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809A -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809A
KR20230000809A KR1020210083398A KR20210083398A KR20230000809A KR 20230000809 A KR20230000809 A KR 20230000809A KR 1020210083398 A KR1020210083398 A KR 1020210083398A KR 20210083398 A KR20210083398 A KR 20210083398A KR 20230000809 A KR20230000809 A KR 20230000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ecu
vehicle
batter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3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809A/ko
Priority to US17/584,616 priority patent/US20220413829A1/en
Publication of KR2023000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4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ed to technical updates when adding new parts or soft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ECU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시, 각 ECU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상기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다음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열화로 인한 SOC 예측 오류로 인해 ECU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장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업데이트 시, 각 ECU의 업데이트 시점마다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각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OTA UPDAT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s)의 OTA(Over The Air) 업데이트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부품의 전자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장치의 종류와 수가 크게 증가되고 있다. 전자장치는 크게 파워트레인(power train) 제어 시스템, 바디(body) 제어 시스템, 새시(chassis) 제어 시스템, 차량 네트워크(network), 멀티미디어(multimedia) 시스템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파워트레인 제어 시스템은 엔진 제어 시스템, 자동 변속 제어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제어 시스템은 바디 전장품 제어 시스템, 편의 장치 제어 시스템, 램프(lamp) 제어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새시 제어 시스템은 조향 장치 제어 시스템, 브레이크(brake) 제어 시스템, 서스팬션(suspension) 제어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기반의 네트워크,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기반의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항법 장치 시스템, 텔레매틱스(telematics) 시스템, 인포테이먼트(infotainment)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 및 시스템들 각각을 구성하는 전자장치들은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장치들 각각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가 요구되고 있다. CAN(Controller Area Network)은 최대 1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으며, 충돌된 프레임의 자동 재전송, CRC(cycle redundancy check) 기반의 오류 검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플렉스레이 기반의 네트워크는 최대 1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으며, 2채널을 통한 데이터의 동시 전송, 동기 방식의 데이터 전송 등을 지원할 수 있다. MOST 기반의 네트워크는 고품질의 멀티미디어를 위한 통신 네트워크로, 최대 15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텔레매틱스 시스템, 인포테이먼트 시스템, 향상된 안전 시스템 등은 높은 전송 속도, 시스템 확장성 등을 요구하며, CAN, 플렉스레이 기반의 네트워크 등은 이를 충분히 지원하지 못한다. MOST 기반의 네트워크는 CAN 및 플렉스레이 기반의 네트워크에 비해 높은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으나, 차량의 모든 네트워크에 MOST 기반의 네트워크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이러한 문제들에 의해, 차량 네트워크로 이더넷(ethernet) 기반의 네트워크가 고려될 수 있다.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는 한 쌍의 권선을 통한 양방향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최대 10G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최근 차량에 구비된 ECU의 OTA(Over The Air) 업데이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차량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ECU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OTA 업데이트 기술은, 주행중에 OTA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백그라운드)를 수신하고, 차량의 엔진이 정지(시동 오프)한 상태에서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를 고려하여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한다. 즉, ECU를 업데이트할지 말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배터리의 열화를 고려하지 않은 채, 엔진이 정지한 시점에 배터리의 SOC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배터리의 SOC에 기초하여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상기 ECU의 업데이트 도중에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급격히 저하(일례로, 6V 미만)되는 경우, 상기 ECU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어 상기 ECU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기술은 엔진의 시동을 관장하는 ECU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는 경우, 상기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ECU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시, 각 ECU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상기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다음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열화로 인한 SOC 예측 오류로 인해 ECU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는, 차량의 전장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업데이트 시, 각 ECU의 업데이트 시점마다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각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1 ECU 업데이트 시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제2 ECU 업데이트 시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제3 ECU 업데이트 시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3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저전압으로 인해 상기 ECU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었다가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ECU의 업데이트를 재개하거나 롤백(Roll Back)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는 상기 배터리가 교체된 경우 또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가동중에 OTA(Over The Air)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은, 센서가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업데이트 시, 제어부가 각 ECU의 업데이트 시점마다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각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ECU 업데이트 시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제2 ECU 업데이트 시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및 제3 ECU 업데이트 시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3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가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배터리의 저전압으로 인해 상기 ECU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었다가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ECU의 업데이트를 재개하거나 롤백(Roll Back)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각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엔진이 가동중에 OTA(Over The Air)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ECU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시, 각 ECU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상기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다음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열화로 인한 SOC 예측 오류로 인해 ECU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시스템에 구비된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에 대한 전체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시스템은,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 서버(200), DB(210), 배터리(300),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400), 및 ECU(Electronic Control Units, 500)를 포함할 수 있다.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ECU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시, 각 ECU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상기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다음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열화로 인한 SOC 예측 오류로 인해 ECU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TA 서버(200)는 차량에 구비된 각 ECU(500)에 상응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 21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OTA 서버(200)는 DB(210)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의 ID와 버전정보에 상응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OTA 서버(200)는 소프트웨어의 ID와 버전정보에 상응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DB(210)에 저장할 수 있다.
