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912U - 근조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근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조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근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912U
KR20230000912U KR2020210003297U KR20210003297U KR20230000912U KR 20230000912 U KR20230000912 U KR 20230000912U KR 2020210003297 U KR2020210003297 U KR 2020210003297U KR 20210003297 U KR20210003297 U KR 20210003297U KR 20230000912 U KR20230000912 U KR 202300009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deceased
display unit
main bod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206Y1 (ko
Inventor
유종희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진시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진시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진시닝
Priority to KR2020210003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06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9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근조기 형상의 구조체에 고객사 정보(로고 네이밍), 근조 문구, 메시지,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전송함으로서 깃발 형상의 종래 실물 근조기를 배달하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추모사진이나 영상을 디지털 근조기에 실행할 수 있는 근조기 구조체 및 근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조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근조 시스템{Condolence flag structure and Condolen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근조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근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조기 형상의 구조체에 고객사 정보(로고 네이밍), 근조 문구, 메시지,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전송함으로서 깃발 형상의 종래 실물 근조기를 배달하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추모사진이나 영상을 디지털 근조기에 실행할 수 있는 근조기 구조체 및 근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장례식장에는 단체로서 고인을 추모하기 위해 근조기가 설치된다. 도 1과 같이, 현재 근조기로는 기업명(단체명도 포함), 기업 로고 또는 특정 문양이 표시된 깃발 실물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각 기업이나 단체에서는 직원이나 회원, 또는 이들의 부모가 영면하면, 해당 장례식장으로 근조기를 배달하여 기업 차원에서 추모 마음을 가족에게 전달하고 있다.
하지만, 장례식이 생길 때마다 근조기를 일일이 배달하고, 이를 회수 및 보관하는 것이 기업이나 단체에서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기업들은 번거로운 근조기 배달 및 관리를 위탁 업체에 맡겨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77584호에서는 근조기를 깃발 실물이 아닌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도 2 참고). 상기 한국공개특허에서는 서버에 미리 저장된 근조기 이미지를 장례식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화면(클라이언트)에 표시함으로써 근조기 실물을 배달하지 않는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한국공개특허는 기업이나 단체의 엠블럼, 명칭을 수신받거나 온라인에서 다운받아 근조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근조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화면 중앙 상단에 표시하고, 그 아래에 메시지와 발신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는 장례식장에 설치된 모니터 화면 중앙 상단에 근조기 이미지를 띄우는 방식인데, 조문객이 모니터와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하거나 측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모니터 화면에 띄워진 근조기를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동안 조문객들에게 익숙한 근조기는 깃발 형태의 구조물인데, 상기 한국공개특허는 단순히 근조기의 이미지를 모니터 화면에 송출하는 것이어서 실물 근조기가 갖는 특유의 모양새와 특별함, 엄숙함을 제공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본 고안은 근조기 깃발 실물을 배달하거나 관리하지 않아도 되는 근조기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실물 근조기와 유사한 정도로 추모 마음을 표시할 수 있는 근조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업 로고나 기업명 또는 문양을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근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업이나 가족이 고인에 대한 추모 마음을 영상이나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는 근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상에서 본 고안은
사각형상으로 통공된 상부 프레임(11) ;
상기 상부 프레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부(12) ; 및
상기 상부 프레임(11)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형상, 하부가 라운드된 사각형상, 역삼각형상 또는 역오각형상인 하부 프레임(13)을 구비하는 본체(10) ;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거치부(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는 사각형상, 하부가 라운드된 사각형상 또는 오각형상의 근조기 형상을 제공하는 근조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본 고안은
사각형상의 디스플레이부(212) ; 및
상기 디스플레이(212) 하부에 결합된 사각형상, 하부가 라운드된 사각형상, 역삼각형상 또는 역오각형상인 하부 프레임(213)을 구비하는 본체(210) ;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거치부(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는 사각형상, 하부가 라운드된 사각형상 또는 오각형상의 근조기 형상을 제공하는 근조기 구조체에 관련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본 고안은
근조기 구조체(100, 200) ;
상기 근조기 구조체의 디스플레이부(12, 212)에 고객사 정보(로고 네이밍), 근조 문구, 메시지, 영상, 이미지 또는 음원을 전송하는 서버(300) ; 및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근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고인 정보 또는 고인자료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고객사 단말(400) 또는 사용자 단말(상주 단말)(500)을 포함하는 근조기 시스템에 관련된다.
