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37U -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37U
KR20230001337U KR2020210003901U KR20210003901U KR20230001337U KR 20230001337 U KR20230001337 U KR 20230001337U KR 2020210003901 U KR2020210003901 U KR 2020210003901U KR 20210003901 U KR20210003901 U KR 20210003901U KR 20230001337 U KR20230001337 U KR 202300013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est
line
supply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210003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337U/ko
Publication of KR20230001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3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2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7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가스 공급 설비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볼밸브 및 정압기 파일럿(Pilot)의 기밀 성능 시험과 기타 기밀이 요구되는 설비의 누설 및 차압을 포함하는 압력 기밀시험을 실시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MULTI PRESSURE TEST RECORDING APPARATUS}
본 고안은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공급 설비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볼밸브 및 정압기 파일럿(Pilot)의 기밀 성능 시험과 기타 기밀이 요구되는 설비의 누설 및 차압을 포함하는 압력 기밀시험을 실시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엔진, 도시가스 등 액화천연가스나 액화석유가스 등의 액화연료가스를 사용처에 공급하기 위해서 다양한 가스 공급 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 공급 시스템은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탱크에 저장하였다가 기화설비에서 기화되어 공급관리소로 공급되고, 이로부터 발전소 및 도시 가스사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이때 정압설비를 통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되어 공급된다.
액화천연가스(LNG)는 산지에 따라 그 조성비율이 약간씩 차이가 나지만 주성분인 메탄의 비점이 영하 162℃로 kg당 200kcal의 냉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액화천연가스 인수기지에 저장된 영하 162℃의 액화천연가스는 기화기에서 바닷물을 이용하여 0℃, 70kg/cm2의 가스로 기화되어 공급되고, 기화된 높은 압력의 가스를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해 감압설비(정압기)를 통해 사용 압력으로 감압하게 된다.
상술한 가스 공급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압의 연료가스를 사용처에 공급하고 있어, 공급되는 가스의 누설 시 고장의 요인이 되며, 가스폭발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 공급 시스템은 기밀이 요구되는 설비의 누설 및 차압을 측정하는 압력 기밀시험을 실시하여 그 안전성을 항시 확인해야 하며, 압력 시험 결과를 기록하여 저장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6662호(2004. 12. 02.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 공급 설비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볼밸브 및 정압기 파일럿(Pilot)의 기밀 성능 시험과 기타 기밀이 요구되는 설비의 누설 및 차압을 포함하는 압력 기밀시험을 실시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가스 저장탱크(300)로부터 시험 가스를 공급받아 압력 시험 대상 기기로 공급하는 공급라인(400); 일단이 상기 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압력 시험 대상 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라인(400)에서 공급되는 시험 가스를 압력 시험 대상 기기로 공급하여 상기 압력 시험 대상 기기에 대한 다중 압력 시험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시험라인(500); 상기 공급라인(400)과 상기 시험라인(500)에 접속되어 상기 공급라인(400)과 상기 시험라인(500)의 가스 압력 값을 측정한 후 전송하는 압력전송기(600); 및 상기 압력전송기(600)로부터 전송된 다중 압력 시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는 압력 시험 기록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라인(400)은, 상기 가스 저장탱크(300)와 접속되는 공급밸브(410); 상기 시험라인(500)이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분기관(420); 상기 공급밸브(410)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분기관(420)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배관(430); 상기 공급라인(400)의 말단 유로에 접속되는 배출밸브(440); 및 상기 공급밸브(410)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공급라인 압력게이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 압력게이지(450)는 상기 압력 시험 기록부(7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험라인(500)은, 상기 시험라인(500)의 가스 유로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시험배관(510); 상기 시험라인(500)의 분기관(420)에 접속된 시험배관(510)에 설치되는 니들밸브(530); 상기 니들밸브(530)의 하류 측의 상기 시험배관(510)에 접속되어 상기 시험라인(500)으로 공급되는 시험 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감압하여 상기 다중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로 공급하는 압력조정기(520); 상기 압력조정기(520)의 하류 측에서 시험라인(500)을 상기 다중 압력 시험대상 기기(10) 측과 상기 압력전송기(600) 측으로 분기하도록 상기 시험배관(510)에 설치되는 시험라인분기관(515); 상기 시험라인분기관(515)과 상기 다중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 측의 유로에 연결된 축도관(540); 일 측은 상기 축도관(540)의 상기 시험라인분기관(515)과 접속된 단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다중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에 연결되는 어댑터(545); 및 상기 