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048U - 꼬치구이기 - Google Patents

꼬치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048U
KR20230001048U KR2020210003473U KR20210003473U KR20230001048U KR 20230001048 U KR20230001048 U KR 20230001048U KR 2020210003473 U KR2020210003473 U KR 2020210003473U KR 20210003473 U KR20210003473 U KR 20210003473U KR 20230001048 U KR20230001048 U KR 202300010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side walls
support
wall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상
김형미
Original Assignee
유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상 filed Critical 유태상
Priority to KR2020210003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048U/ko
Publication of KR20230001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0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31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외에서 일반 그릴 뿐만 아니라 화로 또는 모닥불 상에서도 꼬치구이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특히 캠핑을 좋아하는 사용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필요시에 하단을 지중에 박아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 또는 운반시에는 최소의 부피로 포개질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꼬치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는, 전방벽의 양단에 측벽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상단에는 회전덮개가 상기 양 측벽에 양단이 관통되는 힌지축에 힌지연결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 내에 끼워지도록 전방벽의 양단에 측벽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양 측벽의 하단에는 상기 힌지축에 지지가능한 걸림단턱이 형성되는 상부지지대와, 하부벽의 양단에 후방벽과 전방벽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상기 상부지지대에 관통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후방벽의 하단 또는 하측에는 꼬치관통공이 관통형성되며 전방벽의 상단에는 꼬치거치홈이 형성되는 꼬치고정대와, 후방측은 상기 꼬치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꼬치거치홈에 거치되고 전방에는 꼬치구이용 음식물이 꿰어지는 꼬치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꼬치구이기{Skewer roaster}
본 고안은 음식물이 꿰어진 꼬치가 고정되어 직화에 의해 조리될 수 있도록 하는 꼬치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에서 일반 그릴 뿐만 아니라 화로 또는 모닥불 상에서도 꼬치구이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특히 캠핑을 좋아하는 사용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필요시에 하단을 지중에 박아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 또는 운반시에는 최소의 부피로 포개질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꼬치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구이는 예를 들어 양고기,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육류는 물론, 양파, 파, 피망 등의 야채, 그리고, 소시지, 햄 등과 같은 육가공 식품 등과 같이 취식자가 원하는 음식물들을 그 종류나 성질에 구애받음 없이 일정한 크기로 손질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는 꼬치스틱에 꽂아 고온의 열에 구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조리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꼬치구이는 구이 대상이 되는 다양한 음식물에 있어, 특히, 육류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지방(기름)을 제거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비린내를 없애는 탈취기능 또한 병행하게 되는 것으로, 오늘날 성인병 예방에 좋은 조리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이와 같은, 꼬치구이를 소비자들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음식업소로서, 다양한 식재료를 이용한 꼬치구이 전문요리점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으며, 이러한 꼬치구이 전문요리점 등에서는 다량의 꼬치구이를 소비자에게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통상 꼬치구이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꼬치구이기의 일 예로,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00-0018787호(2000.10.25. 공개)에는 중앙에 형성되며 내측 주연부에는 단부가 형성된 구이기 장착부를 포함하는 테이블과; 상기 구이기 장착부에 삽입되어 상측판이 테이블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장착되며, 전방상측판과 전면판에는 꼬치봉이 내부로 함몰되는 봉 삽탈공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꼬치봉의 손잡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승강축이 포함되는 승강부가 장착되며, 상기 상측판의 내측 주연부에는 커버가 장착될 수 있도록 단부가 형성된 구이기 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내부로 함몰 장착되는 꼬치구이기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2-0053041호(2002.07.04. 공개)에는 테이블에 안착되는 본체 내부로 내설되는 숯불함체와, 상기 숯불함체 상단으로 위치되는 꼬치봉과, 상기 꼬치봉 양단을 거치하기 위한 꼬치봉 거치수단과 상기 꼬치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과, 숯불함체 및 조리육으로부터 낙하되는 기름등을 받기 위한 기름받이함체로 되어 조리실 내부의 숯불함체로부터 발열되는 열기에 의해 꼬치봉의 육류를 조리하는 테이블용 숯불 꼬치구이기에 있어서, 일측 하단으로 송풍수단이 본체 하단 개방구 및 거치홈이 형성된 구획격판의 송풍구와 연통되며 내설되고, 타측으로 회전수단이 내설되고, 내부 전후 양측면으로 각각 반사판을 형성하여 조리실을 형성하고, 하단으로 슬라이딩 인출/수납되는 기름받이함체가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을 횡단하는 횡간바 및 횡간바를 직교 횡단하는 거치바가 형성되는 본체와; 외기유도공이 다수 천공되어 상기 본체의 거치바 사이에 안착되며 조리실 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숯불함체; 회전수단의 회전축으로 축설되는 원판형상의 원주면에 복수조의 회전공이 천공되어 꼬치봉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상기 후면반사판으로 돌출되는 회전구; 및 상기 꼬치봉의 손잡이가 거치되기 위해 상기 반사판 중 전면반사판으로 구획격판의 거치홈과 동일 위치상에 거치홈이 각각 형성되는 는 테이블용 숯불 꼬치구이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꼬치구이기는 실내에서 그릴이나 테이블 상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을 뿐, 야외에서 화로 또는 모닥불을 이용하여 꼬치구이를 가능하게 하지는 못함에 따라 특히 캠핑 등을 좋아하는 사용자들이 야외에서 이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1.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00-0018787호(2000.10.25. 공개)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2-0053041호(2002.07.04. 공개)