OTA 서버(200)는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OTA 서버(200)는 차량의 각 ECU(5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ID와 버전정보가 차량의 버전별로 기록된 업데이트 테이블을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OTA 서버(200)는 차량에 구비된 각 ECU(500)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300)는 차량에 구비된 전장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화 여부에 따라 전압의 추이가 크게 달라진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시스템에 구비된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예시도로서, 배터리(300)의 SOC가 90%이고 10A가 방전되고 있는 상태에서의 전압 추이를 나타낸다.
도 2에서, "210"은 열화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의 배터리(300)의 전압을 나타내고, "220"은 열화가 발생한 배터리(300)의 전압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 2를 통해 배터리(300)에 열화가 발생하면 초기 전압은 13V로 동일하나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하게 전압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전압에 기초하여 예측한 배터리(300)의 SOC는 ECU(500)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나, 막상 ECU(500)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압이 급격하게 떨어져 ECU(500)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BMS(400)는 배터리(3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로서, 배터리(300)의 SOC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한 배터리(300)의 SOC를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BMS(400)는 하기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류와 전압과 SOC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에 기초하여 배터리(300)의 SOC를 예측할 수 있다.
-5A -10A -15A -20A
60% 10.5V 10V 9.5V 9V
70% 10.7V 10.2V 9.7V 9.2V
80% 10.9V 10.4V 9.9V 9.4V
90% 11.1V 10.6V 10.1V 9.6V
100% 11.3V 10.8V 10.3V 9.8V
ECU(500)는 차량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차량에 구비된 엔진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ECU(500)는 전기차에서 VCU(Vehicle Control Unit)으로 대체될 수 있고, 연료전지차량에서 FCU(Fuel cell Control Unit)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는, 저장부(10), 통신부(20), 전압센서(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100)를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저장부(10)는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ECU(500)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시, 각 ECU(500)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상기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300)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배터리(300)의 전압에 기초하여 다음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각종 로직과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는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으로서, ECU(500)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었다가 배터리(300)의 교체 또는 외부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다시 정상 공급되는 경우, 상기 ECU(500)의 중단된 업데이트를 완료하거나 롤백(Roll Back)하는 OTA 복구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각종 로직과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롤백은 ECU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업데이트 이전의 소프트웨어 버전으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저장부(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는 OTA 서버(20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OTA 서버(200)로부터 각 ECU(500)에 적용되는 업데이트 데이터(일례로, 펌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인터넷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 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통신망을 통해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인터넷 모듈은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통해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전압센서(30)는 배터리(30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0)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어부(40)는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ECU(500)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시, 각 ECU(500)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상기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300)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배터리(300)의 전압에 기초하여 다음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으로서, ECU(500)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었다가 배터리(300)의 교체 또는 외부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다시 정상 공급되는 경우, 상기 ECU(500)의 중단된 업데이트를 재개하거나 롤백(Roll Back)하는 OTA 복구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차량의 엔진이 가동중에 OTA 서버(200)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통신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복수의 ECU(500)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는 전압센서(30)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을 확인하고 상기 전압이 기준치(일례로, 8V)를 초과하면 첫번째 ECU의 업데이트 수행하고, 상기 첫번째 ECU의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재차 전압센서(30)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을 확인하고 상기 전압이 기준치(일례로, 8V)를 초과하면 두번째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상기 두번째 ECU의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재차 전압센서(30)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을 확인하고 상기 전압이 기준치(일례로, 8V)를 초과하지 않으면 세번째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어부(40)는 ECU의 업데이트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페일 세이프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300)에 열화가 발생하면 배터리(300)의 SOC를 정확도 높게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의 추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따라서, ECU 업데이트 시점에 배터리(300)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상기 ECU의 업데이트를 시작하였으나, 상기 ECU 업데이트 도중에 갑자기 배터리(300)의 전압이 급격히 낮아져 상기 ECU의 업데이트가 중단될 수 있다. 페일 세이프 기능은 이러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이다.
제어부(40)는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으로서, ECU(500)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었다가 배터리(300)의 교체 또는 외부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다시 정상 공급되는 경우, 상기 ECU(500)의 중단된 업데이트를 재개하거나 롤백(Roll Back)하는 OTA 복구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배터리(300)의 교체 또는 외부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다시 정상 공급되는 경우, 배터리(300)의 SOC를 정상적으로 예측하는데 일반적으로 4시간 이상이 소요되는 바, 제어부(40)는 배터리(300)의 SOC를 고려하지 않고 배터리(300)의 전압에 기초하여 페일 세이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에 대한 전체 흐름도이다.