시험라인분기관(515)의 상기 압력전송기(600) 측으로 분기된 유로를 형성하는 시험배관(510)에 설치되어 상기 시험라인(500)의 압력을 측정하는 시험라인 압력게이지(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험라인 압력게이지(550)는, 상기 압력 시험 기록부(7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시험 기록부(700)는, 상기 압력전송기(600)에서 측정된 상기 압력 시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압력기록계(710); 및 상기 압력기록계(710)에 저장된 압력 시험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는, 가스 공급 설비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볼밸브 및 정압기 파일럿(Pilot)의 기밀 성능 시험과 기타 기밀이 요구되는 설비의 누설 및 차압을 포함하는 압력 기밀시험을 실시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는, 다중 압력 시험 실험 결과를 원격지로 전송하여 기록하거나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다중 압력 시험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는, 기밀시험이 필요한 전 분야의 설비에 대한 다중 압력 시험을 수행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의 구성도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는, 공급라인(400), 하나 이상의 시험라인(500), 압력전송기(600) 및 압력 시험 기록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400)은 가스 저장탱크(300)와 연결되어 시험 가스를 공급받아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가 연결된 공급라인(500)들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라인(400)은, 가스 저장탱크(300)와 접속되는 공급밸브(410), 상기 시험라인(500)이 접속되는 T형 유로를 가지는 연결관으로서의 복수의 분기관(420), 상기 공급밸브(410)와 상기 분기관(420)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배관(430), 상기 공급라인(400)의 말단 유로에 접속되는 배출밸브(440) 및 상기 공급밸브(410)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라인(400)의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공급라인 압력게이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밸브(410)는 수동식 밸브 또는 원격제어 명령이나 기 설정된 방식이나 압력에서 동작하는 전자식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배관(430)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라인(400)을 구성하는 각 부품을 연결하여 시험 가스 공급을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배출밸브(440)는 상기 압력전송기(600) 중 공급라인 압력전송기(610)가 연결되고, 상기 공급라인(400)으로 공급된 시험 가스의 배출을 위하여 개폐된다. 상기 배출밸브(440) 또한 원격제어 또는 기 설정된 방식이나 압력에서 동작하는 전자식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 압력게이지(450)는 상기 압력 시험 기록부(700) 또는 관리자 또는 시험자 단말기 등의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 및 전자식 압력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 압력게이지(450)는 상기 통신부를 내장하는 것에 의해 측정된 공급라인의 압력 값을 압력전송기(600), 압력 시험 기록부(700) 또는 외부의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다중 압력 시험 결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중 압력 시험을 원격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험라인(500)은 일단이 상기 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압력 시험 대상 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라인(400)에서 공급되는 시험 가스를 압력 시험 대상 기기로 공급하여 상기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에 대한 다중 압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험라인(500)은, 상기 시험라인(500)의 가스 유로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시험배관(510), 상기 공급라인(400)의 분기관(420)에 접속된 시험배관(510)에 설치되는 니들밸브(530), 상기 니들밸브(530)의 하류 측의 상기 시험배관(510)에 접속되어 상기 시험라인(500)으로 공급되는 시험 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감압하여 상기 다중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로 공급하는 압력조정기(520), 상기 압력조정기(520)의 하류 측에서 시험라인(500)을 상기 다중 압력 시험대상 기기(10) 측과 상기 압력전송기(600) 측으로 분기하도록 상기 시험배관(510)에 설치되는 시험라인분기관(515), 상기 시험라인분기관(515)의 상기 다중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 측 유로에 연결된 축도관(540), 일측은 상기 축도관(540)의 상기 시험라인분기관(515)과 접속된 단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다중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에 연결되는 어댑터(545), 상기 시험라인분기관(515)의 상기 압력전송기(600) 측으로 분기된 유로를 형성하는 시험배관(510)에 설치되어 상기 시험라인(500)의 압력을 측정하는 시험라인 압력게이지(550) 및 압력전송기(600) 중 시험라인 압력전송기(620)가 연결되는 압력전송기 연결밸브(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험배관(510)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시험라인(500)을 구성하는 각 부품을 연결하여 시험 가스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압력조정기(520)는, 고압가스용기 또는 배관 등을 통하여 고압가스를 사용 목적에 맞추어 사용하고자 하는 압력으로 감압하여 공급하는 기기로 가스의 압력에 반응하는 일종의 자동제어기기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조정기(520)는 사용 가스의 종류나 압력, 유량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크기나 재질 등의 사양이 결정된다. 