본 고안은 실외에서 일반 그릴 뿐만 아니라 화로 또는 모닥불 상에서도 꼬치구이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특히 캠핑을 좋아하는 사용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꼬치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필요시에 하단을 지중에 박아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 또는 운반시에는 최소의 부피로 포개질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꼬치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방벽의 양단에 측벽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상단에는 회전덮개가 상기 양 측벽에 양단이 관통되는 힌지축에 힌지연결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 내에 끼워지도록 전방벽의 양단에 측벽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양 측벽의 하단에는 상기 힌지축에 지지가능한 걸림단턱이 형성되는 상부지지대와, 하부벽의 양단에 후방벽과 전방벽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상기 상부지지대에 관통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후방벽의 하단 또는 하측에는 꼬치관통공이 관통형성되며 전방벽의 상단에는 꼬치거치홈이 형성되는 꼬치고정대와, 후방측은 상기 꼬치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꼬치거치홈에 거치되고 전방에는 꼬치구이용 음식물이 꿰어지는 꼬치대를 포함하는 꼬치구이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단 타격에 의해 하측이 지중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대의 양 측벽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되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덮개는 상단 타격 시에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단을 덮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힌지축의 하측에는 상기 양 측벽에 양단이 연결되는 걸림대가 수평연장되고,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대의 전방으로 끼워져 지지되는 끼움대가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꼬치고정대는 상기 상부지지대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부지지대 내로 수용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지지대의 양 측벽 상에는 다단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꼬치고정대는 상기 다단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지지대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결합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꼬치대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상기 꼬치고정대에 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꼬치구이기는, 하부지지대가 지중으로 타격되어 고정되고 하부지지대의 상단에 거치되는 상부지지대에 꼬치고정대가 관통결합되어 실외에서 일반 그릴 뿐만 아니라 화로 또는 모닥불 상에서도 꼬치구이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특히 캠핑을 좋아하는 사용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꼬치구이기는, 필요시에 하부지지대의 하단을 지중에 박아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 또는 운반시에는 꼬치고정대가 상부지지대 내에 수용된 상태로 하부지지대 내로 수용되어 최소의 부피로 포개질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꼬치구이기는, 꼬치대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꼬치고정대에 거치됨에 따라 손잡이에 해당하는 후방으로 기름이 흐르게 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에 있어서,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의 결합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의 휴대보관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에 있어서,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의 결합구조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의 휴대보관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는, 전방벽의 양단에 측벽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상단에는 회전덮개가 상기 양 측벽에 양단이 관통되는 힌지축에 힌지연결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 내에 끼워지도록 전방벽의 양단에 측벽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양 측벽의 하단에는 상기 힌지축에 지지가능한 걸림단턱이 형성되는 상부지지대와, 하부벽의 양단에 후방벽과 전방벽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상기 상부지지대에 관통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후방벽의 하단 또는 하측에는 꼬치관통공이 관통형성되며 전방벽의 상단에는 꼬치거치홈이 형성되는 꼬치고정대와, 후방측은 상기 꼬치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꼬치거치홈에 거치되고 전방에는 꼬치구이용 음식물이 꿰어지는 꼬치대를 포함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1)에 대한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채널 형상을 가지는 하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0)의 상단 내로 끼워져 지지고정되고 채널 형상을 가지는 상부지지대(20)와, 상부지지대(20)에 관통결합되어 수평연장되고 채널 형상을 가지는 꼬치고정대(30)와, 꼬치고정대(30)에 거치되는 꼬치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지지대(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1)가 지중으로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1)의 휴대보관 시에 외부케이싱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방벽(11)의 양단에 측벽(12)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며, 금속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지지대(10)는 예를 들어 망치 등과 같은 도구로 상단을 타격할 경우에 하측이 지중으로 파고들어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부지지대(10)의 양 측벽(12)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지지대(10)의 상단에는 회전덮개(13)가 양 측벽(12)에 양단이 관통되는 힌지축(14)에 힌지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덮개(13)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1)의 사용시에 하부지지대(10)에 끼워진 상부지지대(20)의 양 측벽(22)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하향 회동되고, 예를 들어 망치 등과 같은 도구로 하부지지대(10)의 상단을 타격할 경우에 타격력이 그대로 잔달될 수 있도록 하부지지대(10)의 상단을 덮도록 상향 회동되며,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1)의 휴대보관시에는 상부지지대(20)의 전방벽(21)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하향 회동된다.