먼저, 전압센서(30)가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300)의 전압을 측정한다(401).
이후,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업데이트 시, 제어부(40)가 각 ECU의 업데이트 시점마다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각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한다(402).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통신부(20)는 차량의 엔진이 가동중에 OTA 서버(200)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한다(501).
이후, 제어부(40)는 차량의 엔진이 정지했는지 판단한다(502).
상기 판단결과(502), 차량이 엔진이 정지했으면 배터리(300)의 전압을 측정하도록 전압센서(30)를 제어한다(503).
이후, 배터리(300)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503).
상기 판단결과(503), 배터리(300)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한다(505).
이후, 업데이트 대상 ECU가 더 있으면 "503" 과정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 대상 ECU가 없으면 종료한다(506).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은 컴퓨팅 시스템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시스템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 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저장부
20: 통신부
30: 전압센서
40: 제어부

Claims (14)

  1. 차량의 전장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업데이트 시, 각 ECU의 업데이트 시점마다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각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ECU 업데이트 시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제2 ECU 업데이트 시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제3 ECU 업데이트 시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3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저전압으로 인해 상기 ECU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었다가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ECU의 업데이트를 재개하거나 롤백(Roll Back)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는,
    상기 배터리가 교체된 경우 또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가동중에 OTA(Over The Air)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8. 센서가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업데이트 시, 제어부가 각 ECU의 업데이트 시점마다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각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ECU 업데이트 시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제2 ECU 업데이트 시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및
    제3 ECU 업데이트 시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3 ECU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저전압으로 인해 상기 ECU의 업데이트가 도중에 중단되었다가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ECU의 업데이트를 재개하거나 롤백(Roll Back)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는,
    상기 배터리가 교체된 경우 또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기초하여 각 ECU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엔진이 가동중에 OTA(Over The Air)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
KR1020210083398A 2021-06-25 2021-06-25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00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398A KR20230000809A (ko) 2021-06-25 2021-06-25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7/584,616 US20220413829A1 (en) 2021-06-25 2022-01-26 Ota upda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398A KR20230000809A (ko) 2021-06-25 2021-06-25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09A true KR20230000809A (ko) 2023-01-03

Family

ID=8454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398A KR20230000809A (ko) 2021-06-25 2021-06-25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413829A1 (ko)
KR (1) KR20230000809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705B1 (ko) * 2011-09-22 2014-0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216730B2 (ja) * 2015-03-16 2017-10-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ソフト更新装置、ソフト更新方法
US10209981B2 (en) * 2016-11-21 2019-02-19 Nio Usa, Inc. Structure for updating software in remote device
JP7346956B2 (ja) * 2018-08-10 2023-09-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プログラム書換えシステム、車両用マスタ装置、進捗状態の同期制御方法及び進捗状態の同期制御プログラム
JP7003976B2 (ja) * 2018-08-10 2022-01-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マスタ装置、更新データの検証方法及び更新データの検証プログラム
JP7427879B2 (ja) * 2018-08-10 2024-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マスタ装置、書換え対象のグループ管理方法及び書換え対象のグループ管理プログラム
JP7371461B2 (ja) * 2019-11-28 2023-10-3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更新装置、更新処理プログラム、及び更新方法
JP7320547B2 (ja) * 2021-03-19 2023-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更新制御装置、プログラム更新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07116B2 (ja) * 2021-04-07 2023-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車載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および車載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13829A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1924A (ko) 차량의 ecu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156057A1 (en) In-vehicle update device, update processing program, and program update method
US20220066770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update of ecu of vehicle
US20190210545A1 (en) Erase-replace ota smart power strategy
US11501583B2 (en) Vehicle battery health measurement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CN106469072B (zh) 车辆程序更新系统及车辆程序更新方法
CN112092754A (zh) 用于车辆的软件更新的方法和系统
KR20230000809A (ko)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4347746A (zh) 驻车空调及其控制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385553A1 (en) Vehicle-mounted re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3635788A (zh) 电动非道路车辆充电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20187379A1 (en) Power-saving typ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KR20230017634A (ko)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0505974B (zh) 机动车辆中的牵引电池组的电池电流极限和车载网络电流极限的确定方法
US115842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state alerts indicative of undesirable conditions
CN111993953B (zh) 电池控制方法、动力汽车及可读存储介质
KR20230000808A (ko) 차량의 ota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02851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data transmission rate between vehicle and access point
CN113760326A (zh) 一种升级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车辆
KR20220001925A (ko) 차량의 ecu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65427A (ko) 배터리의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E102018000102A1 (de) Fahrzeugladesteuereinheit und Fahrzeugladeverfahren
CN112748939B (zh) 一种软件更新的控制方法、装置及汽车
KR20200129921A (ko) 차량의 ecu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40707A (ko) 차량 내 저전압 배터리의 soc 보정 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