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430U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430U
KR20230001430U KR2020220000040U KR20220000040U KR20230001430U KR 20230001430 U KR20230001430 U KR 20230001430U KR 2020220000040 U KR2020220000040 U KR 2020220000040U KR 20220000040 U KR20220000040 U KR 20220000040U KR 20230001430 U KR20230001430 U KR 202300014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mask
body portion
mask body
c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8123Y1 (ko
Inventor
홍순창
Original Assignee
홍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창 filed Critical 홍순창
Priority to KR2020220000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123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4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1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도록 안면에 배치되는 마스크 본체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착용자의 귀 또는 두부상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가변되는 고정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며,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턱 부분에 위치되고, 턱과 마주하는 내면에 착용자의 날숨을 배출시키는 배출통로를 갖는 날숨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고안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을 인체공학적이면서 콤팩트한 크기로 제작하여 날숨에서 나오는 유해가스(폐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위에서 발생되는 위산)와 피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날숨이 입 꼬리 양측 끝에서 아래방향인 턱의 좌,우 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비말이 얼굴 앞쪽의 공기중으로 방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자의 날숨 및 날숨에 의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입냄새를 신속하게 배출함으로써, 착용자가 편안하게 숨을 쉬도록 하면서 쾌적한 환경을 느끼도록 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마스크(mask)는 코와 입 등 호흡기를 가리면서 활동시 미세먼지 등의 흡입을 차단하도록 하 는 것으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코를 통하여 흡입되고, 입으로부터 비산되는 물질을 막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마스크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섬유재의 시트로 제작되거나 시트에 간단한 구조의 필터가 구비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마스크는 주로 감기환자,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이나 찬 공기에 특히 약한 사람들이 주로 착용하여 왔으나, 2010년 대 이후 중국에서 발생한 미세 먼지 및 중금속 등의 성분이 많은 황사로 인해 사용자가 증가하였고,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등의 바이러스가 창궐하면서 감염과 예방을 위한 생활필수품이 되었다.
일반적인 마스크 구조는 호흡에 불편함이 크지 않도록 통기성이 좋은 직물로 만들어진 마스크 패드와, 그 양측 부에 귀에 걸어 착용하도록 귀걸이줄이 부착된 것이 일반적이며, 필터의 종류와 성능에 따라 덴탈 마스크, KF 80 마스크, KF 94 마스크, KF 99 마스크 및 N95 마스크 등이 있다.
한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기침을 하거나 장시간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 입 냄새가 나거나 세균이 번식 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장기 사용성이 열악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취 기능성을 가지는 패드를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된 마스크도 개발되고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는 점, 일회용 마스크에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점 및 사용 시 번거로움이 많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종래의 마스크는 조깅, 산행, 스포츠 운동 등을 함으로 인해 심박수 증가 및 호흡량 증가로 날숨의 유량과 압력이 증가할 경우 날숨이 안면의 상부측 즉, 눈, 이마 방향으로 새어나가 안경에 김 서림을 발생시키며, 날숨이 마스크 본체의 가장자리 면을 따라 배출되어 비말이 얼굴 앞쪽 공기중으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날숨과 비말을 착용자의 턱아래 가슴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호흡을 할 때 이산화탄소와 입냄새를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 있는 마스크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58385호
본 고안은, 인체공학적이면서 콤팩트 한 크기로 제작하여 날숨에서 나오는 유해가스(폐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위에서 발생되는 위산)와 피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날숨이 입 꼬리 양측 끝에서 아래방향인 턱의 좌,우 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비말이 얼굴 앞쪽의 공기중으로 방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자의 날숨 및 날숨에 의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입냄새를 신속하게 배출함으로써, 착용자가 편안하게 숨을 쉬도록 하면서 쾌적한 환경을 느끼도록 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도록 안면에 배치되는 마스크 본체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착용자의 귀 또는 두부상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가변되는 고정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며,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턱 부분에 위치되고, 턱과 마주하는 내면에 착용자의 날숨을 배출시키는 배출통로를 갖는 날숨배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탄성끈 및 제2 탄성끈; 상기 제1 탄성끈 및 제2 탄성끈에 각각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단추부 및 제2 단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끈에 형성된 어느 2개의 제1 단추부들 끼리 결속되고, 상기 제2 탄성끈에 형성된 어느 2개의 제2 단추부들 끼리 결속될 경우, 상기 제1 탄성끈 및 제2 탄성끈은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고리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 탄성끈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제1 단추부 및 상기 제2 탄성끈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제2 단추부가 결속될 경우, 상기 제1,2 탄성끈이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고정하는 하나의 고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날숨배출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하단에서 착용자의 