또한 힌지축(14)의 하측에는 양 측벽(12)에 양단이 연결되는 걸림대(15)가 수평연장된다. 이러한 걸림대(15)는 상부지지대(20)의 하단에 형성되는 후술될 끼움대(25)가 전방벽(11)과 걸림대(15)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하부지지대(10)의 상단 내로는 상부지지대(20)가 끼워져 지지고정된다. 상부지지대(20)는 실제 꼬치대(40)가 거치되는 꼬치고정대(3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하부지지대(10) 내에 끼워지도록 전방벽(21)의 양단에 측벽(22)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며, 금속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지지대(20)의 양 측벽(22)의 하단에는 전술한 하부지지대(10)로의 끼움 결합시에 힌지축(14)에 지지가능한 걸림단턱(23)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지지대(20)의 양 측벽(22) 상에는 꼬치고정대(30)의 높이조절 가능한 관통결합을 위한 다단걸림턱(24)이 형성된다. 이 때 꼬치고정대(30)는 다단걸림턱(24)에 후방벽(32)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상부지지대(20)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결합된다.
또한 상부지지대(20)의 하단에는 걸림대(15)의 전방으로 끼워져 지지되는 끼움대(25)가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끼움대(25)는 걸림대(15)는 하부지지대(10)의 전방벽(11)과 걸림대(15) 사이로 끼워져 고정되는 일종의 하단결합구에 해당한다.
전술한 상부지지대(20)에는 꼬치고정대(30)가 관통결합되어 수평연장된다. 꼬치고정대(30)는 음식물이 꿔어진 꼬치대(40)의 후방측이 꼬치구이를 위해 거치되는 것으로, 하부벽(31)의 양단에 후방벽(32)과 전방벽(32')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며, 금속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꼬치고정대(30)의 중앙에는 꼬치고정대(30)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상부지지대(20)에 관통결합되는 결합공(33)이 형성된다. 또한 후방벽(32)의 하단 또는 하측에는 꼬치대(40)의 후방측이 관통되는 꼬치관통공(34)이 관통형성되며 전방벽(32')의 상단에는 꼬치대(40)의 후방측이 거치되는 꼬치거치홈(35)이 형성된다.
이 때 꼬치관통공(34)과 꼬치거치홈(35)은 꼬치고정대(30) 상에 대수개의 꼬치대(40)가 거치가능하도록 꼬치고정대(30) 상에 다수개가 서로대 응되게 이격 형성되되, 결합공(33)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꼬치고정대(3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1)의 휴대보관시에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지지대(20)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부지지대(10) 내로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꼬치고정대(30) 상에는 꼬치대(40)가 거치된다. 꼬치대(40)는 꼬치구이를 위한 음식물이 꿰어지는 것으로, 후방측은 꼬치고정대(30)의 꼬치관통공(34)을 관통하여 꼬치거치홈(35)에 거치되고 전방에는 꼬치구이용 음식물이 꿰어진다.
