바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관통 홀 그룹(g1), 제2 관통 홀 그룹(g2), 및 제3 관통 홀 그룹(g3)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 홀 그룹(g1 내지 g3)의 형성방법에 있어서는, 도 1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30)에 상기 제1 관통 홀 그룹 및 상기 제3 관통 홀 그룹(g1 및 g3)이 먼저 형성된 후에, 도 1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관통 홀 그룹(g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관통 홀(h1, h2)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바디(30)에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려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관통 홀(h1, h2)을 상기 바디(30)에 형성하는 경우, 도 1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30)에 상기 제1 관통 홀 그룹(g1)을 먼저 형성하고, 상기 제1 관통 홀 그룹(g1)과 소정거리 떨어진 상기 제3 관통 홀 그룹(g3)을 형성한 후에, 도 1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3 관통 홀 그룹(g1 및 g3) 사이에 상기 제2 관통 홀 그룹(g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디(30)에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바디(30)에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와는 달리, 상기 바디(30)에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 홀 그룹(g1 내지 g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디(30)에 열이 분산되지 않아,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 중 상기 바디(30) 부분이 손상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2 (a)에 도시된 상기 바디(30)에 상기 제1 관통 홀 그룹 및 상기 제3 관통 홀 그룹(g1 및 g3)이 먼저 형성된 후에, 도 12 (b)에 도시된 상기 제2 관통 홀 그룹(g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디(30)에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바디(30)에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단계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날개(10), 상기 제2 날개(20), 상기 바디(30), 및 상기 접힘 라인(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이 제작될 수 있다.
단계 S120
도 15를 참조하면, 단계 S120에서, 상기 제1 날개(10)의 끼움 홈부(11)에 상기 제2 날개(20)의 끼움 돌출부(21)가 끼움 결합(cb)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날개(10), 상기 제2 날개(20), 및 상기 바디(30)로 둘러싸인 상기 흙 수용공간(sp)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단계에서 상기 끼움 결합((cb)을 위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힘 라인(40)을 접을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술된 제1 날개(10), 제2 날개(20), 및 바디(30)를 포함하는 공기뿌리 활착대(100)이 투명하고 가볍되, 단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단계에서, 상기 흙 수용공간(sp)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접힘 라인(40)이 접힘으로써,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의 재료가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 홈부(11)에 상기 끼움 돌출부(21)의 끼움 결합(cb)이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흙 수용공간(sp)의 형성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단계 S110 및 단계 S120에 따라 제조된 공기뿌리 활착대(100)을 공기뿌리식물(pt)에 적용한 실 구현 예를 관측할 수 있다.
먼저 도 1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식물(pt)에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을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뿌리식물(pt)의 키에 맞추어 복수의 공기뿌리 활착대(100a, 100b)을 도 1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였다.
상기 적층된 복수의 공기뿌리 활착대(100a, 100b)의 흙 수용공간(sp)에 도 17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태(또는 용토)를 수용시켜, 상기 공기뿌리식물(pt)의 공기뿌리(rt)가 활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도 18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환경을 조성하고,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상기 공기뿌리식물(pt)을 도시한다.
도 18 (a)에서 도 18 (d)로 시간이 7일 경과함에 따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뿌리 활착대(100)의 관통 홀(h1)을 관통하여 상기 흙 수용공간(sp)에 수용된 용토에 상기 공기뿌리(rt)가 활착된 것을 관측할 수 있다.
또한, 도 18 (c) 및 도 18 (d)를 통하여, 상기 흙 수용공간(sp)에 수용된 용토가 젖어 있는 것이 관측됨으로써,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뿌리 활착대(100)은 공기뿌리식물(pt)의 생장에 충분한 보습력을 제공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음이 입증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제1 날개
11: 끼움 홈부
20: 제2 날개
21: 끼움 돌출부
30: 바디
40: 접힘 라인
100, 200: 공기뿌리 활착대

Claims (4)

