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606U -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606U
KR20230000606U KR2020210002844U KR20210002844U KR20230000606U KR 20230000606 U KR20230000606 U KR 20230000606U KR 2020210002844 U KR2020210002844 U KR 2020210002844U KR 20210002844 U KR20210002844 U KR 20210002844U KR 20230000606 U KR20230000606 U KR 202300006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recording
hole
chip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성락
Original Assignee
마성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성락 filed Critical 마성락
Priority to KR2020210002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606U/ko
Publication of KR202300006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6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7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the record carrier being an endless loop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11B27/007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reproducing continuously a part of the information, i.e. rep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카세트 테이프 형상을 갖는 본체에 녹음 및 재생을 반복할 수 있는 녹음 및 재생수단을 장착시키고, 본체가 수용되는 케이스에 사진을 장착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케이스의 사진에 대한 설명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사용자가 버튼을 이용해 녹음하고, 사진을 볼 때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누르게 되면 녹음된 내용이 그대로 전달되어 추억에 대한 회상이나 사진에 대한 설명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들을 수 있는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ALBUM OF A CASSETTE-TAPE TYPE}
본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세트 테이프 형상을 갖는 본체에 녹음 및 재생을 반복할 수 있는 녹음 및 재생수단을 장착시키고, 본체가 수용되는 케이스에 사진을 장착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케이스의 사진에 대한 설명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사용자가 버튼을 이용해 녹음하고, 사진을 볼 때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누르게 되면 녹음된 내용이 그대로 전달되어 추억에 대한 회상이나 사진에 대한 설명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들을 수 있는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억이 담긴 사진이나 소중한 그림 혹은 문자 등을 앨범이나 액자 속에 넣어 가까운 곳에 걸어 두거나 진열하므로써 자주 보게 되고, 또한 이러한 앨범이나 액자를 제작하여 선물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사진의 경우 지난 추억을 잊지 않으려고 사진에 간단한 메모를 하거나 선물용으로 사용할 때는 사진틀에 메시지를 표시하여 전달하기도 하며, 그림이나 문자 등은 그 뜻을 별도의 종이에 기재하여 보관 후 필요시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사진에 메모를 하다보면 사진이 망가지거나 메모해 둔 부분이 지워지는 경우가 있으며, 뜻이 담긴 그림이나 문자의 경우 그 뜻이 담긴 메모지를 분실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사진, 그림이나 문자 등이 담긴 앨범이나 액자를 선물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때 단순히 사진, 그림이나 문자만이 그데로 전달되기 때문에 그 담긴 내용을 알 수 없으며, 시간이 흐르게 되면 내용 뿐만 아니라 전달자가 누구인지도 모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간이 흐를면 소장자가 앨범 및 액자를 자주 보지 않게 됨으로써, 소장자가 귀중한 추억을 회상할 수 있는 기회를 자주 갖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카세트 테이프 형상을 갖는 본체에 녹음 및 재생을 반복할 수 있는 녹음 및 재생수단을 장착시키고, 본체가 수용되는 케이스에 사진을 장착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케이스의 사진에 대한 설명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사용자가 버튼을 이용해 녹음하고, 사진을 볼 때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누르게 되면 녹음된 내용이 그대로 전달되어 추억에 대한 회상이나 사진에 대한 설명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들을 수 있는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그 목적은 본체의 일면에 기념일, 흥보문구, 연인이 함께 찍은 사진 및 기원 문구 등 원하는 문자나 이모티콘이 표현되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어, 앨범을 더욱 감성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카세트 테이프의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음성을 녹음 및 재생을 반복할 수 있는 녹음 및 재생수단과,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녹음 및 재생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녹음 및 재생수단에서 송신되는 음성신호를 확성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와, 상기 본체를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되고, 일면에 사진, 그림 또는 문자가 장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케이스의 사진에 대한 설명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녹음 및 재생수단에 녹음하고, 케이스에 장착된 사진을 볼 때 스피커를 통해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추억에 대한 회상이나 사진에 대한 설명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들을 수 있게 구성된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카세트 테이프의 형태를 가지게 구성되고, 서로 결합에 의해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중앙부분에는 투시창이 마련되고, 상기 투시창의 양측으로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하우징의 중앙 하단부에는 중앙에 마이크 노출공이 형성된 마이크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하우징의 중앙 하단부에는 버튼 노출공이 형성된 버튼 고정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하우징의 내면에는 일측 통공의 외측으로 스피커가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원형의 스피커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통공의 외측으로 PCB기판이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모서리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녹음 및 재생수단은 