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896A -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 - Google Patents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896A
KR20230000896A KR1020210116061A KR20210116061A KR20230000896A KR 20230000896 A KR20230000896 A KR 20230000896A KR 1020210116061 A KR1020210116061 A KR 1020210116061A KR 20210116061 A KR20210116061 A KR 20210116061A KR 20230000896 A KR20230000896 A KR 20230000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iva
collecting
backflow prevention
coll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주현
박은용
Original Assignee
(주)페타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타셀 filed Critical (주)페타셀
Publication of KR20230000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방지구조가 형성된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인공젖꼭지를 빠는 형태와 흡사한 방식으로 이하선(귀밑샘)에서 분비되는 타액을 손쉽게 채취하여, 피부 손상이나 고통 없이 영유아의 타액을 채취할 수 있으며, 구강의 타액이 거의 섞이지 않아 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Device for collecting specimen}
본 발명은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역류방지구조가 형성된 비강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타액이란 침샘으로부터 입 안으로 분비되는 분비액을 뜻하는 것으로, 혈액, 소변, 뇌척수액과 같은 다른 체액처럼 몸의 병리와 생리적 상태를 반영해줄 수 있는 단백질, 핵산 등의 분자를 포함하고 있어 질병을 진단하는 데 활용도가 높다.
한편, 최근 공기 전염에 의한 호흡기 계통의 바이러스성 질환이 전 세계적으로 크게 유행함에 따라, 감염여부의 확인을 위해 전국의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비강(鼻腔)의 타액채취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종래에는 비강의 타액채취검사를 위해 구강 전반의 타액을 모아 검사하거나, 면봉을 이용하여 비강 내벽의 타액을 채취하여 검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구강 전반의 타액을 모아 검사하는 방식으로는 구강 내의 타액을 컵이나 깔때기 모양의 기구에 뱉는 형태와, 필터를 입안에 넣고 씹은 후 짜내는 형태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타액선에서 나온 순수 타액 외에 구강 내 다른 물질들(구강 점막, 음식물 잔사, 플라그, 정상세균 및 다른 균들 등)과 혼합된 타액을 채취하게 되어, 비강의 타액 성분이 다른 물질들과 희석되어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강 내벽의 타액만을 채취하여 검사하는 방식의 경우, 스왑(swab, 면봉)을 이용하는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이러한 방식은 피검사자로부터 호흡기 질환의 실제 감염이 이루어지는 비강 내부에 검체 채취용 면봉을 삽입한 후, 비강 내벽의 점막으로부터 분비물을 채취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왑을 이용한 방식은 비강 내부의 피부와 스왑의 마찰로 인해 피부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고통을 유발하여, 소아나 영유아의 경우 채취 자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2214776호(명칭: 타액 수집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역류방지구조가 형성된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를 통해 인공젖꼭지를 빠는 형태와 흡사한 방식으로 이하선(귀밑샘)에서 분비되는 타액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는 피검사자의 타액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타액수집부와, 상기 타액수집부로부터 유입된 타액을 캡으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관 형태의 타액배출부와, 상기 타액수집부와 타액배출부의 일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내측에 형성되어 피검사자의 호흡에 의해 이동되면서 역류방지홀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역류방지구슬이 포함되는 역류방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역류방지구슬은 상기 타액배출부로 유입된 타액을 상기 타액수집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타액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는 역류방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인공젖꼭지를 빠는 형태와 흡사한 방식으로 이하선(귀밑샘)에서 분비되는 타액을 손쉽게 채취하여 피부 손상이나 고통 없이 영유아의 타액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는 비강의 타액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구강 내 다른 물질들(구강 점막, 음식물 잔사, 플라그, 정상세균 및 다른 균들 등)과 혼합되는 비율이 매우 낮아 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는 캡을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캡 내부에 보존제 또는 반응액이 보관되어 있어, 타액이 배출되면, 캡에 내장된 보존제 또는 반응액과 자동으로 섞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출된 타액에 별도로 보존액 또는 반응액을 투입하고 섞는 과정을 별도로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는 기존의 타액채취기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주타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의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는 종래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에는 비강의 타액을 채취하기 위하여 구강 전반의 타액을 모아 검사하거나, 면봉을 이용하여 비강 내벽의 타액을 채취하여 검사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타액을 채취하였다.