  1.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부가 형성된, 제1 날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출부가 형성된, 제2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 사이에 마련되되, 공기뿌리식물의 공기뿌리가 관통되도록 복수의 관통 홀이 형성된,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 홈부에 상기 끼움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날개, 상기 제2 날개, 및 상기 바디로 둘러싸인 흙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흙 수용공간에 수용된 흙에, 상기 관통 홀 관통한 공기뿌리 식물의 공기뿌리가 활착되되,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바디 사이에는 접힘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제2 날개 사이에도 접힘 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흙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접힘 라인이 접히는, 공기뿌리 활착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흙 수용공간의 길이방향 상 측의 단면적은, 상기 흙 수용공간의 길이방향 하 측의 단면적 보다 넓은, 공기뿌리 활착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홈부는,
    상기 제1 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제1 날개에 형성되는, 제1 끼움 홈부; 및
    상기 제1 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제1 날개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끼움 홈부 보다 상기 바디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제2 끼움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 돌출부가 상기 제1 끼움 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끼움 돌출부가 상기 제2 끼움 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보다, 상기 흙 수용공간의 단면적이 좁은, 공기뿌리 활착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 홀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관통 홀 그룹, 제2 관통 홀 그룹, 및 제3 관통 홀 그룹으로 순차적 배치되며,
    상기 바디에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 홀 그룹 형성 시에, 상기 제1 관통 홀 그룹 및 상기 제3 관통 홀 그룹이 먼저 형성된 후에, 상기 제2 관통 홀 그룹이 형성되는, 공기뿌리 활착대.
KR2020220000354U 2022-01-11 2022-02-03 공기뿌리 활착대 KR20049779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74 2022-01-11
KR20220000074 2022-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66U true KR20230001466U (ko) 2023-07-18
KR200497791Y1 KR200497791Y1 (ko) 2024-02-29

Family

ID=8742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354U KR200497791Y1 (ko) 2022-01-11 2022-02-03 공기뿌리 활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9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1235U (ko) * 1989-12-01 1991-08-20
JPH11253053A (ja) * 1998-03-10 1999-09-21 Ibaraki Shikan Kk 組立式器及びその筒状体形成部材
KR200400796Y1 (ko) * 2005-08-12 2005-11-09 한국난농업협동조합 화분용 포장상자
KR101852141B1 (ko) * 2016-04-20 2018-06-04 김태균 타워형 화분
KR101913960B1 (ko) * 2017-09-04 2018-10-31 김태형 플라스틱 화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1235U (ko) * 1989-12-01 1991-08-20
JPH11253053A (ja) * 1998-03-10 1999-09-21 Ibaraki Shikan Kk 組立式器及びその筒状体形成部材
KR200400796Y1 (ko) * 2005-08-12 2005-11-09 한국난농업협동조합 화분용 포장상자
KR101852141B1 (ko) * 2016-04-20 2018-06-04 김태균 타워형 화분
KR101913960B1 (ko) * 2017-09-04 2018-10-31 김태형 플라스틱 화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791Y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0715B2 (en) Plant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lant sheet
JP5038071B2 (ja) 自然植生誘導ネット及び斜面の自然植生誘導構造
Sjöberg Modern forestry and the capercaillie
CN107371949A (zh) 一种茶树短穗扦插育苗方法
WO2012029635A1 (ja) 根切り機構、植物栽培装置、及び水耕栽培装置
JP5681334B1 (ja) 天敵昆虫増殖装置
CN107242126B (zh) 铁皮石斛仿野生集约栽培方法
KR20230001466U (ko) 공기뿌리 활착대
US5155935A (en) Assembly of pots for raising and transplantation
ES2279892T3 (es) Cinta de semillas.
KR20140065648A (ko) 벽면녹화 시스템
KR101465076B1 (ko)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
GB2221134A (en) Lawn tiles
JPH0797927B2 (ja) 播種シート
JP7134539B1 (ja) 育苗ポット
GB2449995A (en) Self watering cellular green wall system
GB2029681A (en) Method of growing plants
KR101748597B1 (ko) 건축용 단열패널 제조방법
KR101352043B1 (ko) 식생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3112039U (ja) 雑草侵入防止板
CN216906115U (zh) 半封闭式攀爬植物生根柱
JPS58170410A (ja) 長葱栽培用資材
CN109220267A (zh) 一种石牌藿香的扦插育苗方法
DE102004024339B4 (de) Verfahren zur Anzucht von Pflanzen auf einem Trägermaterial und Trägermaterial
JP2017212912A (ja) 苗木の育苗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