상기 모서리 고정돌기에 네모서리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되, 음성이 녹음 및 재생되는 IC칩이 설치되고, 전기가 공급되도록 배터리가 장착되는 PCB기판과, 상기 IC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버튼 고정홈부에 끼움 결합되어 버튼이 상기 버튼 노출공을 통해 후방하우징의 후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버튼의 반복적인 누름 동작에 의해 IC칩에 녹음, 재생, 리셋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버튼부와, 상기 IC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 고정홈부에 끼움 결합되어 전면이 상기 마이크 노출공을 통해 전방하우징의 전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되며 IC칩에 녹음될 수 있게 음성을 수음하는 마이크로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스피커 장착돌기에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IC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IC칩에 녹음된 음성이 전방하우징의 일측 통공을 통해 외부로 송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사진, 그림 또는 문자가 장착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끼워 넣을 수 있게 구성되는 측벽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측벽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박스와, 상기 박스와 대향하는 방향에서 마련되고, 상기 박스의 힌지공에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양측벽 하부영역에서 힌지가 각각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박스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벽에 형성된 힌지공은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된 형상의 힌지공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내측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의 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일측 힌지는 상기 박스의 개구된 형상의 힌지공 및 힌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축 및 힌지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전방하우징 또는 후방 하우징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어 케이스 내에서 본체를 고정시키는 본체구속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의 내측에는 전면판에 사진이 장착되었을 때, 사진, 그림 또는 문자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투시창의 내면에는 테이프릴의 효과를 내기 위해 호형상의 테이프릴 스티커가 부착되며, 상기 IC칩에는 복수의 문자의 군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 복수의 문자열 세트가 저장되고, 상기 문자열 세트를 이루는 각각의 문자에 대해서, 각각의 한글이 입력되기 위해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문자메모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하우징의 투시창에는 상기 문자메모리가 저장된 문자열 세트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다수의 LED램프가 배열된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하우징의 하단부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한글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입력버튼을 눌러 문자메모리에 한글을 입력시키는 입력버튼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에 따르면, 카세트 테이프 형상을 갖는 본체에 녹음 및 재생을 반복할 수 있는 녹음 및 재생수단을 장착시키고, 본체가 수용되는 케이스에 사진을 장착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케이스의 사진에 대한 설명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사용자가 버튼을 이용해 녹음하고, 사진을 볼 때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누르게 되면 녹음된 내용이 그대로 전달되어 추억에 대한 회상이나 사진에 대한 설명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들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의 후방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에서 본체의 후방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에서 본체의 전방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의 개략적 구성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에서 케이스에 본체가 수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의 후방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에서 본체의 후방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에서 본체의 전방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은 카세트 테이프 형상을 갖는 본체에 녹음 및 재생을 반복할 수 있는 녹음 및 재생수단을 장착시키고, 본체가 수용되는 케이스에 사진을 장착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케이스의 사진에 대한 설명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사용자가 버튼을 이용해 녹음하고, 사진을 볼 때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누르게 되면 녹음된 내용이 그대로 전달되어 추억에 대한 회상이나 사진에 대한 설명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들을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체(100), 녹음 및 재생수단(200), 스피커(400) 및 케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카세트 테이프의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설치공간(S)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는 후술하는 녹음 및 재생수단(200)과 스피커(40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카세트 테이프 형태로 마련되어 근래 유행하는 레트로 감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좀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는 카세트 테이프의 형태를 가지게 구성되고, 서로 결합에 의해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전방하우징(110) 및 후방하우징(1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하우징(110) 및 후방하우징(120)은 서로의 모서리 부분에 체결되는 나사(B)를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하우징(110) 및 후방하우징(120)의 중앙부분에는 투시창(111,121)이 마련되고, 상기 투시창(111,121)의 양측으로는 통공(112a,112b,122)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전방하우징(110)의 중앙 하단부에는 중앙에 마이크 노출공(113a)이 형성된 마이크 고정홈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하우징(120)의 중앙 하단부에는 버튼 노출공(123a)이 형성된 버튼 고정홈부(123)가 형성된다.