상기 압력조정기(520)는 감압 방식에 따라 1단감압식(1차압력->사용압력)과 2단감압식(1차압력->중간압력->사용압력)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방법에 따라 압력조정핸들로 조작하여 압력을 제어하는 소형 압력조정기로서의 자력조정기, 또는 소형의 자력식 파이롯트 조정기로 설정한 압력으로 주조정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대형 대용량 조정기로서의 파이롯트식 조정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시험라인(500)은 개별적으로 상술한 압력조정기(520)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시험라인(500)별로 개별 압력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니들밸브(530)는, 상기 공급라인 분기관(420)과 시험배관(510)의 중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시험 가스의 압력 조절 및 내부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상기 니들밸브(530)는 압력전송기(600) 중 시험라인 압력전송기(620)와 연결된 후 가변되는 압력을 계측하면서 압력 시험 대상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압력 시험 대상 기기 내에 공급되는 시험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거나 시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축도관(540)은 상기 시험라인분기관(515)의 상기 다중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의 측 유로와 상기 시험 대상 기기(10)를 연결하는 가스 호스 등의 가요성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험라인 압력게이지(550) 또한, 상기 압력 시험 기록부(700) 또는 관리자 또는 시험자 단말기 등의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 및 전자식 압력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험라인 압력게이지(550)는 상기 통신부를 내장하는 것에 의해 측정된 시험라인의 압력 값을 압력 시험 기록부(700) 또는 외부의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다중 압력 시험을 원격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력전송기 연결밸브(560)는 상기 시험라인(50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전송기(600) 중 시험라인 압력전송기(6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력전송기 연결밸브(560) 또한 원격제어 또는 기 설정된 방식이나 압력에서 동작하도록 원격제어되는 전자식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전송기(600)는 내부에 타이머, 전자식 압력계, 압력기록계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여 다중 압력 시험의 시험 일자, 시간, 시험 압력 등의 다중 압력 시험 정보를 전송 및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압력전송기(600)를 통해 다중 압력 시험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
상기 압력 시험 기록부(700)는 상기 압력전송기(600)로부터 전송된 측정된 가스 압력 값을 수신하여 기록하고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 시험 기록부(700)는 압력기록계(710)와 출력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력기록계(7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HDD, 메모리 소자 등으로 구성되는 저장부와, 다중 압력 시험 데이터에 대한 저장, 갱신, 독출, 송수신, 외부 장치와 접속되는 통신포트 및 출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720)는 상기 압력기록계(710)와 접속하여 상기 압력기록계(710)로부터 출력되는 다중 압력 시험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등의 표시 장치, 프린트 장치 등의 출력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상기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는, 시험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저장탱크(300)가 연결된 상기 공급라인(400)에 필요한 수량의 시험라인(400)과 상기 시험라인 압력전송기(610)를 분기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각각의 시험라인(400)을 기밀 누설 시험 또는 다중 압력 시험 대상이 되는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의 각각의 시험 가스 공급구와 상기 시험라인 압력전송기(620)에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구성한 후 가스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시험 가스를 공급라인(400)과 각각의 시험라인(500)을 통해 다중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로 공급하여 다중 압력 시험을 수행한다. 이때, 공급라인 압력게이지(450), 압력조정기(520), 시험라인 압력게이지(550), 공급라인 압력전송기(610) 및 시험라인 압력전송기(620)에서 측정된 압력 시험 값들이 시험 일자, 시간 등과 함께 다중 압력 시험 결과 데이터로 상기 압력 시험기록부(700)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출력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는 가스공급설비 이외의 기밀시험이 필요한 전 산업 분야의 설비에 대한 기밀시험 또는 압력 시험을 수행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는 가스검지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누설 검지가 가능한 희석 가스를 시험 가스에 혼합하여 압력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가스검지기에 의해 가스 누설의 판정 또한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압력 시험 대상 기기
300: 가스 저장탱크
400: 공급라인
410: 공급밸브
420: 분기관
430: 공급배관
440: 배출밸브
450: 공급라인 압력게이지
500: 시험라인
510: 시험배관
520: 압력조정기
530: 니들밸브
540: 축도관
545: 어댑터
550: 시험라인 압력게이지
560: 압력전송기 연결밸브
600: 압력전송기
610: 공급라인 압력전송기
620: 시험라인 압력전송기
700: 압력 시험기록부
710: 압력기록계
720: 출력부

Claims (6)

  1. 가스 저장탱크(300)로부터 시험 가스를 공급받아 압력 시험 대상 기기로 공급하는 공급라인(400);
    일단이 상기 공급라인(400)에서 분기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압력 시험 대상 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라인(400)에서 공급되는 시험 가스를 압력 시험 대상 기기로 공급하여 상기 압력 시험 대상 기기에 대한 다중 압력 시험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시험라인(500);
    상기 공급라인(400)과 상기 시험라인(500)에 접속되어 상기 공급라인(400)과 상기 시험라인(500)의 가스 압력 값을 측정한 후 전송하는 압력전송기(600); 및