본원고안의 근조기 구조체는, 비록 천으로 된 깃발 형태가 아니지만, 상부 프레임 또는 디스플레이부와 하부 프레임를 구비하여 깃발 형태와 유사한 근 조기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고안의 근조기 구조체는 외관상 종래 근조기 형상과 유사하므로 조문객은 근조기 구조체를 근조기로 인지할 수 있고, 따라서, 본원 고안의 근조기 구조체는 모니터 화면에 별도의 근조기 이미지를 띄우지 않아도 조문객들에게 실물 근조기가 갖는 특유의 모양새와 특별함, 엄숙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원 고안의 근조기 구조체는 모니터 화면에 (근조기 이미지 대신에) 고인 관련 사진, 음원, 메시지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가족이나 조문객에게 고인을 추모하는 마음을 깊이있게 전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시스템은 고객사가 제공한 고인 자료(고인이 기업에 기여한 자료나 직원들과의 유대관계를 나타내는 사진, 영상, 음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기업 이미지 제고나 애사심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은 고객사 단말로부터 고인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고인에 대한 추모방을 개설하고, 사용자 단말(상주 단말)은 추모방을 통해 고인을 기릴 수 있는 자료(사진, 영상, 음원이나 메시지)를 직접 업로드 할 수 있다.
도 1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근조기 실물 사진이다.
도 2는 한국공개특허 10-2017-0077584호에 개시된 근조기 이미지가 업로드된 디스플레이부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기 않은 근조기 구조체의 전면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근조기 구조체의 전면 및 배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근조기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서버 구성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디스플레이부에 실행되는 이미지와 메시지의 예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기 않은 근조기 구조체의 전면 및 배면도이고, 도 4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근조기 구조체의 전면 및 배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근조기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서버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근조기 구조체(100, 200)는 본체(10, 210) 및 거치부(20, 220)를 포함한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본체(10)는 상부 프레임(11), 디스플레이부(12) 및 하부 프레임(1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11)은 사각형상으로 통공된 프레임(틀)이다. 즉, 상부 프레임(11)의 통공된 영역의 크기(ℓ×m)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로와 세로길이) 대비 같거나 20mm 이내의 범위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정도의 폭(t)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폭(t)은 5m~30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일반 모니터, 스마트 TV, 스마트 모니터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TV나 스마트 모니터는 내부에 프로세서(CPU), 통신모듈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전면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영상이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반모니터인 경우, 상기 근조기 시스템은 모니터에 인접한 곳에 상기 모니터를 제어하는 PC 본체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3)은 상기 상부 프레임(11)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고하면, 상기 하부 프레임(13)은 판상의 패널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1)과 상기 하부프레임(13)은 금속, 합성수지 또는 목재 패널일 수 있다.
도 3의 (a)를 참고하면, 상기 하부 프레임(13)은 사각형상, 하부가 라운드된 사각형상, 역삼각형상 또는 역오각형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부가 라운드된 사각형상, 역삼각형상 또는 역오각형상일 수 있다.
도 3의 (a)를 참고하면, 상기 하부 프레임(13)은 실물 근조기(도 1 참고)가 갖는 특유의 모양(깃발의 하부가 하방으로 뾰족함)을 재현함으로써, 실물 근조기와 유사한 이미지 또는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은 전면이 검정색인 패널로서, 전면에 고인의 명복을 비는 문구나 도안이 기재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0)는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거치부(2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거치부(20)는 상기 본체(10)의 배면측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거치부(20)는 거치봉(21), 브라켓(22) 및 상기 브라켓의 홀에 삽입되는 결합수단(23)(볼트나 나사못, 너트 등)일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근조기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근조기 구조체(200)는 본체(210) 및 거치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10)는 사각형상의 디스플레이부(212) 및 상기 디스플레이(212) 하부에 결합된 사각형상, 하부가 라운드된 사각형상, 역삼각형상 또는 역오각형상인 하부 프레임(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와 하부 프레임(213)은 앞에서 상술한 디스플레이부 212와 하부 프레임 213을 참고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의 근조기 구조체(200)는 근조기 구조체(100)의 상부 프레임(11)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다.