더블어, 상기 전방하우징(110)의 내면에는 일측 통공(112a)의 외측으로 후술하는 스피커(400)가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원형의 스피커 장착돌기(114)가 형성되고, 타측 통공(112b)의 외측으로 후술하는 PCB기판이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모서리 고정돌기(115)가 형성된다.
상기 녹음 및 재생수단(200)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음성을 녹음 및 재생을 반복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녹음 및 재생수단(200)은 상기 모서리 고정돌기(115)에 네모서리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되, 음성이 녹음 및 재생되는 IC칩(211)이 설치되고, 전기가 공급되도록 배터리(212)가 장착되는 PCB기판(210)과, 상기 IC칩(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버튼 고정홈부(123)에 끼움 결합되어 버튼(221)이 상기 버튼 노출공(123a)을 통해 후방하우징(120)의 후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버튼(221)의 반복적인 누름 동작에 의해 IC칩(211)에 녹음, 재생, 리셋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버튼부(220)와, 상기 IC칩(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 고정홈부(113)에 끼움 결합되어 전면이 상기 마이크 노출공(113a)을 통해 전방하우징(110)의 전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되며 IC칩(211)에 녹음될 수 있게 음성을 수음하는 마이크(2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녹음 및 재생수단(200)의 작동의 일례로, 버튼(221)을 누르고 사용자가 사진에 대한 설명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마이크(230)를 통해 녹음하게 되면 IC칩(221)에 녹음내용이 저장된다. 한편, 그 후 녹음된 내용을 듣고 싶을 때는 버튼(221)을 다시 누르게 되면 IC칩(221)에 녹음되었던 내용이 후술하는 스피커(400)를 통해 흘러나와 사진에 대한 설명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들을 수 있다. 또한, 녹음된 내용을 변경하고자 할 때는 버튼(221)을 길게 눌러 IC칩(221)에 녹음된 내용을 지운 다음, 다시 녹음을 하게 되면 IC칩(221)에 녹음된 음성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피커(4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녹음 및 재생수단(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녹음 및 재생수단(200)에서 송신되는 음성신호를 확성하여 외부로 송출하게 구성된다.
좀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400)는 상기 스피커 장착돌기(114)에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IC칩(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IC칩(221)에 녹음된 음성이 전방하우징(110)의 일측 통공(112a)을 통해 외부로 송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피커는 전방하우징(110)의 일측 통공(112a)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피커 장착돌기에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스피커의 전면 중앙이 전방하우징(110)의 일측 통공(112a)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스피커(400)에서 송출되는 음성이 전방하우징(110)의 일측 통공(112a)을 통해 외부로 송출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전방하우징(110)의 일측 통공(112a)은 스피커(400)에서 송출되는 음성이 외부로 확성되는 확성공 역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300)는 상기 본체(100)를 보관할 수 있도록 본체를 수용하고, 일면에 사진, 그림 또는 문자(P)가 장착되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300)는 사진, 그림 또는 문자가 장착되는 전면판(311)과, 상기 전면판(3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를 끼워 넣을 수 있게 구성되는 측벽(312)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측벽(312)에는 힌지공(312a)이 형성되는 박스(310)와, 상기 박스(310)와 대향하는 방향에서 마련되고, 상기 박스(310)의 힌지공(312a)에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양측벽 하부영역에서 힌지(321)가 각각 형성된 덮개(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형 테이프 앨범은 도 5의 상태에서 본체(100)를 케이스(300)에 삽입한 후, 케이스(300)를 닫게 되면 도 6과 같이 본체(100)에 케이스(300)가 수용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세트형 테이프 앨범을 보관, 전시하거나, 