구강 전반의 타액을 모아 검사하는 방식은 구강 내의 타액을 모아 컵이나 깔때기 모양의 기구에 뱉는 형태와, 필터를 입안에 넣고 씹은 후 짜내는 형태가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이하선(귀밑샘)에서 나온 순수 타액 외에 구강 내 다른 물질들(구강 점막, 음식물 잔사, 플라그, 정상세균 및 다른 균들 등)과 혼합되어 있는 타액을 채취하게 되어, 그 성분이 희석되어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강 내벽의 타액을 채취하여 검사하는 방식으로, 스왑(swab, 면봉)을 이용하는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스왑 방식은 피검사자로부터 호흡기 질환의 실제 감염이 이루어지는 비강 내부에 검체 채취용 면봉을 삽입한 후, 비강 내벽의 점막으로부터 분비물을 채취하여 검체를 채취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왑을 이용한 방식은 비강 내부의 피부와 스왑의 마찰로 인해 피부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소아나 영유아의 경우에는 고통을 유발하여 채취 자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도 2는 주타액선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액선(Salivary Glands)이라 함은 입안으로 소화액(침, 타액)을 분비하는 샘(gland)을 가리키는 것으로, 침샘이라고도 한다.
인체에서 주타액선(큰침샘, 대타액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선(귀밑샘), 악하선(턱밑샘), 설하선(혀밑샘)이 존재하며, 그 외에도 작은 침샘(소타액선)들이 구강 내에 산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주타액선 중 악하선(턱밑샘)은 좌우 턱 밑에 있으며, 설하선(혀밑샘)은 혀 밑 좌우에 존재하고, 이하선(귀밑샘)은 좌우 귀 밑에 있으면서 크기가 가장 큰 침샘이다.
그 중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을 검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강과 가장 가까운 이하선(귀밑샘)의 타액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는 인공젖꼭지를 빠는 방식과 흡사한 방식으로 이하선(귀밑샘)에서 분비되는 타액을 손쉽게 채취할 수 있는 기구(1)로서,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는 크게 타액수집부(10)와, 타액배출부(20)와, 결합부(30)와, 역류방지부(40)로 구성된다.
타액수집부(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의 관으로, 후단부에 타액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12)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피검사자의 타액이 유입된다.
상기 타액수집부(10)의 전단부 일측에는 구강고정대(14)가 형성되어 피검사자의 구강을 고정시킨 채 타액을 채취할 수 있다.
타액배출부(20)는 중공형의 얇은 관으로, 전단에 아래 방향으로 소정 각도 꺾이도록 형성된 꺾임부(21)가 형성되어, 상기 타액수집부(10)로부터 유입된 타액이 아래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타액배출구(20)가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구강에 삽입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상기 구강고정대(14)를 타원 형태로 형성하고, 그 일면에 화살표 문양을 표시하여 피검사자가 기구를 구강에 삽입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검사자는 화살표 방향이 위를 가리키도록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를 구강에 삽입함으로써, 타액배출부(20)의 꺾임부(21)가 아래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검사자는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의 구강 삽입 방향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 편리하다.
캡(25)은 상기 타액배출부(20)의 전단에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뚜껑으로, 내부에 보존제 또는 반응액이 보관된다.
따라서 상기 타액배출부(20)의 배출구(22)를 통해 캡(25)으로 타액이 배출되면, 배출된 타액은 상기 보존제 또는 반응액과 자동으로 섞이게 되어, 본 발명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는 별도로 보존액 또는 반응액을 투입하고 섞는 과정을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타액배출부(20) 일측에는 과삽입방지돌기(23)가 돌출 형성되어, 캡(25)을 닫았을 때 타액배출부(20)의 배출구(22)가 보존제 또는 반응액에 닿지 않도록 형성된다.