턱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폭 길이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서 착용자의 턱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그 폭 길이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엣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및 엣지부는 마스크 본체부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착용자가 날숨을 쉴 때 배출되는 날숨에 의해서 착용자의 턱과 이격될 수 있고,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본체부 및 엣지부에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내면 중앙부분 및 날숨배출부의 내면 중앙부분 일정영역에 공동으로 수직 설치되는 형상유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부 내면 상측에 서로 가로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코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내면 하측에 서로 가로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착용자의 턱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부가 밀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그 가장자리가 사용자의 콧 등과 양측 팔자주름 부분과 입술 양측 및 입술의 양측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턱의 일정영역과 각각 마주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얼굴 피부에 대한 호기의 접촉 영역을 한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는, 인체공학적이면서 콤팩트 한 크기로 제작하여 날숨에서 나오는 유해가스(폐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위에서 발생되는 위산)와 피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날숨이 입 꼬리 양측 끝에서 아래방향인 턱의 좌,우 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비말이 얼굴 앞쪽의 공기중으로 방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자의 날숨 및 날숨에 의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입냄새를 신속하게 배출함으로써, 착용자가 편안하게 숨을 쉬도록 하면서 쾌적한 환경을 느끼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마스크(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날숨에서 나오는 유해가스(폐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위에서 발생되는 위산)와 피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날숨이 입 꼬리 양측 끝에서 아래방향인 턱의 좌,우 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비말이 얼굴 앞쪽의 공기중으로 방출되는 현상 및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자의 날숨 및 날숨에 의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입냄새를 신속하게 배출함으로써, 착용자가 편안하게 숨을 쉬도록 하면서 쾌적한 환경을 느끼도록 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부(10)와, 고정밴드(20)와, 밀착부(30) 및 날숨배출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부(10)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도록 안면에 배치된다.
마스크 본체부(10)는 착용자의 코와 입이 수용되도록 오목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마스크 본체부(10)는 전체가 대략 내부가 빈 반원형 또는 반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코와 입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부(10)의 중앙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단면을 쳤을 때, 그 형상은 내부가 반원형, 'U'자, 'V'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스크 본체부(10)는 그 가장자리가 사용자의 콧 등과 양측 팔자주름 부분과 입술 양측 및 입술의 양측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턱의 일정영역과 각각 마주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얼굴 피부에 대한 호기의 접촉 영역을 종래의 일반 마스크에 비해 현저히 축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날숨에서 나오는 유해가스(폐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위에서 발생되는 위산)와 피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부(10)의 내면에는 형상유지부(50)가 수직 설치된다.
형상유지부(50)는 마스크 본체부(10)가 전술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뼈대나 골조 기능을 수행한다.
형상유지부(50)는 대략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스크 본체부(10)의 중앙 부분이 착용자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일 예로, 형상유지부(50)는 마스크 본체부(10)의 내면에만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형상유지부(50)는 마스크 본체부(10)의 일정영역에 배치되면서 그 하측의 일부분이 후술되는 본체부(41)의 내면에도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에서 형상유지부(50)의 길이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형상유지부(50)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에서 형상유지부(5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다만, 밀착부(30)의 재질은 얼굴에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는 재질로 적용된다.
마스크 본체부(10)는 단일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섬유재질로 형성되되,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면서 사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외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할 때 배출되는 날숨은 주로 마스크 본체부(10)의 내면을 향한다.
마스크 본체부(10)의 내면에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전염균, 감연균, 병원균 등의 오염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시트(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필터시트는 KF94, KF80 등 일반 마스크에 사용되는 필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마스크 본체부(10) 내면 상측에 서로 가로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코지지부(60)가 더 설치된다.
코지지부(60)는 일정 중량을 갖기 때문의 착용자의 코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나아가, 코지지부(60)는 일정 중량을 갖기 때문에 착용자의 코 굴곡에 맞는 형상으로 마스크 본체부(10)의 상부를 유지시켜 준다.
이러한 코지지부(60)를 통해 마스크 본체부(10)의 상측 부분이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기가 마스크 본체부(10)의 상측을 통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마스크 본체부(10)의 내면 하측에는 서로 가로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착용자의 턱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부가 밀착부(70)가 더 설치된다.