선물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310)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벽(312)에 형성된 힌지공(312a)은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된 형상의 힌지공(312a)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내측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의 힌지홈(312b)이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할 덮개(320)의 힌지(321)가 쉽게 결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320)의 일측 힌지(321)는 상기 박스(310)의 개구된 형상의 힌지공(312a) 및 힌지홈(312b)에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축(321a) 및 힌지돌기(321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덮개(320)의 힌지축(321a) 및 힌지돌기(321b)가 상기 박스(310)의 힌지공(312a) 및 힌지홈(312b)에 삽입되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320)에는 상기 전방하우징(110) 또는 후방 하우징(120)에 형성된 통공(122)에 삽입되어 케이스(300) 내에서 본체(100)를 고정시키는 본체구속돌기(3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케이스(300) 내에서 본체(100)가 유동없이 고정되기 때문에, 본체(100)의 유동에 의해 본체(100) 내부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이 고장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311)의 내측에는 전면판(311)에 사진, 그림 또는 문자(P)가 장착되었을 때, 사진, 그림 또는 문자(P)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311a )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전방하우징(110) 및 후방하우징(120)의 투시창(121)의 내면에는 테이프릴의 효과를 내기 위해 호형상의 테이프릴 스티커(15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테이프릴 스티커(150)를 통해 본체(100)가 보다 카세트 테이프와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어 본체(100)에 레트로한 감성이 더욱 부가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면에 다양한 영문, 숫자, 기호, 특수문자 등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IC칩(221)에는 복수의 문자의 군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 복수의 문자열 세트가 저장되고, 상기 문자열 세트를 이루는 각각의 문자에 대해서, 각각의 한글이 입력되기 위해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문자메모리부(2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하우징(110)의 투시창에는 상기 문자메모리가 저장된 문자열 세트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다수의 LED램프가 배열된 디스플레이(17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하우징(110)의 하단부에는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한글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문자메모리에 한글을 입력시키는 입력버튼(190)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버튼(190)은 문자열 세트에 입력되는 문자를 설정하는 ENT버튼(191)과, 상기 문자열 세트의 문자를 삭제하는 DEL버튼(192)과, 상기 문자열 세트에 입력되는 문자를 선택하는 상,하,좌,우버튼(193a,193b,193c,193d)이 상기 전방하우징(110)에 구비됨은 물론 상기 전방하우징(110)의 한쪽 부분에 상기 상,하,좌,우버튼(193a,193b,193c,193d)이 상호 직교 되어 십자형태로 위치되고, 상,하좌,우버튼의 일측으로 상기 ENT버튼(191) 및 DEL버튼(192)이 위치된다.
상기 입력버튼(190)의 조작에 따른 디스플레이(170)에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문자열에 한글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현재 문자열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버튼(193a) 또는 하버튼(193b)을 누른 후 ENT버튼(191)을 길게 눌러 정상작동상태로 돌아갈 수 있으며, DEL버튼(192)을 누르면 현재 반짝이는 한글을 삭제할 수 있으며, ENT버튼(191)을 누르면 현재 반짝이는 한글 앞에 새 한글을 추가할 수 있도록 삽입모드가 실행된다.
예를 들어 ABCDEFGHI가 입력되어 있는 문자에서 D한글이 반짝이는 경우( ABCDEFGHI) DEL버튼(192)을 눌러 D를 지우면 (ABCEFGHI) C한글이 반짝이게 되고 ENT버튼(191)을 눌러 C앞에 한글 8을 삽입한 경우 (AB8CEFGHI) 만약 맨 뒤에 한글을 추가하려면 이같이 될 때까지 좌버튼(193c)을 눌러 (AB8CEFGHI_) 커서가 맨 뒤에 있게 하며 ENT버튼(191)으로 반짝이는 한글 앞에 새 한글을 추가할 때에는 삽입모드가 실행된다.
즉, 삽입모드에서는 좌버튼(193c)을 짧게 눌러 한글의 종류(순환됨)를 선택할 수 있다.