    상기 압력전송기(600)로부터 전송된 다중 압력 시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는 압력 시험 기록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400)은,
    상기 가스 저장탱크(300)와 접속되는 공급밸브(410);
    상기 시험라인(500)이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분기관(420);
    상기 공급밸브(410)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분기관(420)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배관(430);
    상기 공급라인(400)의 말단 유로에 접속되는 배출밸브(440); 및
    상기 공급밸브(410)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공급라인 압력게이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 압력게이지(450)는,
    상기 압력 시험 기록부(7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라인(500)은,
    상기 시험라인(500)의 가스 유로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시험배관(510);
    상기 시험라인(500)의 분기관(420)에 접속된 시험배관(510)에 설치되는 니들밸브(530);
    상기 니들밸브(530)의 하류 측의 상기 시험배관(510)에 접속되어 상기 시험라인(500)으로 공급되는 시험 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감압하여 상기 다중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로 공급하는 압력조정기(520);
    상기 압력조정기(520)의 하류 측에서 시험라인(500)을 상기 다중 압력 시험대상 기기(10) 측과 상기 압력전송기(600) 측으로 분기하도록 상기 시험배관(510)에 설치되는 시험라인분기관(515);
    상기 시험라인분기관(515)과 상기 다중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 측의 유로에 연결된 축도관(540);
    일 측은 상기 축도관(540)의 상기 시험라인분기관(515)과 접속된 단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다중 압력 시험 대상 기기(10)에 연결되는 어댑터(545); 및
    상기 시험라인분기관(515)의 상기 압력전송기(600) 측으로 분기된 유로를 형성하는 시험배관(510)에 설치되어 상기 시험라인(500)의 압력을 측정하는 시험라인 압력게이지(5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라인 압력게이지(550)는, 상기 압력 시험 기록부(7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시험 기록부(700)는,
    상기 압력전송기(600)에서 측정된 상기 압력 시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압력기록계(710); 및
    상기 압력기록계(710)에 저장된 압력 시험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720)를 포함하여 구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KR2020210003901U 2021-12-22 2021-12-22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KR202300013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01U KR20230001337U (ko) 2021-12-22 2021-12-22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01U KR20230001337U (ko) 2021-12-22 2021-12-22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37U true KR20230001337U (ko) 2023-06-29

Family

ID=8694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901U KR20230001337U (ko) 2021-12-22 2021-12-22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337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662B1 (ko) 2003-05-23 2009-09-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천연 가스 공급 설비에서의 안정성 테스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662B1 (ko) 2003-05-23 2009-09-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천연 가스 공급 설비에서의 안정성 테스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509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pressure of natural gas and methods and systems of delivering natural gas
US10663988B2 (en) High integrity protection system for hydrocarbon flow lines
US202200426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
US6719002B2 (en) Pressure testing apparatus for gas service delivery systems
CN203384646U (zh) 液化天然气加气设备低温试验装置
KR102066625B1 (ko) Lng 선박의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진단 방법
WO2020055267A1 (en) In-line testing of pressure safety valves
US6209562B1 (en) Valve assembly, pressure testing apparatus and testing method for propane tank system
CN111681396A (zh) 一种车载液氢瓶地面测试系统及测试方法
CN113390574A (zh) 一种适用于全尺寸柔性复合管及其接头的气体密封性检测系统
US20160033080A1 (en) Method for filling up a storage tank with a gaseous pressurized medium, in particular hydrogen
KR20230001337U (ko) 다중 압력 시험 기록 장치
KR101445751B1 (ko) 열교환을 이용한 극저온 밸브의 유체 누설량 측정장치
KR101407720B1 (ko) Lng용 이중 배관의 성능평가 장치
US6223766B1 (en) Pressure testing apparatus and testing method for propane tank systems
US20110061742A1 (en) Cryogenic liquid cylinder manifold
CN212568267U (zh) 一种燃气管道压力试验及快速查漏装置
KR20200001365U (ko) 배관용 퍼지장치
KR200480851Y1 (ko) 증발가스 압축기 밸브의 테스트장치
KR20220138469A (ko) Lng 벙커링 밸브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CN103742752A (zh) 一种低温液体泄漏保护装置
CN207336004U (zh) 一种低温阀低温性能测试系统
KR200494171Y1 (ko) 정압기의 개도율 표시장치
CN203895130U (zh) 一种核电站开关校验装置及校验系统
US202304001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uel gas distrib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