부가 밀착부(70)는 일정 중량을 갖기 때문의 착용자의 턱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나아가, 부가 밀착부(70)는 일정 중량을 갖기 때문에 착용자의 턱 굴곡에 맞는 형상으로 마스크 본체부(10)의 하부를 유지시켜 준다.
이러한 부가 밀착부(70)를 통해 마스크 본체부(10)의 하측 부분이 착용자의 턱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기가 마스크 본체부(10)의 하측을 통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코지지부(60) 및 부가 밀착부(70) 실리콘 재질이나 기타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밴드(20)는 착용자의 얼굴이나 머리 크기에 대응되게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밴드(20)는 착용자의 귀 또는 두부상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가변되는 특징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고정밴드(20)는 제1 탄성끈(21)과, 제2 탄성끈(22)과, 제1 단추부(23) 및 제2 단추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끈(21)과 제2 탄성끈(22)은 마스크 본체부(10)의 일측 중앙과 타측 중앙에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끈(21)과 제2 탄성끈(22)은 착용자의 귀나 두부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스크 본체부(10)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단추부(23)는 제1 탄성끈(21)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제1 수 단추부(231) 및 상기 제1 탄성끈(2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암 단추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추부(24)는 제2 탄성끈(22)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제2 수 단추부(241) 및 상기 제2 탄성끈(22)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암 단추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 단추부(231)를 어느 하나의 제1 암 단추부(232)에 결속하고, 제2 수 단추부(241)를 어느 하나의 제2 암 단추부(242)에 결속할 경우 제1 탄성끈(21) 및 제2 탄성끈(22)은 착용자의 귀에 걸리를 고리를 각각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 수 단추부(231)가 결속되는 제1 암 단추부(232)에 따라 제1 탄성끈(21)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의 크기가 가변되고, 제2 수 단추부(241)가 결속되는 제2 암 단추부(242)에 따라 제2 탄성끈(22)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의 크기가 가변된다.
즉, 제1 탄성끈(21) 중 마스크 본체부(10)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제1 암 단추부(232)에 제1 수 단추부(231)를 결속시키면 고리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마스크 본체부(10)와 먼 위치에 배치된 제1 암 단추부(232)에 제1 수 단추부(231)를 결속시키면 고리의 크기가 비교적 작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탄성끈(22) 중 마스크 본체부(10)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제2 암 단추부(242)에 제2 수 단추부(241)를 결속시키면 고리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마스크 본체부(10)와 먼 위치에 배치된 제2 암 단추부(242)에 제2 수 단추부(241)를 결속시키면 고리의 크기가 비교적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자신의 얼굴, 머리 크기에 맞게 제1 수 단추부(231)와 제1 암 단추부(232), 제2 수 단추부(241)와 제2 암 단추부(242)의 결속위치를 조절하여, 제1 탄성끈(21) 및 제2 탄성끈(22)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고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탄성끈(21)에 형성된 제1 수 단추부(231) 및 제2 탄성끈(22)에 형성된 제2 암 단추부(242)가 결속될 경우에는 제1,2 탄성끈이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고정하는 하나의 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착용자의 양쪽 귀가 제1 탄성끈(21) 및 제2 탄성끈(22)에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수 단추부(231)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제1 암 단추부(232)의 사이 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암 단추부(242) 또한 복수개로 적용되어 제2 수 단추부(241)의 사이 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착용자는 자신의 얼굴, 머리 크기에 맞게 제1 탄성끈(21) 및 제2 탄성끈(22)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의 고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밀착부(30)는 마스크 본체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된다.
밀착부(30)는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착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밀착부(30)는 대략 착용자의 코, 안면 중에서 코의 주변과, 입의 주변 및 턱에 공동으로 접촉된다.
밀착부(30)는 일정 중량을 갖기 때문에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마스크 본체부(10)의 가장자리가 착용자의 안면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기가 마스크 본체부(1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밀착부(30)는 실리콘 재질이나 기타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에서 밀착부(3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다만, 밀착부(30)의 재질은 얼굴에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는 재질로 적용된다.
날숨배출부(40)는 착용자의 날숨을 배출시켜, 착용자가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면서, 날숨에 의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및 입냄새를 배출하여 착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날숨배출부(40)는 본체부(41) 및 엣지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41) 및 엣지부(42)는 마스크 본체부(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41)는 마스크 본체부(10)를 제작 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 후 날숨배출부(40)에 재봉결합, 저주파 결합, 고주파 결합 중 어느 하나로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41)는 마스크 본체부(10)의 하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마스크 본체부(10)의 하단에서 착용자의 턱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본체부(41)는 착용자의 턱 일정영역을 가린다.