결합부(30)는 배출부결합단(32)과 수집부결합단(31)으로 구성되며, 수집부결합단(31)의 내측으로 상기 배출부결합단(32)이 삽입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타액배출부(20)의 후단부에는 배출부결합단(32)이 형성되고, 타액수집관의 전단부에는 상기 배출부결합단(32)의 외측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집부결합단(31)이 형성되며, 이 때, 상기 배출부결합단(32)의 내경이 상기 수집부결합단(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수집부결합단(31)의 내측으로 상기 배출부결합단(32)이 끼움 결합된다.
역류방지부(40)는 구슬안착면(42)과 역류방지홀(43)과 막힘방지돌기(44)와 타액유동홀(45)로 구성되며, 상기 역류방지부(40) 내부에 구 형상의 역류방지구슬(41)이 삽입된다.
복수의 막힘방지돌기(44)는 피검사자가 호흡을 뱉어낼 때, 그 배출 압력에 의해 역류방지구슬(41)이 타액유동홀(45)을 막지 않도록 형성된 것으로, 배출부결합단(32)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역류방지구슬(41)은 피검사자의 흡입 또는 배출 호흡에 따라 역류방지부(40)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타액수집부(10)와 타액배출부(20)를 개폐시키는 밸브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피검사자가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를 입에 물고 호흡을 들이마시면, 그 흡입 압력에 의해 역류방지구슬(41)이 구슬안착면(4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역류방지홀(43)을 밀폐시킨다. 이에 따라 타액배출부(20)의 타액이 유동되지 못하여 타액수집부(10)로 타액이 역류되지 못한다.
이에 반해 피검사자가 기구(1)를 입에 물고 호흡을 뱉어낼 때에는, 그 배출 압력에 의해 역류방지구슬(41)이 구슬안착면(4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막힘방지돌기(44)에 안착되면서 역류방지홀(43)을 개방시킨다. 이를 통해 타액수집부(10)로부터의 타액이 타액배출부(20)로 유동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의 작동도로, 인공젖꼭지를 빠는 방식과 흡사한 방식으로 비강의 타액을 채취한다.
먼저, 피검사자는 도 6(a)와 같이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의 타액수집부(10)를 구강에 삽입한 후, 구강을 구강고정대(14)에 고정시키고 입으로 호흡을 들이마신다. 호흡을 들이마시게 되면, 결합부(30) 내측에 위치한 역류방지구슬(41)이 구슬안착면(42)으로 밀착되는데, 이로 인해 역류방지구슬(41)이 역류방지홀(43)을 밀폐시켜 타액수집부(10)와 타액배출부(20)를 격리시키는 상태가 된다. 이후, 호흡을 계속 들이마시게 되면, 공기를 흡입하는 압력에 의해 비강의 타액이 구강 쪽으로 자연스레 이동된다.
구강 쪽으로 타액이 모이게 되면, 피검사자는 도 6(b)와 같이 기구(1)를 향해 호흡을 뱉어낸다. 이에 따라 역류방지구슬(41)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역류방지홀(43)을 개방시켜 비강의 타액이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은 타액이 타액배출부(20)에 충분하게 배출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 과정에서 역류방지구슬(41)은 밸브 역할을 수행하여, 타액배출부(20)로 유입된 타액이 타액수집부(10)로 역류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에서 비강의 타액을 수집하는 형태는 흡사 영유아가 인공젖꼭지를 빨아들이는 형태와 흡사하다. 인공젖꼭지의 경우 영유아가 인공젖꼭지를 입에 물고 빨게 되면, 그 흡입 압력으로 분유를 빨아들이는데, 본 발명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타액 검체 채취용 구조물을 입에 물고 빨아들이는 것을 통해, 비강의 타액을 자연스레 구강으로 이동시켜 비강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이는 영유아에게 비강의 검체 채취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게 해주고, 비강의 타액을 손쉽게 채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b) 내지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1)는 도7(a)와 같이 역류방지구슬(41)이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역류방지홀(43)을 개폐시키도록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7(b) 내지 7(c)와 같이 원뿔 형태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는 역류방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인공젖꼭지를 빠는 형태와 흡사한 방식으로 이하선(귀밑샘)에서 분비되는 타액을 손쉽게 채취하여 피부 손상이나 고통 없이 영유아의 타액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는 비강의 타액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구강 내 다른 물질들(구강 점막, 음식물 잔사, 플라그, 정상세균 및 다른 균들 등)과 혼합되는 비율이 매우 낮아 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는 캡을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캡 내부에 보존제 또는 반응액이 보관되어 있어, 타액이 배출되면, 캡에 내장된 보존제 또는 반응액과 자동으로 섞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출된 타액에 별도로 보존액 또는 반응액을 투입하고 섞는 과정을 별도로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는 기존의 타액채취기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