예) ㄱ->0->A->a->?(순환)
여기서 <한글 'ㄱ' 선택>을 하면,
① 상버튼(193a)을 눌러 ㄱ->ㄲ->ㄴ->ㄷ->ㄸ->ㄹ->ㅁ->ㅂ->ㅃ(순환) 첫소리 제1자음을 선택하거나,
② 하버튼(193b)을 눌러 ㅅ->ㅆ->ㅇ->ㅈ->ㅉ->ㅊ->ㅋ->ㅌ->ㅍ->ㅎ(순환) 첫소리 제2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우버튼(193d)으로 다음을 선택하고,
③ 상버튼(193a)을 눌러 ㅏ->ㅐ->ㅑ->ㅒ->ㅓ->ㅔ->ㅕ->ㅖ->ㅗ->ㅘ->ㅙ->ㅚ(순환, 불필요한 음은 안 뜸) 가운뎃소리 제1모음을 선택하거나,
④ 하버튼(193b)을 눌러 ㅛ->ㅜ->ㅝ->ㅟ->ㅠ->ㅡ->ㅢ->ㅣ(순환, 불필요한 음은 안 뜸) 가운뎃소리 제2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
우버튼(193d)으로 다음을 선택하고,
⑤ 상버튼(193a)을 눌러 ㄱ->ㄲ->ㄱㅅ->ㄴ->ㄴㅈ->ㄴㅎ->ㄷ->ㄹ->ㄹㄱ->ㄹㅁ->ㄹㅂ->ㄹㅅ->ㄹㅌ->ㄹㅍ->ㄹㅎ->ㅁ->ㅂ->ㅂㅅ (순환, 불필요한 음은 안 뜸) 제1받침음을 선택하거나,
⑥ 하버튼(193b)을 눌러 ㅅ->ㅆ->ㅇ->ㅈ->ㅊ->ㅋ->ㅌ->ㅍ->ㅎ(순환, 불필요한 음은 안 뜸) 제2받침음을 선택할 수 있다.
<숫자 '0' 선택>을 하면,
① 상버튼(193a)을 눌러 0->9(순환)되며, ② 하버튼(193b)을 눌러 9->0(순환)된다.
<대문자 'A' 선택>을 하면,
① 상버튼(193a)을 눌러 A->Z(순환)되며, ② 하버튼(193b)을 눌러 Z->A(순환)된다.
<소문자 'a' 선택>을 하면,
① 상버튼(193a)을 눌러 a->z(순환)되며, ② 하버튼(193b)을 눌러 z->a(순환)된다.
<부호 '?' 선택>을 하면,
① 상버튼(193a)을 눌러 ->?->(->)->!->"->,->:->.->+->-->=->@->$->%->*->&->#->☏(순환)되거나,
② 하버튼(193b)을 누르면 반대방향으로 순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100)에 문자가 표시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입력버튼(190)의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본체(100)의 음성 재생 기능과 더불어 기념일, 흥보문구, 연인이 함께 찍은 사진 및 기원 문구 등 원하는 문자나 이모티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 200: 녹음 및 재생수단
300: 스피커 400: 케이스

Claims (4)

  1. 카세트 테이프의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음성을 녹음 및 재생을 반복할 수 있는 녹음 및 재생수단과,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녹음 및 재생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녹음 및 재생수단에서 송신되는 음성신호를 확성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와,
    상기 본체를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되고, 일면에 사진, 그림 또는 문자가 장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케이스의 사진에 대한 설명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녹음 및 재생수단에 녹음하고, 케이스에 장착된 사진을 볼 때 스피커를 통해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추억에 대한 회상이나 사진에 대한 설명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들을 수 있게 구성된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카세트 테이프의 형태를 가지게 구성되고, 서로 결합에 의해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중앙부분에는 투시창이 마련되고, 상기 투시창의 양측으로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하우징의 중앙 하단부에는 중앙에 마이크 노출공이 형성된 마이크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하우징의 중앙 하단부에는 버튼 노출공이 형성된 버튼 고정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하우징의 내면에는 일측 통공의 외측으로 스피커가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원형의 스피커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통공의 외측으로 PCB기판이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모서리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녹음 및 재생수단은 상기 모서리 고정돌기에 네모서리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되, 음성이 녹음 및 재생되는 IC칩이 설치되고, 전기가 공급되도록 배터리가 장착되는 PCB기판과, 상기 IC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버튼 고정홈부에 끼움 결합되어 버튼이 상기 버튼 노출공을 통해 후방하우징의 후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버튼의 반복적인 누름 동작에 의해 IC칩에 녹음, 재생, 리셋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버튼부와, 상기 IC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 고정홈부에 끼움 결합되어 전면이 상기 마이크 노출공을 통해 전방하우징의 전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되며 IC칩에 녹음될 수 있게 음성을 수음하는 마이크로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스피커 장착돌기에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IC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IC칩에 녹음된 음성이 전방하우징의 일측 통공을 통해 외부로 송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사진, 그림 또는 문자가 장착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끼워 넣을 수 있게 구성되는 측벽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측벽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박스와,