본체부(41)는 그 폭 길이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부(41)는 대략 역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엣지부(42)는 본체부(41)의 하단에서 착용자의 턱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엣지부(42)는 착용자의 턱 일정영역을 가린다.
엣지부(42)는 본체부(41)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엣지부(42)는 그 폭 길이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엣지부(42)도 대략 역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엣지부(42)는 본체부(41)의 하단에서 착용자의 턱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엣지부(42)는 착용자의 턱 일정영역을 가린다.
본체부(41) 및 엣지부(42)는 모두 오목한 단면 형상을 가져, 그 내부에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는 배출통로(40a)가 형성된다.
이때, 본체부(41)의 배출통로(40a) 및 엣지부(42)의 배출통로(40a)는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나아가, 엣지부(42)는 전체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엣지부(42)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Kutta-Condition에 의하여 날숨이 엣지부(42)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날숨이 마스크 본체부(10)의 내면을 따라 하향 이동한 다음, 본체부(41)의 배출통로(40a) 및 엣지부(42)의 배출통로(40a)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엣지부(42)의 하단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본 고안의 출원인이 마스크(1)를 착용 후 실험해본 결과 날숨은 턱을 지나쳐 목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마스크(1)를 구현함에 따라 날숨을 쉴때 마다 날숨 및 이산화탄소를 마스크 본체부(10)의 외부로 즉시 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착용자가 자신의 입냄새를 맡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착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하였을 때 쾌적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본체부(41) 및 엣지부(42)는 모두 그 폭 길이가 마스크 본체부(10)의 폭 길이 대비 약 20~ 30%의 폭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41) 및 엣지부(42)에는 밀착부(30)가 결합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체부(41) 및 엣지부(42)는 마스크 본체보다 가볍다.
따라서, 본체부(41) 및 엣지부(42)는 착용자가 날숨을 쉴 때 배출되는 날숨에 의해서 확률적으로 착용자의 턱과 이격된다.
즉, 착용자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강하게 날숨을 쉬면 날숨배출부(40)가 순간적으로 펄럭이는 형태로 착용자의 턱과 이격되어, 날숨배출부(40)와 턱의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경우 날숨, 이산화탄소 및 입냄새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물론, 착용자가 들숨을 쉴때에는 날숨배출부(40)가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턱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10)의 하측 일정영역이 착용자의 입술 양측의 입꼬리 부분과 마주하고, 날숨배출부(40)가 마스크 본체부(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착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날숨은 마스크 본체부(10)의 하측에 의해 입꼬리를 통해 하강된 다음 날숨배출부(40)를 통해서만 배출된다.
이 경우, 조깅, 산행, 스포츠 등 활동 중, 심박수 증가 및 호흡량 증가로 날숨의 유량과 압력이 증가 시, 날숨배출부(40)는 일종의 체크밸브로서의 기능을 하며, 일반 호흡시와 가쁜 호흡 시, 도 4와 같이 날숨의 흐름이 유도 된다.