꼬치대(40)는 꼬치구이 시에 꼬치구이용 음식물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이 손잡이에 해당해는 후방측으로 타고 흐르지 못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꼬치고정대(30)에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꼬치대(40)는 목재 또는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1)의 경우에는 하부지지대(10)가 지중으로 타격되어 고정되고 하부지지대(10)의 상단에 거치되는 상부지지대(20)에 꼬치고정대(30)가 관통결합되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외에서 일반 그릴 뿐만 아니라 화로 또는 모닥불 상에서도 꼬치구이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특히 캠핑을 좋아하는 사용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1)의 경우에는, 필요시에 하부지지대(10)의 하단을 지중에 박아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 또는 운반시에는 꼬치고정대(30)가 상부지지대(20) 내에 수용된 상태로 하부지지대(10) 내로 수용되어 최소의 부피로 포개질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구이기(1)의 경우에는, 꼬치대(40)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꼬치고정대(30)에 거치됨에 따라 손잡이에 해당하는 후방으로 기름이 흐르게 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꼬치구이기
3 : 화로
10 : 하부지지대
11 : 전방벽
12 : 측벽
13 : 회전덮개
14 : 힌지축
15 : 걸림대
10 : 상부지지대
21 : 전방벽
22 : 측벽
23 : 걸림단턱
24 : 다단걸림턱
25 : 끼움대
30 : 꼬치고정대
31 : 하부벽
32 : 후방벽
32' : 전방벽
33 : 결합공
34 : 꼬치관통공
35 : 꼬치거치홈
40 : 꼬치대

Claims (6)

  1. 전방벽(11)의 양단에 측벽(12)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상단에는 회전덮개(13)가 상기 양 측벽(12)에 양단이 관통되는 힌지축(14)에 힌지연결는 하부지지대(10);
    상기 하부지지대(10) 내에 끼워지도록 전방벽(21)의 양단에 측벽(22)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양 측벽(22)의 하단에는 상기 힌지축(14)에 지지가능한 걸림단턱(23)이 형성되는 상부지지대(20);
    하부벽(31)의 양단에 후방벽(32)과 전방벽(32')이 각각 절곡형성되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상기 상부지지대(20)에 관통결합되는 결합공(33)이 형성되고 후방벽(32)의 하단 또는 하측에는 꼬치관통공(34)이 관통형성되며 전방벽(32')의 상단에는 꼬치거치홈(35)이 형성되는 꼬치고정대(30); 및
    후방측은 상기 꼬치관통공(34)을 관통하여 상기 꼬치거치홈(35)에 거치되고 전방에는 꼬치구이용 음식물이 꿰어지는 꼬치대(40)를 포함하는 꼬치구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10)는 상단 타격에 의해 하측이 지중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대(10)의 양 측벽(12)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되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덮개(13)는 상단 타격 시에 상기 하부지지대(10)의 상단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구이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14)의 하측에는 상기 양 측벽(12)에 양단이 연결되는 걸림대(15)가 수평연장되고, 상기 상부지지대(20)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대(15)의 전방으로 끼워져 지지되는 끼움대(25)가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구이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꼬치고정대(30)는 상기 상부지지대(20)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부지지대(10) 내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구이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20)의 양 측벽(22) 상에는 다단걸림턱(24)이 형성되고, 상기 꼬치고정대(30)는 상기 다단걸림턱(2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지지대(20)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구이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꼬치대(40)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상기 꼬치고정대(30)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구이대.
KR2020210003473U 2021-11-16 2021-11-16 꼬치구이기 KR202300010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473U KR20230001048U (ko) 2021-11-16 2021-11-16 꼬치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473U KR20230001048U (ko) 2021-11-16 2021-11-16 꼬치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048U true KR20230001048U (ko) 2023-05-23

Family

ID=8654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473U KR20230001048U (ko) 2021-11-16 2021-11-16 꼬치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048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787U (ko) 1999-03-27 2000-10-25 김선석 테이블에 설치된 꼬치구이기
KR20020053041A (ko) 2002-05-17 2002-07-04 김복남 테이블용 숯불 꼬치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787U (ko) 1999-03-27 2000-10-25 김선석 테이블에 설치된 꼬치구이기
KR20020053041A (ko) 2002-05-17 2002-07-04 김복남 테이블용 숯불 꼬치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705B2 (en) Vertical food smoker/cooker
US3943837A (en) Dual purpose barbecue grill and rotisserie
US6125739A (en) Device for supporting and steaming fowl
US5460159A (en) Multi smoke cooker
US3140651A (en) Charcoal cooker
US2335217A (en) Cooking grill
US6467399B1 (en) Meat and poultry roaster
US20050039612A1 (en) Multiple bottom outdoor grill accessory
US20070151465A1 (en) Skewer holder
US6213004B1 (en) Portable broiling device
US9839224B2 (en) Food smoker adapter
KR101555777B1 (ko) 구이기
US11547241B1 (en) Skewer holder
KR20230001048U (ko) 꼬치구이기
US3059568A (en) Portable rotisserie
KR102012239B1 (ko)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US20200383340A1 (en) Grill smoker box with partitioned volume for food
JP2021078952A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KR102475613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CN214180166U (zh) 一种具有防烫手烧烤架
KR102115097B1 (ko) 고기구이판
US20230148794A1 (en) Canister Grilling Bar
JP3238667U (ja) 串焼き用具
CN217723279U (zh) 多功能无烟炉灶
CN214631730U (zh) 一种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