    상기 박스와 대향하는 방향에서 마련되고, 상기 박스의 힌지공에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양측벽 하부영역에서 힌지가 각각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벽에 형성된 힌지공은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된 형상의 힌지공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내측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의 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일측 힌지는 상기 박스의 개구된 형상의 힌지공 및 힌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축 및 힌지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전방하우징 또는 후방 하우징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어 케이스 내에서 본체를 고정시키는 본체구속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의 내측에는 전면판에 사진이 장착되었을 때, 사진, 그림 또는 문자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투시창의 내면에는 테이프릴의 효과를 내기 위해 호형상의 테이프릴 스티커가 부착되며,
    상기 IC칩에는 복수의 문자의 군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 복수의 문자열 세트가 저장되고, 상기 문자열 세트를 이루는 각각의 문자에 대해서, 각각의 한글이 입력되기 위해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문자메모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하우징의 투시창에는 상기 문자메모리가 저장된 문자열 세트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다수의 LED램프가 배열된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하우징의 하단부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한글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입력버튼을 눌러 문자메모리에 한글을 입력시키는 입력버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
KR2020210002844U 2021-09-14 2021-09-14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 KR202300006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844U KR20230000606U (ko) 2021-09-14 2021-09-14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844U KR20230000606U (ko) 2021-09-14 2021-09-14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606U true KR20230000606U (ko) 2023-03-21

Family

ID=8572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844U KR20230000606U (ko) 2021-09-14 2021-09-14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60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780B1 (en) Talking trading card player system
US5855001A (en) Talking trading card player system
US20020137012A1 (en) Programmable self-teaching audio memorizing aid
KR20230000606U (ko) 카세트 테이프형 앨범
US20070084332A1 (en) Crib toy
KR101021017B1 (ko) 동영상재생장치가 구비된 매뉴얼 책
JP2644417B2 (ja) 学習装置
JP4647822B2 (ja) 情報認識装置
CN105852533B (zh) 画框
KR200181229Y1 (ko) 녹음 및 재생기능을 갖는 액자
JP2017044763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エイド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0334180A (ja) 音声出力装置
KR200316616Y1 (ko) 멀티형 노트북 컴퓨터
KR200193410Y1 (ko) 유희를 겸한 유아 교육용 학습기구
JP3093764U (ja) オルゴールを備えた写真立て
WO2003102894A8 (en) A low-cost, widely-applicable instruction system
JPH11296199A (ja) 音声録音再生装置
WO2002084626A1 (en) A voice-generating electronic book
US20090164877A1 (en) Memo voice recording/playback method and digital photo frame using the same
TW200300897A (en) Fold-dow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0276184A (ja) 音声カードモジュール及び音声カード供給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2003117049A (ja) カード玩具装置
KR20030008496A (ko) 디지털색인코드가 날인된 기록매체의 학습시스템
KR19990004055U (ko) 전자사전수첩을 갖는 카세트 플레이어
US20050141349A1 (en) Optical disk player