즉, 날숨은 날숨배출부(40)를 통해서만 하향 배출되기 때문에 안경에 김서림을 방지하는 등 날숨이 눈이나 이마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하향 배출 된 날숨이 착용자의 윗 가슴쪽에 일차로 접촉되어 공기 중 비말분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마스크 10 : 마스크 본체부
20 : 고정밴드 21 : 제1 탄성끈
22 : 제2 탄성끈 23 : 제1 단추부
231 : 제1 수 단추부 232 : 제1 암 단추부
24 : 제2 단추부 241 : 제2 수 단추부
242 : 제2 암 단추부 30 : 밀착부
40 : 날숨배출부 41 : 본체부
42 : 엣지부 50 : 형상유지부
60 : 코지지부 70 : 부가 밀착부

Claims (7)

  1.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도록 안면에 배치되는 마스크 본체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착용자의 귀 또는 두부상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가변되는 고정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며,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턱 부분에 위치되고, 턱과 마주하는 내면에 착용자의 날숨을 배출시키는 배출통로를 갖는 날숨배출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탄성끈 및 제2 탄성끈;
    상기 제1 탄성끈 및 제2 탄성끈에 각각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단추부 및 제2 단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끈에 형성된 어느 2개의 제1 단추부들 끼리 결속되고, 상기 제2 탄성끈에 형성된 어느 2개의 제2 단추부들 끼리 결속될 경우, 상기 제1 탄성끈 및 제2 탄성끈은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고리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 탄성끈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제1 단추부 및 상기 제2 탄성끈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제2 단추부가 결속될 경우, 상기 제1,2 탄성끈이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고정하는 하나의 고리를 형성하는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숨배출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하단에서 착용자의 턱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폭 길이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서 착용자의 턱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그 폭 길이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엣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및 엣지부는 마스크 본체부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착용자가 날숨을 쉴 때 배출되는 날숨에 의해서 착용자의 턱과 이격될 수 있고,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본체부 및 엣지부에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내면 중앙부분 및 날숨배출부의 내면 중앙부분 일정영역에 공동으로 수직 설치되는 형상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 내면 상측에 서로 가로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착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코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내면 하측에 서로 가로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착용자의 턱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부가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그 가장자리가 사용자의 콧 등과 양측 팔자주름 부분과 입술 양측 및 입술의 양측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턱의 일정영역과 각각 마주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얼굴 피부에 대한 호기의 접촉 영역을 한정할 수 있는 마스크.
KR2020220000040U 2022-01-06 2022-01-06 마스크 KR200498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40U KR200498123Y1 (ko) 2022-01-06 2022-01-06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40U KR200498123Y1 (ko) 2022-01-06 2022-01-06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30U true KR20230001430U (ko) 2023-07-13
KR200498123Y1 KR200498123Y1 (ko) 2024-07-04

Family

ID=8715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040U KR200498123Y1 (ko) 2022-01-06 2022-01-06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812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3972A (ja) * 2005-05-31 2006-12-14 Pentax Corp マスク
JP2016108713A (ja) * 2014-12-09 2016-06-20 哲夫 村山 防塵防菌マスク
KR101958385B1 (ko) 2016-11-30 2019-03-14 주식회사 유니에어 조임 기능이 부가된 사각마스크
KR102236898B1 (ko) * 2020-09-15 2021-04-06 (주)티엠비 안면 부착 마스크
JP3232543U (ja) * 2021-04-09 2021-06-17 基博 風岡 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2543B2 (ja) * 1993-06-30 2001-11-26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音声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3972A (ja) * 2005-05-31 2006-12-14 Pentax Corp マスク
JP2016108713A (ja) * 2014-12-09 2016-06-20 哲夫 村山 防塵防菌マスク
KR101958385B1 (ko) 2016-11-30 2019-03-14 주식회사 유니에어 조임 기능이 부가된 사각마스크
KR102236898B1 (ko) * 2020-09-15 2021-04-06 (주)티엠비 안면 부착 마스크
JP3232543U (ja) * 2021-04-09 2021-06-17 基博 風岡 マ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8123Y1 (ko) 202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7085U (ja) マスク
EP3178525A1 (en) Smart mask for health care service
KR200480161Y1 (ko) 복식호흡 구조를 갖는 패션형 마스크
JP2018512235A (ja) 汚染物質吸入防止用マスク
KR102188331B1 (ko) 입과 코 분리형 마스크
US20210368875A1 (en)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JP2023521095A (ja) 火災避難用の顔面マスク
JP2024019288A (ja) ダイビングマスク
US20220053850A1 (en) Adjustable face mask assembly
KR200498123Y1 (ko) 마스크
JP7042319B2 (ja) スポーツマスク
CN212038647U (zh) 一种可重复使用的双通道口罩
KR100533546B1 (ko) 기능성 마스크
WO2022074410A1 (en) Face mask for covering a user's face
KR20210123561A (ko)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102526903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어셈블리
KR20210048703A (ko) 호흡기 보호마스크
JP3237336U (ja) マスク
KR20190111204A (ko) 기능성 고분자 나노섬유필터를 포함한 호흡 마스크
KR200496949Y1 (ko) 비강 및 구강 분리 호흡형 마스크
KR102649979B1 (ko) 코받침형 마스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US20210352982A1 (en) Face mask and face mask insert
KR102284420B1 (ko) 코골이 및 비염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하여 숙면을 유도하는 마스크
CN211910598U (zh) 一种携氧式病毒防护服
JP2019081984A (ja) 口腔・口周り保湿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