상기 상부 프레임(11) 없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와 상기 하부 프레임(21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와 상기 하부 프레임(213)이 결합수단(예를 들면, 밸크로, 브라켓, 볼트 등)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와 상기 하부 프레임(213)이 각각 상기 거치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20)는 앞에서 상술한 거치부(20)을 참고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근조기 구조체(100, 200)는 디스플레이부(12)를 구비하는 본체를 통해 사각형상, 하부가 라운드된 사각형상 또는 오각형상의 근조 깃발과 같은 이미지나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찹고하면, 본 고안의 근조기 시스템은 근조기 구조체(100, 200), 서버(300), 고객사 단말(400) 및 사용자 단말(500)을 포함한다.
상기 근조기 구조체(100, 200)는 앞에서 상술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근조기 구조체의 디스플레이부(12, 212)에 고객사 정보(로고 네이밍), 근조 문구, 메시지, 영상, 이미지 또는 음원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DB(310), 통신부(320), 프로세서(330) 및 사용자 관리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B(310)는 고객사의 명칭, 로고, (고객사와 합의된) 근조 문구나 메시지, 영상, 이미지 또는 음원이 저장되는 고객사 DB(311), 고객사로부터 고인 정보가 수신되면 임시로 생성되며, 고인 자료가 저장되는 사용자 DB(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3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사용자 관리모듈(340)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근조 어플리케이션을 복수의 고객사 단말(400) 내지 사용자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객사 단말(400)과 사용자 단말(500)은 모바일과 개인용 PC를 포함하여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이고,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 PMP, 네비게이션 등 외부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모든 개인용 단말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고객사 단말은 각 기업이나 단체의 단말로서(상조 관련 직원의 단말),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근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실행하고, 직원이나 단체 회원이나 이들의 부모가 영면하는 경우 고인 정보 또는 고인자료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고인의 상주나 고인 가족의 단말로서,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근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사용자 관리 모듈(340)은 상기 고객사 단말(400)로부터 고인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고인에 대한 추모방을 상기 근조 어플리케이션에 개설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사용자 관리 모듈(340)은 사용자 단말(500)(상주 단말)로 근조 어플리케이션 링크와 상기 추모방의 비밀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500)은 근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고인 정보 또는 고인자료를 상기 추모방을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관리모듈(340)은 고인자료가 추모방에 업로드되면 이를 사용자 DB(312)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관리모듈(340)은 상기 고객사DB(311)에 저장된 고객사 정보(로고 네이밍), 근조 문구, 메시지, 영상, 이미지 또는 음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2. 212)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상기 사용자 관리모듈(340)이 근조기 구조체의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전송시킨 이미지와 메시지의 예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본 고안의 시스템은 고객사가 제공한 고인 자료(고인이 기업에 기여한 자료나 직원들과의 유대관계를 나타내는 사진, 영상, 음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기업 이미지 제고나 애사심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관리모듈(340)은 상기 사용자 DB(312)에 저장된 고인자료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2. 212)에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시스템은 고인을 기릴 수 있는 자료(사진, 영상, 음원이나 메시지)를 고객사(기업, 단체 등) 뿐만 아니라 고인의 가족(사용자 단말)을 통해 직접 업로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200 : 근조기 구조체 300 : 서버
400 : 고객사 단말 500 : 사용자 단말

Claims (7)

  1. 사각형상으로 통공된 상부 프레임(11) ;
    상기 상부 프레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부(12) ; 및
    상기 상부 프레임(11)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형상, 하부가 라운드된 사각형상, 역삼각형상 또는 역오각형상인 하부 프레임(13)을 구비하는 본체(10) ;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거치부(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는 사각형상, 하부가 라운드된 사각형상 또는 오각형상의 근조기 형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조기 구조체.
  2. 사각형상의 디스플레이부(212) ; 및
    상기 디스플레이(212) 하부에 결합된 사각형상, 하부가 라운드된 사각형상, 역삼각형상 또는 역오각형상인 하부 프레임(213)을 구비하는 본체(210) ;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거치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210)는 사각형상, 하부가 라운드된 사각형상 또는 오각형상의 근조기 형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조기 구조체.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1)과 상기 하부프레임(13, 213)은 금속, 합성수지 또는 목재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조기 구조체.