10: 타액수집부
12: 유입구
14: 구강고정대
20: 타액배출부
21: 꺾임부
22: 배출구
23: 과삽입방지돌기
25: 캡
30: 결합부
31: 수집부결합단
32: 배출부결합단
40: 역류방지부
41: 역류방지구슬
42: 구슬안착면
43: 역류방지홀
44: 막힘방지돌기
45: 타액유동홀

Claims (5)

  1. 피검사자의 타액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중공형 관 형태의 타액수집부;
    상기 타액수집부로부터 유입된 타액을 캡으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중공형 관 형태의 타액배출부;
    상기 타액수집부와 타액배출부의 일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내측에 형성되어, 피검사자의 호흡에 의해 이동되면서 역류방지홀을 개폐시키는 역류방지구슬이 포함된 역류방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인공젖꼭지를 빨아들이는 방식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상기 타액수집부를 구강에 삽입한 후 빨아들이면,
    상기 역류방지구슬이 상기 역류방지홀을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타액배출부의 타액이 상기 타액수집부로 역류되지 않되, 흡입 압력에 의해 비강의 타액이 구강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으로 이동된 타액을 상기 타액수집부로 뱉어내면,
    상기 역류방지구슬이 상기 역류방지홀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구강으로 이동된 타액이 상기 타액수집부와 타액배출부를 거쳐 캡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타액배출부의 전단에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보존제 또는 반응액이 보관되어, 상기 캡으로 배출된 타액이 보존제 또는 반응액과 자동으로 섞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구슬은 구 또는 삼각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





KR1020210116061A 2021-06-25 2021-09-01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 KR202300008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858 2021-06-25
KR20210082858 2021-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96A true KR20230000896A (ko) 2023-01-03

Family

ID=8492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061A KR20230000896A (ko) 2021-06-25 2021-09-01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8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1409B2 (en) Lung aerosol collection device
US9113850B2 (en) Saliva collection device
US20090187113A1 (en) Infant breath collector
US5062835A (en) Aspirator device for body fluids
US5050616A (en) Universal collector for submandibular-sublingual saliva
JP2008543448A (ja) 呼吸の情報を取得するための鼻カニューレ
JP2008534921A (ja) 口腔液試料収集用装置
US2006024916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nasal aspiration
US5788683A (en) Sinus aspiration/irrigation
US2023001223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iratory secretion collection and analysis
KR20230000896A (ko) 타액 검체 채취용 기구
US6428316B1 (en) Tartar trap
CN106289889B (zh) 一种对口与鼻呼气分子同时采样与分析装置
CN213099774U (zh) 一种多功能吸痰容器
US20090275015A1 (en) Non-invasive respiratory rapid diagnosis method
CN106066270B (zh) 一种全自动呼气采集装置和方法
JP4794872B2 (ja) 口臭測定装置及び口臭測定方法、並びに臭気測定装置及び臭気測定方法
US6890323B1 (en) Small volume effusion trap
KR102518189B1 (ko) 비강체액 검체채취용구조물을 이용한 일체형 항원항체 검사키트
CN219614518U (zh) 可计量吸痰装置
CN110169791A (zh) 一种新型的便捷式液体采集器
CN210812855U (zh) 一种婴儿经口鼻吸痰器
CN214485842U (zh) 一种便于肺泡灌洗液过滤取样装置
KR20200142323A (ko) 위점액 채취장치
CN108567450A (zh) 宫颈取样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