  4.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3, 213)은 전면이 검정색인 패널로서, 전면에 고인의 명복을 비는 문구나 도안이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조기 구조체.
  5.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 212)는 일반 모니터, 스마트 TV, 스마트 모니터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반모니터인 경우, 상기 근조기 시스템은 상기 모니터에 인접한 곳에 상기 모니터를 제어하는 PC 본체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조기 구조체.
  6. 제 1 항 또는 제 2항의 근조기 구조체(100, 200) ;
    상기 근조기 구조체의 디스플레이부(12, 212)에 고객사 정보(로고 네이밍), 근조 문구, 메시지, 영상, 이미지 또는 음원을 전송하는 서버(300) ; 및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근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고인 정보 또는 고인자료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고객사 단말(400) 또는 사용자 단말(상주 단말)(500)을 포함하는 근조기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0)는 상기 고객사 정보인 기업명 및 로고와 근조 문구를 저장하는 고객사 DB(310), 통신부(320), 프로세서(330) 및 사용자 관리모듈(340)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관리모듈(340)은 상기 고객사 단말(400)로부터 고인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고인에 대한 추모방을 개설하고, 사용자 단말(500)(상주 단말)로 근조 어플리케이션 링크와 상기 추모방의 비밀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관리모듈(340)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고인 자료가 상기 추모방에 업로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2. 212)에 상기 고인자료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조기 시스템.






KR2020210003297U 2021-10-29 2021-10-29 근조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근조 시스템 KR200497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97U KR200497206Y1 (ko) 2021-10-29 2021-10-29 근조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근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97U KR200497206Y1 (ko) 2021-10-29 2021-10-29 근조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근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12U true KR20230000912U (ko) 2023-05-09
KR200497206Y1 KR200497206Y1 (ko) 2023-08-30

Family

ID=8631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97U KR200497206Y1 (ko) 2021-10-29 2021-10-29 근조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근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0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19Y1 (ko) * 2010-02-08 2010-09-13 삼원에프에이 (주) 영상화환
KR20110031260A (ko) * 2009-09-19 2011-03-25 김철재 근조 단말장치
KR20170077584A (ko) * 2015-12-28 2017-07-06 김상태 디지털 근조기 시스템
KR102185841B1 (ko) * 2019-04-22 2020-12-02 박승태 디지털 근조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260A (ko) * 2009-09-19 2011-03-25 김철재 근조 단말장치
KR200450219Y1 (ko) * 2010-02-08 2010-09-13 삼원에프에이 (주) 영상화환
KR20170077584A (ko) * 2015-12-28 2017-07-06 김상태 디지털 근조기 시스템
KR102185841B1 (ko) * 2019-04-22 2020-12-02 박승태 디지털 근조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206Y1 (ko)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950B1 (ko) 정보 처리 및 전달 방법
US20090273568A1 (en) Information management and display system
US200700618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ftware driven advertising
CN105278903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以及服务器
US20180357681A1 (en) Dual-display digital signage apparatus for outdoor use
US10269060B2 (en) Internet direct-sales system using merchandise exhibition box having live camera
US200601009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ing
KR200497206Y1 (ko) 근조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근조 시스템
US7831654B1 (en) System and method to communicate information to an employee
TW200630902A (en) 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produciton service
JP2007513369A (ja) 携帯用対話表示システム
US11119721B1 (en) Visual display system
JP3199239U (ja) アクセサリー及び供養システム
JP2010176113A (ja) 広告パネル
US20040150526A1 (en) Method of informational advertising in restrooms
CN205983431U (zh) 一种智能会展系统
KR20080083224A (ko) 전자화환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
US20140103106A1 (en) System for displaying service information
KR20000049922A (ko) 웹 상에서 구현된 무선망 멀티미디어 정보 단말기 시스템및 그 운영방식
CN112199147A (zh) 应用于智能终端内的录屏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291889B1 (ko) 전자 화환
KR100729448B1 (ko) 광고 장치
KR200442159Y1 (ko) 원격관리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판넬이 장착된 판매점계산대
CN210402969U (zh) 一种网络版广告机以及网络版广告投放系统
Jebisha et al. E-Mail based notice board using raspberry-p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